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백의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최미경,이무용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4 문화 역사 지리 Vol.36 No.1

        여백의 장소성은 ‘여백’을 단순히 비어있는 공백이 아닌 ‘장소적 가치와 의미를 가지는 공간’으로 능동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시론적 개념이다. 이 연구는 여백의 장소성을 논의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여백’과 ‘장소성’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 사례 연구, 전문가인터뷰 등을 종합하여 여백의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을 여백의 장소성의 범주, 사례 분석틀, 실천 전략으로종합 정리한 3W 모델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백의 장소성 범주는 여백의 장소성을 개념, 구성, 유형, 생성, 체험, 특징으로 설명하는 통합적 접근방식이다. 둘째, 여백의 장소성 사례 분석틀은 여백, 인간 활동, 의미를 주요 항목으로 여백의 장소성 유형별 사례를 이해하는 틀이다. 셋째, 여백의 장소성 실천 전략은 여백의 장소 전략과 마케팅전략으로 현장에서 여백의 장소성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 프로세스이다. 이 연구는 여백의 장소성에 대한 이론적논의뿐만 아니라 유형별 대표 사례, 여백의 장소성 조성 사례, 장소마케팅 방안을 적용하여 이론의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여백의 장소성을 이해하고 정량화하거나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하였다. 여백의 장소성이론적 모델은 피로 사회 속 인간 상실과 산업 사회 장소 상실의 대안적 장소를 만드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도시재생 사업 등 사회문화적 활용과 비움의 라이프 스타일을 실천하는 개인의 실천적 삶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is a preliminary concept to actively interpret ‘the white space’ as ‘a space with value and meaning of the place’ rather than simply as an empty space. This study aims to build a theoretical model for discussing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3W model was derived that summarized the theoretical model on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into The category, The case analysis framework, and The practice strategy. First, As an integrated approach to explaining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Second, The case analysis framework of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was derived. Third, The practice strategy of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was presented. This study verified the practicality of the theory by applying not only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but also representative cases by type, cases of making placeness of white space, and place marketing measures. This provided a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quantifying, and evaluating the placenesss of white space. The thoretical model on the placeness of white space can be used to create an alternative place for the loss of humanity and placelessness in an industrial fatique society, and can contribute to socio-cultural use and the practical life of individuals.

      • KCI등재후보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동지역 박물관을 중심으로

        김혜영,김세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4 예술경영연구 Vol.0 No.30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sugges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and examine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First of all,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nd relative theories were considered. As the result, forms of establishing sense of place can be divided into two cases such as implement of placeness with memories and images of formative historic·cultural assets or changing, regeneration, of existing awareness on the space by giving new placeness intentionally.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museums in Jeong-dong with both of the two forms and research model was drawn by predictors of outcome such as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place attachment,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which verifi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s of Jeong-dong were divided into physical, active·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detailed hypothesis which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and place attachment, physical factors such as location,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ttractiveness of appearance and comfort of internal environment made the most effects on placeness forming. Second, the placeness of museums in Jeong-dong was divided into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so as to explain with place attachment. As the result, place attachment of museums in Jeong-dong can be explained with only factors related to place identity. Place identity is the attachment caused by emotional and symbolic reasons rather than functions of the place. It indicates, visitors of museums in Jeong-dong feel that the place they visit is deeply related to themselves and very special, furthermore, visiting of the place explains and feels who they are. Third,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recognized by visitors visiting museums in Jeong-dong made an effect on the value perception whose medium was place attachment. The effects tha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made on the value perception directly without mediating effect of place attachment didn’t show significant value. Finally, i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perception of museum visitor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s which are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of this research model, visiting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s and revisiting opinion were increased as the value perception of visitors was higher. Particularly, revisiting intention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value perceptionthe mostly, so the necessity to form place attachment of museums wasconfirmed once again.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mplied are as follows. First, process and degree of contributing to place attachment must beconsidered rather than establishment of detailed factors so as to connec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to positive results such as revisiting, satisfactionand recommendation. Second, place attachment is made when they can interpret and experience byadding active·behavioral factors such as history, time, etc. to physical factors. In this sense, historic·cultural assets are very useful to form placeness ofmuseums. There are a few studies on placement in the field of domestic museums. So,research model drawn b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reliability and validityof relatively following researches. In the future, in-depth and objective studiesmust be conducted for museums which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andqualitative studies which consider various variables are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과 관람객을 도시발전의 수단, 혹은 서비스의 차원에서 측정하고 평가하는 기존의 정책과 마케팅 계획과 다르게 박물관이라는 장소와 관람객 사이에서 정서적으로 가치를 지각하고 장소성을 이끌어내는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근거에서는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제시하고 이 요인들이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가치지각과 관람행위의 결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검증하였다. 우선 국내외 사례와 관련 이론을 고찰한 결과, 장소성 구축의 형태는 유형의 역사·문화 자산이 가지고 있는 기억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장소성을 구현하거나, 의도적으로 장소성을 새롭게 부여하여 그 공간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전환, 즉 재생하는 두가지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형태가 동시에 발현되고 있는 정동지역의 박물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애착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세부 가설에서 정동지역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물리적, 활동·행태적, 심리적 요소로 구분하였을 때장소성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위치와 대중교통의 편리성, 외관의 매력성, 내부 환경의 편안함과 같은 물리적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성을 장소애착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장소정체성과 장소의존성 요소로 구분한 결과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애착은 그 장소의 기능보다는 감정적, 상징적인이유로 애착을 갖게 되는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요소만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확인하였다. 셋째, 정동지역 박물관에 방문한 관람객이 인지한 장소성 형성요인은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의 매개효과 없이 직접적으로 지각된 가치에 주는 영향은 유의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박물관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와 본 연구모형의 최종종속변인인 관람행위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는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방문만족도, 추천의도, 재방문의사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박물관은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필요 이상의 의미가 존재하는 장소이므로 그 가치를 평가할 때 장소성 관점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장소성 형성구조가 후속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에 기여하기 바란다.

