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미디어의 매체 기호학적 함의 -퍼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조창연 ( Chang Yeon Jo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9 No.-

        이 논문의 목적은 미디어와 기호, 그리고 기표와의 관계를 퍼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의 기호작용(Semiosis)을 파악하는 것이다. 기호작용을 파악한다는 것은 기호생성과 의미생성, 그리고 의미전달(커뮤니케이션)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식될 수 있는 구체적인 기호를 생성하려면 추상적이든 구체적이든 간에 그것을 구현하는 매개물(미디어)이 필요한데, 매개물로서 미디어는 기호학적 시각에서 보면 어떤 특정한 물리적인 형태로 기호의 의미를 재생산하고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종의 기표(표현체)로 볼 수 있다. 기표로서 소셜 미디어는 여러 다양성을 융합하며 상호작용을 통하여 집단 혹은 공동체 인식을 형성함으로써 기호의 생성에 관여한다. 소셜 미디어의 이런 속성에 의해서 소셜 기호가 생성된다. 이 소셜 미디어의 의미생성 차원은 개인적인 차원과 사회적인 차원으로 구분되며, 전자에서는 소셜 미디어의 매개적 기능이 강조되고 의미생성에서 해석체가 중심역할을 한다. 반면에 후자의 경우에는 소셜 미디어의 재매개적 기능이 강조되고 집단지성(집단인식)이 의미생성의 토대가 된다. 이 같은 이중적인 의미생성 과정을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의 의미소통(커뮤니케이션)이 진행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semiosis of social media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media, signs, and signifiers, or representamen in a Piercian sense. To understand this semiosis means to grasp syntagmatically the total process of sign and meaning creation, and of communication. A number of findings resulted from this study. First, to create a sign that can be concretely perceived, we need a medium or vehicle, whether it be concrete or abstract. The medium could be semiotically regarded as a sort of signifier that is physically shaped to re-create meanings of a sign and transmit recreated sign meanings. The signifier of social media functions as a unit which represents diversity and is involved in creating signs; it is characterized by a flickering interactive virtual signifier based on pattern and voluntariness. Social media form a social sign, the level of meaning creation of which is into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In the former category, the mediation function of social media is emphasized and the interpretant plays a key role in meaning creation. In the latter the re-mediation function of social media is stressed, and is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that we might call a collective interpretant. Based on this double process of meaning creation,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media works to convey meaning.

      • KCI등재
      • 유형별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 연구

        박진원,조은영,김희웅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대로 인해 인터 넷상에서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진행하기에 보다 좋 은 환경이 조성되었고, 국내·외로 소셜미디어를 활 용한 많은 마케팅 성공 사례들도 나오고 있다. 이는 이제 기업이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활용하는 것이 더 이상 선택이나 유행이 아닌 필수적인 것임을 시사한 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저비용으로 마케팅을 성공 할 수 있다는 인식만으로 무조건 '남들 따라 하기' 식의 마케팅을 하려다 실패하는 사례들도 많이 나오 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마케팅 사례들 을 유형별로 분류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사례연구를 통하여 검증한 뒤, 각각에 적절한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 구는 해당 기업의 브랜드 인지도와 기업이 주로 무 엇을 파는지(제품 혹은 서비스)에 따라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이 기업마다 차이를 보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유형별 소셜미디어 마케팅 기법을 보여주 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시사점을 지니며, 서로 다른 기업에 적합한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 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 KCI등재

        소셜 미디어 활용에 따른 정부신뢰와 효능감의 변화

        허진희,서진완 한국국정관리학회 2014 현대사회와 행정 Vol.24 No.1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공공기관의 목적이 공공기관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전제하고, 소셜 미디어의 활용이 실제로 그러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소셜 미디어의 활용과 지방정부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즉,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와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소셜 미디어의 활용이 주로 친근한 사람들 간에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이 정치인이라는 사실을 함께 고려하여, 개인의 정치적 성향과 소셜 미디어의 활용, 그리고 정부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소셜 미디어의 활용빈도와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사이에는 높은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소셜 미디어를 자주 활용할수록 지방정부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소셜 미디어에 대한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는 물론 효능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적 성향은 정부 효능감과는 별다른 관계를 보이지 않지만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 수준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즉,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일수록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수준 또한 높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다만, 이 연구는 공공기관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할 경우, 정부에 대한 신뢰 보다는 이해를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 KCI등재

