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한문학에 있어서 수서(壽序)의 전통과 문학적 변주 양상

        김우정 ( Woo Jeong Kim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이 글은 한 개인의 장수를 축원하기 위해 지어진 글인 ‘壽序’의 등장과 변화과정, 그리고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수서는 중국의 경우 明代에 이르러서야 본격화하였으며, 조선에서는 16세기 후반에야 처음으로 나타날 만큼 매우 늦은 시기에 출현한 贈序文의 일종이다. 이는 생존인물에 대해 미사여구를 동원해 칭찬해야 하는 수서의 본질적 속성이 진중한 작가정신을 중시하는 풍토와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서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문학적 생명력을 갖추는데 가장 크게 기여한 작가로는 歸有光을 꼽을 수 있는데, 16세기 후반~17세기 초반 조선 문단에 큰 영향을 끼친 前後七子 역시 적지 않은 분량의 수서를 남겼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 문단 최초의 수서로 여겨지는 「芝川壽序」의 작가 尹根壽가 전후칠자를 수용하는 과정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후 수서는 문단 내부의 비평적 논의와 더불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큰 흐름만 요약한다면 공적 영역에서 사적 영역으로, 즉 국왕의 교화와 은덕을 찬양하는 수단으로부터 삶의 질곡을 극복한 개인의 역사로, 장생불사를 희구하던 데에서 조상을 기리고 후손의 번창을 희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 표현상으로는 의례적 응수문자의 한계에서 벗어나 의도적으로 의고적 느낌이 들도록 한다거나 운문을 활용하기도 하고, 또 소품취를 조성하기도 하는 등 개성적인 문학 산문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조선 후기로만 한정하면, 철저히 개인적인 삶에만 주목한 수서가 있었는가하면 반대로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나 태도를 의식한 수서도 있었는바, 개인적 욕망과 사회적 이성이 충돌하는 흥미로운 양식의 글이었다. This thesis investigated appearance, change processes, and its meaning of ``壽序Su-Seo`` that is an celebratory writings for longevity of an individual. Su-Seo appeared in whole scale in Ming dynasty in China. In Chosun, this first appeared in the late 16th century, thus as the kind of farewell writings, appeared very late in Chosun. This is because natural attribute of Su-Seo that should include praises for alive figures by using rhetoric did not match with trend to put stress on gentle spirit of a writer. Gui Yu-gwuang(歸有光) is said that he highly contributed to overcoming such limitation of Su-Seo so that Su-Seo could have literary life. Ming`s restorative school(前後七子) highly affecting Chosun literary circles in the late 16th century~the early 17th century had remained some Su-Seo. This fact draws attention in that Yoon Keun-soo(尹根壽), the writer of Zi-chun-Su-Seo(芝川壽序) which is regarded as the first Su-Seo in Chosun literary circl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receiving Ming`s restorative school(前後七子). Since then, Su-Seo had appeared in various aspects along with critical discussion inside literary circles. Let`s summarize main stream. Su-Seo had changed from public domain to private domain, that is, from means to praise king`s edification and favor to history of an individual who overcame fetters of life, from desire of eternal longevity to admiration of ancestor and desire of descendant`s prosperity. In expression, Su-Seo expanded to individual literary prose - giving classical feeling intentionally beyond limit of ceremonial responding letters, or using verse, or forming minor prose etc. And saying about late Chosun only, some Su-Seo thoroughly gave attention on individual life, on the contrary, some Su-Seo were conscious of social responsibility or attitude as intellect. Thus, Su-Seo was writings of an interesting style where individual desire and social reason conflict each other.

      • KCI등재

        선조(宣祖) 연간 문풍(文風)의 변화와 수서(壽序)

