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粘土帶土器文化의 韓半島 開始年代 再考

        진영민 한국청동기학회 2016 한국청동기학보 Vol.18 No.-

        한반도의 점토대토기문화가 遼寧地域의 주민 이주로 형성된 문화라는 점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연구자 들이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화 형성기의 개시연대에 대한 연구자들의 견해는 일치되지 않고 있 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현재의 편년안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편년과 개시연대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는데, 그 결과 학계에서 주류라고 판단되는 점토대토기문화 개시연대인 기원전 6세기 ~ 5세기설에는 여러모로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 시기 遼東地域에서는 雙耳 점토대토기 형식이 유행하였으며, 이 점토대토기는 한반도에서는 출토되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반면에 한 반도에서는 성립기부터 鈕耳 점토대토기가 출토되고 있으며, 이 형식의 토기는 요동지역에서 기원전 4세기 이후에 등장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주민 이주를 전제로 하는 입장이라면 개시연대가 기 원전 4세기 이전으로 상향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요동지역에서는 지역 구분에 따라 시간성과 관계없이 점토대토기의 형식과 공반 유물에서 차이가 관찰된다. 반면 한반도 남한지역 성립 기의 유물 조합상은 전 지역에서 거의 동일하게 출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포는 이주 집단의 원거주지가 요동지역에서도 한정된 지역이었음을 시사하는 근거라고 판단하고, 太子河 유역의 本溪縣 일대가 이주민 집단의 기원지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is derived from inhabitants migration from Liaoning province, in China but it is not coincided about the beginning of this cultural formation period. This study examined generally on chronology and commencement, considering the present chronology causing confusion and in result, needs to be reconsidered that the commencement of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culture, considered as the mainstream in academic community, is around B.C. 6-5C. On that period, it is noticed that in Liaodong area, double mouth rim pottery was famous and this type of pottery is not found in Korean peninsula, whereas, in Korean peninsula, from established, rounded clay-stripe pottery is found and it is confirmed that this kind of pottery appeared after B.C. 4C in Liaodong area. Therefore, under the premise of migration, commencement will hardly be before B.C. 4C. And more, in Liaodong area, from district division, without relation to time factors, there exist differences from the form and the association relic of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whereas, during establishment of south area in Korean peninsula, relic artifact are found similarities around the whole area. and from this distribution factor, it is estimated that original habitation of migration means a limited area in Liaodong area and Benxi Manchu around Taizi area is presumed as the original habitation of migration.

