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화간척지에 도래하는 물새류 현황 및 보전 방안

        이시완,송민정,이한수,최종인 한국습지학회 2004 한국습지학회지 Vol.6 No.1

        시화간척지에 도래하는 물새류는 70종에 최대개최수 합계가 169,351개체이었다. 군집별로는 오리류가 22종, 도요류 20종, 백로류 9종 및 갈매기류 5종순으로 나타났다. 월별 개체수는 3월이 95,465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2월과 11월에도 70,000개체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4월~6월에는 7,000개체 이하로 나타났다. 연중 1회 최대 출현개체수에서 최우점종은 58,627개체로 34.6%를 점유한 고방오리(Anas acuta)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4.5%인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 13.6%인 흰죽지(Aythya ferina), 6.1%인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5.0%인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및 2.69%인 검은머리흰죽지(Aythya marila)순이었다. 시화간척지에는 노랑부리백로(Egretta ulophotes), 저어새(Platalea minor),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혹고니(Cygnus olor), 큰고니 Cygnus cygnus) 및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등의 희귀조류가 서식 및 번식하고 있었다. 주로 시화호의 수변부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수변부 뒤쪽의 간척지(배후습지)를 휴식 및 서식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특히 검은머리물떼새는 칠면초(Suaeda japonica)와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등이 자라고 있는 간척지를 번식지로 이용하고 있었다. 시화호가 매립과 간척, 수변부에 조성되는 해안도로, 송전철탑 건설 및 농지확보를 위한 방조제 조성 등으로 물새류의 서식 및 번식지가 훼손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곳에 도래하는 물새류를 번식조류, 통과조류 및 겨울철새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보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먹이원 확보, 서식지인 수변부와 번식지인 수변부 뒤쪽의 배후습지의 유지 및 외지섬, 형도, 음섬과 시화 상류갯골이 연계되는 생태계 벨트 구축 등에 의한 물새류 보전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Sihwa reclaimed area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3. We observed total 169,351 individuals of 70 species(22 species of waders, 9 species of egrets and 5 species of gulls). Waterbird population was the largest in March(95,465 individuals) and was the smallest from April to June(less than 7,000 individual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Pintail(Anas acuta: 58,627 individuals, 34.6%) and other species were Mallards(Anas latyrhynchos: 24.5%), Common Pochards(Aythya ferina: 13.8%), Black-tailed Gulls(Larus crassirostris: 6.1%), Spotbill Ducks(Anas poecilorhyncha: 5.0%) and Greater Scaups(Aythya marila: 2.69%). Sihwa reclaimed area supported many kinds of protected species such as Chinese egrets(Egretta eulophotes), Black-faced Spoonbills(Platalea minor), Eurasian Spoonbills(Platalea leucorodia), Mute Swans(Cygnus olor), Whooper Swans(Cygnus cygnus), and Eurasian Oystercatchers(Haematopus ostralegus). They foraged at waterside of Sihwa lake and rested at reclaimed area. Particularly, Eurasian Oystercatchers bred in habitats with Salicornia herbacea and Suaeda japonica. Reclamation of mud flats and construction of roads, transmission towers and tide embankments disturbed waterbirds in breeding and foraging. We suggest that waterbirds are protected in different action plans according to their status such as breeding, passaging and wintering birds. Maintaining of waterside and swamps in Sihwa reclaimed area will be useful for breeding waterbirds. It is needed to make a protect zone for ecological connecting belt from Oeji isarea, Hyeong isarea, Eum isarea to upper channel on Sihwa lake.

