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여성 묘비에 관한 일 고찰

        심경호 ( Sim Kyungho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9 No.-

        한문학 연구에서 묘비 묘지 등 墓道文字는 문헌자료의 한계를 보완하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서 지성사와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立碑의 사실 자체를 문화사적 관습과 관련시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하에 묻는 墓誌와 壙誌는 墓主가 다양해서 승려, 사대부, 여성, 요절한 아이의 것 등이 있다. 고려시대에 지상에 세운묘비는 대부분 승려들의 비였고, 사대부 관원의 경우는 고려 전기와 중기까지는 지상에 세우지 않았다. 그러다가 고려 말에 이르러 사대부의 神道碑와 墓表가 지상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이후 조선 전기부터 사대부 지식인들은 外命婦로서 국왕으로부터 직첩을 받은 집안의 여성들을 위한 墓誌墓誌銘을 주의 깊게 작성했다. 사대부 여성의 묘도문자는 처음에는 지상에 세우는 묘표나 묘갈보다는 지하에 묻는 墓誌에 새겨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다가 조선 초부터 여성 묘주의 비석이 땅 위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 비석은 주로 墓碣이나 墓表의 형태를 띠었다. 다만 이 경향은 시대적 조류를 이루지는 않았다. 오히려 일부 立言者가 그러한 묘도문자에 주목하게 되었다. 조선후기에 이를수록, 여성 묘주의 경우 부군의 묘에 ?葬하면서 生歿年과 葬地를 묘비의 비음에 새기는 경향이 짙어졌다. 다만 17세기 이후 여성의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성 묘주의 묘도문자가 증대하고, 이에 병행하여 여성 묘주의 묘표와 묘갈도 점차 더 많이 세워지게 되었다. 곧, ‘부인은 남편을 따른다(夫人從夫)’는 관념을 벗어나, ‘그 남편의 묘에 부수하여 일컫지 않는(不稱以夫墓)’ 것으로 나아갔다. 이것은, 여성의 烈節이나 女中君子의 덕목이 여성이라는 존재자의 독자적 가치로서 부각되고 衆人의 耳目에 傳播되기에 이르렀다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만, 여성 묘주의 묘표와 묘갈을 제작하는 관습은 아직 시대적 조류로서 간주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家格이 뛰어난 집안의 학자-문인, 先? 혹은 夫人에 대한 각별한 정념을 지닌 문사들이 그러한 묘표와 묘갈을 남긴 것으로 파악된다. 夭?의 여성을 위한 묘표도 적은 수이지만 건립되었다. 여성 묘주를 위한 神道碑는 太宗의 명을 받아 權近이 1403년(태종 3)에 찬술한 太祖의 正妃 神懿王后 韓氏의 齊陵 神道碑銘이 가장 이른 예이다. 그 후 인조는 생부 定遠君을 낳은 仁嬪金氏를 위해 張維와 申欽에게 명해서 두 차례에 걸쳐 神道碑銘을 작성하게 했다. 그리고 영조는 생모 숙빈 최씨를 위해 朴弼成에게 명하여 신도비문을 작성하게 했다. 이세 글은 정치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이기는 하지만, 사대부 여성 묘주를 위한 立碑 사실과 마찬가지로 命撰者(이 경우는 국왕)의 각별한 정념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여승을 위한 묘표는 蔡濟恭이 定有大師를 위해 작성한 『女大師定有浮屠碑銘』이 유일하다. 이 글은 여성의 치열한 구도 행력, 여승에 대한 추억 등을 치밀하게 착종시킨 명문이다. 또 19세기 후반에는 『東都名妓紅桃之墓碑』처럼 敎坊 伶妓들이 ‘樂府의 師宗’을 위해 妓女墓表를 세우기도 했다. The epitaphic letters not only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documents in research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ut also have a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and culture. The epitaphic works for the wives of the scholar-officials were at first inscribed on the burial panels rather than on the tombstones on the ground and it was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at the tombstones of a woman were erected on the ground which was same to the cases of man hosts. In late Joseon it became common to put up a tombstones to inscribe epitaphic letters on the tombstone at the same grave where the wife was buried with the husband, and the virtues as a supreme woman were highlighted as a unique value of woman. It was consequently resulted in the erection of tombstones with epitaphs of reminiscing and mourning the life and the death of a woman who lived an independent life. However, it doesn’t seem to be widely prevalent to produce a tombstone for a woman host at that time. Rather, it was literati of good family or those who had a deep affection for his mother or his wife that composed epitaphic letters for the tombstones. There are also tombstones for those who died at an early age though it is a very few case. As to a tombstone for a Buddhist nun, 女大師定有浮屠碑銘 is the only case which was written by Chae Jaegong. In late 19th century Kisaeng (woman entertainer) belonged to Entertainers Office asked literati to write a epitaphic work to commemorate their master, such as 東都名妓紅桃之墓碑 written by choe Namgon. The first memorial stone monument for a woman is one for Queen of Sinui, the queen of King Taejo written by Gwon Geun by the order of King Taejo in 1403. Two epitaphic letters for Inbin from Gim clan written by Jang Yu and Sin Heum by the oder of King Injo and the one for Sukbin from Choe clan written by Bak Pilseong by the oder of King Yeongjo also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epitaph. It also includes a deep affection of the kings like the one by scholar-officials though they assume a political charac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