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ekkebo의 기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사업의 초기(1955-1965)

        성민선 ( Min Sun Sung )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사회복지리뷰 Vol.15 No.-

        본 글은 6.25전쟁 이후 한국의 초기 사회사업을 이끌었던 한 외원기관의 대표가 직접 남긴 기록을 소개하여 기록의 시기인 1955년부터 1965년 사이에 우리나라의 사회사업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살피기 위한 것이다. 기록자 곧프레드 렉케보(Gotfred Rekkebo)는 6.25 전쟁 중 참전한 노르웨이 의료진의 일원이었으며 귀국 후 다시 한국을 찾아 17년간 머물며 특별히 기독교인으로서 케이스워크 방법을 실천하는 교회 사회사업가 혹은 기독교사회사업가의 교육과 훈련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었다. 그는 노한협회(Norwegian Korean Association)를 통해 우리나라 최초로 의료사회사업을 시작했고 의료사회사업가를 육성했으며 한국케이스워커협회를 창설하였다. 그는 캐나다유니테리언한국봉사회(USC)의 업무를 대행했고 USC 회장 조기동을 발굴하고 키운 장본인이며 한국 전체의 사회사업 발전을 위한 토대를 놓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그는 10년간의 기록을 남김으로써 그 기간 동안 한국의 사회사업계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그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본 글은 그의 기록을 중심으로 시기별 그의 활동과 공헌에 대해 다룬다. 또한 그의 당시 한국 사회 및 한국 사회사업의 실상에 대한 소회를 살펴보며, 이러한 기록에 나타난 당시의 문제점들이 현재의 사회사업 실천 상황에 주는 함의도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nd review what happened in Korean social work during the period of 1955-1965, based on a report written by Mr. Gorfred Rekkebo, the then leader of the Norwegian Korean Association. The title of the original report which was written in Norwegian language and translated in English latter is ``Social Work in Korea 1955-1965.`` The recorder Rekkebo participated in the Norwegian medical team during Korean War in 1951 for seven months, came back to Korea in 1955 and worked as the Representative of Norwegian Korean Association for twelve years. He was a nurse himself, and also as a Diakon he was concerned in training church social workers in Korea. Instead of developing church social workers, however, he began to hire Korean social workers for various projects to help needy people, resulting in the initiation of medical social work in Korea as well as the founding of the Korean Caseworkers Association. Furthermore, he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Ki-Dong Cho whom he worked with all those years and who latter became the leader of the USC(Unitarian Service Committee Korean Chapter). This article deals with the activities and roles of Rekkebo so that we can better understand our history as observed and recorded by him. In the mean time, an endeavor to figure out some implications of the past upon the current social work situation in Korea will be briefly given.

      • 고트프레드 레키보(Gotfred Rekkebo)의 『한국 사회사업 1955~1965』 고찰

        최원규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8 사회복지역사연구 Vol.1 No.1

        이 글은 노르웨이 부제(deacon)이자 간호사·사회사업가로 1955년부터 1972년까지 한국에서 활동한 고 트프레드 레키보(Gotfred Rekkebo, 1911~1993)의 사회사업 관련 활동에 관한 것이다. 그는 1950년 에 발발한 한국전쟁에 간호사로 파견되었다. 그는 현임 사회사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별사회사업 (social case work)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들을 병원, 고아원, 지역사회복지관 등에 파견하고, 그들에 대한 슈퍼비젼을 제공하였다. 1959년에는 그가 훈련시킨 개별사회사업가들과 함께 한국개별사회사업가 협회(Korea Case Workers’ Association)를 만들어 1967년 한국사회사업가협회 발족의 한 축을 담당 하였다. 17년(1955-1972)에 달하는 한국에서의 레키보의 활동은 한국 사회사업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여로 평가되는데, 특히 병원 기반의 의료사회사업의 출발을 이룩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서울 마 포와 전남 목포 등지에서 그의 활동은 오늘날 수백개에 이르는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의 원형으로 자리매 김할 수 있다. 아울러 목포에서의 MAVA의 결성은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 한편 교육훈련의 방법론과 관련하여 볼 때, 현장의 사례들에 대한 토의를 중심으로 한 그의 노력은 실용적, 실천적 사회사업 교육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이론교육 중심이 라는 비판을 받아 온 한국 사회사업 대학교육과는 대비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on Gotfred Rekkebo’s social work activities in Korea from 1955 to 1972. He was a deacon, a nurse, and a social worker from Norway. He was sent to Korea as a nurse during Korean War of 1950. He conducted social work training for the active social workers. He dispatched them to hospitals, orphanages,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provided them with a supervision. In 1959, he created the Korea Case Workers' Association, along with individual social workers who were trained by him. He was responsib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in 1967. 17 years(1955-1972) of Rekkebo’s activities in Korea could be evaluated as a contribu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social worker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start of the hospital-based medical social work in Korea had been achieved by his endeavors. His activities in Mapo area in Seoul and Mokpo city in Chonam province could be regarded as the prototypes of hundred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MAVA in Mokpo city wa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a network for promoting community welfare.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methodology of social work education and training, it could be concluded that his efforts centered on discussion of cases in the field were a practical method of social work education. This was contrasted with the Korean social work education, which had been criticized as the theoretical education centered.

      • KCI등재

        초기 露韓辭典의 편찬 經緯 및 체제와 구조

        곽충구(Kwak Chung-Gu) 한국사전학회 2006 한국사전학 Vol.- No.7

        The compilations of early Russian-Korean dictionaries had relation with Korean diaspora to the Far East. The dictionaries are compiled so as to govern Korean and to teach Russian language, to preach Russian Orthodox to Korean residing in the Russian territory, and are compiled for political and military purpose. So these Russian-Korean Dictionaries were different in the purpose of compilation, compiler, user, structure of dictionary and Korean dialect from other bilingual dictionaries. Opyt Russko-Korejskago Slovarja which was published at Sankt-Peterburg in 1874 by M. Putsillo, is the first bilingual dictionary of Korean. It was based Translation of A Comparative Vocabulary of Chinese, Corean and Japanese 朝鮮偉國字彙 (Batabia: 1834). Opyt Kratkago Russko-Korejskago Slovarja compiled by The Association of Russian Orthodox published for the purpose of teaching Russian to Korean students in the Far East. Korean in these dictionaries were the narrowly transcribed colloquial Yukcin dialect or North-eastern dialect in Hamgyeong North Province. Two Russian-Korean dictionaries are important as well to the history of Korean bilingual Lexicography as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