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평통보를 소지한 조선의 표류민과 대마도(1693-1862)

        정성일(Chung, Sung-Il)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101 No.-

        상평통보는 1678년(숙종 4)에 조선의 법정 화폐로 지정된 이래 1894년(고종 31)까지 조선의 화폐경제를 이끌었다. 17세기 이후의 상평통보 이용 실태를 분석한 지금까지 연구는 매매문기(賣買文記)와 생활 일기(日記) 등에 국한된 자료에 근거하였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1693년(숙종 19)부터 1862년(철종 13)까지 170년 동안 표류민의 소지품 속에서 발견된 금속화폐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되돌아온 조선 표류민의 소지품 속에서 금속화폐인 은자(銀子)가 처음 확인되는 것은 1693년(숙종 19)이며, 동전인 상평통보는 1694년 (숙종 20)부터 등장하기 시작한다. 지역적으로는 경상도 출신 표류민의 금속화폐소지가 다른 지역 출신에 비하여 시기도 빨랐고 그 비율도 높았다. 1752년(영조28)에 ‘상평통보’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대마도의 표류민 조사 기록에서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보다 3년 전인 1749(영조 25)에는 대마번(對馬藩)이 일본에서 ‘상평통보’를 주조하여 왜관에서 그것을 유통시킬 것을 구상하였으나 실패로 끝난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대마번의 상평통보 주조 구상은 18세기 중엽 이후 대일무역과 조선의 화폐경제를 평가할 때 눈여겨보아야 할 대목임이 분명하다. Trade records and diary were used to analyze the real conditions of using copper coins, Sangpyeong tongbo, as money after 17<SUP>th</SUP> century that was determined as a legal tender of Choseon Korea in 1678. In this paper, a subject of analysis could be the metallic currency in the possessing of Korean drifters to Japan during 170 years from 1693 to 1862. A metallic currency of silver money was confirmed in the possessing of the Korean drifters first in 1693, and copper coins of Sangpyeong tongbo in 1694. In the respect of regions, the period of possessing the metallic currency was early and the ratio of possessing was high by the drifters from Gyeongsang Province rather than those of other regions. The name of Sangpyeong tongbo was shown in the records of investigations for the Korean drifters first in 1752. Three years before, in 1749, Tsushima domain was to make a plan to mint copper coins of Sangpyeong tongbo, a Korean legal tender, using Japanese copper in Japan, and put them in circulations to Japan House of Waegwan in Korea. In result, the plan ended in failure, but it is clear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in making an estimation for Korean-Japanese trade and money economy after the middle of 18<SUP>th</SUP> century.

      • KCI등재

        조선시대 상평통보의 성분 조성과 미세조직을 통한 재료학적 특성 연구

        장수비,조남철,강형태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5 보존과학회지 Vol.31 No.3

        주전소와 주전 시기가 다른 상평통보 25점을 확보하여 성분 조성 및 주전 방법을 알아보았다. 상평통보의 성분분석 결과, 주성분은 Cu, Zn, Pb이며 일부 시료에서는 Sn, Fe가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각 상평통보의 성분 조성은 일정하지 않으며 편차가 크다. 또한, 주전 시기에 따라 Cu와 Sn은 후대로 갈수록 감소하였고, Zn과 Pb는 전시기에 걸쳐 꾸준히높게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 함량의 차이는 당시 주전 이익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조직 관찰 결과, 상평통보 25점은 수지상 조직, 입상조직, 미립화 조직 등 다양한 조직 형태가 확인된다. 그러나 열처리나 가공의 흔적이관찰되지 않아 모두 주조 조직으로 판단되며, 일부 상평통보에 함유된 Sn, Fe 성분과 냉각 속도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형태의 조직이 성장한 것으로 확인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the chemical composition of 25 samples of Sangpyeongtongbo having different manufacturing place and period, and then to find the manufacturing method. As a result of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of Sangpyeongtongbo, main components include Cu, Zn and Pb, and some samples contained Sn and Fe. Bu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ach Sangpyeongtongbo varied with big differences. When the main content change was examined, Cu and Sn became decreased at the later period, and Zn and Pb had higher contents. The difference in the ingredient content had close relation for the profit of Sangpyeongtongbo. When refined microstructure was observed, 25 kinds of Sangpyeongtongbo had developed different types of microstructure such as dendrite, large grain and grain refinement. But, 25 kinds of Sangpyeongtongbo had no heat treatment processing. And, the types of microstructure were difference, which seems because different microstructure was developed due to the difference of Sn and Fe and cooling speed in Sangpyeongtongbo

