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의 스페인 연구콘텐츠 60년사 고찰

        최윤국,김현식,강필운,양성혜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08 EU연구 Vol.- No.22

        This article tries to shed light on the history of the investigations about Spain in Korea for about 60 years. With this objective we elaborated a data base of references that includes all books, articles, theses on Spain published in Korea from 1945 until 2007. We analyzed the tendency of the studies about Spain in Korea. The sum of the studies made in Korea during that period became 3.072 units, among which, books are 1.131 (36,82%), theses, 612 (19,92%) and articles, 1.329 (43,26%). At the beginning stage the majority of texts about Spain in Korea are centered in language text books and policy reports. Until 1980’s the number of theses is larger than journal articles but in 1990’s articles in journals became main stream in investigation. In respect to field of study, literature occupied the highest percentage and culture/society, linguistics and education/language learning in order. A remarkable peculiarity in the result of analysis is that some historical issues in Spain and Korea have stimulated investigations about Spain in Korea and recently a large number of studies on Spanish Culture and Society were published by non Spanish speaking researchers. In conclusion, for 60 years the investigations about Spain in Korea drastically increased in quantity but intermittently in some limited fields. 본 논문은 건국이후 현재까지 60년간 한국에서 출간된 스페인 콘텐츠의 흐름을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를 위해 1945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스페인 관련 단행본, 학술논문, 학위논문 등을 전부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조사 기간 중 발표된 관련 연구물은 총 3,072편에 달하며, 연구결과물 유형별로 보면 단행본, 학술논문, 학위논문 순으로 발표되었다. 초창기에는 언어 교재 및 정책 보고서 중심의 단행본이 국내 스페인 연구의 시금석이 되었고, 논문의 경우 1980년대 말까지는 학위논문이 학술논문 편수를 앞서 연구를 선도했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는 학술논문이 스페인 연구를 주도하게 되었다. 주제별로는 문학이 가장 높은 연구 성향을 보여 주었으며, 이어 문화/사회, 어학 그리고 교육/언어 분야가 연구 배경이 되고 있다. 국내 스페인 연구는 한국 실정과 스페인의 동향에 따라 연구 흐름이 형성되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조사기간의 연구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언어가 수반되지 않은 문화와 사회 분야의 연구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60년간 연구는 양적으로는 증가일로를 보여 왔으나, 우리나라가 처한 극한 상황과 급변하는 주변 정세와 환경 등의 요인에 의해 산발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단기적으로 특정한 분야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여 왔다.

      • KCI등재후보

        한국 노인자살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김형수 ( Hyoung Soo Kim ),허평화 ( Pyung Hwa Heo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10 社會科學硏究 Vol.36 No.3

        우리사회에서 노인자살에 관한 연구가 2000년 이래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는 노인자살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심각한 노인문제의 일 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음과 이에 대한 예방전략이 절실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대부분이 연구가 노인자살의 대체개념인 자살생각을 중심으로 자살요인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도 설문조사로 대표되는 양적 연구방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반해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자살시도나 자살행위에 이른 사례를 검토한 연구는 거의 미미한 실정이다. 게다가 노인자살의 예방대책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별로 없고 있다하더라도 대부분이 개괄적이고 제안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자살에 관한 연구 논문(지난 10년간 학술진흥재단 등재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총 47편)을 분석하여 그 동향과 한계점을 진단해 보고 이를 통하여 노인자살연구의 향후 과제를 도출하여 궁극적으로는 보다 효과적인 노인자살의 예방전략을 강구하는데 일조를 하고자 한다. Research on elderly suicide has increased since 2000. It indicates that elderly suicide is receiving a great attention as a part of elderly problems, and policy efforts are needed. However, most of existing research on elderly suicide have done with the limited certain way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professional journals(2000-2009). To achieve this, the relevant research papers among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with KRF are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 47 articles on the topics of elderly suicide were collected from the journals. The published time, key words, research types, research methods, policy proposals, and so on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orts on the various research methods of themes and objects are recommended for better researches on elderly suicide. Ultimately, this efforts will contribute to develope the more effective prevention strategies in the future.

