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주도 시민참여 유형분석과 제도화 탐색

        이맹주(Maengjoo Lee) 한국국정관리학회 2020 현대사회와 행정 Vol.30 No.1

        다양한 시민참여 유형이 등장하고 있다. 지역과 사회 문제 해결과정에서 문제를 발굴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대안까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시민주도 시민참여 활동 공간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유형의 시민주도 시민참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이름으로 전개되고 있는 시민주도 시민참여 사례들을 유형화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유형의 시민주도 시민참여를 제도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기존 시민참여 제도의 개선과 연계를 중심으로 탐색적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다. The paper is an exploratory study on institutional redesign for citizen driven participation from the lessons of new emerging types of citizen driven participation cases in Korea. The paper suggests policy recommendations to redesign the institutional logic and rules of traditional citizen participation system in Korea in order to accommodate a new trend of citizen driven participation.

      • KCI등재

        청소년기 시민의식의 변화와 학생주도 학습경험의 시간효과

        홍석기(Hong, Seokk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시민의식의 변화 궤적을 탐색하고, 시민의식의 변화 추이에 학생주도 학습경험이 각 시점에서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의 초4패널 자료 중 1차년도(초4), 3차년도(초6), 5차년도(중2), 7차년도(고1)의 4시점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주도 학습경험의 시간효과를 투입하지 않은 무조건 모형에서 초4 부터 고1까지의 시민의식은 시간에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한 시점의 학생주도 학습경험이 동일 시점의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를 검증한 결과, 초4부터 고1까지 모든 시점에서 학생주도 학습경험을 높게 인식할수록 시민의식의 성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 시점의 학생주도 학습경험이 이후 시점의 시민의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연효과를 검증한 결과, 초4, 초6, 중2 시점의 학생주도 학습경험을 높게 인식할수록 지연시점인 초6, 중2, 고1의 시민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학생주도 학습경험이 시민의식의 변화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동일 시점에서의 학생주도 학습경험은 청소년 시기 전반에 걸쳐 시민의식의 증진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시민의식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고, 학생주도 학습경험이 시민의식의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시민의식의 지속가능한 발달을 위해 학생주도 학습경험을 풍부하게 하는 교실의 변화 및 교육정책의 개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trajectory of civic consciousness and to examine the time effect of student-led learning experiences on civic consciousnes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4th-grade panel data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simultaneous and lagged mode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ivic consciousness showed a linear increase with time in the unconditional model.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multaneous effect that the student-led learning experience had at one point of time and the way it affects the change of civic consciousness at the same point of tim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the student-led learning experience, the higher the level of civic consciousnes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lagged effect that the student-led learning experience had at one point of time affects the change of civic consciousness at the next point of time,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the student-led learning experience showed high civic consciousn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nges in civic consciousnes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tudent-led learning experiences on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ivic consciousness.

