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균여전 다시 읽기 : 고려 광종의 불교정책에 대한 화엄행자 균여의 협력 그리고 갈등

        석길암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4 No.-

        When King Gwangjong initiated political reforms to reinforce his power, Gyunyeo—who was recruited by the king—was a proactive ally in the king’s new reforms. The split in their collaborative partnership occurred in about 968. Both Gyunyeojeon[Biography of Gyunyeo] and the historical records from King Gwangjong’s reign do not supply any details about the incident. Regarding this incident, preceding studies have offered a few interpretations, including the conflict between Gyunyeo and Tanmun, another Hwaeom monk who did not belong to the Uisang lineage. To these, I want to add a few new elements in interpreting this incident. The first element concern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olicies implemented by Goryeo’s founder—King Taejo—and King Gwangjong. This reveals that King Gwangjong viewed the Doctrinal School and the Seon School differently. Secondly, in 968 Hyegeo at Yeongguksa Temple on Mt. Dobongsan was appointed state preceptor. Considering that the Beoban Order supported the congruence of the Seon and doctrinal approaches, and if the appointment of Hyegeo as state preceptor revealed King Gwangjong’s intent to integrate Buddhism by harmonizing the Doctrinal and Seon Schools, could this have been the cause of the rift between Gyunyeo and King Gwangjong? Thirdly, is the consideration of recent research findings that suggest beginning from the late 960s, King Gwangjong emphasized the view that “the king equates to the Buddha.” The Hwaeom philosophy is known to pursue harmony and fusion, or integration, and imperial power often applied this characteristic to governance. This strategy was also well known to Kings Taejo and Gwangjong who wanted to establish a state centered on the power of the throne by creating a pivot point to integrate the powerful clans that represented each region. This is further proven by the fact that of the temples established by these two kings, those which supported state policy were mostly Hwaeom temples. However, Hwaeom philosophy itself presupposes the wholeness of each individual because the wholeness of the whole is established based on the wholeness of the individual. Thus, the core philosophy of Hwaeom, represented by the saying “One is many and many are one,” embodies the characteristic pursued by Hwaeom philosophy. Gyunyeo, who was a proactive ally of King Gwangjong in his early efforts to reinforce royal power, seemed to come into conflict with the king who later pursued absolute royal power. Many elements could have contributed to this conflict, but one important reason to consider is the surfacing of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l values pursued by King Gwangjong and those of Gyunyeo based on his Hwaeom philosophy. 본 논문에서는 고려 건국 초기인 10세기 중반의 정치권력과 화엄종의 입장을 대변하는 광종(光宗)과 화엄행자 균여(均如)의 관계를, 국가불교(國家佛敎)와호국불교(護國佛敎)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광종이 왕권강화를 목적으로 개혁정치를 시작할 때, 광종에 의해 발탁된 균여는 광종의 왕권강화 정책에 있어서적극적인 협력자였다. 그런 두 사람의 협력 관계에 파탄이 생긴 것은 968년 무렵이다. 『균여전(均如傳)』과 광종대의 역사기록은 두 인물의 관계에 파탄을 일으킨 사건의 원인과 경과를 상세히 전해주지 않는다. 선행연구들은 이 부분에대해 의상계 화엄승인 균여와 비의상계 화엄승이었던 탄문(坦文) 간의 갈등 등몇 가지 해석을 제안하고 있다. 논자는 이 부분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새로운 요소를 고려하였다. 첫째, 고려 태조와 광종의 불교정책의 특징과 관련한 부분이다. 태조와 광종의 교종과 선종에 대한 대응방식이 동일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둘째, 법안종을 계승하고 고려에 전한 혜거국사가 등용되는 시점은, 균여와광종의 갈등이 표면화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혜거의 국사 책봉이 광종과 균여의 관계에 갈등을 낳는 계기였는가? 셋째, 96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광종이 ‘왕즉불(王卽佛)’의 입장을 강조하였다는 최근의 연구 성과에 대한 고려이다. 전제권력은 화엄의 통합적 성격을 통치에 곧잘 활용하였다. 하지만 화엄사상 자체는 개개 존재의 온전성을 전제로 삼는다. 개개의 온전함을 전제로 해서전체의 온전함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광종의 초기 왕권강화 정책에 적극적인협력자였던 균여가, 전제적이면서 절대적인 왕권을 추구하였던 시기의 광종과는 오히려 갈등을 겪는다. 그 갈등에는 많은 다른 요인들도 있었겠지만, 광종이 추구한 사회적 가치와 균여가 화엄사상에 기반하여 추구하였던 사회적가치가 서로 달랐다는 점이 표면화되었던 것 역시 중요한 하나의 원인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려(高麗) 광종(光宗)의 시위군(侍衛軍) 증강과 군제개편(軍制改編)

