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생산자 물가와 수입 물가가 우리나라 농산물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비선형 관계 분석

        석준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5 농촌경제 Vol.48 No.2

        본 연구는 국내 농산물 생산자 물가지수와 수입 물가지수가 농산물 소비자 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2004년 4월부터 2024년 12월까지의 월별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선형 및 Quantil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모형을 활용하여 국내 농산물 생산자 물가지수와 수입 물가지수가 농산물 소비자 물가지수에 미치는 장단기, 선형 및 비선형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농산물 생산자 물가지수, 수입 물가지수, 농산물 소비자 물가지수 간에는 장기적 균형관계가 존재하고 국내 농산물 생산자 물가지수가 농산물 소비자 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력은 수입 물가지수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에 70분위 이상의 시기에서 국내 농산물 생산자 물가지수에 장기에 농산물 소비자 물가지수에 미치는 한계 효과는 분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지만, 수입 물가지수가 농산물 소비자 물가지수에 미치는 한계 효과는 분위가 증가함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계 효과의 절대적인 크기는 농산물 생산자 물가지수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 농산물 소비자 물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농산물 생산자 물가지수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agricultural producer and agricultural import price indices on the agricultural consumer price index in Korea using monthly data from April 2004 to December 2024. Using linear and quantil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s, the effects of the domestic agricultural producer price and import price indices on the agricultural consumer price index was studied in terms of short-run, long-run, linear, and non-linear effects. Our results show a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the agricultural producer price, import price, and consumer price indices. The effect of the domestic agricultural producer price index on the agricultural consumer price index is greater than that of the agricultural import price index. While the marginal effec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70th quantile, of the agricultural producer price index on the agricultural consumer price index has an increasing trend with quantiles, that of the agricultural import price index on the agricultural consumer price index has a decreasing trend with quantiles. However, the absolute size of the marginal effect is greater for the agricultural producer price index. These results imply that a stable domestic agricultural producer price index is important to control the agricultural consumer price index.

      • 지자체별 농산물 생산량, 생산면적과 농업기계 보유현황간의 상관관계 분석

        한규강 ( Gyu Gang Han ),조용진 ( Yong Jin Cho ),이준영 ( Jun Young Lee ),김성민 ( Seong Mi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목적 미세먼지는 에너지산업 연소, 제조업 연소, 도로·비도로 이동오염원, 폐기물처리 등 다양한 발생원이 있다. 그중에서 비도로 이동오염원은 포장도로가 아닌 비포장도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농업기계가 주행하거나 농업기계 내연기관의 연소결과물로서 발생하기도 한다. 전국에는 트랙터, 스피드스프레이어,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관리기, 건조기 등 180여만 대의 농업기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기계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원인물질 발생특성을 구명하는데 필요한 지자체별 주요 농산물 생산량, 생산면적과 농업기계 보유현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지자체별 농산물 생산량, 생산면적과 농업기계보유 현황 관련 자료는 통계청, 농촌진흥청 등 관련 기관에서 게재, 발행하는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농산물 생산에는 트랙터, 스피드스프레이어,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관리기, 곡물건조기, 농산물건조기 등의 농업기계가 사용된다. 지자체마다 주로 재배되는 농산물, 생산면적에 따라 사용하는 농업기계의 종류와 크기가 다르며 보유대수의 차이가 있다. 미곡을 주로 생산하는 지자체는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 등 논농사에 필요한 농업기계 보유대수가 비교적 많으며, 과수를 주로 생산하는 지자체는 스피드스프레이어, 관리기, 농산물건조기의 보유대수가 다른 농업기계에 비해 많았다. 또한 각 지자체의 미곡, 서류, 채소, 과실 생산량과 재배면적에 따라 농업기계 보유현황이 다르다. 이는 주로 사용되는 농업기계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각 지역의 농작업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원인물질 발생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미세먼지와 원인물질 발생특성을 구명할 때 지자체별로 주요 농산물 재배에 사용되는 농업기계의 종류와 크기를 선별하여 자료 수집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GIS를 이용한 토양정보 기반의 배추 생산량 예측 수정모델 개발