      • KCI등재후보

        대형저서동물과 물새류 서식지인 장봉도 습지보호지역의 생태적 중요성

        이시완(Si-Wan Lee),김용현(Yong-Hyun Kim),강태한(Tae-Han Kang),송민정(Min-Jung Song)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2

        서해안 장봉도 습지보호지역에서 대형저서동물과 물새류의 출현양상 및 생태적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대형저서동물은 2008년 6월에, 물새류는 2008년 5월과 6월에 조사하였다. 대형저서동물은 총 48종/1.2㎡, 평균서식밀도 758개체/㎡로 출현하였다. 장봉도 남 ? 북측 조간대는 니질성 퇴적상이 발달되어 저서다모류가 우세하였다. 동만도와 서만도 조간대는 사질성 퇴적상이 발달되어 단각류와 이매패류인 말백합이 우세하였다. 동물문별 출현종수는 저서다모류가 19종으로 전체 중 39.6%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갑각류, 연체동물류 순이었다. 서식밀도는 갑각류가 415개체/㎡로 54.7%의 우점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저서다모류, 연체동물류 순으로 우점하였다. 장봉도 습지보호지역 전체에서 물새류는 총18종, 13,337 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이었고, 차우점종은 노랑부리백로이었다. 장봉도 습지보호지역 중에 장봉도에서는 14종 1,029개체가 관찰되었고, 동 ? 서만도에서는 12종 12,308개체가 관찰되었다. 동 · 서만도에서 번식조류는 10종이 관찰되었으며, 이 중 괭이갈매기는 12,050개체가 관찰되었고, 12,000둥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랑부리백로는 장봉도 일대 갯벌에서 취식활동을 하였고, 집단 번식지인 서만도에서 31둥지가 관찰되었다. 검은머리물떼새는 동만도에서 4둥지 이상, 서만도에서는 1둥지 이상 확인되었다. 왜가리와 중대백로는 서만도 남측 교목림에서 각각 2둥지와 15둥지가 확인되었으며, 민물가마우지도 남측 교목층에서 12둥지가 확인되었다. 가마우지는 나출된 절벽에서 35둥지가 확인되었으며, 저어새 1쌍이 번식하는 것도 확인되었다. 물새가 번식지로 이용하고 있고, 주변 갯벌에 서식하고 있는 저서동물로부터 먹이원을 얻고 있는 장봉도 습지보호지역은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장봉도 습지보호지역은 조력 발전소 조성, 해사 채취 등의 꾸준한 개발압력을 받고 있어 이에 대비한 습지보호지역의 보전 및 관리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o recognize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Jangbongdo Coastal Wetland Protected Area, the appearance patterns of macro-benthic fauna and waterbirds were investigated in June 2008, and from May to June 2008, respectively. The macro-benthic fauna comprised 48 species/1.2㎡ occurring at a mean density of 758 indiv./㎡. Benthic polychaetes were the major faunal taxonomic group of the muddy sedimental face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tidal flat areas in Jangbongdo. On the other hand, sandy sedimental face developed in the tidal flat around Dongmando and Seomando where Amphipoda (Crustacea) and Bivalvia (Mollusca) such as Meretrix petechialis presented as the dominant faunal group. Nineteen species (39.6%) of benthic polychaetes appeared which was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among taxonomic groups. After benthic the next two faunal groups with the highest species number were Crustacea and Mollusca. Crustaceans were sampled at 415 indiv./㎡ (54.7%), which was the most abundant faunal group. Polychaeta and Mollusca were the next two groups with the highest abundance. A total of 18 species and 13,337 individuals of waterbirds were observed in Jangbong Wetland Protected Area. Approximately, 12,050 birds bred in 12,050 birds bred in Dongmando and Seomando (12,000 nests) with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identified as a dominant species. Swinhoe's Egret (Egretta eulophotes - 31 nests in Seomando),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4 nests in Dongmando, 1 nest in Seomando), Grey Heron (Ardea cinerea, 2 nests in Seomando), Great Egret (Egretta alba, 15 nests in Seomando), Great Cormorant (Phalacrocorax carbo, 12 nests in Seomando), Temminck's Comorant (Phalacrocorax capillatus, 35 nests in Seomando) also bred on the islands. Jangbongdo tidal flat is an important habitat for rare birds. Specifically, more than 1% of the Swinhoe's Egret (Egretta eulophotes) world population use this tidal flat. Also, important birds like th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and the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reside in the tidal flat. Benthic organisms are good prey for these birds. Jangbongdo Coastal Wetland Protected Area also has a development plan that includes such activities as sand mining, and tidal power plant construction. Thus, this area must be continuously managed and preserved for the protection of rare waterbirds.