        김낙진 ( Kim Nak-jin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7 No.-

        광종은 중앙에서 호족들을 제압하고 왕권을 강화하였다. 이는 호족연합정권체제의 해체이자 국왕중심의 집권체제의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그는 즉위 직후 왕권이 불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초 공역자들에 대한 공훈을 산정하였는데, 이것은 자신의 즉위에 대한 논공행상의 의미도 내포하였다. 그는 불안한 왕권을 극복하기 위한 방책으로 후주와의 외교교섭에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후주의 개혁정치와 왕권강화에 대한 정보를 접하였고 고려에 도입하고자 하였다. 광종은 이를 통해 일련의 개혁정치를 추진하였다. 그의 이러한 정책들은 호족들의 이익에 반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종이 이를 추진할 수 있었던 데는 시위군 등 무력적 기반을 증강시킨데 기인한다. 그의 시위군 증강 조치는 군제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광종 11년 군제개편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徇軍部의 軍部로의 개편은 호족적 성격의 군사기구를 국왕중심의 군사기로의 재편을 의미한다. 軍部는 광종의 선발기준에 의해 뽑혀진 시위군을 관장하는 역할을 하였다. 일종의 수도에 주둔하는 중앙군에 대한 군정적 통치를 하는 군사기구였다. 최소한 중앙에서 호족들의 반독자적인 군사지휘권의 소멸을 의미한다. 軍部는 이후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 점과 병부의 설명 속에 들어 있다는 점에서 兵部에 통합되었다고 보았다. 內軍은 왕과 왕실의 신변보호와 궁궐의 수비에 더욱 초점을 맞춰 증강되었던 부대였다. 태조대 일리천 전투 당시 중군에 소속된 3軍과 같은 부대였다고 생각하였다. 혜종은 태조의 3군을 제대로 물려받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왕규나 정종·광종 등이 왕위를 넘보는 상황까지 이르게 하였다. 그 결과 광종은 무엇보다 우선 수도를 방어하고 궁궐을 수비하며, 왕을 호위하는 부대에 대한 증강조치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그 결과 시위군의 증강과 내군의 강화 등이 이루어졌다. 그것이 반영된 것이 순군부의 군부, 내군의 장위부로의 개편이다. 광종이 이러한 군제개편을 단행할 수 있는 것은 경제적 조치가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시위군의 증강은 많은 경제적 비용이 발생하는데, 광종은 이미 국초에 세공액을 정하는 조처를 통해 기존부터 준비를 해 왔다. 그 결과 시위군 증강이 이루어진 광종 11년에 軍需儲積 등 군수비용을 관장하는 관부인 物藏省을 寶泉으로 개편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Gwangjong came to the throne in support of the `Hojok` who opposed Jeongjong`s attempt to transfer of the capital to Gaegyeong. Since his enthronement, Gwangjong had maintained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Hojok`. In the mean time, however, he also prepared introducing several reform programmes. Establishing a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Later Chou is a good example. In 935, Daegyo, `Jwahyowidaejanggun`, paid a visit to Later Chou. In doing so, Gwangjong attempted to strengthen `Siwigun(the Royal Guard)`. `Siwigun` played a key role protecting Gwangjong from his political enemies by monitoring, detaining and arresting them. Gwangjong attempted to introduce a comprehensive reform which included purging `Hojok` as well as several significant institutional changes. For instance, he reorganized and strengthened such important royal military organizations as `Sungunbu`, `Naegun` and `Muljangseong`. They became `Gunbu`, `Jangwibu` and `Bocheon` respectively. Eventually, in doing so, Gwangjong aimed to establish royal authority which was no longer dependent on the military and economic support of `Hojok`. War Memorial of Korea/kimnj5253@naver.com

