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에니어그램 2, 5, 8유형의 인물화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전원미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4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1 No.1

        상담현장에서 내담자를 이해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인물화 검사는 투사 그림검사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검사이다. 인물화에는 개인의 자아상이 투사되고, 이상화된 자기 모습과 대인관계에 대한 태도 등이 표현되며, 동시에 개인 무의식 세계의 동기나 욕구가 표현된다. 에니어그램은 개인의 본질적인 욕구와 동기를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아홉 가지 종류의 다른 생각, 감정, 행동의 패턴이 표현된다. 인물화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인간의 내면세계를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관계 향상이나 자기이해 및 타인이해를 목적으로 상담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인물화 해석이 정신분석적 상징에서 비롯된 것이다 보니 병리적인 부분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타고난 기질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물화를 분석하기 때문에 유형적 특성이 드러난 인물 표현도 병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에니어그램 2유형, 5유형, 8유형의 인물화 표현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지역에 사는 2유형 33명, 5유형 27명, 8유형 2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인물화 검사의 도구로는 Urban(1963)의 인물화 검사를 사용했으며, 전체 310개의 지표로 정리하였다. 2유형, 5유형, 8유형 인물화 검사에서 나타나는 표현 특성에 대해서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여 순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유형의 인물화에는 여성적 경향, 원활한 인간관계, 자기중심성이 표현되고 있다. 둘째 5유형의 인물화에는 지적인 관심과 차가운 태도에 대한 표현이 나타났다. 셋째 8유형의 인물화에는 공격성과 힘에 대한 표현, 독단적인 경향이 표현되었다.

      • KCI등재

        염상섭의 인물 유형과 인물묘사방법론 - 『백구』를 중심으로 -

        조미숙 ( Jo Mi-soo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3

        소설에서 서사에 비해 묘사는 덜 중요하게 여겨져 왔고 그 연구도 비교적 적다. 그러나 인물묘사방법은 서구에서는 15세기부터 관심을 가져온, 소설의 `진실성`에 더없이 중요한 개념이다. 인물묘사방법은 주제의식과도 관련될 수 있다. 이 글은 에니어그램에 의한 소설 등장인물 분석의 시론으로서 인물을 유형화하고 그 각각의 인물묘사방법 양상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에니어그램의 여러 유형으로 염상섭 『백구』의 인물들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장인물은 비교적 적으나 머리형, 가슴형, 장형 인물이 고르게 분포한다. 머리형에는 박영식, 조혜숙 등 사색가형 인물들을 들 수 있고 가슴형에는 원랑, 조종호 등을, 장형에는 유경호, 원랑 모친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염상섭 인물들은 반복되면서도 변화가 보인다. 1유형의 김병화 유형, 5유형의 조덕기 유형, 이필순 유형에서 그 반복을 볼 수 있고 사색가형 인물의 예처럼 큰 변화도 나타난다. 셋째, 남성 주인공상이 크게 변화하고 서사에서 사라지기도 한다. 조덕기 유형 인물들이 우유부단하고 자조적이며 모든 것에 무관심한 박영식으로 변화되는 것은 강점기 안정된 삶이 힘들다는 작가의 인식이 반영된다. 넷째, 인물묘사방법상 특징은 머리형 인물은 설명이나 내면묘사를 비롯하여 다양하게 묘사되고 가슴형 인물은 작가의 편들기가 많으며 본능형 인물들은 생략이 많거나 거의 없다는 것이다. 삼부작 속 신여성들은 이전의 신여성상에 비해 긍정적으로 그려지는 바, 『백구』에서 더욱 뚜렷해졌다. 다섯째, 염상섭 작품에서 에니어그램의 모든 인물이 고루 발달하지는 못하고 특정 유형으로 치우친다. 모든 일을 낙관적으로 보려 하며 밝고 명랑한 7유형 팔방미인형이나 혼란을 수습하고 좋은 환경을 만들어 가는, 평화주의자 9유형이 없다. 이것은 작가가 강점 하 시대상황을 바라보는 시각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of characters by focusing on the personality types based on enneagram, and examines the characterization methods of each person. In novels, depiction is considered less important than narrative, and the research is relatively small. However, the method of portraying character(characterization) i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truthfulness` of the novel,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from the 15th century in the West. Direct definition or indirect presentation of person description methods are all related to the artist `s speech. Objective and realistic portrayal of characters can also be related to theme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s in various types of enneagram, First, the characters of Bekgu are evenly distributed in hair, chest, and long form. There are figures in the head type such as Park Young Sik and Jo Hye Sook. The chest type includes Wonrang and Jo, Jongho. There are Yoo Kyung-ho, mother-in-law and so on. Second, the characters appear repeatedly. 1 type of Kim Byung-hwa series, and 5 types of Jo deok-ki series. Third, the characters change in each type. Joe deok-ki → Lee Won-young → Park Young-sik, for example, is a specially-trained person. Fourth, there is a characteristic in the person description method. Hair figures are describ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descriptions and inner descriptions. The chest type person has many sideways of the artist. The instinctive characters have many omissions or little descriptions. Fifth, all the characters of the enneagram were not developed well in Yeon Sang-Sup. There are four types of motivational types: seven types, eight types, and nine types of pacifists.

