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の農産物□□市場構造の變化

        윤석곤 ( Seok Gon Yo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2

        한국 농산물유통시장은 지방자치단체장이 개설한 법정도매시장, 민간인이 개설한 민영도매시장, 농협중앙회가 개설한 소비지 공판장과 유사도매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1970년대까지는 유사도매시장이 대부분이었다. 농안법이 제정된 1980년대 이후 현대적 시설의 공영도매시장이 건설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농업생산물의 주요 판매처는 생산지의 산지유통인이었으며 농산물거래는 전근대적 거래관행에 따라 이루어져왔다. 특히 최근 농산물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농산물 거래는 도매시장, 중간도매상의 점유비중이 매년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농산물 공급과잉 현상이 구조적인 문제로 인식되면서 소비자의 소비패턴에 따라 생산이 좌우되는 시대가 되었다. 농산물시장에서 농업생산자는 기업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규모 농장을 소유하고 있어 기업농의 형태로까지 발전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규모가 영세한 농업생산자 형태가 많다. 농업생산자는 이윤을 추구하고 획득하는 기업농이 아니라 생산 활동의 목적이 생계유지에 머물러 있는 소농이 일반적이다. 즉 경제학의 경쟁시장 원리를 여과 없이 농산물시장에 적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한국의 경우 주요 농산물의 가격을 결정하는 데에 정부가 적극 개입하여 왔다. 국제 무역협상 과정에서 농업부문의 협상이 타결되기 어려운 것도 현실적으로 자국의 농업생산자 보호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통구조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농업생산자에 대한 요구사항을 살펴보았다. 즉 요구사항은 농산물의 균일성, 신선도 유지, 고품질 생산, 물량 공급 능력 향상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소비자가 구입 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즉시 구입할 수 있도록 농산물의 생산지에서 출하품에 대하여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With distribution condi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production areas and consumption areas rapidly changing, relative importance of wholesale market distribution has decreased. However, in spite of change in distribution of production areas and consumption areas, wholesale markets play an important role. Therefore, wholesale markets will be expected to be balanced with other distributors. That is, despite change in a distribution circumstance, suppliers and retailers need to have wholesale markets. This study examined current status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and change in wholesale market structure and suggested how to solve those challenges in line with changing distribution situation.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market of Korea is composed of public wholesale markets established by chief executives of local governments, private wholesale markets established by individuals, joint markets established by Nonghyup and similar wholesale markets. However, similar wholesale markets were the most common type until 1970s but public wholesale markets have been constructed from 1980s since Act on the Marketing and Price Stabilization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was established in 1976. Traditionally, major customer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are collectors of production sites and transa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been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premodern transaction practices. However, as a distribution circumstance changes, transa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shows that occupancy of wholesale markets and middle wholesale markets has decreased every year. In addition, requirements for producers include uniformity of products, freshness, high quality and ability to supply products. Moreover, production sites require certain jobs so that customers can buy their desired products directly from production sites. In short, wholesale markets must reflect these requirements and respond to their structural changes aggressively. When putting the influence the third chang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exerts on a agricultural product marketing section in order, it seems to be the next. When foreign agricultural produce import expands, there is a fear that domestic agricultural produce production shrinks. The pre- vious phenomenon is accelerationized by agreement of agricultural negotiations, and there are domestic subsidy reduction and a fear that a possibility of the fluctuation of price of relevant agricultural produce will rise further by decrease of political support to a price quiet temple trade in particular. A safety problem of import agricultural produce is raised. A market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e distribution industry company can eat a silkworm by foreign large-scale distribution industry company``s and agricultural produce Major``s and others going into the country by a service industry and opening in a domestic capital market. A new distribution business system increases a discount store at the retail stage, and retail trade trunk competition gets intensified.