        김우정 ( Woo Jeong Kim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7

        이 글은 文言文으로 작성된 전통적인 한문산문 가운데 가장 늦은 시기에 출현한 壽序를 통해 宣祖 연간 복고적 문풍의 형성 원인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사실성, 진정성에 관한 시비에 휩싸이곤 했던 碑誌文의 경우처럼 長壽를 축원하는 수서 역시 그 진정성을 의심받기 쉬운 장르의 글이다. 때문에 이런 시비에서 상대적으로 더 자유로운 운문으로 대신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明代에 이르러서는 완전히 산문으로만 지어진 수서가 등장하게 된다. 당시 강남 지역에서는 풍부한 경제력에 힘입어 집안 어른의 壽宴을 여는 일이 일반화되었는데, 문단을 좌지우지하는 위치에 있었던 王世貞과 歸有光 등도 이 지역을 배경으로 성장한 문인이었다. 평소 강남 지역 특유의 문화에 익숙했던 문인들은 고문가들의 관심 밖에 있던 수서의 창작에도 매우 적극적이었으며, 이 가운데서도 귀유광은 진정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뛰어난 문학성을 지닌 수서를 다량 창작함으로써 수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희석하고, 독립적 문체의 하나로 당당히 자리하도록 만들었다. 조선의 경우, ``學明``의 풍조 속에서 고문사 창도를 주도했던 尹根壽가 黃廷彧의 생일을 기념해 지은 「芝川壽序」가 지금까지 확인된 최초의 수서이다. 명 복고파의 영향이 이론적 층위에서는 물론 실제 창작의 영역에까지 미쳤음을 시사하는데, 이는 윤근수와 비슷한 시기에 수서를 지은 柳根·申欽·張維 등도 모두 명 문단에 깊은 관심을 보인 작가들이라는 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선조 연간에 등장한 수서는 단지 명 복고파를 추수한 결과물이 아니었다. 동시다발적으로 등장했지만 그 주제나 내용, 표현방식이 상당히 다양해서 일정한 문학성을 갖춘 수서의 등장을 견인할만한 역량이 문단 내부에 이미 갖추어져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It is to understand cause and character of old-fashioned writing style within the Seonjo(宣祖) period via Su-Seo that appeared in the very last time among traditional Chinese prose. In case of Epitaphs that was often issued with realism and authenticity, Su-Seo that wishes long life is also the writing that is doubtable with its realism. Therefore, it was replaced with relatively more flexible poetry for this dispute in many cases. However, in Ming Dynasty, there is an appearance of Su-Seo that is completely written with prose. At that time, aroung Gangnam area, with enough financial support, the party for long life of family elders were generalized and Wang Shi-zhen(王世貞) as well as Gui Yu-gwuang(歸有光) who had controls of literary world were writers became popular with their background of this area. The writers who were used to the specific culture of Gangnam area were very active for the creation of Su-Seo that was out of interest by old writers. In case of Chosun, Yoon Keun-soo(尹根壽) who had control of trend of ``Study Ming`` wrote Zi-chun-Su-Seo to celebrate birthday of Hwang Jung-wook(黃廷彧) is the very first Su-Seo that has been confirmed until now. It means the effect of Ming`s restorative school to theory as well as practical creative area and it can be also confirmed that writers like Yoo Keun(柳根), Shin Heum(申欽), Jang Yoo(張維) had deep interest in Ming literary world at similar time with Yoon Keun-soo. However, Su-Seo that appeared in annual ancestor is not the harvested result of Ming`s restorative school. They appeared all-at-onceness but as they had very much diverse theme or contents, expressions so it assumes that there was existing capability that could lead the appearance of Su-Seo with certain value of literary.

