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엽집(万葉集)』개설서와 선집 연구 - 특권화된 노래의 이식 -

        박상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1 No.-

        본고에서는 우리말로 옮겨진 『만엽집』 개설서인 『천년의 연가: 만엽집』과 『읽고 싶은 만요슈』, 그리고 『만엽집』 선집인 『만요슈 선집』을 살펴봤다. 이와 같이 번역서는 번역서의 성격 이 각각 다르기에 그 번역사적 의미가 같지 않았다. 그런데 이들 번역서에는 다른 노래도 각 각 수록되어 있었지만 동시에 중복되는 노래도 있다. 그것은 천황 및 천황가(家)와 관련된 인 물의 노래,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의 노래와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 가집의 노래였다. 이것 은 이들 노래가 『만엽집』을 대표하는 노래라는 것을 말해준다. 이들 번역서를 통해 국내 독 자는 일본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만엽집』의 노래를 알 수 있다. 이들 번역서의 큰 장점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장점은 단점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이들 번역서를 통해 일본에서 널리 공 유되고 있는 『만엽집』의 노래(예컨대 천황 및 천황가와 관련된 노래) 곧 정전(특권화)의 위치 에 있는 노래가 국내에 이식된다는 점이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overview book and anthology of 『Manyoushuu』 translated into Korean. In this way, translations did not have the same meaning in the history of translation because each translation had a different character. However, although these translations contain different songs, there are also songs that overlap at the same time. This tells us that these songs are songs that represent 『Manyoushuu』. Through this common perception in the translation, Korean readers can know the songs of 『Manyoushuu』, which is widely known in Japan. This is a great advantage of these translations. At the same time, however, this advantage also acts as a disadvantage. It is that through these translations, the song of 『Manyoushuu』, which is widely shared in Japan, that is, the song at the position of the canon, is transplanted into Korea.

      • KCI등재

        萬葉集10,二一三番O歌の「吾屋戶」の解釋について

        김영화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4 日本語敎育 Vol.67 No.-

        雁を詠んだ萬葉集10·二一三番歌には從來からその解釋で論爭のある句がある。初句(吾屋戶이)と結句(國方可聞遊群)で、初句の吾屋戶(わがやど) は我が家なのか、旅先の住まいなのかで、結句の國は雁の本國なのか、我が故鄕なのかで說が分かれている。本稿ではその中で、初句(吾屋戶)に關する先行硏究の參照及びその表記から見た觀点を加えて吾屋戶の再檢討を試みている。その結果、萬葉集における表記いへとやどの意味領域が少し異なること、やどとわがやどの表記上からの意味の差はないこと、わがやどという表記を以て旅先の住まいとして理解する例が存在することなどを考え合わせると、この箇所(吾屋戶わがやど)を從來の我が家ではなく旅先のすまいとして解釋できる可能性が生じるであろう。

      • KCI등재

        『わがうへに露ぞ置くなる』考

        우에다 히로아키(上田博明)(Ueda, Hiroaki) 일본어문학회 2012 일본어문학 Vol.58 No.-

        本稿の目的は、古今和歌集と伊勢物語に共通する歌「わがうへに露ぞ置くなる天の河門渡る舟の櫂のしづくか」という歌の本来の姿を探ることにある。上記の歌は「天の河」「舟」「櫂のしづく」という、七夕を指し示す単語が多く用いられながら、「わがうへに露ぞ置くなる」の意味の分かりにくさからか古今和歌集では七夕の歌とされず「雑歌」に分類されている。 また、伊勢物語においても同様で、この歌は突然人事不省に陥った男が顔に水をかけられることで蘇生し、「わがうへに」と朗詠する話に採られている。この歌は古今和歌集でも伊勢物語でも七夕とは一切関係のない歌として扱われているのだ。 本稿では、この歌が詠まれた時代の歌集、萬葉集と古今和歌集に収録される「露」「置く」を含む歌全ての類型を調査することで、「わがうへに」の「うへ(上)」の本来の形が「そて(袖)」であり、この歌が本来「我が袖に露ぞ置くなる天の河門渡る舟の櫂のしづくか」と七夕の夜の恋の涙を詠んだものであることを推定し、結論とする。

