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 - 석기~철기 전환의 전단계 -

        이기성 한국청동기학회 2018 한국청동기학보 Vol.22 No.-

        한반도의 석기-금속기 전환 과정은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부터 원형점토대토기 문화를 거쳐, 삼각형점 토대토기 문화까지로 말해지고 있다. 이 과정 중에서, 위신재는 석기에서 청동기로, 실용기는 석기에서 철기로 대체되었다고 이야기되며, 이러한 인식에는 청동기시대 중기부터 삼각형점토대토기 문화까지 동일한 문화 계통, 생업경제를 영위했다는 전제가 깔려 있는 듯하다. 그러나 실제 고고학적 양상은 그리 명확하지 않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도구의 재질 변화는, 기존의 재질은 점차 줄어들고 새로운 재질이 점차 증가하는 ‘과도기’ 또는‘이행기’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재질이 완전히 정착되는 흐름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석기에서 철기로의 변화는 그러하지 않다. 철기가 등장하기까지는 수백 년간의 시간적 공백이 존재한다. 또한 원형점토대토기 문화는 토착의 청동기시대 중기 문화와는 계통을 달리하는 것으로, 이후 삼각형점토대토기 문화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석기에서 철기로의 전환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이다. 즉 청동기시대 중기 에서 원형점토대토기 문화를‘석기의 감소’로 보아야 할 것이 아니라 청동기시대 중기의 석기 기종과 수량의 풍부함과 대비되는 현상으로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양상을 확인하고 그 배경을 검토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을 검토하고, 석기 기종 구성의 편중은 목기의 사용과 일회적인 석기 제작·사용 방식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Stone Age to the Metal Ages in the Korean Peninsula ranges from the Middle and Late Bronze Age to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to the stage of pottery with triangular round clay stripes. During this period, stone tools were replaced with bronze tools for prestige goods, and stone tools were replaced with iron tools for practical tools. However, the actual archaeological patterns of these changes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A general perception is that changes in materials used for tools should undergo the “transition period” during which existing materials gradually decrease and new materials steadily increase, and then reach the stage in which the adoption of new materials is fully established.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for the transition from the Stone Age to the Iron Age. A substantial number of stone tools types were not identified in the ancient remains, and a time gap was found with hundreds of years passing until the appearance of iron tools that would replace stone tools. In addition, the cultur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did not descend from the culture of the indigenous Middle Bronze Age. The transition from stone tools to iron tools,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stage of pottery with triangular clay stripes, was directly linked with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In other words, the period from the Middle Bronze Age to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s should not be viewed as the one marked by “decreases in stone tools”. Rather, the development of stone tools in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should be identified as a phenomenon that contrasts with abundance in the type and quantity of stone tools in the Middle Bronze Age, and the background of this development should be reviewed accordingly. In this study, a review was performed on the development of stone tools in the Hoseo region in the cultur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As a result, the use of wooden tools and the production methods for stone tools were considered the factors that caused the unequal distribution of stone tools types.