      • KCI등재

        조선시대(17세기-20세기 초) 壽序의 문예적 전통과 壽宴 문화

        최기숙 열상고전연구회 2012 열상고전연구 Vol.36 No.-

        이 논문에서는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창작되고 교환된 ‘壽序’ 총 210편(남성 대상 181편, 여성 대상 29편)과 관련 자료 56편(남성 대상 49편, 여성 대상 7편)을 총합한, 총 266편의 자료를 대상으로, 조선시대(17세기-20세기 초) 수서의 문예적 전통과 조선적 壽宴 문화의 풍속화 과정에 관해 고찰했다. 수서란 단지 물리적인 수명 연장을 뜻하는 ‘장수’를 축하하는 것이 아니라, ‘잘 나이들기’라는 가치 함축적인 개념을 치하한다는 점에서 조선시대의 문화 가치와 인문성의 징표를 보여주는 문화적 상징 기제로 간주할 수 있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수서가 명대로부터의 영향으로 시작되었다고 인식했지만, 회갑을 맞이하여 수연을 베풀고 이를 장식하는 수서 쓰기가 보편화된 것은 매우 조선적인 현상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실제로 현전하는 수서 자료의 61%가 회갑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이러한 조선 문인의 판단의 정합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회갑에 대한 수서 쓰기와 수연 문화는 100여년 사이에 조선시대에 빠르게 확산되어 보편화되었다. 부모를 여읜 경우 자신의 수연을 거절하는 것이나, 부모 중 한 분이 돌아가신 경우 살아계신 부모의 수연을 바치지 않는 것이 상례였지만, 그 경우에도 생애 가치를 기록하고 그 삶을 치하하는 수서 쓰기는 지속되었으며, 후기로 갈수록 생일을 앞당겨 미리 수연을 베풀고, 부모님이 돌아가신 지 오래 된 경우에 수연을 마련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현재까지 문집총간 에 수록된 수서 및 관련자료 총 266편에 대한 독해를 바탕으로 삼은 것이다. 현재까지 수서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의 수행이 미미하기 때문에, 수서쓰기에 관한 문화사적․문학적 의의를 해명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그런데, 바로 이러한 ‘수서’와 ‘수연 문화’는 조선시대의 ‘복수(福壽)’ 또는 ‘덕수(德壽)’에 대한 인식을 문화적 차원에서 반영하는 것으로서, 현대적 의미에서의 ‘잘 나이들기’에 상응하는 생애 성찰의 시선과 관점을 살필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수서 쓰기에 투영된 생애 성찰의 가능성을 살피고, 현대사회의 ‘잘 나이들기’에 관한 성찰적 담론 구성에 필요한 자원탐색적 연구가 지속되기를 고대한다. This paper analyzed Suseo (壽序), a short writing in Chinese characters (漢文) for celebrating the aged person's birthday, written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during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the genre of Suseo in Ming Dynasty in China and late Joseon Period, and also focusing on the cultural ritualization in Joseon. This paper totally analyzed 266 pieces of texts; amongst them 210 texts (181 are for men, 29 for women) are Suseo, and 56 pieces (49 are for men, 7 for women) are written with the other genres similar to Suseo. A genre of Suseo is written fot celebrating the other's aged life with the perspective of 'live long', and also with the perspective of 'aging well'. They estimated the other's 'blessed long life' as 'happy long-life(福壽) or 'matured long-life (德壽)’, and both are terms which implied humanistic values. The Joseon literati recognized the genre of Suseo were originated from Ming Dynasty of China, but the culture of celebrating one's 60th birthday and writing Suseo for the person were unique rituals in Joseon. De facto, over 61 percents of Suseo were about for the persons who reached 6oth birthday. The writing culture of Suseo and giving a feast for the person who had 60th birthday were rapidly spread and generalized during late Joseon period. In case of the person whose parents died, they didn't open their birthday feast. And also in case of one of parents died, they didn't give a party for their living parent. However, in both cases, they didn't omit to write Suseo or ask for their acquaintance to write Suseo for their parents and their partner. As days went by, the new culture surrounding 60th birthday party turn up; descendants held a party for their living parent whose partner was passed away or their parents in advanced the date. Such analysis is based on translating and literary interpreting on the 266 text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ith a genre of Suseo and its similar genres by Joseon literati. The texts are neoterically published in Hankuk Munjip Cheonggan since 1960's by Minjok Munhwa Chujin Hoe. This study is my second research on Suseo besides for the study on the senescent woman written in Suseo in 2011. It has much potentialities for researches about the humanistic view and literary values. It should be approached no only with the literary perspective, but also wit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erspective. Through analyzing the genre of Suseo, it is possible to explain what is the cultural value of Joseon literati and also their view of life. Based on this research, it can be able to shed new light on the new reflective researchs on the 'aging-well' of the contemporary aged society.

      • 의학 도서관간 외국 학술 잡지 공동 이용을 위한 분담 수서

        송준용 明知大學校 文獻情報學會 2001 文獻情報學論集 Vol.- No.7

        의학 도서관의 외국 학술 잡지는 주된 정보원으로서 도서관 장서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최근에 외국학술잡지의 가격상승과 환율상승 등으로 도서관의 예산압박이 가중되어 자료구입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따라서 적은 예산으로 이용자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의학 도서관간 학술 잡지의 분담 수서와 분담 수서를 위한 협정을 맺은 도서관간의 상호 대차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학술 잡지의 공동 이용 체계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국내외 의학 관련 도서관의 분담 수서 실태를 파악하고, 의학 사서에게 보낸 설문지를 토대로 분담 수서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중복 수서를 막기 위해서 분담 수서를 하자는 사서들의 의견은 상당히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 실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학술 잡지 공동 이용 체제 확립을 위해 의학 전문 정보 센터를 설립하여 산하에 전국의 8개 지역 센터를 두고, 지역 센터별로 지역 센터를 중심으로 1차 분담 수서를 하고, 2차로 전국적인 분담 수서를 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이러한 형태의 한국 의학 도서관간의 학술 잡지의 이용 체제가 실현된다면 의학 정보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한층 편리하면서도 예산도 절감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키워드: 의학도서관, 학술지, 분담 수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haring acquisition system of the foreign medical journals in the Korean medical libraries.In order to do this study questionnaire is practiced and some barriers in the sharing acquisition are inquired.In the result the sharing acquisition model is designed. key word: medical library, medical journal, sharing acquisition