      • KCI등재

        GIS를 이용한 토양정보 기반의 배추 생산량 예측 수정모델 개발

        최연오,이재현,심재후,이승후 한국측량학회 2022 한국측량학회지 Vol.40 No.5

        This study proposes a deep learning algorithm to predict crop yield using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extract soil properties from Soilgrids and soil suitability class maps. The proposed model modified the structure of a published CNN-R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Recurrent Neural Network) based crop yield prediction model suitable for the domestic crop environment. The existing model has two characteristics. The first is that it replaces the original yield with the average yield of the year, and the second is that it trains the data of the predicted year. The new model uses the original field value to ensure accuracy, and the network structure has been improved so that it can train only with data prior to the year to be predicted. The proposed model predicted the yield per unit area of autumn cabbage for kimchi by region based on weather, soil, soil suitability classes, and yield data from 1980 to 2020. As a result of computing and predicting data for each of the four years from 2018 to 2021, the error amount for the test data set was about 10%, enabling accurate yield prediction, especially in regions with a large proportion of total yield. In addition, both the proposed model and the existing model show that the error gradually decreases as the number of years of training data increases, resulting in improved general-purpose performance as the number of training data increases. 본 연구는 GIS를 통해 토양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농산물 생산량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농산물 생산 량 예측 딥러닝 알고리즘은 공개된 CNN-RNN 농산물 생산량 예측 모델 구조를 변경하여 국내 농산물 자료 환경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구축하다. 기존모델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첫 번째는 농산물의 생산량을 해당 필지 값이 아닌 당해 평균값으로 대체한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예측하는 연도의 데이터까지 학습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모델은 해당 필지의 값을 그대로 사용하여 데이터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예측하고자 하는 연도 이전의 데이터만 가지 고 학습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구조를 개선하다. 제안한 CNN-RNN 모델은 1980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상정보, 토양정보, 토양적성도, 생산량 데이터를 학습하여 김장용 가을배추의 지역별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예측한다. 2018 년부터 2021년까지 4개 연도별 자료에 대하여 계산하고 생산량을 예측한 결과, 테스트 데이터셋에 대한 오차백분율 이 약 10% 내외로 실제값과 비교하여 정확도 높은 생산량 예측이 가능했고, 특히 전체 생산량 비중이 큰 지역에서의 생산량은 비교적 근접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안모델과 기존모델은 모두 학습자료 연도 수가 증가 할수록 점점 오차가 작아지므로 학습데이터가 많아질수록 범용 성능은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 지자체별 농산물 생산량, 생산면적과 농업기계 보유현황간의 상관관계 분석

        한규강 ( Gyu Gang Han ),조용진 ( Yong Jin Cho ),이준영 ( Jun Young Lee ),김성민 ( Seong Mi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목적 미세먼지는 에너지산업 연소, 제조업 연소, 도로·비도로 이동오염원, 폐기물처리 등 다양한 발생원이 있다. 그중에서 비도로 이동오염원은 포장도로가 아닌 비포장도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농업기계가 주행하거나 농업기계 내연기관의 연소결과물로서 발생하기도 한다. 전국에는 트랙터, 스피드스프레이어,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관리기, 건조기 등 180여만 대의 농업기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기계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원인물질 발생특성을 구명하는데 필요한 지자체별 주요 농산물 생산량, 생산면적과 농업기계 보유현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지자체별 농산물 생산량, 생산면적과 농업기계보유 현황 관련 자료는 통계청, 농촌진흥청 등 관련 기관에서 게재, 발행하는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농산물 생산에는 트랙터, 스피드스프레이어,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관리기, 곡물건조기, 농산물건조기 등의 농업기계가 사용된다. 지자체마다 주로 재배되는 농산물, 생산면적에 따라 사용하는 농업기계의 종류와 크기가 다르며 보유대수의 차이가 있다. 미곡을 주로 생산하는 지자체는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 등 논농사에 필요한 농업기계 보유대수가 비교적 많으며, 과수를 주로 생산하는 지자체는 스피드스프레이어, 관리기, 농산물건조기의 보유대수가 다른 농업기계에 비해 많았다. 또한 각 지자체의 미곡, 서류, 채소, 과실 생산량과 재배면적에 따라 농업기계 보유현황이 다르다. 이는 주로 사용되는 농업기계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각 지역의 농작업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원인물질 발생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미세먼지와 원인물질 발생특성을 구명할 때 지자체별로 주요 농산물 재배에 사용되는 농업기계의 종류와 크기를 선별하여 자료 수집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국산 농산물의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이용학(Lee, Yong-Hak),최광수(Choi, Gwang-Su),나준희(Na, June-Hee)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농산물브랜드의 어떠한 요인들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있으며, 어떠한 과정을 거쳐 농산물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형성되는지를 규명하여 브랜드 농산물의 생산 및 품질관리, 마케팅 전략, 브랜드관리 방안 등을 제시하여 농산물 브랜드의 차별화를 통한 국산농산물 브랜드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생산 측면에서의 농산물 생산지와 소비 측변에서의 매장 형태가 농산물 브랜드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즉, 생산지 및 매장 형태에 따라 소비자들이 농산물의 기능적 속성(가격, 품질, 안전성)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농산물 구입 시 느끼는 불안감의 정도,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충성도 조사 등을 통하여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가격에는 매장 형태 및 생산지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질과 안전성에는 매장 형태와 생산지가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품질은 가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으나, 안전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위험에는 품질과 안전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격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에는 안전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품질과 가격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각된 위험은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신뢰 역시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what factors of full-pledged agricultural product brands heightened the brand loyalty and through what process the agricultural product loyalty was formed an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locally produced agricultural product brands through differentiation of agricultural product brands by presenting the ways to produce agricultural products and quality control, marketing strategies, and brandmanagement. Fromthis viewpoint,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ducing center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aspect of production and the type of stores in the aspect of consumption on the agricultural product brand loyalty. In other words, it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process of forming brand loyalty through examining how consumers evalu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agricultural products (price, quality, safety) according to the type of producing center and stores and through investigating the degree of uneasiness at the time of purchasing agricultural products, reliability on brands, and loyalty to brands. A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type of stores and the producing center all were found to have no effects on price, and the type of stores and the producing areas all were found to have very positive effects on product quality and safety. And the quality was found to have no effects on price but have positive effects on safety. The quality and safet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danger but price did not. Safety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reliability but quality and price were found to have no effects on reliability. Particularly, perceived danger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liability, and the degree of brand loyalty, and reliability also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gree of brand loyalty.