      • KCI등재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과제

        한수영 한국청동기학회 2021 한국청동기학보 Vol.29 No.-

        점토대토기는 호서지방에서는 원형, 만경강유역에서는 원형과 삼각형, 영산강유역에서는 삼각형점 토대토기가 중심을 이루면서 북에서 남으로의 변화상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원형점토대토기문화는 호서지방이 중심을 이루고, 이후 점차 호남지역에 유입된 것으로 보았으나 만경강유역과 서해안 일대에서도 이른 시기의 원형점토대토기 유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호남지역 유적을 통해 원형점토대토기의 유입과 발전,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출현부터 소멸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는 청동기시대 후기에서 초기철기시대를 거쳐 기원 후 1세기경까지 이어지며, 만경강유역이 상대적으로 빠르고, 이후 영산강유역, 동부섬진강유역권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와 함께 송국리문화의 소멸도 만경강유역에서 먼저 나타나며, 영산강유역이나 동부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늦게까지 확인되고 있다.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은 크게 4기로 구분된다. 원형점토대토기 단계의 주거지는 전주 대정Ⅳ유적의 말각장방형계(Ⅰ기), 삼각형 점토대토기 단계의 주거지는 전주 중동유적의 방형주거지가 있으며(Ⅲ기), 이를 제외하면 원형의 송국리형주거지에서 타원형수혈이나 내주공이 사라지면서 말각방형으로 바뀌고, 말각방형에서 점차 방형으로의 변화양상을 보인다. 동부섬진강유역은 송국리형주거지에서 타원형으로 바뀌는 지역적인 특징이 나타난다. 노지는 전주 대정Ⅳ유적에서 1~2기의 장축노가 조영되지만 이는 전기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전통으로 이해되며, 삼각형점토대토기 소멸기인 Ⅳ기부터 조성되기 시작한다. 분묘는 Ⅰ기에는 송국리식 무덤인 석관묘와 석개토광묘·토광묘에 점토대토기나 검파형동기·경형동기 등의 청동 유물이 부장되며, Ⅱ기에 본격적으로 적석목관묘와 토광목관묘가 조성되면서 세형동검·정문경 등의 풍부한 청동유물이 부장된다. Ⅲ기는 삼각형점토대토기와 철기로 대표되는데, 토광목관묘가 주묘제로 조영되고 청동유물의 부장이 감소하며 위세품이 철기로 대체된다. 또한 대외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시기이며, 전반적인 사회변화가 크게 이루어지는데, 이는 준왕의 남래와 그로 인한 마한사회의 변화와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후 Ⅳ기는 삼각형점토대토기의 소멸기로 무덤군은 조성되지만 다른 지역과 달리 수장급의 무덤이 뚜렷하지 않으며, 이러한 양상은 기원후 2세기까지 이어진다. 최근 꾸준히 1~2세기 자료도 증가하고 있지만, 기원후 대규모 유적의 부재는 제철유적과 연관된 중심세력의 이동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The clay-stripe pottery is relatively-clearly showing the changes from North to South, focusing on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in Hoseo region, the round and triangular in Mangyeong River basin, and the triangular in Yeongsan River basin. So far,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has been regarded as mainly shown in Hoseo region, which was gradually introduced to Honam region afterwards. However, the remains of round clay-stripe pottery of the early period are increasing even in Mangyeong River basin and the west coast area. Thus, the remains in Honam region show all the processes like inflow and development of round clay-stripe pottery, and appearance and extinction of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of Honam region is continued from the late period of Bronze Age to the early period of Iron Age, and 1st century A.D. The Mangyeong River basin is relatively earlier, which is expanding to Yeongsan River basin and the eastern part of Seomjin River basin. And the extinction of Songgukri culture is also shown in Mangyeong River basin for the first time while it is shown relatively later in Yeongsan River basin or eastern area. The development aspect of clay-stripe pottery culture in Honam region could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dwelling site in the stage of round clay-stripe pottery includes the round-rectangular shape in Daejeong Ⅳ remains of Jeonju(Ⅰ period), and the dwelling site in the stage of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includes the square dwelling site in Jungdong remains of Jeonju(Ⅲ period). Except for them, as the oval pit or inner-pillar hole disappears from the round Songgukri dwelling site, it is changed to round-rectangular shape that is gradually changed to square shape. The eastern part of Seomjin River basin shows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changing to oval shape in Songgukri dwelling site. Even though the major-axis furnace of period 1-2 is built in Daejeong Ⅳ remains of Jeonju, this is understood as the tradition of dwelling site in the early Bronze Age, which starts being built up from the period Ⅳ when th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extincts. Regarding the tombs in period Ⅰ, the bronze relics like bronze split bamboo-shaped artifacts/mirror-shaped bronze vessel or clay-stripe pottery are buried in Songgukri tombs like stone-coffin tomb and pit burial with stone cover/pit tomb. In period Ⅱ, th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and pit burial with wooden chamber fully start being built, so the abundant bronze relics like slender bronze dagger/bronze mirror are buried. The period Ⅲ is represented as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and ironware. The pit burial with wooden chamber is built as a major tomb style; the burial of bronze relics is decreased; and the elite grave goods are substituted for ironware. Also, as a period when the foreign exchange is actively performed, the overall society goes through huge changes, which is interpreted to be related to King Jun’s transfer to the south and consequent changes in Mahan society. After that, in period Ⅳ, the triangular clay-stripe pottery extincts. Even though the tombs are still built, contrary to other regions, there are no tombs of chiefs, which is continued till the 2nd century A.D. Even though the data of the 1st-2nd century is continuously increasing recently, the absence of massive remains of A.D. could be estimated as the migration of central power related to iron-making remains.