      • 비파괴 분석법을 이용한 조선시대 상평통보의 재료 특성 평가

        김은아 ( Eun A Kim ),김다슬 ( Da Seul Kim ),현지혜 ( Ji Hyeo Hyen ),김규호 ( Gyu Ho Kim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19 문화재과학기술 Vol.14 No.1

        상평통보는 숙종 4년(1678)부터 조선 말기까지 약 200년간 전국적으로 통용된 화폐로 임시관서로서 중앙 관련 부서 또는 지방 감영 등에 설치되어 주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8세기와 19세기에 제작된 상평통보 10점을 대상으로 표면의 가시적 특성과 조성분석을 통해 재료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시적 특성 결과, 형태적 특징은 주전 연대에 따라 크기가 구분되고 무게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이는 주원료인 동의 보급과 주조정책에 따른 변동 때문으로 판단된다. X-선 촬영을 통한 내부구조 특징과 이미지 분석에서 동일 주전소인 평안감영 3점은 동일 환경에서 제작된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호조에서 제작된 상평통보는 획의 형상이 다르고 백색도의 범위가 산발적이므로 재료적인 특성이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조성분석 결과에서 주성분은 Cu-Zn-Pb의 3원계 합금으로 확인된다. 상평통보는 Cu-Sn의 함량에 따라 연대별 조성의 차이를 보이며 Zn과 Pb 함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지역 및 주전소에 따라 상평통보의 조성이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Sangpyeongtongbo is a coin that was used nationwide for about 200 years from the fourth year of King Sukjong (1678)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installed and casted in a temporary government office by central related departments or provincial gover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aterial properties through visual and compositional analysis of the surface of 10 Sangpyeongtongbo coins mad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s a result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end to be distinguished size according to the produced age and to be increased weight. This may be due to the supply of copper the main raw material, and fluctuations in the coin casting policy. Through X-ray intern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image analysis, it is believed that three Pyeongan-Gamyeong coins(the same coin casting station) were manufactured in the same environment. However case of Hojo coins,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because the shape of writing is different and range of whiteness is sporadic. As a result of composition analysis, the main component is identified as a ternary alloy of Cu-Zn-Pb. According to the Cu-Sn content, there is a difference in composition according to age, and Zn and Pb contents are increased. In addition, the composition is divided according to region, character of government office, and abbreviation of coin casting station.

      • 조선시대 상평통보의 주조 연대와 주전소에 따른 물리 및 화학적 특성 분석

        김지호 ( Ji Ho Kim ),김규호 ( Gyu Ho Kim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2 문화재과학기술 Vol.17 No.1

