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문고제(首門高弟)의 눈에 비친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의식(意識)과 행동(行動) -래암(來庵) 정인홍(鄭仁弘)의 「남명(南冥) 조선생(曺先生) 행장(行狀)」을 중심(中心)으로-

        김익재 ( Kim Ik Jae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4 No.-

        南冥 曺植은 수제자인 來庵 鄭仁弘을 자신의 분신으로 여겼다. 내암 도 남명의 이러한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남명 사후 그를 추숭하는 일에 전력을 투구했다. 내암이 지은 .南冥 曺先生 行狀.도 이러한 남명추숭 의식의 맥락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남명은, 退溪 李滉의 출사 권유를 거절한 이후로 끊임없이 퇴계로부 터 여러 가지 비판을 받아왔으며, 이러한 비판은 퇴계의 문인들에게 그대로 전해져 내려왔다. 남명에 대한 퇴계의 비판은 급기야 남명의 문묘종사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고, 이에 대한 반 작용으로 내암은 죽음을 무릅쓰고 남명에 대한 퇴계의 비판을 해명하 는 데에 전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내암의 노력은 그가 지은 스승 남명의 행장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내암은 남명의 행장에서 남명이 생전에 남긴 글을 인용하는방식으로 남명의 출처의식과 남명의 학문관을 설파함으로써, 남명의 입장에 대한 옹호는 물론 나아가 퇴계에 대한 비판까지도 불사하는 하는 모습을 보였던 것이다. Nam-myoung Cho sik considered his most brilliant student, Nae-ahm Jung inhong as his alter ego. Also, Nae-ahm didn``t go against Nam-myoung``s wishes, and did the best he could to raise public estimate after Nam-myoung passed away. 「The brief biography of the teacher Nam-myoung」written by Nae-ahm is in the same vein. After Nam-myoung turned down Toi-gye Yi whang``s offer to go into government service, Nam-myoung had been criticized by Toi-gye. This criticism came down to Toi-gye``s followers as it is. Toi-gye``s criticism about Nam-myoung became a decisive factor that made Nam-myoung``s canonizing into the National academy impossible. As a reaction of this, Nae-ahm gave his body and soul at the risk of his life to clarify the criticism. Nae-ahm``s this kind of effort was revealed in 「The brief biography of the teacher Nam-myoung」. Nae-ahm preached Nam-myoung``s senses of the leaving or holding public office andview of literature as he quoted passages from Nam-myoung in 「The brief biography of the teacher Nam-myoung」. He not only supported Nam-myoung`s situation, but also was gladly willing to criticize Toi-gye.

      •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치국론(治國論)과 의미 -상소문(上疏文)을 중심으로-

        김강식 ( Kim Kang-sik ) 南冥學硏究院 2018 南冥學 Vol.23 No.-

        조선중기의 성리학 체계화 과정에서 사상에서는 의리와 실천을 강조하고, 정치에서는 현실의 모순에 대해 타협을 거부하며 적극적인 개혁을 주장한 南冥 曺植은 비판적 지식인이자 전형적인 處士였다. 이에 16세기의 현실 모순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현실정치에 대한 개혁책이 적극적으로 담겨 있는 남명의 4차례의 上疏를 토대로 남명의 정치 현실에 대한 治國論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남명의 치국론을 정치의 영역을 크게 지방정치와 중앙정치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남명의 치국론의 중요성은 지방정치에서 찾을 수 있다. 남명은 현실 정치에 나아가지 않았지만, 16세기의 사회경제적 변화 속에서 자신이 거주하던 지역사회의 안정이 필요하였다. 이에 재지사족이 향촌통제책을 행사할 수 있는 향촌자치론이 남명에게도 필요하였다. 남명의 문인들에 의해서 일어났던 毁家黜鄕은 이런 모습을 보여준다. 아울러 재지 지주였던 양반의 입장에서 농경지의 경작을 위한 농민 계층의 안정이 필요하였는데, 이것은 조세제도의 공정성을 유지하고 부정을 방지하여 향민의 안정을 꾀해야 한다는 향민보호론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명은 조선중기의 절대군주제를 인정하고 君臣共治를 통해서 중앙의 정치가 안정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남명은 먼저 군주의 수신과 덕치를 이상으로 하는 성학군주론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군주의 정치가 원활하게 집행되기 위해서 수령과 향리의 엄정한 선택과 부정·비리를 막을 수 있는 장치가 작동할 수 있는 행정체계론을 지지하였는데, 특히 인재의 등용을 중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남명의 치국론은 지방과 중앙 정치의 영역에 맞게 주장되었다. 먼저 중앙정치에서는 위정자의 올바른 처신과 역할, 위정자의 수신과 솔선수범, 위정자와 신료들과의 소통의 중요성, 제도 시행의 엄정성, 국방의 자위성 확보와 주체적인 외교 문제였다. 지방정치에서는 향촌자치, 목민관의 솔선수범, 백성의 민생 안정, 관료의 부정부패와 비리 척결, 상하의 소통문제였다. 남명은 시대정신에 따라 만들어진 정치형태를 부정과 편법을 통해 왜곡시키지 않고 올바른 방향으로 시행해 나가는 것이 현실 개혁의 방향이라고 보았다. Confusion scholar culture emerged in the 16th century during the early Chosun period, which was at ransition period for this new social system. The political and social mainstream considered rule by Neo-Confucianism to be ideal and suggested measures for its practice. Nammyeong Jo Sik(1501~1572) lived in a time of faction politics and purge of scholars during which Neo-Confucian political order was being established. Although Nammyeong Jo Sik did not enter political reality, he did not turn away from realistic politics (realpolitik). He was an active reality reformer, which was evident by his four public appeals for the reform of realistic politics. Nammyeong claimed through his appeals that fundamental adaptations to circumstances, rather than temporary stopgap measures were necessary for the reform of reality. Nammyeong’s principle of governing in central politics emphasized political initiatives,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exactness in implementation of policies, securing autonomy in self-defense, and independent diplomacy. In regional politics, he emphasized regional autonomy, the leading by example of governors, security of the livelihood of commoners, eradication of corruption of bureaucrats, and communication among the ranks. Nammyeong’s principle of governing transcends time as it still carries importance today. Nammyeong’s principle of governing can be divided into the local politics and central politics.