        온라인 농식품 구매시 소셜미디어 이용 군집에 따른 소비자특성에 대한 연구

        이명관,박상혁,김연종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4

        According to the 2019-2020 social media usage survey conducted by the Seoul e-commerce center, 5 out of 10 consumers have experienced shopping through social media. The cost of traditional advertising media has been reduced and advertising spending on social media has risen by 74%, indicating that social media is becoming a more important marketing element. While the number of users of social media has increased and corporate marketing activities have increased according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of marketing such as user motivation for social media,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re was no subdivided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of consumers in actual purchasing behavior.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consumer characteristics by cluster in the agrifood purchase situation by grouping them by typ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for consumers who purchase agri-food online. Product involvement, product need, and online purchase channel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demographic distribution, perceived risk, and eating and lifestyle in each cluster were checked for the three agrifood purchase situations including choice, and types for each cluster were presented. To this end, questionnaire data on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and online agrifood purchase behavior were collected from 245 consumers, and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was secur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it was divided into three clusters. The first cluster was a group that mainly used open social media, and the second cluster was a group that used both open and closed social media and online shopping malls; The third cluster was a group with low online media usage overall,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appear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n product involvement, product need, and purchase channel selection when purchasing agri-food online through each of the three clusters was confirm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characteristic of cluster 1 in the situation of purchasing agri-food online is a male in his 30s living in a rural area who has no reluctance to purchase agri-food on social media or online shopping malls.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2 are mainly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purchasing health food,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In the case of cluster 3, when purchasing products online, they purchase after considering quality and price a lot,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as people who are more confident in purchasing offline than online. Through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consumer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agri-food purchase situa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it can be helpful in strategic judgments in marketing practice on social media customer targeting and customer segmentation.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에서 실시한 2019-2020년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 10명 중 5명이 소셜미디어를 통한 쇼핑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he CMO Survey에서 2020년 코로나 펜데믹 기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전통적인 광고매체의 비용은 축소되고 소셜미디어에 대한 광고지출은 74%나 상승함으로써 소셜미디어가 더욱 중요한 마케팅 요소로 자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만큼 소셜미디어의 이용자 증가와 그에 따른 기업의 마케팅 활동이 활발해지는 동안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동기, 만족도, 구매의도 등 다양한 마케팅 측면에서 연구되어져 왔으나, 온라인을 통해 농식품을 구매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빈도가 실제 구매행위에 어떠한 차이로 나타나는가에 대해 세분화 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빈도에 따라 유형별로 군집화하여 농식품 구매상황에서 보여지는 군집별 소비자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제품관여도, 제품필요도, 온라인 구매채널 선택 등 3가지 농식품 구매상황에 대해 각 군집에서 나타나는 인구통계학적 분포, 지각된 위험, 식습관 라이프스타일 등의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고 군집별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45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빈도 및 온라인 농식품 구매행태에 대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으로 측정변수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소셜미디어 이용빈도에 따른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군집으로 나뉘어졌으며, 첫번째 군집은 주로 개방형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집단, 두번째 군집은 개방형 소셜미디어와 폐쇄형 소셜미디어, 온라인 쇼핑몰을 고루 사용하는 집단, 세번째 군집은 전반적으로 온라인 매체 사용량이 적은 집단으로 군집별 특성이 나타났다. 각 3개의 군집을 통해 온라인에서 농식품 구매시 제품관여도, 제품필요도, 구매채널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상황에서 보여지는 군집1의 특성은 소셜미디어나 온라인쇼핑몰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데 거부감이 없는 지방에 거주하는 30대 남자로 소비자특성이 대표된다. 군집2의 특성은 주로 건강식품 구매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로 소비자특성이 대표된다. 군집3의 경우는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품질과 가격을 많이 따져보고 구매하며, 온라인보다 오프라인 구매가 더 안심인 사람으로 소비자특성이 대표된다. 본 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 이용빈도에 따라 농식품 구매상황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특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소셜미디어 고객타겟팅과 고객세분화 등에 대한 마케팅 실무의 전략적인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이용자 유형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및 활동 유형에 대한 차이 연구

        김봉섭(Kim, Bong-Seob),신명희(Shin, Myoung-Hee),임도경(Lim, Do-Kyung),이인희(Lee, In-He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2