      • 과학기술정책 분석에 있어서 대리이론의 적용

        정병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현대 사회에 들어서면서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변화중의 하나는 국가에 의한 육성, 관리와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Aronowitz, 1989). 과학기술이 경제성장의 주요 변수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국가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직간접적 정책 수단(염재호, 1991; Rothwell & Zegveld, 1981)을 통한 정부의 과학기술에 대한 개입과 지원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과학기술에 정부가 투자를 하는 이유는 과학기술이 경제성장의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는 데 있다.과거에는 국가의 부가 부존 자연자원의 양으로 결정되었지만 지금은 과학기술에 의해 결정된다는 인식(Ayres, 1988)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국가가 정부차원에서의 과학기술에 대한 지원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정부 개입이 반드시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정부의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의 경우, 연구개발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연구개발에 투자가 항상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단언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주요 연구내용□ 과학기술정책과 대리인 이론○ 대리인 이론의 전제와 대리 문제1. 대리인 이론의 전제2. 대리 관계와 대리 비용○ 대리 문제와 해결책1. 역선택과 도덕적 위해2. 대리문제의 해결책○ 과학기술정책과 대리 이론1. 공공정책으로서의 과학기술정책2. 과학기술정책 분석과 대리인 이론 □ 과학기술정책과 대리 관계○ 과학기술정책 과정과 참여자1. 과학기술정책의 과정2. 정책 과정의 참여자○ 과학기술정책과정에서 위임의 필요성1. 정책 문제의 복잡성과 정책 위임2. 연구개발의 전문성과 민간 연구기관으로의 위임○ 대리관계의 형성과 대리 문제1. 대리관계의 다양성2. 대리 문제 발생의 조건○ 대리인으로서의 정부 기관○ 대리인으로서의 연구기관과 연구자1. 대리인으로서의 연구자: 진리 탐구자 혹은 이기적 행위자?2. 연구 위임과 대리 문제 □ 국가연구개발과 대리 문제○ 정책 수단으로서의 국가연구개발○ 희소자원으로서의 예산과 대리문제1. 예산의 희소성과 성과의 문제2. 국가연구개발의 대리인으로서의 정부 기관과 대리문제3. 국가연구개발의 대리인으로서의 연구자와 대리 문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대리 문제의 해결1. 대리인으로서의 정부 기관과 대리 문제의 해결2. 연구 위임에 따른 대리 문제와 해결책 결론 및 정책제언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에서의 대리인 이론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대리인 이론의 관점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대리 관계와 그 관계에서 발생하는 대리문제를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정치적 위임자 혹은 전체 정부로부터 위임 받은 대리인으로서의 정부 부처와 연구 위임에 따른 대리인인 연구자와 관련된 대리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대리이론은 참여자간 이익 갈등의 원인을 명확하게 설명해 준다는 장점이 있다.또 정보를 비용도 있고 판매될 수 있는 상품으로 취급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인식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주었다. 대리인의 기회주의적 행태를 통제하기 위해서 정보체계에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도 주요 시사점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위험(risk)에 대해서도 새로운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산출물에 대한 불확실성을 논할 때 위험에 대한 차원을 고려하게 하였던 것도 대리인이론의 또 다른 공헌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김현성, 1996).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정책 분석에 있어서 대리 이론의 적용이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많은 과학기술정책이 재정적 지원과 이를 전제로 한 위임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화폐적 가치로 측정될 수 있는 경제적 유인이 중요한 동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리인 이론의 활용 가능성은 매우 다양하다.특히, 대리인 이론의 과학적 연구에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하는 위임자와 재정적 지원을 받고 과학적 연구를 수행하는 대리인 간의 관계의 설정과 그러한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결함들을 파악함으로써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정책 체계의 설계와 감시, 평가, 유인 체계의 구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서는 최근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시민참여의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도 확대 적용 가능하다.