      • KCI등재

        영남지역 선비문화의 초등역사교육 활용 : '남명선비문화축제'를 중심으로

        박용국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1 No.-

        이 글에서는 영남지역 선비문화의 형성과 위상 변화를 살펴본 후 선비문화의 초등 역사교육 활용의 문제를 '남명선비문화축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士林派 중심의 영남학파의 형성은 영남지역 선비문화의 동질성을 낳은 사회 · 사상적 배경이었다. 따라서 영남지역 선비문화는 사림파의 성리학적 소양과 그 정치적 실천성으로서 志操 · 義理와 名分, 知行合一, 淸廉을 구성 요소로 한다. 治人은 반드시 실천해야 할 致仕의 길이 아니었다. 17세기 이후 江右地域의 선비문화는 江左地域과 달리 南冥學派의 현실 정치의 실패와 분열로 말미암아 진주권역 군현공동체와 그 선비 일상의 삶에서 위상 약화의 변화를 겪었다. 전통은 시 · 공간적으로 변화의 과정을 내포하고 재창조되는 역동성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의 맥락에서 해석되거나 하나의 관점에 의해서 인식 · 이해되는 것이다. 전통문화로서 선비문화를 현대 사회에서 축제의 형태로 재창조하는 것은 선비의 삶과 정신, 그의 시대적 역할을 체험하여 사회·문화 · 교육의 가치로 재생산함을 의미한다. 南冥 曺植은 시대 맥락에서 보면 지식인의 새로운 존재양태인 처사로서의 삶을 확립하고 先賢의 저작을 통한 修己와 敬義의 정치 · 사회 · 교육적 실천에 철저했던 처사적 선비문화의 전형이었다. 이러한 삶에 초점을 둔 '남명선비문화축제'의 인물학습은 초등역사교육에서 효과적인 내러티브로 구성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한 '남명선비문화' 체험은 초등 학습자에게 남명의 시대적 역할과 처사적 선비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게 할 수 있다. 추모제와 전시행사는 초등 학습자에게 '남명선비문화축제'를 통한 지역상의 이해만이 아니라 남명의 정신과 삶을 추체험하여 그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남명 유적지는 견학과 답사를 통한 학습자 스스로의 탐구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그것은 초등 학습자에게 다양한 역사 현장과 그 구성요소에 얽혀 있는 역사성을 통하여 공간에 얽힌 삶의 의미와 변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남명선비문화축제'의 인물학습은 초등역사교육에서 살아있는 생생한 역사를 체험하고 이해하게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This article has reviewed the issue of Sunbimunhwa in the utiliz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education centering on 'Nammyeong-sunbimunhwachukie'. The formation of Yeongnamhakpa(嶺南學派) standing for Sarimpa(士林派) is considered as the social and ideal background bearing identities of Sunbimunhwa in Yeongnam province. Therefore, the Sunbimunhwa of Yeongnam province is composed of Jijo(志操) · Euri(義理) and Myeongbun(名分), JihanghapiI(知行合一), Cheongryeum(靑廉) with Sungrihak knowledge of Sarimpa(士林派) and its political practices. Chiin(治人) is not the subject for practice. Since the 17th century, the Sunbimunhwa of Gangwoo(江右) region unlike that of Gangjoa(江左) region has suffered from its weakness in Sunbi life of Jiniu community region due to failure and split of Nammyeonghakpa(南冥學派)'s real politics. Tradition tends to have dynamics of containing and recreating the process of change in terms of time and space. Also it is interpreted in line with modern society, and is recognized and understood in one way. From a perspective of traditional culture, recreation of Nammyeong Josik(南冥 曺植) in the form of festival in modern society means reproduction to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with the experience of life, spirit and social role of Sunbi. Nammyeong confirmed the life as Cheosa(處士), which was considered as the new existence form of intellectual in line with the times, and is a model of Sunbimunhwa as a Cheosa, a patriot to the practice of politics, society and education of Sugi(修己) and Gyeong-euj(敬義) through the books of Sunhyeon(先賢). In this regard, person and experience learning and searching activities seen by the 'Nammyeong-sunbimunhwachukje' should be composed in a supremely efficient narrative form in terms of elementary school history education, which brings the effect of experiencing and understanding vivid history in the education.