      • SCOPUSKCI등재

        생성 모델을 이용한 전력 수요량 예측

        김희상(Heesang Kim),임현승(Hyeonseung Im),문양세(Yang-Sae Moon) 대한전기학회 2022 전기학회논문지 Vol.71 No.1

        Recently,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has been deployed for power demand distribution and energy saving, and correspondingly traditional watt-hour meters installed in apartments and industrial sites are also being replaced with AMIs. Accordingly, power demand prediction using AMIs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save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In this paper, we develop various deep learning-based electricity consumption prediction models using simple neural network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recurrent neural networks, and encoder-decoder-based generative models. To build prediction models, we use average power demand data collected from various home smart mete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generative model outperforms other deep learning-based models in terms of mean squared error, and we roughly explain why the generative model is better than other models by examining the activation layer output distributions.

      • KCI등재

        민화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

        정진희(Jeong, Jin-he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민화의 올바른 평가를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점 중 하나가 민화에 나타난 장소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보고 민화에 새롭게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이-푸 투안(Yi-Fu Tuan)의 이론을 도입해 민화에 나타난 내용적 측면의 장소성과 구조적 측면의 장소성을 모색하였다. 장소성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이는 민화를 선별하여 살펴본 결과, 민화는 대립을 통해 고결한 장소성을 구현하기도 하고 서로 의미가 다른 장소성을 구분하기도 하였다. 이어 특정 지역을 상상으로 그렸음에도 공통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집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호와 안전, 편안함을 가진 장소성을 확인했다. 민화는 그 자체가 생활공간이며, 조선 시대 사람에게 고유하고 무색투명한 열려진 세계로서 평온함과 자유스러움을 제공하기 때문에 민화가 집안의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어떤 장소성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민화는 사람들이 지정해 놓은 장소에 녹아들어 계절의 변화를 느낄수 있는 장소성을 형성하기도 했으며, 집 전체를 신들이 사는 장소로 바꿔놓기도 했다. 나아가 공간의 안과 밖을 구분지어 집의 안녕이 깃든 장소성을 형성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민화에서는 내용적인 측면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장소성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화의 범위가 매우 넓기에 이를 보편화 시킬 수는 없으나, 기존의 연구방법에서 벗어나 민화에 새롭게 접근한 방식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laceness shown in folk painting. To this end, this study introduced Yi-Fu-Tuan theory and explored the placeness shown in folk painting from both content and structural aspects. The folk paintings in which placeness was thought to stand out were sele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olk paintings could implement lofty placeness through contrast and classified different types of placeness that had different meanings. Following this, the houses in a particular region that were expressed in common into pictures through imagin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placeness that was characterized by protection, safety, and comfortableness could be found. Folk painting is the living space itself. So this study looked at what type of placeness the folk painting has depending on its location within the house. Folk painting formed placeness to feel the change of seasons in places designated by people. It also changed the whole house into the place where gods lived. Furthermore, it also formed placeness in which the peace of house was indwelling by dividing the house from the outside. It could be found from this study that placeness appeared clearly in folk painting from both content and structural aspects. As the scope of folk painting is very wide,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But if there is a new approach to folk painting, it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beyond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 KCI등재