      • KCI등재

        한국 시민과학의 현황과 과제

        박진희(Park, Jin Hee) 한국과학기술학회 2018 과학기술학연구 Vol.18 No.2

        정부 기관 혹은 과학협회에서 비전문가 시민으로 하여금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는 활동에서 유래하고 있는 시민과학은 현재 프로젝트마다 과학자와의 협력 내용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생물종 개체수 조사 등 생태, 환경과학 영역에 집중되고 있던 시민과학 연구 내용은 천문학, 분산 컴퓨팅, 강입자물리 영역까지 확장되어갔다. 시민과학은 시민 자원봉사자들에 의한 데이터 수집으로 비용 효과적으로 과학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해주어 과학 연구 진전에 기여할 수 있었다. 또한 시민과학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시민들의 과학지식을 증진시키며 대중의 과학 이해를 향상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공동체 주도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지역 환경 이슈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향상시키고 환경 문제 해결에의 시민 참여를 장려하는 역할을 했다. 지역 시민들의 경험지에 근거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지역 환경 정책 결정 및 실행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시민과학의 교육, 사회 정책적 가치로 인해 각국 정부들에서는 시민과학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수립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시민과학의 사회적 역할에 주목하여 정부 주도의 시민과학 프로젝트들이 기획, 실행되고 있다.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실행되고 있는 국외와 달리 국내에서 진행되는 시민과학 활동은 아직 주제 영역이 제한적이며 활동의 주체로서 과학자나 시민 참여가 아직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주도의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통해 시민 참여가 늘어나고 또한 과학자들도 시민과학의 가능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중요해 보인다. 과학자에 대한 평가제도를 개선하여 시민과학 참여를 증진하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공공 주도 시민과학 프로젝트 운영을 시민 참여 강화에 맞추어 세밀하게 기획할 필요가 있다. 시민단체 주도의 자연조사활동이 시민과학으로서 실질적으로 과학 연구, 나아가 환경 정책에 기여할 수 있도록 오픈 데이터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시민과학 프로젝트 경험을 공유, 확산할 수 있는 시민과학 네트워크 구축에도 노력할 필요가 있다. The projects of citizen science which is originated from citizen data collecting action driven by governmental institutes and science associations have been implemented with different form of collaboration with scientists. The themes of citizen science has extended from the ecology to astronomy, distributed computing, and particle physics. Citizen science coul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cience through cost-effective science research based on citizen volunteer data collecting. In addition, citizen science enhance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by increasing knowledge of citizen participants. The community-led citizen science projects could raise public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promote the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problem-solving. Citizen science projects based on local tacit knowledge can be of benefit to the local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making and implementation of policy. These social values of citizen science make many countries develop promoting policies of citizen science. The korean government also has introduced some citizen science projects. However there are some obstacles, such as low participation of citizen and scientists in projects which the government has to overcome in order to promote citizen science. It is important that scientists could recognize values of citizen science through the successful government driven citizen science projects and the evaluation tool of scientific career could be modified in order to promote scientistʼs participation. The project management should be well planned to intensify citizen participation.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open data policy which could support a data reliability of the community-led monitoring projects. It is also desirable that a citizen science network could be made with the purpose of sharing best practices of citizen science.

      • 시민주도형 ‘참여제안’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시민소싱 공동생산 사례를 중심으로

        이맹주 한국정책학회 2019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본 논문은 시민소싱(citizen sourcing) 기반의 공동생산(co-production) 사례의 경험과 교훈을 중심으로 시민주도형 제안제도의 필요성과 제도 설계(institution design)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시민소싱은 공익 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시민으로부터 얻는 행위로서, 정부로부터 자원을 획득하는 정부소싱과 구분하였다. 시민소싱 유형은 시민소싱을 하는 주체에 따라 정부에 의한 시민소싱과 시민에 의한 시민소싱으로, 시민소싱의 목적과 영향력에 따라 소극적 시민소싱과 적극적 시민소싱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시미소싱 공동생산 사례 분석 결과 시민에 의한 적극적 시민소싱을 통한 시민주도형 시민참여 방식은 기존의 관료주도형 시민참여 제도로 수용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어서, 새로운 유형의 시민참여 제도설계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제안처리과정을 재설계하여 기존의 관료주도형 국민제안제도인 ‘창안제안’ 제도가 아닌 시민주도형 ‘참여제안’ 제도라는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관료주도형 제안제도의 한계와 문제점을 보완하는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대의제 공고화론과 시민 민주주의: 한국 민주주의 이론과 현실의 불균형