      • 기획논문 : 칼과 방울의 은유 -동아시아사상사에서 남명 조식 읽기 시론(試論)-

        최재목 ( Jae Mok Choi ) 南冥學硏究院 2016 南冥學 Vol.21 No.-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을 기리는 기념관에는 그가 허리춤에 늘 차고 다닌 ‘경의검(敬義劍)’이라는 단검과 ‘성성자(惺惺子)’라는 방울이 보관되어 있다. ‘내명자경(內明者敬)’과 ‘외단자의(外斷者義)’라는 글자가 새겨진 ‘경의검’은 ‘안으로 나를 깨우치는 ‘경’과 바깥으로는 결단 있게 행동하는 ‘의’를 겸한 것이다. ‘성성자(惺惺子)’는 걸을 때마다 방울 소리가 울리고 울릴 때마다 봄가짐을 살피고 반성했던 성찰의 도구였다. 동아시아 사장사에서 조식처럼 칼과 방울을 지니고 다닌 유학자는 없었다. 적어도 유학자가 칼을 차고 다닌 것은 일본의 사무라이라면 모르겠으나 조선에서는 매우 드문 일이다. 그래서 남명을 두고 ‘무사적-노장ㆍ법가 기질-실천적’동의 코드를 찾아내어 평가하기도 한다. 어쨌든 칼은 붓처럼 부드러운 이미지가 아니다. 굳센-강한 ‘힘’ 혹은 ‘위엄’, ‘단호함’, ‘강직함’, ‘접근금지’ 둥을 상칭한다. 그래서 문(文)-문인(文人) 이 아닌, 무력(武力) -병법 (兵法),무인(武人)-병가(兵家)의 이미지를 갖는다. 남명이 지녔던 칼-방울은 시각적(비디오적)-청각적(오디오적) 요소가 잘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우리 역사에서 칼-방울의 이미지는 무당, 단군신화, 신라의 화랑도, 남명, 이순신, 동학 등을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모습을 드러낸다. 따라서 남명의 칼-방울은 우리 역사의 속의 문화사상 맥락과 연관시켜 재검토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남명이 보여준 칼과 방울 또한 그의 사상과 지향을 명확히 읽어낼 하나의 코드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의 텍스트 내부에서만 찾아서는 안 된다. 조선의 역사와 사상문화를 가로질러 저류해오는 사유형식에서 찾아볼만한 것이었다. 보통 문(文)의 국가로 인식되는 조선이 남명에게서 무(武)적 이미지는 새롭게 번안되는 특이한 대목을 필자는 ‘은유’로 보고 접근해 본 것이다. 남명이 지녔던 칼방울의 은유적 의미를 동아시아의 사상사 속에서 성찰해보는 것은 종래의 문헌학적인 연구를 넘어서서 문화적 은유 혹은 상징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시도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etaphor of the sword and bell in Nammyeong Josik, who was always attended it his waist. So, His the sword and bell is exhibited in his memorial in Jinju. The sword and bell is found in the history of Korea, in addition nammyeong, for example, the text Samgukyusa written by the monk Ilyeon, Hwarangdo in Silla, Yi Soonshin the navy General of Joseon, Donghak founded by Choe Jeu, Shin Chaeho and the President Park Chung-hee in modem Korea. The basis of the history of our country, like this, is also the spirit of the soldier(Mu武). So called Mun(文) , Confucian intellectuals are weak. But the soldier(Mu) are strong. So Shin Chaeho pointed out the reason that Korea dominated by the Japanese is because of the tradition of Confucian intellectuals Mun. The sword and bell in Nammyeong Josik was to rigorously check himself. It does not stop there. It shows his ideological orientation. In this paper discussed, carrying a knife with drops on body in Nammyeon, is also located in the context of Korea``s history and culture. Also discussed it is hard to find the East Asian Confucian tradition, except Wang Yangming who is founder of Yangminghak, practical and dynamic Confucians, in Ming dynasty. So nammyeong is sometimes compared with Yangming``s characters.

      • KCI등재후보

        남명 조식 교육사상의 사회과교육적 고찰

        이재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9 사회과교육연구 Vol.16 No.1

        This sutdy is aimed to analyse the study of social studies in Nammyung Cho Sick? Educational Thought. Nammyung? educational thought comprises following four meaning. First, Nammyung? educational thought relate to both the communitarianism education as the idea of social studies and the mind of GI HAENG HAP IL(知行合一). Second, The aim of Nammyung? education have the cultivation the practical intellectual class. Third, Nammyung? the educational contents have both the scope of practical ethic and the characteristic of sequence. Fourth, The method of Nammyung? education is intended the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of students. Nammyung? educational thought have the following teaching in social studies today. First, Nammyung? educational thought give answers to overcome the current of the world both the spread of individualism and the only emphasis of knowledge. That is, Nammyung? educational thought emphasis on both the mind of communitarian and action, practice than the knowledge itself. Second,Nammyung? educational thought require the treatment problems of every life faces with students as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 Nammyung avoids the pursuits of both idealism and abstractical truth. Third, Nammyung provide the different levels of educational contents as the levels of students. emphasis on the orders of learning. Fourth, Nammyung rejects uniform recitation and applicates the educational method with individual traits. 본고는 남명 조식의 교육사상을 사회과교육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남명의 교육사상을 사회과교육의 측면에서 본다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남명의 교육사상은 사회과교육 이념으로서의 공동체주의적 교육관과 지행합일의 정신과 관련되고 있다. 둘째, 남명의 교육목적은 실천적인 지식인 양성에 두고 있다. 셋째, 남명의 교육내용 구성은 실천윤리 중심의 내용선정과 순차성에 따른 내용배열의 특성을 갖고 있다. 넷째, 남명의 교육방법은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으로 집약될 수 있다. 남명의 교육사상이 오늘날의 사회과 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명의 교육사상은 오늘날 개인주의가 만연하고 지식만을 강조하는 세태에 대하여 그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남명은 공동체 의식을 중요시하였고, 지식 자체보다는 행동과 실천을 강조하였다. 둘째, 남명의 교육사상은 학습자들이 직면하는 일상생활의 문제를 사회과 교육내용으로서 중요하게 다룰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그는 학생들과 동떨어진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진리만을 추구하는 것을 경계하고 실천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셋째, 남명의 교육관은 순차적이고 난이도에 따른 사회과 교육내용의 배열을 함의하고 있다. 즉 그는 학습자들의 지적 수준에 따라 교육내용의 수준을 달리하여 제공하였으며, 배움과 학문에 임하는 순서를 중요시하였던 것이다. 넷째, 남명이 활용한 교육방법은 오늘날 사회과 교육의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교수방법을 적용할 것을 함의하고 있다. 즉 그는 획일적인 암송을 배격하였고, 학습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법을 활용하였다.

