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문화사의 공간과 문화의 정치경제학

        장세룡 문화사학회 2014 역사와 문화 Vol.27 No.-

        이 연구는 기존의 담론 중심의 문화정치가 공간을 사유하며 문화의 공간 정치로 확장을 시도하고, 기존의 정치경제학이 공간에서 전개되는 기호와 일상의 담론에 주목하며 미시적 문화의 영역으로 섬세화시키는 양상을 검토했다. ‘문화적 전환’이 설득력을 확장하면서 문화 그 자체는 점차 생산과 소비, 노동과 놀이까지도 포섭하여 자율적인 수용과 전유를 통하여 창조력을 재생산하는 ‘신개척지’로 평가받고 있다. 그 결과 문화연구는 지적 ‘전위성’에 ‘일반성’까지도 인정받았고, 심지어 문화는 곧 정치라는 간결한 선언으로 새로운 정치 인식의 지형도를 제출하리라는 기대감마저 불러일으켰다. 그것은 문화정치, 나아가 공간을 성찰하는 문화의 공간 정치 영역을 열어 주었고, 사회학과 경제학의 문화적 전환까지도 자극하여 문화의 정치경제학에 관한 전망을 수립하는 데 기여했다. 밥 제솝이 주도하는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문화를 인간 중심으로만 보는 한계를 넘어 물질적 공간 자체가 가지는 존재론적 현실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것은 공간의 물질성 가운데서 출현한 기호학적 양상의 문화적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새로 생성되는 영향력에 주목하도록 시야를 확장시킨다. 그리하여 현실에서 작동하는 인간의 담론성과 물질성의 결합과 담론성이 물질성을 거쳐 표명되는 양상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촉구한다. 그러나 이 기획이 기호와 담론에만 배타적으로 관심을 쏟는 것은 아니다. 기호와 구조화가 서로 결합하여 표명하는 권력관계, 경로의존성 및 구조적으로 새겨진 선택성을, 다양한 변형, 선택 및 유지 보존의 진화적 메커니즘의 조건에서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경제활동의 행위자가 수행하는 테크놀로지의 역할을 조명한다. 문화의 정치경제학이 정치경제학 분야에서 전개되는 사건과 과정, 경향과 구조를 기호학으로 설명하는 것은, 경제와 정치의 물질성 기호의 차원으로 축소시켜 경제와 정치의 관계를 분절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공간 정치와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기본적으로 현재진행형 이론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aspects of one that the Cultural Politics transformed to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through reflection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the another that the old Political Economy transformed to Cultural Political Economy which represents delicate and detailed spirit that implied in micro realms through attentions on semiotics and everydaylife discourse in space and place. By ‘Cultural Turn’, the culture itself was estimated as a ‘new reclaimed land’ that reproduces creative forces through autonomous reception and appropriation subsuming production, consumption, labour and play. In result, cultural studies even could acquire the intellectual avant-guardness and generality. Moreover, the proclamation that “culture is politics” provoked feeling of expectations that culture would suggest newly topographical map for political cognition. It opened up more productive realm of Cultural Politics of Space which reflect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prospect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by stimulating ‘Cultural Turn’ of Sociology and Economics. The researches for the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led mainly by Bob Jessop’s group had concerns for ontological reality based on the material space itself beyond the limit of human-centered culture. It leads to focus on the newly affective forces generated in works to explore cultural meanings of semiotical aspects that emerged in the materiality of space. This urges us to get down to the aspects of conjunctions of discoursality and materiality, the discoursality expressed through materiality. For example, as such a cultural city, entrepreneurial city etc, brand city project and Knowledge-Based Economy which seek in the name of creative economy or creative industry by local governance. But this project does not only focus on the semiotics and discourse exceptionally. It searches for power relation, path- dependency and institutionally engraved selectivity on condition of evolutionary mechanism of various transformation, selection and maintenance of Political Economy. Furthermore, the technological roles in relation to the economic activities will be lightened in this context. But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criticized for their reducing economy and politics materiality to semiotics dimension and so segm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politics with the accounts for accidents and processes, trends and structures developed in Political Economy in terms of semiotics.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ongoing theories which are in the process of configuration, basically.