      • KCI등재

        『만엽집(萬葉集)』 완역서 연구 - 성과와 과제 -

        박상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48 No.-

        김사엽과 이연숙 그리고 최광준은 『만엽집』을 완역하고자 하는 목표는 같았다. 번역 도중 에 김사엽이 작고하는 바람에 그는 『만엽집』에 수록된 모든 작품을 우리말로 옮기지는 못했 다. 하지만 그의 번역은 후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이연숙은 김사엽을 비판적 으로 계승하여 『만엽집』 완역을 달성했고, 최광준은 독자적인 노선을 보이면서 『만엽집』 완역을 이루어냈다. 이로써 7-8세기에 성립됐다고 하는 『만엽집』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한국 에서 번역되었다. 게다가 완역본이 2종이나 출간되었다. 일본문학번역사에서 큰 획을 그은 사건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일본문학번역사에서 큰 족적을 남긴 김사엽과 이연숙 그리고 최광준의 『만엽집』번역이지 만 이들 번역에 남겨진 과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첫째, 김사엽은 『만엽집』을 우리말로 옮길 때 번역본을 명시하지 않거나 복수의 번역본을 차용했다. 최광준도 번역본을 명확히 제시하지 않았다. 『만엽집』 원본이 현존하지 않고, 서로 다른 여러 사본과 판본 그리고 주석서만 남아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만엽집』을 번역할 때 는 이연숙처럼 자신이 차용한 번역본을 반드시 명시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둘째, 김사엽은 『만엽집』을 번역할 때, 와카의 리듬이 아니라 시조의 리듬으로 와카를 번 역했다. 현재 우리에게조차 잊힌 시조의 리듬으로 와카를 번역한 것에는 그의 민족주의 의식 이 반영되어 있었다. 반면에 이연숙은 김사엽을 비판하면서 와카의 리듬대로 번역했다. 와카 의 음수율을 존중하는 것도 중요하기는 하지만 한국 독자에게 이런 리듬은 어색하다고 말하 지 않을 수 없다. 한편 최광준은 정형시의 모습을 보이는 와카를 자유시처럼 번역했다. 이해 하기 쉽기는 하지만 와카가 가지는 음악성이 살아 있지 않다는 아쉬움이 없는 것도 아니다. 이들이 보여준 삼인삼색(三人三色)의 와카 번역은 와카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를 보여준 구 체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큰 성과다. 하지만 와카가 가지고 있는 음악성을 살리면서 독자친화 적인 번역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과제도 동시에 남기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향후 번역자간에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김사엽과 이연숙은 『萬葉集』를 우리식 한자읽기로 『만엽집』으로 표기했지만, 최광준 은 일본식 한자읽기로 『만요슈라고 적고 있다. 이렇듯 『萬葉集』라는 서명조차도 번역자 사 이에서 어떻게 우리말로 옮길 것인가에 대한 일치된 의견이 없다. 이밖에도 『만엽집』에는 독 특한 용어가 많이 나온다. 예를 들어 ‘사랑의 노래’를 가리키는 것으로 ‘相聞(そうもん)’이 있 다. 이것은 ‘사랑의 노래’ 혹은 ‘상문’으로 옮길 수 있다. 또는 ‘소몬’으로 할 수도 있고, 혹은 ‘소몬(相聞)’과 같이 일본식 한자읽기와 한자를 병기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번역하지 않고 한자로 ‘相聞’으로만 표기할 수도 있다. 이처럼 ‘相聞(そうもん)’이라는 용어는 5가지 정도 의 번역어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이 용어에 대해서도 번역자간에는 아직 의견 일치가 없는 상태다. 와카의 음수율과 더불어 『만엽집』에 나오는 용어를 어떻게 우리말로 옮길 것인가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앞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In the translator of the Japanese literary works, the complete version of 『Manyoshu (萬葉集)』 left a big mark, but at the same time, there are some task. First, when translating 『Manyoshu』 into Korean, the translated version must be clearly identified. This is because the original 『Manyoshu』 does not exist. Second, some of the rhythms of Waka(和歌) were translated into rhythms of the Sizo(時調) and others were translated according to the rhythm of Waka. There was also a translation of Waka like free poetry. This is a great achievement in that it is a concrete example of how to translate Waka's rhythm. However, it also leaves the task of how to make reader 『friendly』ranslations while taking advantage of Waka's musicality. Third, there is no consensus among translators whether 『Manyoshu』 should be written as 『만엽집(manyeobjib)』 or 『만요슈(Manyoshu)』. In addition to the rhythm of Waka, I think that there should be an active discussion about how to transfer the name of the 『Manyoshu』 in Korean.

