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가 성종(成宗)의 불교정책

        송재혁(Song, Jae Hyeo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종 23년(1492)에 벌어졌던 두 차례의 도승법 폐지 논쟁을 통해, 최종적인 정책결정에 작용했던 다양한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자들은 성종 23년의 도승법 폐지 논쟁에 대해 “유교정치”의 이념적 요인을 강조하는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선적인 설명은 국왕, 대신, 대간 등 당대의 정치행위자들이 유학의 수많은 이념적 요소들 중에서 각자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 다르며, 나아가 이념적 요인 이외에도 당대의 정치적 상황 속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개입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성종 23년의 도승법 폐지 논쟁은 조선에서 이단으로 치부되었던 불교와 관련된 사례임에도 불구하고, 이념이 강조되었던 조선의 정치에서도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는 정책결정과정의 역동성을 반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정치가로서 국왕인 성종에 초점을 두고, 도승법 폐지 논쟁에서 성종이 주도적인 위치에서 다양한 정치의 행위자들을 조율하며 정치적 현안을 타개해 나가는 과정에 주목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ous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abolition of buddhist monks law(度僧法)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by reviewing the two discussions about it in the King Seongjong(成宗)"s 23th year(1492). Regarding these debates, the earlier studies take an approach that emphasizes ideological factors of Confucian politics. However, this unilinear approach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each political actor of the time such as a king, a minister and a censorate emphasized different factors among numerous Confucian ideological ideas, even though they were all Confucianists. Furthermore, those studies overlook various factors like political issues of the time, relation of power, and different stance on the buddhist monks law, which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It is true that the debates on the abolition of buddhist monks law in the King Seongjong"s 23th year was related to Buddhism which was considered to be a cult, but this study will show the dynamics that a variety of factors in addition to ideology could have a large influence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even though ideology was highly considered as a factor to determine the policy in the politics of Joseon.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Statesman, King Seongjong"s politics that he used to resolved the political issues of the time through mediating between various political actors in his leading position, by reviewing the discussions about the abolition of buddhist monks law(度僧法).

      • KCI우수등재

        <성종대왕실긔(成宗大王實記)>의 소재원(素材原)과 성종(成宗)의 형상에 대한 연구

        이기대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199

        <성종대왕실긔>는 1930년 덕흥서림에서 간행한 구활자본 고전소설이다. 역사 기록과 야담 그리고 소설 등을 소재원(素材原)으로 활용하여 성종의 탄생과 왕으로서의 행적 및 죽음과 평가 등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성종(成宗)의 왕실 가족 및 당대의 역사적 인물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는 과정에서는 주로 『연려실기술』과 같은 역사 기록을 소재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박팽년 후손, 폐비 윤씨, 연산군에 대한 성종의 태도나 손순효, 유호인 같은 신하들과의 관계가 드러난다. 야담류 등을 소재원으로 활용하는 과정에서는 성종이 백성들의 처지를 이해하고 각각의 문제를 해결해주려 했던 모습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특히 성종이 미복(微服) 차림으로 백성들을 만나는 과정은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흥미롭게 제시되고 있다. <성종대왕실긔>와 소설의 관계는 신종호의 행적을 통해 드러난다. 성종이 신종호를 평안도에 어사로 보내고 다시 기녀를 통해 속이는 내용으로 전개되는데, 이는 훼절 소설의 구조와 유사하다. 이처럼 여러 기록과 문헌의 내용을 소재원으로 활용하면서 작품에서의 성종의 형상은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된다. <성종대왕실긔>가 간행될 무렵에는 과거의 인물이나 역사를 기록한 서적들이 출간되고 조선의 왕들에 관한 일화들이 신문과 같은 대중 매체를 통해 소개되고 있었다. 이는 조선이 아닌 시대를 살고 있지만, 오히려 조선의 왕들을 기억하려했던 당시 독자들의 요구를 보여준다. 그리고 발행자였던 김동진은 이러한 출판 상황에 따라 <성종대왕실긔>와 같은 실기류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간행하였다.

