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무용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통해 바라본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성

        홍혜전 무용역사기록학회 2020 무용역사기록학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isability dance education by analyzing disability da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Among the papers related to disability dance education registered in the 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46 papers published, which were published from 2010 to October 2019 were examin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keywords analysis. As a result, the research scope has been expanded to the emotional, physical, and social adaptation target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 number of studies on the use of dance for the purpose of physical rehabilitation while related keywords have been f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social members' awareness of the disabled arts through the disability dance education, and it is urgent to develop a dance arts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disabilities and to train professionals in the arts of dis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a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educates the disabled to become professional dance artists. 이 연구는 장애무용교육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에 등록되어 있는 장애무용교육 관련 논문 중 2010년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10년간 게재된 46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출판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자료처리방법 별로 자료를 수집, 내용분석과 주제어 분석을 통해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정서적, 신체적, 사회적응 측면으로 연구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신체재활을 목적으로 한 무용 활용 연구들이 주로 발견되었다. 또한 정서, 사회적응, 심리, 인성 등과같은 내면적 요소와 관련이 깊은 주제어가 다수 발견되었다. 이는 정서적으로 불안한 장애인의 정상화원리에 입각한 긍정적인 삶을 위한 장애무용교육 연구가 꾸준하게 진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향후장애무용교육의 방향성은 장애무용교육을 통해 장애예술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인식 전환이 요구되며, 장애의 특성과 정도를 고려한 무용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장애무용예술교육전문가 양성이 시급하고, 장애인이 전문적인 무용예술가가 될 수 있도록 전문적인 교육기관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진로 교육 측면에 살펴본 무용관련학과의 교육과정 현황과 대안적 방향 탐색

        박선희(Seon Hee Bak),조남용(Nam Yong Cho) 한국무용과학회 200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9 No.-

        본 연구는 무용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각 대학이 학생의 진로에 보다 적절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수행되었다. 즉, 대학 무용교육 교과과정의 실태와 그 대안으로서 무용교수자를 양성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전국 43개 무용관련학과 중에서 설립년도, 지역을 고려하여 8개교를 임의표집으로 선정하였고, 특정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첫 번째 결과인 교육과정의 실태로는 8개교 무용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은 거의 동일하였고 이수 학점측면에서 살펴보면 실기과목이 이론과목보다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대학에서 길러내고 싶은 학생이 전문 무용수인지, 안무가 인지 아니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무용지도자 인지 그 구분이 모호하다 것을 의미하고 결국은 진로교육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른 두 번째 결과인 무용교수자 양성 방향 탐색에서 "무용수", "안무가", "무용교수자" 이 세 가지 직업의 최대공약수인 무용교수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진로교육 측면에서 무용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은 학생의 진로로 "무용교수자"를 공통분모로 삼고, 그 위에 "무용수"나 "안무가"로 심화시켜야 할 것이다. 즉, 대학에서 양성하고자하는 무용교수자 상(像)을 명확히 설정하고, 이에 적절한 이론 및 실기, 그리고 교수법 강좌를 개설한 후, 지속적이며 누가적인 평가로 교육과정에 대한 질관리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at the curriculum of university related dance should provide a better career guide for dance major students. We surveyed 8 sample universities from whole curriculum of 43 universities national-wid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curriculum of samples are almost the same not different each other. It means there are not such expertise according to the universities. The second, We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 aimed to be a dance educator need to supply their student with pedagogical dance methodologies. Three points are emphasized. "What kind of person we are going to make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curriculum", "Which contents are more appropriate for achieving that goal", "Are there valid, reliable, and objective assessment". Through these 3 questions the universities conduct dance education more authentic for their students.

      • KCI등재후보

        게임을 활용한 학교무용교육의 가능성

        고경희 ( Kyung Hee Ko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한국무용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학교무용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한 방안으로서 체육과 같이 게임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무용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현대 아이들에게 친숙한 게임과 게임기를 이용한 교육을 통해서 아이들에게 움직임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흥미유발과 자발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자 한다. 한국의 민속무용의 놀이형식을 띤 강강수월래 같은 민속춤을 게임화하여 놀이와 게임을 접목시킨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디지털시대에 걸맞게 게임의 기능적인 특성을 살린 사이버상의 체감형 무용교육을 통해서 가상 경험을 현실 체험하여 무용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까지 탐색하였다. 즉, 가상의 공간에서 몸을 매개로 하여 현실적인 경험으로 유도하여 긍정적인 움직임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건강에도 유익한 무용교육으로 발전시켜 보고자 한다. 게임이 무용교육의 효과를 위한 보조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 게임을 응용한 무용교육이 예술교육의 차원을 넘어서 놀이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 무용교육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of using a game in the school dance education to improve education efficiency as used in the physical education. Since the young generation had been much familiar with the digital games than the adults, game machine could be applied easily reducing resistance against body movement, Therefore, it gave motivation and attraction to them for exploring dance movement.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combining play of folk dance and digital game i.e., the folk dance, Gang-Gang-Su-wol-lae, dance of play like characteristics, was used. And 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improving dance education efficiency through real life experiencing of virtual reality experiencing of dancing with the digital game characteristics. It was inducing of real experience of body movement in the virtual reality, i.e., the digital game, resulted in positive sense on the body movement, and helped health improvement, too. This study expec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digital game as one of training tool for the school dance education. Furthermore, digital game based dance education provided improving health and play both rather than art education only.

