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정영진 ( Young Jin Jeo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서정주는 당대의 허무주의를 현대 서구문명의 병폐로 이해했으며 신라정신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그가 상상한 신라 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서정주의 신라 기획이 사회문화적 가치체계로서 제안된 것이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서정주가 상상한 신라 사회는 현실규범과 현실논리에서 낙오한 이들이 영원성의 세계 속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회였다. 이 ‘낙오자’들은 비록 현실로 복귀할 수 없지만 영원성의 세계에 거주하면서, 신라인들에게 영원성의 세계를 현시한다. 즉, 그의 신라 기획은 사회통합적 성격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시에는 이러한 신라사회의 모습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서정주는 서구정신과 신라정신의 대립이나, 현실세계와 영원성의 세계의 관계 역시 시에서 다루지 않는다. 그의 시에서 신라의 ‘영원인’들은 현실사회에서의 낙오자의 성격이 삭제된 채, 사랑의 주체로 나타난다. 이들은 다만 새로운 앎과 감동을 소유하고 절대적 세계를 현시한다. 즉, 신라 기획의 일부만이 시에 바쳐졌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정주의 시인식에 따른 결과이다. 서정주는 현대시가 ‘전격적 쇼크’ 혹은 ‘전율’로 체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신라 기획의 사상적 성격을 모두 제거하고, 불사(不死)의 이미지로 전형화 된 영원성의 세계만을 시화(詩化)했다. 불사의 이미지들은 현실 전부를 점유해버리는 현실초과의 성격을 띠는데 이로 인해 그것은 영원성으로 감각된다. 다시 말하면 현실에서의 절대성이 영원성으로 치환되고 있는 것이다. 서정주 시(중기시)의 개성(스타일)의 확립은 신라정신이라는 보편적 사상 기획에 근거한 것이기는 했지만, 동시에 순수시에 대한 신념과 현대사회에서의 시의 효과에 대한 그의 시인식에 따라 신라 기획의 일부만을 미학화 한 결과였다. Seo Jeong-ju understood nihilism at the time as a social ill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sought to overcome this problem through the Silla spirit. This article seeks to show that the Silla planning of Seo Jeong-ju was suggested as a sociocultural value system by examining how Seo Jeong-ju`s Silla spirit was functioning in the Silla society he imagined. The Silla that Seo Jeong-ju imagined was a society allowing those who failed in terms of the norms of reality and logic of reality to be born again within the world of eternity. Although these losers may not return to reality, they could show the world of eternity to the people of Silla, while residing in the world of eternity. Seo Jeong-ju`s Silla planning implied a character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Seo Jeong-ju`s poetry do not reveal such features of the Silla society at all. Not only that, Seo Jeong-ju does not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spirit and Silla spir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reality and world of eternity in his poetry. The ‘people of eternity’ of Silla appear as the main agents of love in his poetry, and these agents display an absolute world and possession of new knowledge and impression. Thus, in other words,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has been dedicated to his poetry, which is a result of Seo Jeong-ju`s cognition on poetry. Because Seo Jeong-ju believed that modern poetry must be experienced through ‘lightning shock’ or ‘thrill’, he removed all ideological characters of Silla planning, and only treated the world of eternity,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image of immortality, in poetry.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tyle) of Seo Jeong-ju`s poetry (middle-period poetry) was based on the planning of a universal idea called Silla spirit, however, was also a result of treating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aesthetically based on his cognition on poetry, concerning the effect of poetry in modern society and his principle on pure poetry.

      • KCI등재

        ‘부재’의 감각과 미적 공동체 - 『질마재 신화』를 중심으로 -

        정영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6 한국문학연구 Vol.0 No.52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isclose the nature of the aesthetic community, in which eternal-immortality is preserved and sensed in the Jilmajae myth, an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modernity in the Jilmajae myth on the premise that Seo Jeong-Joo's eternality substantially signifies immortality. The Jilmajae myth is based on the extension of Seo Jeong-Joo's Shilla Planning. It is not eternality as a whole, but has been produced amid the interest in “cultural nature” that is able to possess eternality, or the “foundation” of eternality. Aesthetic matters were proposed as the only category that transcends reality and eternality in the Jilmajae myth, which was possible through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rather than exclusion. The sentiment of eternal-immortality possessed in the form of an image in the Jilmajae Myth was to connect through the sentiment of “absence.” This sentiment of absence is concurrently supported by the sentiment of eternal- immortality. The people of Jilmajae perceive the status of absence as a form of eternal-immortality, and live in possession of eternal-immortality through an alternate sentiment. However, the eternal-immortality of the Jilmajae myth is not substantial. The subtle possibility of cracks and erosion is inherent in the poem, such as the susceptibility of eternal- immortality to future uncertainty. Seo Jeong-Joo created Jilmajae, the aesthetic community that will preserve Shilla’s eternal-immortality and propose another aesthetic community that will preserve the fading Jilmajae in eternal-immortality. For such reason, the modes of mythology and oral statement have been selected. The Jilmajae myth illustrates the nature of modern subjects in pursuit of subjective certainty. Seo Jeong-Joo can be said to be the model of a modern subject in the composition of his own world, with the authority of the absolute order to take the reins. Seo Jeong-Joo, who was fascinated by the “power” delivered by the depth, rather than the essential depth, of Jilmajae, which Seo constructed in the poem as the world of secure freedom and an aesthetic community where the “outside” is unimaginable. 이 글의 목적은 서정주의 영원성의 실질적 의미를 불멸성으로 이해하고, 『질마재 신화』에서 나타난, 영원불멸성이 보존되고 감각되는 미적 공동체의 성격을 밝히는 데 있다. 『질마재 신화』는 서정주의 신라기획의 연장선에 놓이는 것이다. 그것은 영원성 자체가 아닌 영원성의 ‘토대’ 내지 영원성을 향유할 수 있는 ‘문화적 풍토’에 대한 관심 가운데 산출된 것이다. 『질마재 신화』에서는 미적인 것만이 현실과 영원의 세계를 가로지를 수 있는 영역으로 제시되었으며, 그것은 배제가 아닌 통합의 원리로 기능했다. 『질마재 신화』에서 이미지의 형태로 향유된 영원불멸의 감각은 ‘부재’의 감각을 경유하는 것이었다. 이 부재의 감각은 동시에 영원불멸의 감각을 통해 뒷받침 된다. 질마재 사람들은 부재의 상황을 영원불멸성의 한 형태로 인식하고 대용의 감각을 통해 영원불멸성을 향유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질마재 신화』의 영원불멸성이 견고한 것은 아니다. 영원불멸에 대한 미래의 불확실성이 노출되는 등 미묘한 균열과 침식의 가능성이 시에 내재되어 있다. 서정주는 『질마재 신화』에서 신라를 영원불멸의 것으로 간직할 미적 공동체인 질마재를 창조하고, 동시에 사라져가는 질마재를 영원불멸의 것으로 간직할 또다른 미적 공동체를 요청하고 있었다. 이러한 까닭에 신화와 구술양식이 선택되었다. 『질마재 신화』는 주관적 확실성을 추구하는 현대적 주체의 성격을 보여준다. 서정주는 자기만의 세계를 구성하고 거기에 절대적 질서를 부여하여 통솔하고자 하는 현대적 주체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깊이의 실체보다는 깊이가 전해주는 ‘힘’에 매료되었던 서정주가 시로 구축한 질마재는 ‘밖’을 상상할 수 없는 미적 공동체이자 ‘안전한 자유’의 세계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