        중국 북경과 상해의 공공공간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우커스 ( Wu Kesi ),이경화 ( Lee Kyunghwa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높아진 인구밀도, 도시의 공공공간 용지 부족, 공공공간의 역할 및 장소적 가치의 혼재, 공공공간 개발에 있어 장소성의 의미 부여 필요“ 와 같은 중국 도시 공공공간에서 대두되는 여러 가지 문제 및 현황을 파악하여 공공공간 개발에 앞서, 근본적인 장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장소성의 역할적 가치를 발견하고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공공공간의 장소성 구축에 필요한 요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북경(北京)과 상해(上海)의 공공공간을 대표적인 장소로 설정하여, 공공공간에 나타난 장소성의 역할적 가치와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고, 나아가 장소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공공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공공간의 개념을 이해하고 공공공간의 유형 범주를 도출하였고, 장소 및 장소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장소성의 개념을 파악하고 장소성의 역할적 가치와 공간적 특성을 도출한다. 도출된 내용을 기반으로 분석의 틀을 설정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한다. 사례대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공간 디자인에 필요한 장소성의 역할적 가치와 공간적 특성 및 장소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공공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사례 분석을 토대로 중국 북경과 상해의 공공공간은 광장, 공업유산단지, 대형공공시설과 상업시설이 주요 유형으로 분석되었으며, 대상 공간에 나타난 장소성의 역할적 가치와 장소성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북경과 상해의 공공공간에서 나타난 장소성의 역할적 가치는 평균적으로 역사적 가치>창의적 가치>창의적 가치, 상징적 가치>기능적 가치>환경적 가치>매개적 가치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중국 북경과 상해의 공공공간에서 나타난 장소성의 공간적 특성은 평균적으로 지역성>식별성, 문화성>전체성, 기후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첫째, 공공공간에서 장소성의 역할적 가치는 역사적, 매개적, 창의적, 기능적, 상징적, 환경적 가치를 기반으로 형성된다. 둘째, 공공공간에서 장소성은 지역성, 식별성, 전체성, 기후성, 문화성이라는 공간적 특성을 가진다. 공공공간의 물적 공간의 형태는 과거 공간의 상징으로써 새로운 생활방식의 콘텐츠와의 재결합을 통해 차별화된 지역의 활성화를 모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식별성을 통해 개성과 질서, 그리고 누구나 쉽게 인상적인 장소로 기억될 수 있도록 도시 사회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시각적, 사회적 기호로서의 특성을 내재해야 한다. 또한, 기존 공간을 새로운 생활 방식에 맞게 문화적 개념과 예술을 기반으로 창의적으로 개조하면서 공간의 활용성을 확장할 수 있는 공공공간의 장소성을 디자인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공간은 종합적이고 다기능적인 환경으로 전체성의 관점에서 장소의 가치를 형성해야 하며, 계절별 기후를 기반으로 공간의 형태와 기능과 같은 장소의 성격을 규정하여 공공공간의 장소성을 구축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By considering the problems and actualities present in China’s urban public space―i.e.,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density, the lack of land for public spaces, confusion between the role of public spaces and place value, and need to give connotation to place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space,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lace before public space’s utilization―this paper attempted to determine the value and function of plac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study and construct the factors in the place of public space. The aim was to take public spaces in Beijing and Shanghai as representative sites for research, derive the public space’s place value and characteristics, and propose a stainable direction for public space design. (Method) This study proceed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ublic space through theory and derive its types. By analyzing prior studies related to place and site character, the concept of public space was identified, and the valu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were derived. An analyt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derived content, and case study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case study results, and taking the valu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s as a basis, we proposed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public space design based on place.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ublic spaces in Beijing and Shanghai are mainly analyzed in terms of plazas, industrial heritage areas, large public facil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as the main types. In additi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lace-based values and site-based roles in the target spaces were summarized. First, the mean of site character that appears in public spaces in Beijing and Shanghai are historical value > creative value> symbolic value > functional value > environmental value > media value. Second, the average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lace are evaluated as regional, identity, cultural > overall, and environment. (Conclusion) Overall, the value of place in public spaces is based on history, media, creativity, function, symbolism, and environment. Furtherm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regional, recognizable, holistic, climatic, and cultural. The form of the physical space is the past space, which activates the vitality of regions by reuniting them with new lifestyles. Through recognition, personality, and order, as well as city image and symbols, it must have an intrinsic character so that it can be remembered. The existing space should be creatively transformed through cultural concepts and artistic techniques, expanding the utilization of space and attaining place. Finally, public spaces should use a holistic perspective with an integrated and multifunctional environment to shape the space value. According to different seasonal climates, they stipulate the nature, form, and function, and construct the site specificity.