      • KCI등재

        遼寧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변천과 파급

        金玟憬 한국청동기학회 2014 한국청동기학보 Vol.15 No.-

        중국 동북지역에서 점토대토기문화는 남한지역 점토대토기문화와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주로 요동지역에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심양 정가와자 유적을 비롯한 요동지역에서는 전형적인 원형점토대토기 외에 다양한 파수가 부착된 점토대토기가 다수 확인된다. 그러므로 요령지역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형태의 이중구연토기 가운데 문화 성격과 공반유물 등을 고려하여 점토대토기의 범주에 포함시킬수 있는 것은 적극적으로 포함시켜 검토해야 한다. 점토대토기발과 평저장경호는 요동지역 뿐만 아니라 요서지역에도 분포하며, 기형상의 유사성도보이지만 공반유물에서 일정한 지역성도 확인된다. 점토대토기는 구연부 내측의 외반 상태와 구연부(점토대) 외측의 변형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세분되며, 남한지역의 원형점토대토기와 같은 형태를 지닌 것은 성립 이후의 확산 단계부터 뚜렷하게 확인된다. 요령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춘추 후기 이후 요서지역에서 성립되어 요동 서부지역에서 완성된다. 점토대토기문화는 전국시대 이후 요서와 요동 양 지역에서 지역성을 이루면서 발전하였는데, 전국 중기 이후 요동반도와 한반도에서도 관련 유적이 확인되며, 전국 후기 연의 요동 진출 이후에는 점토대토기문화의 중심지가 요길 접경지역과 요동 동부지역으로 변화된다. 요령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연·한문화를 순차적으로 수용하여 서한 전기 늦은 단계까지 지속된다. 요령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가 한반도로 파급되는 것은 요동 서부지역에서 주변 지역으로 파급되는 맥락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그 시기는 서북한지역과 서남한지역이 크게 다르지가 않다. 요동지역과 남한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에서 점토대토기발과 흑도장경호보다 두형토기가 늦게 등장하며, 두형토기와 한국식의 세형동과·동모가 연의 요동 진출에 따른 문화변동의 결과물로 등장하였음을 고려하면, 요령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가 남한지역으로 처음 파급되는 것은 전국 후기 이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중기 이후, 즉 기원전 4세기대일 가능성이 높다. The archaeological sites related to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culture are widely spread tothe Liaoning area. Preced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ir relativity to the pottery with claystripes culture of South Korea to concentrate on the Western area of Liaodong(or Liaozhong).The bowls with clay stripes and the black burnished jar with long neck are found in the Liaoxiarea as well as the Liaodong area and show certain regional differences in terms of form andcomplexed artifacts in addition to the similarities in form.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culture developed by forming locality in both Liaoxi and Liaodongareas after the Age of the Warring States. The archaeological sites similar to the pottery with claystripes culture was also found in Northwestern Han in addition to the Eastern area of Liaodong,from the mid-Age of the Warring States and the heart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culture shiftedto the borderland of Liaoning & Jilin and the Eastern area of Liaodong after Yan marched toLiaodong in the Late Age of the Warring States.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culture of Liaoningarea gradually absorbed the culture of Yan(燕) and Han(漢) and was popular until the earlyWestern Han. The time when pottery with clay stripes culture of the Western area of Liaodong spread to theKorean Peninsula is similar for Northwest Korea and Southwest Korea. In South Korea’s potterywith clay stripes culture, the Slender Bronze Daggers or the Mounted Dish Called Dou(豆)emerged after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and the black burnished jar with long neck. Also Dou,the Slender Bronze Halberds, and the Slender Bronze Spearheads emerged early the 3rdCenturyB.C., after Yan marched to Liaodong. Considering this, it is estimated that the pottery with claystripes culture of Liaoning area spread to the central 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early 4thCentury B.C.

