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도시 브랜드 디자인 방향 -중국 도시‘선전’을 중심으로-

        주월동 ( Zhou Yuetong ),김면 ( Kim Myo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현대 도시 디자인의 의미는 단순히 도시환경 디자인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 브랜드라는 추상적 가치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세계의 도시들은 도시의 발전과 경쟁력을 지속시키기 위해 도시 브랜드 디자인을 활용하고 있으며, 도시 브랜딩 전략은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특히 최근 중국경제가 전면적으로 개방되며 중국 내 많은 도시가 이러한 취지에서 브랜드 개발을 시작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인 ‘선전’을 중심으로 브랜드가 도시 경쟁력 제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고, 도시 브랜드 디자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향성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했다. 우선, 도시 브랜드 디자인과 도시 브랜드 이미지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중국내 도시인 홍콩, 상하이 두 도시와 해외 도시인 바르셀로나, 뉴욕, 교토, 부산 4개 도시의 브랜드와 도시 이미지를 실증 분석했다. 또한, 중국 선전의 도시 브랜드 디자인을 분석해 이것을 국내외 도시 이미지와 비교했다. 비교 분석한 결과, 도시 브랜드 가치가 높고 좋은 도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뉴욕의 ‘I♥NY’은 개혁적인, 다문화적인, 신뢰감, 도시 이미지로 브랜드 차별화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반면, ‘선전’의 도시 브랜드는 도시 이미지와 다문화적 이미지에서 높은 점수를 얻지 못했다. 이는 도시 브랜드 디자인과 도시 이미지가 정비례의 관계에 있음을 유추하게 한다. 향후 ‘선전’의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선전’의 도시 브랜드 디자인이 관한 문제가 시급히 개선돼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선 우선 도시 브랜드를 위한 전략이 마련된 후 도시 브랜드의 디자인의 계획적인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meaning of modern urban design is not just limited to urban environment design but is expanding to the abstract value of the urban brand. Cities around the world are using urban brand design to sustain the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of cities, and urban branding strategies provide a direction for enhancing the brand value of cities and ultimately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a sustainable city. In particular, the Chinese economy has been fully opened in recent years, and many cities in China are starting to develop brands for this purpos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brands on enhancing urban competitiveness, focusing on Shenzhen one of the major cities in China,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urban brand design.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brand design and urban brand image, the brand and urban image of two cities in China, Hong Kong and Shanghai, and four cities overseas, Barcelona, New York, Kyoto, and Busan, were empirically analyzed. In addition, it analyzed the urban brand design in Shenzhen, China, and compared it with the image of cities at home and abroa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I♥NY' of New York, which has a high city brand value and a good city image, scored high in brand differentiation with its innovative, multicultural, trustworthiness, and urban image. On the other hand, the city brand of Shenzhen did not get a high score for the city image and multicultural imag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core of urban brand design, the higher the score of the urban image was, which makes it possible to infer that urban brand design and urban image are in a directly proportional relationship.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of Shenzhen in the future, the problem of urban brand design in Shenzhen needs to be urgently improved. To this end, a strategy for an urban brand must first be prepared, followed by planned development of the design of an urban brand.

      • KCI등재

        국내 특·광역시 경관, 도시디자인 및 공공디자인 정책 비교 연구

        이정수(Lee, Jeong-Soo),윤성훈(Yun, Sung-Hun),한정(Han, Jeo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경관, 도시디자인 및 공공디자인 등으로 시행되고 있는 국내 특?광역시의 관련 정책들을 비교·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특?광역시 도시디자인 관련 조직, 예산, 계획 및 사업, 그리고 위원회 및 심의자문대상 등을 방문인터뷰, 사례현장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국내 특·광역시 도시디자인관련 운영조직을 살펴보면, 본청 각 부서 및 사업소, 구청, 산하기관 등의 경관, 도시디자인 및 공공디자인 업무를 관리하기 위하여 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위상이 다른 도시디자인 총괄본부와 추진단, 도시디자인과를 두고 있다. 둘째, 국내 특·광역시마다 도시디자인에 대한 개념적 범위 정의에 따라 관련조례 운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도시디자인 관련 조직 예산, 사업 및 심의대상 등은 도시디자인 정책에 따라 편차를 보이고 있는데, 소프트웨어적인 도시디자인 기획 및 계획에 그치는 사례로부터 직접 사업을 시행하는 등 도시마다 사업의 기획으로 시행방법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시 및 공공디자인에 관한 법·제도적 기반구축을 통하여 각 특·광역시마다 다르게 해석되어 적용되고 있는 경관법에 의한 경관계획과 전략계획으로서 도시디자인, 공공디자인의 개념 재정립이 요청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 of Public Design, Urban Design and Landscape of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For the purposes, we have interviewed the officers of urban design divisions and surveyed several representative urban design examples in metropolitan c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hierarchical position of urban design divisions are different from vice-mayor to section chief according to the strategic goal in city management of mayor. Second, the definition and scopes of urban design are different from space design to facility design, and results the ordinances and the composition of committee. Third, the scopes of budget and projects are depend on the definition and scopes of urban design, and The conclusion calls for reviews of current townscape design and urban design of institutional framework is needed as well as re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positioning of urban design at the city marketing level.

