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주의 경향의 염상섭 소설과 진화론적 상상력 -『만세전』을 중심으로

        오윤호 ( Youn Ho Oh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4

        본고는 한국 근대소설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서구 진화론이 어떠한 양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특히 염상섭의 『만세전』 속에 나타난 진화론적 상상력에 주목하여 염상섭이 갖고 있는 진화론적 시각이 비유적인 언어와 경성에 대한 묘사, 개성에 대한 인식으로 드러나는 양상을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한국근대소설 형성과 과학담론의 교섭 양상을 살펴보는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만세전』에 나타난 진화론적 상상력은 세 가지 정도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주인공인 인화는 근대화된 문명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 반-사회진화론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가 근대인을 ‘이기적 동물’로 비유하는 내용에서는 인간이 곧 동물이라는 생물학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데, 문화적으로 진화한 근대인이라 하더라도 막연한 동경의 대상이 되거나, 긍정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대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반-계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단지 일본인을 대할 때뿐만 아니라, 식민지 조선인을 대할 때에도 반복되어 나타난다. 두 번째로 인화는 식민지 조선을 ‘구더기가 들끓는 무덤’으로 인식하고 있다. ‘무덤 속에서도 진화론적 조건이 작동하고 있다’라는 인화의 발화를 통해 그의 세계관 속에 내면화되어 있는 진화론적인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식민지 조선의 현실에 대한 비유적 표현이며, 비참한 현실을 경험하면서도 뜯어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 전근대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조선 민족의 현실을 질타하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인화는 ‘자기 스스로 구하라’라고 말하면서, 가족, 경성, 민족, 국가, 제국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낭만주의적 의지’ 혹은 ‘이기적인 욕망’을 드러낸다. 사회진화론을 옹호했던 개화기나 식민지 시기의 지식인들이 보기에는 인화의 ‘자립’적 태도는 반민족적·반국가적 태도와 다름없는 것으로, 이 장면에서 인화가 가지고 있는 제국의 식민지 지배 시스템에 대한 거부 의식을 잘 확인할 수 있다. 『만세전』은 염상섭의 자연주의 경향의 세계 인식을 가장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소설이다. 『만세전』이 식민지 현실을 생물학적 생태로 파악하며, 진화론적인 인식을 통해 당대를 풍미했던 왜곡된 사회진화론적인 담론을 비판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소설적 의의는 크다. 본고는 인화의 민족주의적 자각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와 함께 내재되어 있는 진화론적인 상상력이 한국 근대 소설 형성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밝히려고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the perspective from Darwinian criticism on the experience of modern colonialism and Naturalistic novels. “Mansejeon(萬 歲前),” written by Yeom Sang-seop, represents the ideology and activity of colonists, or individuals who should adapt to a colonial culture by their choice. The evolutionary imagination described in “Mansejeon” can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aspects. First, In-hwa, a main character, has a perspective against Social Darwinism on people living in a modernized civilization. When he depicts a modern man as a “selfish animal,” his evolutionary recognition can be found, which implies a statement saying a human being is an animal. That is to say, In-hwa shows his position against Social Darwinism in the way that a culturally developed modern man is not an object of admiration or an object with a positive value. Second, In-hwa recognized the colonized Joseon as “a tomb infested with maggots.” From his remark saying “even in the tomb, the condition of evolutionary theory is still activated,” it can be found that his outlook on the world is embedded with the evolutionary perception. His mention is not only a metaphor for the reality of his colonized nation, but also a criticism on the reality of people in Joseon who have a premodern way of thinking and are not willing to overcome the disastrous situation while suffering from it. Finally, while In-hwa says “deliver yourself,” he reveals his romantic willingness or selfish desire to be free from family, Gyeongseong, nationality, nation, and empire. From the view of intellectuals in the enlightenment or colonial era, In-hwa`s independent attitude means anti-national or anarchistic attitude, and it can be clearly identified his repulsion toward the colonial system of Japanese empire. “Mansejeon” is the first novel that shows the author`s realistic perspective on the world. The novel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 because Yeom writes the story with a critical view on a distorted Social Darwinism which was so popular at that period while he understands the reality of colonized nation 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f course, In-hwa`s nationalistic awakening is important, but the evolutionary imagination underneath it has a great impact on modern Korean realistic novels, so I truly believe that this study proposes a new crit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진화론의 함의

