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요의 불확실성과 노동시장의 동학 : 불확실성의 노동시장 내 배분 구조와 변화 양상

        안정화 한국산업노동학회 2011 산업노동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분석 초점은 상품시장의 수요를 예상된 수요와 예상치 못한 수요로 구분한 뒤에 각각의 수요에 대응하여 기업이 노동에 대한 수요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그리고 노동에 대한 수요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현재 노동시장의 성격을 밝히는데 있다. 분석 결과들은 수요의 불확실성에 따른 노동의 변동이 1997년 이후 대체적으로 커졌는데, 특히 비정규직, 여성 등 취약계층이 그러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1997년 이후기업들의 노동력 수요에 대한 노동의 대응력이 약화되었으며, 노동의 대응 역시 이중화되어 비정규직, 여성일수록 시장의 불확실성에 더욱 취약해졌음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들은 1997년 이후 계수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해진 변수들이 많음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상품시장의 수요와 해당노동에 대한 수요가 좀 더 긴밀한 연관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분석결과는 제조업 여성의 고용이 1997년 위기 이후 예상된 상품수요와 예상치 못한 상품수요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해졌음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제조업 여성노동자의 노동력이 생산구조에 보다 긴밀히 편입되었으며, 예상된 상품수요와 예상치 못한 상품수요에 여성노동력의 수요가 체계적으로 조응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예상치 못한 수요에 노동이 연관되어졌다는 것은 상품시장에서의 수요의 불확실성이 노동력의 수급을 통해 완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특히 비정규직, 여성 등과 같은 취약계층이 다른 노동자들에 비해 예상치 못한 상품수요에 더욱 크게 반응하게 되었다는 것은 상품시장에서의 수요의 불확실성이 노동하층에 보다 많이 배분됨으로써 노동시장이 더욱 불평등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노동시장의 하층에 의존하는 생산구조, 즉 저임금과 불안정한 고용의 강제가 가능한 노동하층의 취약한 노동시장 내에서의 지위, 그것의 활용에 의존하는 생산구조 그리고 그것이 유지되도록 하는 관계구조에 변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 물류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 분석

        이종성(Lee, Jong Seong),유일선(Yoo, Il Seon),정치환(Jung, Chie Hwa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2

        경제성장이 고도화되면 일반적으로 산업구조는 제조업에서 서비스산업으로 변화한다. 한국의 각 산업별 노동시장을 살펴보면 이런 현상이 명확히 나타나고 있다. 특히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산업에서 물류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물류산업의 노동시장에서 대졸여부에 따른 임금격차가 존재하고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 통계자료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동산업의 노동시장이 학력에 따라 분절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적자본론을 적용하여 고졸이하를 인적자본이 없는 저학력 노동으로, 대졸이상을 인적자본이 체화된 고학력노동으로 구분하여 독립 생산요소로 설정하였다. 이런 전제하에 3요소(자본, 저학력 노동자, 고학력 노동자) 콥-다글라스 생산함수를 상정하고, 외생변수로 산출량, 세계화와 중립적 기술진보를 포함한 학력별 노동수요 추정식을 유도하여 결정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추정결과 물류산업에서는 생산요소의 상대가격(, , )과 같은 노동시장의 내적요인이 저학력노동수요와 고학력노동수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반면 산출량, 세계화와 기술진보와 같은 물류산업의 외생적 변화가 물류산업의 학력별 노동시장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산출량변화에 대해 저학력노동수요가 고학력노동수요보다 더 탄력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세계화 진전은 고학력노동수요의 증가로 나타났고 기술진보는 저학력노동수요의 감소와 고학력노동수요의 증가에 영향을 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첫째 경기변동에 따라 저학력노동수요 변화가 더 심하기 때문에 저학력 노동의 고용안정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기술진보는 생산성을 향상시켜 총생산량을 높이지만 물류산업 노동시장에서는 저학력 노동수요의 감소로 실업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대비한 노동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세계화의 진전은 고학력노동수요의 증가를 유발하므로 물류산업에 필요한 인재양성정책이 필요하다. When economic growth is advanced, the industrial structure generally changes from manufacturing industry to service industry. Looking at the labor market of each industry in Korea, this phenomenon is clearly evident.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he logistics industry is highlighted in the Korean industr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trade. Statistics confirm that the educational wage discrepancy exists and is deepening in the labor market of the logistics industry. This means that the labour market in this industry has been divided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By applying human capital theory, high school graduates or lower were divided into low-educated labor without human capital, and college graduates or higher into high-educated labor with embodied human capital. Under this premise, the three factors (capital, low-educated, high-educated labor)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was postulated and the analysis on labor demand determinants by educational background, was carried out including output, globalization and neutral technical progress. As a result, the relative prices of production factors did not affect the demand of low-educated labor and high-educated labor in the logistics industry. On the other hand, exogenous changes in the logistics industry, such as output, globalization and technical progres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abor market by academic background of the logistics industry. In other words, demand of low-educated labor affects changes more flexibly than demand of high-educated labor. Globalization leads to the increase in demand of high-educated labor, while technical progress leads to the decrease in demand of low-educated labor and the increase in demand of high-educated labor. Based on these estimates, the following policies can be suggested: First, employment stabilization policies for low-educated labor are needed because demand of low-educated labor is more severe due to economic fluctuations. Second, technical advances increase total production by improving productivity, but labor policies are needed in preparation for this because unemployment can occur due to a decrease in low-educational labor demand. Third, globalization causes an increase in demand of high-educated labor, so a human resources training policy necessary for the logistics industry is needed.