      • KCI등재

        『한역 만엽집(万葉集)』의 텍스트 연구

        박상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08 동아시아고대학 Vol.17 No.-

        고 김사엽은 한역 만엽집을 집필할 때, 한역 만엽집(1~4)까지는 일본고전문학대계 만엽집을 저본(底本)으로 했고, 한역 만엽집의 미완성 유고(김사엽전집 제12번, 박이정, 2004)를 저술할 때는 나카니시 스스무(中西進)의 만엽집을 저본으로 삼았다. 출판 시점에 주목해 보면, 한역 만엽집은 1984년 8월부터 1991년 8월에 걸쳐 간행되었다. 한편 일본고전문학대계 만엽집은 1957년에서 1962년에 걸쳐 출판되었고, 나카니시 스스무의 만엽집은 1978년에 나왔다. 따라서 그는 한역 만엽집을 저술할 당시, 그 저본으로써 일본고전문학대계 만엽집 혹은 나카니시 스스무의 만엽집을 선택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한쪽에서는 일본고전문학대계 만엽집을, 다른 한편에서는 나카니시 스스무의 만엽집을 저본으로 삼아 만엽집을 한역했다. 여기서 우리는 크게 두 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첫째, 김사엽이 만엽집을 우리말로 옮길 당시, 번역서의 저본을 밝히지 않는 것이 반드시 일반적인 현상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둘째, 김사엽의 한역 만엽집은 만엽집을 우리말로 옮길 때, 일본고전문학대계 만엽집 혹은 나카니시 스스무의 만엽집 가운데 하나를 저본으로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한역 만엽집에서 두 가지 저본을 혼용했다. 한역 만엽집은 헌신적인 역작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만엽집을 전공하는 연구자에게 그것은 반드시 참고해야 할 문헌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헌학적인 측면에서 한역 만엽집에는 문제점이 있다.