        김성한(Kim Sung-han)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8 No.-

        19세기의 사회진화론자들이 파악한 진화론은 현대 진화론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들 중 일부는 진화를 목적론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진화 과정을 선(善)과 동일시하기도 하였다. 그들은 이처럼 자신들이 나름대로 파악한 진화의 특징을 도덕적 지침으로 삼으려 했는데, 이는 철학적으로 보았을 때 미숙한 태도였다. 나아가 사회진화론은 동물에 대한 인간의 차별은 말할 것도 없고, 인종이나 성 차별 등까지도 옹호하는 듯했는데, 이로인한 폐해는 적지 않았다. 현대의 진화론자들은 더 이상 과거의 사회진화론자들이 범한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는다. 언뜻 보기에 오늘날의 진화론은 인간 아닌 동물과 인간의 격차를 줄임으로써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에도 기여하는 바가 있는 듯하다. 하지만 동물들과 관련한 새로운 진화론적 사실들 자체가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보장해 줄 수는 없다. 물론 그러한 사실들이 동물과 인간의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그러한 사실들은 가치와는 구분되며, 우리가 특정한 도덕 이론을 받아들여야만 비로소 도덕 판단을 내리는 데에서 중요한 정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진화론 자체가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시사하는 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다. 만약 진화론적 사실이 도덕의 배경을 이룰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면, 그리고 진화론과 도덕의 관계가 논리적인 연역관계가 아니라 단지 전자가 후자를 지지하거나 전자가 후자의 근거를 무너뜨리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면, 우리는 진화론이 도덕에 시사하는 바가 있으며, 이러한 도덕을 통해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heory of evolution which Social Darwinist of 19th century adopted was quite different from modern theory of evolution. Some of them considered evolution as teleological and identified evolution with the good. Philosophically their attitude were immature. But it was not the end. They also showed affirmative attitude toward every kind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the one toward animals. The evolutionists of today do not repeat the error of Social Darwinist of the past. At first glance, it seems that modern theory of evolution can contribute something to improve the moral status of animals. But the new evolutionary fact concerning animals itself cannot ensure the moral status of animals. Of cour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evolutionary facts can contribute to reduce the gap between non-human animals and man. But those facts are different from value, and they can play a role in making a moral judgment after we accept a certain moral theory. But it is too hasty to think that the evolution itself have no suggestion to the status of animals. If we can think evolutionary fact can give moral support, and if we can think the relation between evolution and morality is not logical deduction but only the former can support or undermine the latter, we might say the evolution has some implication to morality, and by that morality, we can ensure the moral status of animals.

