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라질 인적자원관리 딜레마

        김윤호(Kim, Yoon Ho),정흥준(Jeong, Heung Jun),김동원(Kim, Dong-one)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브라질 특유의 문화, 노동제도 및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브라질 현지에 진출한 기업들이 인적자원관리 현지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실무적·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인적자원관리 분야의 문화적 접근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적자원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브라질 고유의 국가문화와 노동제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브라질에서 활동 중인 기업들이 실제 적용하고 있는 인사 관행들 중 국가문화와 노동제도의 특성에 잘 부합하는 전형적인 관행과 시스템에는 무엇이 있으며, 이 개념들 간에는 어떤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가? 셋째, 보편적 관점에서 최선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은 브라질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가? 만약 가능하다면, 적용을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브라질 상파울루 주의 제조업에 속하는 18개 현지 기업체 및 다수 노사단체에 대한 현장 면접조사 자료와 함께 관련문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근거이론적 접근방식을 도입하였다. 분석결과, 높은 권력격차, 집단주의, 불활설성 회피, 온정주의, 인물주의, 갈등회피성향의 국가문화 차원이, 노동제도는 비효율적인 사법체계, 정치 영합주의적 노동기준, 국가개입주의에 기인한 관료주의, 그리고 막대한 노동소송의 위험이 인사관리 관행과 시스템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직원추천제도와 정규직중심의 채용관행, 낮은 교육훈련 투자, 직무급중심의 기본급, 가부장적 복리후생, 높은 수직적 보상격차와 낮은 수평적 보상격차, 경직적 직무설계, 갈등 회피적 작업감독이 국가문화와 노동제도와 대체적 적합성을 갖는 브라질의 전형적인 인적자원관리 관행임을 밝혀냈다. 또한, 인사시스템 수준에서는 국가문화와 노동제도의 특성이 각각 가부장형과 통제형 시스템을 유도하는 브라질 인적자원관리의 딜레마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 내에 작업장 민주주의의 요소를 적절히 도입함으로써, 브라질의 상황에서도 이상적인 형태의 고몰입형 인사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generation of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to help local subsidiaries promote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localiz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Brazilian national culture, labor institutions and HRM. To this end, the authors creat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cultural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HRM. First, what 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ational culture and labor institutions that influence Brazilian HRM? Second, which HR practices and systems that are coincident with Brazilian national culture and labor institutions, exist in Brazilian organizations? Third, in the universalistic view, is an ideal type of HRM system applicable in Brazil? If possible, what conditions does it need to operate? This study adopts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re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methodological approach is based on the interview data from 18 establishments and various organizations in industrial relations arena, as well as the related publications.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some national cultural dimensions: high power distance, collectivism, high uncertainty avoidance, paternalism, personalism and conflict avoidance – and labor institution’s characteristics: inefficient labor law system, populist labor legislations, bureaucracy based on state interventionism – have a great impact on shaping Brazilian HRM practices and systems. This study reveals that some HR practices - employee referral system, staffing focused on state permanent workers, low-level training investment, high vertical pay dispersion, low horizontal pay dispersion, rigid job-design and conflict-avoiding workplace supervision - are typical in Brazil. At the system level, a concept of “Brazilian HRM dilemma” emerges from this study. It means that the national culture leads organizations to adopt a paternalistic HRM system, however rigidly the features of labor institutions induce organizations to the control HRM system. Finally, the High-commitment HRM system and a universalistic ideal system, is applicable in the Brazilian context if the components of workplace democracy are introduced in organizations appropriately.