      • KCI등재

        세계화와 인적자본이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 한국 제조업을 중심으로

        이상호,유일선,양첸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S

        In the labor market of the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USA and Korea, wage differentials by academic background is widening. This paper aims to analyze what factors have effects on educational labor demand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For this analysis, the labor market is segregated into two labor markets-high-educated labor and low-educated labor-, based on human capital theory. Multi factor-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is built up to derive the stochastic estimation model to estimate the given parameters which includes economic implication. The estimat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w-educated labor has complementary relation with high-educated labor, while high-educated labor has substitutive relation with physical capital. Second, the change in the amount of production affects the demand of low-educated labo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lmost not affecting that of high-educated labor. Third, neutral technical progress has effects on increasing the demand of high-educated labor and decreasing that of low-educated labor. Several policy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when economic repression is spreaded widely, the production quantity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is contracted rapidly. It induces the unemployment of low-educated labor, relative to high-educated labor. Therefor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the employment promotion policy for low-educated labor in the repressed economic situation. Second, the reduction of investment may reduce the price of physical capital because of lack of capital demand. Then the demand of high-educated labor can be decreased because of substitutive relation with physical capital, which can leads to demand of low-educated labor complementary to high-education labor. So government need to implement the investment policy which can encourage both labor to be hired to prepare for economic slowdown. Third, Globalization induces the increase of demand of high-educated labor and the decrease of low-educated labor. The promotion policy to employ the low-education labor should be prepared.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과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학력별 노동 간 임금격차가 심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 제조업 노동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학력별 임금격차를 바탕으로 인적자본론에 근거하여 저학력노동시장과 고학력노동시장으로 분절하고 학력별 노동수요가 어떤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를 실증분석하였다. 먼저 저학력노동과 고학력노동으로 나누어 제조업의 학력별 임금격차를 설명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저학력노동, 고학력노동과 물적자본을 생산요소로 하고 외생변수로 중립적 기술진보와 세계화를 포함한 다요소 Cobb- Douglas 생산함수를 설정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비용함수를 구하고 학력별 노동수요함수를 유도하여 통계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추정결과는 첫째 저학력노동(고졸이하)과 고학력노동(대졸 이상) 간에는 보완적 관계가, 물적자본과 고학력노동(대졸이상) 간에는 대체적인 관계가 성립하였다. 둘째 제조업 생산량은 저학력노동 수요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고학력노동 수요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셋째 세계화는 고학력노동 수요를 증가시키고 저학력노동 수요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립적 기술진보는 고학력수요를 증가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저학력노동 수요에 거의 미치지 못했다. 이런 결론을 바탕으로 정책적 제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침체 때 생산량이 줄어들면 이에 따라 저학력노동 수요가 감소하고 실업이 발생한다. 이런 상황에 대응하여 저학력노동 고용촉진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투자가 감소하면 자본수요가 줄어들어 자본가격이 하락한다. 고학력노동의 상대가격이 상승하여 고학력노동 수요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보완관계인 저학력노동 수요도 감소하게 되므로 투자촉진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세계화가 진전될수록 저학력노동의 수요가 감소하므로 저학력노동 고용증진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 주요 산업의 학력별 인적자원 배분 결정요인 분석