      • KCI등재

        성종조(成宗朝) 여악(女樂) 사용의 쟁점 연구

        성영애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ssues that appeared through the issue of Yeuak(女樂) use during Sungjong(成宗)'s reign in detail and to find out what the issue really meant. For the purpos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use of Yeuak(女樂) during Sungjong(成宗)’s reign on such occasions as Jungjeon(正殿), Yeonhyang(宴享), Gunrye(軍禮), and other rituals(儀禮). Although the issue of Yeuak(女樂) use at Jungjeon(正殿) was raised by remonstration officials as a problem from the early Sungjong(成宗) years, both Sungjong(成宗) and Grand Secretaries did not even mention on this issue. In Sungjong(成宗)’s personal government system, it was decided that Yeuak(女樂) would not be used at ritual ceremonies of Jungjeon(正殿) but child singers and child dancers would be used instead, allowing Yeuak(女樂) to be used only at Gokyeon(曲宴) or personal royal banquets. But this in fact was nominal abolition since the practice of Yeuak(女樂) use at Jungjeon(正殿) continued until later years of Sungjong(成宗)’s reign. In ritual ceremonies, where the issue of Yeuak(女樂) use appeared first was at Oeyeon(外宴) which was held by the king for government officials in such rituals as Hoerye-yeon (New Year’s Ceremony at court), Yangno-yeon (Banquet for the Elderly) at Gaeseong-bu, and Sashin-yeon (Banquet for the Ambassadors). Regarding Hoerye-yeon, there was a Sungjong(成宗)’s claim that it’s use would not be a problem since it was customary practice from the years of his predecessors. Hoerye-yeon was the big event of all annual rituals where the King and court officials celebrated together at the New Year’s day, and the fact that Yeuak(女樂) was used at Hoerye-yeon could be interpreted as it was also used in virtually all ritual ceremonies. Use of female singers was prohibited at Yangno-yeon of Gaeseong-bu due to opposition of remonstration officials, but it was a temporary phenomenon since it proved to be a one-time prohibition. As for Sashin-yeon, in contrast to government officials whose goal was to cultivate their virtue to govern the people through Confucian learning, the king of a country is the person who was responsible for all national policies and affairs. The reason why Sungjong(成宗), who had this kind of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did not oppose the use of Yeuak(女樂) nor did he abolish it was that he judged the Yeuak(女樂) to be indispensable on the national dimension, not because Yeuak(女樂) was indispensable in the female entertainers’ participation in court rituals. Not only Sungjong(成宗) but also all the kings of the dynasty recognized Yeuak(女樂) as a national custom, the use of which was not limited to entertain the Ambassadors from Ming and Naeyeon(內宴) but was extended to other rituals including bumyoeui(祔廟儀) or enshrining of his predecessors in Royal Shrine by the king. In the case of Gunrye(軍禮) or military ritual, archery by royal family and civil officials constitutes the evil of Yeuak(女樂) use. Included in the evil effects of archery was taking of female entertainers as one’s concubine or private use of Yeuak(女樂) by the royal family, inability of a royal secretary or historian to attend at the site, mixing of female entertainers and musicians in offering, and passing of the government examination with archery as a means of becoming an official, etc. Other evil effects of Yeuak(女樂) use in rituals appeared at Kwanga(觀稼) of the premier and Gyonyeonhoe(交年會). Kwanga(觀稼) or looking at the people farming by the premier was the only example that Sungjong(成宗) accepted and followed an admonition of remonstration officials against the use of Yeuak(女樂). At Gyonyeonhoe(交年會), Sungjong(成宗) allowed the use of Yeuak(女樂) for the purpose of praising the service of court officials for a year. Sungjong(成宗)’s reign succeeded the policies and will of the earlier kings and completed t... 이 연구는 성종조(成宗朝) 여악(女樂)사용의 문제를 통해서 나타난 쟁점들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성종조 여악사용의 쟁점이 의미하는 바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정 장소인 정전(正殿)과 연향(宴享) 그리고 군례(軍禮)와 기타 의례(儀禮)의 네 측면에서 성종조 여악사용의 문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정 장소인 정전에서 여악사용 문제는 성종초기부터 대간(臺諫)들에 의해 문제가 제기되었다. 정전은 임금이 정사(政事)를 보는 신성한 장소이기 때문에 사람의 마음과 눈을 방탕하게 하는 여악을 쓸 수 없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문제는 거론조차 되지 않았고, 다만 성종 친정(親政)체제의 정전 예연(禮宴)에서만 일시적으로 여악을 쓰지 않았을 뿐 정전의 여악사용은 계속 이어졌다. 연향에서의 여악사용 문제는 국왕이 주관하는 회례연 ․ 개성부 양로연 ․ 사신연에서 거론되었다. 회례연은 조정의 엄숙하고 경건한 예이고, 양로연은 노인을 대접하여 백성을 효도하고 공경하도록 교화하고자 하는 예이며, 사신연은 중국 조정에서 여악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여악을 쓰는 것이 옳지 않다고 하였다. 그러나 개성부 양로연에서 일회성으로 여악을 그쳤을 뿐 연향에서의 여악은 계속되었다. 군례에서의 여악사용 폐단은 종친과 문신의 활쏘기에 나타났다. 종친과 문신의 활쏘기에서 여악을 사용함으로써 종친이 기녀를 첩으로 삼거나, 기녀를 희롱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이에 대간들이 여악사용의 문제를 지적하였으나, 여주(驪州)의 여기(女妓)만 혁파되었고 흉년 때에 일시적으로만 중단되었을 뿐 계속 이어졌다. 기타 의례에서의 여악사용 문제는 재상의 관가(觀稼)와 교년회(交年會)에서 거론되었다. 성종은 유일하게 재상의 관가에서만 여악을 중단하였으나, 교년회에서는 한 해 동안 수고한 신하들의 노고를 치하하기 위해 여악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끊임없는 반대에도 여악은 일시적 또는 부분적으로만 중단되었을 뿐 계속 이어졌다. 산하들은 유교경전을 보고 배우며 수기치인(修己治人)하려는 유학자들이었으므로, 여악을 ‘간사한 음악’ 또는 ‘음란한 여색’으로 간주하여 금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성종은 국가정책 전반에 대한 최종책임자이었기 때문에 이를 이념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국익을 위한 실용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수용하고자 하였다. 즉, 성종조 여악사용의 쟁점이 의미하는 바는 성종조에 이념적인 측면과 실용적인 측면의 끊임없는 논쟁이 전개되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친정(親政) 초반 성종의 왕권에 대한 검토 - ‘무술지옥(戊戌之獄)’을 중심으로 -