      • KCI등재

        브라질 시장에서 한국의 수출경쟁력 분석

        권기수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19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국교수립 60주년을 맞아 한국의 대브라질 수출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수출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지난 60년간 한국의 대브라질 수출은 괄목할 성과에도 불구하고 2011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수출규모는 2011년 118억 달러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8년에는 49억 달러에 그치고 있다. 한국의 수출에서 차지하는 위상도 2.1%에서 0.8%로 하락했으며, 브라질 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도 2010년 4.6%에서 2018년에는 3.0%로 추락했다. 비교우위지수, 수출경합도, 불변시장점유율 분석 등을 동원해 브라질 시장에서 한국의 수출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브라질 시장에서 한국의 수출성과가 저조한 이유는 브라질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수입 감소에서 일차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한국제품의 경쟁력 저하로 분석되었다. 브라질의 경기침체 속에서도 중국, 미국, 멕시코 등은 경쟁력 향상 등을 통해 수출을 증대시켜 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수출성과가 저조한 이유는 먼저 한국 제품의 비교우위가 정체내지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브라질 시장에서 경쟁국과의 경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점도 경쟁력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된다. 전통적인 경쟁국과의 경쟁뿐만 아니라 신흥 경쟁국인 멕시코와의 경쟁도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양상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수출이 브라질의 품목별 수입구조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고 있지 못한 점도 경쟁력 하락의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현재 정체상태에 있는 한국의 대브라질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① 일부 품목에 집중된 수출품목의 다변화, ② 적극적인 시장개척을 통한 소비재 수출 확대, ③ 중소기업의 수출 활성화, ④경쟁국과의 경쟁 심화에 대비해 현재 추진 중인 한-MERCOSUR TA 협상 조속 타결, ⑤ 균형적인 무역관계의 발전 등의 과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comprehensively in the Brazilian market in the 60th anniversary of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Brazil. In this study,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export similarity index and constant market share were used to analyze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in the Brazilian market. As a result, Korea ’s export performance in the Brazilian market was poor due to the weak competitiveness of Korean products. In order to revitalize Korea's exports to Brazil, which is currently in a stagnant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① diversify export goods concentrated on some products; ② expand consumer goods exports through aggressive market development; ③ activate export of SMEs; ④ conclude Trade Agreement negotiations between Korea and MERCOSUR as soon as possible; and ⑤ develop a balanced trade relationship.

      • KCI등재

        브라질 국가 발전과 교육의 역할로 본 발전 전망

        박채원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22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history of education for 200 years after the independence of Brazil, and to illuminate the prospects for Brazil’s development through education.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theories o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development, political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that make up the nat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history of 200 years of education in Brazil was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a total of four period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olitical periods. This study finds that the government of Brazil lacked interest and investment in education from independence in 1822 to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1985, and concludes that it was difficult to find a relation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However, since the revision of Brazil’s Constitution in 1988 and the revision of Law of Guidelines and Bases of National Education n.9394/1996, the government's interest in education has increased, and Brazil's National Common Curricular Base was introduced with a lot of institutional changes. In addition, interest and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education are arising as the investment in education are increased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education are made during the reign of President Cardoso and President Lula. This study ultimately argues that it is not possible to clearly find a relation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in Brazil that is seen in Western countries or East Asia. However, the changes shown in Brazil over the past 30 years brighten the outlook of the national development in Brazil near future. 이 연구는 미래의 나라 브라질의 독립 이후 200년의 교육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가 발전과 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브라질의 발전 전망을 조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가 발전과 교육에 관한 주요 이론과 교육과 국가 발전의 관계를 이루는 경제 발전, 정치 발전, 사회 발전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브라질 200년 교육 역사를 정치 시기 구분에 따라 총 네시기로 구분하고 분석하였다. 브라질은 제1시기부터 제3시기인 1822년 독립부터 1985년 군부 정권 시기까지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미비하였으며, 그 결과 국가 발전과 교육에 관한 상관관계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1988년 헌법 개정과 1996년 국가교육 지침 및 기본법 개정 이후 브라질 정부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방 정부 주도의 공통 국가 커리큘럼 기반이 학제별로 수립되기 시작하면서 브라질 교육은 제도적으로 많은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카르도주 정부와 룰라 정부를 지나면서 교육에 대한 투자와 교육의 양적 팽창이 이루어짐에 따라 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브라질에서 서구 국가 혹은 동아시아에서 보이는 국가 발전과 교육의 상관관계를 뚜렷하게 발견할 수는 없으나, 지난 30년간 브라질에서 보여준 변화 양상을 통해 향후 브라질의 발전 전망을 밝혀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원주민 시각에서 본 브라질 역사

        조이환(Jo, I-W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6 역사문화연구 Vol.25 No.-