      • KCI등재후보

        『어린이』의 대중과학적 글쓰기, 동물소설 「북해의 왕 백웅」의 진화론적 상상력

        서희경 근대서지학회 2023 근대서지 Vol.- No.27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first proposed by British philosopher Herbert Spencer, was an idea that was popular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was derived based on the theory of biological evolution by Charles Darwin (1809-1882) in the 18th century. It can be called “social Darwinism.” The content of social evolution is that human societies, like living things, struggle with each other for survival. In “Children,” Kim Kyu-taek’s “Study of Darwin Who Made the Theory of Evolution” was published. This is about Darwin’s theory of evolution. In “Children”, Darwin’s theory of evolution and the perspective of reflecting on how to deal with life are revealed through editorial and artwork. Choi Kyung-hwa wrote a work that reveals her awe of existential life in the animal novel “King of the North Sea a white bear,” and then published an editorial called “Mysterious Life” and mentioned the spiritual value of life. Choi Kyung-hwa’s “King of the North Sea a white bear” is a naturalist novel that realistically depicts the fierce survival of polar bears according to the ecology of animal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realistic style of record that describes the ecology of polar bears by nature observation method. This novel uses an objective and concise style of novel description, not the honorifics used in fairy tales. The survival competition of North Sea animals shown by evolutionary imagination does not end up simply describing animals, but represents the self-image that childr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uld have. 영국의 철학자 허버트 스펜서가 처음 제기한 사회진화론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유행한 사상으로 18세기 찰스 다윈(1809~1882)의 생물진화론(生 物進化論)에 근거하여 파생한 담론이다. ‘사회적 다윈주의’(Social Darwinism)라고 명명할 수 있다. 사회진화론의 내용은 생물유기체처럼 인간사회도 생존을 위해서 서로 투쟁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어린이』에서 진화론의 소개는 김규택, 「진화론을 지어낸 따윈의 연구」(『어린이』 제9권 제9호, 1931.10)가 있다. 『어린이』 에는 다윈의 진화론과 함께 생명에 대해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성찰하는 시각이 논설과 예술작품으로 드러난다. 최경화는 동물소설 「북해의 왕 백웅」으로 실존적 생명에 대한 경외심이 드러나는 작품을 썼고, 그 후 「신비한 생명」이라는 논설을 발표하며 생명에 대한 정신적 가치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최경화의 「북해의 왕 백웅」은 북극곰의 치열한 생존을 동물의 생태에 맞게 사실적으로 그린 자연주의 소설이다. 북극곰의 생태를 자연관찰법으로 묘사한 사실적인 기록의 문체라고 평할 수 있다. 동화에서 주로 보여주는 경어체가 아닌 객관적이고 간결한 소설적 서술의 문체를 사용한다. 진화론적 상상력으로 보여주는 북해에 사는 동물들의 생존경쟁은 동물들의 모습을 묘사하는 것으로 단순히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제강점기 시기 어린이들이 지녀야 하는 자아상을 대변한다.

      • KCI등재

        진화론적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오류와윤리적 구성주의

        소병철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科學 Vol.117 No.-

        The aim of this essay is to propose a reasonable conceptual framework of ‘ethical constructivism’ as an antithesis of ‘ethical naturalism’ through the medium of the semantic examination of ‘naturalistic fallacy’, one of the main issues of philosophical ethics. To achieve this, first I defined the ‘naturalistic fallacy’, with a semantic strictness, as the ‘logical fallacy of deducing the judgements of value from the judgements of fact’, namely the ‘fallacy of appealing to the natural facts discovered by science as a measure of distinguishing moral good and evil, right and wrong’. Next I suspected the ‘kin altruism’ and ‘reciprocal altruism’ hypothesis of contemporary evolutionary ethics of a typical case of the very fallacy and critically analyzed a few aspects of its fallacy. Finally I proposed the perspective of ‘ethical constructivism’ to the effect that the moral is a construct of human reason projected into the amoral natural world as an antithesis of ‘ethical naturalism’ and vindicated a non-naturalistic method of connecting the moral values to the scientific facts, which is not the ‘reduction’ but the ‘mediation’, under the thesis of ‘complementarity of ethics and science’. 이 글의 목적은 철학적 윤리학의 주요 쟁점 중 하나인 ‘자연주의적 오류’의 의미론적 고찰을 매개로 ‘윤리적 자연주의’와 대비되는 ‘윤리적 구성주의’의 합당한 개념틀을 제안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맨 먼저 논자는 ‘자연주의적 오류’를 ‘사실에서 가치를 연역하는 논리적 오류’, 즉 ‘과학이 발견한 자연적 사실을, 도덕적 선악과 정사를 판별할 척도로 호출하는 오류’로 한정하는 의미론적 사전 작업을 수행했다. 다음으로 논자는 그러한 오류의 유력한 전형으로 오늘날 유행하는 진화론적 윤리학의 ‘혈연 이타성’ 및 ‘호혜적 이타성’ 가설을 지목해 그 안에 스며든 오류의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끝으로 논자는 ‘도덕이란 무도덕적 세계에 투사된 인간 이성의 구성물’이란 취지의 ‘윤리적 구성주의’ 관점을 ‘윤리적 자연주의’의 대립항으로 제시한 후 도덕적 가치를 과학적 사실과 관련짓는 비자연주의적 방식, 즉 ‘환원’이 아닌 ‘매개’의 방식을 ‘윤리와 과학의 상보성’ 테제 아래 옹호해 보았다.

