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금강유역 논산지점의 수위-유량곡선식과 RRFS에 의한 유출 분석

        맹승진,이상진,류경식,황만하,김형산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0 Crisisonomy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댐 하류지역의 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금강수계의 댐 하류지역인 논산지점을대상으로 기 개발된 수위-유량곡선식에 의해 추정된 유출량과 RRFS에 의해 추정된 유출량을 실제 분석하고자하는 시점에서 도보측정에 의해 측정된 유출량과 비교하였다. 이러한 유출분석을 위해 유출분석의 기초자료인 논산유역의 면적강우량을 산정하고자 8개의 강우관측지점을 선정하고 티센계수를 구하였다. 각 방법별 유출량의 비교를 위해 도보측정에 의한 유출량은 2005년부터 2006년까지 각각 39회와 40회에 걸쳐 측정되었고 기 개발된 수위-유량곡선식에 의한 유출량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수위-유량곡선식을 사용하여 추정되었으며 RRFS에 의한 유출량은 매개변수의 민감도분석과 보정에 의해 추정되었다. 이들 방법에 의한 유출량 중에서도보측정에 의한 유출량을 참값으로 가정하고 수위-유량곡선식에 의한 유출량과 RRFS에 의한 유출량, 각각에대한 상대평균제곱근오차와 상대절대오차를 구하였다. 이러한 오차분석 결과에서 2005년과 2006년 모두 RRFS에의한 유출량이 기 개발된 수위-유량곡선식에 의한 유출량보다 도보 측정에 의한 유출량에 더 근접하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향후 댐 하류 주요지점을 대상으로 유출분석을 실시할 경우 본 연구와 같은 분석 절차를 거쳐야 할 것이다.

      • GIS 기법을 이용한 하천 유역분지 유출량 산출의 효율성 고찰

        박의준,구자용,황철수 국토지리학회 2002 국토지리학회지 Vol.36 No.2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the experimental method to integrate the traditional water-budget model with a GIS-based surface analysis technique, ArcView with spatial analysis extension. It confirms that the runoff analysis by ArcView,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a strength of acquiring the runoff direction and the ratio of areal runoff, has a problem measuring the actual runoff because it converts the precipitation from atmosphere into ground runoff. The [resent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runoff estimation with the factor of water loss in water-budget model has an advantage of measuring water loss.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land convert types and the water loss offers the actual runoff from the urbaniz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GIS 기법을 이용하여 특정 유역의 정확한 유출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수분수지 기법에서 고려하는 각종 수문변수를 기존의 아크-뷰 수문분석에 적용하여 보정하고 이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지역으로 선정된 목포시 영산강 유역분지의 수분수지 분석결과 연간 강수량은 1,078mm, 저장량과 실재증발산량을 제외한 유출량은 286mm로 밝혀졌다. 둘째, 아크-뷰 수문분석 기법에서 이용된 강수량을 유출량으로 부여하여 계산한 결과, 연구지역의 유출량은 연간 5,133,436mm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 방법은 대기에서 공급된 강수량이 100% 유출로 환산된 것이기 때문에, 연구지역의 유출의 방향과 구역별 유출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계산된 유출량을 실질적인 유출량으로 분석하는데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분수지 기법에서 고려하는 수분손실은 고려하되, 지표피복의 유형은 고려하지 않은 방법으로 유출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에는 연간 1,361,932mm의 유출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방법은 아크-뷰 유출량 계산법의 한계를 수분수지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보완한 것으로, 강수에서 유출로 이어지는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수분손실량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수분수지 기법에서 고려하는 수분손실과 지표피복의 유형을 동시에 고려한 방법으로 유출량을 계산하였다. 이를 위해 위성사진을 이용한 연구지역의 토지피복자료를 이용하여 도시역을 추출하고 이를 계산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에는 연간 2.1006,692mm의 유출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수치는 연구지역의 도시화에 따른 지표피복의 변화에 의하여 자연적인 상태보다는 유출량이 많아짐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것으로, 수분수지 기법의 한계점을 보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새만금 상류유역의 유출량 추정을 위한 HSPF 모형의 적용성 평가