      • KCI등재

        장소성 개념을 통한 인천 구도심 도시재생 전략 연구: 현상학적 장소론을 중심으로

        왕치현,김아영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2

        As the paradigm of urban development shifts from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to urban regeneration, research on place identity is increasing. This is because of the expectation that place identity can play a positive role in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as it is known to be a concept that can give local people a sense of belonging and enhance the identity of the region. However, the study of place identity reveals many limitations in emphasizing economic utility, such as the inflow of tourists and the accumulation of capital, rather than studying place identity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people. The same is true of the old city center in Incheon,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underwa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place identity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cholars who initially established the concept of place identity in order to discuss the limitations of place identity research in the field of urban regeneration in Korea, and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 on place identity in Korea, and 3) to demonstrate the need to revise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old city center of Inche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affect the location assets of the old downtown of Incheon and these location assets extensively were studied as others-oriented, and the number of residents who would create a authentic place was decreased. There is a concern that this will destroy the place identity rather than regenerate it.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to restore settlement, revitalize the city through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mprove their affect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Incheon Regeneration Project needs to be changed in order to form a “authentic place identity”. 도시개발의 패러다임이 재개발·재건축에서 도시재생으로 변화함에 따라 장소성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장소성이 지역민에게 소속감을 부여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념으로 알려지면서 도시재생 전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 도시재생 분야 장소성 연구는 지역민과의 연관 속에서 장소성을 연구하기 보다는 관광객 유입, 자본의 축적 등 경제 효용성을 강조하기에 여러 한계점이 드러난다. 도시재생사업이 진행 중인 인천 구도심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도시재생 분야 장소성 연구의 한계를 논하기 위해 1) 장소성의 개념을 초기에 정립한 학자들의 이론적 토대인 현상학적 관점에서 장소성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2) 국내 장소성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며, 3) 이를 인천 구도심에 대입하여, 인천 구도심 도시재생 방향에 수정이 필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인천 구도심의 장소자산과 이러한 장소자산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는 도시재생사업이 타자지향적인 것으로 연구되었다. 이는 장소성을 재생하기 보다는 오히려 비진정한 장소성을 만들어, 장소성을 파괴한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도시재생사업의 목적이 정주성 회복,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 활성화, 애향심 향상 등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연구는 인천개항창조도시재생사업이 ‘진정한 장소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방향 수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홍상수 영화의 장소성 연구: 장소성 상실 징후와 데페이즈망으로 장소감 생성