      • KCI등재

        제주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정착과 변천과정

        김경주 한국청동기학회 2018 한국청동기학보 Vol.22 No.-

        제주지역은 기존 송국리문화의 바탕위에 기원전 4세기 이후 도래한 점토대토기문화가 빠르게 융합되면서 전개된다. 이처럼 문화접변 과정을 거쳐 서북부지역에 대규모 취락이 조성되기도 한다. 서남부지역 에서는 비전형적인 송국리형주거지가 축조되면서 지역화된 양식으로 전환된다. 하지만 변형된 주거지를 축조하고 점토대토기 집단의 금속기를 교환하고 있지만 일상토기인 점토대토기는 배척되고 있다. 점토대토기 집단의 정착과정을 보면 서북부지역에서는 주민간 활발한 동화과정을 통해 재지화되는 반면 서남부지역은 상위계층간 교류가 진행될 뿐 직접적인 융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서북부지역은 원형점토대토기 집단이 쉽게 동화되지만 서남부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 집단과의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 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삼각형점토대토기 집단은 동북부지역(종달리와 김녕리)에 거점을 확보하지만 활동영역이 축소되고 서남부지역과의 교류가 단절된다. 제주지역에서 점토대토기가 소멸하는 것은 대략 2세기경으로 추정되며 남해안지역과 궤를 같이한다. The Jeju region developed according to the fast fusion of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that was introduced in the fourth century B.C. based on the old Songgukri culture. This acculturation process led to a large settlement in its northwestern areas. Its southwestern areas witnessed the establishment of an atypical Songgukri-style dwelling, which marked a conversion into a localized style. That is, they built an altered dwelling and made exchanges with the group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for metal instruments, but the pottery with clay striped used in the group's daily life was excluded. As for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group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they went through the Jaeji process through their active assimilation with the local residents in the northwestern areas. There was no direct fus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outhwestern areas except for the exchanges between their upper classes. While the group of circular pottery with clay stripes was easily assimilated in the northwestern areas, there was no active exchange with the group of pottery with clay stripes in the southwestern areas. As a result, the group of triangular pottery with clay stripes secured a foothold in the northeastern areas, but they shrank in their active domain and had their exchanges with the southwestern areas severed.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became extinct in the Jeju region around the second century in the same way that happene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 KCI등재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유입과 그 변화

        김규정 호남고고학회 2020 湖南考古學報 Vol.65 No.-

        만경강유역은 한반도 점토대토기문화가 가장 융성했던 중심지로써 대규모 군집묘와 여러 유형의 분묘가 조사되었고, 다양한 청동유물과 이른 시기의 철기가 출토되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는 원형과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모두 확인된다.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대에서는 대규모 군집묘와 함께 祭儀와 관련된 수많은 溝들이 조사되었지만, 생활유적인 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점토대토기문화기 분묘가 가장 많이 조사된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원은 이른 시기의 점토대토기문화는 확인되지만, 만경강유역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송국리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는 송국리문화가 확산될 당시 혁신도시 일원에는 이미 점토대토기문화 집단이 선점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 유입 시기는 방사성탄소연대와 주거지 출토 유물로 볼 때 적어도 기원전 5세기 원형점토대토기가 처음 유입되어 송국리문화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일정기간 공존하다 점토대토기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기원전 3세기를 기점으로 원천·조촌천 일대에 대규모 (목관)토광묘가 축조되기 시작하면서 만경강유역의 중심문화가 송국리문화에서 점토대토기문화로 대체된다. 기원전 2세기에는 준왕의 남천을 계기로 철기가 유입되면서 송국리문화는 완전히 소멸하고 기원전 1세기를 전후하여 만경강유역에서 점토대토기문화는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그 중심이 서남해안지역과 영산강유역으로 옮겨간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비파형동검문화 성립 이후 요서지역의 토기문화 시론-점토대토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배현준 백산학회 2019 白山學報 Vol.0 No.113