        Generally speaking, it is said that history is written with a conqueror as a central figure. It is true the fact that the history of Brazil is written by the Portuguese according to their sight. But in this paper the history of Brazil need to be taken a consider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natives. Viewing the matter from this angle, the fact that Pedro Alvares Cabral in Portugal discovered the Brazil in 1500 cannot be true. This is because natives had been living for hundreds of years before Cabral arrived in Brazil The Portuguese didn't respect the custom of natives because they thought they were natives. Portuguese pioneers invaded in the village of natives, ruthlessly robbed them of many things and made them impose a compulsory labor as slaves. In addition, through the marriage by force, many children of mixed blood were born. Especially when D. Jose I ruled a country with the powerful royal authority, Marques Pombal, the prime minister, severely persecuted natives by strengthening the exploitation and oppression politics to Brazil. Although few the records of history remain, it has been handed down that there were many cases that natives struggled against the attack of the Portuguese. Even if natives couldn't defeat the Portuguese with new weapons, it can be said that the spirit to protect their own culture was alive. While a few priests in Society of Jesus tried to protect natives, it was beyond their ability to struggle against the authority of Portugal. In 1800s natives were caught by the Portuguese and were forced to leave their own hometown. They couldn't help gathering the rubbery compulsorily. They lost the close relation to hometown and their culture gradually disappeared. They were influenced by missionaries and were converted to Catholic. So they came to have new culture. It is known that many natives of Brazil died from 1400s to 1600s. It is said that “the biggest reason of natives' death was the epidemic from Europe and Africa”. In 1800s the number of natives rapidly decreased. This is because the king and the nobility moved the royal court from Portugal to Brazil. After Brazil achieved an independence, the oppression to natives went the rougher and many natives lost their lives. After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natives led by disease, death and mixed blood, the Brazil government began to have a recognition to protect natives in the beginning of twenty fist century. In 1910 the organization, called ‘Serviço de Proteção ao Índio’ was established. In 1967 it was changed into ‘Fundação Nacional do Índio’, which tried to protect natives but left much to be desired. For lack of only the protection of the government, natives promoted the national union for themselves to get more freedom in forming ‘Indio National Society’ in 1980. In conclusion, after Cabral first arrived in Brazil, the Portuguese thought they preached the gospel and converted natives to Catholic. But actually it is said to have been 'the history of the exploitation, culture destruction and genocide to natives. In 1500 the number of natives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5 million but now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50 thousand by decreasing gradually. 대부분의 브라질 역사는 정복자인 포르투갈인의 시각에서 쓰여졌으나 본 논문은 피정복자인 브라질 원주민 시각에서 본 브라질 역사를 고찰하였다. 양 시각에서 역사를 고찰하여야 역사를 바로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포르투갈 역사에서는 1500년에 카브랄이 브라질을 발견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브라질 원주민 시각에서 볼 때에는 카브랄이 브라질에 도착하기 수백 년 전부터 살아오고 있었는데 발견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 포르투갈에서는 브라질 원주민에 새로운 문화를 보급하여 그들을 교화시켰다고 하는데 원주민 입장에서 보면 교화가 아니라 오히려 원주민 문화를 파괴하고 말살시키는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포르투갈 역사에서는 브라질을 개척하는데 앞장섰던 반데이란치스들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지만 브라질 원주민을 입장에서는 자신들을 괴롭히고, 약탈하고 죽인 사람들로 반데이란치스들을 포악자로 평가한다.포르투갈 역사에서 폼발 백작은 개혁을 많이 한 인물로 기록되었지만 브라질 원주민들에게는 가장 탄압하여 포악한 정치를 한 인물로 평가한다. 포르투갈이 브라질에 복음을 전하고 많은 발전을 이룩했다고 하지만 원주민들에게는 “착취와 수탈의 역사였다”고 말할 수 있다. 브라질 원주민들은 반데이란치스들에 대항하여 끊임없이 싸워서 부분적으로는 이긴 적도 있지만 결국은 다 지고 말았다. 그래서 1500년에 500여만명에 이르던 원주민수는 현재는 25만 여명이 불과하다. 그래서 현대에 와서 브라질 당국도 원주민 보호의 필요성을 느껴 인디오 보호 서비스(SPI), 국립 인디오 재단(FUNAI)등 보호 기관을 만들어 보호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인디오를 보호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브라질 문화의 흑인성 연구 : 아프로 브라질 종교를 중심으로