        상평통보는 조선 후기 1678년(숙종 4)부터 근대 화폐의 발행 전까지 사용했던 화폐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평통보는 7개의 주전소에서 주조한 상평통보 117점을 선정하여 물리 및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물리적 특성에서 질량, 비중 및 외경은 주조 연대에 따라 감소하며 두께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중앙관서의 질량, 비중, 외경 및 두께는 지방관서에 비하여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학적 특성은 상평통보의 표면과 소지 분석에서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표면 상태가 양호한 Ⅰ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은 구리 함량에 따라 구별된다. 상평통보의 표면 조성은 주전소 및 주조 연대에 따라 다른 특성이 일부 확인된다. 중앙관서는 지방관서와 비교하여 비중, 외경, 두께가 큰 편이고 구리, 납 함량이 높고 아연 함량이 낮은 편이다. Sangpyeongtongbo was the currency used from 1678 (King Sukjong, 4th) in the late Joseon Dynasty until the issuance of modern currency. In this study, 117 Sangpyeongtongboes cast from seven mints are selected to identify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 mass, specific gravity, and outer diameter decrease with the casting age and the thickness does not differ. It can be know that mass, specific gravity, outer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center mints are bigger than the value of regional mints. In the case of chemical characteristics, three types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urface and body of the Sangpyeongtongbo, It is estimated that other types except for type I with good surface condition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Cu. The surface composition of the Sangpyeong Tongbo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rface condition is difficult to distinguish according to the casting age, and the mints. In summary, it is confirmed that the specific gravity, outer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central mints are large, and the content of Cu and Pb is high, and the content of Zn is low.

      • KCI등재

        상평통보 주조와 복원기술연구

        윤용현,조남철,정영상,임인호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materials and casting technology(cast, alloy, etc.) used in the manufacturing of bronze artifacts based on old literature such as Yongjae Chonghwa, Cheongong Geamul, and The Korea Review. In the casting experiment for restoration of Sangpyong Tongbo, a bronze and brass mother coin mold was made using the sand mold casting method described in The Korea Review. The cast was comprised of the original mold plate frame, wooden frame, and molding san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outer frame, which contains the molding sand, the original mold plate frame can be either a wooden frame or steel frame. For the molding sand, light yellow-colored sand of the Jeonbuk Iri region was used. Next, the composition of the mother alloy used in the restoration of Sangpyong Tongbo was studied. In consideration of the evaporation of tin and lead during actual restoration, the composition of Cu 60%, Zn 30%, and Pb 10% for brass as stated in The Korea Review was modified to Cu 60%, Zn 35%, and Pb 15%. For bronze, based on the composition of Cu 80%, Sn 6%, and Pb 14% used for Haedong Tongbo, the composition was set as Cu 80%, Sn 11%, and Pb 19%. The mother coin mold was restored by first creating a wooden father coin, making a cast from the wooden frame and basic steel frame, alloying, casting, and making a mother coin.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mother alloy of the restored Sangpyong Tongbo, and its primary and secondary casts. The bronze mother alloy saw a 5% increase in copper and 4% reduction in lead. The brass parent alloy had a 5% increase in copper, but a 4% and 12% decrease in lead and tin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mother coin molds using an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showed that the bronze mother coin mold had a reduced amount of lead, while the brass mother coin mold had less tin.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evaporation of lead and tin in the melting of the primary mother coin mold. In addition, the α-phase and lead particles were found in the mother alloy of bronze and brass, as well as the microstructure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n molds. Impurities such as Al and Si were observed only in the brass mother coin mold. 『용재총화』, 『천공개물』, 『The Korean Review』등의 고문헌을 통하여 청동유물 제작에 사용된 소재, 거푸집, 합금 등의 주조기술을 확인하였다. 상평통보 복원 주조실험은 『The Korean Review』를 기초한 주물사주조법을 적용하여 황동, 청동 소재의 모전판(母錢版, 鑄錢版)을 제작하였다. 거푸집은 본기(本器)틀과 목틀, 주물사로 구성되는데 본기틀은 주물사를 담는 바깥 틀의 재질에 따라 목틀과 쇠틀로 나뉘며, 주물사는 옅은 황색의 전북 이리사를 사용했다. 주물사주조법으로 상평통보 복원에 사용된 모합금 성분비를 살펴보면, 황동은 『The Korean Review』기록의 성분비인 Cu 60%, Zn 30%, Pb 10%를 근거로 삼았으며, 실제 복원에는 합금 시 아연과 납이 기화되어 성분 비율이 감소될 것을 감안하여 Cu 60%, Zn 35%, Pb 15%로 설정하였다. 청동은 청주시 신봉동유적 출토 해동통보의 성분비인 Cu 80%, Sn 6%, Pb 14%를 근거로 하였으며, 실제 복원에는 Cu 80%, Sn 11%, Pb 19%로 설정하였다. 주물사주조법에 의한 상평통보 복원은 목재로 부전(父錢)을 먼저 제작하고 목틀과 본기쇠틀을 이용한 거푸집 만들기, 합금, 주조하기, 모전 만들기 등의 과정으로 모전판(母錢版, 鑄錢版)을 복원하였다. 복원된 상평통보의 모합금과 1차 주조, 2차 주조물의 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동 모합금은 구리는 약 5%가 증가하고 납은 약 4% 손실되었으며, 황동 모합금은 구리는 약 5%가 증가하고 납은 약 4%, 아연은 12%은 감소하여 아연의 손실률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1차, 2차 모전판의 EDS 분석결과 청동 모전판은 1차에 비해 2차에서 납이, 황동 모전판은 아연이 낮게 나온 것은 1차 모전판의 용융과정에서 납과 아연이 기화된 결과로 보인다. 또한 청동과 황동의 모합금과 1차, 2차 주전판의 미세조직에서는 α상과 크고 작은 납 편석물이 보이고, 황동 모전판에서만 불순물로 보이는 Al, Si 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상평통보의 주전이익과 활용