      • KCI등재

        명품 브랜드의 성공요인, 생산자의 평판 및 장기지향성 간의 관계 - 농산물 브랜드를 중심으로 -

        권기대,김신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배경은 항상 ‘경기둔화에도 명품 브랜드의 매출 은 멈추지 않고 있다’라는 보도기사를 접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의류, 화장품, 향수, 시계 등의 분야에서는 명품 브랜드의 연구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다만, 우리 인간 의 의식주(衣食住)라는 삶의 3가지 축의 하나인 먹거리에서 명품 농산물 브랜드의 연구는 다소 소홀한 점이 없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명품 농산물 브랜드의 성공요인, 생산자의 평판 및 장기지향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 구방법은 선행연구의 토대 하에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고, 설 문의 개발하였다. 설문은 충남 소재 K대학교의 브랜드 수강 자 191명 대학생들을 대상으로부터 회수된 설문을 통계분석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가설 1의 ‘명품 농산물 브랜드의 성공요인(우월성, 희소성, 차별성, 전통성, 지역성)은 생산자 의 평판에 정(+)의 관계일 것이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채 택되었다. 특히 통계 t값을 두고 볼 때, 우월성>차별성>희소 성>지역성>전통성의 순으로 생산자의 평판에 영향 정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가설 2의 ‘농산물 생산자의 평판은 장기지향성에 정(+)의 관계일 것이다’는 통계적으로 지지되 었다. 생산자의 평판은 장기지향성의 동반적 사고가 지배하 는 관계적 거래로 볼 때(Genasan, 1994), 소비자는 평판이라 는 신뢰의 시그널(Signal)에 매우 의존하고 있음을 공감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전략적 함의는 첫째, 농림축산식품분야에서 명품 농산물 브랜드의 개발은 불확실한 시장수요를 예측하게 해주는 해법(解法)일 수 있다. 둘째, 농산물 생산조직들은 명 품 농산물 브랜드의 성공 요인(우월성, 희소상, 차별성, 전통 성, 지역성)을 만족시키는 전제조건일 수 있는 해당 품목의 엄격한 품질 및 기능성 개발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This study was followed by a newspaper article titled, ‘Despite the economic slowdown, sales of luxury brands are not stopping’. Since then, luxury agricultural brands have sought success in the dark. As a result of the prior study, we could easily find research on luxury brands in areas such as clothing, cosmetics, perfumes, watches, etc. There has been no research of premium agricultural bran ds in food, one of the three pillars of our human life: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 purpose of the study empiricall y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ccess factors of luxury agricultural brands, producers' reputation and l ong-term orient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to revie w the preceding research and set up the research theory and conduct a technical surve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urvey. The survey included 191 college students from K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who were collected from the university. The empirical analysis resu lts are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s ‘The success fact or of a brand of luxury agricultural products were adopte d statistically with a positive relationship to the producer 's reputation’.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mpact on the producer's reputation was noted in the order of superiority>differentiation>scarcity>locality>tra ditionality. Second, It was statistically supported in Hypo thesis 2 that 'the reputation of agricultural producers wo uld be a positive relationship to long-term orientation'.