      • KCI등재

        來庵 鄭仁弘 所撰 南冥 神道碑銘 小考

        이상필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40 No.-

        The first-ever Ghost Road Monument for Nam-myeong Jo Sik was set up around 1617 and its epitaph was composed by a literary man named Jeong In-hong who was taught under Jo and carved by Bae Dae-yu a literary man taught under Jeong In-hong. This monument was eliminated after 1623 when Jeong In-hong was executed as a rebellious subject during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 Apparently it was demolished because it was composed by a rebellious subject named Jeong In-hong but, in fact, it was removed since it was a writing which implicitly criticizes Toe-gye. The monument could be set up since Nam-myeong was appointed to the prime minister in 1615 and Jeong In-hong was the leader among literary men of Nam-myeong. Jeong In-hong supposed that, in the presence of his literary men, Toe-gye had often criticized Nam-myeong by means of a letter or dialogue and that, consequently, Nam-myeong was not enshrined at a Confucian shrine. So, in return, In-hong often tried to criticize Toe-gye by means of writings, of which at least 7 was extant when In-hong composed this epitaph which may be the finest example of the criticisms. Being convinced that the gravestone inscription composed by Dae-gok is what best describes the life of Nam-myeong, in this Ghost Road Monument Epitaph, In-hong just elaborates to explain that only the learning of Nam-myeong is the orthodox principles of Confucianism and that Toe-gye’s criticism against Nam-myeong was wrong. Such an intention of Jeong In-hong is explicitly expressed in a solution to the epilogue insomuch as In-hong as a pupil of Nam-myeong could not allow the academic learning of his teacher to be slandered. Being so much assured that it was his duty to treat his master in a proper and righteous manner, In-hong did not hesitate to boldly criticize Toe-gye who was considered the greatest scholar in those times. His attempt of such a kind resulted in a failure firstly because Jeong In-hong had never been appointed to a government official during the rule of Prince Gwang-hae but remained to be just a so-called senior minister living in the woods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government and because his endeavor was intricately interconnected with the political situations at the time of enthronement of King In-jo and secondly because In-hong could not overpower the strongest influence of Toe-gye which had been long exerted at that time.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 due to which Jeong In-hong was reduced to a political failure, most of literary men of Nam-myeong or the posterity of literary men of Jeong In-hong gradually turned to be sided with the clique called “the people of the south” or the clique called “the people of the west.” Yet, for more than 400 years, many people have followed the spirit of Nam-myeong in Jinju and other regions in the western part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which fact clearly indicates that the academic influence of Nam-myeong has not been simply meager. In this sense, the present author believes that Jeong In-hong has some sense of prophecy since the last part of the Ghost Road Monument Epitaph for Nam-myeong mentions ‘the solar light over a dark road.’ 南冥 曺植의 神道碑로서 가정 먼저 세워진 것은 1617년 무렵, 그 문인 鄭仁弘이 찬술하고 정인홍의 문인 裵大維가 글씨를 쓴 것이다. 이 비석은 1623년 仁祖反正에 의해 정인홍이 賊臣으로 몰려 처형되고 난 뒤 사람들의 눈앞에서 없어지고 말았다. 겉으로는 적신으로 처형된 정인홍이 찬술한 글이기에 넘어진 것이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퇴계를 은근히 비판한 글이기에 더욱 세워둘 수 없었던 것이다. 이 글이 찬술된 것은 1615년에 남명이 영의정에 증직되어 신도비를 세울 수 있었던 조건이 충족되었고, 정인홍이 남명의 문인 가운데 주도적인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정인홍은, 퇴계가 그 문인들에게 편지나 대화를 통해 여러 차례 남명을 비판하였으므로 그것이 알려져 남명이 문묘에 종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 글을 쓰기 이전까지 적어도 7편 정도의 글이 남아 전할 정도로 여러 차례 퇴계에 대한 비판을 시도하였으며, 이 글은 그 결정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남명의 일생에 대해서는 대곡이 찬술한 묘갈명이 가장 극진하다고 생각하고, 이 신도비명에서는 오로지 남명의 학문 내용이 유가의 정통에 해당되며, 퇴계의 남명 비판은 잘못된 것이라는 논리로 일관하고 있다. 정인홍이 이러한 글을 쓸 수밖에 없었던 점은 「跋文解」에 보이는 바, 문인으로서 스승의 학문이 誣陷당한 데 대하여 坐視하는 것이 도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師生間의 義를 생각한 데서 나온 정당한 행동으로 스스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당대 최고의 인물이라 알려져 있던 퇴계에 대해 과감하게 비판할 수 있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실패하였지만, 이는 정인홍이 광해군 때 實職에서 行公해 본적이 없으면서도 遙執朝權하던 山林政丞이었다는 점과 인조반정이라는 당시의 정치적인 문제에 묘하게 맞물려 있었던 것이 첫째 원인이었고, 다음으로는 당대부터 퇴계가 가지고 있었던 막강한 영향력을 내암이 결국 당해내지 못했다는 것이 둘째 원인이라 할 것이다. 정인홍이 정치적으로 패퇴한 인조반정 이후 대부분의 남명 문인이나 정인홍의 문인 후손들이 차츰차츰 남인화하거나 서인화했지만,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서부 경남 일대에 현재에 이르기까지 400여 년에 걸쳐 남명 정신을 추존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은, 남명의 학문적 영향력이 결코 가볍지 않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그런 측면에서 보면 정인홍의 남명 신도비명 마지막 부분에서 언급한 ‘冥道日月’이라 표현한 기대가 앞날을 내다 본 표현이 아닌가 생각된다.