      • KCI등재

        박태준의 초기 한국 가곡에 관한 고찰 -思友(사우)(1922)와 물새발자옥(1935) 작품을 중심으로-

        문선아 ( Sun Ah Moo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2 No.-

        가곡은 각 나라마다 고유한 언어와 음악, 그리고 문화가 결합되는 민족음악이다. 한국가곡도 우리의 고유한 언어의 시에 작곡가들이 곡을 만들어내는 우리의 고유한 민족음악이다. 한국가곡에는 우리 민족의 삶과 정서가 잘 반영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가곡의 시작인 1920년대와 근대적 가곡의 형태로 자리 잡게 되는 1930년대의 흐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전 시기의 唱歌에 예술적 주체의식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등장한 1920년대 초기 한국가곡들은 서구 찬송가의 모방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30년대에 와서 근대 가곡으로서의 틀을 갖추게 되고 무대공연의 상설화, 음반 발매, 방송국의 출현 등으로 더욱 발전 하게 된다. 20년대와 30년대에 초점을 맞추어 이 당시 활동한 주요 작곡가들 중에서 지금도 많은 이들에게 애창이 되고 있는 곡들을 작곡한 박태준의 유년시절과 청년시절의 삶을 되짚어 보고 그의 일생에 음악이 깊게 자리 잡을 수밖에 없었던 그 필연적인 만남을 되새겨 보았다. 또한 그의 삶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두 인물, 이은상과 윤복진과의 관계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박태준의 작품들 가운데 <思友:동무생각, 1922>과 <물새발자옥, 1935>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최근 <동무생각>과 관련하여이 곡을 만든 작곡가 박태준의 고향인 대구와 작사가 이은상의 고향인 마산이 이 곡의 가사 1절에 등장하는 ``청라언덕``의 자리를 놓고 뜨겁게 대립하고 있다. 무엇이 이 대립의 문제점인지 알아보았고, 이 곡이 가지고 있는 가사 속 의미를 살펴보아 왜 많은 이들에게 애창될 수밖에 없는지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곡 <물새발자옥>에서는 이 곡이 담겨진 작품집 『물새발자옥(1939)』을 음악박사 계정식(1904-1974)이 1939년 7월 26일 동아일보지에 면밀히 소개한 기사를 인용하여 설명하고, 윤복진과 이인성, 박태준의 관계에 대해 언급하며 이 작품집에 대해 소개하였다. 곧 이 작품집이 많은 이들과 다시금 만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가곡, 더 나아가 한국의 창작곡을 진정으로 사랑하고 연구하는 이들에 의해 많은 성과가 나오길 바라고 또한 본고를 통하여 잊어져 가고 있는 한국가곡의 뿌리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고 숨어 있는 많은 작품집들이 세상과 소통되고 연구되어져서 우리 민족의 고유한 노래로 다시금 불리길 기대해본다. Korean art songs are national music combined by each unique language, music and culture. Not only these songs are one of Korean traditional songs composers make with traditional poems, but also Korean art songs reflect Korean life and culture. In this study, it represents 1920``s Korean art songs as beginning era of the songs and 1930``s lyric songs as the form of modern Korean art songs. As the earlier Korean traditional chanting began to form its own artistic sources, early 1920``s Korean art songs had limit that the Korean composers mimicked a western hymn. In the 1930``s, Korean art songs were formed as modern music and it was highly developed by establishment of stage, releasing a record, appearance of broadcasting station. Among many composers in the 1920``s and 1930``s, in the study, Park, Tae-Jun who composed many famous songs was introduced. It is important point for this study to represent Park, Tae-Jun``s life of childhood and youth when he was deeply inspired by music. In addition, it is easy to understand Park, Tae-Jun``s relationship of Lee, Eun-Sang and Yun, Bok-Jin who sincerely influenced his life. Recently it would be big conflict about Chung-ra hill shown on the first lyric of Longing for my friend between the composer Park, Tae-Jun``s hometown Dae-gu and the lyric writer Lee, Eun-Sang``s hometown Ma-san as Park, Tae-Jun``s songs which are Longing for my friend and Footprints of waterfowl were researched. In the study, it analyzes what point of argument is and why people love this song that has meaningful lyric. This study explains the second song which is Footprint of waterfowl included the works with the article of Dong-A daily newspaper written by musical doctor Gye, Jung-Sik on 26 July in 1939. The works would meet many people soon. It would inspire that people who love and study Korean creative songs can do research with ardor. Moreover, it is worthy for this study to meditate root of Korean traditional art songs which have been forgetting. The many hidden works can be communicated with people and researched; it would be popularly sung as traditional song for Korean once again.

