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병원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간의 관계 조사

        정지수,이경선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death recognition, terminal care stress, terminal care performance, and other influencing factor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terminal care hospital nurses. Two hundred forty nurses working in 11 hospitals for the elderly located in G, N, C city were surveye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ree questionnaires: one on death recognition, one on terminal care stress, and a final one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using SAS 9.1.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urses' own mental and occupational stress was the cause of many difficulties in the practice of end-of-life care, where the nurse will often experience the death patients, which results in increased dysentery stres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pecies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recognition and terminal care stress were correlated with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er the clinical experience, the higher the quality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erminal care should be performed considering the longevity of the careers career and their death tendency. Further to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o reduce stress and to evaluate other variables affecting the care of the patient.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간의 관계를 파악하 고 이를 기반으로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 연구는 전라 남도 3개 도시에 위치한 요양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수행하였으며, 변수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영향인자를 분석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9.1 ver. 을 사용하였다. 간호사 자신의 정신적, 업무적 스트레스가 임종간호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간호사는 임종환 자를 자주 경험하면서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아진다. 죽음인식과 임종간호스트레스는 임종간호수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상경력 이었다. 요양병원간호 사의 임상경력이 많은 사람일수록 임종간호수행도가 높았으므로 임상경력을 고려한 임종간호수행이 이루어져야 하 며, 임종간호수행에 있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과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을 심도 있게 파악 하여 요양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간호수행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일 지역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영향 요인

        안영혜,서순림 한국장기요양학회 2018 한국장기요양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Vol.2018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 요양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종간호수행, 공감역량, 임종간호장애요인, 연명의료태도의 정도와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원으로 부터 인증평가를 획득한 200병상 이상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일반간호사로 210명을 편의 표집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역량은 5점 만점에 3.73(±.43)점이였으며, 임종간호장애요인은 5점 만점에 3.00(±.49)점, 임종간호수행은 4점 만점에 2.70(±.42)점, 연명의료 태도는 5점 만점에 3.37(±.39)점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임종간호수행 정도는 연령(F=8.42 ρ=.000), 결혼(t=-3.234, ρ=.001), 종교(t=-3.239, ρ=.001), 총 임상경력(F=3.703, ρ=.026),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수행과 공감역량(r=.654, ρ<.001)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1단계 위계에서는 일반적 특성을, 2단계 위계에서는 독립변수를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단계 모형에서 근무형태가 3교대 인 간호사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1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2단계 모형에서는 공감능력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52% 설명력으로 나타났다. 결론: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요인으로 공감역량이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근무형태에서 3교대근무 간호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높이기 위하여 공감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고뇌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주선,안숙희 한국의료윤리학회 2019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moral sensitivity and moral distress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in Korea. The study found (a)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ral sensitivity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r=.22, =.01), (b)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ral distress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r=.23, =.01), and (c)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ral sensitivity and moral distress (r=.14, =.1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nurses with higher moral sensitivity and more than 37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showed higher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ethics education programs for ICU nurses should be designed to enhance their moral sensitivity. 최근 연명의료결정제도의 시행 및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의 확대와 같이 인간존엄성 존중을 바탕으로 한 임종 돌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간호사는 전문적 간호를 수행하고 양질의 간호를 제공함에 있어 윤리적 판단능력을 요구하는 도덕적 문제를 많이 경험하고 있다. 특히 임종환자를 자주 접하게 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고뇌가 임종간호 수행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고뇌가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1년 이상 근무한 120명의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도덕적 민감성은 Lützén 등의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를 수정·보완한 한국판 도덕적 고뇌 측정도구를 이용하였고, 도덕적 고뇌는 Hamric 등의 도구를 채영란 등이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임종간호수행은 박순주의 도구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임종간호수행은 대상자의 근무경력(r=.20 =.02), 도덕적 민감성(r=.22, =.01), 도덕적 고뇌(r=.28, =.02)와 양의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1블록에서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고뇌를 독립변수로 입력할 때에는 두 변수 모두 임종간호 수행에 대한 유의한 영향변수였다. 그러나 2블록에 근무경력과 윤리교육 경험이 추가되었을 때에는 도덕적 민감성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37개월 이상일 때 임종간호수행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총 설명력은 10.6%였다. 도덕적 민감성은 ‘전문가적 책임’ 영역과 ‘환자중심 간호’ 영역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간호사가 중환자실에서 말기 또는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가치를 보호하는 것이 좋은 임종 돌봄을 수행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임종간호수행 정도를 높이기 위해 도덕적 민감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도덕적 민감성을 높일 수 있는 체계화된 간호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 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의 융복합적 영향