      • 논문 : 현금성자산 및 연구개발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외국인지배구조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정빈 ( Jeong Bin Han ) 안양대학교 복지행정연구소 2011 福祉行政硏究 Vol.2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기업이 현재에 당면하고 있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환경 속에서 경영을 지급불능과 파산의 위험이나 M&A가 없는 지속시업으로서의 존재를 위해 현금성자산(CASH)의 확보와 신기술. 신제품개발 등을 위한 연구개발(R&D)투자에 노력하고 있는 데에 대한 타당성과 외국인투자에 의한 지분율 영향등, 이들이 기업가치를 향상시킬 수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 분석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1998년 외환위기 이후에, 현금성자산의 확보와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상당한 비율의 증가세로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힜다. 특히, 국가 전체의 R&D투자 중에, 기업의 투자가 전체 연구개발투자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의 표본다료로는. 2002부터 2009년까지 8년간 8.521 개의 상장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금성자산과 연구개발(R&D)을 동시에 고려대상으로 하였으며, 또 다른 기업가치와 관련하여 기업지배구조의 특성변수로 외국인지분율에 대해서도 중점적인 분석함으로서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차별화를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총 5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결론은 첫째, 최근의 연구들과 같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성자산이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 둘째, 연구개발(R&D)에 대한 투자가 크면 클수록 결과적으로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외국인지분율은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얻었다. 다만, 본 연구의 표본으로 사용한 실증적 분석모형에서 제외된 변수도 있을 것이라는 문제점과 현금성자산의 확보와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적정수준의 평가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보아서 앞으로 더욱 추가적인 연구개발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광고 분야의 연구 방법론에 대한 고찰과 새로운 접근에의 제언

        황장선,도선재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광고연구 Vol.0 No.115

        The current study begins with investigating the changes and current state of arts of research methodology and methods in the digital media advertising field. In order to yield the meaningful suggestions for specific approaches and methods in this field, a total of 249 papers from domestic major journals in advertising area. A content anlaysis and SNA(Social Network Analysis) were employed. Each of medium, platforms, types of advertising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associations with their research trends. Recent studies in critical journals were also reviewed to find newer and valuable approaches which are fairly new. Some insightful suggestions were yield: maximization of generalizability, systematic analysis of consumers’ languages, and realisticqualitative research.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광고 분야의 연구가 모바일 환경의 도래 이후 최근까지 어떤 내용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그 접근법과 연구 방법은 어떤 양상으로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현 시점에서 디지털 미디어 광고 분야에서 어떤 접근법과 연구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광고학 학술지에 2010년 이후로 발표된 총 249편의 디지털 미디어 분야의 연구들에 대해 내용 분석과 사회연결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을 통해 각 매체, 플랫폼, 광고 유형 등에 따라 어떤 양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연구 방법론과 연구 방법은 연구 주제와 어떤 매체 및 플랫폼에 따라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보완적 관점을 얻기 위하여 본 연구가 진행한 추가적 소연구는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관련 논문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여 새로운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지향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주요 학술지의 최근 발표 논문들을 검토하여 일반화 가능성의 극대화, 현실성이 높은 소비자 언어에의 분석 체계화, 질적 연구의 적극적 활성화 등을 주요 제안점으로 도출하였다. 끝으로 현재 국내 관련 분야의 연구가 갖는 문제점과 극복해야 할 과제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포함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 연구에서 Vygotsky 이론의 스캐폴딩(scaffolding)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고찰