      • 제주도 구좌지역 해상풍력단지 예정지역의 물새류현황조사

        김소리나(So-Ri-Na Kim),김병수(Byoung-Soo Kim),장민호(Min-ho Chang),경남호(Nam-ho Kyong),오홍식(Hong-Shik Oh) 한국조류학회II 2007 한국조류학회지 Vol.14 No.2

        2006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제주도 구좌지역의 해상풍력단지 예정지역의 물새류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58종 16,786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종 다양도는 1.735로 나타났다. 우점 종은 재갈매기(Larus argentatus) 51.36%,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21.60%, 가마우지(Phalacrocorax carbo) 5.53%, 민물도요(Calidris alpine) 4.46%, 슴새(Calonectris leucomelas) 3.7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월별 관찰종수는 4월이 36종으로 가장 많았고 6월이 8종으로 가장 적었으며, 개체수는 2월이 7,972개체로 가장 많았고 6월이 33개체로 가장 적었다. 보호조류는 노량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 원앙(Aix galericulata), 물수리(Pandion haliateus), 흰목물떼새(Charadrius placidus) 등 총 4종이 관찰되었다. 물새류 서식의 방해요인으로는 해안도로의 건설 및 차량과 사람들의 출입 등이 관찰되었다. We researched status of waterfowl of Gujwa region where offshore wind farm was planed in Jejudo Island from March 2006 to February 2007. As the result of, a total of 16,786 individuals of 58 species were observed and the species diversity was 1.735. The dominant species were Larus argentatus (51.36%), Larus crassirostris (21.60%), Phalacrocorax capillatus (5.53%), Calidris alpina (4.46%) and Calonectris leucomelas (3.74%). Monthly observed species were the maximum as 36 species in April but the minimum as 8 species in June, and individuals were the maximum as 7,972 birds in February but the minimum as 33 birds in June. Protective birds were observed a total of 4 species including Egretta eulophotes, Aix galericulata, Pandion haliateus and Charadrius placidus. A disturbance factors of inhabitation of waterfowl were observed the construction of a cost road and coming and going of vehicle and person etc.