      • KCI등재

        〈미스터 션샤인〉의 인물유형과 이미지텔링

        조미숙(Mi-Sook J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5

        이 글은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형과 에니어그램 인물유형론을 적용하여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인물유형을 분석하고 그 이미지텔링 방법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한류 드라마가 중요한 콘텐츠가 되고 있는 오늘날 그 등장인물의 유형과 묘사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해진다. 드라마의 영향력에 있어서 인물은 핵심적 요소이기 때문이다. 인물 유형 분류를 위해 인물의 작중 내 역할에 주목하는 행위소 모형에 <미스터 션샤인>을 적용한 결과 주체는 유진 초이와 고애신, 원조자는 주체를 돕는 많은 이들, 대립자는 친일파 인물들, 발령자는 고종, 수령자는 조선의 국민들로 나타났다. 이를 인물 성격 유형인 에니어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주체는 3, 5유형, 원조자는 다양한 유형, 대립자는 3유형, 발령자 5유형, 수령자 모든 유형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정 역할, 특정 성격을 드라마에서 어떻게 이미지텔링하는가가 이 글의 또 다른 관건이었는데, <미스터 션샤인>의 경우 주체는 내레이터를 통한 내면 보이기, 서사 진행 등 자신을 설명하는 이미지텔링 방법을 사용했다. 원조자 일부, 발령자는 내면 보여주기의 이미지텔링 방법도 아울러 사용했다. 하지만 대립자는 간접적 보여주기로만 이미지텔링되었다. 이로써 드라마 인물 유형별 이미지텔링 방법상의 차이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types of characters in the drama 〈Mr. Sunshine〉 by applying Gremas"s Actantial model and Enneagram"s character typology and examines how they are shaped. As the Korean Wave is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ype of characters and how to describe them. Charact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influence of drama. As a result of applying 〈Mr. Sunshine〉 to the Actantial model,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main subjects are Yu-jin Choi and Ko Ae-sin, the Helpers are many people helping the subject, the opponent is the pro-Japanese figures, the Sender is Gojong, and the recivers are the people of Joseon. Analysis results by personality type of Enneagram,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are 3 and 5 type, the Helpers are various types, the opponent is 3 type, the Sender is 5 type, and the receivers all types. In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subject, internal description (direct description) is used, and the other is only formed by indirect description. Some of the Helpers and the Sender are used an image-telling method to show the inside. However, the opponent is image-telling only to show indirectl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s and effects on the method of image-telling by character type.

      • KCI등재

        한국오페라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형 특성 연구

        손수연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2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5