      • KCI등재

        도시공간디자인 제고를 위한 통합디자인에 대한 고찰

        이서화,장영호,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1980년대 말을 기점으로 고도산업사회로 진입하게 되고 각종 개발사업에 따라 도시는 급속히 수평, 수직적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도시의 경관은 고층화, 고밀화가 가속화되었다. 이로 인해 도시이미지의 획일화와 무분별한 자연경관 훼손 등이 큰 문제로 이슈화되면서 도시공간디자인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도시공간디자인은 정부 부처가 각자의 목적에 따라 독자적으로 법령을 개정하고 각 지방자치단체가 독립적으로 제도를 운영,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으로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리체계는 도시공간의 통합적 형성과 관리를 저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시공간디자인의 패러다임과 사회적 인식이 산업 중심의 획일적 팽창에서 벗어나 사람, 문화 중심의 삶의 질을 향상이라는 공통의 목적으로 진화 중이며그에 따라 일관적 정책 방향의 통합 관리와 운영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 도시공간디자인 제고를위한 통합디자인 관리주체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도시공간 구성과 관련된 법령 및 그에 근거한 기본 계획들을 조사·분석하고, 인식조사와 민원 빅데이터 통계 자료를 통해 도시공간디자인 관리 운용의 문제점을 도출한 다음, 해외 통합 운영관리 체계의 사례를 제시하여 국내에서 시도된 사례를 통한 통합디자인 관리체계를 제안한다. (결과) 환경, 교통, 건축, 경관, 토목 등 도시공간을 구성하는 관련 분야별 법령과 제도들이 칸막이를 높인 채 서로의 관점에서만 도시를 보고 각기 다른 기준과 계획으로 공간을 만들어 가기 때문에 서로 중복되고 상충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해외 통합 제도 사례와 국내 협업 사례를 바탕으로 도시공간디자인에서 나타난 문제를 보완하고, 발전적인 도시공간디자인을 위해 여러분야를 통합하는 도시공간디자인 관리체계가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결론) 경제발전과 성장 위주의 도시개발로 인한 도시의 양적 팽창은 도시 안의 시민들에게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고 물질적 풍요를 제공하였으나, 자연의 훼손, 역사·문화 가치 상실 등의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도시공간디자인은 여러 관련 법과의 연계 및 실행력 부족으로 제도에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있고 여러 이해관계와 제도들이 한정적 공간 안에서 중첩되고 상충되는 문제를 가지고 도시를 구획·설계·디자인하기 때문에더욱 복잡하고 비효율적 도시공간이 만들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 도시공간 창출 및 관리와 제도적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시공간디자인의 관리와 운영을 함께 추진할 수 있는 통합디자인추진단이라는 도시공간디자인 관리체계를 제안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요하네스 이텐과 바실리 칸딘스키의 색채이론을 통한 도시디자인 브랜드 개발