      • KCI등재

        시민모니터링을 통한 순천만과 보성벌교갯벌의 습지환경

        박성남 ( Seong Nam Park ),오강호 ( Kang Ho Oh ),고영구 ( Yeong Koo Koh ),윤석태 ( Seok Tai Youn ),김해경 ( Hai Gyoung Kim ),신상은,양효식 ( Hyo Sik Yang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4년 동안 순천만과 보성벌교갯벌 습지보호지역을 대상으로 시민 모니터링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습지의 시민모니터링 대상은 저서생물, 염생식물, 물새, 퇴적환경 등이다. 저서생물 지표종 수는 2013년과 2014년에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개체수와 서식굴 수는 2013년에 비해 2014년에 감소하였다. 물새는 2013년에 비해 2014년에 최대 6 종의 모니터링 물새가 관찰되어 증가하였으며, 개체수도 2014년 2월에 흑두루미, 혹부리오리등이 순천만에서 월동하며 3,500여 마리까지 관찰되었다. 염생식물 개체수는 2013년에 비해 2014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강하여, 피도는 5% 이하로 매우 빈약하거나 식생이 사라지는 정점도 있었다. 퇴적환경 변화는 일부 정점을 제외하고 2~5cm 정도 퇴적되는 양상을 보인다. 2013년과 2014년의 결과에서 연구지역 습지환경은 계절적, 연차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습지환경은 단기적 변화와 함께 5년, 10년, 20년 이상의 장기간의 변화를 추적하여야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습지보호지역의 시민모니터링을 위해서 장기간 모니터링이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시민모니터링의 연속적 자료 구축을 위하여 계절별 조사로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습지보호지역의 환경 특성에 맞는 표준 모니터링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갯벌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역축제 활성화와 함께 습지환경보전 의식 개선을 위한 사업이 필요하다. 넷째, 순천만 및 보성벌교갯벌은 습지보전법에 의한 습지보전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다섯째, 습지보호지역의 시민모니터링 목적에 맞는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습지보전 대책이 필요하다. 시민모니터링의 주체는 지역 주민들이다. 따라서 향후의 습지보호지역의 시민모니터링은 지역 주민이 주체가 되어 모니터링 할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ies a compiled result of the wetland protected areas in Suncheon bay and Boseong-Beolgyo regions monitored by citizens from 2013 to 2014 years. The monitored targets were benthos, halophytes, waterfowls,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so forth. Benthic index species varied in small scales from 2013 to 2014, but their individuals and burrows decreased. Based on the 6monitored species, waterfowls showed increasing trends and reached up to 3,500 individuals composed of Grus monacha and Tadorna tadorna. The two birds mainly pass winter in the Suncheon bay. Halophytes rapidly decreased in 2014 compared to 2013, and their cover areas were very poor, below 5% and even their vegetation disappeared. Sediments, except for some stations, generally accumulated to 2~5 cm. From the compiled results of 2013 to 2014, the wetlands varied seasonally and annually. Wetlands must be monitored in various terms of 5, 10, 20, and more, in addition to the short period surve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wetlands in the aspect of efficient conserv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the followings must be achieved. First of all, seasonal surveys must be carried out for the continuous accumulation of citizen monitoring data. Secondly, the development of standard monitoring manual suitable for wetland environments is required. Thirdly, in order to actualize areal festivals and to improve wetland conservation, continuous areal development using tidal flats is necessary. Fourthly, the wetland conservation plans for Suncheon bay and Boseong-Beolgyo regions must be based on the wetland conservation act. Fifthly, a wetland conservation plan 「of the citizen, by the citizen, for the citizen」is required in order to conduct a suitable citizen monitoring. The principality of citizen monitoring is in the local residents themselves. Therefore, citizen monitoring of wetlands by locals themselves is essential.

      • KCI등재
      • 박태준의 작곡집 고찰

        손태룡 한국음악문헌학회 2012 음악문헌학 Vol.- No.3

        박태준은 생애 8권의 작곡집을 출간했으나 지금까지 여기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가곡집부박태준작곡집』, 『중중떼떼중』, 『양양범버궁』, 『뜸북새』, 『물새발자옥』, 『박태준동요작곡집』, 『무궁화는 피고피고』, 『박태준작곡집』이 그것이다. 『가곡집부박태준작곡집』에는 자신이 작곡한 10곡이 수록되어 있다. 『중중떼떼중』(16곡)과 『양양범버궁』(14곡)에는 모두 윤복진의 작사로 되어 있다. 『뜸북새』에는 윤복진 이외의 작사자로 구성된 10 여곡이 수록됐으며, 『물새발자옥』에는 모두 윤복진 작사로 13곡이 담겨있다. 『박태준동요작곡집』에는 19곡이, 『무궁화는 피고피고』에는 35곡이, 『박태준작곡집』에는 자작곡 114곡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박태준이 발간한 8종류 악보집을 분석한 결과, 이들 악보집에는 241곡 이상을 밝히고 있으나 사실 226곡의 곡명이 확인된다. 그 이유는 『중중떼떼중』에 담긴 16곡 중 1곡만 확인되므로 나머지 15곡은 알 수 없다. 또한 『뜸북새』에는 10여곡 이상이 수록된 것으로 짐작이 되나 10곡의 제목만 확인이 된다. 그런데 윤복진과 윤석중의 “슬픈밤”은 같은 가사의 곡이며, 또한 윤석중이 한 곡조에 3중으로 가사를 붙인 것과 제목만 다른 곡도 있다. 더욱 작사자 윤복진과 신고송은 월북자이므로 윤석중과 박목월이 이들의 작시를 다른 가사로 개사하였다. 때문에 박태준이 작곡한 곡은 현재 128곡 된다. 이러한 내용을 밝히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초창기 박태준이 작곡한 동요의 대부분 작사는 윤복진이 하였다. 윤복진은 6ㆍ25전쟁기간인 1951년에 월북함으로써 이후 그가 작사한 가사로는 불러지지 못하고 새롭게 다른 사람이 개시를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작곡가 박태준은 월북자 윤복진과 신고송의 노래가사를 윤석중과 박목월에게 부탁하여 개사 작업이 이루어졌다. 한편 2중으로 불려진 윤복진의 “기러기”와 이정구의 “가을밤”은 이후 이들이 월북하여 부르지 못하자, 이정구를 이태선으로 바꾸어 “가을밤” 동요가 불리어지게 되었다. 그러므로 동요 “가을밤”의 작사자는 이태선이 아니고 이정구이다. 본 연구결과, 새롭게 개사된 곡은 모두 33곡인데, 그중 31곡을 윤석중이 가사를 새롭게 지었으며, 윤복진의 “가을바람이지”는 박목월이 “가을”로, “기러기”는 이정구가 “가을밤”으로 개사하였다. 이렇게 윤복진이 지은