        As a tangible study, this study is targeting people who appeared in theKorean Contemporary Opera. Among them, the purpose is to find newpossibilities by identifying the types of female characters and related narrativestructures and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Koreanopera, analyzing the existential characteristics centering on female charactersis considered a necessary task to diversify the selection of opera materials. To this end, from a feminist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forms of femalecharacters are reproduced in the Korean opera was classified. One of thereasons for the lack of popularity of Korean opera is the flat narrativedevelopment based on the selection of clichéd materials. Therefore, the typeof character also shows a stereotyped pattern, and in particular, which hasbeen centered on men, it can be seen that female characters are moresuperficial and reproduced in pre-modern forms. When Western opera,which is divided into four types of female characters as victims, obstructors,assistants, and saviors, was compared to Korean opera, the female charactersof Korean opera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victims and assistants,showing different patterns. The first type, victims can be seen as oppressionaccording to the frame of a virtuous woman or filial daughter in our opera,where Confucian ideology works strongly, and as the second type, most female characters who do not sacrifice themselves are only assistants or justneighbors of male characters. However, in recent years, women in theKorean opera have also tended to be portrayed as enterprising people whocan express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These changes are also related tothe tendency of diversification and multilaterality of sanctions. In addition,from a feminist perspective, it can be seen that modern opera has begun tocapture the spirit of the times that can be sympathized. It is hoped that thechange in the type of female Korean opera characters examined through thisstudy will have a forward-looking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Contemporary opera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유형연구로서, 한국오페라에 나타난 인물을 대상으로 한다. 이 중에서여성의 인물 유형과 관련된 서사구조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특성과 전개양상을 분석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오페라에서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존재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은 오페라 소재 선택의 다변화를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페미니즘 이론적인 관점에서 한국오페라의 여성 인물이 재현되는 형태를 유형화했다. 현재 한국오페라의 인기가 높지 않은 원인 중 하나로 진부한 소재에 따른 평면적인 서사 전개가 꼽히고 있다. 때문에 등장인물의 유형또한 정형화 되어 나타나는데 특히 남성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한국오페라에서 여성인물은 더욱 피상적이며 전근대적 형태로 재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양 오페라에등장한 여성의 인물유형을 희생자. 방해자, 보조자, 구원자 등 4개 유형으로 나누고우리 오페라와 대조했을 때, 한국오페라의 여성 인물유형은 희생자, 보조자 등 2개유형으로만 분류되어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첫 번째 유형인 희생자형은 유교이념이 강하게 작용하는 우리 오페라에서 열녀 혹은 효녀 프레임에 따른 억압으로볼 수 있고, 자신을 철저히 희생하지 않는 여성 인물들은 대부분 남성 인물의 보조자나 주변인에 그치는 것을 한국오페라 여성 인물의 두 번째 유형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국오페라 속 여성도 개성과 주체성을 표출할 수 있는 진취적 인물로 형상화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이 같은 변화는 제재의 다변화와 다각화 경향과도연관이 있다. 또한 페미니즘적인 시각에서도 현대 오페라로서 공감할만한 시대정신을 담아내기 시작한 것이라고 파악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알아본 한국오페라 여성인물의 유형 특성이 향후 한국오페라 발전에 전향적인 영향을 미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아동의 성격유형과 동화 속 인물에 대한 독자반응의 관계

        간정선 ( Jungsun Gan ),정옥년 ( Okryun Jung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5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6 No.-

        본 연구는 아동의 MBTI 성격 유형과 동화 속 등장인물에 대한 독자 반응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6명의 초등학생을 선정하여 MMTIC을 수행하였으며, 이들 아동이 수행한 독서 토론 자료를 수집하여 아동의 4가지 선호 지표와 독자반응, 성격의 기능유형과 독자반응, 성격의 기질 유형과 독자반응 관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차례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격 선호 지표에 따른 독자 반응에서는 외향형은 내향형에 비해 토론활동에서 발언 횟수가 많았으며, 감각형은 부분적인 것에 집중, 책임의식이 표출되었다. 반면 직관형은 자유스럽고 전체적인 것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사고형은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해 객관적이면서 원인 결과를 분석하는 반면, 감정형은 등장인물에 대해 감정적, 주관적 해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판단형은 목적의식을 분명하게 표출하는 반면, 인식형은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해 허용적, 개방적 반응을 보였다. 둘째, 성격의 기능 유형에 따른 독자 반응에서는 ST유형은 성실, 근면, 책임감, 전통의 가치관으로 등장인물을 해석하였으며, SF유형은 헌신, 인화, 책임, 화해의 가치관으로 등장인물을 선호하였다. NF유형이 등장인물에 대해 열성, 통찰, 인화, 성장의 가치관으로 바라본 반면, NT형은 독창성, 지식추구, 논리의 가치관으로 등장인물의 행동을 해석하였다. 셋째, 성격의 기질 유형에 따른 독자 반응에서는 SJ유형은 SJ의 MBTI 일반적인 특징 중 안정지향의 욕구, 성실 책임의 욕구를 나타내었으며, SP 유형은 자유, 충동의 욕구, 나눔의 욕구, 협상가적 경향을 드러내었다. NF와 NT의 유형에서도 MBTI 일반적 특징 중 자신과 타인의 성장지향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와 지식추구, 논리적, 객관적 성향, 자신감 실현의 욕구를 각각 나타내었다. 추후 연구방향이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시사점과 함께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response to the characters in fairy tales. A total of six 6th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 readers’ response to fairy-tale characters were consistent with general features of the preferred directions, function type, and temperament type of personality. Second, child readers preferred fairy-tale characters whose types were different from their types and wanted to be like those characters, which suggest that it be educational and effective to expose children to different fairy-tale characters. Third,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consideration other people’s behavior or thinking in reality. The reading has potentials to become the springboard for the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Lastly, since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ader response patterns differ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both children’s personality types and fairy-tale characters when parents read the fairy-tale books to their children. Future direction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총서와 인물유형