        정재운 ( Jaewoon Jung ),엄명철 ( Myungchul Eom ),최인규 ( Inkyu Choi ),조진훈 ( Jinhoon Jo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새만금 수역의 수자원 보존 및 목표수질 달성을 위해서는 상류유역으로부터 유출되는 장기적인 유출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유출량의 정량화가 되어야하지만 시간과 비용 등의 경제성을 고려했을 때 유출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장기유출모형은 TANK, PRMS, SWAT, HSPF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HSPF 모형을 선정하여 새만금 상류유역의 유출량을 산정 하였다. 새만금 상류유역의 크게 만경강 유역과 동진강 유역으로 구분되어지며, 만경강 유역의 토지이용현황은 논, 밭, 임야, 기타가 각각 23, 9, 50, 18%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진강 유역은 각각 33, 12, 38, 17%로 구성되어 있다. 모형의 검ㆍ보정을 위해서 2005년과 2006년의 대천지점(만경강 유역)과 신태인지점(동진강 유역) 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기상자료는 대천지점은 전주기상대, 신태인지점은 부안기상대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HSPF 모형의 유출량 보정을 위한 주요 매개변수는 LZSN(Model range : 0.01~100.0), INFILT(0.0001~100.0), AGWRC(0.001~0.999), UZSN(0.01~10.0), DEEPFR(0.0~1.0), INTFW(0.0~none) 등이 있으며, 모형의 보정을 위한 최적화 기법으로는 단순시행착오법을 사용하였고, 모형의 추정 오차를 평가하기 위해 결정계수 R<sup>2</sup>(Coefficient of Determination)을 사용하였으며 목적함수로서 RMSE(Root Mean Square Error)와 모형의 효율지수인 EI(Efficient Index)를 사용하였다. 모형의 유출량 모의 결과 보정기간(2005년) 동안 대천지점의 실측 및 모의 유출량은 각각 1793.1 mm와 1238.5 mm로 나타났고, 신태인지점의 실측 및 모의 유출량은 각각 1951.4 mm, 2609.5 mm로 나타났다. 모형의 효율지표를 평가한 결과 대천지점의 R<sup>2</sup>, RMSE, EI는 각각 0.84, 4.69 mm/day, 0.75로 나타났고 신태인지점의 R<sup>2</sup>, RMSE, EI는 각각 0.76, 4.74 mm/day, 0.72로 비교적 모의치가 실측치의 경향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검증기간(2006년) 동안 대천지점의 실측 및 모의 유출량은 731.4 mm와 699.0 mm로 나타났으며, 신태인지점의 실측 및 모의 유출량은 1321.6 mm와 1209.5 mm로 나타났다. 검증기간 동안 모형의 효율지표는 대천지점의 경우 R<sup>2</sup>, RMSE, EI가 각각 0.58, 3.92 mm/day, 0.57로 나타났고, 신태인 지점의 R<sup>2</sup>, RMSE, EI는 각각 0.39, 5.08 mm/day, 0.24로 나타나 BASINS/HSPF 모형은 새만금 상류유역의 유출량 산정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후변화 및 인간 활동이 금강 유역의 중권역 유출량 변동에 미치는 영향의 정량적 평가

        오미주,이주헌,김동욱,김태웅 한국수자원학회 202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6 No.6