        문관규 한국영화학회 2022 영화연구 Vol.- No.91

        홍상수 영화의 인물은 북촌과 서촌을 배경으로 배회하고 사건을 겪는다. 두 장소는 서울의 개발로 고유한 장소의 정체성이 훼손된 장소성 상실의 공간이며 등장인물들은 디아스포라의 장소성을 재현한다. 인물들은 북촌과 서촌의 소비 공간을 배회하는 정신적 디아스포라이다. 이들은 정주할 장소를 찾거나 구성원으로편입하려는 의지가 희박하다. 그들은 공동체와 결속력 약화를 욕망의 대상에 대한 남근적 주이상스의 추구로 보완하고 장소성 상실의 징후로 가시화한다. 북촌과 서촌이 개발로 인한 장소성을 상실했다면 욕망의 디아스포라들은 소속감의부재로 인해 뿌리뽑힘의 징후와 장소성 상실을 체화한다. <북촌 방향>과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은 만남과 헤어짐의 행위를 반복하여인물의 뿌리뽑힘의 징후와 장소성 상실을 재현한다. 인물의 귀속할 장소의 부재는 욕망의 대상에 대한 환상을 팽창시켜 대상에 대한 소유의 사랑을 지향한다. 소유의 사랑은 <북촌 방향>에서 성준의 동침에 대한 욕망으로 반복되며 이는 남근적 주이상스의 추구로 집약된다. 인물의 관계는 관계의 지속가능성을 부정하고만남과 이별을 반복한다. 이는 뿌리없음과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편입 실패에 기인하며 바로 현대의 장소성 상실과 정신적 등가이다. 홍상수의 영화 주인공은 장소성 상실의 징후로 카페로 대표되는 소비 공간을 배회하며 욕망 역시 소모적으로 탐닉하여 장소성 상실의 결핍에 대한 충족의 일환이다. 이는 현대사회의 장소성 상실과 소외라는 징후와 마주하게 한다. 또한 인물들은 남한산성과 신사임당이라는 역사를 소환하여 현재 인물과 데페이즈망으로 배치한다. 인물과 역사의데페이즈망은 남한산성에서 남녀의 불균질적 관계가 병자호란 당시 군신의 관계를 체결하는 역사적 상황을 견인하며 사직공원의 신사임당상은 이데올로기적 판옵티콘으로 인물을 현모양처로 훈육하려 한다. 하지만 해원의 행위는 판옵티콘기능을 무력화한다. 역사적 장소와 인물은 영화에 소환되어 예술의 매개로 새로운 장소감의 생성과 해석의 층위를 두텁게 한다.

      • KCI등재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에 대한 평가지표 항목구축에 관한 연구

        왕휘휘,홍관선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Recently, the vitality of local communities is being decreased due to numerous vacant houses generated by factors such as the hollowization of cities, exacerb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loss of placeness of houses. Hence, this research,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ies, aimed to establish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vacant houses and detailed items of the criteria to arrange references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placeness evaluation of vacant house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research contemplated upon relevant concepts and characteristic,regeneration value of placeness and communi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vitalization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current status of local communities and placeness. First, the researchers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through 6 dimensions (morphological dimension, perceptional dimension, societal dimension, visual dimension, functional dimension and temporal dimension)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rom <City Design> by Matthew Carmona. Subsequently, the study organized the detailed items for the placeness evaluation criteria for vacant houses within local communities by analyzing precedent researches. Lastly, for the detailed items above, research was done by 15 experts through the Delphi method for 3 times, and after the items were derived, for scientific validati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his research, while excluding the subjectivity and the emotional parts of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Delphi method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expert group, a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laceness of the local communities, 9 criteria: connectivity, identity, safety, aesthetic impression, diversity, accessibility, openness, convenience, publicness have been derived, and 33 detailed items have been derived. It is only possible to revitalize the communities, restore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and provide clear statistical data on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if the state’s items are referred as standards. 최근 도시의 공동화, 생활환경의 악화, 집의 장소성 상실 등의 이유로 도시에 빈집이 급증하면서 지역커뮤니티의 활력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와 세부항목을 구축하고, 빈집의 장소성 평가를 위한 참고기준과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빈집, 장소성과 커뮤니티의 개념 및 특성,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현황, 재생 가치와 장소성 간 상관관계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선 Matthew Carmona가 제기한 <도시설계>의 6가지(형태적, 지각적, 사회적, 시각적, 기능적, 시간적) 차원을 분석하여 계층분석법(AHP)을통해 장소성의 특성을 도출하고 지역 커뮤니티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지역 커뮤니티의 특성을 정리한 후,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에 대한 세부항목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세부항목에대해 총 3회에 걸쳐 델파이 기법을 통해 15명의 전문가 조사를 진행하여 세부항목을 도출한 후 과학적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빈집 장소성의 주관성과 감정적인 부분을 배제한 채 델파이 기법을 통해 전문가 그룹과 상호 작용하면서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로 각각 연계성· 정체성· 안전성· 심미성· 다양성· 접근성· 개방성· 편리성· 공공성의 9가지와 33가지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상술한 항목들을 참고기준으로 해야만 빈집의 장소성을 복구하여 지역 커뮤니티의 활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지역 커뮤니티 빈집 장소성의 명확한 통계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장소성 인식 특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하나(Im, Ha Na),강도원(Kang, Do Won),최창규(Choi, Chang Gyu)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강도원?최창규(2012)가 개발한 장소성 인식 인과구조 모형의 보편성을 검증하고, 대학로를 대상으로 장소성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지 이용자 특성별로 장소성이 방문자들의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구조를 분석하고, 강도원?최창규(2012)의 홍대지역에 대한 연구 결과와 비교?분석을 통해 장소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인과구조 모형 및 연구가설의 보편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소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모형의 보편성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대학로와 홍대지역의 모든 집단에서 장소성이 장소애착(H1)과 장소애착이 행동 의도(H3)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장소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 차이에 따라서 경로구조 모형의 변형이 확인되었다. 대학로의 단순 소비 집단은 다른 집단들과는 다르게 대학로를 공연문화 장소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른 경로구조 모형의 변형이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마다 장소성 소비자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홍대지역의 단순 소비 집단은 ‘장소성’을 강하게 소비하고 있으나, 대학로의 단순 소비 집단은 지역 내 다른 두 집단과는 달리 대학로의 문화예술 장소성을 인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causality model of placeness cogni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y Kang & Choi (2012). On Daehakro street in Seoul known for performances, theaters, and troupes in its cultural district, this article analysed the causality models of three different groups visiting the street,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ones of Hongik University areas by Kang & Choi(2012). By building and analyzing the path model of placeness and behaviors on the cultural street, this study could show three results as followings. First, it supports the validity of theoretical model 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on of placeness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 by Kang & Choi(2012) to some extent. Second, the differences on cognition of placeness by diverse user groups could alte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imple consumer group in Daehakro street does not recognize the cultural aspects of the street, although the other groups are aware of the placeness. Third, placeness consumers in Daehakro street are different from the ones in Hongik University areas. The simple consumer group in the latter place perceives and enjoys placeness, but the similar group in the former district does not.