        송웅섭 ( Song Woong Sup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6 No.-

        본고는 소위 무술지옥이라는 사건을 통해 친정 초반 성종의 왕권에 대해 검토한 연구이다. 무술지옥은 승지로 있던 현석규와 임사홍 등이 대간과 예문관으로부터 탄핵을 받았던 일련의 소요를 말한다. 성종 7년 친정이 시작되면서 성종이 당면한 과제는 국왕을 중심으로 하는 친정체제를 구축하는 일이었다. 성종은 그동안 예문관과 대간 등에서 자신과 친분을 쌓아온 인사들을 주목했는데 그중에서도 현석규는 성종의 신임이 두터웠던 인물이었다. 하지만 현석규가 성종으로부터 특별한 신임을 받자 현석규에 대한 견제가 시작되었고, 음행녀 조씨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임사홍 등 다른 승지들과 갈등이 일어났다. 성종은 승지들 사이의 충돌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현석규를 끝까지 비호했지만 현석규에 대한 견제는 심화되었고 결국 외직에 임명되며 측근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게 된다. 현석규에 이어 도승지가 된 임사홍은 대간의 언론이 과도하다며 이를 제약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피력했다가 탄핵을 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현석규 사건 당시 임사홍이 대간을 사주해 현석규에 대한 탄핵이 시작되었음이 알려졌다. 결국 임사홍을 비롯해 함께 공모했던 유자광 등은 유배형에 처해졌고, 임사홍은 소인으로 규정되어 성종 치세 내내 정치적 금고 상태로 지내게 되었다. 성종의 왕권과 관련해 무술지옥이 갖는 의미는 성종은 우문정치를 지향하며 신료들로 부터 많은 지지를 받았지만, 측근세력을 조성하는 데는 실패하고 말았다는 점이다. 성종은 유주이자 택군으로서 우문정치 시행을 통해 자신이 군주가 되기에 충분한 자질과 능력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고, 그 과정에서 공적 질서가 크게 확대되었다. 하지만 그렇게 강화된 공적 기준들은 왕권 또한 공적 기준과 도덕적 권위 하에 제약될 필요가 있다는 당위성을 강화시키며 성종의 왕권이 자의적으로 행사되지 못하도록 막았다. 그 결과 현석규와 임사홍처럼 성종에게 특별한 신임을 받으며 측근 인사로 성장해 나갔던 사람일지라도 문제가 있을 경우 그들을 권신으로 규정하면서 적극적인 공격에 나섰다. 세조와 정난공신들 사이에 형성되었던 관계와 비교해 볼 때 상이한 모습이라 할 수 있는데, 친왕세력 조성에 실패한 성종으로서는 그만큼 신료 사회 전반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This paper is a study that reviewed the royal authority of King Seongjong in the early days of the chinjeong reign through the so-called musuljiogk. This incident took place in the process of King Seongjong's creation of pro-king forces. Seongjong trusted Hyun Seok-gyu and Lim Sa-hong and tried to foster them as close aides, but they were ousted from the court by cheong-yojig officials. Although Seongjong pursued a woomun politics and received a lot of support from his ministers, the support of his subjects did not lead to the formation of an aides. King Seongjong's excellent management of state affairs greatly expanded the public order, but such strengthened public standards also limited the royal authority. As a result, even those who had grown into close aides with special trust from Sung Jong, such as Hyun Seok-gyu and Lim Sa-hong, were defined as powerful people and expelled after intensive checks if problems were found. Eventually, King Seongjong failed to create a pro-king force, and it became difficult to control the overall bureaucracy.