        Precipitation, runoff, and evapotranspiration are changing worldwide due to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Because watershed runoff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hydrological cycl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watershed runoff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This study collected observed data of runoff,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evapotranspiration in the Geum River basin as well as their synthetic data according to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scenarios, investigated the trend of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using the Mann-Kendall test, and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on the watershed runoff using the climate elasticity approach and the Budyko framework.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y to changes in runoff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For example, the watershed with the greatest contribution from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y were the Yongdam Dam (#3001) basin and the Daecheong Dam (#3008) basin, respectively. Future climate change showed an increase i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 both RCP 4.5 and 8.5 scenarios, resulting in changes in runoff in the Geum River basin from 44.8% to 65.5%,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the effect on watershed runoff can be separated into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which will be important information in establishing sustain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plans.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으로 강수량, 유출량 및 증발산량 등이 변화되고 있다. 유역 유출량은 수문 순환의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으로 변화되고 있는 유역 유출량에 대한 분석은 수자원 관리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유역 중권역의 과거 관측자료 및 미래 대표농도경로(RCP) 시나리오에 따른 유출량, 강수량, 기온 및 증발산량 자료에 대해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하여 수문기상학적 변수의 추세를 분석하였고,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이 금강 유역의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기후 탄력성 접근법과 Budyko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과거의 유출량과 미래 유출량을 분석한 결과, 중권역마다 유출량 변화에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이 미치는 상대적인 기여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기후변화의 기여도가 가장 큰 중권역은 용담댐(#3001) 유역이었으며, 인간 활동의 기여도가 가장 큰 중권역은 대청댐(#3008) 유역이었다. 미래 기후변화는 RCP 4.5와 8.5 시나리오 모두에서 강수량과 온도의 증가가 나타났다. 이러한 기후 요인의 변화는 금강 유역의 유출량 변화에 44.8%에서 65.5%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출량은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뿐만 아니라 인간 활동에도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수자원 관리 계획을 세우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 HSPF 모형을 이용한 대호저수지 유역의 장기유출량 산정

        한국헌 ( Kukheon Han ),조진훈 ( Jinhoon Jo ),박명수 ( Myeongsoo Park ),윤동균 ( Dongkoun Yun ),황진욱 ( Jinwook Hwang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대호지는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어 방조제 및 배수갑문 공사는 1981년에 착공하여 1985년 12월에 준공되었으며, 현재 31개년이 경과되어, 몽리면적의 내용별 증감, 용수의 다양화 및 추가수요 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당초계획때 보다 확률강우량이 증대되고 장기간에 대한 퇴적으로 인한 내용적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등 수문조건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호지 유역을 대상으로 수자원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최근 수문조건을 고려한 장기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장기 유출 모형은 유역의 예상 유입량과 소비수량 예측을 통해 농업용 댐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유역규모, 유역특성 등을 고려해 장기유출량 산정을 위해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선정하였다. HSPF를 이용하여 장기유출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지형관련 주제도를 BASINS에서 구축하고, 강우, 온도, 풍속 등의 기상자료를 WDMUtil을 이용해 구축하여 HSPF 호환모형인 WinHSPF 모형을 통해 유출량을 계산한다. 대상유역인 대호저수지 유역의 장기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GIS 자료를 이용한 HSPF 모형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는데, 대상 유역은 준산간지역과 논, 담수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역별 지형특성은 수치지도와 ArcGIS 9.0을 이용하여 경사방향도, 경사분포도, 음영기복도, 표고분포도, 토양도, 토지이용도 등을 구축하였으며, 대호저수지 유역의 장기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전체를 14개 소유역으로 분리하였다. HSPF 모형의 기상자료는 본 지구 내 주변에 위치하면서 비교적 장기간 관측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기상청 관할서산관측소의 강우,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풍속, 운량 등의 관측자료(1970-2010)를 WDMUtil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기본 GIS 자료를 BAINS 4.0을 이용하여 HSPF 모형의 지형자료를 구축하였으며, 구축한 과정은 GIS에서 구축한 대상지역의 DEM, 하천도, 유역도를 이용하여 BASINS 4.0에서 Subbasin Parameters, Stream Network을 결정하고 Watershed Delineation을 구축하였다. 생성된 Subbasins, Streams, Outlets을 기본자료로 GIS 자료인 소유역별 토지피복분류도와 기상자료인 WDMUtil 자료를 이용하여 HSPF 모델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소유역별 토지피복분류도는 시가화 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나지, 습지, 수역(Water)의 7개의 대분류로 나누었고 시가화 건조지역의 불투수성은 60%로 설정하였다. 모형의 분석 결과, 대호호유역의 연간 총 유출량은 평균 171.3백만m3이었으며 연강우량의 평균치는 1,292.5mm로 나타났으며, 2010년 강우량이 2,132.8mm로 최고치를 나타냈고 총 유출량도 약 429.4백만m<sup>3</sup>으로 최고치였으며 유출고는 1.42m이다. 연강우량의 최저치는 1988년이었으며, 총 유출량은 1975년 51.4백만m3이 최저치로 유출고가 0.17m로 기록되었다. 이와 같이 WinHSPF를 이용하여 40년간(1970-2010)의 평균치를 산정한 결과 대상기간 강우량은 1,292.5mm, 강우량에 대한 평균 유출고는 580.4mm로 유출률은 0.44이다.