        소셜미디어어의 급속한 확산은 단순히 이용자 수의 증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제 분야에 급격하게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그러나 소셜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이 높아지고 대중적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지만 아직은 체계적인 논의나 연구가 초기 상태라 할 수 있다. 특히,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에 대한 객관적이고 세분화된 유형을 구분하고자 하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이용과 관련한 맥락과 상황을 토대로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세부적인 유형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분화된 소셜미디어 이용자 집단을 바탕으로 이용자의 소셜미디어 이용 행위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소셜미디어 이용자 유형은 제한적 이용자 집단, 실험적 이용자 집단, 열성적 이용자 집단, 특화된 이용자 집단 순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셜미디어 열성적 이용자 집단의 특성은 대체로 남녀 비슷한 비율로 20~30대 층의 대학 재학 이상 고학력층에서 월소득 300만원 이상의 사무관리직 및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소셜미디어 이용자 집단 유형에 따른 이용동기는 크게 사회성동기, 보상동기, 유희동기, 정보동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성적 이용자 집단이 모든 유형의 동기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 이용자 집단 중 열성적 이용자 집단이 정치적활동, 관계형성활동, 사회참여활동, 문화활동 등 활동의 전 영역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소셜미디어의 사회적 영향력의 증대와 대중적인 확산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소셜미디어 이용환경은 초기 확산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소수의 열성적 이용자 집단이 현재의 소셜미디어 환경을 주도하고 있음을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rapid diffusion of social media has brought about a growing influence on the matters of society as well as the power of media attended by the large number of users. Little research and few discussions have been conducted about the impact of social media. At first, what this study attempts is to classify social media users who participate in social network activities by sharing information and producing content voluntarily based on the collective context and situation of social media usage. This study also tries to explor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users in terms of the detailed types of social media usage.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media user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limited user group, experimental user group, intense user group, and specialized user group. The intense user group consists of people with a degree higher than college-level education in their 20s and 30s. This group mostly includes office workers with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three million Won. The types of motivation in using social media include social, practical,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The intense user group’s motivation shows the highest among the other user groups, maintaining an active life style in various sectors of activities, such as public, social networking, participation, and cultur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ocial media usage currently is at a relatively primary stage of diffusion and is largely led by the intense user group by virtue of the growing power in social networking through the social media.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정보 특성을 통한 소셜미디어의 가치와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이영희(Lee, Younghee),이승신(Lee, Seungsin),이석형(Lee, Seokhyoyng),박정근(Park, Jungk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4

        최근 소셜미디어와 SNS는 우리생활의 많은 영역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SNS에서 흐르는 정보 특성과 소비자가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얻는 가치를 구분하여 살펴보고, 소비자의 소셜미디어의 사용의도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성인소비자 4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t-검증, 일원분산분석, 사후 검증(DMR검증), 상관관계(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SNS 정보 특성은 내용적합성과 활용용이성으로 구분되었으며, 소비자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가치를 목적가치와 오락가치 두가지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더불어 소셜미디어의 목적가치와 오락가치는 소셜미디어의 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정보 특성은 소셜미디어의 목적가치와 오락가치를 통하여 직․간접적으로 소셜미디어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SNS 정보 특성 중 내용적합성은 소셜미디어 사용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적합한 정보전달을 위한 정보내용의 검증단계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적합한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전달됨으로써 정보 선택과 관련된 소비자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기업에서는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목적가치와 오락가치를 충족시킴으로써 지속적인 소비자들과의 소통과 마케팅수단으로 소셜미디어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Nowadays social media and SNS (Social Network Service) are being diversely utilized in various area of our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transmitted over SNS and the value that consumers create through social media. The study is also to explore the effects of social media information on consumers’ usage intention of social media. The sample of this research were 402 adult consumers, and SPSS 22.0 was employ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ost-test,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SNS are divided into contents accuracy/ usability, and purposive/entertaining value through social media. Also, it has been found that the purposive value and entertaining value of social media exert positive effects on the usage intention of social media. In addition,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SNS indicate effects on the usage intention of social media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the mediation of social media’s purposive and entertaining value. Especially contents accuracy fr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SNS has direct effects on the usage intention on social media; thus, it will be needed to secure steps to verify the contents of information to deliver accurate in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to solve consumer problems related to information selection by delivering accurate information to consumers. For managerial implications it is thought that they can satisfy consumers’ purposive and entertaining value through social media and can use social media as a means of marketing as well as constant communication with their consumers.

      • KCI등재

        SNS 이용자들의 소셜미디어 피로감과 이용중단의도: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이병혜 ( Byung Hye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 특히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피로감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이들 요인들이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소셜미디어 피로감이 이용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주요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라이버시침해 우려가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프라이버시침해 우려는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판근심이 소셜미디어피로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평판근심은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간관계 피로가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인간관계 피로는 소셜미디어 피로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셜미디어 피로감이 이용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소셜미디어 피로감은 이용중단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terminant of social media fatigue and intention to discontinue using social media focused on facebook us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ivacy concerns perceived by facebook users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social media fatigue. Second, concern of reputation perceived by facebook 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social media fatigue. Thir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tigue perceived by facebook 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social media fatigue. Fourth, social media fatigue perceived by facebook users influenced positively on intention to discontinue using social media.