      • KCI등재

        한국 현대사 정치문화에 대한 고찰: 쿠데타군의 재집권시기를 중심으로

        임선우(Im, Sun Woo),윤황(Youn, Hw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5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국현대 정치사에서 군부의 쿠데타 재집권체제적 주요 문화적 특성을 밝히고 21세기 지속가능한 정치문화를 민주주의와 연관해서 논의하는 데에 있다. 연구 분석 결과, 기본적으로 쿠데타군의 재집권체제적 정치문화는 국가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모순과 한계로 나타났다. 그에 따른 국가체제는 민주주의의 제한성과 퇴행성을 가진 과도기적 민주정치문화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에 기초한 한국의 반민주적 정치문화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즉 첫째, 권위주의가 만연화되었다. 둘째, 중앙집권적 중앙집중주의가 심화되었다. 셋째, 계파/족벌주의가 보편화되었다. 넷째, 보수와 진보의 이념대립구도가 격화되었다. 이런 특성에서 벗어나 21C 바람직한 한국 정치문화의 방향은 한국문화의 고유적 특성과 결합된 국민주권의 시민 참여적 민주정치문화 창출로 나아가야 한다. 한국문화의 고유적 특성은 공동체가 강한 아시아적 가치로서는 문화자본이다. 이 자본과 결합된 시민의 정치정향에 따른 국민주권의식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민주정치문화의 창출도 가능해진다. 비록 부진한 정치권의 개혁만이 아닌 그동안의 후진적인 사회 형태를 벗어난 시민의 권력으로 더불어 사는 새로운 새 시대의 비전을 향해 함께 나아가야 한다. 21C 대한민국 시민이 이룩한 촛불평화혁명은 박근혜 정권의 퇴진요구와 맥을 같이하는 지금까지의 불공정 ․ 불평등의 반민주적 적폐청산문화에 그 본질을 두고 있다. 이에 촛불혁명 이후의 방향은 기존 질서와 장벽에 막혀있는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요구한 시민참여의 민주정치문화를 새롭게 형성해 나가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바로 한국 민주주의 회복에 당위성을 둔 세계시민사회를 향한 휴머니즘에 의한 삶의 대화이자 연대성의 정치환경에 부응하는 것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major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second coup regime in the modern Korean political history, and to discuss sustainable political culture in relation to democracy in the 21st centur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ruling system of the coup is basically a contradiction and limitation to maintain the state system. It was analyzed that the national system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with the limitation and degeneracy of democrac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nti -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uthoritarianism has become prevalent. Second, centralized centralism deepened. Third, the field / nepotism was universalized. Fourth,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conservatism and progress has intensified. Apart from these characteristics, the direction of desirable Korean political culture in the 21st century should move toward the creation of citizen participatory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combined with the inherent traits of Korean culture. The inherent character of Korean culture is cultural capital as a strong Asian value of community.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with a change in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citizens combined with this capital. Though it is not only the reform of the sluggish political realm, but it should go along with the vision of a new era of living with the power of the citizen out of the backward social form. The candlelight peace revolution achieved by Korean citizens in the 21st century has its essence in the culture of anti-democratic abolition of inequality and inequality that has been in tandem with the demand for the resignation of Park Geun-hye. Therefore, the direction after the candlelight Revolution calls for the formation of a democratic and political culture of citizen participation that requires equal rights and opportunities that are obstructed by existing order and barriers. This is correctly a response to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solidarity and dialogue of life through humanism toward the global civil society,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recovery of Korean democracy.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정치와 문화예술의 상호관계성에 관한 고찰