      • KCI등재

        장소성을 활용한 브랜드경험이 브랜드와 소비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2

        동시대의 경험경제 시대에 소비자들에게 기억에 남는 브 랜드경험을 제공하고자 장소성을 매개로한 커뮤니케이션 전 략들이 증가하는 현상을 바탕으로 장소성을 활용한 브랜드경 험이 브랜드와 소비자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장소성의 매 개역할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연구 후 선정기 준에 따라 장소성을 매개로 하는 브랜드경험의 4가지 사례를 선정하여 설문문항과 함께 실험자극물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신뢰도분석, 기 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 립변수인 브랜드경험과 종속변수인 만족도와 충성도의 영향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브랜드경험이 만족도 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행동, 감각, 감성, 인지경험 순 으로 이는 소비자가 브랜드를 통해 경험하는 과정 속에서 행 동경험이 강화되어 브랜드와 상호작용을 일으켜 궁극적으로 는 라이프스타일 일부를 창조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브 랜드경험과 만족도 사이에 장소성의 매개효과 검정결과, 감 각/인지/행동경험에서 장소성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인 지, 행동경험이 큰 매개역할을 하며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특정 장소의 사회 문화적 맥락인 장소성을 브랜드와 함께 제 시하면서 소비자들에게 창조적으로 몰두하고 지적인 자극을 제공함으로서 만족도에 호의적인 태도를 구축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장소성은 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며, 특 정 장소에 대한 개인적인 또는 공유된 공통점이므로 이러한 장소성이 매개되면 브랜드경험이 촉발되어 만족도와 충성도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기업 들이 장소성의 매개역할을 활용하여 브랜딩을 한다면 기억에 남는 브랜드경험을 제시하리라 예상된다. Based on the increasing number of communication strat egies using placeness to provide memorable brand experi ences to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 der the impact of brand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 ween brands and consumers and the role of placeness as mediation. Four cases of brand experience with placeanes s were selected and experimental stimuli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questionnaire. Online surveys were condu cted an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 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between brand experience, and satisfactio n and loyal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fluence of brand experience on satisfaction and loyalty is in the order of behavior, sensory, affective, and intellectual expe rience, which can be seen as strengthening the behavior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consumers experiencing the brand, ultimately creating part of their lifestyle. Since pla ceness is based on human experience, it has been confir med that the mediation of such placeness triggers the bra nd experience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 n and loyal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ompanie s will present memorable brand experiences to consu mers if they brand using the role of a medium of place 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