        유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한국문화 Vol.79 No.-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Chosŏn government generated profits through the minting process and how they used this seigniorag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Chosŏn dynasty. The Chronicles and Hwang Yun-seok’s diary are used to come to this conclusion. Based on my research, the government tried to mint continuously from the 18th to 19th centuries. However, they could not meet the total demand due to the deficiency of raw materials which were mostly imported from Japan. In these circumstances, the government utilized the Three Armies Offices(三軍門)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for the Sangpyeong tongbo because they already had furnaces and well-trained technicians. They also adopted recoinage methods to amplify their profits. By employing these methods, the government enabled to provide “additional submissions”(‘Gaib’) to the Hojo ministry. During the 18THcentury, around five various offices provided monetary help that was enough to solve theHojo’s annual budget deficiency. However, at the turn of the 19th century, more than 10 offices took part in supplying additional aid to the Hojo ministry. It meant that the Hojo’s financial situation was getting worse and worse. In these circumstances, the government struggled to figure out how to alleviate the financial crisis, therefore they used the minting process for their political problems. Throughout twenty years, offices responsible for currency minting provided 20% of the total monetary contributions to the Hojo at irregular periods. The Sangpyeong tongbo’s role is to provide a medium of exchange for the people, generate profits for the government, and alleviate the financial problems of various government bodies, such as the Hojo.