        임재정 ( Jae Jeong L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3

        이 글은 정치와 문화예술의 상호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정치권력과 상호 연계되는 문화예술이 정치와 어떤 방식과 내용으로 서로를 품고있는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문화예술과 정치는 인류 역사의 시작과 함께해 온 시대적 반영물로써, 이둘의 관계는 출발점에서부터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는 긴밀한 관계에 있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문화예술은 이미지, 상징, 기호, 텍스트, 스타일, 의미생산 등의 속성을 통해 정치에 영향을 미치거나 정치적이다. 이 점에서 문화예술은 속성상 고도의 정치적의미를 갖는 정치적 메커니즘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문화예술은 의미생산을 통해 정치사회적 이데올로기를 작동시킨다. 이데올로기를 작동시키는 방식은 직접적이기보다는 간접적이다. 이처럼 문화예술은 그 속에 내재된 이미지, 의미생산, 상징을 통해서, 정치는 권력이라는 강제력을 통해서 문화예술의 수용자들에게 침묵을 강화하거나 조장하는 힘을 발휘한다. 또한 이것은 정치행동 또는 비정치적 행동 기저에 강력하게 작용한다. 정치는 문화예술이 지니고 있는 이러한 속성을 이용하여 정치권력을 유지·확장한다. 특히, 정치권력은 문화예술이 지니고 있는 상징과 이미지를 중요한 지배 수단의 하나로 간주한다. 따라서,이러한 둘의 관계는 작용반작용 법칙 하에 서로가 서로를 품거나 견인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보여지는 둘의 관계나 현상은 문화예술이 지배자의 이익을 반영하는데 있어서 매우 단기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문화예술이 정치변화를 견인하고 정치적 행동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보다 장기적이고 그 속도가 느리다. 문화예술은 변화(창조와 변화)를 통해 기존의 범주와 가치의 위계를 파괴한다는 점에서 정치발전 또는 정치변화의 기초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cultural art. Basically, cultural art and politics have reflected the spirit of the age since the beginning of the human history, and they impact each other. That is, cultural art is political or affects the politics by image, symbol, sign, text, style, and the product of meaning. In that sense, cultural art is seen as the political mechanism which has high-degree political meaning. It activates the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by the product of meaning of which is rather indirect. On the other hand, politics affects the consumers of cultural art through its power. By using the attributes of cultural art, politics maintains and extends its political authority. The symbol and image which the cultural art has are very important tools for the political authority. Therefore, these two tow each other under the principal of action and reaction. Yet, realistically, it seems that the cultural art is used for the ruler’s profits very effectively in the short-term while the power of the cultural art to induce the political change is in the long-term and slowly activated. The cultural art proposes the foundation of the political development or political change in that it destroys the existing category and order of rank.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의 정치문화 방향에 관한 소고

        김태운 ( Tae Woo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2 인문사회 21 Vol.3 No.2

        본 논문은 한 나라의 정치발전은 정치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 정치문화의 특징과 현실을 검토하는 가운데 바람직한 정치문화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해 본 것이다. 개별국가들의 정치문화는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참여형이 주류 정치문화라고 하더라도 지방형이나 신민형의 정치문화가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국의 정치문화 양상도 이와크게 다르지 않다. 여전히 유교적 전통이 정치문화 속에 강하게 배어 있는 가운데 온정적이고, 감정적이며 권위주의적 성격이 강하다. 특히, 혈연, 지연, 학연 등을 기반으로 하는 인적 네트워크 중심의 정치문화가 정치문화 전반을 지배하고 있다. 20세기와 비교하여 21세기의 한국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으로 크게 변화되었다. 성숙된 민주시민사회로의 변화, 다문화사회로의 급격한 변화 양상은 새로운 정치문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한국의 정치문화는 자유주의적 이념과 합리주의적 가치를 기초로 새롭게 정립될 필요가 있다. 특히, 광범위한 정치 참여를 통해 모든 구성원들이 인식할 수 있고 공유할 수 있는 정치문화 정립이 필요하다. 아울러, 다문화사회에 부응하는 사회통합형 합리주의적 정치문화를 정립·발전시켜야 한다. This thesis includes recognition that the political culture plays important role in a country``s political development and finds a desirable way of political culture by reviewing Korean political culture``s feature and reality. Each country``s political culture appears multiply. Participative could be the mainstream in political culture, but regional or subject political culture can appear multiply. Korean political culture is not big different with this appearance. Still, the confucian tradition is strongly soaked in political system, and has compassionate, emotional, and authoritarian character. Especially, personal networking political culture, which is based on kinship, regionalism, and school relations, rules the whole political networking. Compared with 20th Century, and 21st Century, Korean society materially altered in policy, economy, and sociocultural. change of matured democratic civil, and of multicultural society aspect requires fresh political culture. By this aspect, Korean political culture needs to be constructed newly, based on liberalistic ideology, and rationalism value. Especially, we need construction of political culture that all parties can recognize and share by pretending wide politics. Also, it needs to be set up and development the socially integrated rational political culture that accommodates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후보