        김영철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1997 국제지역연구 Vol.7 No.4

        브라질 문화는 종속적 통합으로 구성된 문화이며 흑인 문화의 적응, 변화, 통합 과정을 거쳐 새홉게 형성된 문화이다. 흑인성은 브라질 역사에서 중요한 요소였으며, 역사 발전 단계에서 피지배 문화로서 브라질 기층 문화에서 중추적 요소였다. 또한 흑인성은 사회·환경적인 변화에 여러 가지 형태로 적응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탤 유지·발전되었다. 잡종성은 흑인성을 구성하는 문화적인 측면을 강조한 것으로 타문화를 수용하는데 있어 식인주의 개념을 수용하고 있었다. 식인주의란 이질적인 문화와의 혼합과 융화를 거쳐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브라질 문화는 식인주의를 통해 열대문화, 루주 뜨로삐깔릿무, 이식된 문화로 정의되는 뮬라토 문화를 형성했다. 그러므로 뮬라토는 브라질의 기층문화를 이루고 있으며 브라질의 인종적·문화적 특성을 가장 잘 설명해준다. 이러한 인종적 문화적 브라질에서 기층문화를 이루고 있는 계층은 흑인과 뮬라토들이다. 뮬라토들은 아프로 브라질 종교를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브라질 문화를 형성하는 매개자로 성장했다. 이러한 관계는 재설혼합주의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 This article includes a review of both brazilian culture and blackness. I defined a brazilian culture as mulatto culture(mulattoism) beyond Gilberto Freyre's Luso-tropicalism. Black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acial and cultural Mesticagem of Brazil. The blackness of brazilian culture have a continuity, proximity, popularity, unity of africal original culture in common elements of other blackness. This blackness was able to maintain through afro-brazilian religions such as Umbanda and Candomble′. In Afro-brazilian religiosity there is a grand sense of amalgamation, more popularity known as syncretism. Syncretism is the merging or union of conflicting religious beliefs which forms a new religious philosophy and cultural types. Syncretism also is a process of hybridization in the brazilian culture. Finally, brazilian cultures have be formed by hybridization of blackness in the historical process.

      • KCI등재

        최근 브라질의 경기침체와 한인사회의 도전

        최금좌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18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5 No.2

        When the Korean community in Brazil, whose ancestry traces back to the first official emigration group of the Republic of Korea, commemorated the 50th anniversary of the 12th of February, 2013, I named it “the economically most successful immigrant group over the shortest period of time in the history of migration.” Since then, however, the Korean community in Brazil has gone through significant changes. 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ffected the Brazilian economy, President Dilma Rousseff was impeached on August 31, 2016. The economic and political crisis in Brazil, triggered by the negative aspects of the neoliberal economic system, caused Brazilians to move abroad. The situation also affected the Korean community in Brazil: 10,000 Korean immigrants, one fifth of the Korean population in Brazil, chose to return to Korea.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efforts has been made in the Korean community to overcome the situation, since the economic recession was observed in Brazil, and to suggest some alternatives for future attempts. As the economic base of the Korean community in Brazil has collapsed, the Korean community in Brazil is dedicated to cultural marketing in order to defend its own domain, which caused the Association of Korean Immigrants to decide to construct “Uri” as a symbol of the Korean community in Brazil, at the entrance of Bom Retiro. 대한민국 최초의 공식이민으로 형성된 브라질 한인사회가 2013년 2월 12일 이민 50주년을 맞았을 때, 필자는 “세계 이민 역사상 가장 짧은 기간에 경제적으로 가장 성공한 이민 집단”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하지만 2013년 후반기부터 브라질 한인사회의 모습은 완전히 바뀌었다. 2008년 미국발 세계 재정위기가 브라질 경기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2016년 8월 31일 질마 호세피 대통령이 탄핵되었다.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의 어두운 측면에서 촉발된 브라질의 경제․정치적 위기는 브라질인들의 해외이주를 증가시켰는데, 최근 브라질 한인들 역시 구성원의 5분의 1에 해당하는 1만 명이 한국으로의 귀국을 선택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필자는 브라질의 경기침체 현상이 가시화된 이후, 최근 5년 동안 브라질 한인사회가 이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 그리고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를 관찰해보며 그것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보았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2013년까지 브라질 한인사회의 경제적 중심지였던 코리아타운 ‘봉헤치루’(Bom Retiro)에서 브라스(Brás)로 이동했을 정도로 한인사회의 경제적 기반이 무너진 것이다. 브라질 한인사회는 코리아타운 ‘봉헤치루’(Bom Retiro)를 지켜내기 위해서, 문화마케팅에 전념하고 있다. 그 결과 브라질 「한인회」는 봉헤치루를 한류의 전파기지로 삼고자, 최근 입구에 한인의 상징으로 “우리”를 건립했다.

