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백의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최미경,이무용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4 문화 역사 지리 Vol.36 No.1

        여백의 장소성은 ‘여백’을 단순히 비어있는 공백이 아닌 ‘장소적 가치와 의미를 가지는 공간’으로 능동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시론적 개념이다. 이 연구는 여백의 장소성을 논의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여백’과 ‘장소성’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 사례 연구, 전문가인터뷰 등을 종합하여 여백의 장소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을 여백의 장소성의 범주, 사례 분석틀, 실천 전략으로종합 정리한 3W 모델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백의 장소성 범주는 여백의 장소성을 개념, 구성, 유형, 생성, 체험, 특징으로 설명하는 통합적 접근방식이다. 둘째, 여백의 장소성 사례 분석틀은 여백, 인간 활동, 의미를 주요 항목으로 여백의 장소성 유형별 사례를 이해하는 틀이다. 셋째, 여백의 장소성 실천 전략은 여백의 장소 전략과 마케팅전략으로 현장에서 여백의 장소성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 프로세스이다. 이 연구는 여백의 장소성에 대한 이론적논의뿐만 아니라 유형별 대표 사례, 여백의 장소성 조성 사례, 장소마케팅 방안을 적용하여 이론의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여백의 장소성을 이해하고 정량화하거나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하였다. 여백의 장소성이론적 모델은 피로 사회 속 인간 상실과 산업 사회 장소 상실의 대안적 장소를 만드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도시재생 사업 등 사회문화적 활용과 비움의 라이프 스타일을 실천하는 개인의 실천적 삶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SCOPUSKCI등재

        생성 모델을 이용한 전력 수요량 예측

        김희상(Heesang Kim),임현승(Hyeonseung Im),문양세(Yang-Sae Moon) 대한전기학회 2022 전기학회논문지 Vol.71 No.1

        Recently,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has been deployed for power demand distribution and energy saving, and correspondingly traditional watt-hour meters installed in apartments and industrial sites are also being replaced with AMIs. Accordingly, power demand prediction using AMIs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save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In this paper, we develop various deep learning-based electricity consumption prediction models using simple neural network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recurrent neural networks, and encoder-decoder-based generative models. To build prediction models, we use average power demand data collected from various home smart mete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generative model outperforms other deep learning-based models in terms of mean squared error, and we roughly explain why the generative model is better than other models by examining the activation layer output distributions.

