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수업이 섬 지역 초등학교 저학년 감성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공진희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dance class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lower graders of island area elementary school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rt education that is balanced and universal to both urban and rural area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Dance classes will result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island area. 2. Dance classes will result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in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island area. This study selected 86, 3rd graders of A, B, C, and D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an island area near Mokpo-si, Jeollanam-do, where dance classes are given for 40 minutes once per week as subjects i.e. as part of the curriculum. Pre-tests were performed with questionnaires prior to dance classes of the semester, and a post-test was likewise administered with questionnaires after the dance classes of the semester. As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instrument, a scale developed by Moon Yong-rin (1997) and used by Shin Eon-sook (2009) and Bahn Min-joo (2010) was implemented. For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ssessment, a questionnaire adapted from Jang Hyun-ji (2009) and Oh Eun-jeong (2012) to suit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the two test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86 elementary students in the island area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placed under an independent t-test with SPSS 2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ance classes conducted in the island area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Among the sub-factors,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 recognition, no such difference was found in emotion expression. Second, dance classes conducted in the island area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of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Among the sub-factors,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schoolmates and teachers, no such difference was found in compliance with rules. Therefore, dance class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 the island area. In summary, dance classes were revealed to impact elementary students in a positive manner in term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dance education affects emotion of each student and leads to positive chang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niversal danc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systematically in order for more students in urban and island (rural) areas to experience a variety of dance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수업이 섬 지역 초등학교 저학년 감성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도시지역과 도서지역에 보편적이며 균형 있는 예술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무용수업이 섬지역 초등학교 저학년의 감성지능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 이다. 2. 무용수업이 섬지역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 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목포시 보성군 근교의 섬지역에 위치하고, 주 1회 40분씩 무용수업이 진행되는 A. B. C. D초등학교 3학년 86명으로 선정하였다. 질문지는 한학기의 무용수업 일정이 시작하기 전과 후, 각각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 감성지능검사는 문용린(1997)이 개발하고, 신언숙(2009), 반민주(2010)가 사용한 척도로 사용하였고, 학교생활만족도 검사는 장현지(2009), 오은정(2012)이 초등학교 저학년에 맞도록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두가지 검사의 하위요인 분석은 섬지역 초등학생들 86명에 따른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통계 프로그램으로 독립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결과는 첫째, 섬 지역 무용수업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감성지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하위영역 중 정서조절과 정서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정서표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섬 지역 무용수업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하위영역 중 교우 및 교사와의 관계형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규칙준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무용수업은 섬지역의 학생들에게 감성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무용교육은 초등학생의 감성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교육이 학생 개개인의 감성에 영향을 미치며,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지역과 섬 지역(도서지역), 모두 보다 많은 학생들이 다양한 방식의 무용수업을 경험할 수 있도록 보편적인 무용교육이 제도적으로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무용참여 중고생의 무용수업만족, 교우관계,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이해원 ( Lee Hae-wo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무용참여 중고등학생의 무용수업만족과 교우관계, 학교생활만족 간의 인관관계를 살펴보고, 무용수업만족과 학교생활만족과의 관계에서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북지역 무용수업에 참여하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320명을 무작위표본추출 하였고, 최종 301부를 SPSS24와 AMOS24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무용참여 중고등학생의 무용수업만족은 교우관계(친구적응 및 공동활동, 친구유무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참여 중고등학생의 교우관계(친구적응 및 공동활동, 친구유무와 신뢰)는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참여 중고등학생의 무용수업만족은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참여 중고등학생의 무용수업만족과 학교생활만족 간의 관계에서 교우관계(친구적응 및 공동활동, 친구유무와 신뢰)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무용참여 중고등학생들이 무용수업에 만족하고 교우관계(친구적응 및 공동활동, 친구유무와 신뢰)가 향상되면 이로 인해 학교생활만족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생활만족을 위해 무용수업을 통해 교우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무용수업의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그룹별 창작무용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class satisfactio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participa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dance class. The subject was a population of 3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period of time Nov, 15, 2019 to Nov. 22, 2019. The data on 301 students were used for actual analyses and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24.0 for Window and Amos 24.0 for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dance class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hip. Second, peer relationship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Third, dance class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Forth, peer relationship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class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실용무용전공학생들의 지도자 리더십 유형이 교육서비스 품질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옥,안민주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실용무용 지도자들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인 교육서비스, 행정서비스, 물리적 환 경, 발전가능성을 바탕으로 실용무용 전공학생들에게 교육을 실시한 후 수업에 대한 만족도의 변화와 실용무용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 제시 및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실용무용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 로 지도자 리더십 유형, 교육서비스 품질, 수업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지도자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과 수업만족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혁적 리더십 유형의 지도자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행정서비스, 