      • KCI등재

        한국어역『만엽집』의 번역어 연구‒‘おほきみ’의 번역어와 그 성립 과정을 중심으로‒

        박상현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6

        In this paper, by examining the translations of ‘ohokimi(おほきみ)’ in the translations of the three volumes of『Manyosyu』,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various translations of ‘ohokimi’. In addition, this paper mentioned in detail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various translations of ‘ohokimi’. It can be seen that in the translation of『Manyosyu』, for example, ‘ohokimi’, which means ‘Emperor(天皇)’, has been translated in various ways. The fact that these translations borrowed various terms as a translation of ‘ohokimi’ meaning ‘Emperor’ is highly commendable in that they enriched the translated language. However, at the same time, there were also tasks left, but I think that there are not a few tasks left in terms of consistency of terminology. I think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reviewed the translation of ‘ohokimi’ by reviewing the translation of『Manyosyu』. Furthermore,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likely to b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vitalize the discussion on the translations of Japanese classic works transferred to Korean. 본고에서는 김사엽과 이연숙 그리고 최광준의『만엽집』번역서에 나오는 ‘おほきみ’의 번역어를 검토하여 ‘おほきみ’에는 다양한 번역어가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했다. 또한 ‘おほきみ’가 다양하게 번역된 성립 과정에 대해서도 자세히 언급했다. 김사엽과 이연숙 그리고 최광준의『만엽집』번역서를 살펴보면 예컨대 ‘천황’의 의미를 나타내는 ‘おほきみ’라고 하더라도 다양한 번역어가 사용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번역자가 ‘천황’을 뜻하는 ‘おほきみ’의 번역어로 다양한 용어를 차용했다는 것은『만엽집』번역사에서 번역어를 풍요롭게 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할 만하다. ‘천황’을 뜻하는 ‘おほきみ’ 번역어의 실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과제도 남겼는데, 김사엽 등의 『만엽집』번역서는 용어의 일관성이라는 측면에서 숙제를 남겼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김사엽과 이연숙 그리고 최광준의『만엽집』 번역서를 검토하여 ‘おほきみ’의 번역어를 체계적으로 검토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본고의 연구 성과는 한국어로 옮겨진 일본고전문학작품의 번역어에 관한 논의를 활성화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있을 것 같다.

      • KCI등재

        『만엽집(萬葉集)』 개설서에 보이는 중복 노래의 의미 - 한국인 저서를 중심으로 -

        박상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2

        한국인 연구자가 저술한 『만엽집』 관련 저서 곧 개설서 5권은 한국 독자에게 만엽집의 대체적인 모습을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 이것은 『만엽집』 개설서의 큰 성과다. 하지만 동시에 『만엽집』 개설서는 과제도 남겼다. 이들 개설서 간에는 중 복 노래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이것은 『만엽집』 개설서가 일본학계에서 널리 알 려진 노래를 주로 소개하고자 했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다. 예컨대 일본에서 출간 된 만엽집 개설서 가운데 마쓰오카 아야(松岡文)․마쓰시타 유리(まつした ゆう り)․모리 하나에(森花絵)의 『읽고 싶은 만요슈』(삼화, 2016)가 있다. 여기서 소개 된 『만엽집』의 노래 가운데 예를 들어 권1~권3의 노래에는 본고에서 검토한 5권 의 저서에서 중복되는 노래가 다수 보인다. 권1ㆍ8, 권1ㆍ20, 권1ㆍ30, 권1ㆍ38이 그렇다. 또한 권2ㆍ88, 권2ㆍ107, 권2ㆍ108, 권2ㆍ131, 권2ㆍ132, 권2ㆍ133, 권2ㆍ147이 그렇고, 권3ㆍ337, 권3ㆍ341, 권3ㆍ344, 권3ㆍ348, 권3ㆍ349, 권3ㆍ351이 그렇다. 한국인 학자가 집필한 『만엽집』 관련 저서가 개설서의 성격을 띠기에 일본학계 에서 널리 알려진 노래를 주로 담고 있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다. 그리고 일본학 계의 현주소와 일본학계가 주목하는 만엽집의 노래를 소개하고 있다는 점은 이 들 저서의 주요 성과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들 개설서를 통해 일본학계에서 널리 알려진 정전(canon. 正典)의 위치에 있는 『만엽집』의 노래(=중복 노래)가 우리나라 에 이식(移植)됐다는 것도 놓쳐서는 안 된다. The books on 『Manyoushuu』  written by Korean researcher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ntroducing Korean readers to the alternative aspects of 『Manyoushuu』 . Although this is a great achievement, these books also left severalgaps. There are only few songs that do not overlap between these books. this is believed to have occurred because the books on Manyoushuu primarily intended to introduce songs that are widely known in the Japanese academic world. It may be argued that that the books on 『Manyoushuu』 written by Korean scholar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introductory books, and thus, they mainly contain songs that are widely known in the Japanese academic world. The main role of these books is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of Japanese academia and the songs of 『Manyoushuu』  that are being discussed in Japanese academia.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ong of 『Manyoushuu』 , which is considered a part of the canon in Japanese academia, has been popularized in Korea through these books.

