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적 미항(美港)’이라는 한국지방자치의 항구도시슬로건이 ‘명실상부(名實相符)’하기 위한 정성평가로서의 지표시안탐색 : 세계박람회를 개최한 여수와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문윤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31 No.-

        본 논의는 항구도시에 있어서 최고의 도시슬로건(명)이라고 할 수 있는 ‘세계적 미항’이 명실상부하기 위한 실체적 이미지(실)를 지표시안으로서 탐색하였다. 우선 선행논의를 살폈으나 대부분의 논의는 ‘명’으로서 커뮤니케이션활동만을 착수하고 있었고, ‘실’은 간단한 정비만으로도가능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의는 세계적 미항이라는 ‘명’에 걸맞게 그 실체적 이미지인 ‘실’이 우선적으로 탐색되어야 함을 도시슬로건이론에 입각하여 재정의하였다. 그리고 실체적 이미지의 탐색기준을 해양표현, 인공표현, 예술표현, 역사표현, 공공표현으로 설정하였으며,무엇보다 이들은 매트릭스적인 ‘조화’로서 강조되어졌다. 그에 대한 지표시안은 특정의 두 지방자치로서 항구도시(한국의 여수,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직접 방문하여 관찰되어졌다. 그 결과적어도 세계적 미항이라는 ‘명’을 항구도시슬로건화 하려면 ‘실’이자 실체적 이미지로서 도시색채, 동상, 선착장, 가로등, 건축양식, 교통수단, 수목, 벤치, 미술관(예술기관), 항구도시청사, 간판, 마천루라는 지표시안정도는 점검되어져야 하며, 그 지표시안들 간의 ‘도시정돈’이라는 이념은 매우 중요한 점검요인으로 떠올랐다. This paper explored for indicators to live up to ‘international beautiful port’,which can be the best slogan of a port city, both in name and reality. First,precedent studies were analyzed, but most of the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of city’s slogan as ‘title’ and a simple modification was made for ‘reality’. Second, the title of international beautiful port was defined based on city slogan theory as a due diligence of substantial image of international should come first to live up to the title. Third, the condition of beautiful port were established for expression of marine nature, artificial structures, artistic revelations, history accumulation,public designs. Fourth and finally, the researcher visited two port cities (Yeosu in Korea and San Francisco in the U.S.) to explore for concrete indicators. The exploration led to a conclusion that indicators such as urban color,statues, docks, street lights, building styles, transportation means, trees,benches, art galleries, city government office, signboards, and skyscrapers as substantive images worthy of the title should be reviewed to use the title of international beautiful port as city slogan at least. Above all, the harmony between them is important, which can be interpreted as ‘orderly city’.

      • KCI등재

        연안경관 개선을 위한 항만재생 방안 - 부산항의 항만기능 재편을 중심으로 -

        배경완 ( Bae Kyungwan ),하경준 ( Ha Gyoung-jun ),박형준 ( Park Hyung-jun ),정주철 ( Jung Ju-chul ) 한국경관학회 2017 한국경관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부산항의 노후한 항만기능 및 경관을 복원하고 항만과 배후지역 간 갈등 해결을 통한 조화로운 미항 조성을 위한 단기(항만기능 재편) 및 장기적인(미항 기본구상)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산항의 배후지역은 항만과 함께 발전하여 그와 관련된 산업과 항만을 이용하는 선박, 선박과 관련된 산업시설이 주거지와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항만시설 노후화 및 관련시설의 부정적 영향이 도시민들의 민원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항만 공간에 대한 새로운 가치창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미항조성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항으로서 중요한 요인인 경관을 중심으로 배후지와 항만이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기능재편 방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부산항의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미항 조성에 있어서 부정적인 시설의 현황 및 주변지역과의 갈등문제를 파악하였다. 둘째, 경관개선을 위한 항만기능의 공간 재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조사(인터뷰, 설문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셋째, 부산항이 겪고 있는 문제를 비슷하게 경험한 해외 항만재생 사례(문헌고찰, 현지답사, 인터뷰)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부산항을 미항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예부선 및 선박수리 시설에 대한 관리 및 이전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기적 비전과 계획수립을 통해 이전 부지 및 이전 이후 유휴지에 대한 단계적인 개발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old port functions and landscapes of Busan Port and to find a harmonious port of harbors through resolving conflicts between ports and hinterland. The hinterland of Busan Port is developed along with the harbor, and industrial facilities related to ships and vessels coexist with the residence. However, the deterioration of port facilities and the negative impacts of related facilities have led to the complaints of urban residents, and the increase in demand for new value creation in the port space has led to interest and necessity for beautiful port.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ways to coexist harmoniously with the port and hinterland focusing on the landscap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ort.