      • KCI등재

        기획논문: 문학의 통속화, 통속의 문학화 : 신익성수서(申翊聖壽序)의 두 가지 독법(讀法)

        김우정 ( Woo Jeong Kim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9 No.-

        이 글은 樂全堂申翊聖(1588~1644)의 壽序를 문학사와 문학성 두 가지 관점에서 살핀 것이다. 수서는 明代에 이르러서야 출현한 산문의 한 양식으로, 상업경제가 발달한 江南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다. 청탁에 의해 지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생존 인물에 대한 찬양이 주된 내용이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통속의 혐의를 피하기 어려웠다. 비록 歸有光과 王世貞등 명대를 대표하는 문장가들에 의해 고문의 지위에 오르기는 했지만 그 뒤로도 통속성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이유다. 한편 조선의 경우, 前後七子의 문학이 수용되기 시작한 16세기 말~17세기 초부터 수서가 보이는데, 이는 수서가 ‘學明’ 풍조의 영향 아래 나타난 것임을 시사한다. 신익성은 부친 申欽과 더불어 전후칠자에 깊이 경도되었던 문인이다. 그는 모두 8편의 수서를 남겼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압도적인 분량이다. 신익성은 수서에 덧씌워진 통속의 혐의를 벗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다. 통속을 의식하고 있음을 의도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자신의 수서를 객관화하기도 하고,서사적 성격을 더해 인물의 삶을 입체적으로 구성하기도 했다. 또한 장르를 착종해문체적 신선미를 강구하기도 하였으며, 여러 가지 전고와 수사를 활용해 고문의 범주를 충실히 유지하도록 하였다. 당대 지식인이 꿈꿨던 세계를 ‘峻潔’하고 ‘簡整’한 문체에 담아냄으로써 세련되고 품격 있는 고문의 하나로 완성해냈다. 그의 수서에 통속에 대한 직접적 경계가 없었던 것은 이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학명’의 과정에서 발견한 정통 고문이라는 인식이 앞섰기 때문이다. 이 점이 그의 수서가 갖는 중요한 의의이자 한계이다. This writing examined Nakjeondang Shin, Ikseong(樂全堂申翊聖: 1588~1644)’s Su-seo(壽序: an celebratory writings for longevity) from two viewpoints of literary history and literary value. Su-seo was popular with Jiangnan(江南) that economy of commerce developed as center as a prose pattern which appeared during the Ming Dynasty. Because it was mostly made by request and its main contents were praising living persons, it was difficult to avoid popular suspicion fundamentally. Even though Su-seo reached the position of classics by the good writers who represented the Ming Dynasty including Gui Yu-gwuang(歸有光) and Wang Shi-zhen(王世貞), it has continued to be criticized about popular veins later.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Joseon Dynasty, Su-seo was shown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that literature of Former and Latter Seven Master(the restorative school, 前後七子) began to be accepted. This implies that Su-seo was shown by being influenced by the trend to learn the Ming Dynasty [學明]. Shin, Ikseong focused on Former and Latter Seven Master very much with Shin, Heum who is his father. He left 8 Su-seos which were overwhelmingly a lot of quantity then. Shin, Ikseong used various methods to prove that Su-seo is not popular. He objectified his Su-seo by showing you that he was aware of being popular on purpose and composed persons’ lives in three dimensions by adding descriptive character in them. He devised styles’ freshness by mixing genres with each other and kept classics’ categories faithfully by utilizing various authentic precedents and elaborating his style. He completed one of refined and elegant classics by expressing the world that contemporary intellectuals dreamed of with sophisticated and simple styles. There was no any direct boundary about being popular in his Su-seo not because it lack awareness about it but because awareness of traditional classics found in the process of scientific names preceded it. This point is the important meaning and limit of his Su-seo.