        장훈,한은수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9 현대정치연구 Vol.12 No.1

        It is conventional wisdom that democracies are working based on twin engine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civic democracy. Korean studies of democratic consolidation has been curiously tilting toward representative democracy more than on civic democracy. In contrast to such theoretical disposition, realities of Korean democracy has experienced such a weak and fragile representative democracy, often called delegative democracy. Another stream of democracy studies mostly focus on micro dimensions of electoral democracy. This article explores the pattern and evolution of civic democracy in realities in recent years. Focusing on the three cases of deliberative civil assembly on nuclear power plant, citizens participatory budgeting in Seoul city government, and candle light protest in 2017, this paper attempts to unravel representativeness, deliberation, and countervailing power of common citizen in Korean democracy. Our case studies have found that civic democracy in Korean is still struggling somewhere between participatory governance and participatory window dressing. 민주주의는 대의제와 시민민주주의라는 두 개의 엔진으로 운영되지만, 한국 민주주의의 이론적 작업은 지금까지 주로 대의제 민주주의에 더 관심을 기울여왔다. 이른바 1990년대 민주주의 공고화 이론은 시민의 역할보다는 정당, 정부형태, 선거제도와 같은 대의제 장치들의 개혁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민주주의의 현실은 공고화라기보다는 대의제 민주주의의 부실과 기능부전을 특징으로 하는 이른바 위임민주주의에 가까웠다. 또한 민주주의 이론의 다른 축을 이루는 미시이론들은 공고화라는 거시적 흐름보다는 선거행태라는 미시적 현실에만 논의를 집중하여왔다. 이 논문은 최근 들어 활발해지고 있는, 대의제 민주주의의 대안으로서의 시민주도 민주주의의 현상들을 세 가지의 사례를 통해서 조명하였다. 2017년 신고리원전 공사재개 여부를 둘러싼 시민공론조사, 서울시의 주민참여예산제, 그리고 2017년 촛불집회라는 세 가지 사례의 대표성, 심의성, 시민주도성을 우리는 검토하였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서 아직까지 시민주도의 민주주의는 참여형 거버넌스로까지는 나아가지 못한 채 시민참여의 윈도우드레싱과 참여 거버넌스의 중간쯤에 머물고 있다고 결론내리게 되었다. 시민들이 직접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참여할 만한 제도적 통로는 점차 확장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시민들의 주도력과 대표성은 충분하게 확장되고 심화되어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결국 앞으로의 이론적, 실천적 과제는 시민들의 주도력, 심의성, 대표성과 시민참여 제도의 균형을 향해서 나아가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주도적 성격, 상사 지원, 동료의 사회적 태만,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 관한 연구 - 자원보존이론과 특성활성화이론을 활용한 대립가설 검증을 중심으로 -

        박지성,채희선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2

        Previous studies on proactiv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showed inconsistent findings and supervisors and coworkers’ relationship as boundary conditions can be different expectations in the proactivity and OCB relationship. Therefore, drawing on self-enhancement motive,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COR), and Trait-activation Theory(TA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roactive personality influences OCB. In addition, based on contrasting theories such as COR and TA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level of leader support and coworker social loafing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OCB. This study predicts proactive personality will positively affect OCB. Moreover, based on COR and TAT, this study provides contrasting hypotheses regarding the moderating roles of leader support and coworker social loafing.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proactivity increased OCB and this positive relationship became stronger when the leader support is low or coworker social loafing is high. Th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applications. 주도적 성격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은 일치된 결과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경계조건인 상사와 동료 관계 역시 어떠한 이론적 기반을 통해 가설화하느냐에 따라 상이한 예측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향상동기, 특성활성화이론, 자원보존이론을 기반으로 주도적 성격이 조직시민행동의 참여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 하였다. 더 나아가 자원보존이론과 특성활성화이론을 각각 활용하여 상사 지원 수준과 동료의 사회적 태만 정도가 주도적 성격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대립가설로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주도성 자체와 자기향상동기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주도적 성격을 가진 구성원일수록 조직시민행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리고 특성활성화이론과 자원보존이론을 기반으로 상사 지원과 동료의 사회적 태만 정도가 갖는 상반된 조절효과에 대해 제시하고 대립가설을 수립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군의 조직에서 근무하는 167명의 상사-조직구성원 설문이 사용되었고, 분석 결과 예측과 같이 주도적 성격은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가지 이론들 중 특성활성화이론에 기반한 예측과 같이, 상사 지원이 낮을 때나 동료의 사회적 태만이 높은 경우 주도적 성격을 가진 사람일수록 주도성이 발현되어 오히려 조직시민행동에 보다 활발히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와 채용 및 선발 관점에서 본 연구가 가진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호텔종사원들의 주도적 성격이 조직몰입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핵심자기평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형권(Lee, Hyeongkwo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조직몰입도와 조직시민행동을 유발시키는 호텔종사원들의 성격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단순매개분석과 단순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231명의 호텔종사원들의 응답자료를 Mplus 8.1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종사원들의 주도적 성격이 강할수록 조직몰입도가 증가하고 이는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핵심자기평가가 증가하면 주도적 성격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이 증대되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핵심자기평가의 증가는 주도적 성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자기평가의 크기가 증가하면 주도적 성격이 조직몰입도를 경유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의 간접효과가 증가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분석결과에서 특히 호텔종사원들의 핵심자기평가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주도적 성격의 간접효과(조건부 간접효과)와 주도적 성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조건부 직접효과)이 모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기 때문에 조직몰입도와 조직시민행동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호텔종사원들의 주도적 성격과 더불어 핵심자기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roactive personalit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Specifically, this article intends to investigate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proactive personality to examine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ata from 231 hotel employees were analyzed using Mplus 8.1.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ronger when employees’ core self-evaluations are high. Third, core self-evaluations moderated the path from proactive personality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such that the positive indirect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is more pronounced when core self-evaluations are higher rather than lower(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112 신고에 있어서 시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욱,최천근 한국행정학회 2013 韓國行政學報 Vol.47 No.4