      • KCI등재

        습지보호지역의 시민모니터링 개선방안 -순천만과 보성벌교갯벌을 중심으로-

        양효식 ( Hyo Sik Yang ),오강호 ( Kang Ho Oh ),고영구 ( Yeong Koo Koh ),윤석태 ( Seok Tai Youn ),김해경 ( Hai Gyoung Kim ),신상은,박성남 ( Seong Nam Park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의 시민주도 모니터링의 필요성, 습지보호지역 특성에 맞는 모니터링 매뉴얼 개발과 개선 방안에 대한 것이다. 시민모니터링의 주체는 시민이다. 따라서 습지환경 시민모니터링은 시민들이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매뉴얼이 개발되어야 한다.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 정점 선정은 장기간의 환경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퇴적환경, 저서생물, 염생식물은 고정 방형구를 설치하여 관찰하여야 한다. 또한 시민모니터링 매뉴얼개발은 현장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는 항목으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야 한다. 첫째, 퇴적 및 해양환경 모니터링은 퇴적물의 종류, 퇴적률, 패각 함량 등과, 악취, 오염물질량과 종류 등의 해양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 둘째, 저서생물 모니터링은 습지보호지역 내의 보호대상해양생물과 우점종을 조사하여야 하며, 간접적으로 저서생물 개체수를 확인할 수 있는 서식굴 조사를 병행하여야 한다. 셋째, 염생식물 모니터링은 습지보호지역의 대표적 군락을 대상으로 식생의 개체수, 피도, 성장 등을 조사하며, 주위의 생물상을 정성적으로 병행하여야 한다. 넷째, 물새류 모니터링은 습지보호지역의 보호종과 우점종을 조사하여야 한다. 특히 겨울철 흑두루미의 서식처인 순천만의 경우에는 일별, 주간별 모니터링이 필요하기도 하다.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의 체계적 정착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니터링 기간은 최소 계절별 조사로 진행되어져야 한다. 둘째, 모니터링 조사기관 및 조사자의 연속성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주민 및 시민 단체들에 속한 모니터링 요원의 선정과 체계적 모니터링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 취지에 맞는 지속가능한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다섯째,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 매뉴얼은 시대의 상황과 시민들의 교육 수준에 따른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monitoring manual suitable for the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It also covers the necessity for citizen leaded monitoring in this area. Citizen monitoring can only be maintained by the citizens themselves. Thus, citizen monitoring manual must be developed so that the locals can carry it out by themselves. Station selection for citizen monitoring on the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must be conducted for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quadrate operation for benthos and halophytes with respect to long-term environmental changes. Observations from the fields conducted for the manual construction suggest the followings. At first, in terms of sedimentary and marine environment, sediment type, sedimentation rate, shell content, stench, and type and content of contamination matter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econdly, items that include marine organisms under protection and their dominate species, investigate dormitory burrows which can check benthic individuals. Thirdly, halophyte monitoring must survey vegetation individuals, coverage, growth, and running parallel biota around above wetland. Lastly, waterfowls must be investigated in protected and dominate speci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uncheon bay, hooded crane (Grus monacha) must be monitored daily and weekly. Suggestions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operation on the above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are as follows. Firstly, monitoring term must be carried out at least every season. Secondly, the monitoring institutes and searchers are continuous. Thirdly, appropriate choice of monitoring searchers in locals and civic organizations is necessary. Additionally, systematic monitoring training should be required for chosen searchers. Fourthly, a continuous monitor『of citizen, by citizen, and for citizen』is adequate to protect the wetland. Lastly, the monitoring manual on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requests modification and supplement in accordance with current paradigm and the education level of citizen.