        진영은,서향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 연구에서 Vygotsky 이론의 스캐폴딩(scaffolding)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국내 유아교육 분야의 스캐폴딩에 관한 일반대학원의 석・박사 학위논문과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 학술지 논문 총 68편의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포괄적으로 조망하고 향후 과제를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유아교육 분야에서 스캐폴딩의 개념은 은유적 특성으로 인해 해석과 접근방법이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연구자들마다 다른 기준으로 스캐폴딩의 개념을 정의하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스캐폴딩의 교육 효과를 검증하고 스캐폴딩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탐색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유아기에 적합한 호혜적 스캐폴딩(reciprocal scaffolding)의 특성을 직접적으로 해명하기 보다는 몇 가지 도움이나, 지원체계, 교수전략 등으로 단순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 스캐폴딩의 개념을 언어적 유형과 행동적 표현에 제한하여 해석하고 있다는 점, 호혜적 스캐폴딩을 위한 교사의 역할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오해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향후 과제로는 호혜적 스캐폴딩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명확히 규명하는 연구, 스캐폴딩이 이루어지는 맥락을 다원적 관계에서 해석하는 연구, 질적 연구 방법의 사용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trends of research on Vygotsky’s scaffolding theor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68 research outcomes including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scaffolding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blished by general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academic dissertations registered at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through the analysis, reviewed research trends in Korea comprehensivel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tas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e domestic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cept of scaffolding has been changed variously depending on interpretation and approach due to its metaphoric characteristic. Each researcher defined and studied the concept of scaffolding based on different criteria, and more of related studies test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scaffolding and looked for efficient method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caffolding types. However, these studies had limitations in that they simplified scaffolding into some benefits, support system or teaching strategy rather than explaining directly the characteristics of reciprocal scaffolding suitable for young children, that the concept of scaffolding was limited to verbal types and behavioral expressions, and that teachers’ roles for reciprocal scaffolding were not suggested clearly and therefore they might be misunderstood. For future task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research for clarifying teachers’ roles for reciprocal scaffolding, for analyzing the context of scaffolding in multi‐dimensional relations, and for the us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KCI등재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인력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승연(Seungyeon Lee),박수경(Soo-Kyung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3

        본 논문은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인력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정부출연연구소 25곳에 근무하는 연구직 3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자율성과 피드백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직무특성 중 자율성만이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인력을 대상으로 직무특성을 발견하고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를 실증분석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lies on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personnel’s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in their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362 R&D personnel members from 25 state-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under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 and t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seek any possible relationship. As a result, job characteristics such as autonomy and feedback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indicated that the impact was made only by autonomy.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it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among R&D personnel in state-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who have rarely been the source of objectives in related studies, and that it revealed organizational justice mediated the relationship.

      • KCI등재

        오대산 전나무 숲 치유(Healing)의 가치

        오종만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6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숲 치유 연구의 흐름을 정리 하고, 오대산 숲에 내재된 다양한 속성을 탐구하여 오대산 숲 치유의 가치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치유와 관련된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숲 치유 선행 질적 연구에 나타난 숲 치유를 통한 경험, 숲 치유를 통한 치 유의 과정, 숲 치유의 치유 요소, 숲 치유의 심리적 치유 기제는 어떠 한가? 셋째, 오대산 전나무 숲의 치유 가치는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통합적 문헌고찰(integrative literature review)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치유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1985년 이후 산림치유를 주제로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숲 치유의 치유요인 도출을 위한 선행 질적 연구를 분석한 결과, 숲 치유를 통한 경험은 신체 적인 힐링, 타인과의 교류, 자연이 주는 힐링, 스트레스 회복, 주의회복, 사바나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대산 숲 치유의 가치를 위 한 선행연구 분석결과, 오대산 숲 치유의 가치는 오대산 숲 자체, 오대산 숲에 얽힌 이야기, 오대산 숲에서 일어나는 사람과 사람과의 연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오대산 전나무 숲의 치유적인 가치 검토의 결과가 오대산 전나무 숲 치유 가치 관련 연구의 정보제공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ue of forest healing in Odaesan by summarizing the flow of forest healing research conducted in Korea and exploring various properties inherent in Odaesan Fores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forest healing? Second, what are the experiences through forest healing, the process of healing through forest healing, the healing elements of forest healing, and the psychological healing mechanism of forest healing shown in the preceding qualitative research on forest healing? Third, what is the healing value of Odaesan fir forest? To this end, it was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forest healing, research on forest healing has been showing a steady increase since 1985.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vious qualitative research to derive the healing factors of forest healing, the experiences through forest healing were physical healing, interaction with others, healing from nature, recovery of stress, recovery of attention, and savannah. Thir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alysis for the value of forest healing in Odaesan, the value of the healing of the Odaesan Forest was revealed by the Odaesan Forest itself, the story of the Odaesan Forest, and the connection between people and people who take place in the Odaesan Fores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review of the healing value of Odaesan fir forest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tudy on the healing value of Odaesan fir forest.