      • KCI등재

        조선 성종의 文廟 儀禮 준행과 국왕으로서의 권위 창출

        송웅섭(Song Woong-sup)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5

        본고는 조선의 제9대 국왕인 성종이 문묘 의례를 통해 왕권을 안정시켜 나간 양상에 대해 검토한 논문이다. 성종은 택현의 방식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한 군주이다. 통설에서는 성종이 사림파와 연대하여 훈구파에 맞서는 가운데 왕권이 신장되었다고 이해하고 있다. 성종의 왕권을 독자적으로 접근한 것이라기보다, 사림파의 성장을 해명하는 가운데 부차적으로 이루어진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국왕 성종의 입장에서 그의 왕권 안정화 방식을 검토하여, 성종이 문묘 의례를 성실하게 준행하였던 모습에 주목하였다. 성종은 이전의 어느 군주보다도 자주 문묘 의례를 거행했고, 친히 문묘에 방문하여 의례에 적극적으로 임했다. 또한 대사례와 양로연을 병행하면서 문무백관과 종친, 그리고 일반 백성들까지도 일정 부분 동참하는 성대한 예식을 거행하였다. 이를 통해 성종은 조선왕조의 통치이념인 유교사상을 현양하는 한편, 그러한 지향을 국왕 자신이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음을 표방하였다. 아울러 성종은 문묘 의례의 연장에서 이루어지는 取士를 병행하는데 적극적이었는데, 문묘 의례와 더불어 행해지는 官人 선발을 통해 爵賞之主로서의 위엄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문묘 의례가 거행될 때면 의례히 알성시가 거행되었고, 유생들 역시 성종의 문묘 의례시행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처럼 성종은 문묘 의례에 대한 성실한 준행을 통해 정학의 위상을 강조하는 한편 도덕적 권위에 기대어 왕권의 안정을 이룰 수 있었다. 또한 신료와 유생들의 지지를 확보하면서 결과적으로는 전제왕권을 추구했던 세조대보다 안정된 치세를 유지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a review of the way in which Sungjong, the ninth king of Joseon, stabilized his kingship by following the ritual of munmyo. Sungjong was the chosen monarch of many princes at a young age and sincerely performed the ritual of munmyo than any previous monarch. In addition, Sungjong combined with the Daesalye and the Yangloyeon, and added the magnificence of the ritual. Through this, Sungjong was active in Confucian ideology, which is the governing ideology of Joseon Dynasty, and expressed that the King himself is actively pursuing such an orientation. Sungjong was active in the selection of bureaucrats to be implemented along with the ritual of munmyo. Through this, he was trying to expose his dignity as a king who possessed the personnel rights. Sungjong was able to achieve the stability of the kingship through sincerely following the ritual of munmyo, and it was able to obtain the support of bureaucrats and students of Confucianism. As a result, the reign of Seongjong was rather stable rather than the reign of King Sejo who pursued the supreme kingship.