      • KCI등재

        자연주의 문제: 플랜팅가의 비판과 이에 대한 데닛의 반박

        안윤기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9

        이 글은 플랜팅가의 ‘자연주의를 반박하는 진화론적 논증’(EAAN)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데닛의 반론을 정리한 후, 양자의 입장을 비교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AAN의 기본 발상은 다음과 같다: 우리가 진화론과 자연주의를 전제하면, 진화 과정의 결과로 생겨난 인간의 인지 구조는 자연에 의해 선택된 것이겠다. 그런데 자연에 의해 선택된 인지 기능에서 믿음이 생겨난다면, 설혹 그 기능의 환경 적응은 보장되더라도 그 믿음이 참일 가능성은 전혀 보장되지 못하여, 그 인지 기능의 신뢰 가능성이 매우 낮을 것으로 플랜팅가는 생각했다. 그런데 우리 인지 기능이 신뢰할 만하지 못하면, 그 기능을 통해 산출된 모든 믿음도 파기자를 가져, 우리가 가진 그 어떤 믿음도 참이라는 보장이 없고, 결국 자연주의 자체도 파기자를 갖게 된다. 이 논변에 데닛은 맞서면서 우리는 진화 과정의 결과로 생겨난 인간의 인지 구조를 얼마든지 신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진리란 그저 우리가 인지 구조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믿는 것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진화의 결과물인 인지 기능의 신뢰 가능성을 의문시하는 자는 자연에 대한 자신의 불신을 드러낼 뿐이라고 했다. 이와 같은 상반된 두 입장은 양자가 가진 상이한 진리 개념, 그리고 ‘무엇을 기초 전제로 삼는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Plantinga's ‘Evolutionary Argument against Naturalism’ (EAAN), organize Dennett's objection to it, and compare the positions of both. Plantinga's Argument begins with the following idea: If we presuppose evolutionary theory and naturalism, the human cognitive structure that arose as a result of the evolutionary process must have been selected by nature, due to adaptive behaviors, but not necessarily due to true beliefs. Then it is possible that some of our own beliefs are not so veridical that the reliability of our cognitive function would be highly unlikely. Once the reliability of our cognitive faculties has been called into question, we have a defeater for all our beliefs, including the belief in naturalism. Dennett counters this argument, arguing that we can trust the human cognitive structures that have arisen as a result of evolutionary processes. Because truth is nothing more than what we finally believe using our cognitive structures. He said that if some one questions the reliability of cognitive functions as a result of natural evolution, he only reveals his personal incredulity. These conflicting positions of both come to be due to the different concepts of truth a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should be presupposed as basic premises.

      • KCI등재

        과학과 종교

        앨빈 플랜팅가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9 철학논집 Vol.19 No.-

        이 논문은 현대진화론이 유신론적 믿음과 양립할 수 있다는 점과 다른 전제들과 결합하는 진화와 관련한 주요 반립 논증은 실패하고 말 것이라는 점, 그리고 유신론적 종교의 신이나 이 신과 같은 존재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 자연주의적 세계관(이것은 종교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사-종교의 일종이다)에서는 본질적인 요소이며, 이 자연주의적 세계관은 실제로 진화와 양립할 수 없는 것을 주장한다. 그러므로 과학/종교(또는 과학/유사-종교) 간의 갈등은 정당하지만 그것은 자연주의와 과학의 갈등이지 유신론적 종교와 과학의 갈등이 아니다.