        권영규,백창현,유일선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9 No.5

        Since the 1990s, Korean economy has moved to service industry and educational wage discrepancy has been widen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educational labor demands, labor was divided into high-educated() and low-educated labor() based on human capital theory. The Cobb-Douglas function, with physical capital(K), , and , was assumed and educational labor demand’s functions, including output(Q), globalization(G) and technological progress as exogenous variables, were induced. The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labor demands in Korea's three major industries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financial industries) were compared and empirical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in terms of three major industries, the following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First,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labor demand market is changing, influenced by exogenous factors such as production volume, technology change, and globalization rather than the relative price of production factors. Second, the increase (decrease) in produc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demand for high-educated and low-educated labo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echnological progress had the greatest crowd-out effect of low-educated labo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employment increase effect of high-educated labor in the financial industry. Third, globalization had an employment increase effect onf low-educated and high-educated labo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on high-educated labor in the financial industry, but it h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 educational labor demand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employment in major Korean industries are provided. First, government policies or corporate strategies through changes in factor relative prices are bound to be limited because the impact on educational labor demands is insignificant. Second, due to technological progress, the manufacturing industry needs to manage corporate labor according to the crowd-out effect of low-educated labor. On the other hand, in the financial industry, lab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at the corporate level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at the government level to prepare for the employment increase effect of high-educated labor due to technological progress and globalization. Third, since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sensitive to the economy, an employment stabilization strategy is needed to prepare for the economic recession. 1990년대 이후 한국경제에서 경제 서비스화와 학력별 임금격차 확대 현상이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학력별 노동수요의 결정요인분석을 위해 먼저 인적자본론을 바탕으로 노동을 고학력노동과 저학력노동으로 분리하였다. 생산함수는 콥-다글라스 함수로 가정하고 생산요소는 물적자본(K), 저학력노동()과 고학력노동()으로 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외생변수로 기술진보(t), 산출량(Q)과 세계화()를 상정한 학력별 노동수요함수를 도출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로그선형회귀모형을 설정하고 한국의 주요 3개 산업(제조업, 건설업, 금융업)의 학력별 노동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3개 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 결정요인을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학력별 노동수요는 생산요소 상대가격보다는 생산량, 기술변화와 세계화 등 외생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고학력노동수요 중심의 노동시장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학력별 노동의 상대임금이 학력별 노동수요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을 정도로 학력별 노동시장은 분절되어 있다. 둘째, 생산량 증가(감소)는 건설업의 고학력노동과 저학력노동수요에 가장 큰 고용증가(구축)효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건설업이 경기변동에 가장 민감한 산업임을 알 수 있다. 기술진보는 제조업의 저학력노동에 가장 큰 고용구축효과를, 금융업의 고학력노동에 고용증가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세계화는 제조업에서 저학력노동과 고학력노동의 고용증가효과를, 금융업에서는 고학력노동의 고용증가효과를 가져왔지만 건설업에서는 학력별 노동수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주요 산업의 고용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요소 상대가격 변화를 통한 정부정책이나 기업전략은 학력별 노동수요에 대한 영향이 미미하여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둘째, 기술진보로 인해 제조업에서는 저학력노동의 고용구축효과에 따른 기업의 노무관리가 필요하다. 반면 금융업에서는 기술진보와 세계화로 인한 고학력노동의 고용증가효과에 대비하기 위해 기업차원에서는 기존노동의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이, 정부차원에서는 인재양성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건설업은 경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경기호불황에 대비하기 위한 기업의 고용안정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 건설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의 결정요인 분석

        이태희(Lee Tae Hee),유일선(Yoo Il Seon),유태경(Yoo Tae Kyu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8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5 No.1

