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목회사역을 위한 바람직한 리더십 전략

        한만오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09 복음과 실천신학 Vol.19 No.-

        교회가 건강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람직한 리더십을 갖춘 목사가 있어야 한다. 종종 목사는 누구나 다 리더십을 갖고 있다고 오해한다. 그래서‘ 나는 리더십을 배울 필요가 없어’라고 말하는 사람도 간혹 있다. 목사는 당연히 리더십을 갖춘 사람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더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만들어 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에서 사역하고 있는 목사에게는 효과적인 목회사역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미래형 바람직한 리더십의 전략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효과적인 목회사역을 위한 바람직한 리더십 전략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효과적인 목회사역을 위한 바람직한 리더십 10가지의 전략들을 제시함으로서, 효과적인 목회사역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1) 효과적인 기도사역에 집중하라, 2) 비전, 핵심가치, 정기적인 전략들을 세우라, 3) 성숙한 인격으로 교인들에게 존경을 받아라, 4) 평생‘자기관리 리더십’을 유지하라, 5) 섬김의 리더십으로 교인들을 이끌라, 6) 열정적인 리더십으로 사역하라, 7) 사랑의 리더십을 갖추라, 8) 뛰어난 커뮤니케이션의 능력을 갖추라, 9) 부드러운 리더십과 강한 리더십의 조화를 갖춘 리더가 되라, 10) 예수님의 리더십의 원리대로 행하라.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 strong pastoral leadership to have ahealthy church. Sometimes, pastors think that they have a strong lead-ership and they said, “I don’t need to learn pastoral leadership.”However,it can be their misunderstanding of the leadership. However, leaders arenot born that way, but leaders can be made for their efforts. Therefore,I think that it is essential to build their leadership under the strong andeffective leadership strategies. I think that this article could be very helpful and practical to the pas-tors who are doing ministry in their own pastoral areas and it would bevery useful tools for the leaders due to give 10 principles for them. 1)Dedicate yourself for the effective prayer ministry, 2) Set you vision,core value, and long term strategies, 3) Have a mature character to berespected, 4) Keep ‘self-control leadership’5) Lead your people underthe servant leadership, 6) Do your ministry with passionate leadership,7) Equip with love leadership, 8) Have a outstanding communicationwith your people, 9) Have a balance with strong leadership and softleadership, 10) 10. Do according to Jesus’leadership principles.

      • KCI등재

        효율적인 선교사 후원

        이희수(Hee Soo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1 선교와 신학 Vol.28 No.-