      • KCI등재

        소셜 미디어 플로우의 선행요인과 결과

        신강선,지성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3

        기업의 광고와 홍보 및 소통창구로서 중요해진 소셜 미디어에서 플로우는 사용자들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개념이다. 플로우가 연구된 이래, 많은 연구자는 인터넷, 게임, 온라인 쇼핑,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결과변수를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 하였다. 또한, 최근 들어 SNS 사용자들의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결과를 밝히려는 시도가 국내외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상대 적으로 소셜 미디어 플로우 선․후행 변수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 플로우에 미치는 선행요인과 결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소셜 미디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셜 미디어 플 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선행변수 중에서 본 연구는 유희성, 유행성, 유용성, 사회적 가치의 긍정적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결과변수 로 소셜 미디어 애호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용성을 제외한 유희성, 유행성, 사회적 가치는 소셜 미디어 플로우에 정 의 영향을 미쳤다. 한편, 이들 4개의 선행변수가 소셜 미디어 애호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행성을 제외한 유희성, 유용성, 사회 적 가치는 소셜 미디어 애호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소셜 미디어 플로우는 소셜 미디어 애호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소셜 미디어 플로우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함께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Social media, which can expand the personal network by sharing information and opinions between individuals, is becoming important as a channel for communication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The proportion of corporate advertising that social media accounts for has grown explosively, surpassing the proportion of advertising in TV media. Flow is a useful concept in describing users' behavior in social media, which has become important as a corporate advertising and promotional and communication channel. Since flow was studied, many researchers have conducted research to identify variables and outcome variables that affect flow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Internet, games, online shopping, and smartphones. In addition, attempts have recently beenmade at home and abroad to identify antecedents and consequence that affect the flow of SNS users. However, there is still a relative lack of study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flowin social media. In this study, we tri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antecedents of social media flowand its consequence to socialmedia flowtargeting socialmedia users. As a result of the study, playfulness, trendiness and social value, excluding use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media flow.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ositive effect of these four antecedent variables on social media loyalty, playfulness, usefulness, and social value excluding trendi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media loyalty. Finally, socialmedia flow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media loyalty. Through these studie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flow of social media and presen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longwi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SNS 소셜 미디어 커뮤니티 정보가 화장품 구매 시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박은원,신재욱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2 No.66

        The growth of social media has skyrocketed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Social media such as blogs, Twitter and Facebook have spread rapidly due to the advancement and spread of peripheral technology.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users of such social media increases, social media is being utilized as an important means for companies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The influence of these social media has also been confirmed in the cosmetics market, and it has been found that, above all, it influences consumers' satisfaction with cosmetics purchases. In particular, Corona-19 has reduced external activity, and social media using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s, and laptops has become more active than offline purchas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and empirically investigate what kind of influence it has on purchases by trusting community information on social medi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college students who frequently contact social media to purchase cosmetics for empirical survey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ranked high in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2020 social media surveyed by DMC media, and was limited to Facebook, YouTube, Instagram, and Twitter. As a result of empirical research, it became clear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influence their purchasing intentions by trusting information on social media. The reliability ranking by each social media is in the order of Instagram, YouTube, Facebook, and Twitter. Instagram was very high, but Facebook and Twitter turned out to be unreliable. From now on, we will buy social media products in the growing e-commerce market, but hopefully it will be a suggestion to provide consumers with a positive ease of use and a useful experience. We also hope that it will be used as a material for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many companies that are utilizing social media for COVID-19. 소셜 미디어의 성장은 스마트 폰의 대중화와 더불어 급부상하게 되었다. 주변 기기들의 기술적 발전과 보급으로 블로그, 트위터 및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가 급속히 확산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소셜 미디어의 이용자 수가 증가함으로서 소셜 미디어는 기업들이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은 화장품 시장에서도 확인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화장품을 구매 할 때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외부 활동이 급격히 줄어들어 오프라인 구매 보다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과 같은 기기를 사용하여 소셜 미디어를 통한 구매가 활발해 졌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커뮤니티 정보를 신뢰함에 따라 제품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고 실증적으로 조사하고자 했다. 실증 조사를 위하여 소셜 미디어를 자주 접하면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범위는 DMC미디어에서 조사한 2020 소셜 미디어 현황 및 전망에서 상위권에 위치한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트위터 네 가지로 한정했다. 연구의 실증 조사 결과, 여대생이 소셜 미디어 정보를 신뢰함에 따라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각 소셜 미디어별 신뢰도 순위는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순으로 드러났다. 인스타그램의 순위는 매우 높았던 반면,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신뢰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성장하는 이커머스 시장에서 소셜 미디어 상품 구매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사용성 및 유용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제안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는 많은 기업들의 산업적 발전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