      • KCI등재

        박목월의 미발굴 동시 연구

        장정희(Jang, Jung-He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8 No.-

        본고는 박목월 미발굴 동시에 대한 연구이다. 새로 찾은 박목월 동시의 전체적 현황을 정리하고 발굴 작품의 시기별 특징을 개괄하고자 한다. 우선 이를 수행하기 위해 본고는 지금까지 출간되어 온 박목월 동시 선집의 간행 과정과 작품 수록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박목월 동시 선집 간행사에 있어 주요판본이 되어 온 『박영종 동시집』(1946)과 『초록별』(1946)의 서지적 오류를 바로잡고, 박목월 동시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되어 온 ‘신구미디어본’ 『얼룩 송아지』(1993)의 동시 수록의 문제점을 살폈다. 이를 통해 본고는 박목월 동시의 체계적 정비 및 정본 확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현재까지 본고가 조사 정리한 박목월의 미발굴 동시는 해방 전 36편, 해방 후 47편이다. 특히 박목월의 첫 발표작 「통탁탁통짝짝」을 찾아 처음 공개한 것은 소중한 성과였다. 본고는 박목월의 미발굴 동시를 ‘해방 전/해방 후’로 시기를 구분하고 작품의 전반적 경향을 살폈다. 전자에 대해서는 ‘반복 리듬과 전래동화적 상상’, 후자에 대해서는 ‘생활 감각과 현대적 동심 추구’로 파악하였다. 본고는 기존 박목월 동시 선집에 수록되지 않은 「개암이 장」, 「꽃시계」, 「가얌」, 「땅감」, 「어머니의 노래」, 「물살」, 「비둘기」등, 다수의 뛰어난 동시를 발굴 소개하였다. This is the study for Park Mok Wol’s unexplored children’s poems. This study’s purpose is to introduce general present conditions of Park Mok Wol’s children’s poems which are newly discovered and summarize the time-periodic features of his discovered works. First, to fulfill it, this study analyzes the publishing process of Park Mok Wol’s collection of children’s poems which have been published until now and present conditions of works which are contained in his collection of children’s poems. Then, this study corrects bibliographical faults of 『Park Young Chung’s collection of children’s poems』(1946) and 『Green star』(1946) which have been the main editions to publish Park Mok Wol’s collection of children’s poems. A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A spotted calf』(1993), namely ‘the old & new media model’, which has been the main text in the studies of Park Mok Wol’s children’s poems until now. From it, this study presents the necessity of the systematic collection & maintenance of Park Mok Wol’s children’s poems. This study classifies Park Mok Wol’s unexplored children’s poems which are newly discovered into ‘the poems before liberation’ and ‘the poems after liberation’ and arranges the general present conditions of the poems. The accumulated figure of Park Mok Wol’s children’s poems up to now that this study comprehends is more than two hundreds. This figure corresponds to twice as many the figure of Park Mok Wol’s children’s poems which have been known in the meanwhile. This study particularly discovers and introduces Park Mok Wol’s first published work, 「Tong-tak-tak tong-chak-chak」, which has been unexplored in the meanwhile. It is a precious achievement. This study explores and introduces 「Ants’ market」, 「A flower clock」, 「Hazelnut」, 「Ttanggam(tomato)」, 「The mother’s song」, 「A current」,「A dove」and so on which are not contained in his existing collection of poe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