        Double mouth rim with clay stripe pottery of Liaoxi tends to be considered the same as clay-stripe potte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Liaodong area due to its formative similarity. But double mouth rim with clay stripe pottery of Liaoxi basically has the making tradition of attaching clay to the outside after making the lip. That i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from Liaodong area and the Korean Peninsula attaching clay without completing the lip.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flow that gradually changes from the thin clay to the thick clay in Liaoxi, and a circular or square shape appears in the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the same things as the manufaturing method of the lip, they can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clay-stripe pottery and called the rounded clay-stripe pottery. Its appearance cannot go above the 5th century BC, clay-stripe pottery of the zhengjiawazi type in Liaodong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Liaoxi. However, the rounded clay-stripe pottery in the northeast of China did not affect one-way from Liaoxi to Liaodong or from Liaodong to Liaoxi. It seems to have occurred as a result of being selectively accepted the motif of making the lip rounded under the traditional craftsmanship of the pottery of Liaoxi in a variety ways of the exchange. 비파형동검문화 속의 토기는 다종다양하여 어느 특정 기종 또는 특정 기종 조합이 토기문화를 구성한다고 한정해서 말하기 어렵다. 비파형동검문화는 요서지역의 십이대영자문화, 요동지역의 정가와자유형으로 대표된다. 그리고 양자를 관통하는 토기는 이중구연점토대토기라고 할 수 있다. 요서지역의 이중구연점토대토기는 형태적 유사성 때문에 한반도나 요동지역에서 확인되는 점토대토기와 동일하게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요서지역의 이중구연점토대토기는 기본적으로 구연부를 완성한 후 외측에 점토대를 부착하는 제작전통을 가진다. 이는 구연부를 완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점토대를 부착하여 점토대 자체가 구연부를 형성하는 요동지역이나 한반도의 점토대토기와는 제작방식에 있어서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한편 요서지역은 구연부에 부착되는 점토대가 얇은 것에서 점차 두터워지는 흐름이 있으며 그 과정에서 구연부 단면 (타)원형 또는 방형의 형태가 등장한다. 그리고 이중에서 점토대토기의 구연부 제작방식과 동일한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은 점토대토기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대체로 원형점토대토기라고 부를 수 있다. 그 출현은 전국 전기인 기원전 5세기대보다 올라갈 수 없다. 동시기 요동지역의 정가와자유형에서 확인되는 점토대토기는 정가와자유형의 형성배경을 고려하면 요서지역의 영향을 받아 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중국 동북지역의 점토대토기는 요서에서 요동으로, 혹은 요동에서 요서로 단선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다. 상호 간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방식의 교류 속에서 요동지역의 토기제작 전통 하에 요서지역의 구연부를 두텁게 (타)원형으로 조성하는 모티브가 선별적으로 수용된 결과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점토대토기문화로 본 마한 형성기의 경기지역 - 문헌과 물질자료의 접점을 찾아서 -