      • KCI등재후보

        세계적 미항(美港)이라는 한국지방자치의항구도시슬로건이 명실상부(名實相符)하기 위한정성평가로서의 지표시안탐색: 세계박람회를 개최한 여수와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문윤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This paper explored for indicators to live up to ‘international beautiful port’,which can be the best slogan of a port city, both in name and reality. First,precedent studies were analyzed, but most of the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of city’s slogan as ‘title’ and a simple modification was made for ‘reality’. Second, the title of international beautiful port was defined based on city slogan theory as a due diligence of substantial image of international should come first to live up to the title. Third, the condition of beautiful port were established for expression of marine nature, artificial structures, artistic revelations, history accumulation,public designs. Fourth and finally, the researcher visited two port cities (Yeosu in Korea and San Francisco in the U.S.) to explore for concrete indicators. The exploration led to a conclusion that indicators such as urban color,statues, docks, street lights, building styles, transportation means, trees,benches, art galleries, city government office, signboards, and skyscrapers as substantive images worthy of the title should be reviewed to use the title of international beautiful port as city slogan at least. Above all, the harmony between them is important, which can be interpreted as ‘orderly city’. 본 논의는 항구도시에 있어서 최고의 도시슬로건(명)이라고 할 수 있는 ‘세계적 미항’이 명실상부하기 위한 실체적 이미지(실)를 지표시안으로서 탐색하였다. 우선 선행논의를 살폈으나 대부분의 논의는 ‘명’으로서 커뮤니케이션활동만을 착수하고 있었고, ‘실’은 간단한 정비만으로도가능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의는 세계적 미항이라는 ‘명’에 걸맞게 그 실체적 이미지인 ‘실’이 우선적으로 탐색되어야 함을 도시슬로건이론에 입각하여 재정의하였다. 그리고 실체적 이미지의 탐색기준을 해양표현, 인공표현, 예술표현, 역사표현, 공공표현으로 설정하였으며,무엇보다 이들은 매트릭스적인 ‘조화’로서 강조되어졌다. 그에 대한 지표시안은 특정의 두 지방자치로서 항구도시(한국의 여수,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직접 방문하여 관찰되어졌다. 그 결과적어도 세계적 미항이라는 ‘명’을 항구도시슬로건화 하려면 ‘실’이자 실체적 이미지로서 도시색채, 동상, 선착장, 가로등, 건축양식, 교통수단, 수목, 벤치, 미술관(예술기관), 항구도시청사, 간판, 마천루라는 지표시안정도는 점검되어져야 하며, 그 지표시안들 간의 ‘도시정돈’이라는 이념은 매우 중요한 점검요인으로 떠올랐다.

      • 목포미항가꾸기에 관한 지역시민의식 조사

        김광수(Kwang Soo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4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4 No.-

        Recently, Nam-Ak New Town is under construction adjacent to Mokpo city, and New Great Harbour Bridge between Mokpo-city and Koha Isiand is designed to be built across Inner Harbour of Mokpo. Citizens' concerns about and participations in 「A Campaign for Shaping Mokpo into Beautiful Seaport」 are required to make up the sight of Mokpo harbour beautifully. The abstract of 「Maste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Beautiful Mokpo Seaport」 was reviewed. Citizens' levels of consciousness of and participation in 「A Campaign for Shaping Mokpo into Beautiful Seaport」 were ascertain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of citizenry opinions, and Mokpo citizenry action plan was drawn up and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s. The view of Mokpo harbour is to be made up according to the natural,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okpo and it's adjacent Islands. In order to cultivate citizens' basic cultural consciousness such as kindness, cleanliness and order,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re required. Only when local government of Mokpo-city collects the public opinions and continues to shape Mokpo into international beautiful seaport in the direction of a reflex of public opinion, Mokpo harbour can be made up into international beautiful seaport successfully with citizens' positive participation in citizenry basic easy action plan.