      • KCI등재

        17-18세기 조선의 화폐 유통과 은

        권내현 ( Kwon Nae-hyu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4 No.-

        17세기 동아시아 국제 관계의 재정립을 거치며 일본 은이 조선으로 본격 유입되었다. 일본 은은 조선과 중국 사이의 무역에서 국제 화폐로 사용되었고 국내 상거래에서도 화폐로 활용되었다. 조선 내부에서는 지역과 계층에 따라 포목, 미곡, 동전, 은으로 구성된 다층적 화폐 시스템이 운영되었고, 이 가운데 동전과 은은 상품 화폐의 영역을 잠식하면서 상평통보의 주전으로 이어졌다. 상평통보의 전면적 주조와 보급은 다층적 화폐 구조를 동전 중심으로 일원화하려는 시도에 따른 것이었다. 동전이 중심 화폐로 부상하고 일본에서 은의 유입이 감소하면서 화폐로서 은의 기능은 점차 위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은은 동전의 확산에 기여하였으며 동전의 가치를 규정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었다. 하지만 은의 상대적 가치가 계속 상승하고 국내에서의 유통량이 감소하면서 동전의 가치를 은으로 결정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해지고 있었다. 18세기 전반 일본 은의 유입 감소가 지속되면서 이를 보완한 것은 국내산 은이었다. 문제는 조선에서 중국으로 은의 유출이라는 원심력이 구심력보다 항상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조선 내부에서는 청나라에 대한 반감과 경제적 피해론을 명분으로 조선 은의 중국 유출을 반대하는 분위기가 팽배하였다. 더욱이 은의 유출 파장이 동전의 부족 현상과도 연결되자 조선 왕조는 국내산 은의 유출을 강력하게 규제하고 국내 고액 거래에서 은의 화폐 기능을 회복시키려 하였다. 하지만 대청 외교와 무역에서 은을 대체할 상품을 찾기 힘든 상황에서 국내산 은의 유출 규제는 실효를 거두기가 어려웠다. 또한 국가 공인의 규격화된 은화 발행 시도도 은의 유입과 생산 감소, 은의 지속적 유출에 대한 우려 때문에 현실화하지 못하였다. In 17th century, by re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Japanese silver had been brought into Joseon. Japanese silver was used as international monetary between Joseon and China and also for domestic business transaction. Within Joseon, multi-layered monetary system was operated by being composed of linen and cotton, rice, coin, silver differentiated by areas and classes. Among them, coin and silver encroached the area of money used for merchandise, which were led to the main monetary of Sangpyeong Tongbo.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Sangpyeong Tongbo were due to the attempt of standardizing the monetary structure into coin. As coins rise as the major monetary and as the inflow of Japanese silver was decreased, the function of silver was also weakened. Even so, silver contributed to the distribution of coin and was also used as the standard for deciding the value of coin. However, as the relative value of silver was increased and amount of circulation was decreased, it had become meaningless to decide the value of coin by silver. During the first part of 18th century, as the inflow of Japanese silver was decreased, it was domestic silver that supplemented the lack of supply. The problem was that outflow of silver from Joseon to China. Within Joseon, the hostility and economic damage by Qing dynasty were spread in the country and most of the official opposed the outflow of silver from Joseon to China. Even more, when outflow of silver was led to the lack of coins, the Joseon dynasty strictly regulated the outflow of domestic silver and attempted to restore the function of silver as monetary means. But since it was difficult to find other products to replace silver for diplomacy and trade with Qing, the actual effect of regulating outflow of silver was minimal. In addition, the attempt of circulating nationally certified silver coins was not realized because of reduced production and inflow of silver, and concerns on consistent outflow of silver.

