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기 드라마와 비인기 드라마의 등장인물 네트워크 비교 분석

        김윤환(Kim, Yunhwan),이재은(Lee, Jae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인기 드라마와 비인기 드라마에 등장하는 인물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네트워크의 형태로 표현하고 양자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콘텐츠 속 인물 네트워크 연구들이 주로 공출현(co-occurrence)을 기준으로 네트워크를 작성한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영상 고유의 작성 원리인 영상 문법적 요소를 반영하여 인접하는 샷 중에서 앞 샷의 등장인물로부터 뒤 샷의 등장인물로 지향성 링크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 비전 기법을 통해 샷을 구분하고 샷의 핵심 프레임을 선정하였다. 2014년에 방송된 미니시리즈 드라마 중 시청률 상위 3편과 하위 3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작품별 및 회차별 등장인물 네트워크를 작성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인기 드라마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풍부하고 다양한 상호작용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기 드라마에서는 전체 상호작용 중에서 남녀 주인공 사이의 상호작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주인공의 군집화 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인기 여부와 관계없이 분석 대상 드라마들의 등장인물 네트워크들은 하부 네트워크로 분명하게 나눠지는 구조가 아니라 하나의 집단으로 뭉쳐져 있는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The aimof this researchwas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character networks between popular and non-popular Korean TV dramas.Whilemany previousworks have built content networks based on the co-occurrence between characters, the present research employed the film grammar as the key principle of building networks. Between two neighboring shots, characters in the preceding shot were considered as actors and ones in the following shots were considered as reactors, and a directed linkwasmade fromeach actors to each reactors. Techniques in computer visionwas utilized in dividing a video into shots and selecting a key frame frommany frames that belongs to a shot. The Koreanmini-series dramas with top 3 and bottom3 ratings in 2014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pular dramas can be characterized with more characters and more rich and diverse interactions among them than non-popular ones.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in popular dramas, the intera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main characters took less part in total interactions and the clustering coefficient of the male main character was lower than in non-popular dramas. Another finding indicated that the popular and non-popular dramas had in common that the character network did not have a distinct community structure.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researchwas discussed. 본 연구는 인기 드라마와 비인기 드라마에 등장하는 인물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네트워크의 형태로 표현하고 양자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콘텐츠 속 인물 네트워크 연구들이 주로 공출현(co-occurrence)을 기준으로 네트워크를 작성한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영상 고유의 작성 원리인 영상 문법적 요소를 반영하여 인접하는 샷 중에서 앞 샷의 등장인물로부터 뒤 샷의 등장인물로 지향성 링크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 비전 기법을 통해 샷을 구분하고 샷의 핵심 프레임을 선정하였다. 2014년에 방송된 미니시리즈 드라마 중 시청률 상위 3편과 하위 3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작품별 및 회차별 등장인물 네트워크를 작성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인기 드라마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풍부하고 다양한 상호작용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기 드라마에서는 전체 상호작용 중에서 남녀 주인공 사이의 상호작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주인공의 군집화 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인기 여부와 관계없이 분석 대상 드라마들의 등장인물 네트워크들은 하부 네트워크로 분명하게 나눠지는 구조가 아니라 하나의 집단으로 뭉쳐져 있는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The aimof this researchwas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character networks between popular and non-popular Korean TV dramas.Whilemany previousworks have built content networks based on the co-occurrence between characters, the present research employed the film grammar as the key principle of building networks. Between two neighboring shots, characters in the preceding shot were considered as actors and ones in the following shots were considered as reactors, and a directed linkwasmade fromeach actors to each reactors. Techniques in computer visionwas utilized in dividing a video into shots and selecting a key frame frommany frames that belongs to a shot. The Koreanmini-series dramas with top 3 and bottom3 ratings in 2014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pular dramas can be characterized with more characters and more rich and diverse interactions among them than non-popular ones.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in popular dramas, the intera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main characters took less part in total interactions and the clustering coefficient of the male main character was lower than in non-popular dramas. Another finding indicated that the popular and non-popular dramas had in common that the character network did not have a distinct community structure.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researchwas discussed.