      • SCI와 연구개발 성과평가

        황석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정책자료 Vol.- No.-

        왜 SCI가 문제인가?○ 대부분의 대학 및 연구기관이 연구업적에 대한 평가를 강화하고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가 기준을 계량화하고 평가항목도 다양화하고 있음.○ 평가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학술논문이며, 저명한 국제 학술지(특히, SCI 등재 학술지)에 수록되었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 향후 연구개발 평가의 개선 방향은 연구개발의 효율성 및 효과성 제고 쪽으로 초점이 맞춰지는데, 업적 평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학술 논문에 대한 평가를 이와 같은 방향으로 개선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음.○ 학술 논문에 대한 평가는 주로 SCI 및 유사 DB가 제공하는 인용정보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연구개발의 효율성 및 효과성 제고를 위해 SCI 및 유사 DB를 어떻게 잘 활용하고 문제점을 개선할 것인가가 중요한 이슈가 됨. 연구개발 평가의 미래 개선 방향 : 효율성 및 효과성 제고○ 연구개발 평가는 과거 회계감사 위주에서 최근 연구개발 효율성 및 효과성에 대한 강조가 시작되었고, 황우석박사 사건을 계기로 진실성 및 연구윤리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어왔음.○ 향후 효과성 평가에 대한 비중 제고, 효율성 평가의 질적 측면 강화, 회계감사 선진화 등의 개선이 필요.○ 회계감사 선진화○ 연구개발 효과성 평가 강화 및 효율성 평가의 질적 측면 제고 연구개발 효율성 및 효과성 제고를 위해 SCI 및 유사 DB의 인용정보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여러가지 문제점이 존재○ 이들 문제점들을 일반적인 논문 업적 평가 계량화의 문제점과 SCI 및 유사 DB 활용상의 기술적인 문제점들로 나누어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음. 논문업적 평가 계량화의 일반적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엄정한 기여도 평가○ 동료평가의 온정주의 완화○ 질적지표 활용 강화○ 연구개발 기획의 전략성 강화○ 논문 이외의 여타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 비중 강화 성과평가에 있어서 SCI및 유사 DB 활용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SCI 이외의 대안 DB 활용 모색○ 국내 학술지 위상 제고와 평가비중 강화○ 국내 학술지 DB 구축 및 신뢰성 있는 인용정보 생산○ 표준화 등을 통해 조정된 IF(Impact Factor) 값 사용○ 학술지 등급 부여

      • KCI등재

        중세ㆍ근대국어 보조용언 연구의 쟁점과 과제

        손세모돌 국어사학회 2017 국어사연구 Vol.0 No.25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보조용언 연구 업적을 개괄하고, 중세와 근대국어 보조용언 연구의 쟁점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된 검토 자료는 보조용언 관련 논문 491편이다. 보조용언 연구는 현대국어에 편중되어 있고 중세․근대국어 보조용언 연구는 통시적 연구를 포함해도 매우 적으며 근대국어 시기별 보조용언 연구는 특히 적다. 중세․근대국어 보조용언 연구에서는 목록, 상과 양태 의미, 문법화 등의 부분에서 여전히 논의가 진행 중이다. 보조용언 판별 기준과 선행용언 연결소 범위 한정도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2011년 이후 보조용언 관련 석사 학위 논문 편수가 급증하여 학술지 논문 수와 비슷해졌고, 최근에는 외국어와의 대조연구, 한국어 교육 측면 연구와 외국인들의 연구 업적이 증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on papers for auxiliary verbs in Korean and to research issues and tasks of papers on auxiliary verbs in medieval Korean and early modern Korean. The papers to review in this study are 491 papers that are studied on Korean auxiliary verbs or related subjects with Korean auxiliary verbs. They are concentrated on modern Korean studies. Studies for medieval Korean and early Korean make up very small part even if including diachronic studies. List of auxiliary verbs ,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of auxiliary verbs and their meanings that are connected with aspect and modality are still being discussed in studies on medieval Korean and early modern Korean. Since 2011, papers of master degree in Korean Linguistics are increased and they are numerically similar with papers in journal. Recently, it is increasing on reaserch in Korean linguistics that are research topics of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studying Korean and contrastive linguistics are increasing on research in Korean lingu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