      • KCI등재

        특집 : 세계문학의 패러다임과 한국고전시가의 보편적 가치 ; 고대 동아시아 문학 속의 향가 -향가와 『만엽집(萬葉集)』의 표기법과 가론(歌論)비교를 중심으로-

        이연숙 ( Yeon Suk Lee ) 한국시가학회 2011 韓國 詩歌硏究 Vol.30 No.-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일본이,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속에서 중국문화를 수용하고 변용한 방식과 특성을 밝히고자 향가와 일본의 『萬葉集』 작품의 한자 차용 표기, 歌論을 중심으로 하여 논하였다. 향가와 『萬葉集』 작품은 중국의 한자의 음훈을 차용한 향찰과 萬葉假名표기방식을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성을 보이지만 萬葉假名에는 戱書가 있음에 비해 향가에는 이러한 표기가 없다는 점, 또 향가작품에는 1자 1음표기의 향찰 작품이 없고 우리말 어순에 충실한 표기를 하고 있고 音節末에 자음첨기를 하고 있으며, 소리에 사용되는 한자가 기능상 확연하게 구분되는 경우가 보이지 않음에 비해, 『萬葉集』에는 1자 1음 표기에 의한 작품이 많고, 한문식 표기도 하고 있으며 한자의 상형적 특징을 활용하여 시각적 효과도 중시하기도 했으며 같은 소리라 하더라도 구분되어 甲類, 乙類로 나뉘어 표기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을 논하였다. 한국과 일본은 중국의 『모시』 序등과 같은 중국의 시론을 언급하고 있지만 그대로의 수용이 아니라 자국의 노래에 대한 인식의 바탕 위에서 歌論을 말하고 있으며 향가의 경우는 천지귀신을 감동시키는 기능을 강조하면서 六義중에서 頌과 비교하여 언급하고 있는데 이것은 향가가 불교적 성격의 작품이 많아 종교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몽고 지배기였으므로 일연으로서는 그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겠지만 신라시대에는 향가의 교화적인 측면도 중시되었던 것임을 논하였다. 일본 『萬葉集』은 相聞·挽歌·雜歌라는 部立이나, 『시경』에서 사용된 단어의 사용 등으로 미루어 『시경』의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萬葉集』의 경우는 六義중에서 賦의 영향이 강하였는데 이는 천황제 등의 특성 때문이며 長歌와 反歌의 결합이라는 형식도 賦의 영향임을 논하였다. This paper discussed descriptive method and theory of poem of Hyang-ga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Japanese 『Manyoshu(萬葉集)』 the in context of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Main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Hyang-ga and works in Manyoshu have in common in that they used descriptive method of a pseudonym, borrowing the pronunciation and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and then arranging the order to suit for their own word(i.e., Hyangchal and Manyogana). paper argued that Chinese character and Hyangchal-like descriptive method were transmitted from Baikje and Silla of Korea to Japan and that descriptive method of Hyang-ga affected Manyoshu`s pseudonym of Japan. The argument is based on the ground that doctors and technicians of Baikje transmitted Hyangchal-like descriptive method to Japan in mid-fifth century, Japanese monks studied in Silla, and that many of phonetical letter used in Hyang-ga coincide with pseudonymous use of Manyoshu`s works. Second, differences between Hyangchal and Manyogana are also found. Manyogana contains comic books since Manyoshu has a comic nature, while Hyang-ga does not. Hyang-ga does not have any Hyangchal work of one-letter-one-sound description, while Manyoshu have many such works. Hyang-ga works describe orderly to Korean words, while Manyoshu works use Chinese description jointly. Manyoshu utilized pictographic nature of Chinese letter and regarded visual effect in case of using Chinese sound. Hyang-ga adds a consonant at the end of a syllable, while Manyoshu does not. Third, aspects of theory of poem in Hyang-ga and Manyoshu are examined. Although both Korean and Japanese studies refer to Chinese literary theory like the book of 『Mosi』, Chinese affects are modified. In Korean case, Hyang-ga is referred to in comparison with a panegyric(頌). Monk Il-yeon inevitably thought this way because of that Hyang-ga, many of them are works of Buddhistic nature, has a strong religious nature and that the time was Mongolian dominative period. There is no reference on theory of poem in Manyoshu. A pseudonym of 『 Gokinwakashu(古今和歌集)』is affected from 『Book of Odes詩經』and 『Selection of Literary Works文選』. Use of words in Manyoshu and 『Book of Odes』 shows effects of 『Book of Odes』 on Manyoshu. It is therefore estimated that theory of poem in 『Book of Odes』 and 『Selection of Literary Works』 had influenced Manyoshu. Manyoshu contains many works of stressing both poetical prose and human relations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man and wife, and lovers. In formal aspect, Manyoshu affected to the form of the combination of Japanese Chouka and Hanka. These differences are attributed to the Japanese system of the Emperor.