        이형원 숭실사학회 2022 숭실사학 Vol.- No.49

        A study on Gojoseon must take precedence for investigating the Mahan formation period, which corresponds to the previous period. The late Bronze Age, a period of circular clay pottery between the 5th and 4th centuries BC, is closely related to the Bronze Age culture of Gojoseon. During this period, the South Korean region was part of the Gojoseon culture. The symbolism of the ruler's power was revealed through the funeral culture in which bronze weapons and objects for ritual ceremonies were buried in the Chungcheong and Jeolla regions. Meanwhile, the ruler's power was realized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round ditch, a ritual space in Gyeonggi Provin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evidence to directly link this period to Han or Mahan in the literature. The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y culture, which falls between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is the early Iron Age. And, the Iron Culture of the Yeon Dynasty related to the Gojoseon flourishes. The material culture of Mahan and Samhan between the 2nd and 1st centuries BC, which appears in the literature, dates back to the 3rd century BC. So,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formation period of Mahan. The Mangyeonggang River Basin in the Honam region could be considered the center of this period. However, the Iron Culture in the near Gyeonggi region likely settled in moving south from Liaoning region in China and North K orea. 한(韓) 또는 마한(馬韓) 형성기 경기지역(서울 및 인천 포함)의 문화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서는이보다 앞선 시기의 고조선 문화권(古朝鮮 文化圈)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기원전 5~4세기의 원형점토대토기 시기인 청동기시대 후기는 고조선의 청동기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 시기의 남한지역은 고조선 문화권에 속하며 충청 및 전라지역은 청동 무기(武器)류와 의기(儀器)류를 무덤에부장하는 장제 문화를 통해서 수장 권력의 상징성이 확인되며, 경기지역은 종교적 의례공간인 환구의 축조 및 운영을 통해 수장(首長)의 권력이 발현되었다. 권력과 종교적 제의를 행사하는 방식에서 지역성이 반영된 것이다. 이 시기를 문헌상의 한이나 마한과 직접 연결시킬만한 근거를 찾기는어렵다. 기원전 3세기가 되면 경기지역을 비롯한 남한지역에 철기가 등장한다. 철기가 유입되는 시기부터원삼국시대 이전까지를 초기철기시대로 보는 입장에서는 원형점토대토기의 늦은 단계부터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중심을 이루는 시기에 해당한다. 경기지역에서는 주조철기(鑄造鐵器)가 부장된 인천당하동유적을 비롯하여 인천 검암동, 평택 율북리, 평택 화양리유적 등에서 초기철기시대 분묘가확인되었다. 당하동의 경우는 원형점토대토기가, 검암동의 경우는 삼각형점토대토기가 공반되었으며, 오산 탑동과 김포 운양동유적에는 삼각형점토대토기 옹관묘가 존재한다. 생활유구는 수원 고색동, 서울 가락동, 천왕동, 화성 도이리, 이천 이치리 유적 등에서 주거지나 수혈, 구상유구 등이있다. 남한지역은 기원전 3~2세기에 고조선과 관련한 연계(燕系) 철기문화가 꽃을 피운다. 문헌에 등장하는 기원전 2~1세기의 마한과 삼한(三韓)의 물질문화는 기원전 3세기부터 시작되므로 이때를 마한 형성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중심지는 완주 신풍유적과 갈동유적 등이 위치한 전라지역의 만경강유역이며, 중국 요령 및 서북한지역 철기문화의 남하 루트에서 가장 가까운 경기지역에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의 철기문화가 정착했을 가능성이 높다. 경기 및 남한지역의 원형점토대토기와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분포를 비교하면, 전자가 남한 전역에 분포하는 반면에 후자인 삼각형점토대토기는 강원을 제외한 경기·충청·전라·경상지역에서 확인된다. 남한에서 마한과 진한변한으로 구성된 삼한의 영역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문헌사료(기원전 2~1세기)와 고고학 물질자료(기원전 3세기)의 접목을 통해서 볼 때 한 또는 마한의 형성기는 기원전 3~2세기대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 보다 앞선 기원전 5~4세기 단계를 어떻게 볼 것인지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원형점토대토기문화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문화로의 전환과정, 청동기문화에서 철기문화로의 전환과정, 고조선 중심지와 고조선문화권에 속하는 남한지역의 시기별 상호작용에 대한 진전된 연구를 통해서 이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특징 -생활유적을 중심으로-