        112 신고는 2002년 350만건에서 2011년에는 거의 1,000만건으로 3배이상 급증하고 있는 바, 112 신고에 있어서 시민들이 어떠한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시민만족도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큰 의의가 있다. 기존의 시민만족도 연구에서는 경찰주도적 접촉인지 시민주도적 접촉인지에 대한 구분이 없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연구에서는 시민주도적 접촉에 중심을 두었으며, 그중에서도 시민의 112 신고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112 신고의 여러 요인이 112 신고에 대한 시민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1년간 112 서비스를 이용한 모든 시민중에서 각 경찰서별로 30명씩 임의로 추출하여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총 7,47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112 신고에 대한 시민의 만족도는 양호한 편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112 신고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112 신고에 대한 여러 요인중 전문적 처리와 공정한 처리가 시민의 112 신고에 대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장의 신속한 도착도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분석을 통해 여러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 KCI등재

        Social Learning Values in the Justification Discourses for One Million-pyeong Park, Busan, South Korea

        이성경,김승환,Lee, Sungkyung,Kim, Seung-Hwan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5

        본 연구는100만평공원운동의 시민참여, 홍보,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100만평문화공원조성 범시민협의회의 리더십에 근거하여 100만평공원은 일반적인 시민참여형공원과 차별화되는 시민주도형공원이라 재조명한다. 100만평문화공원 조성 범시민협의회는 2001년 운동 초기부터 현재까지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각종 문서홍보물 출판하여 100만평공원운동, 시민참여, 도심공원의 가치와 필요성을 간접 교육하였다. 특히, 문서홍보물의 내용 중 100만평공원 조성의 정당성을 밝히기 위해 100만평문화공원조성 범시민협의회가 제시하는 공원조성 공략문은 부산내 공원자원의 현주소와 문제점을 지적하고, 도심공원의 필요성을 강조한 시민의 목소리가 담긴 사회적 문헌으로 고려하였다. 수집된 공략문은 담론분석(discourse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담론의 변천과정을 100만평공원운동 태동기와 맹아기(1999~2001.2), 성장기(2001.2~2008), 100만평공원 대상지의 그린벨트 해제 이후(2008~현재) 세 개의 기점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담론분석 결과, 각각의 담론에서 100만평공원운동은 1) 부산의 공공녹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시민참여형 공원에서 2) 자연체험과 환경교육을 통한 시민참여확장형 공원 그리고 3) 전국적 민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국가공원운동의 순서로 발전하였다. 각각의 담론은 100만평 문화공원조성 범시민협의회가 부산의 공원자원의 문제점과 환경적 이슈를 지적하고 그 해결책으로 100만평공원을 제시 및 합리화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부산 시민들로 하여금 지역의 환경문제에 관한 비판적 이해를 돕고 도심공원의 가치를 간접 교육한 100만평공원 담론의 역할을 강조하고, 담론내용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사회학습적 가치를 설명한다. This paper claims that the One Million-peyong Park(hereafter abbreviated as OMP) project is different from a typical citizen participatory park project by recognizing the exceptional leadership of the Civic Committee for the One Million-pyeong Park Construction(CCOMPC) in promoting and developing the OMP project. Since 2001 the CCOMPC has published a variety of written promotional materials to inform and educate the public about the project. In terms of approaching the promotional material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use of language on how the CCOMPC justifies the OMP project, namely the OMP justification discourse, and considers the discourse as a unique form of social document that represents the perspective of the CCOMPC in explaining the local environmental issues and values of urban parks to the public. Using a discourse analysis method, this research analyzes the justification discourses and investigates how they changed over the three main development phases of the OMP: the initiation and preliminary development phase(1999-2001.2), the development phase (2001.2-2008), and the time period after the greenbelt policy release on Dunchi Island(2008-present). In each discourse, the OMP project is rationalized as a citizen participation park project that (1) aims to enhance the quality of public green space in Busan, (2) is accompanied by various community engagement programs that emphasize the value of urban natur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o expand citizen participation, and (3) has contributed to the National Urban Park Bill.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role of the discourses in helping the public gain a critical understanding about the local environment and values of urban park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iscourses, it explains the social learning values of the OMP expressed in the discourses.