      • KCI등재

        무용영재교육의 지속의사결정에 대한 요인분석 및 모형개발

        이진효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9 한국예술연구 Vol.- No.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terminants in those willing to continue in their gifted dance program and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for those gifted in dance. For this stud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34 students gifted in dance were consulted. In the second and third stag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tage, the study surveyed 41 gifted dance students on a 5-point Likert scale consisting of 31 questionnaires. In conclusion, the first stage consisted of four factors: physical ability, dance performance ability, dance expressiveness, dance disposi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of all, in the second and third stages, means, agreements, and content validity also have high values in physical ability, dance performance ability, dance expressiveness, dance disposi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educational model for gifted dance programs was developed with four components: physical ability, dance performance ability, dance expressiveness, dance disposi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본 연구는 무용영재교육에 대한 무용영재의 인식을 탐색하여 무용영재교육의 지속의사결정에 대한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무용영재를 대상으로 한 1단계 개방형 설문 및 2단계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용영재교육의 지속의사결정 요인을 탐색 및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영재 전문가 회의를 통해 무용영재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무용영재교육의 지속의사결정 요인은 크게 5개 즉 신체적 능력, 무용수행능력, 무용창의력, 무용성향, 교육환경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모형은 5가지 요인을 포함한 교육프로그램이 설정되었다. 따라서 무용영재는 신체적 능력, 무용수행능력, 무용창의력, 무용성향, 교육환경의 5가지 요인에 따라 무용영재 교육의 지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등학교 무용교육 개선방안

        김해성 한국무용연구회 2012 한국무용연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dance education in school for guarantee of a course of study of dance education. For this research, teachers who were affiliated to 32 middles schools and 27 high schools at 16 pieces of wards in Busan city currently and were chosen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were surveyed. And students belong to 3 middle and hish schools which have dance classes and are chosen randomly were surveyed for their satisfaction. The total number of surveyed objects is 501. SPSS 15.0 program i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nd X²- analysis, multi response group-cross tabulation and T-test were us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result,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s, facilities, materials, interest, and training for dance education are drawn from teachers. Also, the satisfaction of dance education, facilities, materials, and the activation plans for dance education are surveyed from students. To improve conditions of dance education, it is needed to guarantee the number of school days of dance class and full charge dance teachers. Most of all, independence subject and teacher`s license of dance education must be divided. Besides, change in the perception of school for dance education is asked. Diverse dance education programs, the full time schooling system and after school programs are required, too. School dance education will be improved, if students have chance to view and learn dance performances through cooperation of local governing communities and local cultural groups. 본 연구는 인성, 창의성을 키워줄 학교예술교육의 활성화와 무용교육의 교과영역 확보를 위하여 학교무용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학교무용교육의 발전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의 16개 구에 소재한 중학교 32개와 고등학교 27개를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으로 선정하여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무용수업을 실시하는 3개 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총 501명이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15.0 Program을 이용하였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χ² 분석 그리고 다중응답 교차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로부터 중등학교의 무용수업 운영 실태와 시설 및 기자재 실태 그리고 무용수업에 대한 관심도 및 연수실태를 도출하였다. 학생들로부터는 무용수업 운영현황에 대한 만족도와 시설 및 기자재 만족도 그리고 무용수업의 활성화 방안을 조사하였다. 이에 근거한 중등무용교육의 개선 방안으로는 무용수업 시수의 확보와 무용전담 교사의 확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독립된 교과 및 자격증이 분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학교측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교육과정과 연계한 무용프로그램의 운영 즉 지원가능 한 무용교육 인력풀의 구축과 재량활동 및 전일제 수업의 운영 그리고 방과 후 학교에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학교에서 학생들이 무용수업을 쉽게 접하고 익힐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도 필요하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문화예술교육 주관단체들과 협력관계를 체결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무용공연을 접할 수 있고 배워볼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되어 진다면 학교무용교육은 현재보다 개선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아카이브를 활용한 초등무용수업 탐색