      • KCI등재

        世界의 文字史와 『萬葉集』

        데이비드 바넷 루리(David Barnett Lurie),이병호(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6

        본고는 세계 문자사의 입장에서 『만엽집(萬葉集)』의 표기 방식에 관해 소개하면서 특히 『만엽집』의 表音과 表語 표기에 주목하여 그 특징과 역사성을 논하였다. 본고의 서론에서는 『만엽집』에 보이는 쓰기의 다양성, 표음문자와 표어문자라는 시각에 대해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세계 문자사의 전통적인 사관에서 ‘표어’와 ‘표음’의 관계를 논하였다. 이 장에서는 표어에서 표음으로 진화한다는 인식이 가진 문제점과 알파벳=문명이라는 신화가 만들어지는 과정, 세계 문자사를 표어에서 표음으로 진화한다는 도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음을 밝혔다. 3장에서는 표음으로 진화한다는 개념을 일본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20세기 중엽 알파넷 역사 연구의 권위자인 디링거 사관이 가진 한계와 일본의 문자사를 ‘동양사에서의 비극’으로 평가한 산섬의 견해, 언문일치가 결코 당연하지 않다는 것에 관한 설명, 그리고 일본의 복잡한 문자체계에 관한 새로운 관점의 평가 필요성 등을 언급하였다. 4장에서는 『만엽집』이 세계 문자사 연구에서 가지는 의미에 관해 설명하였다. 먼저 『만엽집』에는 표어문자 주체의 쓰기 보다는 표음문자 주체의 쓰기가 많다는 점을 확인하고, 1970~80년대에 표어문자 주체에서 표음문자로 변화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정설이었음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부터 우타목간(歌木簡)이 발견되면서 표음문자 주체의 쓰기가 더 먼저 출현했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기존의 정설이 바뀌게 되었음을 논하였다. 그리고 『만엽집』에서 쓰기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표어문자로 쓰기도 하고 표음문자로 쓰기도 했으며, 표음문자 쓰기가 매우 다양했음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향후에는 표음문자의 사용보다는 표어문자의 배제라는 문제가 중요한 과제라는 점을 언급하였다. Until recently, studies of the history of writing were shaped by the assumption that it continually evolved toward greater phonography. Ancient scripts—Mesopotamian, Egyptian, Chinese, and Mayan—had pictographic origins, but developed logographs(word-signs) as they became fully functioning writing systems. In those early systems, logographs were accompanied by phonographic indications of the sounds of language, whether as separate graphs or as components of compound graphs, but most later-developing scripts are largely or entirely phonographic. Since the early modern period, western scholars saw this progression towards greater phonography as an evolution towards more efficient and rational methods of writing, culmina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Latin alphabet. Less phonographic scripts, and especially those that maintained large logographic components, were accordingly seen as inferior and backward products of cultural interference with this “natural” evolutionary process. Contemporary scholarship has called into question much of this narrative. There are many cases of scripts progressing toward greater phonography, but there are also numerous examples of the persistence of logography, or even of shifts toward greater logography. Notions of the alphabet as a uniquely superior system of writing, or as the culmination of evolution toward greater efficiency and rationality, are products of Eurocentric models of human history rather than neutral descriptions of the principles of inscription. One of the great counter-examples to the old narrative of progression towards greater phonography is provided by the early Japanese experience of writing, especially as exemplified in the voluminous 8th century poetry anthology, the Man’yōshū. The poetry of this anthology is written in a variety of styles, from purely(or nearly purely) logographic, to a mixture of logographic and phonographic, to purely phonographic. Under the influence of the now outmoded evolutionary paradigm for writing in general, scholars of the Man’yōshū once saw this variety as the product of a historical development toward phonography, but this perspective was overturned by late 20th and early 21st century archaeological discoveries of all-phonograph poems that predate the compilation of the anthology itself. It is now clear that the variety of this work, and more generally of premodern Japanese inscription in general, was the product of complex decisions made by authors and scribes who selected among multiple co-existing styles of inscription, corresponding to different textual genres and modes of literacy. In this context there were rational reasons to preserve, or even to increase, the logographic components of writing.