        가야문화권의 성립과 그 의미

        백승충 ( Seung Chung Bae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3

        가야’는 흔히 국명으로 칭해지고 있으나, 삼국과는 달리 영역적으로나 관념적으로 통일된 국가체로 나아가지 못했기 때문에 가야지역 내의 독자적인 제 ‘세력권’ 혹은 ‘문화권’의 총칭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가야의 특징은 인근의 신라?백제와는 구분되는 공통의 정치?문화 요소를 가지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각 세력권별로 고유의 정치?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존재 시기나 양태에 있어 시?공간적인 편차는 있지만, 주요 정치?문화권으로는 2대 중심체로서 시간적으로 선후관계에 있는 김해 ‘가락국’과 고령 ‘가라국’을 비롯하여 함안 안라국과 산청?진주?고성의 고자국 등이 있다. ‘지역연맹론’의 관점에서 보면 이들 가야의 제 정치?문화체는 가락국권?가라국권?안라국권?고자국권 등 네 권역으로 구분되는데, 정치적으로는 ‘연맹’ 혹은 ‘연합’의 성격을 띠고 있다. 4개의 권역 가운데 가락국권과 안라국권은 삼한 시기부터 두각을 나타내지만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도 권역이라든지 정치적 속성은 큰 변동 없고, 고자국권은 정치?문화적인 동질권으로 묶기에는 공간적 범위가 넓고 이질적 요소도 많다. 반면 가라국권은 정치?문화적 범주와 사회 발전 정도로 볼 때 가장 주목되는 권역인데, 비록 5세기 중반 이후 두각을 나타내지만 가야의 제 권역 가운데서는 고대국가의 요소를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으로 대표되는 가라국권이 소국 단계를 지나 독자적인 정치?문화권인 ‘지역연맹체’로 발전하는 것은 5세기 중반~6세기 전반이다. 이것을 잘 보여 주는 것이 가라국 고유의 고총고분과 부장유물의 서열관계, 위신재의 사여, 초월적 왕호(=대왕)의 사용, 부(제)의 시행, 외교섭관계의 전개 등이다. 물론 삼국과 비교해 볼 때 이들 요소를 고대국가의 속성으로까지 말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라국권을 주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세력권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광역화된 동질적인 정치?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시적이기는 하지만 정치?외교?군사적으로 신라?백제와 대등한 관계에 있었기 때문이다. 종래의 가야사 인식은 김해 가락국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그러나 이제 가야지역에는 김해 가락국 이외에 고령 가라국은 물론 함안 안라국과 산청?진주?고성의 고자국도 당대 주요 정치?문화체로서 그 존재가 확인됨에 따라 가야사를 재구성함에 있어 비록 상대적 우열관계는 분명히 있지만 어느 한 정치?문화체를 중심으로 한 일방적인 서술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가야 전체사로 본다면 각각의 정치?문화권의 이질성 및 동질성을 밝혀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데, 이를 통해 ‘가야지역사’ 혹은 ‘가야제국사’를 뛰어넘는 진정한 의미의 ‘가야사’를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Gaya that didn't complete the unified State System territorially or presentationally differing from the Three Kingdom(삼국), strictly speaking, is the general term of the 'Culture Circle' or different independent 'Spheres of Power' to be discriminated against adjacent Silla and Backje. Namely, on the one hand Gaya regions had the common political and cultural features but on the other hand had the features of those peculiar to their own in each region of them. To put them concretely, there were 'Garak-guk(=Geumgwan Gaya)' in Gimhae, 'Gara-guk(=Daegaya)' in Goryeong as the two central kingdoms in the place though these both were being in the different time and place, and Anra-guk in Ham-an, Goja-guk in Sancheong·Jinju·Goseong. From the standpoint of the 'Essay on Regional League(지역연맹론)', these different polities and cultures in Gaya region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ur region circles such as Garak-guk Circle(가락국권), Gara-guk Circle(가라국권), Anra-guk Circle(안라국권), Goja-guk Circle(고자국권). Which in some cases politically made up the form 'League(연맹)‘ or 'Union(연합)'. Gara-guk Circle and Anra-guk Circle of them had stood out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Han(삼한시대) but didn't change in the region circle and social characteristic to the Era of the Three Kingdom. Goja-guk circle can't be included by the same government and culture circle with these both that the spatial region was too large as well as the there were many heterogeneous things. Then Gara-guk Circle is the most remarkable place when it is considered the social development, political and cultural category. It was clearly showed the some factors to characterize the Ancient State out of the Gaya' Powers(가야세력권), even if it became distinguished since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It was in the middl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that Gara-guk Circle(=Daegaya) to be represented by the Ancient Tombs of Jisan-dong(지산동 고분군) around Goryong(고령) advanced the 'Regional Leagues(지역연맹체)' based on the government and culture circle peculiar to their own over the phase of small country. To show well this is the Gochong Group(Ancient Tombs) peculiar Gara-guk's own, the rank relations among the buried relics, giving the prestige goods, using the transcendental King's name(the Great King), autonomously spreading out the diplomatic negotiations etc. But as compared with the Three Kingdom,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se point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States. Nevertheless, the main reason to pay attention to Gara-guk Circle is that it formed the same government and culture circle widen as no comparison with other Gaya' Powers. Moreover, though it was temporary, it carried out the negotiations as equals with Silla and Baekje in the Politics, Foreign and Military Policy. Up to now,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perception about the Gaya' History have been developed with Garak-guk in Gimhae as the center. But now, it is impossible to describe it one-sidedly with only any of a government and culture body as the center, according to verifying what have been Gara-guk of Goryeong, Anra-guk of Ham-an, Goja-guk of Sancheong·Jinju·Goseong as well as Garak-guk of Gimhae as the main the body politics in Gaya region those days though between them had unquestionably the relations of a comparativ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Consequently, from the History about the whole of Gaya,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trace the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about their respective government and culture circle to restore the History of Gaya in the true sense beyond the 'Regional History of Gaya(가야지역사)' or 'History about many Countries of Gaya(가야제국사).'