      • Current status and biodiversity of aquatic insects in Korea

        Sang Woo J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2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4 No.04

        수서곤충은 일반적으로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 잠자리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뱀잠자리목, 파리 목의 8개의 목(Order)에 속하며, 물을 기반으로 서식하는 곤충들을 의미한다. 국내 수서곤충의 연구는 도입기 (40-50년대), 형성기(60년대), 발전기(70-80년대), 도약기(90-2010년대)를 거쳐 왔다. 물을 기반으로 수질을 평가 하기 위해 수서곤충은 생태학적 연구가 먼저 시작되었으며, 이후 분류학적 연구가 시행되고 현재는 유전학적 및 응용학적 연구로 다양성을 증명하고 있다. 하지만, 물을 기반으로 하는 수서곤충의 서식처는 도시화로 인한 다양한 개발과 교란으로 감소하고 사라지고 있다. 서식처뿐만 아니라 수서곤충을 연구하는 학자들과 학생들도 정체기와 쇠퇴기를 거치고 있다. 국내 수서곤충의 다양성 종 목록은 1999년 처음으로 학술논단에서 491종이 정리되었으며, 이후 약 10년 만에 개정목록이 2011년에 988종으로 수정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국가생물다양성 확보 및 보전 전략에 따라 미발굴된 수서 파리류들이 대거 기록되면서 2018년에는 처음 기록보다 3배 이상 증가하 여 1,567종이 보고되었다. 이처럼 표면적으로는 수서곤충의 연구가 활성화되어 다양성은 늘어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양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수서곤충은 성충보다는 유충을 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많은 연구 자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단기간의 다양성 증진보다는 심도 있는 다양한 주제로 접근하는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수서곤충의 다양성과 함께 서식처 회복 및 복원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표에서 는 국내 수서곤충의 다양한 연구주제와 피해 상황 및 활용방안을 소개하여 미래의 수서곤충의 방향성과 연구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상업경제의 성장과 壽序

        김우정 근역한문학회 202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2 No.-

        This article revealed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development of the commercial economy and the resulting perception behind the emergence and popularity of Su-Seo(壽序: an celebratory writings for longevity) in East Asia. To this end, this article looked at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of vulgar music in China’s an celebration culture for longevity, and looked at the roles of Gui Youguang(歸有光) and Wang Shizhen(王世貞), the representative writers of the Ming Dynasty, in the trend of Su-Seo. In addition, through this article, it was confirmed that Su-Seo, which was written by Ogyu Sorai(荻生徂徠) and Nakai Chikuzan(中井竹山) during the Edo period, was influenced by China, and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society were reflected intact, which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Su-Seo creation pattern in Joseon. Su-Seo is a social interaction writing, but it was constantly built by many writers and constantly involved efforts to overcome popularity. In the midst of self-censorship by writers, it was recognized and accepted as part of literary things. This is the same case as when various prose texts originally generated for practical and public purposes entered the realm of literature through a certain verification process. 이 글은 동아시아에서 壽序가 출현하고 유행하게 된 배경에 상업경제의 발달과 이로 인한 인식의 변화가 있음을 밝힌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의 축수문화 속에서 壽序가 출현하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짚어보고, 明代를 대표하는 문인인 歸有光과 王世貞이 壽序의 유행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살폈다. 또한 荻生徂徠나 中井竹山 등 에도 시기에 지어진 壽序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인 동시에 당시 사회의 특성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했는데, 이는 조선에서의 壽序 창작 양상과 확연히 다른 것이다. 壽序는 應酬文字지만 많은 문인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지어졌으며 통속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도 부단히 수반되었다. 문인들의 견제와 자기검열 속에 문학성을 인정받고 雅文學의 일부로 수용되었다. 이는 애초 실용적․공용적 목적에서 발생한 각종 산문문체가 일정한 검증과정을 거치며 문학의 영역으로 진입했던 것과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 대학도서관 전자자원 수서정책에 관한 고찰 : H대학교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지갑숙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2011 사대도협회지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초미의 관심사인 전자자원 수서정책과 관련하여, 문헌조사를 통해 전자자원 수서정책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자원의 효율적인 선정을 위한 지침마련의 필요성에 부응하고자 국내외 대학도서관들의 전자자원 수서정책 사례를 소개하였다. 또한 H대학교 도서관의 전자자원 수서정책에 대하여 소개하고, 이렇게 살펴본 정보를 토대로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자원 수서정책 수립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생태독성시험을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 도출: (1) 수서시험종

        남선화,김민진,안윤주 대한환경공학회 201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1 No.1