        선교는 본질적으로 하나님의 선교이나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교회와 사람의 주체적인 결단과 책임이 없지 않다. 선교는 하나님의 동역자인 교회와 선교사의 주체적인 응답과 참여로 완수되기 때문이다. 선교사를 훈련하고 파송할 때 반드시 고려되고 준비되어야 할 것이 선교사에 대한 후원이다. 파송하는 교회의 후원이 없으면 선교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선교사 후원은 누가 후원하는가, 어떻게 후원하는가, 얼마나 후원하는가 그리고 무엇을 후원하는가를 생각해야 한다. 누가 후원하는가 하는 문제는 후원자가 누구인가, 즉 개인인가 교회인가 단체인가 하는 것이고 어떻게 후원하는가 하는 문제는 후원 방법의 적정성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얼마나 후원하는가 하는 것은 후원 규모의 적정성을 말한다. 그리고 무엇을 후원하는가 하는 문제는 생활비와 자녀 교육비와 사역비 등 재정적인 후원과 기도 후원이다. 선교사 후원의 현실을 보면 첫째,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후원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때로는 생활비가 모자라고 때로는 사역비가 모자라서 생활비와 사역비의 구분이 모호할 때가 많다. 둘째, 그러기에 선교비 후원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 선교사 개인이 후원금을 모금하다보니 어떤 선교사는 늘 부족하고 어떤 선교사는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것이다. 셋째, 자녀 교육비가 선교사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있다. 많은 선교사들이 현지 학교의 교육수준 문제 때문에 국제학교에 자녀들을 보내고 있는데 그 비용이 매우 높아서 본국에서 보내주는 생활비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선교사를 어떤 방법으로 후원하고 어떤 범위까지 후원할 것인가? 첫째, 선교사의 생활비는 각 지역과 국가의 경제수준과 생활수준에 맞게 후 원하여야 한다. 한국교회 해외 선교비 통일안은 지역별, 국가별 지원 범위를 정해놓고 있다. 동시에 선교사들은 현지인들의 생활수준과 너무 차이나지 않게 검소한 생활을 해야 선교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사역비는 사역의 적절성을 확인하고 협의한 후에 후원해야 한다. 그 사역이나 프로젝트가 현지에 꼭 필요한 것인지 전략적으로 확인하고 협의하고 구체적인 계획에 의해서 지원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불필요한 사역에 후원금이 낭비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선교 재정정책의 형태는 세 가지로 나뉜다. 공동분배 방법(Pulling System)과 개별후원 방법(One to One System)과 복합형 방법이 있다. 공동분배 방법은 선교비를 공동으로 모금하고 공동으로 분배하는 것이다. 개별후원 방법은 선교사가 모금해온 선교비를 그 선교사에게 송금하는 경우이다. 복합형 방법은 공동분배 방법과 개별후원 방법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개인 생활비는 선교사에게 송금하고 사역비와 특별 프로젝트 경비는 협의해서 결정하고 진행한다. 현재 대부분의 교회나 선교단체는 개별후원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공동분배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복합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효과적인 선교를 위한 후원은 어떻게 할 것인가? 첫째, 선교사가 사역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생활비가 충분하게 후원되어야 한다. 둘째, 선교사역과 프로젝트는 전략적인 계획에 의해서 검토되고 협의하고 결정해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단독사역 위주의 선교형태를 벗어나서 여러 교회나 선교단체가 함께 선교사역에 동참하고 후원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후원창구를 단일화해야 한다. 선교사 개인이 생활비나 사역비를 모금하게 하지 말고 교단이나 선교단체 본부가 모금을 하든지, 선교사가 모금하더라도 모든 후원을 교단이나 선교단체 본부로 보내게 함으로써 선교비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제는 단순하고 무분별한 후원에서 벗어나서 전략적이고 계획적인 후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선교재정의 선진 시스템화가 시급하다. 즉 선교본부 계좌로 들어온 선교비가 선교사들에게 송금되고 나머지는 선교현지와 선교사들을 위한 기금으로 적립될 수 있도록 재정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 체계적인 선교후원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정착시켜서 선교비의 무분별한 지출이나 선교비의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교단이나 선교단체 본부나 선교사 개인이 충분한 선교지의 정보를 제공하고 후원을 요청하고 정책적, 전략적으로 선교사역을 시행하고 지원할 수 있어야하며, 이러한 선교에 대한 바른 의식이 확산되고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 KCI등재