      • KCI등재

        영화 콘텐츠에서 등장인물에 관한 연구

        서명수(Myung-soo, Suh)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행동의 주체로서 등장인물은 영화가 제시하는 사건 속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영화 속의 인물을 파악하기 위해 두 방법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첫째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등장인물은 행위소 모델 내의 6개의 추상적인 기능들의 의인화로 파악될 수 있다. 행위소 모델은 그레마스(Greimas)가 서술체의 서술구조를 드러내 보이기 위해 제안한 이야기의 통사론이다. 둘째로, 미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등장인물은 다른 등장인물들과 관계의 망을 형성하는 존재로 파악될 수 있다. 등장인물은 허구적인 사람들이 사는 인간적 세계에서 동떨어져 홀로 존재하는 자가 아니다. 사건의 기본 단위인 행동은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의 망의 변화와 다름이 아니다. 따라서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영화의 디에게스 내에서 행동하는 등장인물들에 대한 분석과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이러한 거시적, 미시적 방법론을 통해 홍상수의 영화 <오! 수정>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을 분석하면서, 우리가 제안하는 등장인물에 대한 접근 방법이 매우 유효하고 적절했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었다.

      • KCI등재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

        채종옥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6

        본 연구는 개별적으로 환상그림책을 읽어주는 동안 그림책에 대한 반응의 주체자인 유아가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유아들의 질문과 코멘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유아 54명이며, 연구 도구로는환상그림책 9권이 사용되었다. 분석 내용은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한 유아들의 질문과코멘트의 빈도 및 각각의 반응유형, 등장인물에 대한 선호 근거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첫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유아들은 질문하기 보다는 코멘트 하는 빈도가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유아들은 ‘평가적 질문’을 가장 많이 하였고, 다음이 ‘상상적 질문’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질문 유형에비해 ‘몰입적 질문’과 ‘개인적 질문’ 빈도는 매우 낮았다. 셋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에 대해 유아들은 ‘평가적 코멘트’를 가장 많이 하였고, 다음이 ‘상상적 코멘트’, ‘몰입적 코멘트’,‘개인적 코멘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상그림책의 등장인물 선호 근거로 ‘등장인물의 외형’을 제시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등장인물에 대한 주관적 느낌’, ‘등장인물의 역할’,‘등장인물의 특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등장인물의 성’을 제시한 경우는 한 명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유아교육현장 교사들의 그림책 읽어주기 전략의 계획· 실행과 그림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 증진을 위한 전략 연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로봇 등장인물 특성 연구

        유지안,문선영,김은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2

        In this study, we analyzed robot characters in picture books. We analyzed the characters of the robots in picture books based on the importance and appearance background of the robot characters, the external images of the robot characters, the personification method of the robot charact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bot characters and the surrounding charact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obots mostly appeared as the main roles of the robot characters, and the appearance background was the same as the human living space such as the place where robots are made and houses. Second, the external images of the robot characters appeared in the form of humanoids or toy robots and appeared as males.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way of personifying the character of the robot, the outward form of personification such as talking or dressing like a human appeared and often showed positive emotions.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bot characters and surrounding characters, robot characters showed the most positive relationship with human beings and anim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aracters in modern picture books consist of various robots, that they should reflec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obots and humans, and that children should contribute to forming a realistic image of robots when presenting picture books to children. 본 연구는 국내에 출판된 창작그림책 중 로봇이 등장인물로 나타난 그림책들을 대상으로 로봇 등장인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분석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로봇 등장인물의 비중 및 등장배경, 로봇 등장인물의 외적 이미지, 로봇 등장인물의 의인화 방식, 로봇 등장인물과 주변인물과의 관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로봇 등장인물은 로봇이 주된 역할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등장배경은 로봇을 만드는 곳, 집 등 인간의 생활공간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로봇 등장인물의 외적 이미지는 인간과 유사한 형태이거나 장난감 로봇의 형태, 성별은 대부분 남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봇 등장인물의 의인화 방식을 살펴본 결과 인간처럼 말을 하거나 옷을 입는 등 외형적 의인화 방식이 나타났으며 긍정적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로봇 등장인물과 주변인물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로봇 등장인물은 사람, 동물과 가장 많이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인간에게 도움을 주거나 위안을 주는 등의 긍정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현대 그림책에 다양한 모습의 로봇 등장인물을 제시하고 로봇과 인간의 관계를 반영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성인은 유아에게 그림책을 제시할 때 유아들이 로봇에 대한 현실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기여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상호문화접근법 측면에서 바라본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분석 연구 - 대학 교육 기관 중급 교재를 중심으로