      • KCI등재

        嶺東地域粘土帶土器文化의 展開樣相

        朴榮九 한국청동기학회 2010 한국청동기학보 Vol.7 No.-

        This study looks into the locations, distribution patterns and residential area structure of theRoll-rimmed Pottery remains unearthed in Yongdong area, analyzes their various aspects tounderstand the settlement structure, and finally contemplates the developments of the Roll-rimmed Pottery Culture. Settlements at the time of Roll-rimmed Pottery in Yongdong area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hilly settlements that were located on low-lying hills near rivers or lakes and highland set-tlements that were formed on remote and isolated hills away from rivers or lakes. Settlementshapes were mostly square types such as Malgak (smooth around the edges) square and a regu-lar square. Found in settlements of Ibam-dong, Chodo-ri and Songhyun-ri B were rectangles andMalgak rectangles while round-shaped settlements were discovered at the historic sites inJiheung-dong, Donghae. They were distributed in concentric circles or rows mostly due to topo-graphical conditions. In Yongdong area, only Roll-rimmed Pottery-stage settlements were found. A radiocarbon dat-ing on them revealed that their overlapping periods centered around from B.C. 6th century to thelate 5th century. Unlike other areas, no iron-ware was discovered along with the Roll-rimmedPottery in this area. Changing patterns of the Roll-rimmed Pottery, which were considered basedon the overlapping relations of settlements,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developments of Roll-rimmed Pottery in Yongdong area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In settlements in Songhyeon-ri and Bangdong-ri, dwelling sites, storage pit-type remains, small-pit type remains, pottery firing ovens, tombs and ditch enclosures were unearthed along with theRoll-rimmed Pottery, which helped to understand its settlement structure and spreading patterns.The information concerning overlapping patterns of settlements and the existence of rectanglesettlements, and the fact that rim-perforated pottery, pots with outward mouths (vertical type andoutward type) and red burnished pottery were found along with the Roll-rimmed Pottery tell usthat people back then formed residential settlements through contact and exchanges with indige-nous powers. 본고에서는 영동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점토대토기 출토 유적의 입지와 분포, 주거지 구조, 출토유물의 양상을 분석하여 취락의 구조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영동지역 원형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영동지역 점토대토기 단계 취락은 하천이나 호수 주변의 낮은 구릉에 입지하는 구릉성 취락과 호수나 하천에서 멀리 떨어져 독립적인 구릉에 입지하는 고지성 취락으로 구분된다. 주거지의 형태는 말각 방형, 방형 등의 방형계가 다수를 차지하고, 입암동 취락과 초도리 취락, 송현리 B 취락 등에서는 장방형, 말각장방형의 주거지가 확인되었고, 동해 지흥동유적에서는 원형주거지가 확인되었다. 주거지의 배치는 대부분 지형상의 이유로 능선상에 동심원상 및 열상으로 배치되고 있다. 영동지역에서는 원형점토대토기단계 취락만이 확인되고 있고, 원형점토대토기 취락의 방사성탄소 측정연대 측정결과 중복된 중심연대가 대체적으로 기원전 6세기에서 5세기 후반으로 집중되고 있고, 다른 지역과는 달리 철기가 공반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거지의 중복관계에 따른 점토대토기 변화양상에 대한 검토를 통해 영동지역 점토대토기 전개양상을 3기로 구분하였다. 송현리 취락과 방동리 취락에서는 주거지, 소성유구, 수혈유구, 저장유구, 환호, 분묘등이 함께 조사되어 원형점토대토기단계의 취락구조와 확대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고, 주거지의 중복양상 및 장방형 주거지의 존재, 점토대토기와 함께 공열토기와 외반구연호(직립구연, 외반구연), 적색마연토기와 같이 공반 출토되는 점으로 보아 토착세력과의 접촉과 교류를 통해서 定住聚落의 형태로 공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특징 -생활유적을 중심으로-