      • KCI등재

        연구논문 : 고려 성종과 유학자 관료

        채희숙 ( Hee Suk Chae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0 No.-

        성종이 경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할 수 있었던 것은 최지몽과 최승로 등 유학자 관료들의 지원과 황보씨 계열의 세력을 견제하고자 했던 경종의 의지가 작용한 결과였다. 이러한 사실들은 최지몽의 공신책봉과 경종묘정 배향, 성종 즉위 후 최지몽과 최승로 등의 정치적 활동 등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성종의 즉위에 기여했던 최지몽과 최승로 등 유학자 관료들은 성종 전반기의 정치를 주도하였다. 이것은 이 시기에 정치적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최량, 왕융, 이몽유, 유언유, 노혁, 서희, 정겸유, 설신우, 이겸의 등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겸의와 정겸유, 설신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학자 출신 관료라는 면에서 공통적이었다. 유학자 출신 관료들은 유교적 소양을 갖춘 성종을 추대함으로써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정치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승로의 시무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최승로는 상서문을 올려 성종대의 정치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그의 시무책 22조 가운데 8개 조항만이 성종대의 정치에 영향을 주었고, 최승로가 바라던 대로 실현된 것도 아니었다. 성종이 수용한 시무책들을 살펴보면, 왕권강화에 도움이 되는 것들이거나 아주 의례적인 조항들이었기 때문이다. 한편 성종대 후반기에는 최승로 계열의 세력이 약화된 것으로 이해되었는데, 최량과 서희 등은 이 시기에도 활발한 정치적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최지몽과 최승로 등이 고려 초부터 관직에 진출했던 것과 달리 최량과 서희 등은 광종대 급제자였다. 최승로의 시무책을 보면 국초부터 관직에 등용되어 정치적 입지를 다져왔던 최승로 계열은 국왕보다는 자신들의 권익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체제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반면 과거를 통해 관직에 등용된 최량과 서희 등은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국왕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성종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성종대 전시기에 걸쳐 활발한 정치적 활동을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성종대 급제자였던 김심언이 성종 9년에 올린 봉사에서 신하의 도리를 강조한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최승로가 유교적 정치이념을 내세워 국왕의 역할을 강조한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이와 같이 광종대 급제자들을 비롯해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한 이들은 성종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성종대 전시기에 걸쳐 활발한 정치적 활동을 전개하였다. 반면 고려 초 가문을 배경으로 관직에 등용되었던 최지몽과 최승로 등은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굳히고, 이것을 지키기 위해 성종과 갈등을 빚기도 하였다. The crucial drive for Seongjong`s coronation was support from the Officials as confucian scholars such as Jimong Choi and Seungro Choi. Undoubtedly Gyeonjong took part with an intention to hold the Hwangbo clan in check. In other words, Seonjong`s coronation was a collaboration of the Officials as confucian scholars and Gyeongjong to seek political conversion by reappointment of Jimong Choi at the end of Gyeongjong regime. The fact that Seongjong was born of Hwangbo family, which makes Seongjong acceptable as the Crown Prince also need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contribution of the Officials as confucian scholars such Jimong Choi and Seungro Choi gave way to their political initiation over the early reign of Seongjong. This also can be understood by Ryang Choi, Yung Wang, Mongyoo Lee, Eonyou Yoo, Hyeok Roh, Heui Seo, Gyemyoo Jeong, Shinoo Seol, Gyeomeui Lee who all were politically very active through the reign. Those officials were Confucian scholars except Gyeomeui Lee and Gyeomyoo Jeong and Shinoo Seol. It is understood that Seungro Choi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olitics of Seongjong regime with the twenty-eight point policy memorial to the King. But the politics of Seongjong regime were not realized as Seungro Choi desired. The policies that Seongjong accepted were in fact the ones that are helpful to reinforce the royal authority or very customary. This was resulted in because Seungro Choi from the beginning tried to limit royal authority with Ideal image of king while Seongjong intended to strengthen his power and authority from the very beginning of his regime. While the power of Seungro Choi party who was dominant through the early period was weakened at the later period, Rang Choi and Heui Seo were still very active. The formers broke into the politics early Goryo wherease the latters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t Gwangjong regime. Seungro Choi party who has set their stage from the very beginning of Goryo dynasty and the Gwageo passers had different political standpoints. The former tried to build up around their political interests, whereas the latter, or the rookies from Gwageo exam needed King`s help to establish their career in politics. Therefore the Gwageo passers of Gwangjong era had close relation with Seongjong which gave them powers to be politically active through whole Seongjong regime. This political alliance between Kingship and Gwageo passers who newly get into the office can be identified by the public service of Simeon Kim, a Gwageo passer in Seongjong era. Kim`s policies are contrasted with those of Seungro Choi who in his Policies of Resumption stressed that the King(Seongjong) should always be modest and humble and show courtesy to the public servants. Furthermore, Choi insisted the King set model by saying that if the King is polite with the servants, the servants will be loyal to the King. As it is stated above, the Gwageo passers, the existing ones from Gwangjong era and new ones, were closely related ti Seongjong, which in turn gave them ground to be active in politics throughout the whole reign. In contrast, Jimong Choi and Seungro Choi who debuted in the public office on the basis their family in early Goryo tried to fortify their political standpoint and thus had conflicts with Seongjong. Therefore it is identified that though they are the same Officials as confucian scholars, their political standpoints vary depending on their political background.