      • KCI등재

        17~18세기 대일銅무역과 정부의 주전사업

        김영록 부경역사연구소 2018 지역과 역사 Vol.- No.43

        In 1678, Joseon started to mint the new copper coin, Sangpyeong Tongbo (常平通寶). Coin production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he economic policy of Joseon government The essential prerequisite of coin was to secure a reliable source of raw materials. Since Joseon did not have sufficient copper reserves, the government had no choice but to rely on exclusively its import from Japan. The Japanese copper was introduced not only through public trade at Waegwan by which Joseon could procure a certain amount of copper, but also through the open market trade in which the government authorities bought Japanese copper by trade. In the later seventeenth century, the expansion of the open market trade at Waegwan resulted in the massive trade amount of copper. However, from 1698 to 1707, there was a rapid drop in trade off because of government control over copper. Even though Joseon government removed the control, Japanese government started to severely restrict the amount of copper exported to Joseon. In order to secure copper to make coins, Joseon tried to exploit the network of intermediary trade between Qing and Japan. There was a variety of obstacles to procure copper: limited trade volume, constant upheaval in trade condition, an advance on copper and failure of opening up copper mines. To tide over these difficulties, the government tried to restrict the domestic distribution of copper by controlling private transactions of copper with various means, including Gunggakgyebyuntongjeolmok (『弓角契變通節目』) of 1782. Under this condition, copper was to be procured preferentially to government authorities. Because of increasing demand of coin, Joseon government had to overcome a lack of raw materials to make more coin, which resulted in concentrating copper on the government authorities by restrict its trade and distribution. 1678년(숙종 4) 조선은 常平通寶를 발행하였다. 동전의 발행은 조선 정부의 경제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정부의 최대 관심사였다. 호조와 군문 등의 국가기관은 ‘各司自辦’의 원칙 아래 재정확보책의 일환으로 주전을 실시했다. 주전사업에서 선행되어야 할 조건은 무엇보다 원료의 안정적인 확보였다. 주전의 주원료인 銅은 국내 생산량이 미미하여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일본의 銅은 17세기 초 대일무역이 재개되면서 왜관의 공무역과 개시무역으로 국내에 유입되었다. 조선은 공무역으로 매년 일정 수량의 동을 확보할 수 있었다. 개시무역에서는 군문을 위시한 각 국가기관이 차인을 파견하는 등 직접 무역에 개입함으로써 동을 무역하였다. 17세기 후반, 주전사업의 이익 실현을 위한 관과 민에 의한 경쟁적인 무역 거래로 왜관 개시무역의 규모가 더욱 확대되면서 1697년에는 동의 개시무역 거래량이 1,436,000근에 달할 정도였다. 하지만 18세기에 접어들어 일본의 동 통제책이 강화되면서 연간 10만 근의 수출한도액이 정해지게 되었고 조선에 수입되는 동의 수량은 한정되었다. 이에 주전원료를 확보하기 위한 조선의 환경은 더욱 긴박되어 갔다. 각 국가기관은 실질적인 주전사업이 시행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청·일간 중계무역망을 이용하여 은-청 물품[白絲 등]-동의 교환구조로 동을 확보하였으며, 이후 중계무역이 부진하자 은-인삼-동의 교환구조를 통해 동을 확보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량의 비축은이 활용되었고, 기관 간의 재원 상호대부도 활발했다. 지속적인 주전사업의 결과, 동은 은과 함께 각 국가기관의 주요 비축 재원으로 위치를 점하면서 각 기관의 재정확보책도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각 국가기관이 동을 확보하는 과정은 장애 요소가 많았다. 동의 한정된 교역량, 무역환경의 잦은 변화, 동 가격의 상승, 국내 동광 개발의 부진 등은 지속적이고도 안정적인 주전사업의 전개를 방해하였다. 결국 동의 한정된 유통량, 높은 국외의존도에 의해 결국 정부는 동의 국내 유통망을 제한하는 정책을 추진해나갔다. 주전사업을 실시할 때에는 대일무역 동의 사적 거래를 제한함으로써 이를 확보하는 방안이었다. 1782년(정조 6)에 『弓角契變通節目』이 제정되면서 공무역 동은 호조에서 주관하였다. 이를 배경으로 1788년(정조 12) ‘연례주전제’가 실시되었다. 일정량의 공무역 동 외에도 주전물력을 충당하기 위해 동의 지속적이고도 안정적인 확보가 더욱 중요해졌다. 그 결과 정부는 대일무역 동의 국내 거래를 장악하기 위해 사적 거래에 대한 통제를 더욱 강화해나갔으며, 이는 절목의 제정으로 이어졌다. 주전사업이 시행될 때에는 훈도·별차와 都中은 절목에 따라 주원료인 동을 국가기관에 우선적으로 조달해야 했다. 동전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 속에서, 조선 정부는 동전의 안정적인 유통을 위해 주전사업의 원료난을 극복해야 했다. 이는 곧 동의 무역과 유통을 제한하는 정책으로 이어졌으며 더욱 강화되어 가는 추세였다. 이를 통해 정부는 주전 원료인 동을 국가기관에 집중시키고자 했다.