        평신도의 셀프리더십 개발과 사역 활성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권혁남,권혁중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1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평신도 리더십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평신도 리더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셀프리더십이라는 견지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평신도의 셀프리더십 개발이 평신도 사역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평신도 셀프 리더십 개발을 위하여 어떤 프로그램이 적용가능한지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함에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개의 교회(한마음교회, 영락교회, 제자들교회, 참아름다운교회)를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만츠(Manz)의 셀프리더십의 행위전략에 대한 평가에 의하면 제자들교회와 영락교회는 높은 전략의 수준, 한마음교회와 참아름다운교회는 평균수준의 전략을 나타냈다. 인지전략의 경우 제자들교회와 영락교회는 높은 전략의 수준, 참아름다운교회는 평균 수준의 전략, 한마음교회는 낮은 전략의 수준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영락교회와 제자들교회는 셀프리더십의 행위전략과 인지전략이 높은 집단이며 참아름다운교회와 한마음교회는 행위전략과 인지전략이 낮은 집단으로 묶여지게 된다. 또한 묶여진 집단은 집단 간 평균차이가 큰 반면 집단 내 평균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셀프리더십의 행위전략과 인지전략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되어지는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낸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분석해 본 결과 첫째, 각 교회가 평신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양육 프로그램에서 그 요인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셀프 리더십의 행위전략과 인지전략의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난 영락교회와 제자들교회는 구체적인 평신도 양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철저한 진행이 있었던 반면에 셀프 리더십의 평균점수가 낮게 나타난 한마음교회와 참아름다운교회는 구체적인 평신도 양육프로그램의 결여 혹은 프로그램에 대한 구상은 있으나 아직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목회자의 목회철학에서 그 요인을 발견할 수 있었다. 평신도들의 생각의 방향이 대부분 목회자를 따라간다고 가정할 때 목회자의 목회 철학이 셀프리더십의 인지전략 부분에 대하여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영락교회와 제자들교회 목회자의 목회철학 속에는 평신도 양육을 통한 동역화와 평신도 사역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담겨있는 반면에 한마음교회와 참아름다운교회는 이 부분이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과 논의에 비추어 셀프리더십은 한국교회가 성장의 정체기를 벗어나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더나가서 사회적 변화를 주도해 나가는 성숙한 교회가 되기 위해서 한국 교회의 평신도 리더십이 나아가야할 새로운 방향임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recognizing the necessity for a development of leadership for the laity in Korean Church and finding the way for leadership for the laity to go from the standpoint of the self leadership. From it, this study is intended to check if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self leadership and invigoration of ministry of laity and to see what program should apply for development of self leadership for laity through a case study. For this, the interviews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for 4 churches (Han-ma-eum Church, Young-nak Church, Jae-ja-deul Church and Cham-a-reum-da-woon Church). As a result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for action strategies of Manz's self leadership, Jae-ja-deul Church and Young-nak Church were shown as high-level of groups and Han-ma-eum Church and Cham-a-reum-da-woon Church were shown as average-level of groups. In a case of cognitive strategies, Jae-ja-deul Church and Young-nak Church were shown as high-level, Cham-a-reum-da-woon Church was shown as average-level of group, and Han-ma-eum Church was shown as low-level of group. As a result, in the action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for self leadership, Young-nak Church and Jae-ja-deul Church are high-level of groups and Cham-a-reum-da-woon Church and Han-ma-eum Church are low-level of groups. Also, this was shown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average between groups, but ther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average in a grou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ain cause to produce the result classified into high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in action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for self leadership, firstly, the main causes were able to be found in care programs being conducted for the laity by each church. This was shown that there were specific planning of care programs for the laity and thorough progress in Young-nak Church and Jaejadeul Church shown as high-level of group for action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of self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lack of specific care programs for the laity or planning for the programs but any program wasn't conducted yet in Han-ma-eum Church and Cham-a-reum-da-woon Church shown as low-level of group for self leadership. Secondly, the cause in pastoral philosophy of pastors was able to be found. It shows that pastoral philosophy of pastors affects the part of cognitive strategies of self leadership supposing the laity mostly agrees to pastors' thoughts. This is shown that there was a firm will for partnership and ministry of the laity through development of the laity in the pastoral philosophy of pastors in Young-nak Church and Jaejadeul Church. However, this part was insufficient in Han-ma-eum Church and Cham-a-reum-da-woon Church.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result of this study, self leadership was discussed as a new way for leadership for the laity in Korean churches to go in order to be a mature church developing consistently out of a plateau of growth in Korean church and leading social changes.

      • KCI등재

        선교사역의 극대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의 ‘팀 선교’