      • KCI등재

        거란 성종의 고려 친정(親征) 배경에 대한 새로운 관점 : 거란의 정세 분석을 중심으로

        권용철(Kwon Yong-Cheol)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7 No.-

        거란제국은 건국 시점부터 권력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했고, 특히 제위계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제도가 완비되지 못한 상황에서 황실 내부의 분쟁은 매우 첨예하게 벌어졌다. 이러한 정치적 환경으로 인해 황제의 권위를 세우기는 매우 어려웠고, 그 대신에 황태후가 제국의 중요 사안을 결정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거란 성종 역시 자신의 모친인 승천태후의 정치적 능력 덕분에 제위에 오를 수 있었고, 장기간 그 제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승천태후가 사망하는 1009년까지에만 해당되는 것이다. 승천태후가 사망하고 난 이후, 성종은 모친 없이 스스로 자신의 권위를 다시 확립해야 할 필요가 있었고 이를 위해서는 황실 내부의 권력 다툼을 억제하면서 황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해야 했다. 그 첫 번째 무대가 바로 고려 정벌 전쟁이었다. 성종이 무리한 전쟁이라는 비판을 묵살하면서까지 본인이 직접 전쟁터에 나선 것은 이를 통해서 자신의 지도력을 직접 보여주겠다는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성종의 권위 강화 과정에서 가장 견제해야 했던 인물은 동생 야율융경이었다. 야율융경의 권력을 향한 움직임은 북송 측의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야율융경은 성종의 고려 정벌 준비 및 수행 과정에서 별다른 도움을 주지 않았고, 오히려 전쟁을 회피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하지만 거란은 고려에 대한 2차 침입에서 고려의 수도 개경까지 점령하는 전과를 거두었고, 그 과정에서 성종의 지도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고려 침입을 통해 성종은 자신의 권위 강화와 실력 검증을 모두 이루어낼 수 있었던 것이다. 거란의 2차 고려 침입은 성종의 권위가 확립되는 전환점과 같은 역할을 했다. 이는 성종이 ‘親征’을 했기 때문에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결과였다. 이러한 성과가 승천태후 없이도 나올 수 있었다는 것에서 성종의 권위는 자연스럽게 강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본다면, 거란의 2차 고려 침입은 거란제국의 역사에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하게 다루어질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Since the founding of the Khitan Empire, there were frequent political conflicts over power, and very sharp disputes took place within the imperial family as no system had been fully established to keep the throne stable. In this political environment, it was very difficult to establish the emperor s authority. Therefore, the number of instances in which Empress Dowager ruled on important issues of the empire increased. Khitan-Liao Shengzong was also able to ascend to the throne thanks to the political ability of his mother, Empress Dowager Shengtian, and to maintain himself there for a long time. However, this explanation is only valid up to 1009, when Empress Dowager Shengtian died. Shengzong then needed to re-establish his authority without his mother. In order to do so, he had to demonstrate his own ability as emperor. The first stage was through war with Goryeo. Shengzong went to the battlefield himself as he aimed to show his leadership directly through it. The person who had to check in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Shengzong s authority was his younger brother, Yelulongqing(耶律隆慶). Yelulongqing s movement toward power can be confirmed in the records of the Northern Song. Yelulongqing did not provide much help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carrying out Shengzong s invasion of Goryeo, but rather avoided war. However, as Khitan came to occupy the capital of Goryeo, Shengzong was able to confirm his leadership. Eventually, through the invasion of Goryeo, Shengzong managed to strengthen his authority.