        김은정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4 No.-

        This study is a groundwork to study the series intens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methods to create the series through the types of characters. The types of characters in this series comprehend those shown in the North Korean novels. Accordingly,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types of characters who encourage the first parts of the story would be useful in taking a view at the series and in analyzing the North Korean novels. In this study, the types of characters were first divided into three groups: core group, sympathizer group, and hostile group. Then they were again classified into 10 groups which had come up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Finally, the types of characters were subdivided by 27 lines of characters.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 model was presented and the relationships, distance, and configuration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creating method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ve shown that the relationship within the core class was one of mimicking.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sympathizer group was attempting to enter into the core group by copying them. In case of the hostile group, they made relations with the sympathizer class but some class did not encounter the Absolute. Especially, in case of the hostile group, ‘the Ambivalent’ and ‘the Positivist’ were close to the Absolute but were never cultivated by Him, which made us realize that one could not attribute the decision of the positive characters and negative characters to the matter of the distance from the Absolute. Moreover, considering that the behavior types of character have been regularly shown in the works of writers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roups, it could be assumed that there was an internal guide to create basic characters. 이 연구는 총서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 이 연구는 인물유형을 통해 인물관계와 총서의 창작방식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총서에 등장하는 인물유형은 북한소설에 나타나는 인물유형을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서사를 추동하는 인물유형의 분류와 분석은 총서를 조망하는데 유용할 것이며, 북한소설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인물유형을 핵심계층, 동조계층, 적대계층으로 대분류 한 후 식민지 상황아래 나타나는 10개의 그룹으로 다시 분류하였으며, 27개의 ‘인물선’을 통해 인물유형을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결과를 통해 모형을 제시하고 인물간의 관계와 거리 그리고 구조와 창작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핵심계층간의 관계는 모방의 관계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동조계층은 핵심계층을 모방함으로서 핵심계층으로의 진입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적대계층의 경우 동조계층과 관계를 맺지만, 일부 계층은 절대자와 마주치지 않았다. 특히 적대계층의 경우 ‘이중적 인물’과 ‘실증주의자’의 경우 절대자의 가까이에 있지만 결코 교양되지 않아 긍정적인 인물과 부정적인 인물의 결정을 절대자와의 거리의 문제로 볼 수 없음을 알게 하였다. 또한 그룹간의 관계를 통해 그룹 간의 인물행동 유형이 작가들에게서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때 기본적인 인물창조에 대한 내부적 지침이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욘 포세 Jon Fosse 희곡의 등장인물 유형에 관한 연구

