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회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허전 대한지방자치학회 2013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국회 공무원 168명을 대상으로 국회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한 것이다. 조직문화는 조직풍토와 경쟁가치모형의 조직문화를 선정했고, 조직 효과성 변수로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국회는 위계문화가 강하며, 국회사무처와 국회도서관의 하위문화 간에는 의 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회 공무원이 현재 인식 하고 있는 조직문화 와 미래에 선호하는 조직문화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의 인사제도와 의사소통, 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며, 보수, 승진, 조직신뢰는 직무만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가치모형에 따른 조직문화 변수 중 조직몰입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집 단문화 뿐이며, 직무만족에는 집단문화와 발전문화 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풍토와 경쟁가치모형에 따른 조직문화 변수 중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조직신뢰인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몰입에도 영향력이 큰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다.

      • 조직문화가 고객지향성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홍군(Kim, Hong Kun) 한국공공정책학회 2010 공공정책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업인 5678서울도시철도의 조직문화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몰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 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하여 관련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파악된 변수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직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230부 설문지 중 최종적으로 응답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213부를 실제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설문자료의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신뢰도 검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 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 및 자료 분석검증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가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의 유형 중 집단문화와 합리문화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집단문화와 합리문화적 속성이 강할수록 고객지향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발전문화와 위계문화는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의 유형 중 집단문화와 합리문화가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집단문화와 합리문화적 속성이 강할수록 고객지향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직효과성의 구성요인 중 직무만족에 집단문화와 합리문화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에는 조직문화의 네 가지 유형인 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효과성은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효과성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효과성(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지향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fluence and relationship that not only organizational culture gets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als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gets customer orientation focusing on 5678S.M.R.T., public organiz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of all related theorie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systematicall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in order to check the relationship with the variations grasped based on this, questionnaires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gets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prepared for organization members engaged in to understand connected relationship between them. Total 230 participants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sampled Convenience Sampling Method(Self-Administration Method). This statistic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a sample of 213 participants having no problem in the response. The statistic analysis of the collected materials was processed by the use of the SPSS-WIN 12.0 statistics package and executed Reliability Examination,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hen it comes to the summary of the results through the practical analysis of this study, it is as following. First, organizational culture had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hich are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d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But developmental and hierarchical culture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Second, organizational culture had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hich are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d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articularly group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had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one of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ll of th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group, developmental, hierarchical and rational culture had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e of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nall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d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the higher of customer orientation.

      • KCI등재

        경찰조직문화 유형별 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영향관계 분석

        이환범(李桓範),이수창(李壽昌) 한국정책과학학회 200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0 No.4

        최근 들어 경찰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에 대한 상관적 실증연구가 일부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그 연구 성과는 다소 미흡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관련 변수선정 과정에 있어서도 적정하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찰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몰입에 대한 상관성 연구차원에서, 조직문화의 유형을 합리ㆍ집단ㆍ위계ㆍ발전문화로 분류하여 조직몰입(정서적ㆍ근속적ㆍ규범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조직문화유형 중 합리ㆍ집단ㆍ발전문화는 경찰공무원의 조직몰입(정서적ㆍ근속적?규범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계문화는 규범적 몰입에는 부(-)의 영향을 정서적ㆍ근속적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위계문화로부터 발전문화, 집단문화, 합리문화로의 전환이 요구되며, 이러한 조직문화로의 변화가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점진적이고도 총체적인 시각에서의 조직구성원의 의식 및 행태변화가 도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조직문화, 셀프리더십 및 조직유효성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정용근,위오기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2 기업경영리뷰 Vol.3 No.2

        본 연구는 조직문화를 유연선 문화와 통제성 문화로 구분하고 각각의 유형이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변수인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몰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에 위치한 5개 기업 및 연구소에 270 설문중 165개를 회수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먼저 조직문화와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문화 중 유연성 문화는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통제성 문화는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없다. 다음으로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 유연성 문화는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통제성 문화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없다. 조직문화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문화 중 유연성 문화는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통제성 문화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없고 유연성 문화가 통제성 문화보다 조직몰입에 더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은 조직문화 중 유연성 문화와 조직유효성 변수인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몰입 간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으나, 통제성 문화와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몰입 간에 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없음을 보여 주고 있다. For the study, the organizational culture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lexible culture and controlled culture. The objective of study was to find out how each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leadership influe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dentify any differences between each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leadership in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etc., and ascertain how the self-leadership influences the two variables respectively. For this study, a literate research was performed followed by a practical research based on this research. The practical research was performed by analyzing the 165 questionaries returned from a total of 270 questionaries distributed to 5 research institutes and companies located in Daejeon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ir interpretation are provided hereunder. The firs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leadership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study showed that flexible culture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leadership of organizational members, whereas the controlled culture does not have much influence on the self-leadership. The second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lf-leadership of organizational members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u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means that the enhancement of self-leadership contributes to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sequently, the organizational members should make efforts to maintain and enhance self-leadership through the behavioral strategy of self-observation, management of cue, self-set goals, self-reward, self-punishment and rehearsal. The third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The study showed that the flexible culture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whereas the controlled culture does not have much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Additionally, the flexible culture has mor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than the controlled culture. This means that between the two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 flexible culture induc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more than the controlled culture. The forth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showed that the flexible culture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re as the controlled culture does not have much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논문투고일: 2012년 8월 5일, 심사완료일: 2012년 8월 15일, 게시확정일자 : 2012년 8월 22일 The fifth is the role of self-leadership as a parameter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tudy showed that in the flexible culture, the self-leadership plays a role as a parameter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is does not hold true for controlled culture.