      • 생태계 위기와 신학적 패러다임 전환 : 유기체적·과정적 실재관과 범재신론을 중심으로

        김경재(Kyoung Jae Kim)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4 No.-

        이 논문은 생태계 위기와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 대처하는 신학적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연구이다. 신학 체계, 특히 신의 관념은 형이상학적 철학에 바탕을 둔 세계관에 깊은 관련이 있고 그 영향을 받아왔다. 전통 신학의 핵심 과제는 창조주 하나님과 피조물인 이 세상이 어떻게 서로 관련되어 있는가를 설명하거나 이해하는 것이었다. 이 논문의 첫 부분에서 필자는 초자연주의적 유신론과 자연주의적 범신론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신학이 갖는 의미와 한계에 주목했다. 첫째 유형은 고전적 유신론으로서 창조세계 자체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존재자로부터 가장 높은 존재로서의 신을 분리한다. 전통적인 유신론자들에게 하나님은 완전하고, 불변하며, 영원하고, 전능하고, 전지하다. 하나님은 ‘만유 위에’ 있는 최고의 존재이다. 둘째 유형은 범신론으로서 무한자의 내재성을 강조한다. 범신론의 경우, ‘만유 위에’ 존재하는 신은 우주와동일시된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신은 ‘능산적 자연’(natura naturans)과 동일시된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와 초자연주의적 유신론과 자연주의적 범신론의 철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종교적 특성은 유물론과 기계론의 관점에서 자연을 이해하는 과학자들 사이에서 거의 사라졌다. 초자연적 유신론과 범신론을 모두 극복하고자 하는 신학의 유형이 범재신론이다. 범재신론은 철학적 신학 또는 진화론적 신학의 한 형태이며, 화이트헤드 철학에 기반을 둔 과정신학과 깊은 관련이 있다. 범재신론자들은 신적인 입법자이자 재판관인 하나님의 전통적인 이미지를 비판한다. 그들은 또한 변하지 않고 감정이 없는 절대자로서의 하나님의 개념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화이트헤드의 관점을 수용하는 범재신론자 들은 예수의 ‘갈릴리 복음’에서 발견되는 하나님의 이미지를 되찾으려고 한다. 범재신론에서 하나님은 설득하고 창조하는 사랑으로 이해된다. “하나님은 위대한 연민이요, 고통당하는 동료이며, 이해하는 분이다”(Whitehead, Process and Reality, 532). 하나님은 양극성 속성, 곧 시원적 본성과 연관적-결과적 본성을 갖는다. 하나님의 연관적-결과적 본성은 화이트헤드적 범재신론의 전문용어로서 하나님의 한 극을 이루는 신체적 속성을 뜻한다. 하나님의 범재신론적 이미지는 피조물의 완성을 향한 자연 자체의 갈망을 함께 나누는 하나님의 영을 사도 바울과 더불어 느끼도록 격려한다. 범재신론적인 하나님의 관념은 ‘만유 위에 계시고, 만유를 통하여 일하시며, 만유 안에 계시는 한 분 하나님’의 세 가지 존재 방식을 통합하도록 격려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for theological paradigm shift coping with ecological crisis and in the situation of Covid-19 pandemic. The theological system, especially the idea of God, has been deeply related with and influenced by the world view in terms of metaphysical philosophy. The central question for traditional theology is to explain or to understand how God the creator and this world the creature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 pay attention to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wo types of theology: supranatural theism and natural pantheism. The first type as a classical theism separates God as the highest being from all other beings as well as the created world itself. For the traditional theists, God is perfect, immutable, eternal, omnipotent, omniscient. God is the Highest Being who exists above all . The second type which emphasizes the immanence of the Infinite is pantheism. For pantheism, God who exists in all is identified with the universe. According to Spinoza, God is identified with the natura naturans, the creative nature. However, in modern times, religious quality, as well as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supranatural theism and natural pantheism has almost disappeared among the scientists who understand nature in terms of materialism and mechanism. A theological type that tries to ovecome both of supranatural theism and pantheism is called panentheism. Panentheism is a form of philosophical theology or theology of evolutionary nature, which is deeply related to process theology that is based on Whiteheadian philosophy. Panentheists criticize the traditional image of God as divine lawgiver and judge. And also they do not accept the notion of God as the unchanging and passionless Absolute. Whiteheadian Panentheists try to recapture the image of God found in the Galilean Gospel of Jesus. In panentheism God is understood as creative love as persuasive, “God is the great companion, the fellow sufferer who understand.”(Whitehead, Process and Reality, 532.) God has bipolar attributes, primordial nature and consequent nature. As a technical term of Whiteheadian panentheism, the consequent nature of God means God s physical pole. A panentheistic image of God encourages us to feel with St. Paul the Spirit of God sharing in nature s own longing for the consummation of creation. And also Panentheistic idea of God encourages us to integrate three God s modes of existence that is One God who is above all, through all, and in all.