        김은호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20세기 말에 들어서며 한국교회는 선교의 부흥기를 맞게 된다. 이 기간 한국교단과 교회 및 선교단체들은 효과적이며 성공적인 선교를 위한 상호연합과 협력의 필요성에 따라 1990년 ‘한국세계선교협의회’를 태동시켰다. 이후, 지난 25년간 ‘한국세계선교협의회’는 ‘한국선교정책’(5自정책, NCOWE정책, CAS정책)과 한국선교 ‘5차 5개년 개발 계획’(Target2030)을 수립하고 그에 관련한 구체적인 선교전략들을 개발해오며 한국선교의 방향과 전략선교의 모델을 제시해 왔다. 이런 정책들과 전략들은 한국의 선교본부행정을 체계화하고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반면에 선교의 제일 자원이며 가장 중요한 요소인 선교사의 중도탈락을 미연에 방지하고, 나아가 선교사역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전략을 제시하는 데는 미흡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미흡한 점을 보완하고 선교사역의 극대화를 이룰 전략적 방안으로서 ‘팀 선교’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 연구의 들어가는 말에서는 연구의 목적, 주제, 연구 배경을 서술했다. 본론 부분에서는 첫째로 ‘팀 선교의 정의와 기원’이 삼위일체 하나님과 가정에 있음과 둘째로 ‘‘오이케이오스’(οίκειος) 정신’, ‘동역자 의식’, ‘은사에 따른 사역’이 선교사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며 견고한 동역선교를 가능하게 하는 ‘팀 선교’의 기본원리가 되는 근거를 제시했다. 셋째로 선교현장에서 ‘팀 선교’의 전형이 되게 하는 실행 가능한 시스템으로의 3가지 핵심요건인 ‘확고한 정체성을 위한 명확한 규정과 지침 수립’, ‘언어와 문화 습득을 위한 구속력 있는 제도적 환경구축’, ‘사역의 극대화를 위한 조직적인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나가는 말에서는 ‘선교사역의 극대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서의 팀 선교’의 타당성을 기업경영의 혁신의 중심에 있는 ‘팀 시스템’의 원리와 유익의 비교를 통해 결론지었다. Entering into the late 20th century, Korean Churches encountered the revival of mission. During these year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mission and as well as for the necessity of mutual alliance, they found 'The Korea World Missions Association (here in after referred to as KWMA).' The last 25 years, 'KWMA' developed the 'Korean Mission System'(5-Self, NCOWE, CAS) and Korean mission '5 Five-Year Development Plan'' and also presented the ideal models of concrete strategies for mission and the direction for Korean strategic missions. These strategies and plans contributed to systematize the administration of Korean mission. On the contrary, these strategies and plans were fundamentally insufficient to maximize mission work as well as to previously prevent the middle drop-outs of missionaries. Therefore, for the purpose to maximize mission work and to supplement the inefficiencies, this research suggests 'Team Mission'. The 'introduction' of this research includes: the purpose, subject, and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itself. The body contains: (1) 'The definition and origin of Team mission' is within the family and the Trinity. (2) 'Familiness', 'being conscious of partnership', and ministry followed by spiritual gifts' straightens the identity of the missionaries and presents the fundamental basis of how 'Team Mission' would lead to substantial co-mission. (3) Presented the 3 core element systems that would make 'Team Mission' implementable in the mission field; which are 'establishments of distinct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solid identity', 'constructing a practical binding institutional environment to acquire the culture and language', and 'building a systematic network system for the maximization of missio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compared the principle and the usefulness of 'team system', which is the core element to innovate the administration of enterprise, with the validity of 'Team Mission' as a strategy to maximize mission work.

      • KCI등재

        신학교 직업교육과정을 통해 본 21세기 상황화 선교전략에 관한 소고

        소윤정 ( So Youn Jung ),송요섭 ( Song Yo Sub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51 No.-

        본 논문은 21세기 상황화 선교전략에 관한 것으로, 성공적인 비즈니스 선교를 위하여 직업교육을 통한 선교 교육과정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신학대학 졸업 후 진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2015년 기준 65.57%의 학생이 취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선교사역 관련 취업률은 전체의 3.2%로 신학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이 졸업 이후 전공과 관련하여 선교사역으로의 진로가 보장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신학대학의 커리큘럼에 문제가 있으며, 선교전략 면에서 선교사역을 할 수 있는 전략적인 과목이 매우 부족하여 특별히 현시대의 선교지 상황을 고려할 때 비즈니스 선교와 관련된 직업교육과 이에 따른 신학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커리큘럼에 대한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학적 측면에서 21세기 미래 선교를 위한 경영교육에 초점을 맞춰 능동적인 인성 및 사회적 자질을 갖춘 인재 육성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둘째, 미전도 종족 사회개념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목표로 하는 교과목을 배치해야 한다. 셋째, 창업, 자산관리, 스포츠(태권도), 대체의학, IT산업 등, 선교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격증 취득 및 기초 지식 습득을 위한 교육과정이 개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커리큘럼의 재정비 및 개선은 곧 신학대학의 목회자가 가진 자질 적 문제와 현장에서 실제 활용될 수 있는 전문인 사역자로서의 준비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선교 패러다임을 소통, 자비량 선교, 선교지의 재생산 가능성을 증대하는 쪽으로 바꾸어 직업교육을 통한 선교학 커리큘럼의 재정비 및 개선이 곧, 선교 패러다임의 변화 및 21세기 상황화 전략으로써 비즈니스 선교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s a consideration of the 21st century situationalized missionary strategy, and it is a study of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curriculum for successful business missionary among these contextualization strategies through vocational education. The study found that 65.57 percent of students got a job as of 2015 after graduating from the seminary, and in particular, 3.2 percent of them were not guaranteed their career path after graduating from the seminary. It was soon foun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curriculum of theological college, and that subjects directly related to missionary work were very scarce, requiring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related to business missionary work.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the new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management should aim to foster people who are active and have personality and social qualities in line with management education for future missionary work in the 21st century. Second, curriculum courses that aim at understanding the unreached ethnic community should be arranged. Third, education courses should be opened for obtaining certificates and basic knowledge habits that can be utilized in private areas, taking advantage of the strengths of start-ups, asset management, taekwondo, alternative medicine, and IT. The readjustment and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ass-ociated with this vocational education will soon address the questions of qualifications held by pastors at theological college and the lack of preparation as a professional worker who can actually be used in the field. In addition, we can change the existing missionary paradigm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ent-maker, and reproduction of the mission siteto confirm that the readjustment and improvement of the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the aspect that can be utilized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the missionary paradigm and the 21st century contextualization strategy.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교회 노인사역 전략과 실천 방안