      • KCI등재

        브라질거시경제 변화와 한국의 대브라질수출 양적 변화 사이의 연관성분석: 1984-2017

        윤택동 ( Yoon Taek D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3

        1960년대부터 한국경제는 수출을 통해 급속히 성장하였다. 초기에 소수 국가에 수출이 집중되었고,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1980년대부터 수출다변화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의 대브라질수출 또한 1980년대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2011년에 브라질은 한국의 10번째 수출국가에 올랐었다. 한국의 중요 수출파트너 중에 하나인 브라질에 대해, 지난 50여년간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에서 어떤 일이 발생되었는지를 밝혀주는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었다. 최근 1-2년 사이에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의 추세와 수출상품의 시대적 변화 그리고 대브라질수출의 한국경제와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논문 3편이 발표되었다. 이 논문들은 양적 분석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양적 변화가 어떤 이유로 발생하게 되었는지 살펴보려 한다. 특히 한국의 대브라질수출과 브라질거시경제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브라질경제의 변화에 따라 한국수출이 어떤 변화를 보여주었는지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이 갖는 특징을 좀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서론에 이어 제 2장에서는 선행연구로서 최근 발표된 한국의 대브라질수출 관련 논문에 대해 살펴본다. 제 3장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눈다. 먼저 3.1절에서 이번 연구의 대상기간 (1984-2017년) 이전까지 브라질 거시경제 상황을 검토하여 대상기간에 대한 분석의 토대를 마련한다. 이어서 3.2절에서는 1984-2017년 사이 브라질거시경제의 정책/상황 변화가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 한국의 대브라질수출과 관련한 다양한 시대구분과 함께, 브라질 거시경제와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은 (+)의 관계, 즉 강한 동행성을 보여준다는 결론으로 마무리 한다. Since the 1960s, the Korean economy has grown rapidly through exports. Initially these exports were concentrated in a small number of countries, and to avoid this risk -the vulnerability of concentration-, Korea tried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s from the 1980s. In this process, Korea's exports to Brazil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11, Brazil was the 10th largest country of Korea's export. Regarding Brazil, one of Korea's significant export partners, there are few studies on what has happened to Korea's exports to Brazil over the past 50 years. In the recent 1-2 years, three papers have been published examining the trend of Korea's exports to Brazil, the change of export products along tim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economy and Korean exports to Brazil. These papers focus on quantitative analysis. In this study, we will analyse why this quantitative change occurred.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exports to Brazil and Brazil's macroeconomic policy and situation. Through this study,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exports to Brazil more, checking how Korean exports to Brazil have changed as the Brazilian economy chang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Chapter 2 examines 3 recently published papers on Korea's exports to Brazil as a prior study. Chapter 3 i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it reviews the macroeconomic policy and situation in Brazil before 1984, laying the groundwork for analysis of the target period (1984-2017). In section 3.2, it analyzes the impact of Brazil's macroeconomic changes on Korea's exports to Brazil. Finally, in Chapter 4, we conclude that Brazil's macroeconomic and Korea's exports to Brazil show a (+) relationship, or strong co-movement, showing 3 types of time divisions related to Korea's exports to Brazil over the last 40 years

      • 브라질 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김재주 한국자치경찰학회 2010 자치경찰연구 Vol.3 No.1