      • KCI등재

        연구논문 : 영화를 통해서 본 한국 정치문화의 이해 -영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중심으로-

        김태운 ( Tae Woo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1 인문사회 21 Vol.2 No.1

        본 논문은 이문열의 원작소설을 영화한 작품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통해서 현재진행형인 한국의 정치문화를 재조명해 본 것이다. 대중문화와 정치는 서로가 별개의 영역에서 작동하고 있지만 이들은 정치적인 것 또는 문화적인 것들과 상호 소통하고 있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그 시대적 배경이 1950년대 말의 자유당 정권기로써, 영화에서 읽혀지는 정치적 의미(정치문화, 정치권력, 정치과정)는 한국정치의 과거와 현재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상징들은 정치문화적 관점에서 권위주의, 온정주의, 정치적 무관심, 제도와 정치문화 간의 불일치 등과 관련이 깊다. 이 영화를 정치문화적 측면에서 재조명해야 할 이유는 영화에서 보여주는 상징이나 기호체계 등이 한국의 정치 이데올로기 및 정치문화적인 것들과 긴밀히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치발전에 있어서 정치문화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문화가 정치발전을 견인하는 추동력이라는 점에서 볼 때 한국 정치발전을 위해서는 바람직한 정치문화가 필요하다. 한국정치는 그동안 많은 발전을 이룩해 왔지만 아직도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정치발전은 윈윈(win-win)을 넘어 시민사회의 새로운 게임의 룰을 정립해야 하는 윈윈윈(win-win-win)으로의 해결과제가 있다. 이를 위한 새로운 정치문화는 다문화사회와 21세기 시대적 조류에 부합할 수 있는 자유주의적 정치문화가 그 핵심이 되어야 할 것이다. 유럽의 경우 다문화시대에 적합한 정치문화와 관련하여 전통적인 시민권의 개념 수정이 이루어져 새로운 시민권의 개념이 등장하였음을 주목해야 한다. This treatise sheds new light on Korean Political Culture through a movie based on a Lee Mun Yeol``s original novel, "Our Distorted Hero" A pop culture and Politics are in different genre but these are connection with political things and cultural things. "Our Distorted Hero" set in 1950 Korea, when the Liberal Party takes a power. The political meanings(Political Culture, Political Authority, Political Process) which we can watch in the movie are related to the past and the present in Korean Politics. A variety of symbols in this movie are connected with an authoritarianism, a paternalism, a political indifference and disconnections with a system and a political culture in political cultures view. The reason why we have to shed new light in terms of political culture is symbols and a system of symbols in this movie closely associated with Korean Political ideology and Political Cultures. But. It awaken the importance of political cultures in improvement of politics too. From a point of view that political culture is an impetus leading a political improvement, we need a desirable political culture for political advancement. Although Korean politics have developed for a while, still it has many tasks. Political development has a task which establishes a new game rule for a civil society from win-win beyond win-win-win. A new political culture for this has to be a liberalism political culture which can coincide with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 flow of the time 21th. In Europe, in relation to political culture suitable for multi-cultural society, we should pay attention to appearing a new citizenship concept which is revised from a traditional citizenship concept.