      • KCI등재

        『종의 기원』 이후 생명의 기원에 대한 서구 사상의 변화

        이재신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2

        A brief historical account of the evolution of the perspective on the origin of life since Charles Darwin s Origin of Species in western society is presented with emphasis on influence of social environment on the interpret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t is shown that interpretation of new scientific findings about life and subsequent proposal of the hypothesis of life s origin since Darwinian revolution have been predominantly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fic materialism and naturalism, though the conception of life has changed significantly with scientific progress since then. The difficulty in explaining the origin of life in naturalistic and materialistic ways after Miller-Urey experiment as well as the elucidation of the chemical structure of DNA in 1953 which were expected to help resolve the mystery of life's origin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how specified information in DNA and proteins could be generated from their building blocks. It is pointed out that continuing failure of naturalistic hypotheses to explain the origin of the biological information not only has deepened the mystery of the origin of life,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non-naturalistic explanations to come to the surface as an alternative explanation for the origin of life in recent years. Although such non-naturalistic explanation is not accepted as the scientific explanation by the scientific establishment at the present time, the debate between naturalistic and non-naturalistic perspective about the origin of life appears to be determined by the future scientific discoveries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factors.(Ajou University) 찰스 다윈의『종의 기원』 이후 서구 사회에서 생명의 기원에 대한 관점의 변화 역사가 과학 지식의 해석에 대한 사회적 환경의 영향에 강조점을 두고 간략히 제시된다. 다윈주의 혁명 이후 생명에 대한 새로운 과학적 발견과 이어 나온 생명의 기원에 대한 가설은, 과학적 진보에 따라서 생명의 개념이 크게 변화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으로 과학적 유물론과 자연주의의 관점에서 제시되어 왔음이 지적된다. 생명의 기원의 신비를 풀어줄 것으로 기대됐던 1953년의 밀러-유리 실험과 DNA 화학구조의 규명 이후 생명의 기원을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세포내 단백질과 DNA 속에 있는 생물학적 정보가 어떻게 그 구성요소들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는지와 관련하여 논의된다. 최초 생명의 생물학적 정보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자연주의적 가설들의 거듭된 실패는 생명의 기원의 신비를 심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최근 지적설계론과 같은 비자연주의적인 설명이 대안적 설명으로 부상하게 만들었다는 것이 제시된다. 비록 이런 비자연주의적인 설명이 현재는 기존 과학계에 의해 과학적 설명으로 수용되고 있지 않지만, 생명의 기원에 대한 자연주의적 관점과 비자연주의적 관점 사이의 논쟁은, 사회문화적 요소의 영향과 더불어, 결국 미래의 과학적 발견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조이스(R. Joyce)의 진화적 도덕 회의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선 ( Lee¸ Seon ) 한국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4 No.1