        우리나라와 멀리 떨어져 있는 중남미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브라질 경찰제도 에 여러 자료를 확인하였지만 경찰청에서 제공한 일부 자료와 학자들이 원서를 번역해 놓은 자료 이외에는 알려진 자료는 그다지 많지 않았다. 브라질은 세계 5위의 인구인 약 1억8,598만과 우리나라의 37배(8,511,965㎢)에 달하는 광활 한 땅을 가지고 있는 거대한 국가이다. 또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것은 브라질의 쌈바 축구이다. UN은 브라질 경찰의 폭력상태가 경고 수준으로 심각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2007년 UN의 관계자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브라질 경찰들은 UN에서 권장 하는 33개 항목 중 어느 한 가지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고 한다. 즉 브리질 경찰은 공무집행 중 발생하는 정당방위로 간주되는 사살행위에 있 어 UN에서 규정한 어떠한 사항도 준수하고 있지 않다고 하며, 특히 사살된 자 에 대해 한 번도 의미 있는 조사통계를 낸 적이 없으며 수감과 폭력을 줄이기 위한 약간의 노력만 했을 뿐이다. 브라질의 경찰은 세계적으로 중무장 하고 근무하는 악명 높은 경찰로 이름이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범죄조직과 총격전을 벌이는 등 주민을 향해 총기를 발사하는 경찰의 폭력사태가 심각하다고 한다. 이러한 브라질 경찰제도의 개관, 경찰의 인사제도, 시사점, 주요치안이슈 및 지표 등에 대해 고찰해 보기로 하겠다.

      • KCI등재

        세계화시대 인구이동이 경제발전에 끼치는 함의

        최금좌(Choi, Keum-Joa)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21세기 새롭게 등장한 국제이주의 특징은 선진국의 숙련노동자들이 좀 더 나은 삶의 조건을 찾아 신흥경제대국으로 이주하는 것이다. 브라질은, 2008년 세계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전문직 노동자들의 이주가 2008-2012년 사이 4배 증가했다. 한국 숙련노동자들의 브라질 이주도 이 시기 급증했다. 특히 동국철강과 포스코가 브라질 북동부에 세계 최대의 뻬쎙 제철소(CSP-Companhia Siderugica do Pecem)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약 8,000명의 노동자들을 파견했는데, 본 논문은 그들의 브라질로의 이주가 브라질 사회는 물론, 브라질 한인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최근 한국기업의 브라질 진출과 직접투자(FDI)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일본·한국 사이의 “문화 전쟁”이 동반되고 있다. 이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1990년 브라질의 시장개방 때 브라질 한인들이 교두보의 역할을 했던 것처럼, 한국과 브라질 두 나라의 언어와 문화에 정통한 한인후세들의 역할이 또 다시 부각되고 있다. 그것은 바로 그들이 이미 한국에서 시작된 ‘코리아 디스카운트’-인구 5천만 명, 국민소득 3만 달러의 ‘5030 클럽’ 진입-를 ‘코리아 프리미엄으로 전환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본인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The characteristic of the new wave of international migration in the 21<SUP>st</SUP> century is that the professionally qualified workers are leaving for the emerging countries for the better life from the developed countries. Despite the economic crises of 2008, Brasil showed four times increase of this kind of migratory movement between 2008 and 2012. In this period, 8,000 Korean skilled workers had been sent by Dongkuk Steel and POSCO for the construction of the world"s largest steel mill, CSP(Companhia Siderurgica Pecem) in the Northeas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its influence to the Brazilian society and the Korean-Brazilian society. With the increase of Korean companies’ entrance and FDI, the cultural war between China, Japan and Korea has been accompanied seriously. To win in this war, we cannot help emphasizing the new role of Korean Brazilian descendents, who domain the two countries’ languages and cultures, as did the Korean immigrants in Brazil after the Brazilian opening market policy of 1990. They are the protagonist, who can save the time to convert the "Korea Discount"-which has already started in Korea-to the ‘5030 Club’ with a population of 50 million and a GDP per capita of $30,000 as the ‘Korea Premium".