      • KCI등재

        문화(정치)경제학과 현대 자본주의 비판

        주은우(Joo, Eunwoo) 비판사회학회 2013 경제와 사회 Vol.- No.99

        ‘문화(정치)경제’와 ‘문화(정치)경제학’은 문화와 경제의 융합 또는 탈분화에 착목하는 개념 및 접근 시각이다. 현시대 자본주의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변화는 ‘문화의 경제화’와 ‘경제의 문화화’로 ‘분석적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문화(정치)경제학은 (정치)경제 연구에 있어서의 문화적 전회라 할 수 있으며, 경제적 정체성들의 일에서 소비로의 변환, 자본주의의 (재)금융화, 신자유주의의 발흥 등을 배경으로 등장했다. 문화(정치)경제학은 보다 경험적 연구 지향적인 문화경제학, 신기원론적인 ‘경제의 문화화’론, 그리고 문화정치경제학 등 세 가지 연구 흐름으로 대별될 수 있다. 현시대 자본주의 비판이 되기 위해선, 문화(정치)경제학은 문화경제 연구에서 정치성을 회복하고 자본주의의 심미화에 따른 주체성의 변형을 탐구해야 하는 과제를 갖는다. ‘Cultural (political) economy’ is the concept and an approach having an eye on the fusion or de-differentiation of culture and economy. This change in contemporary capitalism can be ‘analytically’ divided into ‘economization of culture’ and ‘culturalization of the economy’. Cultural (political) economy is the cultural turn in political economy and economics, and has emerged in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shift in economic identities from work to consumption, the (re)financialization of capitalism, and the rise of neoliberalism. Cultural (political) economy can be said to be comprised of three strands; cultural economy more oriented to empirical research, the epochal theories of culturalization of the economy,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Cultural (political) economy, to be a critique of contemporary capitalism, has tasks of recovering its politics in cultural economy debates and exploring the transformation of subjectivity in the aestheticization of capitalism.

      • KCI등재

        탈물질주의와 민주주의

        김욱(Wook Kim),이이범(Rhee Beom Lee) 한국정당학회 2006 한국정당학회보 Vol.5 No.2

        이 글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정치문화, 그 중에서도 탈물질주의를 중심으로 한 정치문화 변동을 비교분석 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양국 모두 탈물질주의화라는 가치 변동을 경험하고 있으나, 그 과정이나 유형 면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탈물질주의화의 단계 면에서 일본이 한국보다 앞서 있음은 물론이다. 한국에 비해 일본의 경우 물질주의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반대로 탈물질주의자의 수는 많다. 보다 중요하게는 한국에서는 세대별로 탈물질주의의 분포가 극명한 차이를 보임에 반해, 일본의 경우 세대별 차이가 매우 작다. 이러한 차이의 근본적인 원인은 양국 정치문화의 안정성 혹은 획일화 성향의 차이라고 본다. 한국의 정치문화가 상대적으로 덜 안정된 가운데 다양한 요소를 인정하는 반면에, 일본의 정치문화는 매우 안정적인 상태에서 보다 강력한 획일성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조금 각도를 바꾸어 말하면, 한국의 기존 정치문화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문화의 형성을 억제할 능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반면, 일본의 경우는 기존 문화의 연속성향 혹은 보수성향이 강해 젊은 세대가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나가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것이다. 한편 세대별 탈물질주의의 분포 면에서 한국과 일본 양국이 보이는 이러한 차이는 양국의 민주정치,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정치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과 일본 양국 모두에서 탈물질 주의적 가치는 투표 외에 보다 어려운 정치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영향력이 한국의 경우에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결집되어 나타나는 반면, 일본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하다. 정치 문화의 변동(혹은 가치 변동)이 실질적인 정치적 힘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한데 뭉쳐 있어야 한다. 한국의 최근 선거에서 나타난 젊은 유권자들의 각종 행태(노사모 결성, 촛불 시위)와 세대간 극명한 투표 행태의 차이는 젊은층 유권자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극대화시켜 주었다. 한편 일본의 경우는 젊은 세대의 유권자가 하나의 정치적 힘으로 결집되지 못하고 있다. 그들은 기성세대와 특별히 다른 자기들만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가치 정향을 갖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요인을 통제하고 나면 그들은 기성세대보다 오히려 어려운 정치참여에 가담할 확률이 낮다. 그 결과 일본의 선거과정에서 젊은 유권자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찾기 어렵다. This paper compares the processes of cultural changes in Korea and Japa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ost-materialism. While both of the two countries have become more post-materialistic, there are som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he way the cultural changes take place. First of all, and most obviously, Japan is far ahead of Korea in the process, thus having a greater number of post-materialists. More important is the stark difference between the countries in terms of the generational distributions of post-materialists. While Japan has a relatively small variance across generations in the distribution of post-materialists, Korea’s post-materialists are heavily concentrated in the younger generations. Although this distributional difference is expected from the different stages in which the two countries find themselves, it is far greater than expected. One fundamental cause of this unexpectedly huge difference might be that the two countries differ in terms of the cultural stability or uniformity. Korea’s political culture is relatively less stable, thus allowing various elements within it, but Japan has more stabilized political culture, seeking a greater degree of uniformity. In other words, while Korea’s existing political culture cannot effectively control the emergence of a new political subculture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Japan’s existing political culture is so stable and conservative that the Japanese young voters find it difficult to form their own subculture. Meanwhile, this distributional difference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two countries’political process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particular. In both countries, post-materialistic values te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difficult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such as campaigning and demonstration. The difference is that this effect is manifested drastically centering the younger voters in Korea while it is dispersed across the generations in Japan. For a value change to be transformed into a significant political force, it must be manifested in a concentrated form. In Korea, the young voters have been able to maximize their political influence in recent elections by acting together as a distinct political group. They were not only active in forming voluntary campaign organizations and initiating a series of candle-light demonstrations, but also uniform in their voting behavior. In contrast, Japan’s young voters have not been able to form a distinct political group, as they do not have their “own”values that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old.