        송선호(Song, Seonh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60

        본 연구는 1990년대부터 독특한 언어로 유럽 연극계의 주목을 받아 온 노르웨이의 작가 욘 포세 Jon Fosse (1959- )의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유형을 분석한 것이다. 포세의 희곡은 가족, 연인, 친구 등 가장 밀접한 인간 관계 속의 인물들이 제한된 공간에 등장하는 ‘닫힌 텍스트’, 또는 ‘사적(私的)인 텍스트’로 규정할 수 있다. 그는 거의 모든 희곡들에서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는데, 이렇게 인생에서 가장 잘 아는 친밀한 관계 속의 인물들을 다루는 이유는 그가 인간의 심리보다 인간의 관계를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는 작가이기 때문이다. 연구의 주안점은 포세가 이러한 관계를 묘사하기 위해 어떤 인물들을 창조하여 배치하는가 하는 데 있다. 각기 다른 작품에서 포세의 등장인물들은 그 성격과 행위에서 공통점을 보이는데, 그것을 유형별로 분류해 보면 고립된 인물, 부재자, 그리고 방문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분석을 위해 먼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이름 The Name>, <방문 Visits>, <소파 위의 소녀 The Girl on the Sofa>, 그리고 연인들의 이야기를 다룬 <누군가 올 거야 Someone is going to come>, <가을날의 꿈 Dream of Autumn>, <어느 여름날 A Summer"s day>, <겨울 Winter> 등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포세의 희곡은 베케트 Samuel Beckett, 핀터 Herold Pinter, 콜테스 Bernard-Marie Koltes 등의 작가와는 다른 방식으로 인간 존재의 문제를 다룬다. 연구를 통해 그의 희곡에서 친밀한 인간관계 속의 인물들이 어떤 유형으로 구성되는지를 탐색해 봄으로써 그의 주제라 할 수 있는 ‘생의 어려움과 불가해함’을 ‘사적 텍스트’로 표현하는 포세 희곡의 특성에 접근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 of characters in the drama of Jon Fosse (b. 1959), a Norwegian author who has drawn attention from the European theater with his unique language since the 1990s. Fosse"s drama places all characters that are in the closes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such as family, lovers, or friends in a limited space, which can be identified as "closed text" or "private text". He uses such structures through most of his dramas that deal with people who are in the closes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ir lives as he focuses on describing human relationships rather than a mentality.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what types of characters he creates and places in his drama to describe their relationships. Characters in his different dramas have some common features in their personalities and behaviors which can be categorized as an isolated character, an absentee, and a visitor. This study deals with several dramas for analysis including some stories of families <The Name>, <Visits>, <The girl on the sofa>, and stories of lovers <Someone is going to come>, <Dream of Autumn>, <A Summer"s day>, <Winter>. Fosse"s drama deals with the issue of human existence in different ways from those of authors including Samuel Beckett, Herold Pinter, or Bernard-Marie Koltes. This study helps understand the features of Fosse"s dramas that depict his main themes of "complexities of life" and "inexplicability of life" in his "private text" by exploring the composition of types of characters in their close human relationships. 본 연구는 1990년대부터 독특한 언어로 유럽 연극계의 주목을 받아 온 노르웨이의 작가 욘 포세 Jon Fosse (1959- )의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유형을 분석한 것이다. 포세의 희곡은 가족, 연인, 친구 등 가장 밀접한 인간 관계 속의 인물들이 제한된 공간에 등장하는 ‘닫힌 텍스트’, 또는 ‘사적(私的)인 텍스트’로 규정할 수 있다. 그는 거의 모든 희곡들에서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는데, 이렇게 인생에서 가장 잘 아는 친밀한 관계 속의 인물들을 다루는 이유는 그가 인간의 심리보다 인간의 관계를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는 작가이기 때문이다. 연구의 주안점은 포세가 이러한 관계를 묘사하기 위해 어떤 인물들을 창조하여 배치하는가 하는 데 있다. 각기 다른 작품에서 포세의 등장인물들은 그 성격과 행위에서 공통점을 보이는데, 그것을 유형별로 분류해 보면 고립된 인물, 부재자, 그리고 방문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분석을 위해 먼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이름 The Name>, <방문 Visits>, <소파 위의 소녀 The Girl on the Sofa>, 그리고 연인들의 이야기를 다룬 <누군가 올 거야 Someone is going to come>, <가을날의 꿈 Dream of Autumn>, <어느 여름날 A Summer"s day>, <겨울 Winter> 등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포세의 희곡은 베케트 Samuel Beckett, 핀터 Herold Pinter, 콜테스 Bernard-Marie Koltes 등의 작가와는 다른 방식으로 인간 존재의 문제를 다룬다. 연구를 통해 그의 희곡에서 친밀한 인간관계 속의 인물들이 어떤 유형으로 구성되는지를 탐색해 봄으로써 그의 주제라 할 수 있는 ‘생의 어려움과 불가해함’을 ‘사적 텍스트’로 표현하는 포세 희곡의 특성에 접근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 of characters in the drama of Jon Fosse (b. 1959), a Norwegian author who has drawn attention from the European theater with his unique language since the 1990s. Fosse"s drama places all characters that are in the closes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such as family, lovers, or friends in a limited space, which can be identified as "closed text" or "private text". He uses such structures through most of his dramas that deal with people who are in the closes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ir lives as he focuses on describing human relationships rather than a mentality.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what types of characters he creates and places in his drama to describe their relationships. Characters in his different dramas have some common features in their personalities and behaviors which can be categorized as an isolated character, an absentee, and a visitor. This study deals with several dramas for analysis including some stories of families <The Name>, <Visits>, <The girl on the sofa>, and stories of lovers <Someone is going to come>, <Dream of Autumn>, <A Summer"s day>, <Winter>. Fosse"s drama deals with the issue of human existence in different ways from those of authors including Samuel Beckett, Herold Pinter, or Bernard-Marie Koltes. This study helps understand the features of Fosse"s dramas that depict his main themes of "complexities of life" and "inexplicability of life" in his "private text" by exploring the composition of types of characters in their close human relationships.