교육서비스, 발전 가능성 요인, 수업만족도의 사회적, 교육적, 신체적, 심리적 요인에 긍정 적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거래적 리더십 유형의 지도자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교육서비스, 발전가능성요인, 수업만족도의 사회적, 신체적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실용무용 지도자들은 전공학생들의 수업요구 의견과 수업의 질적 차별성, 학습의욕과 교육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유·무형적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도자와 전공학생들, 행정직원 등 상호 유기적인 실용무용 수업을 전개하면 지도자와 학생 모두에 바람직한 수업이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and improve class satisfaction in practical dance teache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educated practical dance students based on education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leadership typ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ypes and education service quality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ypes had a positive effect on administrative service, educational service,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types and education service quality showed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types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ervice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ypes and class satisfaction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ype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ducation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types and class satisfaction showed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type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physical factors.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dance teachers should offer tangible and intangible education service that can reflect students’ comments about class and achieve the differentiation of class quality, learning motivation, and educational goals. Moreover, they should develop practical dance class through organic activities among teachers, students, and administrative staff for desirable class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중학생의 방과후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 ( Young Mee Kim ),조진영 ( Jin Young Cho ) 한국무용과학회 201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8 No.-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방과후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하기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등 4개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중 현재 방과후 무용수업을 하고 있는 중학교를 지역별로 각 2개교씩 총 8개교를 선정하여 각 학교에서 주 1회 이상 방과후 무용수업에 참가하고 있는 학생 총 273명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김영미, 한혜원(2005)의 재미요인 과 김주희(2001)의 무용활동만족, 최윤영(2007)의 무용소비행동 설문지를 연구 대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또한 3학년 학생들이 1,2학년 학생들에 비해 무용활동만족이 높으며, 무용관람 및 참가소비행동과 무용용품소비행동이 높다. 둘째, 한국무용에 참여하는 학생 보다는 현대무용, 재즈 댄스나 스포츠댄스 같은 생활무용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무용수업 횟수 와 시간, 기간에 따라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무용수업 횟수는 2회가, 무용수업 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 사이가, 무용참가 기간은 6개월 미만일 경우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셋째, 무용수업 재미요인 중 기술향상과 건강 그리고 성취감 요인은 무용활동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무용수업 재미요인 중 건강과 과시 요인은 무용소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fun factors of afterschool dance classes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273 students se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8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unggi, Chungcheong, and Gangwon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rated 76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olve problems of the study with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the conclusion were drawn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males. Third grade studen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other grade ones. Second, student participate in jazz and dancespor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participate in Korean danc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dance class frequency, time, and duration. Third,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all fun factors of dance participation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Forth,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health and self-display fun factors of dance participation on consumption behavior.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학생의 학습태도가 교우관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영주 ( Young Ju You )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5 No.-

        이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학생의 학습태도가 교우관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대전, 충남, 충북 5개 지역에 소재한 2011년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 5개를 임의 선정하여 협동학습 유형의 교양무용을 수강학생 중인 1~4학년 학생 300명을 표집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12명의 표본은 분석 시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총 288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형태에 따라 학습태도, 수업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 반면 교우관계는 차이가 없다. 실기수업이 이론수업 보다 학습태도와 수업만족도가 높다. 또한, 교양무용 수업 수강유형에 따라 학습태도, 교우관계에서 차이가 있는 반면 수업만족도는 차이가 없다. 발레와 째즈 형태의 수업이 한국무용이나 기타 다른 유형의 무용 수업 보다 학습태도와 교우관계가 높다. 둘째,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학생의 학습태도는 교우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학생의 학습태도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학생의 학습태도와 교우관계 및 수업만족도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student`s learning attitude on peer relationship and class satisfaction. As subjects of this study, 300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students in 1~4th grade were sampled from 5 university with dance major selected arbitrarily, and excepting 12 unfaithful samples, total 288 samples were analysed finally. Questionnaire was used as a investigate instrument, and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12.0 program as data processing. The results from above processes can be put together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ttending type of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class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 on the contrary learn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showed no difference. Practical class showed higher class satisfaction than theoretical class. And, according to the class type of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learn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showed differences, but class satisfaction didn`t. Ballet and jazz showed higher learn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than other dances like Korean dance. Second,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student`s learning attitud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 Third,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student`s learning attitud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 satisfaction. Forth,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student`s learning attitude, peer relationship and class satisfaction have causal relationships.