      • KCI등재

        투고논문 : 영남지역 선비문화의 초등역사교육 활용 -"남명선비문화축제"를 중심으로

        박용국 ( Yong Gug Par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1 No.-

        이 글에서는 영남지역 선비문화의 형성과 위상 변화를 살펴본 후 선비문화의 초등역사교육 활용의 문제를 ‘남명선비문화축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士林派 중심의 영남학파의 형성은 영남지역 선비문화의 동질성을 낳은 사회·사상적 배경이었다. 따라서 영남지역 선비문화는 사림파의 성리학적 소양과 그 정치적 실천성으로서 志操·義理와 名分, 知行合一, 淸廉을 구성 요소로 한다. 治人은 반드시 실천해야 할 致仕의 길이 아니었다. 17세기 이후 江右地域의 선비문화는 江左地域과 달리 南冥學派의 현실 정치의 실패와 분열로 말미암아 진주권역 군현공동체와 그 선비 일상의 삶에서 위상 약화의 변화를 겪었다. 전통은 시·공간적으로 변화의 과정을 내포하고 재창조되는 역동성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의 맥락에서 해석되거나 하나의 관점에 의해서 인식·이해되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1號 는 것이다. 전통문화로서 선비문화를 현대 사회에서 축제의 형태로 재창조하는 것은 선비의 삶과 정신, 그의 시대적 역할을 체험하여 사회·문화·교육의 가치로 재생산함을 의미한다. 南冥 曺植은 시대 맥락에서 보면 지식인의 새로운 존재양태인 처사로서의 삶을 확립하고 先賢의 저작을 통한 修己와 敬義의 정치·사회·교육적 실천에 철저했던 처사적 선비문화의 전형이었다. 이러한 삶에 초점을 둔 ‘남명선비문화축제’의 인물학습은 초등역사교육에서 효과적인 내러티브로 구성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한 ‘남명선비문화’ 체험은 초등 학습자에게 남명의 시대적 역할과 처사적 선비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게 할 수 있다. 추모제와 전시행사는 초등 학습자에게 ‘남명선비문화축제’를 통한 지역상의 이해만이 아니라 남명의 정신과 삶을 추체험하여 그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남명 유적지는 견학과 답사를 통한 학습자 스스로의 탐구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그것은 초등 학습자에게 다양한 역사 현장과 그 구성요소에 얽혀 있는 역사성을 통하여 공간에 얽힌 삶의 의미와 변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남명선비문화축제’의 인물학습은 초등역사교육에서 살아있는 생생한 역사를 체험하고 이해하게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This article has reviewed the issue of Sunbimunhwa in the utiliza- 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education centering on ‘Nammyeong- sunbimunhwachukje’. The formation of Yeongnamhakpa(嶺南學派) standing for Sarimpa(士林派) is considered as the social and ideal background bearing identities of Sunbimunhwa in Yeongnam province. Therefore, the Sunbimunhwa of Yeongnam province is composed of Jijo(志操)·Euri(義理) and Myeongbun(名分), Jihanghapil(知行合一), Cheongryeum(淸廉) with Sung- rihak knowledge of Sarimpa(士林派) and its political practices. Chiin(治人) is not the subject for practice. Since the 17th century, the Sunbimunhwa of Gangwoo(江右) region unlike that of Gangjoa(江左) region has suffered from its weakness in Sunbi life of Jinju community region due to failure and split of Nammyeonghakpa(南冥學派)’s real politics. Tradition tends to have dynamics of containing and recreating the process of change in terms of time and space. Also it is interpreted in line with modern society, and is recognized and understood in one way. From a perspective of traditional culture, recreation of Nammyeong Josik (南冥 曺植) in the form of festival in modern society means reproduction to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with the experience of life, spirit and social role of Sunbi. Nammyeong confirmed the life as Cheosa(處士), which was considered as the new existence form of intellectual in line with the times, and is a model of Sunbimunhwa as a Cheosa, a patriot to the practice of politics, society and education of Sugi(修己) and Gyeong- eui(敬義) through the books of Sunhyeon(先賢). In this regard, person and experience learning and searching activities seen by the ’Nammyeong- sunbimunhwachukje’ should be composed in a supremely efficient narrative form in terms of elementary school history education, which brings the effect of experiencing and understanding vivid history in the education.