        차준우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3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2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s in language textbooks of Korean universities regarding intercultural approaches. To this end, the characters of intermediate-level textbooks published by five universities were first organized by nationality, gender, occupation, and age, while their characteristics in each textbook were also analyzed. Characters' dialogues and the number of intercultural elements express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19 textbooks in five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104 characters appeared in the textbooks, with 42 Korean nationals, followed by those from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By age, the characters were mainly in their 20s and 30s, and by occupation most were portrayed as students or office worke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ialogues of characters from the five universities' textbooks, it was concluded that the characters are generally realistic. However, the dialogues are somewhat less realistic regarding age and occupation. In addition, most of the language and cultural goals were explicitly presented in the dialogue, but some textbooks lacked instruction on language skills and attitudes for communication with Koreans. A more sophisticated relationship between main characters and supporting characters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tercultural ability of Korean learners in the future. Such character analysis should precede the development of further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문화접근법 측면에서 대학 교육 기관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5개 대학 교육 기관에서 출판한 중급 교재의 등장인물을 국적, 성별, 직업, 나이별로 우선 정리하고 교재별 등장인물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등장인물의 대화문을 분석하여 상호문화적 요소가 얼마나 나타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 기관 중급 교재 5종 총 19권을 분석한 결과 교재에 등장한 등장인물은 총 104명이었고, 국적별로는 한국 국적이 42명으로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는 일본, 중국, 미국 순이었다. 등장인물의 연령대는 주로 20~30대가 많았으며, 직업으로 학생이거나 회사원으로 설정된 것이 가장 많았다. 상호문화적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5개 대학의 교재의 등장인물의 대화문을 분석한 결과 등장인물들은 대체로 실제성이 있으나 대화문에서 나이나 직업 등에 관한 부분에서 실제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화문에서 언어 목표와 문화 목표는 대부분 명시적으로 제시되었으나 한국인과의 소통을 위한 언어 기술과 태도가 다소 부족한 교재도 있었다. 앞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문화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주요 등장인물과 보조 인물과의 관계 설정을 더욱 정교한 설정이 필요하고 교재 개발에 앞서 이런 등장인물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역사성