      • KCI등재

        중학교 무용교육 현황과 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

        김현아 한국무용연구회 2007 한국무용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중학교 무용교육 현황과 만족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중학교 무용교육'의 발전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남부지역에 소재한 공립 남녀공학 중학교의 체육교사 47명과 중학교 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체육교과 내 무용수업 현황은 어떠한가? 체육교과 내 무용수업 현황과 교사의 전공별 우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성별, 학년별 만족도는 어떠한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과 내 무용 수업 현황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육교사의 무용수업 설시 여부에 대한 응답은 59.6%였으며. 대부분 남, 여학생이 함께 참여하고 있었다. 수업의 내용으로는 57.1%가 교사 임의대로 내용을 선정하여 지도 한다고 응답하였다. 2. 무용 수업에 필요한 시설 및 기자재에 대한 응답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이었으며, 시설이 아직도 미비하여 무용 수업이 효과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무용에 대한 학교의 관심도는 55.3%였으며, 교사의 관심도는 68.1%로 나타났다. 교사의 연수현황에 대해서는 연중 1 회가 가장 많았으며 이들의 상당수가 본인의 부담으로 충당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결국 이러한 학교의 무관심과 행정적, 재정적 뒷받침의 부족이 무용 수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체육교과 내 무용수업 현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만족도에는 여학생의 평균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별 만족도는 3학년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전공(무용 • 체육)에 따른 만족도에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p<.01), 이는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성을 나타내는 결과로서 비전공 분야에도 심도 있는 연구가 각별히 요구된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행정당국과 학교는 무용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육을 실행시킴으로서 무용의 교육적인 가치를 학생들에게 전달시켜 창의적인 인간육성의 목적을 실현시키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status and satisfaction of dance education o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t middle school to show the developmental basic data. First, analysis of the status showed that many physical teachers are now voluntarily choosing the contents to give lessons in dance based on the teaching time a year for physical curriculum. And they answered in a negative way for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necessary to dance teaching. Second,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y are greatly satisfied with items such as the teaching time, mixed gender teaching and teaching of textbook contents. Third,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by sex showed that girl students are satisfied with dance teaching compared to boy students. And for the satisfaction by grade, many third graders are greatly satisfied with items such as necessity for dance teaching and understanding of teachers. Also, for the satisfaction by teacher’s major, students educated from teacher of dance major are satisfied with it compared to those uneducated from him on an average. It is imperative that realize the educational value of dance and goal of original human rearing from school by understanding the dance education's troubles to improve it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 KCI등재후보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학생의 학습태도가 교우관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영주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5 No.-

        이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학생의 학습태도가 교우관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대전, 충남, 충북 5개 지역에 소재한 2011년 무용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 5개를 임의 선정하여 협동학습 유형의 교양무용을 수강학생 중인 1~4학년 학생 300명을 표집 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12명의 표본은 분석 시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총 288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형태에 따라 학습태도, 수업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 반면 교우관계는 차이가 없다. 실기수업이 이론수업 보다 학습태도와 수업만족도가 높다. 또한, 교양무용 수업 수강유형에 따라 학습태도, 교우관계에서 차이가 있는 반면 수업만족도는 차이가 없다. 발레와 째즈 형태의 수업이 한국무용이나 기타 다른 유형의 무용 수업 보다 학습태도와 교우관계가 높다. 둘째,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학생의 학습태도는 교우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학생의 학습태도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협동학습 유형 교양무용 수강학생의 학습태도와 교우관계 및 수업만족도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student`s learning attitude on peer relationship and class satisfaction. As subjects of this study, 300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students in 1~4th grade were sampled from 5 university with dance major selected arbitrarily, and excepting 12 unfaithful samples, total 288 samples were analysed finally. Questionnaire was used as a investigate instrument, and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12.0 program as data processing. The results from above processes can be put together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ttending type of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class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 on the contrary learn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showed no difference. Practical class showed higher class satisfaction than theoretical class. And, according to the class type of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learn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showed differences, but class satisfaction didn`t. Ballet and jazz showed higher learn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than other dances like Korean dance. Second,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student`s learning attitud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 Third,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student`s learning attitud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 satisfaction. Forth, cooperative learning style liberal dance class student`s learning attitude, peer relationship and class satisfaction have causal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교양무용수업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우경,차수정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S대학교, 경기도 소재 K대학교와 Y대학교에서 교양무용수업을 수강학고 있는 여대생 242명의 대상으로 15주간 교양무용수업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 교양무용수업이 기능과 효과를 알아보고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Ryckman 등(1982)이 제작하고 홍선옥(1996)이 번안한 신체적 자기효능감 설문지와 Beard & Regheb(1980)가 개발한 Leisure Satisfaction Scale 척도를 김장우, 정우영(2007)과 김혜정(2003)이 번안하여 사용한 수업만족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학년, 전공계열, 수강횟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업만족에서는 학년, 전공계열, 수강횟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의 교양무용수업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수업만족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만족, 신체적 만족, 교육적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만족과 환경적 만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교양무용수업은 여대생들에게 신체활동을 건강 및 체력 유지·증진하고 올바른 생활습관을 형성하여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여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신체 활동 중단의 원인이 되는 환경적 요인을 막기 위해 노력한다면 사회로의 첫발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의 바람직한 가치관 및 생활습관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survey of 242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take elective dance classes at S University (Seoul), K University and Y University (Gyeonggi-do). For 15 weeks, the students took elective dance classes.