        서예원 ( Ye Won Suh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1 No.-

        본 연구는 공교육에서의 무용아카이브의 필요성과 아카이브를 활용한 무용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교육기준에 적합한 아카이브활용 무용교육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무용아카이브를 활용한 교육가능성을 탐색하고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카이브를 활용한 무용교육사례로서 오타드의``리소스 활용 교육법(Resource-Based Teaching)``과``비평적 감상과 창의적 표현을 통합한 춤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두 사례 모두 무용교수의 가장 중요한 접근법으로서 리소스에 바탕을 둔 교수법을 제안하고 있다. 아카이브 활용 무용교육방법은 최승희의 춤기록을 활용한 초등무용수업을 통해 구체화하였다. 주제는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5학년 무용교육과정의``민속표현``영역으로 정하였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문화예술교육표준에 의거해서 영역과 기대수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실행과제, 창작과제, 감상과제, 소통과제들이 제시되었고, 각 과제별 아카이브 활용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5학년 대상 실제 무용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needs of dance a chive and examples of dance education through a chives and shows dance education methods through a chives. By doing so, this paper aims to explore and show possibilities of education through dance a chives. As the examples of dance education through a chives, ``Resource-Based Teaching`` by Smith Autard and ``the construction and effects of a da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tegrating critical appreciation with creative expression`` were searched. These examples suggest the method based on ``Resource-Based Teaching``. These are focused on popular dance works as a reference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dance education. The dance education method through a chives was intended applying to those standards and spheres. The main subject-fork expression was determined in 2007 National Curriculum of dance and the sphere and standards were suggested in Art education standard. Following this, performing subjects, creating subjects, appreciation subjects and communication subjects were suggested, and each methods of archive application. And the example of dance education was suggested.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국내 무용교육학 연구 동향 분석: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혜정 ( Hye Jeong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 동안의 국내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무용교육학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국내 무용 교육학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학진 등재지로 무용학의 다양한 학문 을 아우른다고 판단되는 대한무용학회, 한국무용과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의 학술지 총 세 개를 선정하였다. 분석자료 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세 개의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렇게 자료수집 및 분석된 것을 토대로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을 하였으며, 그 결과 총 203개의 논문이 추출되었다. 연구결과 국내 무용교육학을 1 기(2004~2006), 2기(2007~2009), 3기(2010~2013) 세 시기를 구분하여 ‘연도별 출판 현황’, ‘연구주제별 출판 현황’, ‘연구대 상자별 출판 현황’, ‘연구방법별 출판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연도별 출판현황은 무용교육학 관련 논문의 양적인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주제별 출판 현황은 프로그 램 개발 및 효과, 무용학습효과, 무용교수법 등 무용교육의 실질적 발달에 따른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었다. 셋째, 연구 대상별 출판 현황은 유아를 포함한 일반 초·중·고·대학생, 무용전공 초·중·고·대학생, 노인을 포함한 일반성인, 무용교사 및 교수, 무용전공인, 장애우 순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넷째, 연구방법별 출판 현황은 양적 연구 논문, 질적 연구 논문, 통합 연구 논문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자는 무용교육학 연구범위가 확대되어 일부 학회지에 편향되어 출판되는 현 상황에서 벗어나 다양한 학술지에 무용교육학 관련 논문이 출간될 필요가 있다. 또한 무용교육학 의 양적, 질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학회지 마다 각각의 전문성을 토대로 그 분야에서 바라보는 무용교육학의 다양한 사고방식의 지식과 경험을 수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향후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평가 등 무용교육학 연구 범위가 균형 있게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research trends of dance education in major korean journals for the last ten years,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and to find out the future assignments of domestic dance education. For that, the three journals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and The Korea Society of Dance Documentation from Korean Citation Index were selected as study objects, which could be judged as representative ones of various parts of dance. And research papers of those three journals from 2004 to 2013 were collected. Among those materials, by contents analysis, total 203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the study results, domestic dance education research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of first(2004-2006), second(2007-2009), and third(2010-2013) stage, and the conclusions were deducted by the analyses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conditions of years, study subjects, study objects, and study method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conditions of years, the quantitative improvement of study papers was confirmed. Second,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conditions of study subjects, the various study subjects like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effects of dance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were researched by practical improvement of dance education. Third,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conditions of study objects, the studies on ordinary elementary·middle·high·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preschooler, elementary·middle·high·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ordinary adults including the elderly, dance teacher and professor, dance majors, and the disabled were performed in the order of written. Fourth,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conditions of study methods, quantitative study, qualitative study, and integrated study were performed in the oder of written.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의 무용교육 개선방안 연구

