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에서 새섬매자기 개체군의 쇠퇴 원인과 복원 방안

        유영한 한국습지학회 2008 한국습지학회지 Vol.10 No.2

        한강하구에서 천연기념물 개리와 재두루미 등의 주요 먹이원인 수생식물 새섬매자: 기(Scirpus planiculmis)의 개체군 감소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1) 주변 경쟁 초본과의 개체군 생태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2) 토양이 퇴적이 되어 토심이 깊은 곳에서 자라는 집단과 그렇지 않는 곳에서 자란 것 간의 활력도를 비교하고, 3) 실내조건에서 새섬매자기를 양묘하여 괴경의 분포를 관찰하고, 4) 이를 근거로 새섬매자기 서식지복원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새섬매자기는 한강하구습지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수생식물인 갈대나 줄 등에 비하여 지상부 물질생산량과 지하부 물질생산량이 낮고, 키도 작고, 번식력도 낮았다. 또한 습지에 퇴적되는 곳의 새섬매자기 개체군은 퇴적되지 않는 곳에서 자라는 집단보다 땅속덩이줄기생산량, 지하부생산량, 지상부생산량, 종자생산량이 훨씬 감소되었고, 키도 작았다. 이상적인 조건에서 새섬매자기의 괴경은 얕은 토심(15c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강하구에서 새섬매자기가 다른 수생식물보다 경쟁력이 약하고, 한강하구에서 괴경이 깊은 흙에서 출현하는 것이나 개체군 쇠퇴의 원인이 토양의 퇴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새섬매자기 개체군 유지와 보전을 위해서는 퇴적이 되지 않도록 한강하구 습지 내 물이 흐르도록 물길을 조성하고, 경쟁종을 제거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clarify the factors that diminish the population size of Scirpus planicumis in Han River Esturay Wetland Conservation Area of South Korea, I analysed the autoecological traits of competitive hydrophytes over the species, compared the performance ability of Scirpus planicum group inhabited between in soil-accumulated site and in soil-unaccumulated site, and suggested the management strategy of restoration of this plant based on the field survey. Scirpus planicumis had lower competitive ability than other hydrophyte such as Phragmites australis, Zonia latifolia, Typha augustifola. in terms of dry matter production, height, and reproductive regime. S. planicumis group in soil-accumulated site had lower tuber production, lower vegetative and reproductive production than that of in soil-unaccumulated site, and plant height was shorter in soil-accumulated than in soil-unaccumulated condition. Tuber was appeared in lower soil depth within 15cm in laboratory condi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oil-accumulated condition is the dominant factor caused the decreasing of population size of S. planicumis. It was urgently suggested that constructing a water ways to removed accumulated soil layer is need to restore the population size of S. planiculmus in this wetland.

      • KCI등재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의 연간 변동과 환경 특성

        이용민,여운상,오동하,성기준 한국습지학회 2011 한국습지학회지 Vol.13 No.3

        낙동강 하구에 우점하고 있는 새섬매자기(Scirpus planiculmis)의 연간 변화 양상 및 주요 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5∼2010년의 밀도, 새섬매자기 생체량, 괴경 생체량 등의 새섬매자기의 생장 특성과 기온, 강수량, 방류량, 주변해역의 염분농도, 토성 변화 등의 서식 환경 특성을 조사하였다. 새섬매자기의 밀도는 2005년 10.1 개체/m2∼87.6 개체/m2 범위에서 2009년에는 0.4 개체/m2∼2.2 개체/m2 로 낙동강하구 조사전역에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0년에는 명지갯벌과 맹금머리등에서 각각 18.3±7.7 개체/m2, 17.5±20.7 개체/m2로 다소 회복 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섬매자기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는 2005년에는 4.54±0.70 이었으나 새섬매자기 생체량에 있어서 급격한 감소가 있었던 2009년에는 1.91±0.35로 나타나 지상부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새섬매자기 괴경의 토심에 따른 분포는 0∼15 cm 에서 36.0%, 15∼30 cm 에서 64.0%가 나타나 토심 15∼30 cm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괴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의 급격한 감소는 고염도에 의한 피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지 지화학 연구

        김윤지(Yunji Kim),강정원(Jeongwon Kang),최재웅(Jae Ung Choi),박찬미(Chan Mi Park),우한준(Han Jun Woo) 한국습지학회 2019 한국습지학회지 Vol.21 No.2