      • KCI등재

        마르크스 사상에서 감성의 정치 혹은 문화정치의 가능성

        박주원(Park, Joo Won)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5

        이 글은 최근 ‘문화’가 화두가 되는 현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는 ‘문화’를 어떤 의미와 방향으로 제기해야 하는지 성찰하는 과정에서 문제의식이 출발하였다. 즉 이 글은 ‘문화’라는 개념이 어떻게 달라져 왔으며 그 속에서 문화가 어떠한 정치적 의미로 파악되었는지를 시론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문화’를 어떤 의미와 방향으로 제기해야 하는지 답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마르크스의 ‘욕구(Bedurfnisse)’ 개념을 검토하고 재해석함으로써 마르크스주의적 문화정치의 방향을 모색해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특히 아담 스미스와 벤담, 슈티르너의 욕구와 이익, 쾌락에 대한 관점을 비판하는 가운데 나타나는 마르크스의 논의들을 중심으로 그의 욕구 개념을 검토하고, 그러한 비판을 통해 그가 새로운 사회의 근본원리로 제시하고 있는 ‘감각의 도야’나 ‘인간 욕구의 발전’이 함축하고 있는 바가 어떠한 의미에서 감성의 정치 혹은 문화 정치로 해석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 글은 마르크스의 사상에서 새로운 필요와 욕구를 산출하는 문제는 새로운 인간의 역량들, 새로운 표상들, 새로운 언어들, 그리하여 새로운 가치관계와 교류양식을 만들어내는 것이라 해석하였으며, 그렇기에 마르크스 사상에서 욕구의 문제는 근대 자본주의의 가치법칙과 사회관계를 변혁할 수 있는 정치이념과 혁명관에 깊이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다. 그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마르크스의 욕구 개념 안에 표현되어 있는 ‘감성적 행위자’로서의 인간상과 ‘자기 가치를 산출하는 행위’로서의 노동행위, 새로운 인간들 간의 연합(Vereinigung)과 교류(Verkehr)을 창출하는 것으로서의 ‘정치’를 연결시키는 바를 마르크스주의적 ‘문화정치’의 방향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As ‘culture’ has recently emerged as an issue in socio-political arena, it has become a matter of speculation for me to analyze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and what significance and direction it holds and-takes in the Marxist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and reinterpret Marx’s concept of ‘need (Bedurfnisse)’ to seek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Marxist cultural politics by tracing the process in which the concept of ‘culture’ has changed; viewing what political meanings it acquired in time; and looking into the ways within which the question of ‘culture’ should be raised and dealt with from the Marxist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Marx’s concept of ‘need’ is examined by way of criticizing the concepts of need, utility, and pleasure by Adam Smith, Jeremy Bentham, Max Stirner respectively. Furthermore, this paper reviews how the implications of ‘cultivating sensibilities’ or ‘developing human need’, the ideas which he presented a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new society, could lead to the politics of sensibilities or cultural politics. As a result, this paper interprets the question of producing the new need in Marxism as producing the new human capability, representation, language, and hence, the new value relationships and mode of association. Also, the question of need in Marxism is viewed as being related to the capitalist law of value and the political ideologies and ideas that could revolutionize social relat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will present the model of Marxist cultural politics with the ‘sensible agent’ as new human, ‘the act of producing one’s own value’ as labor and one that produces the commune(Vereinigung) and association(Verkehr) of new humans as politics.