      • KCI등재
      • KCI등재

        농산물의 원가계산 사례와 교육 활성화에 대한 연구

        윤석곤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농산물의 원가계산 사례와 활용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오늘날 농업 경영의 중요한 과제는 농산물의 가격경쟁력을 높여 소비자에게 판매를 확대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익창출 방법 중 하나는 생산 원가를 절감하여 농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농산물 원가계산 시스템과 원가계산 사례를 살펴보고, 농업 원가회계에 따른 농산물의 원가 개념에 대하여 인식의 변화를 조사하여 활용 방안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식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농업에 활용 할 수 있는 표준원가의 인식도에서는 개인농업의 경우 축산 농가에 비해 과수 농가가 경력에 상관없이 표준원가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법인농업의 경우 경력이 5년 이내는 축산 농가와 과수 농가가 표준원가의 인식도에 차이가 없었지만 경력이 5년 이후에는 과수 농가에 비해 축산 농가가 표준원가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농업경영자들은 농업 경영시 원가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조차 정립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발전가능성이 높은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농산물 원가계산에 대한 교육을 확대하여 농업경영자가 효율성이 높은 농업 경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농산물 원가계산 교육을 통하여 농업 경영에 적극 활용하여 농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An important assignment of today‘s agricultural management is about expanding sales to consumers by enhanc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cost competitiveness. One of the methods to achieve that goal is to reduce cost of production and enhance agriculture‘s competitiveness. In this research, we examine cost accounting system and cost accounting cas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suggest a change in recognition on agricultural products’ concept of costs and application methods in terms of agricultural cost accounting. Our analysis on cost accounting recognit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in terms of recognition on standard cost applicable to agriculture, compared to fruit farmers, livestock farmers had higher recognition on standard cost regardless of experience. For corporate agriculture, farmers under 5 years experience had no difference on standard cost recognition between livestock and fruit farmers, whereas for farmers with 5+ years of experience livestock farmers had higher recognition than fruit farmers. These results reveal that agricultural managers in Korea lack any basic concept of cost of production when managing agricultural businesse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griculture with high potential to grow, government must activate agricultural cost accounting by expanding cost accounting education so that agricultural farmers and managers can efficiently manage their agricultural businesses.

      • KCI등재

        생산과정 상상과 소비자 조절초점이 농산물의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

        박기경(Park, Kikyoung)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4

        지역 경제 활성화와 신선한 농산물 수요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농산물 브랜드 전략의 중요성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심적 시뮬레이션 이론에 근거하여 농산물의 품질을 호의적으로 지각하는 조건을 탐구하였다. 즉 농산물의 생산과정과 관련한 상상을 유발하는 브랜드 수식어구의 효과가 소비자 조절초점과 상호작용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향상초점 소비자는 생산과정에 대한 상상이 잘 유발되는 브랜드 수식 어구 조건에서 제시된 농산물의 품질을 더 호의적으로 지각하는 반면, 예방초점 소비자는 생산과정 상상을 유발하는 브랜드 수식 어구에 따른 품질 지각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는 맛에 대한 상상과 지각된 위험이 일정 부분 심리적 기제 역할을 하는데, 이 두 가지 심리적 기제는 조절초점에 따라 분리되어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의 활황 등으로 농산물의 다양한 판매방식이 가능한 환경에서 개인농가와 관련 기업에게 농산물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and fresh food consumption, the importance of brand strategies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This study explores how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production-process imagery and consumers’ regulatory focus occur. According to results, promotion-focused participants perceived higher quality of presented agricultural products under the brand tagline in which the production-process imagery is induced (vs. without the production-process imagery). In contrast,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perceived no different quality of them regardless of the production-process imagery. The imagery of the final benefi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perceived risk appeared as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these results. And these two mechanisms were appeared separately depending on each of consumers’ regulatory focu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dividual farmers and companies to establish the brand strategies of agricultural products with the boom of live streaming commerce.

      • KCI등재

        농산물 비용계산에 있어서 원가회계 도입을 위한 이론적 고찰

        이영만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3 No.4

        Production cost in agricultural accounting has been utilized as an index for determining appropriate prices of agricultural products, establishing agricultural policies and providing extension services for farmers. However, it is necessary for the concept of cost accounting to introduce in establishing farm planning and consulting farmers' management. In this paper, I review problems associated with costing rules which are considered as criterion for accounting cost in agriculture and suggest directions for cost accounting in agricultural management. 농산물의 비용계산에서 생산비는 농산물의 적정가격 결정, 농업정책수립의 기초자료 및 농가지도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어 왔지만, 개별 농업경영체의 경영계획수립, 경영진단 등을 위해서는 원가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 그러나 농업부문의 비용계산에서 원가회계의 도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생산비의 목적, 개념, 대상, 기간 등에서 농산물의 원가 산출의 기준이 되는 원가계산준칙과 관련된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농산물의 비용계산을 위한 원가회계의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