        낙동강 하구는 다양한 하구개발로 인해 수리 및 지형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지역으로, 이러한 물리화학적 변화는 낙동강 하구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낙동강 하구에 도래하는 겨울철새들의 주요 먹이원인 새섬매자기 군락지 및 개체수는지난 10여년간 지속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다. 낙동강 하구의 새섬매자기 개체수 감소 원인 파악을 위해 6개 정점에서 2018 년 6월과 8월에 약 30cm의 주상퇴적물을 채취하였다. 퇴적물은 사질이 80% 이상으로 매우 조립하였으며, 평균 염분은 6월17.8±1.12 psu, 8월 18.4±1.83 psu였다. 을숙도 퇴적물의 탄소안정동위원소비(δ13C)는 평균 –24.7±0.59‰로 하구기원입자성 유기물 특성을 보였다. 표층(0~1cm)에서 δ13C는 –24.0 ~ -22.6‰로 새섬매자기 뿌리와 줄기의 δ13C(-25.2±0.0 5‰) 보다 다소 높았다. 이는 해양 유기물의 유입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식생지역과 비식생지역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를 통하여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지 환경이 비식생 지역과 거의 동일함을 유추할 수있다. 결론적으로 낙동강 하구 퇴적물은 조립하고 염분이 15 psu 이상으로, 새섬매자기 생육에 불리한 환경이 유지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낙동강 염분 상승은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의 감소가 원인으로 판단되며, 낙동강 하구 염분 상승이 새섬매자기 생산량의 점진적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The Nakdong Estuary has experienced hydraulic and topographic changes over the last century, which have had negative effects of habitat loss and fragmentation. The population of Scirpus planiculmis, a major food plant for wintering birds in Nakdong Estuary, has decreased over the last decade.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S. planiculmis population, 6 short core samples (about 30cm) were collected in June and August, 2018. The sand percentage was over 80% in every samples and the average sediment salinity in June and August were 17.8±1.12 psu and 18.4±1.83 psu, respectively. δ13C of sediment cores varied from -25.4‰ to -22.6‰ which fall within the estuarine particulate organic matters. In cores collected in Eulsuk area, the highest δ13C values were observed at the surface (0~1cm) indicating inputs of marine POM (particulate organic matter) to the Nakdong Estuar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stations was observed in every items we investigated which might indicate that the physicochemical environment of vegetation area is almost same as that of non-vegetation area. Therefore, the high sand percentage and sediment salinity of Nakdong Estuary might affect the reduction in S. planiculmis population.

      • KCI등재

        경관생태학적 특성이 조류출현에 미치는 영향 -낙동강 하구를 대상으로-

        김범수 ( Bum Soo Kim ),여운상 ( Unsang Yeo ),오동하 ( Dongha Oh ),성기준 ( Kijune Su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3

        철새도래지로서 기능을 유지하며 지속가능하게 낙동강 하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조류서식지의특성을 고려한 토지이용 및 하구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의 조류서식지를 갈대, 갯벌, 경작지, 담수개방수면, 사주, 수변림, 새섬매자기, 수로, 인공물, 초지, 해수·기수개방수면 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총 11개의 유형으로 분류한 후 12개 조사권역으로 구분하여 서식지 및 경관 특성을 분석하였다. 낙동강 하구의 주요 조류 서식지 중 갯벌, 인공물, 경작지, 갈대 등 4개의 유형이 전체 육역 면적의약 80%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인공물과 경작지의 비율이 높아 대상 지역이 인간의 간섭을 많이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서식지를 구성하는 패치수와 밀도는 서낙동강, 삼락둔치, 맥도강, 대저수문 등에서 크게나타나 이들 지역에서 서식지 파편화가 많이 진행되어 있었다. 관찰된 조류의 총 종수와 개체수는 조사면적과 서식지를 구성하고 있는 서식지의 유형수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서식지 관리에 있어서 충분한 면적의 확보 특히 새섬매자기 서식지의 보존이 중요하며, 개발 등으로 인한 서식지 감소 시 낙동강하구를 찾는 조류 개체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가 철새서식지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서식지의 보존 정책이 먼저 수반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If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to be sustainable, land use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consider bird habitat requirements, especially given that the area serves as an important migratory bird sanctuary. In this study, bird habitats foun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classified into 11 different types including Phragmites australiss, mud flat, farmland, open surface in freshwater, sand bar, riparian forest, Scirpus planiculmis, waterway, construction, grasslands, and open surface in sea or brackish wa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habitat properties, and landscape indices, a total of 12 study sites were analyzed. Mud flat, construction, farmland, and P. australis account for 80% of the total land area. The high area ratio of construction and farmland to other types of habitat revealed a high amount of historical human activity and intervention in the area. Both patch numbers as well as patch density were high in West Nakdong River, Samrak Waterfront, Maekdo River, and Daejeo Floodgate, with these areas showing the greatest fragmentation as well. Total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rea and the number of habitat types. Findings suggest that protecting the habitat area, especially in S. planiculmi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bird habitat management and that future development could result in habitat loss, having a profoundly adverse impact on bird popul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total area should be carefully protected by land use regulation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Nakdong River estuary maintains its functional integrity as a migratory bird sanctua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