        정지훈,남호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7 No.-

        현대사회는 디자인(Design)이라는 단어가 탄생하고 인간에게 개념이 확립되는 동안 많은 의미를 내포한다.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사회에 있어 디자인은 인간과 함께 등장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것이다. 변화에 앞서 디자인 교육은 적극적으로 새로움을 받아들이고 재생산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현대 디자인 교육에 바우하우스의 디자인 교육의 방법론을 모태로 디자인 각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인간의 질 높은 삶을 변화하는 무한한 힘을 지닌 디자인은 새로운 문명과 기술에 힘입어 많은 분야에 세분화 되겠지만, 독창적이고 창조적 역할을 하는 디자인 교육은 바우하우스의 교육을 앞으로도 따를 것이다. 본 연구는 바우하우스의 색채가 이론을 통해 현재 도시가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적으로 브랜드화 하여 강력한 도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IRI 형용사스케일에 각 도시별 이미지를 대입하여 얻은 연구의 결과는 도시만의 고유 문화, 경제, 사회에 관한 전반적인 홍보와 도시의 현재 상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문가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여 각 요소별로 확인해야하며, 상위의 도시가 보여주는 결과를 통해 국내 각 도시가 가지는 환경색채와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도시이미지를 계획하여야 한다. 이러한 대안을 통해 무분별한 경제와 건축분야의 비대칭 발전에만 높이는게 아니라 올바른 환경색채의 활용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고유의 정체성 있는 미래지향적인 도시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도시민의 생활 속에서 행복과 자부심은 어떠한 요소를 필요하지 않는 가장 살기 좋은 도시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도시를 계획하기 위해서는 도시민이 거주하는 환경의 수준이 높아야하며 그 환경은 자연과 색채가 함께 어우러지는 것이다. 도시의 경제적 성장만이 상위에 있는 도시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친화적인 도시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Modern society involves many meanings during the birth of a word "Design" and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between human beings. As society keep developing, design is truely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coexist with human beings. Prior to the variation, design education is behaviour of learning that actively accepting and reproducing. Modern design education based on methodology of design education of Bauhaus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Design with infinite power to change the quality of human life will be subdivided into many fields supported by new civilization and technology, but design education with ingenuity and creative role will follow Bauhaus's education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city problems through the Bauhaus's color theory to develop a professionally branded city. The result of the research obtained by assigning the image of some cities to the IRI adjective scale should be confirmed by the professional project team in order to analyze the city's unique culture, economy, general publicity about society,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ity. The urban image should be plan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environmental color between domestic cities and high level cities. Through these alternatives, we should not only increase the asymmetric development of the economy and architecture, but also create a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with correct practical use of environmental color and a future-oriented city with a unique identity. In urban resident's lifestyle, happiness and self-esteem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live. However, in order to plan such like this lifestyle, the level of the environment inhabited by the citizens must be high, and the environment should be in harmony of nature and color. I expect that city will grow into a nature fraiendly city surrounded by human, not to take priority to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도시 브랜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 로고 디자인 비교연구 홍콩과 중국 대륙 도시 로고 디자인 비교를 중심으로

        하문려 ( He Wenli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2 No.-

        현재 중국의 경제가 고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중국 대륙의 도시들이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고 더 많은 기회를 잡기 위해 도시 이미지 로고의 구축과 홍보를 갈수록 중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대륙의 성급(省級)행정구역의 성도 도시 로고를 선택하여 로고 형태와 로고 색채 등 두 가지 요소에 중심을 두고 로고 디자인의 기본적 함의, 로고의 형태, 색채의 표현 기법과 지역 특징을 결합시켜서 홍콩의 도시 브랜드 로고와 비교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홍콩의 도시 브랜드 로고 시스템이 도시의 전체 이미지와 함의를 향상시키는 데 발휘하는 역할을 논술하면서 홍콩 도시 브랜드의 성공 요인과 중국 대륙도시 이미지 로고 디자인의 현황 및 특징을 정리하였다. 또한 중국 대륙 도시 로고 이미지 디자인 분야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비교 분석하고 이런 부족함이 생긴 구체적인 원인도 밝혀냈다. 이를 통해 시사점을 얻어 앞으로의 도시 로고 디자인이 도시 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잘 보여줄 수 있도록 참고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At present, China’s economy is developing rapidly. Therefore, to improve competitiveness and attract more opportunities, inland cities in China pay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construction and promotion of city image logos. In this research, the logos of capital cities of the provincial administrative regions in mainland China were chosen as cases and then compared with brand logo of Hong Kong from the perspectives of logo design basic connotation, logo form, color expression techniqu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wo elements of logo form and logo color. The research introduced the functions of brand logo of Hong Kong in improving overall city image and city connotations. Then factors leading to the success of city logo of Hong Kong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brand logo design in Chinese inland cities were summarized. On this basis, problems existing in city logo and image design of Chinese inland cities were analyzed and corresponding reasons were put forward. Lastly, suggestions were proposed for city logo design’s better presenting city brand image in the future.