        손의성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4 No.-

        The COVID-19 pandemic is causing widespread and serious damage to the lives of all members of society. At a time when it is entering the post-COVID-19 era past the peak of the COVID-19 pandemic, the Korean church is being ask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caring for the elderly.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a new pandemic in the near future, this paper presented strategies and action plans to take care of the elderly in the post-COVID-19 era.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earch was conducted. First, the biblical basis for the necessity of caring for the elderly in the church was explored. Second, the multidimensional elderly problem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was analyzed. Third,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elderly derived above, practical strategies and ac- tion plans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elderly care service of the church in the post-COVID-19 era were presented. Action plans in six areas, including physical, psychological, emotional, social, economic, spiritual, and church associations, were proposed. In particular, in the last area, an action plan at the level of church association and community cooperation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ndemic requiring an integrated approach. 코로나 팬데믹은 다른 어떤 세대보다 노인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이제 코로나 팬데믹의 정점을 지나 포스트코로나 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의 노인에 대한 돌봄사역의 대안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향후 새로운 팬데믹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교회의 노인들에 대한 돌봄사역의 사명을 효과적으로 감당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회의 노인 돌봄사역의 필요성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탐색하였고,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나타난 다차원적인 노인 문제를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노인 문제들에 근거하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회 노인 돌봄사역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천적 방안으로는 신체적 영역, 심리정서적 영역, 사회적 영역, 경제적 영역, 영적 영역, 교회연합 등 여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마지막 영역에서는 통합적 접근이 요구되는 팬데믹 특성을 고려하여 교회 연합과 지역사회 협력 차원의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 바울선교의 주요원리로 본 한국교회 선교의 분석과 적용방안 연구

        이종우 개혁주의교회성장학회 2011 개혁주의 교회성장 Vol.- No.6

        􀀀2014년 WEA대회를 앞두고, 성경과 선교신학 부문에서 바울의 선교와 우 리의 선교를 비교해 보고 방향을 제시하는 일은 매우 뜻 깊은 일이다. 바울의 선교에 대하여 20세기 초부터 서구의 선교사들과 국내 선교학자들이 통찰력 있는 연구를 하였다. 그것들을 참고하여 다섯 가지 부분에서 바울선교의 원리 들을 살펴보고, 그것을 한국교회 선교에 대비하면서 분석하고 방향제시를 하 고자 했다. 바울선교의 원리는 첫째, 복음의 본질에 충실하게 전파하였다. 바 울이 전한 복음의 핵심내용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회개, 구원, 그 리스도의 재림과 심판이다. 둘째, 성령의 능력과 인도에 붙잡힌 선교였다. 선 교를 인간이성으로 계획하고 추진하지 않고 성령의 인도를 받았으며, 성령의 능력으로 선교 하였다. 셋째, 동료들과 함께 하는 팀 사역이었다. 그것은 예수 님의 원리를 따른 것이며, 팀 사역을 통하여 그는 훨씬 사역이 증대됨을 발견 하였다. 넷째, 전략적 거점도시를 중심하여 사역을 펼쳤다. 주로 2차 선교여 행부터 그렇게 하였는데, 거점도시에서 중점적으로 사역함으로서 주변도시에 까지 복음이 퍼져 나아가도록 하였다. 다섯째, 상황화 사역이다. 즉 복음의 수 용자들의 문화코드에 자신을 적응시키는 태도이며, 토착교회를 세우는 것이 었다. 이에 준하여 한국교회 선교를 생각해 볼 때, 첫째, 한국교회 선교는 초기에 는 복음의 본질을 강력하게 전파하였으나 선교방법이 다양화되면서 복음의 본질을 증거하는 일이 많이 퇴색되었다. 그러므로 교회개척선교사들과 다른 프로젝트 선교사들의 네트웍으로 서로 협력을 증진해야 한다고 본다. 둘째, 성령의 능력을 받고 성령께 인도받는 선교를 지향해야 한다. 선교가 너무나 인간적 계획으로 프로그램화하는 것을 지양하고, 선교에 있어서 성령과 기도 를 강조하고, 성령의존적인 선교를 추구할 것을 촉구한다. 셋째, 동역자들과 의 팀 사역인데, 한국선교사들은 팀 사역을 매우 힘들어한다. 이것을 극복하 기 위해 신학훈련과 선교사훈련 과정에서부터 토론문화, 팀이 함께 하는 수업 과 훈련과정들을 적극 개발해야 하며, 한국선교사의 수준에 적절한 팀 사역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전략적 거점도시를 중심한 선교원리이다. 현재 세 계는 점점 도시화 현상이 급진전되고 있고, 도시는 많은 문제들을 안고 있으 며 복음