        오현주,노현식 한국무용연구학회 2012 한국무용연구 Vol.30 No.2

        For the years, college dance education has grown with rapidity, It is argued that it has made its external quantitative growth possible but qualitative growth has not occurre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of college dance education and present its new direction. To attain the goal of study, this study selected 10 students interested in college dance education as those possessing more than five to 10 years of dance career enrolled in the third to fourth academic year. It collected data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depth analysis and expert meeting and the like, analyzed data through case study and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and tested its trueness with triangul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 of college dance education the inconsistency of target contents, the prevalence of skill(practice)- education, the unclear direction of career path. As the alternative to resolve this problem, the following matters we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nature and objective of college dance education consistent with each other. Second,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direction of education from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functional dance professionals to human dance professionals. Third, it is necessary to form the linkage between the objective, content and career education.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when 4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beginning of college dance education, it should correctly perceive 'what' it mean and its fundamental purpose and be provided for students in a correct form. 본 연구는 대학 무용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제시한 다음 대학 무용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는 대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5년~10년 이상 경력의 소유자로서 대학 무용교육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 10명을 선정하였고, 문헌분석, 심층면담, 전문가회의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사례분석과 귀납적 범주 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한 후, 삼각검증법으로 진실성을 검증하였다.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무용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전문성과 특수성 부재, 실기능력 우선주위, 기능(실기)중심 무용교육으로 나타났고,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첫째, 대학 무용교육의 특수성과 전문성 강화, 둘째, 기능적 무용전문인 양성에서 인문적 무용전문인 양성교육으로 전환, 셋째, 무용전문교육자 양성교육을 제시하였다. 40여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대학 무용교육은 먼저 교육이 ‘무엇’을 의미하고 근본적인 목적이 무엇인지를 바로 인식하며 그것이 올바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되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무용교육 평가의 정위(定位)

        박재홍(Jae Hong Park)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3 No.-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공교육에서 부분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무용예술교육의 평가에 대한 방향설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공교육에서의 무용예술교육은 2005년 이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학교예술강사지원제의 무용강사에 의해 체육교육의 일부 혹은 재량활동으로서 행해지고 있다. 무용고유의 특질을 유지하면서도 무용교육의 사회적, 공교육적 기여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한 지금의 무용교육에 있어서 수행평가의 의미와 예상되는 난제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무용교육의 목적과 무용능력 개념의 구체화와 표준화, 평가항목의 설정, 수행평가의 적용, 무용교육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 자료 구축의 연결고리로서 그리고 무용교육의 발전을 위한 객관적 유용성 자료의 수집방법으로서 수행평가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수행평가를 통해 현장에서 무용교육 유용성 증거를 확보할 가능성이 크나 적용을 위한 최소 시수확보가 불투명한 현 무용교육 현실에서의 대안으로, 예술강사가 제한된 시수 내에서 기술과 이해에 대한 종적 수행평가를 고려한 교수학습계획을 수립하고 평가결과를 수집해 자료로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performance assessment in dance education that has been adapted in public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directly as a part of physical education or after school activities by School Arts Instructor Support System of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in Korea since 2005. After reviewing meaning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dance education, this study pointed out its important implications and expected difficulties to implement on the present dance education statu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erformance assessment as a key in the circular sequence of goal, assessment categories, performance assessment, and collecting evidences. It has been expected that performance assessment would contribute to figuring out the evidences of dance education effect, and those evidences are crucial for dance to become an independent discipline in public school. To be so, however, lecturers need to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plan including longitudinal repeated performance assessment. To implement performance assessment in an ideal wa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ecure structure of dance education system in terms of standards and assessment before just asking lecturer an accountability to adapt performance assessment that requests their time and effort more.

      • 21세기 무용교육 방법론 모색 :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과 무용인의 역할

        서예원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

        본 연구는 창의, 인성을 모토로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변화를 배경으로 다양한 무용교육 지원사업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무용교육 관련 직업창출 및 역량강화를 위한 실질적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무용예술강사제를 비롯하여 다양한 무용교육관련 지원사업의 확대는 관련 전문가의 보다 많은 참여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것은 무용교육관련 직업 창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무용교육자, 프로그램 개발자로서의 역량을 개발하고 전문성을 키우기 위한 과제들은 다음과 같다. 우선 다양한 무용교육 컨텐츠 개발과 관련된 과제들이다. 교과통합, 예술통합의 모델을 구축해야 하며, 다양한 영역 및 연령의 대상의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연장을 활용한 교육공연 및 특화된 공연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무용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무용교사로서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과제들이다. 무용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다루는 교과교육 과목의 다양화를 통한 무용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강화, 현장과 연계된 교사교육 프로그램 실시, 인문학적 소양을 개발, 문화, 예술 교육관련 정보에 대한 관심 등의 과제가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무용교육과 관련된, 나아가 문화예술교육 관련 다양한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여러 분야에서 능력 있는 예술교육가로서 성장하게 된다. 이는 무용교육관련 일자리를 창출하고 무용교육을 활성화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