        최연오,이재현,심재후,이승후 한국측량학회 2022 한국측량학회지 Vol.40 No.5

        This study proposes a deep learning algorithm to predict crop yield using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extract soil properties from Soilgrids and soil suitability class maps. The proposed model modified the structure of a published CNN-R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Recurrent Neural Network) based crop yield prediction model suitable for the domestic crop environment. The existing model has two characteristics. The first is that it replaces the original yield with the average yield of the year, and the second is that it trains the data of the predicted year. The new model uses the original field value to ensure accuracy, and the network structure has been improved so that it can train only with data prior to the year to be predicted. The proposed model predicted the yield per unit area of autumn cabbage for kimchi by region based on weather, soil, soil suitability classes, and yield data from 1980 to 2020. As a result of computing and predicting data for each of the four years from 2018 to 2021, the error amount for the test data set was about 10%, enabling accurate yield prediction, especially in regions with a large proportion of total yield. In addition, both the proposed model and the existing model show that the error gradually decreases as the number of years of training data increases, resulting in improved general-purpose performance as the number of training data increases. 본 연구는 GIS를 통해 토양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농산물 생산량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농산물 생산 량 예측 딥러닝 알고리즘은 공개된 CNN-RNN 농산물 생산량 예측 모델 구조를 변경하여 국내 농산물 자료 환경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구축하다. 기존모델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첫 번째는 농산물의 생산량을 해당 필지 값이 아닌 당해 평균값으로 대체한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예측하는 연도의 데이터까지 학습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모델은 해당 필지의 값을 그대로 사용하여 데이터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예측하고자 하는 연도 이전의 데이터만 가지 고 학습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구조를 개선하다. 제안한 CNN-RNN 모델은 1980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상정보, 토양정보, 토양적성도, 생산량 데이터를 학습하여 김장용 가을배추의 지역별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예측한다. 2018 년부터 2021년까지 4개 연도별 자료에 대하여 계산하고 생산량을 예측한 결과, 테스트 데이터셋에 대한 오차백분율 이 약 10% 내외로 실제값과 비교하여 정확도 높은 생산량 예측이 가능했고, 특히 전체 생산량 비중이 큰 지역에서의 생산량은 비교적 근접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안모델과 기존모델은 모두 학습자료 연도 수가 증가 할수록 점점 오차가 작아지므로 학습데이터가 많아질수록 범용 성능은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 KCI등재

        국산 농산물의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이용학(Lee, Yong-Hak),최광수(Choi, Gwang-Su),나준희(Na, June-Hee)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농산물브랜드의 어떠한 요인들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있으며, 어떠한 과정을 거쳐 농산물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형성되는지를 규명하여 브랜드 농산물의 생산 및 품질관리, 마케팅 전략, 브랜드관리 방안 등을 제시하여 농산물 브랜드의 차별화를 통한 국산농산물 브랜드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생산 측면에서의 농산물 생산지와 소비 측변에서의 매장 형태가 농산물 브랜드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즉, 생산지 및 매장 형태에 따라 소비자들이 농산물의 기능적 속성(가격, 품질, 안전성)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농산물 구입 시 느끼는 불안감의 정도,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충성도 조사 등을 통하여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가격에는 매장 형태 및 생산지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질과 안전성에는 매장 형태와 생산지가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품질은 가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으나, 안전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위험에는 품질과 안전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격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에는 안전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품질과 가격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각된 위험은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신뢰 역시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what factors of full-pledged agricultural product brands heightened the brand loyalty and through what process the agricultural product loyalty was formed an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locally produced agricultural product brands through differentiation of agricultural product brands by presenting the ways to produce agricultural products and quality control, marketing strategies, and brandmanagement. Fromthis viewpoint,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ducing center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aspect of production and the type of stores in the aspect of consumption on the agricultural product brand loyalty. In other words, it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process of forming brand loyalty through examining how consumers evalu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agricultural products (price, quality, safety) according to the type of producing center and stores and through investigating the degree of uneasiness at the time of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s, reliability on brands, and loyalty to brands. A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type of stores and the producing center all were found to have no effects on price, and the type of stores and the producing areas all were found to have very positive effects on product quality and safety. And the quality was found to have no effects on price but have positive effects on safety. The quality and safet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danger but price did not. Safety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reliability but quality and price were found to have no effects on reliability. Particularly, perceived danger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iability, and the degree of brand loyalty, and reliability also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gree of brand loyalty.

      • KCI등재

        생산과정 상상과 소비자 조절초점이 농산물의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

        박기경(Park, Kikyoung)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4

        지역 경제 활성화와 신선한 농산물 수요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농산물 브랜드 전략의 중요성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심적 시뮬레이션 이론에 근거하여 농산물의 품질을 호의적으로 지각하는 조건을 탐구하였다. 즉 농산물의 생산과정과 관련한 상상을 유발하는 브랜드 수식어구의 효과가 소비자 조절초점과 상호작용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향상초점 소비자는 생산과정에 대한 상상이 잘 유발되는 브랜드 수식 어구 조건에서 제시된 농산물의 품질을 더 호의적으로 지각하는 반면, 예방초점 소비자는 생산과정 상상을 유발하는 브랜드 수식 어구에 따른 품질 지각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는 맛에 대한 상상과 지각된 위험이 일정 부분 심리적 기제 역할을 하는데, 이 두 가지 심리적 기제는 조절초점에 따라 분리되어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의 활황 등으로 농산물의 다양한 판매방식이 가능한 환경에서 개인농가와 관련 기업에게 농산물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and fresh food consumption, the importance of brand strategies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This study explores how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production-process imagery and consumers’ regulatory focus occur. According to results, promotion-focused participants perceived higher quality of presented agricultural products under the brand tagline in which the production-process imagery is induced (vs. without the production-process imagery). In contrast,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perceived no different quality of them regardless of the production-process imagery. The imagery of the final benefi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perceived risk appeared as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these results. And these two mechanisms were appeared separately depending on each of consumers’ regulatory focu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dividual farmers and companies to establish the brand strategies of agricultural products with the boom of live streaming commerce.