        장지현 ( Jihyoun Jang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최근 호남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문화 단계의 주거지, 수혈유구, 구상유구 등 생활유적에 대한 조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유적과 출토유물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본고에서는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 양상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남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출토유물, 주거지의 구조적 특징, 방사성탄소연대 측정값 등을 통해 크게 Ⅰ·Ⅱ·Ⅲ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먼저, Ⅰ기(기원전 5세기 전반~기원전 4세기 후반)는 A유형의 주거지에서 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데, 점토대토기문화와 재지의 송국리문화가 만나는 시기로서 유적은 호남의 전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견된다. Ⅱ기(기원전 3세기 전반~기원전 2세기 중반)는 점토대토기문화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시기로서 A유형 의 주거지도 확인되나 B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게 된다. II기의 취락은 대부분 해발고도 34m 미만의 낮은 구릉 정상부나 사면 또는 말단부에 입지한다. 또한 대부분 2~5기 정도의 주거로 구성된 소규모 취락의 양상을 보이고, 전북 내륙지역, 특히 만경강유역을 중심으로 유적이 밀집·분포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를 비롯하여 조합 식우각형파수부호, 두형토기, 삼각형석촉 등이 확인되며,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 유적도 일부 등장하기 시작한다. Ⅲ기(기원전 2세기 후반~기원후 2세기 전반)에는 C유형의 주거지가 주를 이루며, 광주를 비롯한 영산강 유역에 취락이 밀집·분포한다는 점에서 II기와 대조된다. 출토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가 극히 소량으로 확인되고 삼각형점토대토기의 비중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조합식우각형파수 대신 우각형이나 봉상형파수로 대체되며, 경질무문토기가 다수 공반되고 두형토기의 출토율이 현저하게 줄어들면서 시루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of the Honam reg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 I, II, and III -- on the basi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wellings, stylistic observations of the excavated artifacts, and radiocarbon dating. In Phase I (early 5th to late 4th century BC), clay-stripe pottery with circular bands emerged. This was the period in which the indigenous Songguk-ri culture first encountered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Phase II (early 3rd to mid 2nd century BC) witnessed the rapid spread of the Clay-strip Pottery culture across the Honam region. Villages are mostly located on low hilltops and slopes lower than 34 meters above sea level, are small-scale with only 2-5 houses, and are densely distributed in inland Jeollabuk-do. Artifacts of this phase include assembled cow-horned jars, mounted dishes, triangular stone arrowheads as well as clay-stripe pottery with either circular or triangular bands. In Phase III (late 2nd century BC to early 2nd century AD), villages were densely distributed along the Yeongsan River around Gwangju. The ratio of clay-stripe pottery with triangular bands increased. The amount of hard Mumun pottery also increased and assembled cow-horned jars were replaced by simple cow-horned or rod-handled jars. Steamers also began to appear in Phase III.

      • KCI등재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유입과 그 변화

        김규정 호남고고학회 2020 湖南考古學報 Vol.65 No.-

        만경강유역은 한반도 점토대토기문화가 가장 융성했던 중심지로써 대규모 군집묘와 여러 유형의 분묘가 조사되었고, 다양한 청동유물과 이른 시기의 철기가 출토되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는 원형과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모두 확인된다.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대에서는 대규모 군집묘와 함께 祭儀와 관련된 수많은 溝들이 조사되었지만, 생활유적인 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점토대토기문화기 분묘가 가장 많이 조사된 전주·완주 혁신도시 일원은 이른 시기의 점토대토기문화는 확인되지만, 만경강유역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송국리취락은 거의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는 송국리문화가 확산될 당시 혁신도시 일원에는 이미 점토대토기문화 집단이 선점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 유입 시기는 방사성탄소연대와 주거지 출토 유물로 볼 때 적어도 기원전 5세기 원형점토대토기가 처음 유입되어 송국리문화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일정기간 공존하다 점토대토기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기원전 3세기를 기점으로 원천·조촌천 일대에 대규모 (목관)토광묘가 축조되기 시작하면서 만경강유역의 중심문화가 송국리문화에서 점토대토기문화로 대체된다. 기원전 2세기에는 준왕의 남천을 계기로 철기가 유입되면서 송국리문화는 완전히 소멸하고 기원전 1세기를 전후하여 만경강유역에서 점토대토기문화는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그 중심이 서남해안지역과 영산강유역으로 옮겨간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서울·경기지방 점토대토기문화 試論