      • KCI등재

        履齋 宋鎬彦의 南冥과 退溪에 대한 認識- 「南冥先生古劍歌」와 「玉獅子印歌」를 중심으로

        윤호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3 No.-

        This paper aim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about Nammyung and Toegae in “Yoksajayinga” and “Nammyungshenshanggogumga” of Yijae Song Ho-yen. Yijae’s perception of Nammyeong is shown in “Lueyongzhengsi” and “Shanchenjaemundabbyung.” Especially, in “Luetyongzhengsi,” he praised Nammyung for his sturdiness. “Nammyungshenshanggogumga” consists of three paragraphs, whose first paragraph is that Nammyung has a historic sword on Mt. Jiri, which cannot be removed even if he wants to do so by heaven. In the second paragraph, if a man had done things with his Gyeongyigum, the whole world would have become a world full of respects and righteousness. In the third paragraph, even though the man died without achieving his goal, the sword remained, so the descendants should not forget the eight words of honor. YiJae’s point of view on Toegae is well represented in his poem featured Tuegae’s rhythm. Shangmyunggan described retreat at the place where Toegye once resided and sang about the sad feelings. Salakzheng illustrates its place, Salakzheng, and Toegue’s step in its place. The perception of the expulsion of the victim is well illustrated in the poem of the third-generation Gang of Four, which was filled with the poem of the expulsion of the victim. Zheng's poem is a song about Toegye, thinking about Toegye, where Toegye once lived and singing about her sad feelings, and she recited the images of Sarakjeong and the traces of Toegye that dwells there, and she wanted to ask him about Do's Zeng, but she could not. In particular, “Oksajayinga” is a three-paragraph long poem, similar to that of “Nammyungshenshanggogumga.” In the first paragraph, he revealed through various adverbs and figurative contents that Toegae succeeded Juja’s study. In the second paragraph, he drew a lion and passed on his studies, revealing that the place where the lion is located became the place where the teacher is, but not necessarily tied to it. The third paragraph focuses on cautioning students about what they should and shouldn't do. This seems to indicate that the Yijae had an equal perception of Nammyung and Toegae, but the assessment of these two is completely different. In other words, Nammyung was regarded as a person who could fairly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reality as an expression of a strong and firm scholar represented by the Gyeongyigum, but lamented that he was not accepted in reality. As for Toegye, he did not rate him as a yardstick of practical practice as it did for Nammyung, but said the vein of Toegye’s studies continues from Juja to Lee Jin-s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 履齋 宋鎬彦은 한말 경남 삼가군의 학자인데, 그는 南冥 曺植과 退溪 李滉에 대한 인식에 있어 매우 흥미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남명의 고향과 같은 지역에 살았고, 학문적으로는 尹冑夏, 李震相, 郭鍾錫 등에게 배워 퇴계의 학맥에 닿아 있었다. 그의 문집에 보이는 남명과 퇴계의 인식에 있어 이러한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는 작품들이 있는데, 특히 남명에 대해서는 남명 사상의 핵심이라 할 경의를 상징하는 敬義劍을 읊은 「南冥先生古劍歌」와 퇴계에 대해서는 한주 이진상이 부르짖은 祖雲憲陶가 새겨진 옥사자인을 읊은 「玉獅子印歌」를 들 수 있다. 두 작품 가운데 「남명선생고검가」는 경의검을 통해 남명의 사상을 읊은 것이고, 「옥사자인가」는 옥사자인을 통해 한주 이진상이 퇴계의 학맥을 계승한 것을 읊은 것으로, 바로 남명과 퇴계를 대비시켜 논한 것이 아니라서 두 작품이 긴밀한 연관성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만 「옥사자인가」에서 송호언의 퇴계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는 있다. 이재의 남명에 대한 생각은 남명의 제자들에 대한 시, 특히 삼가군수로 부임한 申斗善이 雷龍亭을 중수하면서 이재에게 명하여 지었던 「雷龍亭詩」에 잘 드러나 있다. 「뇌룡정시」에서 그는 인을 회복하여 乾道를 성실하게 하는 것은 군자가 바라는 것인데, 이를 실행하려면 용기가 있어야 하며, 남명이 바로 千仞壁立의 기상을 가지고 하늘이 울어도 울지 않는 의연함이 있다고 칭송하였다. 「남명선생고검가」는 세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는 장편 고시인데, 그는 첫 번째 단락에서는 역사가 깊은 칼을 남명이 지리산에서 갖고 있는데, 이는 하늘의 뜻으로 없애고자 해도 없앨 수 없다는 것이다. 두 번째 단락에서는 남명이 그의 敬義劍을 가지고 세상의 일들을 처리하였다면, 온 세상이 밝고 정의로운 경과 의가 넘치는 세상이 되었을 것이라고 했다. 세 번째 단락에서는 남명은 결국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지니고 있던 칼이 남아 있으니, 후대 사람들은 경의 뜻을 담은 여덟 자의 내용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재의 퇴계에 대한 인식은 이재가 퇴계의 시에 차운한 3제 4수의 시에 잘 드러나 있다. 雙明軒의 차운시는 퇴계가 한 때 거처하던 장소에서 퇴계를 생각하고 그 서글픈 심회를 노래한 것이고, 四樂亭 차운시는 사락정의 모습과 그곳에 깃들어 있는 퇴계의 자취를 읊었는데, 퇴계를 사모하여 도의 眞諦를 그에게 묻고자 하지만 그렇게 할 수 없는 현실을 노래한 것이다. 특히 「옥사자인가」는 「남명선생고검가」와 마찬가지로 세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는 장편 고시인데, 그는 첫 번째 단락에서는 주자의 학문이 퇴계로 이어진 것을 寒洲 李震相이 계승하였음을 여러 고사와 비유적인 내용을 통하여 드러내어 주었다. 두 번째 단락에서는 사자를 그려 자신의 학문을 전하였기에 사자가 있는 곳이 스승이 있는 곳이 되었지만, 꼭 그것에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을 밝혔다. 세 번째 단락에서는 후학들에게 해야할 일과 해서는 안 될 일을 경계하는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퇴계에 대해서는 남명에 대한 것만큼 현실적 실천의 잣대로 평가하지 않고 다만 후대의 학자가 부르짖는 ‘祖雲憲陶’의 주체로서 주자로부터 조선후기 이진상에게 이르기까지 그 학문의 정맥이 이어지고 있음을 말하였다.