      • KCI등재

        고려 성종과 유학자 관료

        채희숙 호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0 No.-

        The crucial drive for Seongjong’s coronation was support from the Officials as confucian scholars such as Jimong Choi and Seungro Choi. Undoubtedly Gyeonjong took part with an intention to hold the Hwangbo clan in check. In other words, Seonjong’s coronation was a collaboration of the Officials as confucian scholars and Gyeongjong to seek political conversion by reappointment of Jimong Choi at the end of Gyeongjong regime. The fact that Seongjong was born of Hwangbo family, which makes Seongjong acceptable as the Crown Prince also need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contribution of the Officials as confucian scholars such Jimong Choi and Seungro Choi gave way to their political initiation over the early reign of Seongjong. This also can be understood by Ryang Choi, Yung Wang, Mongyoo Lee, Eonyou Yoo, Hyeok Roh, Heui Seo, Gyemyoo Jeong, Shinoo Seol, Gyeomeui Lee who all were politically very active through the reign. Those officials were Confucian scholars except Gyeomeui Lee and Gyeomyoo Jeong and Shinoo Seol. It is understood that Seungro Choi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olitics of Seongjong regime with the twenty-eight point policy memorial to the King. But the politics of Seongjong regime were not realized as Seungro Choi desired. The policies that Seongjong accepted were in fact the ones that are helpful to reinforce the royal authority or very customary. This was resulted in because Seungro Choi from the beginning tried to limit royal authority with Ideal image of king while Seongjong intended to strengthen his power and authority from the very beginning of his regime. While the power of Seungro Choi party who was dominant through the early period was weakened at the later period, Rang Choi and Heui Seo were still very active. The formers broke into the politics early Goryo wherease the latters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t Gwangjong regime. Seungro Choi party who has set their stage from the very beginning of Goryo dynasty and the Gwageo passers had different political standpoints. The former tried to build up around their political interests, whereas the latter, or the rookies from Gwageo exam needed King’s help to establish their career in politics. Therefore the Gwageo passers of Gwangjong era had close relation with Seongjong which gave them powers to be politically active through whole Seongjong regime. This political alliance between Kingship and Gwageo passers who newly get into the office can be identified by the public service of Simeon Kim, a Gwageo passer in Seongjong era. Kim’s policies are contrasted with those of Seungro Choi who in his Policies of Resumption stressed that the King(Seongjong) should always be modest and humble and show courtesy to the public servants. Furthermore, Choi insisted the King set model by saying that if the King is polite with the servants, the servants will be loyal to the King. As it is stated above, the Gwageo passers, the existing ones from Gwangjong era and new ones, were closely related ti Seongjong, which in turn gave them ground to be active in politics throughout the whole reign. In contrast, Jimong Choi and Seungro Choi who debuted in the public office on the basis their family in early Goryo tried to fortify their political standpoint and thus had conflicts with Seongjong. Therefore it is identified that though they are the same Officials as confucian scholars, their political standpoints vary depending on their political background. 성종이 경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할 수 있었던 것은 최지몽과 최승로 등 유학자 관료들의 지원과 황보씨 계열의 세력을 견제하고자 했던 경종의 의지가 작용한 결과였다. 이러한 사실들은 최지몽의 공신책봉과 경종묘정 배향, 성종 즉위 후 최지몽과 최승로 등의 정치적 활동 등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성종의 즉위에 기여했던 최지몽과 최승로 등 유학자 관료들은 성종 전반기의 정치를 주도하였다. 이것은 이 시기에 정치적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최량, 왕융, 이몽유, 유언유, 노혁, 서희, 정겸유, 설신우, 이겸의 등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겸의와 정겸유, 설신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학자 출신 관료라는 면에서 공통적이었다. 유학자 출신 관료들은 유교적 소양을 갖춘 성종을 추대함으로써 자신들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정치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승로의 시무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최승로는 상서문을 올려 성종대의 정치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그의 시무책 22조 가운데 8개 조항만이 성종대의 정치에 영향을 주었고, 최승로가 바라던 대로 실현된 것도 아니었다. 성종이 수용한 시무책들을 살펴보면, 왕권강화에 도움이 되는 것들이거나 아주 의례적인 조항들이었기 때문이다. 한편 성종대 후반기에는 최승로 계열의 세력이 약화된 것으로 이해되었는데, 최량과 서희 등은 이 시기에도 활발한 정치적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최지몽과 최승로 등이 고려 초부터 관직에 진출했던 것과 달리 최량과 서희 등은 광종대 급제자였다. 최승로의 시무책을 보면 국초부터 관직에 등용되어 정치적 입지를 다져왔던 최승로 계열은 국왕보다는 자신들의 권익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체제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반면 과거를 통해 관직에 등용된 최량과 서희 등은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국왕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성종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성종대 전시기에 걸쳐 활발한 정치적 활동을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성종대 급제자였던 김심언이 성종 9년에 올린 봉사에서 신하의 도리를 강조한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최승로가 유교적 정치이념을 내세워 국왕의 역할을 강조한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이와 같이 광종대 급제자들을 비롯해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한 이들은 성종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성종대 전시기에 걸쳐 활발한 정치적 활동을 전개하였다. 반면 고려 초 가문을 배경으로 관직에 등용되었던 최지몽과 최승로 등은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굳히고, 이것을 지키기 위해 성종과 갈등을 빚기도 하였다.