        박진일 중부고고학회 2006 고고학 Vol.5 No.1

        우리나라의 원형점토대토기문화에 대해 한강유역 혹은 대동강유역에서 발생했다는 주장이 있었다. 하지만 원형점토대토기와 두형토기 등 출토유물의 유사성과 주거지, 노지의 구조로 보아 원형점토대토기문화는 중국요령 일대에서 파급된 것으로 보이며, 등장 시기는 최근 축적되고 있는 방사성탄소연대측정치와 유물상을 고려하면 기원전 5세기경으로 볼 수 있다. 서울·경기지방은 이런 점토대토기문화가 한반도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정착된 곳으로, 파수의 형태와 유구석부·삼각형점토대토기의 공반을 근거로 네 개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4기부터는 철기가 함께 출토되며 하한은 파주 선유리에서 채집된 漢鏡片으로 미루어 보아 기원전후한 시점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강유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분묘에 부장되는 청동기 등으로 미루어 보아 호서·호남지방의 집단보다 성공적으로 재지사회에 적응하지 못하였으며, 철기문화가 등장한 이후에도 이 지역에서 주도적 위치를 점하지 못한 채 재지사회에 동화되어 간 것으로 보인다. The past days, several studies claimed that the culture of the bowl with round clay stripes of Korea had been born near Han river or Deadong river. However, mounted dishes and the structure of settlement or fireplace provide evidence to believe that the culture had evolved from Liaoning area of China. Also, judging from radiocarbon dating and complex of remains, this culture had sprouted since 5th B. C. The culture of the bowl with round clay stripes rod been settled for the first tim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n the basis of the form of handle of pottery, combination of the grooved-adze and bowl with triangle day stripes, the entire period of the culture of the bowl with clay stripes is divided into four major time periods. Among these time periods, iron ware in addition to day remains are observed from the last time period; a piece of Han mirror(漢鏡), found in Seonyu-ri Paju, offers the clue that the fourth time period was slightly before or after B.C. However, the evidence such as bronze ware buried in tombs tells us the culture of the bowl with round day stripes near Han river had failed to successfully adapt itself to the existing society. After the advent of iron ware culture, this culture seems to have merged to this new types of culture instead of dominating the respective area.

      • KCI등재

        경남고성지역 청동기시대문화와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 태동(胎動)

        심봉근 ( Sim Bong-geun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6 文物硏究 Vol.- No.29