        임희영,윤미진,권영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2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examines the level of terminal care nursing care and the effects on terminal nursing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beliefs of nurses in the nursing geriaic hospital.. The subjects consisted of 442 nurse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that used SPSS WIN 22.0, and AMOS 5.0 statistical program was hypothetical model and path analysis of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terminal care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was statininificant to the terminal care stress, fatigue and locus of internal & external control. and the higher the internal control belief, the less stress of the terminal care and the higher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rs a more terminal care performance, It is considered that nursing hospital nurses who develop strategic programs and terminal care nursing will need to provide quality nursing education and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 수준을 알아보고 임종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병원 간호사 42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는 SPSS Win 22.0와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 경로분석은 Amos 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에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피로, 내적통제신념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내적통제신념이 높을수록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덜 받고 또한 임종간호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피로를 감소시킬수 있는 전략적 프로그램 개발과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병원 간호사에게 질적인 간호수행을 할 수 있는 교육이나 업무환경 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영향요인

        전민기,권명진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산업융합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죽음인식, 사전의사결정 태도가 임종간호수행 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복지부로부터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 기관으로 지정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호스피스 간호사 200명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서면 설문지와 인터넷 설문조사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2021년 8월 9일부터 9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죽음인 식, 사전의사결정 태도,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고 대상자 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Hierarchical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임종간호수 행과 죽음인식(r=.22, p =.002), 임종간호수행과 사전의사결정 태도(r=.20, p =.004)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독립변수를 추가한 MODEL2에서 연령, 사전의사결정 태도, 죽음인식이 유의한 임종간호수행 영향요인이었으며 이들의 설명 력은 10.4%이었다(F=3.90, p <.001). 호스피스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 영향요인을 고려한 중재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end-of-life care stress, death awareness,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s of nurses at a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institution have an impact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nurses working at a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institution.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9 to September 30, 2021, using two methods: written questionnaire and internet survey.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end-of-life care stress, death awareness,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d-of-life care performance and death awareness (r=.22, p =.002),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r=.20, p =.004).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and death aware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As death awareness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s increased,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creased, and end-of-life care stress did not appear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hospice nurses' ability to provide end-of-life care, interven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influencing factors is required.

      • KCI등재

        요양병원간호사와 간호제공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비교

        정지수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r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terminal Care management plans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and basic data necessary for terminal Care education. Data collection was from August 2020 to February 2021, and was conducted on 245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working at S city long-term care hospitals. This study collected data analyzed them with descriptive statistic, t-test, χ2,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SPSS 20.0 program. As a result, terminal care stress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was high, and the terminal care score was 3.29 and 3.35. In the terminal care score of nursing staff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of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Therefore, this will require a management plan for the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erminal car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본 연구는 요양병원간호사와 간호제공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두 군 간의 관계 및 차이를 파악하여 요양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간호 관리방안과, 임종간호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0년 8월부터 2021년 2월까지로 S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간호제공자 2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χ2, ANOVA, Pearson's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간호사와 간호제공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는 높은 수준 이었으며, 임종간호수행 점수는 3.29점, 3.35점으로 간호제공자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요양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간호 관리 및 임종간호 교육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구연희(Yeonhee Koo),민해영(Haeyoung Mi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5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임종간호스트레스와 환자-가족 중심 간호에 대한 인식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J시에 소재한 일개의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총 임상경력 12개월 이상인 임종환자를 1회 이상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193명이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사후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은 현부서 경력(F=3.60, p=.015), 근무부서(t=2.36, p=.019), 1년 이내 임종환자 간호제공횟수(F=2.76, p=.044), 환자-가족 중심 간호교육 경험(t=-2.26, p=.02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심리자본(β=.38, p<.001), 환자-가족 중심 간호에 대한 인식(β=.23, p=.001), 근무부서(β=.15, p=.014), 환자-가족 중심 간호 교육경험(β=.14, p=.026)이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29.0%로 나타났다(F=20.57, p<.001). 따라서 임종간호수행을 증진하기위해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환자-가족 중심 간호에 대한 인식 및 환자-가족 중심 간호교육경험을 높이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erminal care stress and perception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on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Data were collected from 198 nurs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inical nurses’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and working experiences in current unit (F=3.60, p=.015), work unit (t=2.36, p=.019), number of terminal care provided to dying patients within 1 year (F=2.76, p=.044), and experience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education (t=-2.26, p=.025).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nurse’s performance of terminal care we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38, p<.001), perception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β =.23, p=.001), work unit (β=.15, p=.014), and experience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education (β=.14, p=.026), explaining 29.0% of the variance. Therefore,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enhance clinical nurs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well as to increase their education experience and awareness of patient-family centered care in order to better perform terminal care.