      • KCI등재후보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동지역 박물관을 중심으로

        김혜영,김세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4 예술경영연구 Vol.0 No.30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sugges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and examine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First of all,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nd relative theories were considered. As the result, forms of establishing sense of place can be divided into two cases such as implement of placeness with memories and images of formative historic·cultural assets or changing, regeneration, of existing awareness on the space by giving new placeness intentionally.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museums in Jeong-dong with both of the two forms and research model was drawn by predictors of outcome such as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place attachment, the value perception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which verifi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in museums of Jeong-dong were divided into physical, active·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detailed hypothesis which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and place attachment, physical factors such as location,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ttractiveness of appearance and comfort of internal environment made the most effects on placeness forming. Second, the placeness of museums in Jeong-dong was divided into place identity and place dependence so as to explain with place attachment. As the result, place attachment of museums in Jeong-dong can be explained with only factors related to place identity. Place identity is the attachment caused by emotional and symbolic reasons rather than functions of the place. It indicates, visitors of museums in Jeong-dong feel that the place they visit is deeply related to themselves and very special, furthermore, visiting of the place explains and feels who they are. Third,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recognized by visitors visiting museums in Jeong-dong made an effect on the value perception whose medium was place attachment. The effects tha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made on the value perception directly without mediating effect of place attachment didn’t show significant value. Finally, i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perception of museum visitor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s which are the final dependent variable of this research model, visiting satisfaction, recommendation intentions and revisiting opinion were increased as the value perception of visitors was higher. Particularly, revisiting intention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value perceptionthe mostly, so the necessity to form place attachment of museums wasconfirmed once again.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mplied are as follows. First, process and degree of contributing to place attachment must beconsidered rather than establishment of detailed factors so as to connect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to positive results such as revisiting, satisfactionand recommendation. Second, place attachment is made when they can interpret and experience byadding active·behavioral factors such as history, time, etc. to physical factors. In this sense, historic·cultural assets are very useful to form placeness ofmuseums. There are a few studies on placement in the field of domestic museums. So,research model drawn by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reliability and validityof relatively following researches. In the future, in-depth and objective studiesmust be conducted for museums which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andqualitative studies which consider various variables are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과 관람객을 도시발전의 수단, 혹은 서비스의 차원에서 측정하고 평가하는 기존의 정책과 마케팅 계획과 다르게 박물관이라는 장소와 관람객 사이에서 정서적으로 가치를 지각하고 장소성을 이끌어내는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근거에서는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제시하고 이 요인들이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가치지각과 관람행위의 결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검증하였다. 우선 국내외 사례와 관련 이론을 고찰한 결과, 장소성 구축의 형태는 유형의 역사·문화 자산이 가지고 있는 기억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장소성을 구현하거나, 의도적으로 장소성을 새롭게 부여하여 그 공간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전환, 즉 재생하는 두가지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형태가 동시에 발현되고 있는 정동지역의 박물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애착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세부 가설에서 정동지역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을 물리적, 활동·행태적, 심리적 요소로 구분하였을 때장소성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위치와 대중교통의 편리성, 외관의 매력성, 내부 환경의 편안함과 같은 물리적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성을 장소애착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장소정체성과 장소의존성 요소로 구분한 결과 정동지역 박물관의 장소애착은 그 장소의 기능보다는 감정적, 상징적인이유로 애착을 갖게 되는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요소만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확인하였다. 셋째, 정동지역 박물관에 방문한 관람객이 인지한 장소성 형성요인은 장소애착을 매개로 하여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의 매개효과 없이 직접적으로 지각된 가치에 주는 영향은 유의한 값이 나오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박물관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와 본 연구모형의 최종종속변인인 관람행위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는 관람객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방문만족도, 추천의도, 재방문의사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박물관은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필요 이상의 의미가 존재하는 장소이므로 그 가치를 평가할 때 장소성 관점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장소성 형성구조가 후속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에 기여하기 바란다.

      • KCI등재

        민화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

        정진희(Jeong, Jin-he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민화의 올바른 평가를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점 중 하나가 민화에 나타난 장소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보고 민화에 새롭게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이-푸 투안(Yi-Fu Tuan)의 이론을 도입해 민화에 나타난 내용적 측면의 장소성과 구조적 측면의 장소성을 모색하였다. 장소성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이는 민화를 선별하여 살펴본 결과, 민화는 대립을 통해 고결한 장소성을 구현하기도 하고 서로 의미가 다른 장소성을 구분하기도 하였다. 이어 특정 지역을 상상으로 그렸음에도 공통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집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보호와 안전, 편안함을 가진 장소성을 확인했다. 민화는 그 자체가 생활공간이며, 조선 시대 사람에게 고유하고 무색투명한 열려진 세계로서 평온함과 자유스러움을 제공하기 때문에 민화가 집안의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어떤 장소성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민화는 사람들이 지정해 놓은 장소에 녹아들어 계절의 변화를 느낄수 있는 장소성을 형성하기도 했으며, 집 전체를 신들이 사는 장소로 바꿔놓기도 했다. 나아가 공간의 안과 밖을 구분지어 집의 안녕이 깃든 장소성을 형성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민화에서는 내용적인 측면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장소성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화의 범위가 매우 넓기에 이를 보편화 시킬 수는 없으나, 기존의 연구방법에서 벗어나 민화에 새롭게 접근한 방식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laceness shown in folk painting. To this end, this study introduced Yi-Fu-Tuan theory and explored the placeness shown in folk painting from both content and structural aspects. The folk paintings in which placeness was thought to stand out were sele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olk paintings could implement lofty placeness through contrast and classified different types of placeness that had different meanings. Following this, the houses in a particular region that were expressed in common into pictures through imagin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placeness that was characterized by protection, safety, and comfortableness could be found. Folk painting is the living space itself. So this study looked at what type of placeness the folk painting has depending on its location within the house. Folk painting formed placeness to feel the change of seasons in places designated by people. It also changed the whole house into the place where gods lived. Furthermore, it also formed placeness in which the peace of house was indwelling by dividing the house from the outside. It could be found from this study that placeness appeared clearly in folk painting from both content and structural aspects. As the scope of folk painting is very wide,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But if there is a new approach to folk painting, it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beyond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 KCI등재