        한국사회에서 현재 소득불평등에 의한 양극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고용노동부(2013, 2015)는 이런 소득불평등의 원인을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노동시장에서 전개된 임금격차 확대에서 찾고 있다. 고용노동부와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학력별 임금격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논문은 한국 건설산업 노동시장의 임금격차 중 학력별 임금격차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을 분리하고 각 학력별 노동시장에서 노동수요가 어떤 결정요인에 영향을 받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학력별 임금격차를 인적자본론적 시각에서 설명하고 고학력자 노동(인적자원 포함)과 저학력자 노동으로 나눈다. 분석방법으로 학력별 노동을 서로 다른 생산요소로 간주하는 확장된 다요소 Cobb- Douglas 생산함수를 설정하고 비용이론을 활용하여 각 학력별 노동시장에서 노동수요함수를 유도하여 통계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추정결과는 첫째 대체로 저학력자와 고학력자(대졸 이상) 간에는 상호보완적, 자본과 고학력자(대졸이상) 간에는 상호 대체적인 관계가 성립하였다. 둘째 생산량의 증가는 저학력자 수요증가를 가져오지만 고학력자 수요에는 거의 미치지 않았다. 셋째 기술진보는 고학력자 수요증가를 가져오지만 저학력자 수요에 거의 미치지 못했다. 이런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가질 수 있다. 첫째 건설경기가 불황이면 생산량이 감소하므로 저학력자 노동수요가 감소하여 실업이 발생한다. 따라서 저학력자 고용 촉진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건설투자가 감소하면 자본수요가 줄어들어 자본가격이 하락한다. 상대적으로 비싸진 고학력자의 수요가 감소하고 또한 보완관계인 저학력자의 수요도 감소하게 되므로 전반적인 고용촉진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건설자본부문에서 기술진보가 발생하면 자본생산성이 높아져 건설자본의 수요가 증가하여 자본가격이 상승한다. 따라서 상호대체관계인 고학력노동의 수요가 증가하고 보완관계인 저학력 노동수요도 증가한다. 즉 건설부문의 고용촉진을 위해 건설자본부문의 기술혁신정책이 유효하다. 개별 건설기업은 이러한 건설산업에서 자본, 고학력자와 저학력자 간의 관계를 효율적인 인사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ports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and statistical data, wage differentials exist significantly in the whole industry. This paper seeks to analyze what determinants have effects on educational labor demand, segregating the labor market into two markets, high-education labor and low-education labor, based on educational wage differentials explained by human capital theory. The former which includes human capital is considered the different production factor from the latter which does not include human capital. Three factor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is set up in order to derive the educational labor demand functions. Based on that functions the stochastic model is built up to make it possible to estimate the given parameters. The estimat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low-education labor is complementary to high-education labor, while high-education is substitutive for capital. Secondly, the change of production affects the demand of low-education labor, almost not affecting that of high-education labor. Thirdly, technical progress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demand of high-education labor but not increasing that of low-education labor. Several policy implications can be inferred from these results. Firstly, when economic repression is going on, the produced quantity in construction industry is decreased rapidly. It leads to unemployment of low-education labor, compared to high-education labor. Therefore, government should prepare the employment promotion policy for low-education labor in economic slowdown. Secondly,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investment may cut down the price of capital because of lack of capital demand. Then the demand of high-education labor with higher wage is reduced along with that of low-education labor complementary to high-education labor. So government need to implement the policy which can encourage both labor to be hired. Thirdly, Technical progress in capital sector produces higher capital productivity which increase the demand of capital. That leads to higher price of capital, which results in the increase of demand of high-education labor with substitutive relation for capital and low-education labor with complementary relation for high-education labor. Technical progress policy can be beneficial for promotion of employment for both labor.

      • KCI등재

        노동수급 측면에서 본 우리나라 저소득층 활성화 정책 연구

        백승호 ( Baek Seung H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하는 우리나라의 활성화 정책들의 제도구성을 노동공 급측면과 노동수요 측면에서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기존의 활성화 정 책과 관련된 접근들은 주로 구직자들의 의무, 취업능력의 강화라고 하는 노동공급 측면 의 정책적 개입에 집중하였다. 특히 공공부조 수급자에 대한 조건부과 형태의 노동연계 복지(workfare)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노동수요 측면에 대한 정책적 개입은 상대적으로 소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활성화 정책을 노동수요 측 면의 정책적 개입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관심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저소득층 활성화 정책에서 노동수요 측면에 대한 고려는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우리나라의 활성화 정책은 노동공급측면과 노동수요측면의 정책적 개입 이 얼마나 상호보완적으로 구성되어있는가?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의 활성화 정책은 노동공급측면의 개입을 주로 강조하고 있으며, 노동수요측면의 개입과 상호보완적으로 설계되어 있지 않았다. 노동공급 측면에서 수급자를 위한 통합 적 사례관리서비스의 제공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동수요 측면 에서의 개입은 저소득층의 노동력 수요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접근이 많지 않았다. 둘째, 노동공급 측면의 정책 수단들의 경우에도 인센티브와 제재 수단이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자활사업을 제외하면, 활성화 프로그램에 대해 대상자들의 법적 참여의무는 명시되어 있지 않았으며, 통합적인 고용복지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장려세제 등의 소득보장 수준은 낮아서 저소득층의 활성화를 유인하는 장치로서 기능하기 보다는 참여자들에 대한 상호의무부과 기능에 국한되어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ivation policies for low-income groups in Korea and propos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policies. Most studies on activation policies focused on the supply-side interventions in the labour market.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demand-side aspects of activation policie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ctivation policies in Korea are inclined to supply-side interventions, paying only little attention to demand-side interventions. For example, public employment service is very poor in the supply-side and its connection with the demand-side is weak. Second, labour supply-side intervention policies are heavily dependent on incentives and sanctions. Third, income security policies are not closely linked to employment service policies. Because of the low benefit levels and strict entitlement conditions of income security policy, employment service policies is limited in imposing an obligation to participate in activation policy.