        고성은 삼한시대 고자미동국의 중심지이며 그 태동기 문화는 고성지역 청동기 시대 후기와 삼한시대 초기의 고고학 자료를 통해서만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태동기는 시기적으로 기원전 300년경 전후로 추정된다. 청동기시대 문화는 송국 리형 주거지 단계의 주거지, 지석묘, 환호, 마제석기 등이 주목되며 무선리와 율 대리 주거지와 환호, 함께 출토된 무문토기와 삼각형석도는 후기후반 자료로 평 가된다. 석관묘는 고성에서 이른 시기에 해당되는 묘제 중의 하나로서 가장 선행 하는 문화요소이고 마제석검은 청동기시대 해석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지만 전세 기간이나 재생해서 사용하는 경우 절대연대 추정에 장애가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삼한시대 초창기를 대표하는 유물은 한국식동검과 다뉴경, 원형점토대구연토기, 흑색장경호 등이다. 고성에서는 고성읍 성내리와 송학리 수 혈에서 삼각형점토대토기와 함께 일본에서 중기로 편년하는 야요이식토기기가 출토되어 원형점토대토기 보다는 한 단계 늦은 시기의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고성에서는 고자미동국 초창기에 해당하는 원형점토대토기가 출토되는 유적이 지금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것이 하나의 극복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의 자료 증가를 기다릴 수밖에 없지만 청동기시대 무선리의 송국리 단계와 삼한시 대 성내리 삼각형점토대구연토기 사이에는 원형점토대토기 존속기간 정도의 일 정 공백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접한 사천 방지리에서는 원형점토대토기 단계, 원형점토대와 삼각형점토대토기 중복단계 그리고 삼각형점토대구연토기 단계로 시기 구분이 가능한 복합생활유적이 최근 발견되었다. 고자미동국의 태동 기에도 방지리유적과 마찬가지 단계를 거친 해당유적이 위치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심지도 청동기시대 율대리에서 삼한시대에는 성내리나 송학리가 있는 현 재의 고성읍내로 옮긴 것으로 짐작된다. 하이면 석지리 출토 동검과 하일면 송천 리 솔섬 석관묘와 철검, 무문토기, 회백색 연질 주머니호는 삼한시대 전기에 외곽 지역에도 청동기시대에 이어서 재지주민들이 정착하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자료이다. 그리고 고성읍 동외동패총에서 수습된 청동기와 토기 등 국제성을 가 진 유물은 신문화 충격에 대한 흡수나 기온변화에 따른 재지주민들의 대응책을 반영한 결과물로 해석된다. and its culture during the quickening period can be identified only through archaeological materials during the late Bronze Age and early Samhan Period in Goseong Area. And the quickening period is estimated to be around 300 BC in time. In the Bronze Age Culture, polished stone tools, dolmens, moat, residence of the Songgok-ri type residence stage are highlighted and Museon-ri and residence, moat, patternless earthenware and triangular stone blade excavated together are evaluated as late materials. As one of types of tombs used in the earliest time in Goseong, a stone-coffin tomb is a preceding cultural element and a stone dagger is the material to help interpret the Bronze Age but its disadvantage is to present an obstacle to estimating absolute age when used through recycling or during Jeonse Period. As everyone knows, artifacts that represent the early Samhan Period include Korean type dagger and geometric-design bronze mirror, round clay stripe double-rimed pottery, long-necked pottery etc. In Goseong, Yayoi-style pottery chronicled as the first half of mid-term in Japan with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y in Goseong-eup Seongnae-ri and Songhak-ri pit, indicating those are one stage later than round clay-stripe pottery. Therefore, no remains where round clay-stripe pottery corresponding to the early days of Gojamidongguk is excavated in Goseong have been identified so far and it may be one of the challenges to overcome. There is no choice but to wait for future growth of data bu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ertain gap as long as round clay-stripe pottery duration between Songguk-ri stage of Bronze Age Museon-ri and Seongnae-ri triangulated clay-stripe double-rimed pottery during the Samhan Period. In adjacent Sacheon Bangjiri, complex life remains were discovered recently and periods can be classified into round clay-stripe pottery stage, round clay-stripe and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y duplicate stage and triangulated clay-stripe double-rimed pottery stage. The remains passing through the same stage as Bangjiri ruins are determined to be located also in the quickening period of Gojamidongguk. Also, the center is guessed to have been moved from Yuldae-ri during the Bronze Age to current Goseong-eup where there is Songhak-ri or Seongnae-ri during the Samhan Period. Bronze daggers excavated in Hai-myeon Seokji-ri and light gray soft pocket-shaped jars, patternless earthenware, iron swords and stone coffin tombs in Hail-myeon Songcheon-ri Solseom are the materials telling that local residents also settled in rural areas in the early Samhan Period following the Bronze Age. And remains with the internationality such as bronzeware and earthenware collected in Goseong-eup Dongoe-dong shell mound are interpreted as the result reflecting the response of local residents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or absorption of the new culture shock.

      • KCI등재

        경기 일원 원형점토대토기단계 취락의 형성과 전개 양상

        강동석 고조선단군학회 2023 고조선단군학 Vol.52 No.-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점토대토기단계 취락의 형성과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원형점토대토기문화 기반 취락의 형성 시기와 주체, 입지적 특징, 기능과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논의들을 재검토해 보았다. 먼저 취락의 형성 주체와 관련하여, 청동기시대 중기~후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점유된 취락의 공간구조를 검토한 결과, 후기 주거지가 중기의 것과 점유 공간을 달리하고 있었다. 이는 재지민이 점토대토기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유이민에 의해 새롭게 취락이 구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청동기시대 후기에 원형점토대토기 관련유적이 경기 일원 전역에서 확인된다는 점은 갈등의 국면보다는 공존과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원형점토대토기 유적의 입지를 청동기시대 중기 취락과 비교해 보면, 상대적으로 고지에 속하는 산지나 구릉지에 분포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고조선 유민의 생업 방식이나 농지 감소, 자원 고갈에 따른 혼합경제체제 전환의 결과가 아니라, 기후 변동에 의한 자연재해에 대응하여 생업경제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산지가 적극적으로 이용되면서 고지의취락 입지가 선호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당시에는 구릉이나 산정상부에 제장이 조영되었다. 이는 사회경제적 혼란기에 지역사회의 리더가 제의에서 비롯된 이념의 통제를 통해구성원의 결속을 강화하고, 정치권력을 확대하기 위해 운영한 시설로 보인다. 특히 이 시설은 상대적으로 가용농지 확보에 유리한 경기 남부에 밀집해있고, 가시권이 저지대를 중심으로 형성된 것을 볼 때, 수장(층)이 권력의 원천이 되는 정치경제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조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세형동검기에 청동위신재를 매개로 한 교환네트워크가 형성되면서 수장층은 이를 정치권력의 원천으로 전환하였고, 그 결과 고지의 제장은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 KCI등재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의 특징과 의미