      • KCI등재

        중소도시 디자인 지원센터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포항시를 중심으로 -

        조원철 ( Won Chul Cho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본 연구는 국가 경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소도시 소재의 기업체들이 효과적이고 시기적절한 디자인을 지원받아 회사의 이미지는 물론 제품의 디자인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중소도시 디자인센터(DCMC: Design Center for Midium-sized City)’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이다. 광역도시들과는 달리 지역의 특성을 보다 선명히 가지고 있는 중소 도시들 중, 포항시를 대상으로 하여 기업체들이 실질적으로 요구하는 디자인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여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삼았다.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국내의 디자인 센터들의 발전과정 그리고 비전과 설립목적, 주요 지원 사업 등을 관련 보고서와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하여 정리하여 중소도시의 디자인 지원 사업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영국, 일본 등 선진한 외국의 사례들 중, 지방 도시의 중소기업들에 대한 디자인 지원사업과 디자인 교육프로그램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가 포항시를 중소도시 디자인 센터의 모델로 설정한 만큼 포항시의 일반적인 산업 현황을 요약, 정리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설문에 응한 85개 업체의 응답 내용을 정리하였다. 포항지역의 기업체들을대상으로 실시하는 최초의 디자인관련 설문이라는 점과 중소도시 디자인 센터의 필요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디자인 현황에 대한 기본적인 질문으로 제한하여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래프로 작성하여 분석, 제시하였다. 기존의 디자인 센터들은 권역 내에 소재한 디자인 업체들 중에서 협업업체를 선정하고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 중소기업을 연결해주는 지원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중소도시는 전문 디자인 업체가 거의 없다. 따라서 중소도시 디자인센터는 지역의 디자인 필요를 발굴하고 직접 디자인을 개발하는 기능과 디자인 전문 인력 육성을 통해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벤처기업들을 태동하는 모체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지방의 지역 발전과 국가경쟁력 향상의 중요한 기초가 될 중소도시 디자인센터에 대한 연구가 지역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지역 대학들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기를 소망한다. This research presupposes the necessity of Design Center for Medium-sized City(DCMC) that will help medium-sized city business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Korean economy, to be provided effectively and rapidly with necessary design. This, in result, will help improve the businesses` reputation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design. Based on Pohang City, one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at tend to have more clear characteristics compared to metropolitan cities, the needs of practical design of corporations have been drawn. For the methods and range of this research,concerned reports and Internet searches about domestic design centers` process of development, vision and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main supporting business have been made, and the basic guidelines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design supporting business have been organized. Moreover, among the examples of advanced countries like England and Japan, design-supporting business and design-education program in respect of small businesses located in provincial cities have been investigated. Since this research has selected Pohang city as the model for DCMC, Pohang`s general industrial condition has been summarized and organized,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85 Pohang corporations were chosen to survey. Due to the fact that this was the first design-related survey targeting businesses in Pohang area and its purpose was to grasp whether or not DCMC is necessary, the questions were limited to basic subjects related to the current design statu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later made as a graph, analyzed, and proposed. Most of the existing design centers choose the design corporations located within the region as their collaborating enterprise and connect them with small businesses that need design. This, however, is not an appropriate model to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here design-specialized companies are nonexistent. Therefore, it is vital for DCMC to detect the necessity of design in regional businesses and create the design personally. Through this, the raise of design-related labor force for the region will naturally accomplish, and design-venture companies will be able to promote.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about Design Center for Medium-sized City,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for both the local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o be continually hel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regional universities th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ct.

      • KCI등재

        부산시 도시행정에서 디자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

        김광일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3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4 No.37