      • KCI등재

        祭文을 통해 본 南冥 弟子의 入門과 受學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11 pieces of jemun (祭文) written by Nammyong Jo Sik (1501-1572)’s disciples taking not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m. Through the process, this author examines when each of Nammyong’s disciples came under his guidance and what particular teachings each of them received from him then. Let’s look into the main contents revealed in those 11 pieces of jemun. Oh Ge-on came under Nammyong’s instruction in 1551. He simplified the special teachings he got from this master as ‘how to study’ and ‘loyalty to grasp the right time’. Jeong In-hong reminisced about Nammyong’s education not as ganghak, holding and reading a book, but as something allowing students to be awakened and learn themselves. About Nammyong, Kim Woo-ong recalled a lesson about making efforts much harder than others, wariness about the source, seongseongja (惺惺子) he received, and his preaching about two Chinese characters, ‘noecheon (雷天)’. He was encouraged not to lose himself ever even in any hardships just like ‘the frosted pine or thuja covered with now‘. Jeong Gu recalled the time saying that even with his old age of 67, Nammyong continued to do ganghak day and night for several days but never seemed tired. He described how earnestly the master taught his disciples. Choi Yeong-gyeong said he learned more from Nammyong’s ‘well-arranged and pure spirit’ than anything else. Ha Hang particularly remembered as one of Nammyong’s teaching methods analogizing things with something at work to enlighten his disciples. With this written record, we can see that Nammyong often used figurative expressions not only when he wrote but when he taught his students, too, to let them realize something properly. Lee Ro remembered his master as a kind of person that moved people like snow that melts on a spring day. Lee Je-sin confidently said that he was the only person that knew his master was a man of his word as he watched him just beside him for a long time. Ryu Jong-ji recalled Nammyong’s education al method as ‘something to cut out the root of a pain from disease completely and then prescribe medicine after that’. Gwak Yul said Nammyong always explained things with sincerity using the two extreme sides when he taught his disciples, and such devoted teachings of his touched and motivated him to study. Jo Won said he taught him earnestly even though he was such an incompetent student. He added that he was deeply moved by his encouragement referring to him as a ‘beautiful seonbi [佳士]’ and regarded the key of his teachings as ‘geogyeong- gungri (居敬窮理)’. 이 논문은 제문이 가지는 특성에 주목하여 南冥 曺植(1501-1572)의 제자들이 지은 11편의 제문을 분석한 것이다. 이 작업을 통해 남명의 제자들이 문하에 나아간 때는 언제이며, 당시에 그들이 저마다 받은 각별한 가르침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11편의 제문에 드러난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오건은 1551년에 남명의 문하에 나아갔으며, 자신이 스승에게 받은 특별한 가르침을 ‘공부하는 방법’과 ‘때를 알아보는 의리’로 함축했다. 정인홍은 남명의 교육은 책을 잡고 읽는 강학이 아니라 제자들의 정신을 깨우쳐 스스로 터득하도록 하는 방법이었다고 술회했다. 김우옹은 남들보다 백배 천배 노력하라는 말씀, 출처에 관한 경계, 성성자를 전해 받은 일, ‘雷天’ 두 글자의 훈계 등을 남명에게 받았으며, ‘서리 내린 소나무와 눈 쌓인 측백나무’처럼 어떠한 어려움에도 자신을 간직하라는 장려를 입었다. 정구는 남명이 67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며칠 동안 밤낮을 이어가며 강학을 진행했는데도 지치는 기색이 없었다고 회고하며 스승이 제자들에게 얼마나 지극한 정성으로 가르쳤는지를 서술했다. 최영경은 그 어떤 가르침보다 남명이 가진 ‘깔끔한 맑은 기풍’에서 큰 배움을 얻었다. 하항은 남명의 교육 방법의 특징으로 일에서 비유를 취해 깨우치게 했다는 점을 특기했다. 이 기록을 통해 남명이 문장을 지을 적에만 비유적 표현을 많이 사용한 것이 아니라 제자들을 가르칠 때에도 적절하게 활용하여 깨닫도록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로는 스승의 모습을 봄날에 눈이 녹는 듯이 감화시키는 분이었다고 회상했다. 이제신은 스승의 곁에서 오랫동안 지켜보았으므로, 그분의 언행이 일치한 것은 자신만이 안다고 확신했다. 류종지는 남명의 교육 방법을 ‘병통의 뿌리를 시원하게 도려내고 뒤이어 약을 처방하는 것’이라고 기억했다. 곽율은 남명이 제자들을 가르칠 적에 두 양단을 들어 남김없이 극진하게 말씀해주셔서 정성스러운 가르침에 감화를 입어 분발하게 되었다고 서술했다. 조원은 자신의 자질이 매우 부족했지만 정성스럽게 가르쳐주셨을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선비[佳士]’로 장려해주신 일에 깊이 감격했으며, 가르침의 핵심을 ‘居敬窮理’라고 요약했다. 이러한 내용에 근거하여 두 가지로 그 의미를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제문의 작자들은 남명 문하에서 중요한 비중을 가지는 제자들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데, 남명이 산청의 산천재에 은거한 만년에 입문한 학자들이 다수를 차지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둘째, 남명은 절실한 비유에 의해 새롭게 각성시키는 것, 핵심 단어와 구체적인 형상을 통해 수양의 목표를 분명하게 제시하는 것, 자신이 살아온 삶에 근거해 학자가 추구해야 할 이상을 보여주는 것 등으로 제자들을 가르쳤다.