      • KCI등재

        논문 : 최소하천유출량을 고려한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방안

        이정우 ( Jeong Woo Lee ),정일문 ( Il Moon Chung ) 대한지질공학회 2013 지질공학 Vol.23 No.4

        안전채수량 개념은 지하수 양수와 함양과의 균형에 초점을 맞춘 방법으로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지하수 유출량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한다. 또한 하천과 연결된 충적대수층은 물공급과 수질면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기에 별도로 이해하거나관리할 수 없다. 따라서 미국 캔자스의 일부 지역에서는 기존의 안전채수량을 재평가하여 자연 지하수 배출량과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을 고려한 수정된 안전채수량 개념을 제시하였고, 기저유량의 일정부분을 포함시키기 위해 최소하천유출량(MDS) 개념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정된 안전채수량 개념을 우리나라에 맞게 적용하기 위해 하천유출과 연계한개발가능량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유출수문곡선으로부터 기저유출량을 분리하여 유황곡선으로 표시한 후, 결정된 최소하천유출량에 해당하는 양을 누적기저유출량에서 배제함으로써 개발가능량을 결정한다. 이 방법을 SWAT-K모형을 이용하여 통합모델링이 수행된 바 있는 무심천 유역에 대해 적용한 바, 연평균 개발가능량은 약 86 mm로 산정되었고, 각 소유역별로도 하천과 연계한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구할 수 있었다. The concept of safe yield places an emphasis on balancing groundwater withdrawal with groundwater recharge but ignores naturally occurring groundwater discharge. Because streams and their alluvial aquifers are closely linked in terms of water supply and water quality, to be properly understood and managed they must be considered together. Therefore, some districts in Kansas have reevaluated their safe-yield policies to account for natural groundwater discharge and stream-aquifer interactions by amending their safe-yield regulations to include a portion of baseflow as the minimum desirable streamflow (MDS). This study proposes a modified safe-yield policy in which the drought flow is chosen as the MDS. Baseflow separation was conducted from streamflow hydrograph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a flow-duration curve. The exploitable groundwater can be determined by subtracting MDS from the cumulative baseflow. This method was tested in the Musimcheon watershed, which was validated for streamflow using the SWAT-K model. The annually averaged exploitable groundwater in the whole watershed was estimated to be 86 mm. The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s were also estimated for each subwatershed in the Musimcheon watershed.