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hysical self-efficacy which was acquired through taking elective dance classes on class satisfa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unction and effect of elective dance classes at universities and to provide related basic materials. To this end, the researchers used a survey questionnaire on physical self-efficacy which was made by Ryckman et al(1982) and remade by Hong Seon-ok(1996). The researchers also used a survey questionnaire on class satisfaction which was originally made by Beard & Regheb(1980) as ‘Leisure Satisfaction Scale’ and later remade by Jeong Woo-young(2007) and Kim Hye-jeong(2003).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female university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self-efficacy. It was statistically the same regardless of grade, major and the number of taking classes.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female university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 satisfaction. It was statistically the same regardless of grade, major and the number of taking classes. Third, the physical self-efficacy which was acquired through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elective dance class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all of which are sub-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Furthermore,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statistically. Based on the conclusion as above, elective dance classes make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do physical activities, helping them to keep and improve health and physical power. It also helps them to build good living habits and thus increase physical self-efficacy. If female students keep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and try to prevent environmental factors that deter physical activities, those effor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m who will take the first step into the society in forming proper attitudes, life values and living habits.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방과후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조진영 한국무용과학회 201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fun factors of afterschool dance classes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273 students se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8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unggi, Chungcheong, and Gangwon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rated 76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olve problems of the study with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the conclusion were drawn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males. Third grade studen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other grade ones. Second, student participate in jazz and dancespor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participate in Korean danc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dance class frequency, time, and duration. Third,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all fun factors of dance participation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Forth,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health and self-display fun factors of dance participation on consumption behavior.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방과후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등 4개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중 현재 방과후 무용수업을 하고 있는 중학교를 지역별로 각 2개교씩 총 8개교를 선정하여 각 학교에서 주 1회 이상 방과후 무용수업에 참가하고 있는 학생 총 273명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김영미, 한혜원(2005)의 재미요인과 김주희(2001)의 무용활동만족, 최윤영(2007)의 무용소비행동 설문지를 연구 대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또한 3학년 학생들이 1,2학년 학생들에 비해 무용활동만족이 높으며, 무용관람 및 참가소비행동과 무용용품소비행동이 높다. 둘째, 한국무용에 참여하는 학생 보다는 현대무용, 재즈댄스나 스포츠댄스 같은 생활무용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무용수업 횟수와 시간, 기간에 따라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무용수업 횟수는 2회가, 무용수업 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 사이가, 무용참가 기간은 6개월 미만일 경우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셋째, 무용수업 재미요인 중 기술향상과 건강 그리고 성취감 요인은 무용활동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무용수업 재미요인 중 건강과 과시 요인은 무용소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후보

        실용무용전공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수업만족이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양주희,이민영 한국무용학회 2017 한국무용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실용무용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수업만족이 무용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교의 실용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참여자 201명을 표집하여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학년, 무용경력, 전공, 자각 강도, 참여목적), 수업만족(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신체·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 무용몰입(자기 목적적 경험, 최면과 유사상태, 활동과 인식통합)의 변인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0.0 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용무용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학년, 전공, 자각 강도, 참여목적)이 수업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용무용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자각 강도, 참여목적)이 무용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실용무용전공 대학생의 수업만족은 무용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실용무용 수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과과정의 정립과 실용무용수업의 다양성을 높여 깊이 있는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on dance flow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dance major students. 201 students of the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were sampled, questioned about personal characteristics, class satisfaction and dance flow and analyzed by SPSS 2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Second, personal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ance flow. Third, class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ance f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fessional curriculum that can activate pracrical dance class and to enhance diversity of practical dance class so that it becomes a deep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