        김진(Kim, Jin) 한국서양고전학회 2009 西洋古典學硏究 Vol.37 No.-

        플라톤의 대화편을 이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요소 중 본 논문은 대화편에 등장하는 대화자나 참여자의 역사성을 논의한다. 플라톤의 대화편에 등장하는 인물 중 이름이나 아버지의 이름으로 지칭된 인물은 대략 81명인데 이 들은 모두 역사적 인물이다. 플라톤의 대화편을 사실과 거리가 있는 허구적인 작품으로 이해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등장인물의 역사성은 단순히 허구적으로만 취급될 수는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등장인물의 역사성이 허구적 창작물로서의 대화편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다루며, 특히 이러한 등장인물의 역사성이 대화편의 철학적 내용 이해에 어떤 방식으로 관여할 수 있는지를 다룬다. 우선 등장인물의 역사성을 대화편 이해에 적용하고 있는 몇 안되는 기존의 연구 중의 하나인 에버트의 『파이돈』이해를 살펴보고, 이를 범례로 삼아『파르메니데스』의 서두에 등장하는 케팔로스의 해설문을 분석한다. 이 도입부분은 『파르메니데스』에서 논의되는 소위 이데아론 비판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구체적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케팔로스-안티폰-피토도로스라는 다층적 해설 층위와 세 해설자 모두 비아테네권의 철학자 내지 철학에서의 문외한임을 제시하고, 대화편의 본론에서 이데아론에 대해 잘 알고 이를 비판하는 당사자가 소크라테스가 아닌 남부 이태리 출신의 파르메니데스임을 환기시켜, 『파르메니데스』에서 비판되는 이데아론이 그 당시 남부이태리에서 잘 알려져 있는 이론, 즉 피타고라스주의자들의 것임을 밝힌다. 『파르메니데스』편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역사성을 통해 이 대화편에서 논의되는 철학적 내용 이해를 위한 배경적 지식을 얻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플라톤 대화편이 갖는 독특한 특징인 문학적이고 철학적인 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해석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것이다.