      • KCI등재

        대형 기름유출사고와 방제조치에 관한 연구 -1. 국내외 해양기름오염사고 건수와 유출량

        김광수,Kim, Kwang-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2

        해양기름오염방지를 위한 정량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최근 20년간(1993년-2012년) 국내 및 세계의 해양에서 발생한 기름유출사고에 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최근 20년간 국내 연안에서 발생한 기름오염사고건수는 총계 6,608건으로 평균 약 330건/년이었고 기름유출량은 총계 57,328 kL로 평균 약 2,866 kL/년이었다. 국내에서 유조선의 대량기름유출사고로 인하여 연간유출량이 1993년에 15,388 kL, 1995년에 15,773 kL, 1997년에 3,428 kL, 2007년에 13,008 kL로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 20년간(1993년-2012년) 세계의 사고건수는, 기름유출량이 8 kL(7톤) 이상인 경우, 총계 420건으로 평균 21건/년이었고, 세계의 기름유출량은 총계 약 800,000 kL(704,000톤)로 평균 약 40,000 kL(35,200톤)/년이었다. 특히 2012년에는 800 kL(700톤)을 초과하는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기름유출량이 8 kL(7톤) 이상인 사고에서 유조선의 대량기름유출사고로 인하여 세계의 연간기름유출량은 1993년에 약 159,000 kL(140,000톤), 1994년에 약 147,600 kL(130,000톤), 1996년에 약 90,900 kL(80,000톤), 1997년에 약 81,800 kL(72,000톤), 2002년에 약 76,100 kL(67,000톤)로 크게 증가하였다. 국내와 세계를 비교하면, 국내적으로나 세계적으로 공히 20년간 연간사고건수와 연간기름유출량과의 상관관계는 명확하지 않았으며 사고건수와 유출량이 모두 연도별로 변동 폭이 크지만 해가 거듭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8년부터 세계의 사고건수와 유출량은 모두 크게 감소하였고, 특히 2012년에는 800 kL(700톤) 이상의 기름유출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In order to obtain quantitative basic data for marine oil pollution prevention, the statistics of oil spill incidents in Korea and in the world for 20 years from 1993 to 2012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relation to the number of oil spills and the amount of oil spilt. In Korea for 20 years, total number and average annual number of oil spills were 6,608 cases and nearly 330 cases/year, respectively, and total volume and average annual volume of oils spilt were 57,328 kL and nearly 2,866 kL/year, respectively. Due to major oil spills from oil tankers, annual volumes of oils spilt in Korea were sharply increased to 15,388 kL in 1993, 15,773 kL in 1995, 3,428 kL in 1997 and 13,008 kL in 2007. In case of worldwide oil spills for 20 years, total number and average annual number of oil spills of 8 kL (or 7 tonnes) and above were 420 cases and 21 cases/year, respectively, and total amount and average annual amount of oils spilt 8 kL (or 7 tonnes) and above were about 800,000 kL (or 704,000 tonnes) and about 40,000 kL/year (or 35,200 tonnes/year), respectively. Major oil spills from oil tankers increased massively annual amounts of oils spilt worldwide to about 159,000 kL (or 140,000 tonnes) in 1993, about 147,600 kL (or 130,000 tonnes) in 1994, about 90,900 kL (80,000 tonnes) in 1996, about 81,800 kL (72,000 tonnes) in 1997 and about 76,100 kL (or 67,000 tonnes) in 2002. Obvious correlation between annual number of oil spills and annual amount of oil spilt was not found in both Korea and the world, while both annual number and annual volume tended to decrease with the lapse of year in both Korea and the world, though there were wide fluctuations from year to year in both annual number of oil spills and annual amount of oils spilt worldwide and in Korea for 20 years. From 2008 to 2012 worldwide, there were sharp decreases in both annual number and annual amount of oil spills. In particular, no oil spill of 800 kL (or 700 tonnes) and above occurred in the year of 2012.

      • KCI등재

        MIKE 모델을 이용한 산지소유역 강우유출 및 침수 분석 - 프랑스 Var river 유역을 중심으로 -

        이수원,장동우,정승권 한국수자원학회 202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6 No.1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강우가 내리는 집중호우의 발생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집중호우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유출량을 발생시켜 중소하천으로 합류되기 전, 산간지역 하류부분에 홍수를 발생 시킬 수 있다. 홍수로 인한 하류지역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집중호우에 대한 산지소유역 유출량 산정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은 분석을 진행하고 있는 하수관망 침수분석에서는 산지소유역의 강우유출량을 산정하기보다는 기존에 보유 데이터를 활용한 시간 ‧ 면적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의 토양 특성을 정확하게 적용하였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강우 발생 시 많은 유출량으로 인해 단시간 내에 하류지역의 침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산지소유역에 대한 강우유출량 분석을 진행한다면, 보다 정확한 유출량 산정을 통해 하류지역에 발생될 수 있는 침수 특성을 분석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하류지역의 주민 대피, 피해 범위의 산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지소유역 강우유출량 산정을 위해 MIKE series 중 MIKE SHE를 활용하여 산지소유역 강우유출량을 산정하였고, MIKE 21 FM (Flow model)을 통해 하류지역의 침수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산지소유역에 강우 발생 시 발생 유출량 및 하류까지의 도달 시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분석 결과는 향후 강우 발생 시 하류지역에 사전 대피를 통한 인적 ‧ 물적 자원을 보호하는데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마산만 유역의 지하수 유출량 추정