      • KCI등재

        지역사회의 탄력적인 재난 대처를 위한 교회의 선교적 역할

        장남혁(Nam Hyuck J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5 No.-

        재난이 급증하는 현실 속에서 교회는 재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문제가 되고 있다. 오늘날 재난사역을 교회의 본래적인 사역보다는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해온 전통적인 사고방식이 보다 총체적인 것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최근에는 구두의 복음선포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선교에서 피조세계 전체의 회복을 추구하는 보다 통전적인 선교로 선회하면서 교회가 재난에 대비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하는 한편, 재난을 당한 사람들을 구호하고 회복시키는 데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교회가 세상 속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지역사회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어 나가도록 사역하고 협력하는 일이 선교의 중요한 과제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재난사역은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을 파악하고 섬기는 일을 통하여 하나님의 공의를 실현하고 지역사회가 재난을 비롯한 각종 위험으로부터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역량을 강화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이를 위해서는 교회가 먼저 자체 내의 취약계층을 돌아보는 가운데 상호 간의 관계회복을 포함한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일이 요구된다. 교회의 재난 사역은 재난대비, 재난구호 그리고 회복이라는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지역 교회는 먼저 교회 스스로 재난이 주어졌을 때 어떻게 대비할 것인지 평상시에 계획하고 그러한 계획을 실행에 옮기는 일이 필요하다. 재난으로부터 재빨리 복구하고 회복할 수 있을 때 지역사회 속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재난사역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평상시에 지역사회와 더불어 관계를 맺되, 특히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을 파악하고 재난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재난경감조처들과 대비책들을 수립할 수 있다. 이때 지역교회는 다른 지역교회들과 기독교 NGO들과 협력관계를 맺을 수 있고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지역사회 내에서 이미 활동하고 있는 각종 재난 관련 단체들과 협력관계를 맺을 수 있다. 사전에 협력 시스템을 수립하는 일은 재난이 닥쳤을 때 보다 협력적으로 대응하면서 좋은 시너지 효과를 거두는 일이 될 것이다. 이처럼 준비된 교회는 재난이 주어졌을 때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일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재난으로부터 회복되는 과정에서 많은 정서적 영적 돌봄의 필요들이 발생하는 데 이러한 때에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개입을 통하여 큰 역할을 감당할 수 있다. 준비된 교회들이 재난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대응하였는지는 성경을 비롯한 선교역사에서 수많은 선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한 사례들은 먼저 회복된 공동체로서 교회가 하나님께서 창조세계를 치유하고 회복시키는 일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쓰임 받을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교회 태국선교의 역사