      • KCI등재

        한국 금융산업의 학력별 노동시장구조 변화

        유일선(Ilseon Yoo),곽태곤(Taegon Kwag),윤지현(Jiehyun Yo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4

        2000년 이후 금융산업의 학력별 노동시장구조를 살펴보면 전체적인 고용자수는 거의 변동은 없는데 고학력노동(대졸이상, 전문대졸 이상)은 증가하고 저학력노동(고졸이하)은 감소하고 있고, 학력별 임금격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학력을 근거로 고학력노동과 저학력노동으로 구분하여 생산요소를 물적자본(K), 저학력 노동(L)과 고학력 노동(E)로 하는 다요소 콥-다글라스 생산함수를 가정하고, 외생변수로 산출량(Q), 세계화(G)와 기술진보(t)를 포함한 학력별 노동수요함수를 유도하였다. 이 함수를 바탕으로 로그선형회귀추정모형을 구성하고 학력별 노동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추정결과 생산요소의 상대가격(R/WL,R/WE,WL/WE)과 세계화(G)는 금융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반면 산출량과 기술진보 등 금융산업의 외생적 요인 변화가 금융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량변화는 금융산업의 학력별 노동수요에서 저학력노동 수요에 비해 고학력노동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였다. 반면 기술진보는 고학력노동에서 고용증가효과를, 저학력노동에서 고용구축효과를 유발하여 금융산업의 노동시장이 고학력노동 중심으로 구조변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금융산업의 고용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상대임금 변화는 학력별 노동수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정책은 상당히 제한적일 수 있다. 둘째, 기술변화와 세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학력노동의 고용증가에 부응하는 인재양성정책이, 반면 저학력노동의 고용감소에 따른 고용안정정책이 필요하다. Looking at the labor market structure by education level in the financial industry since 2000, the overall number of employees has remained almost unchanged, but the number of high-educated labor (college graduates or higher) has increased, and the wage gap by education level has continued to extended. Based on education level, high-educated and low-educated labor were classified, assuming a multi-factor Cobb-Daglas production function that uses production factors as physical capital (K), low-educated labor (L), and high-educated labor (E), and induced labor demand functions for each education level including output (Q), globalization (G), and technological progress (t). Based on this function, a linear regression estimation model was constructed, and factor analysis affecting labor demand by education was implementedd.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the relative price of production factors(R/WL,R/WE,WL/WE) and globalization () had little effect on the labor demand by education level in the financial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 changes in exogenous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abor demand by education level in the financial industry. The change in output had a little more impact on the demand for high-educated labor than that for low-educated labor in the financial industry, but its influence was insignificant. Technological progress causes employment increase in high-educated labor and employment decrease in low-educated labor, so the labor market in the financial industry is undergoing structural changes centered on high-educated labor. Based on these estimation results and interpretation,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provided for employment in the financial industry. First, since changes in relative wages have little effect on educational labor demands in the labor market, policies related to this may be quite limited. Second, in the face of technological change and globalization, there is a need for a policy to cultivate talent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employment of high-educated labor, while a policy to stabilize employment due to the decrease in employment of low-educated labor is needed.

