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여성 묘비에 관한 일 고찰 = The epitaphic letters for women in Joseon perio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문학 연구에서 묘비 묘지 등 墓道文字는 문헌자료의 한계를 보완하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서 지성사와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立碑의 사실 자체를 문...

      한문학 연구에서 묘비 묘지 등 墓道文字는 문헌자료의 한계를 보완하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서 지성사와 문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立碑의 사실 자체를 문화사적 관습과 관련시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하에 묻는 墓誌와 壙誌는 墓主가 다양해서 승려, 사대부, 여성, 요절한 아이의 것 등이 있다. 고려시대에 지상에 세운묘비는 대부분 승려들의 비였고, 사대부 관원의 경우는 고려 전기와 중기까지는 지상에 세우지 않았다. 그러다가 고려 말에 이르러 사대부의 神道碑와 墓表가 지상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이후 조선 전기부터 사대부 지식인들은 外命婦로서 국왕으로부터 직첩을 받은 집안의 여성들을 위한 墓誌墓誌銘을 주의 깊게 작성했다.
      사대부 여성의 묘도문자는 처음에는 지상에 세우는 묘표나 묘갈보다는 지하에 묻는 墓誌에 새겨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다가 조선 초부터 여성 묘주의 비석이 땅 위에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 비석은 주로 墓碣이나 墓表의 형태를 띠었다. 다만 이 경향은 시대적 조류를 이루지는 않았다. 오히려 일부 立言者가 그러한 묘도문자에 주목하게 되었다. 조선후기에 이를수록, 여성 묘주의 경우 부군의 묘에 ?葬하면서 生歿年과 葬地를 묘비의 비음에 새기는 경향이 짙어졌다. 다만 17세기 이후 여성의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성 묘주의 묘도문자가 증대하고, 이에 병행하여 여성 묘주의 묘표와 묘갈도 점차 더 많이 세워지게 되었다. 곧, ‘부인은 남편을 따른다(夫人從夫)’는 관념을 벗어나, ‘그 남편의 묘에 부수하여 일컫지 않는(不稱以夫墓)’ 것으로 나아갔다. 이것은, 여성의 烈節이나 女中君子의 덕목이 여성이라는 존재자의 독자적 가치로서 부각되고 衆人의 耳目에 傳播되기에 이르렀다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만, 여성 묘주의 묘표와 묘갈을 제작하는 관습은 아직 시대적 조류로서 간주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家格이 뛰어난 집안의 학자-문인, 先? 혹은 夫人에 대한 각별한 정념을 지닌 문사들이 그러한 묘표와 묘갈을 남긴 것으로 파악된다. 夭?의 여성을 위한 묘표도 적은 수이지만 건립되었다.
      여성 묘주를 위한 神道碑는 太宗의 명을 받아 權近이 1403년(태종 3)에 찬술한 太祖의 正妃 神懿王后 韓氏의 齊陵 神道碑銘이 가장 이른 예이다. 그 후 인조는 생부 定遠君을 낳은 仁嬪金氏를 위해 張維와 申欽에게 명해서 두 차례에 걸쳐 神道碑銘을 작성하게 했다. 그리고 영조는 생모 숙빈 최씨를 위해 朴弼成에게 명하여 신도비문을 작성하게 했다. 이세 글은 정치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이기는 하지만, 사대부 여성 묘주를 위한 立碑 사실과 마찬가지로 命撰者(이 경우는 국왕)의 각별한 정념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여승을 위한 묘표는 蔡濟恭이 定有大師를 위해 작성한 『女大師定有浮屠碑銘』이 유일하다. 이 글은 여성의 치열한 구도 행력, 여승에 대한 추억 등을 치밀하게 착종시킨 명문이다. 또 19세기 후반에는 『東都名妓紅桃之墓碑』처럼 敎坊 伶妓들이 ‘樂府의 師宗’을 위해 妓女墓表를 세우기도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pitaphic letters not only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documents in research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ut also have a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and culture. The epitaphic works for the wives of the scholar-officials were...

      The epitaphic letters not only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documents in research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ut also have a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thoughts and culture. The epitaphic works for the wives of the scholar-officials were at first inscribed on the burial panels rather than on the tombstones on the ground and it was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at the tombstones of a woman were erected on the ground which was same to the cases of man hosts.
      In late Joseon it became common to put up a tombstones to inscribe epitaphic letters on the tombstone at the same grave where the wife was buried with the husband, and the virtues as a supreme woman were highlighted as a unique value of woman. It was consequently resulted in the erection of tombstones with epitaphs of reminiscing and mourning the life and the death of a woman who lived an independent life. However, it doesn’t seem to be widely prevalent to produce a tombstone for a woman host at that time. Rather, it was literati of good family or those who had a deep affection for his mother or his wife that composed epitaphic letters for the tombstones. There are also tombstones for those who died at an early age though it is a very few case. As to a tombstone for a Buddhist nun, 女大師定有浮屠碑銘 is the only case which was written by Chae Jaegong. In late 19th century Kisaeng (woman entertainer) belonged to Entertainers Office asked literati to write a epitaphic work to commemorate their master, such as 東都名妓紅桃之墓碑 written by choe Namgon.
      The first memorial stone monument for a woman is one for Queen of Sinui, the queen of King Taejo written by Gwon Geun by the order of King Taejo in 1403. Two epitaphic letters for Inbin from Gim clan written by Jang Yu and Sin Heum by the oder of King Injo and the one for Sukbin from Choe clan written by Bak Pilseong by the oder of King Yeongjo also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epitaph. It also includes a deep affection of the kings like the one by scholar-officials though they assume a political charac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경, "李穡의 女性認識 -女性墓主 墓誌銘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8 (8): 33-81, 2003