        장소성 개념을 통한 인천 구도심 도시재생 전략 연구: 현상학적 장소론을 중심으로

        왕치현,김아영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2

        As the paradigm of urban development shifts from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to urban regeneration, research on place identity is increasing. This is because of the expectation that place identity can play a positive role in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as it is known to be a concept that can give local people a sense of belonging and enhance the identity of the region. However, the study of place identity reveals many limitations in emphasizing economic utility, such as the inflow of tourists and the accumulation of capital, rather than studying place identity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people. The same is true of the old city center in Incheon,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underwa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place identity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cholars who initially established the concept of place identity in order to discuss the limitations of place identity research in the field of urban regeneration in Korea, and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 on place identity in Korea, and 3) to demonstrate the need to revise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old city center of Inche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affect the location assets of the old downtown of Incheon and these location assets extensively were studied as others-oriented, and the number of residents who would create a authentic place was decreased. There is a concern that this will destroy the place identity rather than regenerate it.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to restore settlement, revitalize the city through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mprove their affect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Incheon Regeneration Project needs to be changed in order to form a “authentic place identity”. 도시개발의 패러다임이 재개발·재건축에서 도시재생으로 변화함에 따라 장소성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장소성이 지역민에게 소속감을 부여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념으로 알려지면서 도시재생 전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 도시재생 분야 장소성 연구는 지역민과의 연관 속에서 장소성을 연구하기 보다는 관광객 유입, 자본의 축적 등 경제 효용성을 강조하기에 여러 한계점이 드러난다. 도시재생사업이 진행 중인 인천 구도심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도시재생 분야 장소성 연구의 한계를 논하기 위해 1) 장소성의 개념을 초기에 정립한 학자들의 이론적 토대인 현상학적 관점에서 장소성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2) 국내 장소성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며, 3) 이를 인천 구도심에 대입하여, 인천 구도심 도시재생 방향에 수정이 필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 인천 구도심의 장소자산과 이러한 장소자산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는 도시재생사업이 타자지향적인 것으로 연구되었다. 이는 장소성을 재생하기 보다는 오히려 비진정한 장소성을 만들어, 장소성을 파괴한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도시재생사업의 목적이 정주성 회복,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 활성화, 애향심 향상 등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연구는 인천개항창조도시재생사업이 ‘진정한 장소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방향 수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홍상수 영화의 장소성 연구: 장소성 상실 징후와 데페이즈망으로 장소감 생성

        문관규 한국영화학회 2022 영화연구 Vol.- No.91

        홍상수 영화의 인물은 북촌과 서촌을 배경으로 배회하고 사건을 겪는다. 두 장소는 서울의 개발로 고유한 장소의 정체성이 훼손된 장소성 상실의 공간이며 등장인물들은 디아스포라의 장소성을 재현한다. 인물들은 북촌과 서촌의 소비 공간을 배회하는 정신적 디아스포라이다. 이들은 정주할 장소를 찾거나 구성원으로편입하려는 의지가 희박하다. 그들은 공동체와 결속력 약화를 욕망의 대상에 대한 남근적 주이상스의 추구로 보완하고 장소성 상실의 징후로 가시화한다. 북촌과 서촌이 개발로 인한 장소성을 상실했다면 욕망의 디아스포라들은 소속감의부재로 인해 뿌리뽑힘의 징후와 장소성 상실을 체화한다. <북촌 방향>과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은 만남과 헤어짐의 행위를 반복하여인물의 뿌리뽑힘의 징후와 장소성 상실을 재현한다. 인물의 귀속할 장소의 부재는 욕망의 대상에 대한 환상을 팽창시켜 대상에 대한 소유의 사랑을 지향한다. 소유의 사랑은 <북촌 방향>에서 성준의 동침에 대한 욕망으로 반복되며 이는 남근적 주이상스의 추구로 집약된다. 인물의 관계는 관계의 지속가능성을 부정하고만남과 이별을 반복한다. 이는 뿌리없음과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편입 실패에 기인하며 바로 현대의 장소성 상실과 정신적 등가이다. 홍상수의 영화 주인공은 장소성 상실의 징후로 카페로 대표되는 소비 공간을 배회하며 욕망 역시 소모적으로 탐닉하여 장소성 상실의 결핍에 대한 충족의 일환이다. 이는 현대사회의 장소성 상실과 소외라는 징후와 마주하게 한다. 또한 인물들은 남한산성과 신사임당이라는 역사를 소환하여 현재 인물과 데페이즈망으로 배치한다. 인물과 역사의데페이즈망은 남한산성에서 남녀의 불균질적 관계가 병자호란 당시 군신의 관계를 체결하는 역사적 상황을 견인하며 사직공원의 신사임당상은 이데올로기적 판옵티콘으로 인물을 현모양처로 훈육하려 한다. 하지만 해원의 행위는 판옵티콘기능을 무력화한다. 역사적 장소와 인물은 영화에 소환되어 예술의 매개로 새로운 장소감의 생성과 해석의 층위를 두텁게 한다.