      • KCI등재

        욘 포세 Jon Fosse 희곡의 등장인물 유형에 관한 연구

        송선호(Song, Seonh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60

        본 연구는 1990년대부터 독특한 언어로 유럽 연극계의 주목을 받아 온 노르웨이의 작가 욘 포세 Jon Fosse (1959- )의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유형을 분석한 것이다. 포세의 희곡은 가족, 연인, 친구 등 가장 밀접한 인간 관계 속의 인물들이 제한된 공간에 등장하는 ‘닫힌 텍스트’, 또는 ‘사적(私的)인 텍스트’로 규정할 수 있다. 그는 거의 모든 희곡들에서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는데, 이렇게 인생에서 가장 잘 아는 친밀한 관계 속의 인물들을 다루는 이유는 그가 인간의 심리보다 인간의 관계를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는 작가이기 때문이다. 연구의 주안점은 포세가 이러한 관계를 묘사하기 위해 어떤 인물들을 창조하여 배치하는가 하는 데 있다. 각기 다른 작품에서 포세의 등장인물들은 그 성격과 행위에서 공통점을 보이는데, 그것을 유형별로 분류해 보면 고립된 인물, 부재자, 그리고 방문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분석을 위해 먼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이름 The Name>, <방문 Visits>, <소파 위의 소녀 The Girl on the Sofa>, 그리고 연인들의 이야기를 다룬 <누군가 올 거야 Someone is going to come>, <가을날의 꿈 Dream of Autumn>, <어느 여름날 A Summer"s day>, <겨울 Winter> 등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포세의 희곡은 베케트 Samuel Beckett, 핀터 Herold Pinter, 콜테스 Bernard-Marie Koltes 등의 작가와는 다른 방식으로 인간 존재의 문제를 다룬다. 연구를 통해 그의 희곡에서 친밀한 인간관계 속의 인물들이 어떤 유형으로 구성되는지를 탐색해 봄으로써 그의 주제라 할 수 있는 ‘생의 어려움과 불가해함’을 ‘사적 텍스트’로 표현하는 포세 희곡의 특성에 접근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 of characters in the drama of Jon Fosse (b. 1959), a Norwegian author who has drawn attention from the European theater with his unique language since the 1990s. Fosse"s drama places all characters that are in the closes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such as family, lovers, or friends in a limited space, which can be identified as "closed text" or "private text". He uses such structures through most of his dramas that deal with people who are in the closes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ir lives as he focuses on describing human relationships rather than a mentality.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what types of characters he creates and places in his drama to describe their relationships. Characters in his different dramas have some common features in their personalities and behaviors which can be categorized as an isolated character, an absentee, and a visitor. This study deals with several dramas for analysis including some stories of families <The Name>, <Visits>, <The girl on the sofa>, and stories of lovers <Someone is going to come>, <Dream of Autumn>, <A Summer"s day>, <Winter>. Fosse"s drama deals with the issue of human existence in different ways from those of authors including Samuel Beckett, Herold Pinter, or Bernard-Marie Koltes. This study helps understand the features of Fosse"s dramas that depict his main themes of "complexities of life" and "inexplicability of life" in his "private text" by exploring the composition of types of characters in their close human relationships. 본 연구는 1990년대부터 독특한 언어로 유럽 연극계의 주목을 받아 온 노르웨이의 작가 욘 포세 Jon Fosse (1959- )의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유형을 분석한 것이다. 포세의 희곡은 가족, 연인, 친구 등 가장 밀접한 인간 관계 속의 인물들이 제한된 공간에 등장하는 ‘닫힌 텍스트’, 또는 ‘사적(私的)인 텍스트’로 규정할 수 있다. 그는 거의 모든 희곡들에서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는데, 이렇게 인생에서 가장 잘 아는 친밀한 관계 속의 인물들을 다루는 이유는 그가 인간의 심리보다 인간의 관계를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는 작가이기 때문이다. 연구의 주안점은 포세가 이러한 관계를 묘사하기 위해 어떤 인물들을 창조하여 배치하는가 하는 데 있다. 각기 다른 작품에서 포세의 등장인물들은 그 성격과 행위에서 공통점을 보이는데, 그것을 유형별로 분류해 보면 고립된 인물, 부재자, 그리고 방문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분석을 위해 먼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이름 The Name>, <방문 Visits>, <소파 위의 소녀 The Girl on the Sofa>, 그리고 연인들의 이야기를 다룬 <누군가 올 거야 Someone is going to come>, <가을날의 꿈 Dream of Autumn>, <어느 여름날 A Summer"s day>, <겨울 Winter> 등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포세의 희곡은 베케트 Samuel Beckett, 핀터 Herold Pinter, 콜테스 Bernard-Marie Koltes 등의 작가와는 다른 방식으로 인간 존재의 문제를 다룬다. 연구를 통해 그의 희곡에서 친밀한 인간관계 속의 인물들이 어떤 유형으로 구성되는지를 탐색해 봄으로써 그의 주제라 할 수 있는 ‘생의 어려움과 불가해함’을 ‘사적 텍스트’로 표현하는 포세 희곡의 특성에 접근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 of characters in the drama of Jon Fosse (b. 1959), a Norwegian author who has drawn attention from the European theater with his unique language since the 1990s. Fosse"s drama places all characters that are in the closes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such as family, lovers, or friends in a limited space, which can be identified as "closed text" or "private text". He uses such structures through most of his dramas that deal with people who are in the closes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ir lives as he focuses on describing human relationships rather than a mentality.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what types of characters he creates and places in his drama to describe their relationships. Characters in his different dramas have some common features in their personalities and behaviors which can be categorized as an isolated character, an absentee, and a visitor. This study deals with several dramas for analysis including some stories of families <The Name>, <Visits>, <The girl on the sofa>, and stories of lovers <Someone is going to come>, <Dream of Autumn>, <A Summer"s day>, <Winter>. Fosse"s drama deals with the issue of human existence in different ways from those of authors including Samuel Beckett, Herold Pinter, or Bernard-Marie Koltes. This study helps understand the features of Fosse"s dramas that depict his main themes of "complexities of life" and "inexplicability of life" in his "private text" by exploring the composition of types of characters in their close human relationships.