        디자인행정이 도시행정 조직에 정착하고 있는 시점에서 부산시 도시행정에서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위하여 2013년 10월 현재, 서울시를 비롯한 부산시와 5대광역시, 경남지역 시 단 위 도시의 홈페이지 검색을 통해 국내 도시별 디자인 행정조직 체계와 디자인업무를 조사, 분석하여 부산시의 디자인행정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도시의 디자인행정체계는 서울시의 사례를 근간으로 하여 광역시를 비롯한 시 단위 도시로 확 산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시를 제외한 도시의 디자인행정은 주로 도시정책과 주택건설 업무를 담당하고 있던 부서에 도입되어 도시디자인, 공공디자인, 경관디자인 분야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부산시의 행정조직 에 디자인 업무는 계 단위로 조직되어 있는 실정이며, 디자인의 역할은 도시의 규모에 비교하면 매우 소극적 이며, 미미한 수준이라고 하겠다. 이제 부산시는 시민 삶의 질을 높이고 시민이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국제도시로서의 위상을 갖추기 위하여서는 부산시 행정을 관할하는 단체장의 디자인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국, 실 단위 조직의 디자인행정 조 직을 갖추고, 전문 인력의 배치와 주민이 참여하는 협의체 운영을 통하여 도시행정에서 디자인의 역할을 확대 하여야 할 것을 제안한다. At a point where design administration is settling as a part of city administration, I have undergone research on the role of design within Busan city administration. For this research, as of October 2013, I have uncovered problems in Busan design administration by examining and analyzing web_sites of other cities such as Seoul, the 5 major cities, and other cities in the Kyung Nam Province. As a result of my analyses, domestic metropolitan design administration systems based on that of Seoul, have expanded to other major cities around the nation. Design administrations, with the exception of Seoul, have been incorporated into city planning and residential building related departments, and are actively involved in areas such as urban design, public design and vista design. However, the duties regarding Busan design administration have been organized by a sub-faction, and the role of design is very subtle and introverted compared to the size of the city. Busan should now be able to enrich the lives of the citizens and let them feel happiness. I suggest expanding the role of design in city administration by upgrading the aforementioned sub-faction into a department or office with a broader understanding of design, employing more qualified personnel, and operating citizen-based consultative body in order for Busan to gain the esteem of an international city.

      • KCI등재

        중국 디자인도시의 로고디자인 평가요소가 도시이미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우한시 사례를 중심으로 -

        양서 ( Yang Xu ),구자준 ( Koo Ja J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세계적으로 유명한 도시들의 발전과정에는 ‘문화’,‘창조’,‘디자인’등 같은 키워드가 핵심컨셉으로 자리를 잡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디자인도시’라는 도시브랜딩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상승시키고 이미지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도시들이 늘어나고 있다. 국제적인 기구가 추진하는 ‘디자인도시’사업을 시작한지 불과 10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이미 많은 도시들이 선정을 희망하고 ‘디자인도시’로의 변화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 과정 중 일부가 바로 디자인도시의 로고디자인이다. 본 연구는 중국 디자인도시의 로고디자인 사례의 분석과 실증연구를 통하여 디자인도시의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 또는 수용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로고디자인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최근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에 선정된 중국 우한시(武漢市) 사례를 선택하여 도시 로고디자인의 현황을 조사하고 조사된 내용과 실증연구를 근거로 하여 디자인도시 로고디자인의 각 평가요소가 도시 이미지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사례분석 및 실증분석을 통해서 얻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디자인도시의 로고디자인은 지역만의 특색요소를 사용하였고 다른 도시와 구별되는 조형적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2) 로고디자인 사례에서 컬러를 통해 심미적 수준을 높이다. 3) 로고디자인은 도시가 추구하는 비전, 목표, 특징 등을 고려해서 개발하였다. 4) 로고디자인 활용은 대부분 관련 행사 홍보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5) 실증분석에서 디자인도시의 로고디자인 평가요소인 심미성과 합목적성은 도시이미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으며 독창성과 사용성은 도시이미지 태도에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디자인도시 로고디자인 전략에서 로고의 심미성과 합목적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rough the development of world famous cities, we can consider some keywords such as 'culture', 'creative', 'design' and other similar keywords as the core concept. Especially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cities have been promoting competitiveness and improving their positive images through city brand strategies such as "design city". Although it has been only ten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Design City' project promo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any cities have already joined in and actively promoted the 'Design City' strategy. And the part of “Design City” strategy is the logo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al suggestions of design in order to bring out the positive effects on the attitude of China when Chinese people focus on designing the images of cities through analysis and empirical study of logo design cases in Chinese design cities. The research method is centered on the case of Wuhan, which was recently selected into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city logo design, we can confirm that how each assessment element of design city logo design affects the attitude of city image.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and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1) The logo design of the city is us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it should be designed in a form that distinguishes from other cities. 2) Increasing the esthetic level through colors in logo design case. 3) The logo design should also be developed into considering the goal and features of the city. 4) The use of logo design is mostly used to promote the related propaganda campaigns. 5) In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esthetic and purposefulness of the assessment elements of the logo desig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ttitude of city image. However, the originality and usability do not have effects on the attitude of city image. In conclusion, the esthetics and purposefulness of the logo are the important elements in the city logo design strategy.