      • KCI등재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에 대한 평가지표 항목구축에 관한 연구

        왕휘휘,홍관선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Recently, the vitality of local communities is being decreased due to numerous vacant houses generated by factors such as the hollowization of cities, exacerb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loss of placeness of houses. Hence, this research,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ies, aimed to establish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vacant houses and detailed items of the criteria to arrange references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placeness evaluation of vacant house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research contemplated upon relevant concepts and characteristic,regeneration value of placeness and communi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vitalization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current status of local communities and placeness. First, the researchers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through 6 dimensions (morphological dimension, perceptional dimension, societal dimension, visual dimension, functional dimension and temporal dimension)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rom <City Design> by Matthew Carmona. Subsequently, the study organized the detailed items for the placeness evaluation criteria for vacant houses within local communities by analyzing precedent researches. Lastly, for the detailed items above, research was done by 15 experts through the Delphi method for 3 times, and after the items were derived, for scientific validati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his research, while excluding the subjectivity and the emotional parts of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Delphi method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expert group, a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laceness of the local communities, 9 criteria: connectivity, identity, safety, aesthetic impression, diversity, accessibility, openness, convenience, publicness have been derived, and 33 detailed items have been derived. It is only possible to revitalize the communities, restore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and provide clear statistical data on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if the state’s items are referred as standards. 최근 도시의 공동화, 생활환경의 악화, 집의 장소성 상실 등의 이유로 도시에 빈집이 급증하면서 지역커뮤니티의 활력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와 세부항목을 구축하고, 빈집의 장소성 평가를 위한 참고기준과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빈집, 장소성과 커뮤니티의 개념 및 특성,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현황, 재생 가치와 장소성 간 상관관계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선 Matthew Carmona가 제기한 <도시설계>의 6가지(형태적, 지각적, 사회적, 시각적, 기능적, 시간적) 차원을 분석하여 계층분석법(AHP)을통해 장소성의 특성을 도출하고 지역 커뮤니티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지역 커뮤니티의 특성을 정리한 후,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에 대한 세부항목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세부항목에대해 총 3회에 걸쳐 델파이 기법을 통해 15명의 전문가 조사를 진행하여 세부항목을 도출한 후 과학적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빈집 장소성의 주관성과 감정적인 부분을 배제한 채 델파이 기법을 통해 전문가 그룹과 상호 작용하면서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로 각각 연계성· 정체성· 안전성· 심미성· 다양성· 접근성· 개방성· 편리성· 공공성의 9가지와 33가지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상술한 항목들을 참고기준으로 해야만 빈집의 장소성을 복구하여 지역 커뮤니티의 활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지역 커뮤니티 빈집 장소성의 명확한 통계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장소성 인식 특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하나(Im, Ha Na),강도원(Kang, Do Won),최창규(Choi, Chang Gyu)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강도원?최창규(2012)가 개발한 장소성 인식 인과구조 모형의 보편성을 검증하고, 대학로를 대상으로 장소성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지 이용자 특성별로 장소성이 방문자들의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구조를 분석하고, 강도원?최창규(2012)의 홍대지역에 대한 연구 결과와 비교?분석을 통해 장소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인과구조 모형 및 연구가설의 보편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소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모형의 보편성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대학로와 홍대지역의 모든 집단에서 장소성이 장소애착(H1)과 장소애착이 행동 의도(H3)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장소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 차이에 따라서 경로구조 모형의 변형이 확인되었다. 대학로의 단순 소비 집단은 다른 집단들과는 다르게 대학로를 공연문화 장소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른 경로구조 모형의 변형이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마다 장소성 소비자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홍대지역의 단순 소비 집단은 ‘장소성’을 강하게 소비하고 있으나, 대학로의 단순 소비 집단은 지역 내 다른 두 집단과는 달리 대학로의 문화예술 장소성을 인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causality model of placeness cogni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y Kang & Choi (2012). On Daehakro street in Seoul known for performances, theaters, and troupes in its cultural district, this article analysed the causality models of three different groups visiting the street,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ones of Hongik University areas by Kang & Choi(2012). By building and analyzing the path model of placeness and behaviors on the cultural street, this study could show three results as followings. First, it supports the validity of theoretical model 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on of placeness and visitors? behavioral intention by Kang & Choi(2012) to some extent. Second, the differences on cognition of placeness by diverse user groups could alte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imple consumer group in Daehakro street does not recognize the cultural aspects of the street, although the other groups are aware of the placeness. Third, placeness consumers in Daehakro street are different from the ones in Hongik University areas. The simple consumer group in the latter place perceives and enjoys placeness, but the similar group in the former district does not.

