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警察作用의 本質과 서비스한계

        임준태 한국경찰연구학회 2002 한국경찰연구 Vol.1 No.1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 위험방지를 통해서 일반 시민들의 생활영역을 안전한 공간으로 지켜내는 것이 경찰의 우선적인 역할일 것이다. 犯罪에 대한 恐怖로부터 시민을 보호하고, 안전한 생활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이제는 헌법상의 기본권으로까지 인식되고 있다. 경찰서비스의 실행에는 경찰직무의 본질(소극목적성, 현존질서 유지적 규제작용)과 특성(즉응성, 돌발성)이 되어야 한다. 갑오경장 이후 일제 강점기까지는 대륙법계(독일)의 경찰개념을 중심으로 消極的 秩序維持作用(위험방지)에 근거하였으며, 해방 이후에는 주민자치적 전통에 기한 “自治治安”의 형태로 발전한 英美法系 경찰제도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경찰의 최우선적 과제는 범죄예방이며, 그 다음이 법집행, 공공서비스 순이다. 경찰에 의한 24시간 방범순찰이 강조되고 있다. 一回性, 展示行政的 프로그램보다는 경찰작용의 본질과 “기본에 충실한 한국경찰”에 토대를 둔 서비스만이 生命力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治安서비스 제공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민의 생명과 신체․재산보호와 법질서유지 그리고 안전하고 평온한 삶의 확보이다. 경찰서비스 제공에 대한 적절한 한계와 통제가 시급하다. Die grundsaetzliche Aufgabe der Polizei ist oeffentliche Sicherheit und Ordnung zuerhalten und Gefahren abzuwehren. Zur Zeit wird es Lebensgebiet allgemeiner Leute als sicherer Raum zuerhalten und ihre Bureger aus der Kriminalitaetsangst sicher zuschutzen sogar das fundamentale und verfassungsstaatliche Pflicht verstanden. Waehrend der polizeilichen Dienstleistung mussen ihrer Grundbegriff und Charakter der Polizeiverwaltung wiederspieglt werden. Ab der grossen Reformation im Jahr 1894 bis am Ende 1945(zweite Weltkrieg) in Korea, ist ihres Polizeisystem vornehmlich von dem kontinental System z.B. deutschem oder franzoesischem Polizeibegriff, d.h. passiver Gefah- renabwehr und zentralisierter Polizeigewalt beeinflusst worden. Nach dem zweiten Weltkrieg, ist die modernisierte koreanische Polizei hauptsaechlich von der englo- amerikanischen Polizeisystem d.h. buergerlichen Selbstverwaltung(dezentralisierte) und Polizeiservice beeinflusst worden. Zuerst ist die koreanische polizeiliche primaere Aufgabe die Kriminalpraevention. Die naechste ist Gesetzdurchfuehrung und oeffentlichen Dienst- leistung. Der 24-stuendige Polizeistreifendienst hat die grosse Rolle zur Kriminalprae- vention. Das einmalige oder schaufenstereie Polizeiprogramm zur Dienstleistung kann nicht mehr erhaltet werden. Das Polizeiservice-Programm, das nur auf Grund von Polizeibegriff beruht, kann die fort- dauernde Wirkung haben. In Korea ist der endliche Zweck der Polizeideinstleistung buergerliches Leben und Eigentum zu schutzen, oeffentliche Ordnung zuerhalten, sicheren und ruhigen Lebensraum zu garantieren. Jetzt ist es notwendig, dass es zur effektiven Polizeiverwaltung entsprechende Beschraenkung und Kontrolle gegenueber das Polizei- service-Programm gibt.

      • KCI등재

        「제주특별법」상 목적규정의 필요성

        최은하 한국경찰연구학회 2016 한국경찰연구 Vol.15 No.4

        「제주특별법」에는 자치경찰의 목적규정이 없다. 다만, 「제주특별법」 제90조에서는 제주경찰의 사무를 일일이 열거하고, 제100조 제1항에서는 「치안행정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지역특성에 맞는 치안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여 제한적으로 열거된 자치사무의 업무적 특성을 통하여 자치경찰의 본질을 간접적으로 밝히는 입법기술방식을 취하고 있다. 여기에 자치경찰이 목적규정이 없다고 하여 자치경찰제의 본질과 정체성을 나타내는 존재이유 및 그 해석의 범위와 기준, 개정방향까지 제시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하는가의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제주특별법」상 자치경찰의 목적규정은 실질적 자치경찰을 구현하기 위한 지도적 원리 및 이론적 기초가 될 뿐 아니라 그 법령의 해석지침을 제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한 경찰작용을 행하는 자치경찰사무를 규정한 동 법 제90조의 의미도 정책론이 아닌, 현행법으로 재해석되고 재정립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가하는 의문이 생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법」상 자치경찰사무의 범위를 현재와 같이 제한하는 근거가 되었던 행정경찰의 개념 및 「제주특별법」이 자치경찰의 규정을 두면서 목적규정을 두지 않았던 가능한 이유, 나아가 이러한 목적규정의 내용에 포함되어야 할 개념요소를 면밀히 검토하여 현행법을 목적규정의 제정에 따른 실질적 치안서비스로서 자치경찰사무에 대한 목적적 해석론을 시도하고 제주자치경찰의 목적규정을 도출하였다. There is no provision of purpose for the Autonomous Police agency under the Jeju Special Act. Article 90 of the Special Act lists every detail of Jeju police agency business affairs. And Article 100(1) stipulates that ‘secure the connectivity of regional policing administration and provide policing service customized to the region. In this manner, the Act describes the nature of Autonomous Police indirectly by mentioning the characteristics of policing business in a limited manner. It is questioned that whether the absence of purpose provision of Jeju Autonomous Police also limits its reason of existence representing the nature and identity of the Autonomous Police, the scope and criteria of its interpretation and even ways of Autonomous Police improvement. It is because, the purpose provisions of Autonomous Police in the Special Act serve not only as a guiding principle and theoretic basis to realize practical local policing service but also as an important guideline for the law interpretation. In this situation, it becomes curious whether the meaning of Article 90 of the Act stipulating diverse policing functions and Autonomous Police affairs should be interpreted no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theory but from the perspective of current law. With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scrutinized the ground for limiting the scope of Autonomous Police affairs as it is now under the Jeju Special Act; reasons of not including the purpose provisions in the Autonomous Police section of the Jeju Special Act; and conceptual factors to be included in such purpose provisions. By doing so, this study tried the purposive analysis theory on Autonomous Police business of the present law as a practical policing service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purpose provisions and produced the purpose provisions of Jeju Autonomous Police ag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