      • KCI등재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전문가, 시민, 방문객 의식 비교연구

        이한석(Han-Seok Lee),도근영(Geun-Young Do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는 부산항의 미항만들기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항만경관을 인식하는 사람을 전문가, 시민, 방문객으로 구분하고 부산항 항만 경관에 대한 각 그룹의 의식을 비교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내용으로는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해 세 그룹이 가지는 의식특성을 알아보고 그룹들 사이에 존재하는 의식차이를 분석하며 항목별로 구체적인 의식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서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항 항만경관의 개선 대책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전문가, 시민, 방문객은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의식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전문가그룹은 시민 및 방문객 그룹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의식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시민과 방문객그룹 사이에는 의식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항만경관의 개선 및 평가에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의식차이를 고려하여 두 그룹을 구분하고 각각의 견해를 비교분석하여 적절한 의견을 항만경관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is a first and basic study for making Busan port more attractive. The study is intended to clear up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landscape of Busan port area from the viewpoint of landscape experts, citizen and visitors. To reach the goal an attitude comparative study has been conducted using a same questionnaire between landscape experts working in Busan city, Busan citizen and visitors to Busan port area. In questionnaire, firstly the situation of the whole landscape of Busan port area has been asked. The contents of questions on the situation of port landscape are satisfaction about port landscape, harmony between cityscape and portscape, images of portscape, effects of 25 portscape elements on portscape, problems of portscape, and ways of improving portscape. Secondly, each respondent has given answers freely on how to make Busan port area more attractiv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several important differences of attitudes towards Busan portscape between experts, citizen and visitors. Especially there are some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attitudes of experts and citizen but the attitudes of citizen are similar to those of visitors. At the end of the study some proposals for making an improvement of Busan port landscape have been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attitude comparative study.

      • NASA 시스템 개발 기술위험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고찰

        한창환(Han, Chang-hwan)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5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3 No.2

        NASA는 1995년 시스템엔지니어링 핸드북을 제정하였으며, NASA의 연구원들에게 이에 대한 기본개념 및 기법을 정립시켰다. 항공기와 같은 복잡한 시스템은 개발 중에 수백 또는 수천 건의 설계변경을 경험한다. 따라서 기술위험관리는 프로젝트에 대한 기술 관리의 하나로서 규정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이며, 기술위험은 제품생산 전에 기술변경을 가져올 발생확률 및 결과(영향)로 측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NASA에서 수행하고 있는 시스템엔지니어링 중의 기술위험관리에 대한 개념 및 프로세스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1995, SP-6105 Systems Engineering Handbook was initially publish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techniques of systems engineering for NASA personnel in a way that recognizes the nature of NASA systems and the NASA environment. A complex products such as an aircraft of a space vehicle experience hundreds or even thousands of design changes during development. The technical risk management is one of the technical managements for the projects and it is a disciplined, systematic method of managing risk. The technical risks are measured as the probability and the consequence that the originally conceived design will be changed before the product enters production. In this study the technical risk management described in the NASA System Engineering Handbook is presented.

      • 거대과학정책(Big Science Policy)의 변화 : 미국과 유럽 우주개발기관의 가치창출 프로그램

        신상우(Sangwoo Shi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5

        오늘날 거대과학정책의 과제중 하나는 어떻게 시장의 수요에 대응하는가이다. 특히 이 문제는 우주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우주개발기관인 NASA와 ESA는 사회적 요구와 우주산업의 확대에 부응하기 위해 혁신정책을 집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과 유럽의 사례를 통해 우주분야 정책의 본질적 변화를 탐색하였다. 기존 우주정책은 명확한 목표와 문제해결을 위한 강력한 우주개발기관이 주도하였다면, 오늘날은 상향식과 하향식이 혼합된 분권화된 혁신시스템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정책적 변화를 견인한 동인을 탐색하고, NASA와 ESA가 어떻게 혁신정책의 틀을 발전시켰는가에 대해하여 사례를 통해 보았다. 이를 통해 우주정책이 당면한 과제와 향후 연구과제를 도출하였다. The value creation is at the center of a change in big science policy. It is especially prominent in the outer space sector. NASA and ESA, both U.S. and European space agencies, are implementing innovation policies to meet social needs and the expansion of the space economy. This study explored the essential changes in space policy through the examples of the two agencies. While existing space policies were led by the powerful National Space Agency for clear goals and problem-solving, today they feature a decentralized innovation system with a mix of top-down and top-down approaches. Exploring the drivers behind these policy changes, we explore examples of how NASA and ESA developed the framework of innovation policy. Through these efforts, the space policy came up with the challenges facing and future research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