      • KCI등재

        장소성의 병존과 가변성 연구-대구시 ‘북성로’를 중심으로-

        강민희(Kang, Minhee)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4 No.-

        본 연구는 장소성의 병존과 가변성에 관한 이론을 도출하고, 북성로와 유관사례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며, ‘장소성의 재생’을 위한 스토리텔링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장소성에 관한 이론 연구. 공간과 장소에 관한 인문사회학적 논의는 양적・질적으로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장소성은 개념의 다양성과 복잡성으로 인해 여전히 명료한 정의가 내려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논자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장소성의 개념을 정리・고찰하고자 한다. 또 개인적・사회적, 정치적・문화적, 시간적 맥락 등의 요인을 기준으로 장소성의 병존과 가변성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했다. 둘째, ‘북성로’와 관련한 국내외 사례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북성로’는 일제의 식민지배, 산업화와 도시화,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다양한 층위에서 발산되는 규정력이 동시에 작용하한다. 이곳을 중심으로 장소 이론이 대구시 북성로에 적용될 수 있는지 살피고, 장소성을 개별적이고 개인적인 것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셋째, ‘장소성의 재생’을 위한 스토리텔링 방안을 모색하였다. 논자는 장소성의 요체이자 근간인 공간과 인간의 관계성과 회복력의 회복을 위해 《북성로의 기술장인과 리노베이터 지도》를 구상하고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장소가 상품화되고, 소비되며, 광고될 뿐 아니라 판매되는 대상으로 이해되는 시점에서 누층적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장소성을 배치하는 방법을 환기한다는 점에서도 유의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sense of place is dynamic and contextual. 1) Delivering a theory of location and variability to ensure the concrete nature of the discussion. 2) Roads are so diverse that not only natural elements but also artificially created objects can be arranged, and nature has many places. However, the “road” they meet through the creation of specialization distances has a single location. This is because not only places are commercialized, consumed, and advertised, but also places that exist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m into objects to be sold are selected. In other words, it is not possible to position them properly except for one locality with merchantability, and it is often even deleted. Why do these problems occur? This is due to the lack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stratification and method of localizing various locations in space. In short, it"s because of the lack of concern about the method of generating “location” and its structure. Therefore, researchers want to proceed with research under the assumption that, although locality may seem unique or spontaneous, it is not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the age. In particular, the “North Castle Road” that I would like to cover in this article is mainl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two layers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industrialization. Accordingly, the arrangement layer position and the degree of the locality coexisting in the double situation are tried. This study should also be noted in the sense that locations are not only commercialized, consumed, and advertised, but also evoke a way to deploy various stratified lo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being understood as targets to be sold.