      • KCI등재

        18세기 은전비가(銀錢比價)의 변동과 의미

        유현재(Yoo, Hyun-jae) 한국역사연구회 2015 역사와 현실 Vol.- No.97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fact that Sangpyeong Tongbo, the Joseon coin, was devised and circulated by the Joseon government in the dynasty’s second half, as the government needed those coins for some fiscal reasons. Compared to Chinese and Japanese cases, in which coins were created and circulated in an environment quite similar to the Joseon case, the Joseon government’s coin policy seems to have displayed characteristics of its own. Particularly noticed is the fact that the value of a coin, represented in silver, varied in all three countries. Joseon and China imported raw materials, needed for coin production, from Japan. Circumstances surrounding coin production in both countries seem to have been quite similar. All coins, regardless of the country that produced them, harbored the same value which was recognized with the same amount of silver, as long as they were created with raw material (imported from Japan) which had the same price and were produced under similar circumstances. But in the Joseon case, initial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from their Chinese and Japanese counterparts. The Joseon government modified the price of the coin as they saw fit, in order to secure a needed amount of profit margin (seigniorage) and sometimes even maximize it. This was a risky choice on the government’s part considering the delicate nature of currency circulation. The Joseon government decided to do so nonetheless, but this artificial devaluation policy failed to produce an outcome that would last as much as the government had hoped for.

      • KCI등재

        『우서』에 나타난 화폐유통론의 성격 -화폐와 상점의 운영을 중심으로

        유현재 한국실학학회 2019 한국실학연구 Vol.0 No.38

        In this paper I scrutinize how Yu Suwon treats the economic argument and why we have to focus on his ideas from the premodern perspective. If we attempt to understand his ideas from a modern eye, we cannot grasp the gist of his point. Yu Suwon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commerce and Ever-Normal Circulating Treasure(常平通寶) contrary to other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Confucianism, commerce was regarded as the evil that destroy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s economic basis. If commerce prevailed throughout the whole nation, no one would stay in cultivation because merchants could make money without working hard. Based on these Confucian ideas, commerce and its tool, currency, was regarded as unnecessary to run a whole nation. However, Yu Suwon advocated commerce and currency as tools to enhance the nation's wealth during the Joseon Dynasty. Under this view merchants could play a role along with currency to even out the wealth inequality. In particular he thought that currency is not a result but rather an important way to adjust the economic situation. 본 논문에서는 류수원의 상업과 화폐에 대한 인식을 조선후기 경제에 대한 큰 틀 속에서 이해하고자 시도했다. 그동안 경제사 연구에서 상업과 화폐는 조선후기 사회를 변동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주목받아왔다. 생산력의 발달과 그에 따른 결과로 혹은 발전의 동력으로 상업과 화폐의 확대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전근대 상업과 화폐는 오늘날의 이해와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발전하고 있다. 특히 전근대 상업과 화폐는 국가의 의도와 정책이 중요하게 작용하며 시장의 법칙과는 다른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현대의 경제법칙으로 과거의 경제적 흐름을 이해한다면 정확한 현상을 파악할 수 없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류수원의 시각을 통해 나타난 상업과 화폐의 흐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조선후기의 경제적 흐름을 확인해 보았다. 특히 류수원은 상업발전과 화폐의 등장을 생산력 발달과 그에 따른 결과물로 이해하지 않고 국가의 부를 증대시키고 균등하게 부를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언급하고 있다. 상업, 상점 그리고 화폐의 역할은 발달에 따른 결과물이 아닌 정부의 정책적 수단이며 이를 정확하게 간파한 류수원은 국가의 부를 축적시키기 위해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우서』에 의견을 표출하고 있다. 국가의 부를 축적하는 도구로 상업과 화폐에 주목함으로써 당대 경제적 구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류수원의 저작에서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