      • KCI등재

        IT투자가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효진,홍필기,이영수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정보화정책 Vol.17 No.4

        고용 없는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IT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총 6년간 국내의 매출액 1,000억 원 이상 498개 기업을 대상으로 IT투자가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 일부 서비스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IT투자가 노동수요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는 증가하나,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은 작아 IT투자는 低숙련 노동과는 대체관계에 있고 高숙련 노동과는 보완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가스 및 건설업 역시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가 증가하며,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산업의 경우, 생산자 서비스업에서만 IT투자가 증가할수록 노동수요가 증가하였으며, IT투자에 따른 노동수요탄력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통 서비스업과 사회 서비스업에서는 IT투자와 노동수요 간에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Under the continuing economic growth without increase in employment, issues regarding the impact of IT investment on demand for labor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Under the circumstance, this study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IT investment on employment with a sample of 498 businesses whose domestic sales for the period of six years from 2003 to 2008 are KRW 100 billion or above.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und that IT investment increases employment in most of the industries except for some of the service secto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more IT investment increased employment but decreased the flexibility in demand for labor; therefore, IT investment has a substitutional relationship with low-skilled labor an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high-skilled labor. In the areas of electricity, gas and construction, employment increased as IT investment increased, with the greatest flexibility in demand for labor. In the service industry, increase in IT investment led to more employment and higher flexibility in producer services on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meaningful relationship found between IT investment and employment in the areas of distribution services and social services.

      • KCI등재

        국내외 서비스 아웃소싱이 숙련 및 저숙련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최종일,홍필기,서환주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6

        서비스 아웃소싱이 글로벌화 하면서 해외 서비스 아웃소싱이 국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한 정책이슈가 되고 있다. 서비스 아웃소싱이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산업과 노동의 숙련도별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GMM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국내외 서비스 아웃소싱이 숙련 노동과 저숙련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첫째, 국내서비스 아웃소싱은 저숙련 노동 및 숙련 노동 수요 모두를 감소시키나, 숙련노동 수요의 감소가 저숙련 노동수요의 감소보다 1.6배 크다. 둘째, 해외아웃소싱은 국내서비스 아웃소싱의 효과와 큰 차이가 없다. 즉, 저숙련 노동에 비해서 고숙련 노동의 고용감소가 약 1.6에서 2배 가까이 크다는 점에서 국내 서비스 아웃소싱의 효과와 유사하다. 셋째, 국내서비스 아웃소싱과 해외서비스 아웃소싱이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보면, 해외서비스 아웃소싱이 국내서비스 아웃소싱보다 약 6배에서 7배정도 노동수요 감소효과가 크다. 이는 해외서비스 아웃소싱을 대체하는 국내 서비스산업의 발전이 아웃소싱으로 인한 노동수요 감소를 훨씬 더 완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전체 노동자에서 차지하는 숙련노동의 비율에 대한 영향도 노동수요에 대한 영향과 유사하게 서비스 아웃소싱이 숙련 노동의 비율에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service outsourcing becomes an economic as well as a social issue as the outsourcing gets pervasive on the global market. Service outsourcing may have a different impact on the demand for skilled and unskilled labor by industry. We analyzed the labor demand effects of domestic service outsourcing and service offshoring(foreign service outsourcing) for both the skilled labor and the unskilled labor. We found that the labor demand reducing effect of the domestic service outsourcing is 1.6 times more severe for the skilled than the unskilled. Service offshoring has the similar negative effect, i.e. more severe negative effect for the skilled than the unskilled, as domestic service outsourcing. Meanwhile, the labor demand reducing impact of service offshoring is six times more serious than that of domestic service outsourcing. This fac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domestic service industry substituting for service offshoring is able to much lighten the labor demand reducing effect. Finally, The impact to the skilled to total labor ratio is also similar to the outsourcing effect to the labor demand.

      • KCI등재

        노동조합과 노동수요탄력성: 노조기업과 비노조기업에 대한 실증분석

        남성일 ( Sung Il Nam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1 勞動經濟論集 Vol.34 No.3

        이 논문은 노조기업의 노동수요탄력성이 비노조기업의 그것보다 작을 것이라는 이론적 예측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이를 위해 기업정보 TS2000의 1990~2009년 기간의 기업체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노동수요함수의 정태모형과 동태모형 그리고 노동비용 비증방정식을 추정한다. 추정결과는 첫째, 노조기업의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은 0.34~0.49로 비노조기업의 절반 수준이하로 나타났다. 둘째, 노조기업은 임금 및 산출 변화에 대한 고용조정에서 비노조기업보다 더 경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동과 자본간 대체탄력성에 있어서는 노조기업과 비노조기업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the theory that labor demand elasticity of unionized firms would be smaller than that of nonunionized firms, using the Korean firms` panel data for 1990-2009. The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estimates of labor demand elasticity of unionized firms are in the range of 0.34-0.49, less than a half of those of nonunionized firms, hence supporting the theory. Second, the unionized firms are more rigid in dynamic adjustment of employment than nonunionized firms. Finall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ionized and nonunionized firms in the elasticity of sub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