        구숙현(Sook Hyun Koo) 부산고고학회 2023 고고광장 Vol.- No.32

        점토대토기문화는 중국 요령지역으로부터 이주해 온 문화(집단)로 전제되고 있다. 기원지에서의생활방식을 지닌 채 이주한 이주문화는 이주지에서 새로운 환경 및 상황과 맞닥뜨리게 되며, 그로인한 다양한 흔적을 남긴다. 이주문화가 이주지에서 어떠한 양태로 문화를 영위해나가는지 규명하기 위해서는 문화가 정착해나가는 과정 중에 있음을 끊임없이 의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을 정착 과정의 視點에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점토대토기문화의 최초 등장지로 여겨지고 있는 한반도 중서부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삼고, 원형점토대토기문화 단계 취락을 대상으로 하여 분포와 입지, 유구 구성과 배치, 성격, 주거 및 노, 기타 내부 시설 등 취락구조를 검토하였다. 취락 간 구성 및 배치, 성격 등 전체적인 유사성을 통해 취락을 유형화하고 검토한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특징을 도출하였다.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은 기획의 개념을 공유하지만, 집단의 확산과정에서 맞닥뜨리는 변수 등에 따라 상황에 맞는 양태의 취락을 형성한다. 이에 취락은 구성과 배치 등을 통해 유형화될 수 있지만, 주거 내부구조 등에서 또한 다양성이 확인된다. 중서부지역 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은 이주문화가 확산 및 이동하고 정착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양상을 보여주며, 나아가 입지적 특징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의 특징과 그 의미는 정착과정의 시점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둘 때 해상도 높은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is premised as a culture (group) that has migrated the Liaoning region of China. The migrant culture, which migrated with a lifestyle in the origin, encounters new environments and situations in the migration area, leaving various traces. It is important to constantly be conscious that the culture is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culture of migration is carried out in the place of migration. With these points in mind, this paper attempted to consider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settlem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ettlement process. Set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place of clay earthenware culture, as the spatial scope, and target the settlement at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band rim. The settlement structure was carefully examined, distribution and location,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remains, characteristics, dwellings and hearth, and other internal facilities, etc. Through the overall similarity of the composition, arrangement, and character of the villages, the villages were categorized and the reviewed factors were analyzed in a complex way to derive various characteristics.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settlement shares the concept of planning, but forms a settlement suitable for the situation depending on the variable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group. Accordingly, settlements can be categorized through composition and arrangement, but diversity is also confirmed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ous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settlement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show patterns that can appear in the process of spreading, moving, and settling migrant cultures, and furthermore, location characteristics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culture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settlement will be able to be interpreted with high resolution when various possibilities are left open at the time of the settlement proces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남한 청동기시대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출현의 정치·사회적 의미

        김현식 한국청동기학회 2023 한국청동기학보 Vol.33 No.-

        South Korean pottery with clay band rim appeared along with the lute-shaped bronze sword around the 12th centuries BC, and later coexisted with the Songguk-ri culture, the late Yeoksam-dong culture, and the Geomdan-ri culture in the Late Bronze Age for a long time. The group of pottery with clay band rim from South Korea is not a migrant from the Liaodong area ‘political group’, but a ‘bronze artisan group’ that entered South Korea through the network of 'Liaodong-Northwest Korea-South Korea' that was formed from the early Bronze Age. This ‘bronze artisan group’ were technical artisans who made a living by supplying lute-shaped bronze dagger to the ruling class of local society, but as they gradually gained political power, they grew into ‘priests’, the ruling class of loc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