      • 미수 許穆과 嶺南學脈

        안병걸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수 許穆이 嶺南學派에서 전수 받은 것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記言』에는 곳곳에 분산하여둔 전기 자료가 많이 보인다. 거기에는 영남 출신 학자들에 대한 기록도 풍부하게 남아 있어 그가 영남의 학자들과 다양한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앞에 정리한 영남학파 제현들과 관련된 글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南冥 曺植과 그 문인들. 둘째, 退溪 李滉의 문인들. 셋째, 寒岡 鄭逑와 그의 종유 문인들. 첫 번째 부류에 속하는 인물로는 南明 曺植을 위시한 崔永慶, 李濟臣, 趙宗道, 郭再祐, 裵紳 등과 이황의 문하에도 출입한 김우옹, 鄭逑 등이 있다. 또 조식에게 직접 배우지는 않았으나, 河沆과 河受一을 통하여 조식의 학문을 접한 河弘圖에 대한 글이 있다. 그밖에 최영경의 문인인 金昌一을 이 범주에 넣어도 무방할 것이다. 대체로 남명 문인들에 대한 허목의 인식은 자신들의 삶을 바꾸지 않는 탁월하고 높은 기상과 우뚝한 지조에 있었다. 두 번째 부류에 속하는 인물로는 退溪 李滉을 정점으로 하여 柳成龍, 李禎, 趙穆, 趙호익, 南致利, 鄭逑, 김우옹 등의 문인과 이황의 손자 李詠道와 손서 金涌 등의 일가의 인물이 있다. 허목의 퇴계 이황의 문인들에 관한 기록은 조식의 문인들에 비하여 비교적 평이한 편이다. 이황의 제자들은 각기 삶의 모습은 달랐다. 그러나 평생 학문 탐구에 몰두하여 강학을 하고 후생을 길렀으며, 저술을 남기는 등의 학문 탐구와 후진 양성을 통해 그들의 정신을 살려 나갔다. 이러한 이유로 허목은 이황을 대현이라고 존경하였다. 세 번째 부류로는 정구를 중심으로 하여, 張顯光, 鄭蘊, 裵相龍 등이 있다. 정구를 허목이 중시하는 이유는 그를 통하여 영남 유학을 배웠으며, 정구의 문하에서 수많은 문도들이 배출되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청백한 절조와 끝없는 탐구정신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정구는 이황의 정맥을 이어 받아서 더욱 넓고 깊은 학문으로 재생산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鄕風을 진작시켜 일대의 종사가 되었다. 본고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전기 자료는 영남 출신 학자들, 그 중에도 이황과 조식의 영향을 받은 선비와 학자들로 국한을 한 것이다. 그 이유는 허목이 살았던 시대와 역사적 공간을 함께 하기 때문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learning what is handed down to Mi-Su Heo-Mok(미수 許穆) from Young-Nam doctrinal faction(嶺南學派). And we are willing to consider it. In Gi-Eon(記言), it has much material that was distributed everywhere and also has many records of scholars from Young-Nam province. Thus, we can understand that there was many interchange between Mu_Su Heo-Mok(미수 許穆) and scholars of Young-Nam province. Documents that connected with Young-Nam doctrinal faction can classified in three parts. The first is that related to Nam-Myung Jo-Sik(南冥 曺植) and his literary men. The second is that related to literary men of Toe-Gae Lee-Hwang(退溪 李滉). The third is that related to Han-Gang Jeong-Goo(寒岡 鄭逑) and his literary men. The scholars belong to first classification are Choi-Young-Gyung(崔永慶), Lee-Je-Sin(李濟臣), Jo-Jong-Do(趙宗道), Gwak-Jae-Woo(郭再祐), Bae-sin(裵紳) (started with Nam-Myung Jo Sik(南冥 曺植) and Kim-Woo-Ong(김우옹), Jeong-Goo(鄭逑),(student under Lee-Hwang), etc. Also it has materials related to Ha-Heung-Do(河弘圖) who get learning of Jo-Sik(曺植) from Ha-Hang(河沆) and Ha-Soo-Il(河受一). And Kim-Chang-Il(金昌一) who was literary men of Choi-Young-Gyung can also classified into this. Generally, Heo-Mok's recognition to Nam-Myung literary men is superior and high disposition that cannot change there living and high integrity. In second classification, there are literary men contain that You-Seong-Ryong(柳成龍), Lee-Jeong(李禎), Jo-Mok(趙穆), Jo-Ho-Ik(曹好益), Nam-Chi-Li(南致利), Jeong-Goo(鄭逑), Kim-Woo-Ong(김우옹), persons of family that Kim-Tong(金涌), and Lee-Young-Do(李詠道). In comparison to literary men of Jo-Sik, The record of literary men of Lee-Hwang from Heo-Mok(許穆) is relatively simple. Each disciples of Lee-Hwang has different living. But, literary men of Lee-Hwang keep their spirit into their whole life through the activities which giving lectures, bringing up disciples, literary work, etc. From following reasons, Heo-Mok respected Lee-Hwang as the calling him the Dae-Hyun. In third classification, there are literary men that Jang-Hyun-Gwang(張顯光), Jeong-On(鄭蘊), Bae-Sang-Ryong(裵相龍), etc. from Jeong-Goo. The reason that Heo-Mok is taking a series view of Jeong-Goo has two reasons. One is that Heo-Mok studied Young-Nam confucianism from Jeong-Goo and the other is that there was produced a large numbers of disciple. They had integrity and spirit of endless studying. From Lee Hwang's stream of learning, Especially, Jeong-Goo reproduce it more widely and deeply. Thus, He was be the master of the age. The biological materials as studying object from this study are limited to scholars from Young-Nam province and influenced by Lee-Hwang and Jo-Sik among them. The reason is that scholars from Young-Nam province was together with the age of Heo-Mok's living and Historical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