        양정석(Yang, Jeong-Seok),조홍연(Cho, Hong Yeon),정신택(Jeong, Shin Taek),김상준(Kim, Sang Ju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4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6 No.4

        마산만 연안유역의 지하수 유출량을 Darcy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지하수위, 관정의 위치, 투수계수, 대수층 두께, 해안선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한 지하수 유출량은 강우량 대비 1.65%정도이다. 마산만 유역의 암반층을 통한 지하수 유출량은 0.7×10⁴ m²/year정도로 추정되었으며, 충적층을 통한 지하수 유출량은 1.0×10<sup>7</sup>m³/year정도로 추정되어 암반층을 통한 유출량은 무시할 만한 정도로 파악되었다. 한편, 한국해양연구원(2003)에서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추정한 지하수 유출량은 본 연구에서 추정한 지하수 유출량의 20배 정도에 해당하지만, 이는 연안 대수층으로 침입한 재순환 해수의 영향으로 파악되었으며, 해안선에 근접한 관측정의 운영을 통하여 지하수위 및 염도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측하여 재순환해수의 정량적인 영향분석을 보다 상세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discharges of groundwater flow were estimated using Darcy's method along the coastal zone in the Masan Bay. The estimates using the information, i.e., groundwater level, location of the observation well, hydraulic conductivity, the thickness of the aquifer, and coastline length, were 1.65% of the precipitation of the watershed. The estimated groundwater discharges through fractured rock aquifer and the aquifer with sedimentary material were 0.7×10⁴m²/year and 1.0×10<sup>7</sup>m³/year respectively. Whereas, the discharge estimated by KORDI (2003) using isotopes method is about 20 times larger than the estimates from this stud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re-circulated seawater through the coastal zone aquifer. In order to quantify this effect in detail, the groundwater levels and salinity changes in the observation wells located in the coastal zone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and analyzed.

      • KCI등재

        기후변화 시나리오하의 기후 및 토지피복 변화가 유역 내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진수(Kim, Jin Soo),최철웅(Choi, Chul U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3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RCP 시나리오의 스토리라인을 기반으로 미래 토지피복변화를 예측하고, RCP 시나리오하의 미래 기후 및 토지피복 변화가 유역 내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RCP 4.5 및 8.5하의 기후 자료가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사용되었고, 토지피복변화 시나리오는 RCP 4.5 및 8.5 시나리오의 스토리라인과 로지스틱 회귀모형(LR)을 이용하여 개발된 모델에 의해 생성되었다. 기후변화만 고려한 경우, 토지피복변화만 고려한 경우로 두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각각의 시나리오에 따른 대상 유역 내 유출량을 모의한 결과는 유출량의 계절적 변화를 뚜렷이 나타내었다. 기후변화는 봄과 겨울에 유출량을 증가, 여름과 가을에 유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 토지피복변화는 기후변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역 내 유출량 변화에 미소한 영향을 주지만, 강수 유무에 따라 유출량의 증가 및 감소 패턴이 뚜렷이 나타났다. 따라서 수자원 정책 결정에 있어서 미래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의 패턴에 적합한 수자원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dict variations in future land use/land cover(LULC) based on the representation concentration pathway(RCP) storyline that is a new climate change scenario and to analyze how future climate and LULC changes under RCP scenario affects streamflow in the basin. This study used climate data under RCP 4.5 and 8.5 and LULC change scenario is created by a model that is developed using storyline of RCP 4.5 and 8.5 and logistic regression(LR). Two scenarios(climate change only and LULC change only) were established. The streamflow in future periods under these scenarios was simulated by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model. Each scenario showed a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in streamflow. Climate change showed that it reduced streamflow in summer and autumn while it increased streamflow in spring and winter. Although LULC change little affected streamflow in the basin, the pattern for increasing and decreasing streamflow during wet and dry climate condition was significant. Therefore, it"s believed that sustainable water resource policies for flood and drought depending on future LULC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