      • KCI등재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및 자아존중감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원순,조헌하,권수혜,Kim, Won Soon,Cho, Hun Ha,Kwon, Suhy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9 No.2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relations among geriatric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xiety and self-esteem and the factors that affect nurses' terminal care str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completed by 212 geriatric hospital nurses working in 10 hospitals in K city and B metropolitan city. Resul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tress factors were terminal care performance and death anxiety. Significant predictors for terminal care stress were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were, the heavier the stress was.) These factors explained 32.5% of the variance in terminal care stres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an important factor of terminal care stress for geriatric nurses. Therefore,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to reduce their terminal care stress.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자아존중감 및 임종간호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시와 B광역시 소재 10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21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이었으며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았다. 이들 변수들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대하여 32.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효율적인 인력배치 등의 행정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죽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종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 수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임종간호수행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IPA 분석)- 요양병원 종사자를 중심으로

        박미라,제남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nursing performed targeting convalescent hospital workers and to utilize the data as a basis data for providing the end-of-life nursing education program.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113 convalescent hospital workers who received for certifi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in C city.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the 4-point likert scale of 21 items was used for Park & Choi's end-of-life nursing performance tool modified by Ju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he gap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nd-of-life nursing practice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IPA matrix. The areas that need to b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were the 'physical area' and the 'physiological area'. The 'spiritual area' appeared to be an area where further efforts were not needed and need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ntents focusing on 'physical area' and 'physiological area'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training program for end-of-life nursing care for the convalescent hospital workers. 본 연구는 요양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임종간호수행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임종간호수행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C시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받은 요양병원 근무자 113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연구도구는 Park의 임종간호수행 도구를 Jung이 수정·보완한 21문항의 4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은 서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임종간호수행 중요도와 수행도의 상호차이(Gap)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상호차이 결과분석은 IPA Matrix로 분석하였다. IPA Matrix를 분석한 결과, 계속 유지·강화해야 할 부분은 ‘신체적 영역’과 ‘생리적 영역’이었으며, ‘영적 영역’은 더 이상의 노력 투입이 불필요하며 앞으로 개선을 요하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종사자를 위한 임종간호수행 교육프로그램 구성시 실질적으로 요양병원 근무시 활용할 수 있도록 ‘신체적 영역’과 ‘생리적 영역’에 중점을 둔 내용 구성이 필요하며, 집중개선 영역의 수정전략과 유지·강화영역의 강화 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혈액종양내과 병동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죽음인식이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서연,김정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hematoonchology unit nurs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eath awareness on their terminal care performance.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 filled by 127 oncology nurses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The variables we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death awaren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0 software. Results: The participants scored 3.93±0.83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3.68±0.99 on death awareness and 2.86±0.65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three variab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were hope and resilience in the subcategory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xperience of death of family members, relatives or friends within the past year; The explanatory power was 32.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foster hope, resilience, etc. in hematooncology unit nurs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목적: 본 연구는 혈액종양내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죽음인식을 확인하고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임종간호 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시에 소재한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혈액종양내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27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해 긍정심리자본, 죽음인식, 임종간호수행을 조사하였고, 기술 통계, 피어슨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죽음인식, 임종간호 수행 간에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긍정심리자본의 하위 영역 중 희망, 회복탄력성, 지난 1년 이내 가족, 친척 또는친구의 죽음 경험이었으며 임종간호 수행에 대한 설명력은 32.1%로나타났다. 결론: 혈액종양내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하여 희망과 회복탄력성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