      • KCI등재후보

        포스트 모던 전시 문화의 이미지와 장소성 실험

        김소희(Kim, so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최근 포스트 모던 전시문화는 테크놀러지의 급속한 발달로 도시인의 시지각방식을 근본적으로 전환하고 있다. 테크놀러지의 발달에 힘입어 매체의 세계는 도시인의 감성을 촉발하는 문화적 분위기로서 함께 감응하고, 함께 공유하는 즐거움의 미학을 더욱 촉발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술문명의 삶은 도시의 전시공간에서 이미지화하는 새로운 감각의 실험으로 도시인의 시지각적 경험의 지평을 크게 확장하며, 촉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으로부터 이 연구는 포스트 모던 전시 문화에서 이미지화하는 전시 문화의 분위기 즉 장소성의 분위기 실험으로 도시인에게 새로운 감각의 시지각방식과 ‘문화적 여과장치’로서 장소성이 품는 ‘문화적 분위기의 전환’에 주목하고자 한다. 따라서 헤테로토피아 장소성의 실험은 도시인에게 근대의 공감각적 봉합과 전일성의 단절로부터, 일상의 심미화와 새롭게 체험되는 헤테로토피아의 시지각방식으로 무수한 잠재성의 촉발과 전일성의 회복으로 활발히 ‘가동’하는 ‘문화적 분위기의 전환’에 주목하고자 한다.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has been fundamentally changing the visual perception approach of citizens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t presen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duces themedia world to respond as cultural aura triggering emotion of the citizens and aesthetics of pleasure sharing together. The lifewith the civilization of technology significantly expands and accelerates the scope of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of citizens by cultural aura created as the images in the exhibition space of city. Considering such trend, this paper focused on cultural aura activating the visual perception approach of Heterotopia newly experienced and aestheticization of a daily life from the sealing of senses and severance of wholeness in the modern times for citizens by the experiment on the placeness of Heterotopia, the mood of placeness and image in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This paper aimed to acivationg Infinite potentials of hidden in the placeness in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and its meaning and effects for citizens. In particular, the Cultural Aura containing the placeness as the cultural filter and perception approach of new senses, in other words, the placeness of Heterotopia as the new experience for citizens, activates the infinite potentials of citizens as the revolution of new sensitivity, restoration of wholeness and furthermore restoration of cultural aura. At this point, the effects of cultural aura generated by placeness in the exhibition culture newly awakens emotion and senses of citizens. The cultural landscape helps to newly identify the potentials of citizens which are hidden and forgotten and experiments the "innovation of sensitivity" stimulated inmulti-dimensional way. 최근 포스트 모던 전시문화는 테크놀러지의 급속한 발달로 도시인의 시지각방식을 근본적으로 전환하고 있다. 테크놀러지의 발달에 힘입어 매체의 세계는 도시인의 감성을 촉발하는 문화적 분위기로서 함께 감응하고, 함께 공유하는 즐거움의 미학을 더욱 촉발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술문명의 삶은 도시의 전시공간에서 이미지화하는 새로운 감각의 실험으로 도시인의 시지각적 경험의 지평을 크게 확장하며, 촉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으로부터 이 연구는 포스트 모던 전시 문화에서 이미지화하는 전시 문화의 분위기 즉 장소성의 분위기 실험으로 도시인에게 새로운 감각의 시지각방식과 ‘문화적 여과장치’로서 장소성이 품는 ‘문화적 분위기의 전환’에 주목하고자 한다. 따라서 헤테로토피아 장소성의 실험은 도시인에게 근대의 공감각적 봉합과 전일성의 단절로부터, 일상의 심미화와 새롭게 체험되는 헤테로토피아의 시지각방식으로 무수한 잠재성의 촉발과 전일성의 회복으로 활발히 ‘가동’하는 ‘문화적 분위기의 전환’에 주목하고자 한다.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has been fundamentally changing the visual perception approach of citizens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t presen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duces themedia world to respond as cultural aura triggering emotion of the citizens and aesthetics of pleasure sharing together. The lifewith the civilization of technology significantly expands and accelerates the scope of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of citizens by cultural aura created as the images in the exhibition space of city. Considering such trend, this paper focused on cultural aura activating the visual perception approach of Heterotopia newly experienced and aestheticization of a daily life from the sealing of senses and severance of wholeness in the modern times for citizens by the experiment on the placeness of Heterotopia, the mood of placeness and image in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This paper aimed to acivationg Infinite potentials of hidden in the placeness in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and its meaning and effects for citizens. In particular, the Cultural Aura containing the placeness as the cultural filter and perception approach of new senses, in other words, the placeness of Heterotopia as the new experience for citizens, activates the infinite potentials of citizens as the revolution of new sensitivity, restoration of wholeness and furthermore restoration of cultural aura. At this point, the effects of cultural aura generated by placeness in the exhibition culture newly awakens emotion and senses of citizens. The cultural landscape helps to newly identify the potentials of citizens which are hidden and forgotten and experiments the "innovation of sensitivity" stimulated inmulti-dimensional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