        Ecotoxicity data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were obtained according to test conditions presented in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However, only 25.8% of native organisms in Korea were included in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It is needed to consider native organisms in Korea as test species, in terms of toxicity sensitivity, domestic environment media, and economic costs. In this study, we collected taxonomic classification system (Kingdom animalia, plantae, protista), based on Phylum or Division and Class. We investigated the habitat and analyz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and Korean native organisms. As for animalia, 26 of Class was derived from the fresh water as habitat. Eight and three of Class were derived from the each criteria ’not included in standard test methods and identifiable Korean native organisms’ and ’not included in Korean native organisms in standard test methods and identifiable Korean native organisms’. With Korean native species list, taxonomic and ecological status, distribution, toxicity data, we verified the possibility of list for potential Korean native organisms (eleven of Class). This study proposes the candidate list of Korean native organisms to further develope ecotoxicity testing. 생태위해성평가 시 활용하는 정량적인 생태독성자료는 국제적으로 신뢰성 있는 표준시험법에 제시된 세부 실험조건에 따라 수행되어야하나, 국제 생태독성 표준시험법 중 국내 서식종 비율은 단지 25.8%에 불과하다. 국외종 사용 시 생태계 교란 및 경제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국내종의 독성민감도 및 환경특성을 고려하여 국내 서식종을 활용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 서식종에 대한 기초적인 생태독성실험방법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수준으로, 생태독성시험종으로서 국내 서식종을 고려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서 생태독성을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을도출하기 위해, 생물분류체계 내 담수 서식성, 국제적인 수서생태독성 표준시험법의 해당 여부, 국내 서식성을 중심으로국내 자생 생태독성 후보종을 선별하였으며, 국내 생물종 목록, 분류학적·생태학적 위치, 분포성, 독성연구사례 여부를 바탕으로 국내 자생 생태독성 후보종의 특성 현황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수서 생태독성시험을 위한 잠재적인 국내 자생 생태독성 후보종 목록을 도출하였다. 이동성을 가진 동물계에 한해 담수 서식 생물분류군 26개 강을 추출하였으며, 동물계, 식물계, 원생생물계를 대상으로 국제적인 표준시험법의 수서 생태독성시험종으로서의 해당 여부를 확인하였고, 국제 수서생태독성 표준시험법에 제시되지 않은 생물분류군 8개 강을 우선 선별하였다. 또한 국제 수서 생태독성 표준시험법에 제시되었으나 국내 자생생물이 포함되지 않은 생물분류군 3개 강을 차선 선별하였다. 그리고 국내 생물종 목록, 분류학적·생태학적 위치, 분포성, 독성사례 여부를 통해 11개 강 모두 잠재적인 수서 생태독성시험종으로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최종적으로 동물계 6개 강(연갑강, 소악강, 환대강, 이매패강, 와충강, 히드라충강), 식물계 4개 강(윤조강, 물이끼강, 우산이끼강, 양치식물강), 원생생물계 1개 강(유글레나강)의 총 11개 강을 수서 생태독성시험을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으로 제안하였다.

      •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quatic insect ecological resources in rice fields of organic ecological agricultural complex

        Hongshik Nam,Heongno Joo,Yangsoo H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2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10

        유기농 생태농업단지 논에서 출현하는 수서곤충의 생태자원 분포 특성을 비교하고자 유기농 단지 논에 둠벙 이 있는 조건과 둠벙이 없는 조건에서의 수서곤충상을 조사하여 관행 논의 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수서곤충 출현은 둠벙이 있는 유기농 논 5목 15과 26종 413개체, 둠벙이 없는 유기농 논 5목 14과 22종 236개체, 관행 논 5목 11과 16종 155개체로 유기농 논에서 관행 논에 비해 수서곤충의 출현 과, 종 및 출현 개체수가 많았고, 유기농 논에서도 둠벙이 있는 조건에서 종수 및 개체수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잠자리목의 경우 유기농 논 4과 8종 134개체, 둠벙이 없는 유기농 논 3과 5종 35개체, 관행 논 2과 4종 12개체로 전체 출현 종의 발생특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유기농 재배의 특성상 농약의 피해로부터 수서곤충에 안전한 환경이 조성된 점과 둠벙의 담수 및 다양한 수서생물의 발생으로 수서곤충의 서식조건에 유리하게 작용되었다고 보인다. 반면 파리목에서는 둠벙이 있는 유기농 논 3과 3종 18개체, 둠벙이 없는 유기농 논 3과 3종 25개체로 관행 논 2과 2종 24개체보다 발생양상이 다른 수서곤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관행 논보다 깔다구류의 개체수 19개체보다 각각 6개체, 12개체로 적게 출현한 점에서 유기농 재배유형과 둠벙의 서식처 제공이 수서곤충의 출현 및 분포에 건전성을 조장하는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