        손승호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8 No.-

        This article surveys the history of the Thai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between May 1956 and December 2007. I will provide a short mission history of the Thai Church, then mention the history of the Thai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diachronically according to the timeline and synchronically regarding the work of the Korean missionaries. The families of Choi Chan-Young and Kim Soon-Il were the first cross-cultural missionary group in Thailand sent by the Korean Church after the Korean War(1950~1953). Their mission field was Thailand. They were excellent, capable and faithful missionaries who overcame difficulties by trusting God. These were only the only two families in the 1950s. There was only one missionary family in the 1960s and only four families in the 1970s. Korean Churches were unable to contribute a large number of missionaries to the Thai mission until the 1970s, but the few missionaries had a significant impact. Many missionaries from various denominational mission boards and mission societies sent thirty-one families in the 1980s. Many Korean missionary groups shared the Gospel even though only the Korea Presbyterian Mission in Thailand obtained visas from the Thai government. Korean missionaries experienced tremendous numerical growth namely 154 families in the 1990s and about 170 families in the 2000s. Out of the 1,200 missionaries in Thailand approximately 400 are from Korea, more than 30%. They became a major influential missionary group in Thailand. Korean missionaries exercised their great influence over the Thai Church regarding church planting, prayer life, evangelism and emphasizing God's Word. Their enthusiastic attitude imposed a heavy burden for the Thai in many ways, but built up strong local spiritual leaders in the Thai Church. On the other hand, they could not be a good model because of their weaknesses. The excessive competition and conflict among themselves created inter-group splits of the missionaries. They lost the respect of the Thai people, because the Thai greatly value harmony. The building and project centered work style of the korean missionaries partially damaged the Thai mission. They also weakened the direction of the mission work, mission strategy and research so that it waste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f the Korean missionaries in Thailand can solve their own blind sides and apply historical instructions, they could have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the Thai Church in Thailand. 이 글은 1956년 5월부터 2007년 12월 현재까지 한국교회 태국선교의 역사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먼저 태국교회 선교역사를 간략하게 다루고 한국교회가 태국에서 선교한 역사를 통시적 관점에서 시대 순으로 그리고 필요에 따라 공시적 관점에서 사역을 종류별로 언급하였다. 최찬영, 김순일 두 선교사 가정은 6.25전쟁 이후 한국교회가 처음으로 타문화권 선교사로 보낸 선교사들인데 그들의 선교지는 태국이었다. 이들은 많은 고난 가운데서도 하나님께서 주신 사역을 충성스럽고도 능력 있게 감당하였던 우수한 선교사들이었다. 태국에 파송된 한국선교사는 1950년대 이 두 가정을 필두로 1960년대는 한 가정, 1970년대는 네 가정 밖에 되지 않았다. 한국교회가 1970년대까지는 숫자면에서 태국선교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으나 파송된 선교사들의 개인적인 능력은 우수한 편이어서 선교사들의 질적인 면에서 태국교회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1980년대에 31가정을 파송함으로 다양한 교단 선교부 소속 선교사들과 선교단체 소속 선교사들이 태국에 입국하였다. 많은 한국선교사들 그룹은 주태 한국장로교선교부(KPM)를 제외하고 태국정부로부터 정식 선교사 비자를 얻지 못했으나 대부분 충성스럽게 복음전파의 사명을 감당하였다. 1990년대에 이르러 154가정, 2000년대에 이르러 170여 가정의 한국선교사들이 태국에 도착하면서 태국에서의 한국선교가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2007년 현재 태국 전체 선교사 약 1,200명 중 한국선교사는 약 400명에 이르므로 숫자적으로도 30%를 넘게 되었다. 이제는 태국교회에 한국선교사들이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는 그룹으로 부상하였다. 한국선교사들은 태국에서 교회개척에 대한 우수함과 신앙생활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강조하고 기도생활과 전도에 모범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모든 면에서 특별한 열심을 가지고 좋은 영향력을 끼쳤다. 한국선교사들이 너무 열심이다 보니 태국인들에게 한국선교사들은 부담스러운 존재이면서도 환영을 받았고 태국의 영적 지도자들을 세우는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한국선교사들의 약점들로 인해 태국교회에 모범이 되지 못한 부분도 있었다. 그것은 한국선교사들끼리의 지나친 경쟁과 갈등으로 인한 이합집산인데, 이는 화합을 중시하는 태국인들에게 존경을 얻어낼 수 없는 약점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건물과 프로젝트 중심의 사역으로 인해 오히려 선교에 해를 끼친 부분도 있었다. 선교사역 방향, 선교전략, 선교연구가 부족하여 하나님이 주신 인적, 물적 자원들을 낭비하는 연약함도 보여주었다. 한국선교사들이 이러한 약점들을 잘 극복하고 역사적인 교훈들을 지혜롭게 선교사역에 적용할 수 있다면 앞으로 태국교회에 더 효과적으로 하나님나라를 세워갈 수 있으리라 믿는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