      • KCI등재
      • KCI등재

        농산물 비용계산에 있어서 원가회계 도입을 위한 이론적 고찰

        이영만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3 No.4

        Production cost in agricultural accounting has been utilized as an index for determining appropriate prices of agricultural products, establishing agricultural policies and providing extension services for farmers. However, it is necessary for the concept of cost accounting to introduce in establishing farm planning and consulting farmers' management. In this paper, I review problems associated with costing rules which are considered as criterion for accounting cost in agriculture and suggest directions for cost accounting in agricultural management. 농산물의 비용계산에서 생산비는 농산물의 적정가격 결정, 농업정책수립의 기초자료 및 농가지도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어 왔지만, 개별 농업경영체의 경영계획수립, 경영진단 등을 위해서는 원가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 그러나 농업부문의 비용계산에서 원가회계의 도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생산비의 목적, 개념, 대상, 기간 등에서 농산물의 원가 산출의 기준이 되는 원가계산준칙과 관련된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농산물의 비용계산을 위한 원가회계의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진려(Li Chen),윤재은(Jae Eun Yoo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4 한국디자인리서치 Vol.9 No.2

        세계적으로 1인당 경작지가 감소하고, 식량 수급이 부족하며,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도시의 작은 경작지와 농작물 생산 부족 사이의 모순이 두드러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 건물을 기반으로 수직 공간에서 농산물을 재배하고, 현대 지능형 농업 생산 모델을 활용한 스마트팜을 연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 귀납법, 분석방법, 사례분석을 사용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스마트팜의 공간구성과 기술적 요소를 결정하고, 귀납법으로 설계 요구사항을 정리한다. 분석방법으로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을 분석하고, 미국 Aero Farms와 일본 Spread 스마트팜의 현황을 사례분석한다. 스마트팜 공간은 농산물 생산 공간, 에너지 공간, 보조 공간으로 구성된다. 농산물 생산 공간은 물리적 환경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하고, 에너지 공간은 도시 폐기물 및 폐수를 재처리해 농작물 관개에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한다. 보조 공간은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정보를 수집하고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연구를 통해 도시에 스마트팜을 건설하면 식량 스트레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마트팜은 농산물 생산공간, 에너지 절약형 공간, 지능형 보조공간으로 구성되며, 농산물 생산 기술, 도시 폐기물 및 폐수 처리 기술, 재생 에너지 포집 기술이 필요하다. 스마트팜 벽에 유리를 사용하면 작물이 더 많은 빛을 받을 수 있고, 스마트 기기로 실내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연구가 도시 공간의 수직 식재 개발을 촉진하고 새로운 농업 혁명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Globally, decreasing arable land, insufficient food supply, and rapid urbanization have intensified the contradiction between small urban farmlands and inadequate crop production. To address this, the study explores vertical crop cultivation in urban buildings using smart farm models. Employing literature review, inductive reasoning, analytical methods, and case studies, the paper determines smart farm spatial compositions and technical elements, analyzes spatial layouts, and examines Aero Farms in the USA and Spread in Japan. Smart farms include crop production, energy, and auxiliary spaces. Crop production spaces meet growth requirements, energy spaces reprocess waste for irrigation, and auxiliary spaces use smart technology to regulate the environment. Urban smart farms can alleviate food stress, using crop production technology, waste treatment, and renewable energy. This study promotes urban vertical planting and a new agricultural revolution.

      • KCI등재후보

        시설원예농가의 GAP 관리기준 이행에 관한 조사연구

        이영만,박중춘,황갑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2 No.4

        Good Agricultural Practice(GAP) is a standard which manages hazard factors possibly coming from production to harvest and packag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GAP is expected to play a role in producing safe agricultural products and in controling damages to environment as well. GAP is also a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to supply safe and sanitary agricultural products to consumers. In this research, we survey farmers producing paprika and strawberry of which the consumption is growing and analyze their implementation of GAP. In addition we suggest the directions and long-term plans to improve the level of the farmers' implementation of GAP.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는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농산물의 생산단계부터 수확 후 포장단계까지 위해요소를 관리하는 기준이며, 또한 GAP제도는 농산물을 안전하게 생산하는 제도일 뿐 아니라 환경에 미치는 위해요소를 관리하는 제도로도 그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리고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는 위해관리 시스템이다. 본고에서는 시설원예농산물 가운데서 특히 생식용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파프리카 및 딸기를 대상으로 재배농가의 GAP의 이행실태를 현장조사를 통하여 분석하고, 향후 시설원예 농가의 GAP 이행 수준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