      • KCI등재

        필기의 인물 유형과 인간관 연구에 관한 시론 -조선 전기 일화를 중심으로-

        류정월 한국고전문학회 2022 古典文學硏究 Vol.61 No.-

        In this paper, I examine how the shape of the characters appears differently by categorizing the technology method for anecdotes contain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language that reveals the story of the character in the anecdot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theoretical one and a narrative one or a state one describing the aspect of existence-a characteristic one and a dynamic one describing behavior. According to these two competing methods, three technical methods in which characteristics and track records match, and only track records appear if they do not match were identified, and the effect of characterization in each case was examined. If the description of the character's characteristics and his/her actions match one-on-one, the character is likely to have clarity that does not suit the real character. If the characteristics and track records do not match, the description of the character does not completely control the character's track record, and the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is not made without leaving a trace. When there are words and actions that remain without being defined as characteristics, the entity that is the subject is summon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 Beyond typology and planarization, you think about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character. In some cases, only other activities appear, and in this case, it belongs to one of the previous two typ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thod of shaping various characters, it can be seen that two extreme human figures coexist in the writing. One is a paper-thin planar humanoid and the other is a complex, contradictory, and ambiguous humanoid close to reality. In this paper, it is considered that the latter is a characteristic form of writing and a form tha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record and remember if it were not for writing to deal with the substance. Furthermore, this paper discusses that the lack of recognized language for changing characters yields a perspective on humans of the time as fixed and essential beings. 이 논문에서는 조선 전기 필기에 수록된 일화를 대상으로, 그 기술 방식을 유형화함으로써 인물의 형상화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필기의 인물 유형과 인간관에 대해 추론하고자 한다. 일화에서 인물의 사연을 드러내는 언어는 크게 의론적인 것과 서사적인 것 혹은 존재의 양태를 기술하는 상태적인 것-특질-과 행위를 기술하는 동태적인 것-행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결합 방식에 따라 특질과 행적이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적만 나타나는 세 가지 기술 방식을 변별하고 각각의 경우 인물 형상화의 효과를 살폈다. 인물 특질에 대한 서술과 그의 행적이 일 대 일로 일치하는 경우 인물은 실제 인물에게 어울리지 않는 명료함과 분명함을 갖출 가능성이 높다. 특질과 행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질에 대한 기술이 인물의 행적을 온전히 지배하지는 못하고 인물에 대한 설명이 남김없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질로 규정되지 않고 잔존하는 말과 행위가 있을 때 인물의 이해를 위해서는 그 주체인 실체를 소환하게 된다. 유형화와 평면화를 넘어 인물의 실제 모습에 대해 사유하게 하는 것이다. 그 외 행적만 나타나는 경우는 앞의 두 가지 중 한 가지 유형에 속하게 된다. 여러 인물에 대한 형상화 방식에 대해 살펴본 결과 필기에는 두 가지 극단적인 인간형이 공존함을 알 수 있다. 하나는 종이처럼 얄팍한 평면적 인간형이고 다른 하나는 실체에 가까운 복잡하고도 모순되고 모호한 인간형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변화하는 인물에 대한 공인된 언어의 결핍이 인간을 고정적이고 본질적인 존재로 보는 인간관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가설을 추론한다.