      • KCI등재

        브라질-중국 관계 변화

        최금좌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9 중남미연구 Vol.38 No.1

        In 1978, China implemented systemic reform and open market policy. However, China has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Brazil in 1974, four years ahead of it. At that time, China pursued diplomacy with a third world country in order to have a more autonomous power in front of the world supremacy natio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refore, Brazil became the first Latin American country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claiming its“pragmatismo responsável”. However, the bilateral relations had not been developed as expected throughout the 20th century. But, with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China and Brazil began to approach rapidly, and became the each other’s largest trading partners since 2009. In 2018, Brazil's exports to China amounted to about US$ 47 billion, which is almost twice that of the United States. And also, China’s investment in Brazil has also increased. China recently invested about US$ 20 billion in Brazil's high value-added se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ts reasons. Therefore, after examining the China’s investment period and its concentrated area,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factors from the both side of Brazil and China. And this paper’s interested period is from the second half of 2013 to the first half of 2018. It is because the Brazilian economy started to decline in the second half of 2013, and during the Brazilian presidential election in October 2018, with a strong anti-China atmosphere, a great change could be predicted in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most prominent example is Bolsonaro, who was a strong candidate at the time, and now the actual president of Brazil, declared that he would improve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criticizing that “China is not buying in Brazil, but buying Brazil”. China's investment in Brazil in the 21st century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as following: In the first period (2007-2010), China has invested in the potential raw materials such as agriculture, live-stocks and mining; in the second period (2011-2012),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imed at the electric, electronic and automotive markets; in the third period (2013-2014), in service industries such as finance and IT; and in the fourth period (2015-2018), intensively in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such as energy, as the Brazil’s economy entered a recession. As a conclusion, this study tried to show that the Xi Jinping’s ‘One Belt and One Road’policy, which was initiated in 2014, promoted China's investment in Brazil, resulting about 200 Chinese companies’entry into Brazil. And this study tried to emphasize that the results of the Chinese Peoples’Congress and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of 2018 strengthened further his position and policies. 중국은 1978년 체제개혁 및 대외개방정책을 실시했다. 하지만 중국은 브라질과 이 보다 4년 앞선 1974년 외교관계를 수립했는데, 그것은 당시 중국이 세계패권국가인 미국 앞에서 좀 더 자주적인 힘을 갖기 위해서 제3세계 국가와 외교수립을 추구하자, 이에 브라질이 라틴아메리카 국가 중 최초로 “책임 실용주의” (pragmatismo responsável)를 내세우며, 중국과 외교관계를 맺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양국관계는 20세기 내내 기대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재정위기를 계기로 중국과 브라질은 급속히 가까워져, 바로 이듬해인 2009년부터 서로의 최대 무역파트너가 되었다. 2018년의 경우, 브라질의 대 중국 수출액은 거의 470억 달러에 이르렀는데 그것은 미국에서 얻은 수입의 약 2배였다. 이와 동시에 중국의 대 브라질 투자 역시 증가했다. 중국은 최근 약 200억 달러를 브라질의 고부가가치 분야에 투자했는데, 본 연구의 목적은 그것의 원인을 밝히는 데에 있다. 우선 중국의 투자가 어느 시기 어떤 분야에 집중되었는지를 살펴본 이후, 그것의 원인을 브라질과 중국 측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했다. 본 논문의 관심 시기는 2013년 후반기부터 2018년 전반기까지인데, 그것은 2013년 후반기부터 브라질의 경기가 본격적으로 침체되기 시작했고, 2018년 10월 브라질의 대선기간 중, 강력한 반-중국 정서로 양국의 관계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예측했기 때문이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당시 유력후보였던, 그리고 현재 브라질 대통령인 볼소나루(Bolsonaro)인데, 그는 “중국이 브라질에서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브라질을 구매하고 있다”라고 신랄하게 비판하며,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선언했다. 21세기 중국의 대 브라질 투자는 첫 번째 시기(2007-2010), 발전 잠재력이 무한한 농업, 축산업, 광업 등 원자재 분야에; 두 번째 시기(2011-2012), 전기·전자 및 자동차 등 내수시장을 겨냥한 제조업 분야에; 세 번째 시기(2013-2014), 금융 및 IT 등 서비스분야에; 그리고 네 번째 시기(2015-2018), 경기침체기에 접어들면서 에너지 등 인프라 구축 분야에 투자가 집중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2014년 시작된 시진핑의 ‘일대일로’(一帶一路, One Belt and One Road) 정책이 중국의 대 브라질 투자를 촉진시켜서 오늘날 약 200여개의 중국기업을 브라질에 진출시켰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으며, 또한 2018년 중국 양회(兩會)의 결과가 그의 입지와 정책을 강화시켰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