      • KCI등재

        제도분석틀을 활용한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서울시 도봉구 방학천 문화예술거리 조성을 중심으로

        문치웅 한국NGO학회 2023 NGO연구 Vol.18 No.3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통적인 계층제적 해결 방식의 대안적 기제로 각광받아 온 거버넌스, 이후 거버넌스에 협력적이라는 접두어가 붙은 ‘협력적 거버넌스’가 등장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다시 행정 주도적인 협력적 거버넌스의 한계에 대한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행정 주도성이 가진 한계의 대안 중 하나로 시민주도성을 중심으로 하는 ‘시민주도적 협력적 거버넌스’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시민주도적 협력적 거버넌스의 사례로 서울시 도봉구 방학천문화예술거리조성을 대상으로, 오스트롬의 제도분석틀을 통해 사례 분석을 하고 시민주도성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수십년간 밀집된 유해업소로 인하여 주민 불편과 문화 중심으로 지역발전전략을 추진하는 구정의 입장에서 해결해야 할 공동의 목적이 분명하기에 협력적 거버넌스가 형성, 운영된 사례이다.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해 31개 유해업소가 전부 자진 폐업하고, 그 공실 중 17개는 공방과 공익공간으로 변신하고, 주변 거리엔 카페와 서점 등이 들어서면서 사람들의 왕래가 활발한 매력적 거리로 변신한 공간재생 성공 사례이다. 제도분석틀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시민주도적으로 운영될 수 있던 요인으로 오랫동안 축적된 시민사회의 역량, 행정내 마을공동체 등 주민참여형 사업을 통해 확산된 민관협력의 공감대, 시민주도성을 담아내고 있는 조례 등 제도적 장치와 추진체계 등이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Governance has been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mechanism to the traditional hierarchical solution method to solve problems in modern society. I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various fields, by adding a descriptive word “collaborative,” despite the fact that “collaboration” is a key element in the meaning of governance. This raises the need for governance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led by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citizen-led collaborative governance” centered on citizen initiative to replace the administration-led collaborative governance. As an example of citizen-driven collaborative governance, we utilized Ostrom's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 Framework to identify factors of citizen initiative in the creation of the Banghakcheon Culture and Arts Street in Dobong-gu, Seoul. This is a case where collaborative governance was established and operational because there was a clear common purpos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residents due to the existence of the densely concentrated harmful businesses for decades and the position of the city government, which was promoting a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centered around culture. Through collaborative governance, all 31 harmful businesses were voluntarily closed, 17 of the vacant spaces were transformed into workshops and public spaces, and the surrounding streets were successfully regenerated with cafes and booksto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the institutional analysis framework, we concluded that the factors that enabled the citizen-led operation were the capacity of civil society accumulated over the years, the consensu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spread through participatory projects such as village communities in the administration, and the institutional devices and promotion systems such as ordinances that embodied citizen initi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