        장지현 ( Jihyoun Jang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최근 호남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문화 단계의 주거지, 수혈유구, 구상유구 등 생활유적에 대한 조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유적과 출토유물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본고에서는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남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출토유물, 주거지의 구조적 특징,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값 등을 통해 크게 Ⅰ·Ⅱ·Ⅲ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먼저, Ⅰ기(기원전 5세기 전반~기원전 4세기 후반)는 A유형의 주거지에서 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데, 점토대토기문화와 재지의 송국리문화가 만나는 시기로서 유적은 호남의 전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된다. Ⅱ기(기원전 3세기 전반~기원전 2세기 중반)는 점토대토기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시기로서 A유형 의 주거지도 확인되나 B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게 된다. II기의 취락은 대부분 해발고도 34m 미만의 낮은 구릉 정상부나 사면 또는 말단부에 입지한다. 또한 대부분 2~5기 정도의 주거로 구성된 소규모 취락의 양상을 보이고, 전북 내륙지역, 특히 만경강유역을 중심으로 유적이 밀집·분포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를 비롯하여 조합 식우각형파수부호, 두형토기, 삼각형석촉 등이 확인되며,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 유적도 일부 등장하기 시작한다. Ⅲ기(기원전 2세기 후반~기원후 2세기 전반)에는 C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며, 광주를 비롯한 영산강 유역에 취락이 밀집·분포한다는 점에서 II기와 대조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가 극히 소량으로 확인되고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비중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조합식우각형파수 대신 우각형이나 봉상형파수로 대체되며, 경질무문토기가 다수 공반되고 두형토기의 출토율이 현저하게 줄어들면서 시루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of the Honam reg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 I, II, and III -- on the basi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wellings, stylistic observations of the excavated artifacts, and radiocarbon dating. In Phase I (early 5th to late 4th century BC), clay-stripe pottery with circular bands emerged. This was the period in which the indigenous Songguk-ri culture first encountered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Phase II (early 3rd to mid 2nd century BC) witnessed the rapid spread of the Clay-strip Pottery culture across the Honam region. Villages are mostly located on low hilltops and slopes lower than 34 meters above sea level, are small-scale with only 2-5 houses, and are densely distributed in inland Jeollabuk-do. Artifacts of this phase include assembled cow-horned jars, mounted dishes, triangular stone arrowheads as well as clay-stripe pottery with either circular or triangular bands. In Phase III (late 2nd century BC to early 2nd century AD), villages were densely distributed along the Yeongsan River around Gwangju. The ratio of clay-stripe pottery with triangular bands increased. The amount of hard Mumun pottery also increased and assembled cow-horned jars were replaced by simple cow-horned or rod-handled jars. Steamers also began to appear in Phase III.

      • KCI등재

        中部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時間性과 空間性

        李亨源 호서고고학회 2011 호서고고학 Vol.0 No.24

        This thesis examines the chronolog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originating from central South Korea regions. The paper criticizes former opinions, which claimed that pottery with clay strip and slender bronze dagger were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simultaneously. Instead, the paper proposes with supporting details that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preceded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Furthermore, the paper points out the necessity of in depth research into the correlation and interaction of the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with the foreign and pottery cultures of the same period.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Korea’s pottery culture developed from the songgukri assemblage representative of the patternless earthenware culture and continued to the circular-type pottery with clay strip form. The origin of Korean pottery culture is, according to the absolute chronology, estimated to date back to 500 B.C. Also,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origin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dates is approximately 400 B.C. while that of the primate iron culture is approximately 300 B.C. In view of the approximation that the pottery with clay strips was introduced during the songgukri assemblage level of the Bronze Age, it is difficult to classify pottery with clay strips into the early Iron Age. Rather, it is more logical to distinguish the Iron Age to be between 300 B.C. and 100 B.C., which was the start of the Proto-Three Kingdom Period. This paper highlights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the main route through which iron was imported into the country and specifically recognizes the Aprok River – Cheongchun River – Wonsan strait – East Coast route as the representative import portal. Even more, the paper compares and analyzes ho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with the pottery culture and foreign culture differs between the western-central region and the central region. In addition, the paper notes that the bronze production of the central region during the pottery with clay strip period was by no means lacking judging from the production of molding from. 이 논문은 중부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에 대해 비파형동검단계에서 세형동검단계, 그리고 초기철기유입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적 흐름과 공간분포상의 특징을 검토한 글이다. 점토대토기와 세형동검의 남한지역 등장을 동일시했던 기존의 견해를 비판하고, 세형동검 출현 이전에 점토대토기단계가 존재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점토대토기문화 출현기에 공존한 외래문화와 재지문화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앞으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남한 재지 무문토기문화인 청동기시대 송국리유형의 어느 시기부터 원형점토대토기가 존속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절대연대로는 기원전 500년경에 해당한다. 그리고 세형동검단계는 기원전 400년경부터이며, 초기철기단계는 기원전 300년경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와 같이 점토대토기의 상한 연대가 청동기시대 송국리유형 단계로 소급되는 현실에 비추어 보면, 점토대토기의 등장부터를 초기철기시대로 구분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오히려 철기가 유입되는 기원전 300년경부터 원삼국시대가 시작되는 기원전 100년 이전까지를 초기철기시대로 나누는 안이 더 타당하다고 보았다. 한편, 요령 점토대토기문화의 남한지역 유입 창구로서의 중부지역을 조망하면서 서해안 연안 항로를 인정하는 가운데 압록강-청천강-원산만-동해안 루트를 부각시켰으며, 재지문화와 외래문화인 점토대토기문화의 접촉 양상에 대해서 중서부지역과 중부지역을 비교 검토했다. 이와 함께 용범 출토상으로 볼 때 이 지역 점토대토기문화기의 청동기 생산이 결코 미약하지 않다는 점도 언급하였다.