      • KCI등재

        유아의 그림책 속 인물 이해 탐색: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이조은 ( Jo Eun Lee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가 그림책 속 등장인물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알아보고자, K시 H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25명에게 글 없는 그림책, 「Frog goes to dinner」를 보고난 후 그림책 이야기를 재화하도록 하였다. 먼저, 유아들은 등장인물의 외형적 특성을 이해함에 있어서, 인물의 겉모습이 상대방과의 공유된 지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굳이 말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라고 여겨 대부분 생략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인물의 움직임과 이동을 포함한 행동에 대해 다양한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묘사를 시도하였으며, 등장인물들을 구분하지 못하여 인물 간 혼동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등장인물의 내면적 특성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유아들은 전후 맥락을 활용하여 인물의 감정을 추론해내는 모습을 보였으며, 그림의 세부적 단서를 통해 등장인물의 말이나 대화를 창조해 냄으로써 자신이 파악한 인물의 생각이나 감정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끝으로, 유아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기준을 가지고 그림책 속 등장인물을 자기 나름대로 만들어갔다. 즉, 유아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인물의 범주에 사람과 동물 이외에 사물을 포함시킴으로써 물활론적 사고를 나타냈으며, 이야기 속 주인공을 찾고 이해하기 위한 자기 나름의 기준을 확립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가 총체적인 유아의 이야기 이해과정 및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와 효율적인 문학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reschoolers comprehend the characters of picture books. Twenty-five five-year-old preschoolers attending a kindergarten in the city of K, restate the characters with their own words after reading a picture book,「Frog goes to dinner」. Preschoolers were semi-structurally interviewed one-on-on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choolers about the external looks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were as follows: First, they omit describing figures of the characters, considering that unnecessary, because they thought they already shared the knowledge with one another and consequently didn``t consider it necessary to mention that. Second, they made use of a wide variety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o describe the movement and behavior of the characters. Third, they were confused about the characters as they didn``t clearly discriminate among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s, especially that of the adult male characters. And then how the preschoolers understand the inner feelings or intention of the characters was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y inferred the emotion of the characters by considering the preceding and following contexts, and they mentioned the consequences of their feelings together. It implied that they have an ability to infer emotions and feelings of others and understand caus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y imagined what the characters would say to themselves or to each other based on the clues they found in the pictures, which showed how they understood the ideas or feelings of the characters. Finally, the preschoolers created the characters in their own way by their own unique standard. They were found to have an animist thinking, since they put objects in the category of characters, and this is differentiated from the standard of adults in general. At the same time, the preschoolers set their own unique standard to find and understand the main character in the picture book not only by taking their own experience but by taking the cover, title and plot into account.

      • 연극의 등장인물에 따른 무대의상 디자인 연구(연극 감사관을 중심으로)

        이상봉 대구미래대학 2001 論文集 Vol.19 No.1

        이상으로 연극 "감사관"에 있어서의 무대의상 대자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연구로서 연극의 배경과 성격, 무대의상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아보았고, 시대적 배경에 따른 당시의 복식과 무대분석을 통한 Costume plot를 만들고, 등장인물의 인물분석 및 극의 구성과 개인별 무대의상 Chart를 작성하였다. 이 작품은 신랄한 사회풍자와 양식의 독창성-비판적 리얼리즘의 확립-, 등장인물의 정확한 성격묘사 등으로 엄숙하면서도 신성한 희극이다. 인간의 내면적 욕구와 미의식의 표현으로서의 복식은 한 시대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구현물인 동시에 그 시대 예술의 구성인자가 표출되고 지각되며 경험되는 매체의 하나이기도 하다. 본 논문을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대의상이란 등장인물의 역할과 성격을 정교하게 관객들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입혀지는 극적인 요소인 만큼 대본에서 나타나는 극적 분위기나 등장인물의 특성은 물론이며 사회적 배경이나 내면세계까지도 자세히 고려되어 표현되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연극은 종합예술인 만큼 다른 전문가들과 특히 시각적인 요소인 무대장치, 조명, 소도구 등과의 조화를 통해 제작, 구성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연극 무대의상 제작시 배우들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등장인물의 역할과 이미지를 부합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의 내면적 욕구와 미의식의 표현으로서의 복식은 한 시대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구현물인 동시에 그 시대 예술의 구성인자가 표출되고 지각되며 경험되는 매체의 하나이기도 하다. 복식은 이와 같이 '옷을 입는다'는 물리적·실용적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그 시대의 철학·종교·도덕적 관념·정치·경제·사회의 현상을 배경으로 형성되는 개인의 예술적 감각 및 공동의 예술양식을 수용하고 표출한다는 사실을 알아보았다.