      • KCI등재

        사하르 칼리파 소설 『뜨거웠던 봄』에 나타난 인물 유형 연구

        이슬아,이종화 한국이슬람학회 2024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34 No.1

        사하르 칼리파는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다양한 유형을 케릭터화 시켜 독자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고 있으며. 등장인물들을 통해 본인이 이야기 하고자 하는 바를 전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드라마 인물 분석 틀을 접목시켜 소설 『뜨거웠던 봄』에 나타난 이스라엘에 저항하는 팔레스타인인들의 인물 유형을 세 명의 등장인물을 통해 알아보았다. 먼저 아흐마드는팔레스타인에서 살아가는 일반적인 학생이었으나 이스라엘 정착촌에 들어갔다가 지뢰를 심었다는 혐의를 받고 끌려가 고문을 당한다. 이후 출소하여 팔레스타인 현실을 깨닫고 정적인 인물에서 행동하는 인물로 바뀌게 되는 다면적인 모습을 보인다. 또한 그는 이스라엘에 대한 저항방식을 비폭력에서 폭력적으로 전환하는 예외적 인물이다. 마지드도 유명한 가수가 되길 꿈꾸는 평범한 청년에서 혁명대의 일원으로 이스라엘에 맞서 싸우는 폭력적 저항 정신을 보이는 예외적 인물이다. 또한 그는 민족 해방을 위해 투쟁하는 인물에서 권력을 좆는 이기적인 인물로 변해가는 다면적 인물 유형이다. 수아드 엄마는 가정에서는 수감된 남편을 대신한 가장의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는 평면적이고 정적인 인물이자 사회에서는 혼돈 속에 흔들리는 젊은이들의 정신을 잡아주는 사회의 지주이자 어머니의 역할을 하는 본보기적 인물이다. 본 연구는 사하르 칼리파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 유형을 분석하여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팔레스타인의 다양한 저항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Sahar Khalifah becomes familiar to readers by characterizing various types of Palestinians who resist of Israel. He conveys what he wants to say through the characters.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drama character analysis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types of Palestinians resisting of Israel in the novel 『Hot Spring』 through three characters. First, Ahmad was an ordinary student living in Palestine, but when he entered an Israeli settlement, he was accused of planting landmines and was taken away and tortured. After he was released from prison, he realized the reality of Palestine and showed a multifaceted appearance, changing from a static figure to a person of action. Additionally, he is an exceptional person who changed his method of resistance against Israel from non-violence to violence. Majid is also an exceptional person who goes from being an ordinary young man who dreams of becoming a famous singer to showing a spirit of violent resistance fighting against Israel as a member of the revolutionary group. Additionally, he is a multifaceted character who changes from a person fighting for national liberation to a selfish person seeking power. At home, Suad's mother is a flat and static figure who silently fulfills the role of head of the household in place of her imprisoned husband. In society, she is an example of a supporter and mother who holds the spirits of young people shaken by chaos.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characters that appear in Sahar Khalifa's works and showed various aspects of Palestinian resistance against Israel.

      • KCI등재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사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 제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인물’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사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이승준(Lee Seung-jun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5

          본 논문은 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에 실려 있는 서사이론 중 ‘인물’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개선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BR>  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인물에 대한 설명은 전체적으로 성격의 의미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것은 인물의 일반적 의미, 인물의 유형, 인물 제시 방법 그리고 학습 활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BR>  인물의 일반적 의미나 인물 제시 방법은 큰 문제가 없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인물의 유형에 대한 설명 부분이다. 주요 인물과 부차적 인물은, 서사물에서 인물이 차지하는 비중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용어이다. 주동 인물이나 반동 인물은 모두 서사의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모두 주요 인물에 해당된다. 평면적 인물과 입체적 인물은 성격 변화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없다. 그것은 선택과 배제의 관계가 아니라 좌표적 관계에 놓여 있는 개념이다. 그것은 성격의 단일성과 복합성의 문제이다. 전형적 인물과 개성적 인물에 대한 구분은 편의적 구분으로 보아야 한다. 양자의 관계는 상호 독립적이다.<BR>  인물론은 인물과 사건, 인물과 구성, 인물과 구조, 인물과 배경(혹은 환경), 인물과 주제 구현의 문제 등을 고려하여 보다 통합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study on the study on the character in the literature textbooks of the seventh educational process.<BR>  The theory about the character focus on the sense of the character in the literature textbook of the seventh educational process. This is composed with the general sense, the pattern, the expressional method and the practical question. Ultimately the learning should help the student to appreciate the works. But these textbooks have many problem to make the student confused.<BR>  The pattern has the most serious problem. The flat character and the round character cannot classify on the change of character. The flat character has a only one persona, but the round character has very many personas. The relations of both are not exclusive but of the polar. And typical character and individual character are the expedient classification. The relations of both are independent.<BR>  The theory about the character should get beyond the subject of the character itself. It should become the theory about relations of the character and the plot, the character and the background, the character and subject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