        조이스는 도덕 본유성 가설을 전제로 불가지론으로서 도덕 회의론을 전개한다. 이 논문은 조이스의 논의를 소개하면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1) 조이스는 경험과학적 증거들이 도덕 부산물 가설보다 도덕 본유성 가설을 지지한다고 주장하지만, 이 주장은 약점을 가진다. (2) 진화적 영향력의 정도에 대해서는 증거가 불충분하며, 보조 가설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도덕 부산물 가설이 비교 우위를 가질 수 있다. (3)조이스의 주장처럼 진화론으로부터 당위를 끌어내려는 규정적 진화 윤리학은 실책이다. (4) 귀납 추리와 가설 추리를 활용한 제한된 의미의 정당화 논의는 가능하다. (5)조이스는 진화 생물학이 불가지론으로서 도덕 회의론을 지지한다고 주장하면서 자연주의적 도덕 실재론과 도덕 구성주의를 비판하지만, 그 주장은 약점을 가진다. (6) 조이스의 도덕에 대한 엄격한 의미의 정의는 독단적인 면이 있고, 진화 생물학이 도덕 능력과 내용 모두를 잠식한다는 점을 선취하는 선결문제 가정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비판에 노출된다. (7) 도덕 본유성 가설의 의미를 제한하면 도덕 부산물 가설과 양립할 수 있다. (8) 도덕의 의미에 관한 엄격한 정의와 느슨한 정의도 양립 가능하다. (9) 진화론으로부터 불가지론으로서 도덕 회의론과 자연주의적 도덕 실재론 및 도덕 구성주의 모두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메타윤리학적 다원론을 함의한다. Joyce's discussion of developing moral skepticism as agnosticism on the premise of the moral innateness hypothesis cannot be argued in a strong sense. The rationale for that is as follows: First, the moral innateness hypothesis and the moral by-product hypothesis are compatible through the interlayer theory, and the metaethics perspective derived from each perspective is compatible. For example, moral skepticism and moral constructivism derived from the moral by-product hypothesis as agnosticism derived from the moral by-product hypothesis are compatible.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insufficient solid scientific evidence for the view of descriptive evolution ethics, it is safe to allow pluralism in terms of descriptive ethics. Second, Joyce's strict definition of moral concepts, which he uses as a tool for blackmailing moral naturalism and moral constructivism, is arbitrary. Loose definitions of morality should also be allowed, allowing for multiple definitions of moral concepts. As a result, Joyce's discussion of excluding moral naturalism and moral constructivism lacks convincing power. Third, prescriptive evolutionary ethics in the passive sense may be possible. Based on evolutionary evidence, metaethics theory can be "calibrated" by filtering out theories that the evidence does not support. It relies on inductive reasoning or abductive reasoning. If moral skepticism cannot be argued in a strong sense as Joyce's agnosticism, metaethical agnosticism or metaethical pluralism can be a safer option. I think Joyce would have supported metaethics pluralism if he had chosen to weaken the moral nature hypothesis and the strong definition of moral concepts.

      • 두 근본주의의 충돌

        양승훈(Paul S. Yang) 창조론오픈포럼 2009 창조론오픈포럼 Vol.3 No.1

        Since the publication of Darwin"s <On the Origin of Species> in 1859, there have been numerous debates between creationists and evolutionists. Why are they still vigorous in debates and what are their main points?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the debates mainly arise between two fundatmentalisms: creation science and naturalistic evolutionism. And I try to expose the main points of the debates and conclude that there are some strong metaphysical elements of creationism and evolutionism, which are based on the unproved and quite ideological assump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