      • KCI등재

        일반논문 : 주제론을 중심으로 한 속요(俗謠)와『만엽집(萬葉集)』 비교 시론(試論)

        서철원 ( Cheol Won Seo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만엽집』은 고대 한국과의 친연성이 크다고 인정받아 왔으며, 그 시기가 인접한 향가와의 비교 연구가 성과를 축적해 왔다. 그러나 작가의 혈통, 향가와 동질적인 요소들만의 제한적 비교, 한일 양국의 민족적 차이점을 단순 비교하는 등의 방법론적 제약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따라서 연구자들의 열정에도 불구하고 향가와『만엽집』의 비교 연구가 순탄치 않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백제문화권을 공통 기원으로 한 속요와『만엽집』의 계통적 동원성과 아울러, ①애정 소재, ②극적·극한 상황, ③이전가치 등의 주제론적 비교 가능성을 개진함으로써 속요 연구의 방법론을 확장하고 비교문학의 대상으로서『만엽집』의 성격을 보다 깊이 이해할 단서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작품분석은 ①개체와 개체 사이의 이별, 그리움, 기다림의 정서, ②개체와 그 주변을 이루고 있는 극적·극한 상황의 설정 방향, ③계층을 불문하고 인정받을 만한 이전가치의 요소 등을 간취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이 논의에서 개별 작품 차원에서 이루어진 논의 성과들이 보다 유효적절한 이론적 구도를 갖춤으로써 속요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백제문화권의 후대적 영향력을 재조명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origin of Sokyo as text of Paekjae Cultural Area for attaining a clue to the history of Paekjae Literature. It also arrang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ekjae Literaure and Manyoshu(萬葉集). Sokyo has some different factors which cannot originate in the cultural space of Hyangga. Especially the rhetoric and the lyric point. We try to find their origin from the ``Repetition`` and the ``Refraction`` of Paekjae Poetry, not from the ``Series`` and the ``Bisymmetry`` of Shilla Hyangga. Not only Jeongeupsa will be a clue to this, but many poems of Manyoshu in Japan can be good instances. We can compare Sokyo and Manyoshu by the three themes : 1) the separation, longing, waiting emo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2) the subject and its surroundings make up a dramatic situation or set the direction of an extreme situation, 3) the previous interpretation of networks with a focus on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