      • KCI등재

        올브라흐트의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등장인물의 특성

        유선비(Sun bee Yu)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7 동유럽발칸연구 Vol.41 No.4

        20세기 초 체코문학에서 가장 대표적인 산문작가로 손꼽히는 이반 올브라흐트는 심리 소설, 의적 소설 등 체코문학에서 흔하지 않은 장르들을 시도하며 명성을 구가한 작가이다. 특히 초기 작품들에서 등장인물을 작품 구조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삼고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물들에 대한 분석은 그의 작품 전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이 작품 『배우 예세니우스의 이상한 우정』은 특히 올브라흐트 작품들의 등장인물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특성들이 잘 나타나는 장편소설이다. 그는 인물들의 이름을 제목에서 노출시켜 독자들의 흥미를 자극하는데 인물들의 이름은 그의 작품에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어 이름에서부터 인물들의 성격이나 인물을 중심으로 한 플롯 등을 상상하게 한다. 특히 인물들의 내면적인 생각, 사고의 흐름 등은 매우 제한적이며 인물을 나타내는데 있어 옷차림, 생김새 등의 외모에 중심을 두고 한 인물을 표현한다. 여성들은 대부분 매우 어리고 아름다운 여성들이 등장하는데 남성들의 사랑이나 애증의 대상이고 남성 중심의 스토리에서 조연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그들에 대한 여러 이야기나 그들의 생각 혹은 의사 등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전달되거나 서신 등 간접적인 경로에 의해 표현된다.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은 작품 전체에서 두 인물의 대조를 통한 전개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이원성을 이용한 점은 올브라흐트의 작품 초창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두 인물은 이름에서부터 생각이나 행동 등 모든 면에서 상이하지만 점차 서로에게 의지하며 우정을 쌓아간다. 하지만 이런 우정도 여인을 중심으로 한 애증과 여성을 대하는 태도 등으로 갈등을 일으킨다. 이런 대조는 연극을 포함한 예술에 대한 태도에 이르기까지 모두 대조적이다. 이 작품을 통해서 올브라흐트가 어떻게 등장인물들을 만들어내고 이들을 이용해 어떤 방식으로 작품을 이끌어 가는지 그리고 이런 인물들을 통해 그가 나타내는 여러 요소들을 파악하는 것은 그의 초기 작품들의 전체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Ivan Olbracht was one of the best known prose writers in the 20th century and he tried various literary genres, such as the psychological novel or the prose of outlaw legends, which were not so common in the Czech literature. In his work, the main role is often played by a person who i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entire work. The novel The Strange Friendship of Jesenius the Actor was written in 1919, and it completes the first phase of the Olbracht s literary development. The novel takes place before and during the First World War in the theatre environment. What concer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Olbracht very carefully created the names of the persons, to express the meaning of a certain concept of some thoughts, and in connection with that Olbracht often gives the names of the persons in the title to increase interest of readers at his work. Furthermore, the author does not express inner thoughts or stream of consciousness of characters, but rather the external aspects of the person such as how he looks, what he wears, how he acts, etc. Even the narrator does not look into the heart of the main character Veselý, we can get his views on society, war and art only from his direct statements. The main characters of this work are built on the principle of dualism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y are Jiří Jesenius, who performs in the National Theatre, and in whom we can see a balanced and morally dedicated person. Jan Veselý is on the contrary a type of unconscious rogue, the passionate man, who is an improviser in the art and complete subjectivist. The title character Jesenius is built in contrast to Veselý by their appearance, manner of work and understanding of art and war. This work contain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s by Ivan Olbracht. Therefore, when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of his work, we could get to know Olbracht s methodology of the structure of the prosaic works in the early pie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