      • KCI등재

        정치, 문화, 역사 : -14세기 중반 티투스 리비우스 『로마사』의 프랑스어 번역-

        홍용진(HONG, Yong-Jin)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7

        1354년 프랑스왕 장 2세가 피에르 베르쉬르에게 번역을 주문했던 티투스 리비우스의 『로마사』는 14세기의 문화적 변동과 정치적 변화가 맞물린 역사 텍스트로써 프랑스 정치문화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애초에 이탈리아에서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와 란돌포 콜로나의 인문주의적인 발견(로마 고전의 재발견)의 대상이었던 티투스 리비우스의 『로마사』는 로마의 문화와 역사에 관심을 갖고 있던 프랑스왕 장 2세의 관심을 받았고 프랑스어로 번역되면서 프랑스의 정치현실 속에서 왕권의 문화자본 형성의 원천으로 기능하였다. 페트라르카의 동료인 피에르 베르쉬르의 프랑스어 번역은 내용의 차원과 언어라는 매체의 차원에서 당대 프랑스 왕정의 정치문화 전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먼저 내용의 차원에서 『로마사』는 교회와 성직자의 개입이 없이 인간 스스로의 덕목에 의해 자율적인 정치공동체가 유지되고 보전될 수 있다는 정치적 확신을 왕정에게 보장해 주었다. 언어라는 매체의 차원에서 로마사의 프랑스어 번역 자체와 새로운 어휘의 창안은 프랑스어에 국왕의 권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정치전략은 프랑스 왕권에게 초월적인 교황권과 지방분권적인 지방귀족들에 대항해 프랑스 왕국에 대한 확고한 주권을 확립하려는 정치적 의도와 맞물린다. 나아가 이는 정치공동체로서의 프랑스 왕국의 정체성 형성을 지향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현상은 당대에 변화해 가고 있던 다양한 문화적 현상들-세속어 문자문화의 발전, 고전의 재발견 등-에 대해 프랑스 왕권이 어떻게 재빠르게 이를 정치적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사례가 된다. 또한 이러한 정치전략으로서의 문화자본이 다시 문화적 헤게모니를 장악하면서 문화변동을 자극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세 말 정치와 문화의 되먹임(feed-back)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한다. The History of Rome, Ab urbe condita, of Titus Livius, which the John II the Good, the king of France, demanded Pierre Bersuire to translate in French, gives an very important example for understanding the political culture in 14th Century France, complicated with the cultural mutation and the political transformation. In the beginning, the works of Titus Livius was the object of humanist discovery(rediscovery of roman classics) executed by Frencesco Petrarca and Landolfo Colonna. It is soon interested by the king John the Good and, with the french translation, it functioned as a source of formation of the cultural capital of the kingship in the french political situation. The french translation of Pierre Bersuire, colleague of Petrarca, present well the french royal strategy in the dimensions of the content and of the medium of language. On the one hand, in the dimension of the content, it assured the french monarchy that the autonomous Respublica could be preserved and conserved by the human virtues without any intervention of the Church and of clerks. And, on the other, the translation itself of the history of Rome and the creation of new vocabularies by Pierre Bersuire contributed to the ascension of the royal authority in the domain of the French language. This political strategy is related with the royal political intention aiming to establish firmly the sovereignty over the Kingdom of France against the transcendental papacy and the centrifugal local nobilities. Moreover this intend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kingdom of France as the unitary political community(respublica). These example present well how the french kingship applicate agilely the cultural phenomena as results of the various cultural mutation - for examples, the development of the vernacular literacy and the rediscovery of the ancient classics, for the political purpose. Finally, this cultural capital as the political strategy assuring of the royal cultural hegemony giv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relation of feed-back between politics and culture in the Late Middle 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