      • KCI등재후보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안진근,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2

        세계가 단일 공동체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경쟁 단위로서의 국가 개념보다는 도시를 중심으로 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간의 경쟁은 다양한 도시 마케팅을 통해서 차별화된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고 있으며 그 중심에 공공디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한 중앙정부와 광역시도, 광역시도와 기초 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상호 업무 연계에 관해 연구하고 공공디자인으로 도시이미지 향상에 성공한 해외 도시들과 국내 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방향에 관해 조사하고 효율적인 공공디자인 정책을 제안하려고 한다. 특히 도시이미지 향상을 위해서는 그 도시의 여건과 환경에 적합한 공공디자인 대상이 명확해야 하며 거기에 맞는 공공디자인의 방향과 정책의 운영이 필요하다.도시들의 공공디자인 정책에 꼭 반영되어야 할 내용은 그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건축물과 가로환경, 랜드마크의 보전과 관리, 역사전통지구의 보전 등이며 이러한 사업들이 도시의 경관 이미지를 좌우한다. In the process of a global community, the competition between cities has become more fierce than between countries, as a competition units. This competition between cities has made the differentiated city image with a variety of city marketing, and public design is at the center of city marketing. This paper will study the public design policy and mutual work connection among cental government, metropolitan and metropolitan cities, which are important to implement the public design policy for city image improvement study the public design policy and direction with a case study of Korea and overseas cities, which improved city image successfully, and then suggest a effective public design policy to improve each city's image in the era of local autonomy. Especially to improve the city image, there should be the clear public design's object proper to the condition and circumstances, and direction of public design and policy management. Cities' public policies should reflect the architectures and street environment, reflecting the city's identities, and preservation of landmarks and historical district, which determine the image of cityscape.

      • KCI등재

        도시브랜드 이미지 표현을 위한 철도 역세권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상,남기철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4 산업디자인학연구 Vol.8 No.4

        With the development of the urbanization, the original marketing competition among nations has been refined to the city level. No matter famous cities like New York, London, or unknown new cities, the marketing of the city image has become quite important. The design headquarters has been set up in Seoul in the year 2007 to elevate the city brand competitive force via the promoting policies of the public design. The research target of this study - Railway station Influence area, is the same as airport, place of interest, and it is the important region for displaying the city brand image. Along with the city development, the frequency of utilization of railway station Influence area will be elevated, which is the very valuable research target. This paper consists of theoretical research, case study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range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city brand has been grasped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and research has been performed on the role of public design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city image, referring to the guideline and research report recorded of the public design. Then, case analysis is performed upon the cities with excellent brand image from developed countries, thus, several factors which pose biggest influence upon the recognition of the city brand image. At last, questionnaire surveys and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about these factors among railway station of the four chosen cities. Therefore, the factors which contribute most to show the city brand image are gained from all the public design of the railway station Influence area. All the above has laid good foundation for the design research upon these factors in the future. 도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국가 간 경쟁에서 도시 간 경쟁으로 경쟁의 구도가 바뀌었다. 이에 따라 대도시와 무명의 신도시 모두에게 마케팅이 중요해 졌으며 도시브랜드의 발전전략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형성은 중·장기 발전계획에 의하여 도시의 중요한 관문이나 구역마다 사회계층별 대상자와 사용자에 따라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서울시는 2007년 디자인 총괄본부를 설립하여 도시디자인, 공공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통해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며 도시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구역인 철도 역세권은 공항공간이나 도시 관문구역, 문화명소 등과 같이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홍보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나는 구역 중 하나이며 도시가 발전함에 따라 기차역의 이용률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철도 역세권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연구, 사례조사와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범위 및 방법으로는 첫째, 도시브랜드의 개념과 의미를 파악하고 이미지 형성을 위한 공공디자인의 역할과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고, 공공디자인의 가이드라인 및 연구보고서 등을 살펴보고,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슬로건과 캐릭터디자인 등을 연구하였다. 둘째, 해외 선진도시의 사례조사로 도시브랜드 디자인으로 유명하고 홍보 전략을 잘 수립한 도시를 선택하여 공공디자인의 우수한 사례를 조사하였다. 도시브랜드 인식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공공디자인 요소들을 도출하여 연구 단계—설문조사의 틀로 사용하였다. 대상지 역세권을 직접 방문하여 공공디자인의 자료를 수집하고 설문 결과를 통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역세권의 모든 공공디자인 중에서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표현과 전달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요소를 찾아내어 향후 디자인연구의 기반으로 삼으려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