      • KCI등재

        조선 성종조 三殿尊號樂章의 존재 양상과 의미

        박영재 한국고전문학회 2023 古典文學硏究 Vol.64 No.-

        본고는 조선 성종조 초기, 대왕대비와 왕대비, 인수왕비의 이른바 ‘三殿’에 대한 존호의례에서 연행된 <三殿尊號樂章>을 조명하고 그 의미지향을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전후 시기의 존호 의례 가운데 특히 성종 6년의 사례를 참고하여 ‘삼전존호의’의 의례를 재구성한 뒤, 이와 연관 지어 <삼전존호악장>의 의례요적 특성을 살피고, 그 특성을 성종 왕권의 특수성과 연관지음으로써 텍스트의 지향과 함의를 되짚는 작업이다. 젊은 국왕 예종의 갑작스러운 승하와 어린 성종의 즉위라는 불안한 정국에서, 대왕대비 정희왕후와 집권 공신세력은 ‘종법적 정당화’와 ‘도학적 정당화’라는 두 방향으로 嗣王 성종의 정통성을 안정화하려 하였고, 의례와 악장은 그 핵심 수단이었다. 이 가운데 ‘도학적 정당화’의 방식은 선행연구에서 일정 부분 해명한바, 본고는 성종 왕권에 대한 ‘종법적 정당화’의 코드로 <삼전존호악장>의 지향과 의미를 풀이한다. 3장으로 구성된 <삼전존호악장>은 대왕대비(세조비 정희왕후)와 왕대비(예종비 안순왕후), 인수왕비(의경세자빈=粹嬪, 성종의 친모)에게 각각 ‘국정을 안정시킨 執政者’, ‘투기하지 않는 君子’, ‘敎國의 바탕을 마련한 后妃’라는 정체성을 부과하는 의례요였다. 특히 제3장은 왕후가 되지 못한 세자빈이었던 성종의 친모 수빈의 지위를 왕비로 격상시켜, 성종이 그 자신의 혈통만으로도 세조의 천명과 왕통을 이어받아 마땅한 인물임을 선포하는 내용이었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Akjang of the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for the Three Queen Dowagers, at King Seongjong’s reign in Joseon Dynasty. This three-verses Akjang and the ritual were intended to justify the legitimacy of King Seongjong, who had been the second son of former Crown Prince Uigyeong, and adopted as the successor of the late King Yejong. The Regents of the new king, such as the Grand queen dowager Jaseong and the group of old meritorious ministers, wanted to reinforce the king’s proper right of succession, because the nomination of King Seongjong to be a successor was based on their sense of crisis against the potential opposite faction, represented by a war hero, Prince Lee Jun. For this reason, the regents wanted to promote the official status of King’s biological parents, the former Crown Prince Uigyeong and the former Crown Princess, to the equivalent position of proper King and Queen. By the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for the Three Queen Dowagers, the former Crown Princess who gave birth to the King Seongjong, was officially announced as ‘the Queen Insu’ and became treated as a proper queen like two other queen dowagers, the grand queen dowager Jaseong, and the queen dowager Inhye. In this context, an bidirectional message was implied in the expressions and metaphors of this three-verses Akjang, dedicated for three queen dowagers. The second verse of the Akjang dedicated for the queen dowager Inhye, encouraged and emphasized the traditional virtue of feminine humbleness. This message was attributed to her ambivalent status, because she was the biological mother of Prince Je-an—the biological son of the late King Yejong—as well as the officially legitimate mother of King Seongjong. That meant she and her own son could be a potential risk of Seongjong’s legitimacy. On the other hand, the third verse of the Akjang dedicated for the queen Insu, praised her maternal wiseness, and described her as a messenger of the Mandate of Heaven for proper king, from the Royal family’s paternal line to her own son. That was a series of genealogical justification for the new king, totally based on the Confucian ideology of lǐyuè(禮樂) and zōng fǎ(宗法).

      • KCI등재

        조선 초기 음악정책과 성리학 지배의 공고화

        장현근(張鉉根)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악학궤범』은 조선 성종시대 말기에 이루어졌다. 성리학 이념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법제를 완비해가던 성종이 젊어서 죽기 직전 음악정책을 총정리한 작품이다. 『악학궤범』은 조선 초기부터 전개되어 오던 음악정책에 대한 성종의 입장이 귀납적으로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악학궤범』 편찬을 통해 중앙집권적 정치질서를 확립하고 성리학적 지배를 공고히 하려는 성종의 강한 의지를 읽어보고 그 의의와 한계를 알아보려는 시도이다. 동시에 조선 초부터 왕실에서 추진해오던 음악 관련 정책들을 살펴보고 성종의 『악학궤범』 편찬이 조선 초기 백 년간 중앙집권을 완결 지으려는 정치적 시도 중 하나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유교 경전들을 중심으로 먼저 유교와 음악의 관계를 알아보고,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성리학의 중요한 문제와 결부시켜 조선 초기 성종까지의 여악女樂문제를 분석한 뒤, 『악학궤범』 편찬이 성리학적 지배질서의 정형화 과정 중 하나였음을 논증하고, 결론에선 성종 음악정책의 의의와 한계를 다룬다. Akhak gwebeom(樂學軌範, Illustrated Text on Traditional Music) was established at the end of the Seongjong(成宗) era. It is a summary of music policies of Seongjong who completed a series of legistlation based on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and who died at an early age. It can be said that Akhak gwebeom(樂學軌範) is inductively reflecting Seongjong’s position on the music policy which had been developed since early Joseon period.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discover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Seongjong’s strong will to establish a centralized political order and to consolidate the Neo-Confucian domination through publishing Akhak gwebeom(樂學軌範). At the same time, by examining the music-related policies which had been promoted by Joseon’s royal family from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I want to reveal that the publication of Akhak gwebeom(樂學軌範) was one of the political attempts to finish up a centralization which had been pursued through the first hundred years of the dynasty. First, we woul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music, focusing on the Confucian scripture. Secondly, through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 would analyze the problem of woman musician in the context of the important issues of Neo-Confucianism. Thirdly, the publication of Akhak gwebeom(樂學軌範) would be demonstrated to be one of the formalization processes of standardization of Neo-Confucianism dominance order. At the conclusion,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e Seongjong’s music policy would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