      • KCI등재

        粘土帶土器, 그리고 靑銅器時代와 初期鐵器時代

        朴辰一 한국청동기학회 2007 한국청동기학보 Vol.1 No.-

        Roll-Rimmed Pottery culture in Korean Peninsula can be divided into 5 subphases according todifferences in assemblages constituted of several kind of roll-rimmed vessels, jar with handles,bronze implements, iron implement, and grooved adze. In the earliest subphase, roll-rimmedpottery first appeared in the Korean peninsula. Considering the political circumstances of north-eastern China in Spring-Autumn Period, and its similarity with Liangquan[凉泉] culture, the phasecan be dated to the 5th century B.C. The third one, during which the Korean-style bronze daggernewly appeared, can be dated to the 4th century B.C. The fourth one witnessed broad spread ofiron technology following Warring States style and triangular roll-rimmed pottery and can bedated to the 2nd century B.C. Finally, the fifth one that was characterized by 'emergence of wajil(soft gray) pottery and drastic increment of iron implements, was the 1st century B.C. The emergence of roll-rimmed pottery assemblage accompanied with iron culture means theend of Bronze Age, which is broken into 3 phases: the Early (Misari style), Middle (Garakdong,Yeoksamdong style) and Late (Songgukri style). The first and second subphases of roll-rimmedpottery culture, overlapped with some part of Late Bronze Age and the fifth one phase over-lapped with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us Early Iron Age coincides with the third andfourth phases of Roll-Rimmed Pottery culture and spanned about 300 years, from the fourth tosecond century B.C. 한반도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점토대토기와 파수부호, 청동기·철기, 유구석부 등의 유물조합에 의해 다섯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1단계는 한반도에 점토대토기가 처음 등장하는 시기로 중국 동북지방 凉泉文化와 춘추시대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여 기원전 5세기대로 볼 수 있다. 한국식동검이 등장하는 3단계는 기원전 4세기대로, 전국계철기와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등장하는 4단계는 기원전2세기대가 중심이다. 또 와질토기와 다량의 철기가 보이는 5단계는 기원전 1세기대가 중심이 된다. 한편 점토대토기와 함께 한반도에 전개되는 초기철기문화의 사회문화적 변동은 점토대토기문화가 기존 청동기문화의 연속이라기보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문화임을 역설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송국리유형까지만을 청동기시대로 보아 청동기시대는 조기(미사리유형)-전기(가락동,역삼동유형)-후기(송국리유형)로 나눌 수 있다. 한편 본고에서 설정한 점토대토기문화 중 1,2단계는 송국리유형과 같은 시기로 볼 수 있으며, 5단계는 원삼국문화와 중첩된다. 따라서 초기철기시대는 앞서 살펴본 5단계 중 3단계와 4단계만을 지칭할 수 있으며 철대연대로는 기원전 4~2세기의 약 300년의 기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