      • KCI등재후보

        유연한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가 인지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류장헌(Jang-Hun Ryu),신형덕(Hyung-Deok Shin)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1 연세경영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이 어떠한 관계를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조직원이 지각하는 조직문화를 유연성을 강조하는 조직문화와 통제를 강조하는 조직문화로 크게 분류하여 이러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의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Kirkman and Rosen, 1999; Sigler and Pearson, 2000)를 확장하기 위해 임파워먼트의 유형을 조직에 대한 본인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본인의 업무에 대한 의미에 대한 인식의 정도로 특정하여 그 매개역할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직급의 12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유연성을 강조하는 조직문화와 통제를 강조하는 조직문화는 모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유연성을 강조하는 조직문화가 좀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유연성을 강조하는 조직문화는 통제를 강조하는 조직문화에 비해 조직에 대한 본인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은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정(+) 의 부분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유연성을 강조하는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간의 긍정적 관계, 그리고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간의 긍정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경영현장에서의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powerment. Especially,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empowerment mediate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we confirm that organizational culture focusing on flexibility has more positive impact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at focusing on control has. However, the organizational cultures that are perceived to be focusing on flexibility and control, respectively, have somewhat mixed impacts on empowerment. Lastly, empowerment positively and partially mediates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dividual-leve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asures.

      • KCI등재

        한국ㆍ중국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

        류은영,류병곤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2

        최근 ‘주링허우’ 라고 불리는 중국세대와 더불어 중국경제 및 중국기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조직문화와 관련한 실증연구는 여전히 제약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 신뢰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함에 있어 한국과 중국에 소재한 생산, 유통, 금융, 공기업 등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표본을 수집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경우 경쟁문화는 조직시민행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직문화 유형 중 집단문화, 관료문화, 개발문화 순으로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국의 경우 관료문화는 조직시민행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직문화 유형중 경쟁문화, 집단문화, 개발문화 순으로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한국과 중국 모두 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중국의 경우 신뢰(상사신뢰, 동료신뢰)는 개발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 집단문화와 경쟁문화에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은 경쟁문화를 제외한 개발문화, 집단문화, 관료문화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과 중국의 국가별 조직문화에 대한 차이를 통해 문화·경제·산업을 이해하는데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China called ‘九零後 世代(Juring, the generation=Chinese tourists in Korea)’, the latest generation and China, on economic and corporate interest in China is running high. The present, China's corporate culture associated with empirical study is still limited. This study recognizes the limitation of previous literature regard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change and develops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tical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the change and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the change. The suggested hypothetical relationships were tested with primary data from a sample 450 employees of in Korea Enterprise and a sample 344 employees of China Enterprise. This study conducted mediator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conceptual model. We could find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have positi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its impact on the difference. Second, emotional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positive impact on the commitment to the change. Third, Positive trust mediated the relationship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the change in Korea and China. This finding has great implications for us to understand of culture, economic, business through cultural differences of Korea and China organization.

      • KCI우수등재

        행정조직과 기업조직의 조직문화 비교

        김호정 ( Ho Jung Kim ) 한국행정학회 2004 韓國行政學報 Vol.38 No.3

        본 연구는 구청, 경찰서, 제조업체, 첨단산업의 구성원 700명을 대상으로 행정조직과 기업조직의 조직문화를 비교하고 나아가 조직문화의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행정조직은 기업조직보다 위계문화가 높은 반면, 기업조직은 행정조직보다 발전문학, 집단문화, 합리문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이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행정조직보다 기업조직의 영향력이 강했으며, 세부적으로 행정조직에서는 집단문화와 합리문화가, 기업조직에서는 집단문화와 발전문화가 의미있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조직문화의 강도와 조직몰입이나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는 행정조직과 기업조직에서 모두 의미없는 것으로 나왔다.

      • KCI등재

        IT 제조기업의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수철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3 산업혁신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IT 제조기업의 조직문화가 직무만족과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조직구성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직문화가 무엇인지 찾아내고, 조직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지게 하는 계기가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IT 제조기업인 L사와 H사에 근무하는 직원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중 혁신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가 직무만족에 통계적인 정(+)의 유의성이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중 혁신문화와 합리문화는 조직신뢰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조직신뢰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신뢰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조직신뢰의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n IT manufacturing company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be an opportunity to find out what organizational culture is considered important by organizational members and to have a new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440 employees working at IT manufacturing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novation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showed statistical positive (+) significance in job satisfaction.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novation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ere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trust. Third, organizational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organizational trust was analyze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Lastly,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obel te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 KCI등재

        여성공무원의 조직문화 인식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제주지역 읍.면.동사무소를 중심으로-

        윤원수,오윤정,양덕순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3 탐라문화 Vol.0 No.4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perception of female public servants of Eup.Myeon.Dong of Jeju city as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rvey is carried out in December 2012 on female public officers in eup, myeon, dong community service centers, and 78 respondents’ data are used in final analysis. We used SPSS win 12.0 program and conducted Cronbach's alpha reliability verification, ANOVA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differ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female public servants indicate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perception differ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b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sensus culture according to the ratio of female public servants. Second, as to verification part,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influenced by rational culture and consensus culture, meanwhile, job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rational culture. Therefore, to enhance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female public servants, creating a work environment weakening hierarchical culture and strengthening rational culture and consensus culture i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work is needed.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읍ㆍ면ㆍ동 여성공무원의 조직문화 인식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조사는 2012년 12월에 읍ㆍ면ㆍ동 여성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78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ronbach's 신뢰도 검증, t-test, ANOVA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여성공무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조직문화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적 특성에 따른 조직문화 인식 차이는 근무조직 내 여성인력 비율에 따라 합의문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공무원의 조직문화 인식이 조직효과성(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조직몰입은 합리문화와 합의문화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합리문화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제주지역 읍․면․동여성공무원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이나 업무에 있어서 위계문화를 약화시키고, 합리문화와 합의문화를 강화시키는 근무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