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규모 말뭉치와 전산 언어 사전을 이용한 의미역 결정 규칙의 구축

        강신재,박정혜,Kang, Sin-Jae,Park, Jung-Hy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0 No.2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construction method of determination rules of thematic roles from syntactic relations in Korean language processing. This process is one of the main core of semantic analysis and an important issue to be solved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t is problematic to describe rules for determining thematic roles by only using general linguistic knowledge and experience, since the final resul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views of researchers, and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rules to cover all cases. However, our method is objective and efficient by considering large corpora, which contain practical osages of Korean language, and case frames in the Sejong Electronic Lexicon of Korean, which is being developed by dozens of Korean linguistic researchers. To determine thematic roles more correctly, our system uses syntactic relations, semantic classes, morpheme information, position of double subject. Especially by using semantic classes, we can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rules. 본 논문은 한국어정보처리 과정에서 구문 관계를 의미역으로 사상시키기 위한 규칙을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의미역의 결정은 의미 분석의 핵심 작업 중 하나이며 자연어처리에서 해결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언어학 지식과 경험만 가지고 의미역 결정 규칙을 기술하는 것은 작업자의 주관에 따라 결과가 많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 모든 경우를 다룰 수 있는 규칙의 구축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대량의 원시 말뭉치를 분석하여 실제 언어의 다양한 사용례를 반영하며, 또 수십 명의 한국어 학자들이 심도 있게 구축하고 있는 세종전자사전의 격틀 정보도 함께 고려하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의미역을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구문관계, 의미부류, 형태소 정보, 이중주어의 위치정보 등의 자질 정보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의미부류의 사용으로 인해 규칙의 적용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 KCI등재

        온톨로지 구축 및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에의 활용

        강신재,Kang, Sin-Ja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1 No.4

        본 논문은 기존의 다양한 언어자원들을 이용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이를 단어의미 중의성 해소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온톨로지를 실용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도카와 시소러스의 개념 체계에 격 관계와 기타 의미관계와 같은 다른 의미관계를 추가하여 확장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구축된 온톨로지를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결합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사전을 먼저 이용하여 단어의 의미를 결정하고, 결정하지 못한 단어의 의미는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를 위해 온톨로지 내 개념들간의 상호정보가 말뭉치의 통계 정보에 근거하여 계산되는데, 이를 가중치로 간주하면 온톨로지는 가중치 그래프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개념간 경로를 통하여 개념간 연관도를 알아 볼 수 있다. 실제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본 방법은 온톨로지를 사용하지 않은 방법보다 9%의 성능 향상을 가져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an ontology construction method using various computational language resources, and an ontology-based word sense disambiguation method. In order to acquire a reasonably practical ontology the Kadokawa thesaurus is extended by inserting additional semantic relations into its hierarchy, which are classified as case relations and other semantic relations. To apply the ontology to disambiguate word senses, we apply the previously-secured dictionary information to select the correct senses of some ambiguous words with high precision, and then use the ontology to disambiguate the remaining ambiguous words. The mutual information between concepts in the ontology was calculated before using the ontology as knowledge for disambiguating word senses. If mutual information is regarded as a weight between ontology concepts, the ontology can be treated as a graph with weighted edges, and then we locate the weighted path from one concept to the other concept. In our practical machine translation system, our word sense disambiguation method achieved a 9% improvement over methods which do not use ontology for Korean translation.

      • KCI등재

        『同文類解』 만주어 한글 표기의 전산 입력 방안

        오민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proposal for processing the writing Manchu in Hangeul in 『Dong-Mun-Yu-Hae(同文類解)』 by computer. Unlike general writing in Hangeul, the diacritical mark which is an application of grapheme of Manchuapply can appear around the Hangeul. Reflecting this diacritical mark on the writing in Hangeul was difficult untill now. For convenience, the study that using the phoneme to divide the Hangeul for examining was in progress. However, there is the problem in this research. For solving it, the paper suggested a new Input solution which was made by diacritical mark with phoneme, and also described how apply the new Input solution to the study briefly 본고는 『동문유해』(1748)에 기입된 만주어 한글 표기를 전산 입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문유해』에는 일반적인 한글 표기와는 달리 만주문자의 자형을 응용한 구별 기호가 한글 표기의주변에 병기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지금까지는 이 구별 기호를 한글 표기에 반영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고 편의상 음소단위로 한글을 쪼개어서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처럼 음소단위로살펴보았던 기존의 논의가 편의상의 측면을 넘어 문제점이 있음을 관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별 기호와함께 음절 단위로 표기할 수 있는 새로운 입력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새로운 입력방안을 이용한 말뭉치를 연구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도 간략히 언급하였다.

      • KCI등재

        대중 매체 언어와 국어 연구

        구현정 ( Koo Hyun Ju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70 No.-

        대중 매체 언어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에 발달한 것으로 그 파급력은 의사소통 방식뿐만 아니라 언어 체계 자체에도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 연구에서는 대중 매체 언어의 유형을 인쇄 매체 언어, 방송 매체 언어, 디지털 매체 언어로 나누어 현대국어 연구의 자료로 전자화된 자료와 연구 내용을 살피고, 매체 생태학, 매체 언어학, 용법-기반 언어학으로 나누어 대중 매체언어를 연구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이와 같은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방향을 문체적 다양성 연구, 현대국어 구어 연구의 확대, 잠정적 문법의 발견이라는 관점으로 논의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형식적, 관념적, 문어적, 문장 중심적, 규범적, 사변적 언어 연구방법으로부터, 기능적, 용법 중심적, 구어적, 담화 중심적, 의사소통적, 문화 중심적 연구방법으로 전환함으로써,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언어의 본질에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Mass media language is a recent development that was made possible by the advances made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powerful impact of the mass media language is such that it brought forth change not only in the modes of communication but, more fundamentally, in the language itself as a linguistic system. Classifying the types of mass media language in three subtypes of media, i.e., printed, broadcast, and digital media. This paper overviews the digit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of mass media and digital communication, introduces newly emerging subdisciplines of linguistics as a consequence of change in communication modes and means, i.e, media ecology, media linguistics and usage-based linguistics, and their research methods for mass media language. The discussion assumes the perspectives involving stylistic diversity, expansion of colloquial language research, identification of emerging grammar. This paper calls for a shift from the traditional formal, abstract, literary-based, sentence-centered, prescriptive and speculative research methods, to more functional, usage-based, colloquial, discourse-centered, communication-based, and culture-centered research methods. It is argued herein that resulting analyses can enable us to understand more clearly the essence of language as a tool of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