      2 박경남, "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王世貞 散文의 진면목 - 商販 碑誌文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46) : 163-213, 2010

      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정보시스템"

      5 최강현, "한국문학의 고증적 연구" 172-186, 1996

      6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금석문자료집(상:선사 고려)"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공예실 2005

      7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시스템"

      8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

      9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10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KORCIS"

      1 김보경, "李穡의 女性認識 -女性墓主 墓誌銘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8 (8): 33-81, 2003

      2 박경남, "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王世貞 散文의 진면목 - 商販 碑誌文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46) : 163-213, 2010

      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정보시스템"

      5 최강현, "한국문학의 고증적 연구" 172-186, 1996

      6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금석문자료집(상:선사 고려)"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공예실 2005

      7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시스템"

      8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

      9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10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KORCIS"

      11 이종호, "한국 고문의 이론과 전개" 태학사 1996

      12 파주문화원, "파주금석문대관(신도비편)" 승림문화인쇄 2000

      13 조명제, "일본 국학원대학 고고학자료관 소장 고려묘지명" 한국중세사학회 (16) : 247-294, 2004

      14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1~3" 재단법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15 김용선, "역주 고려묘지명집성(상)"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1

      16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7 서울특별시, "서울金石文大觀" 서울특별시 1987

      18 최효식, "동도 명기 홍도 최계옥의 일생에 대하여" 신라문화연구소 (30) : 225-241, 2007

      19 민복기, "도곡 이의현 산문비평의 연원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20 송혁기, "농암집 : 조선의 학술과 문화를 평하다" 한국고전번역원 2016

      21 강명관, "농암잡지평석" 소명출판 2007

      22 黃壽永, "금석유문" 혜안 1999

      23 "국립중앙도서관 통합검색 디브러리"

      24 李貞任, "고려시대 비지문학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2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26 김용선, "고려금석문연구-돌에 새겨진 사회사-" 일조각 2004

      27 "경상대학교 문천각 남명학고문헌시스템"

      28 경기도, "경기금석대관" 6-, 1992

      29 심경호, "高麗碑誌의 역사적 특성과 문체적 특징에 관한 일 고찰" 연민학회 (14) : 339-395, 2010

      30 崔虎林, "高麗初期의 墓誌에 관한 一考察"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6 : 63-106, 1984

      31 黃壽永, "韓國金石貴文" 一志社 1994

      32 李蘭暎, "韓國金石文追補" 中央大出版部 1976

      33 李蘭暎, "韓國金石文追補" 亞細亞文化社 1968

      34 許興植, "韓國金石全文" 亞細亞文化社 1984

      35 국사편찬위원회,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 국사편찬위원회 1995

      36 金英心, "韓國古代金石文" 한국고대사회연구소,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37 李德懋, "靑莊館全書" 민족문화추진회 2000

      38 李宜顯, "陶谷集" 민족문화추진회 1997

      39 사경화, "陶谷 李宜顯의 簡嚴追求와 文學的 具現 : 碑誌類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40 김우정, "陶谷 李宜顯 墓道文의 다층적 성격" 한국한문고전학회 25 (25): 141-175, 2012

      41 李滉, "退溪集" 민족문화추진회 1989

      42 金昌協, "農巖集" 민족문화추진회 1997

      43 姜世晃, "豹菴遺稿"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79

      44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45 許穆, "記言" 민족문화추진회 1988

      46 丁若鏞, "與猶堂全書" 민족문화추진회 2002

      47 심경호, "秋史 金正喜와 淸代 考證學" 2007

      48 황의열, "碑誌類의 특징과 변천 양상" 동방한문학회 (31) : 321-344, 2006

      49 임완혁, "碑誌文에 나타난 亡人의 形象化 方式 -碑誌文을 둘러싼 人間의 相互關係를 통해 본-"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2) : 135-198, 2010

      50 정재훈, "王室의 淵源, in 왕실자료해제해설"

      51 金尙憲, "淸陰集" 민족문화추진회 1990

      52 鄭良婉, "永世寶藏" 태학사 1998

      53 葛城末治, "朝鮮金石攷" 国書刊行会 1974

      54 李敏植, "朝鮮時代 陵墓碑에 關한 硏究" 한성대학교대학원 1996

      55 金右臨, "朝鮮時代 神道碑·墓碑 硏究" 고려대학교대학원 1998

      56 趙連美, "朝鮮時代 神道碑 硏究"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1999

      57 崔錫鼎, "明谷集" 민족문화추진회 1995

      58 박관규, "尤庵 宋時烈의 碑誌文 硏究" 고대학교 2011

      59 宋時烈, "宋子大全" 민족문화추진회 1990

      60 鈴木靖民, "國學院大學 考古學資料館 所藏 德富蘇峰コレクションの高麗墓誌銘" 國學院大學 20 : 2004

      61 정순희, "古文論과 碑誌類의 상관성- 陶谷 李宜顯의 碑誌類를 중심으로 -" 어문연구학회 46 : 249-272, 2004

      62 金春周, "『東文選』所載 墓誌銘 硏究" 홍익대학교 1999

      63 홍학희, "19세기 20세기초 여성생활사 자료집(1~9)" 보고사 2013

      64 황수연,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1~8)" 보고사 2010

      65 신복호, "18세기 館閣文學 硏究 : 李宜顯李德壽徐命膺을 중심으로" 고대학교 2004

      66 정형지,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1~4)" 보고사 2006

      67 서한석, "16세기 후반 碑誌類 文章의 美意識 분화에 관한 考察" 동방한문학회 (50) : 205-237, 2012

      68 심경호, "(증보)한문산문미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3

      69 李瀷, "(국역)성호사설" 민족문화추진회 1977

      70 李奎報, "(국역)東國李相國集" 민족문화추진회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3 1.0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