      • 10세기 고려의 대외관계와 과거제도의 시행

        플라센 라헬 ( Rahel Plassen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21 韓國史論 Vol.67 No.-

        본 논문은 10세기 고려의 과거제도 시행을 재조명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과거제도의 시행 목표를 일관되게 ‘왕권 강화’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구체적인 설명이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국내적인 의미만을 염두에 둔 이해방식이다. 동시에 과거제도의 시행 자체가 유발하는 의문도 있다. 광종대는 왜 소수의 급제자만을 선발하였는가? 이들은 왜 광종대에 의미 있는 관직을 역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가? ‘왕권 강화’를 위해 여러 개혁을 단행한 것으로 알려진 광종대는 외교를 활발히 펼친 시기이기도 하다. 광종은 오대십국 시기의 여러 국가와 ‘전방위적 외교’를 펼쳤으며, 이 사실은 당시의 국제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새롭게 주목하게 한다. 10세기는 당의 멸망으로 인해 다수의 황제국이 세워진 시기이다. 광종대의 여러 개혁과 제도 시행은 황제국의 표방과 보조를 같이한 것이었다. 이에 논문의 1장에서는 광종의 전방위적 외교와 황제국 체제의 수립을 연결지어 검토하였다. 여기에 과거제도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외교문서의 작성과 전달이 중요해진 시기에 이를 담당할 인재들은 줄어든 상태였다. 광종대 쌍기의 주도하에 치러진 과거 시험과목을 살펴보면, 당시 제술과는 四六騈儷體의 작성 능력을 시험하였는데, 이는 국내 공문서와 외교문서에 대표적으로 쓰이던 문체였다. 2장의 핵심 논점은 외교문서 작성 역량이 과거제도를 통해 길러질 수 있었다는 점이다. 광종은 당시의 인적 수요를 관료 선발을 통해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10세기 후반 과거제도의 운영은 당시 당면한 외교 과제와 상호작용적인 관계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대송 관계에서 과거급제자들의 역할에 새로운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종대 송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966년에서 972년까지는 교류가 없었다. 그런데 바로 이 시기에 고려에서 과거제도의 시행도 정체되었다. 이 사실은 과거제도가 오로지 국내적인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는 점을 잘 보여준다. 송의 중원 통일을 계기로 재시행된 과거제도 역시 위와 같은 해석을 뒷받침해 준다. 마지막으로 지공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쌍기, 왕융과 같은 귀화인의 역할이 광종 초기의 과거를 넘어서 성종대 말까지 이어졌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 10세기 후반, 성종 16년을 기점으로 지공거의 역임 시 관직이 변화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시점에서 과거제도가 다른 방향성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실들은 광종이 과거제도의 시행을 통해 추진한 외교 역량의 강화를 보여준다. 이렇게 국제 관계를 함께 고려했을 때, 10세기 과거제도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re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of the examination system under King Gwangjong (r. 949-975) in the light of 10<sup>th</sup> century diplomatic relations. As the fourth ruler of the newly founded Goryeo dynasty, Gwangjong conducted a series of reforms that have been interpreted as designed to strengthen royal power. Reasonable as this assumption may appear,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graduates as well as their rather modest role under the king’s reign suggest that it does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func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during his times. As recent research has shown, Gwangjong’s rule can be characterized by active engagement in diplomacy. He maintain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Five Dynasties as well as the Ten Kingdoms. After the collapse of the Tang dynasty, a power vacuum on the mainland allowed for the formation of several states, not few of them imitating the Great Tang imperial state. Hence,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aims at discerning Gwangjong’s imperial ambitions. Formally accepting investiture, he effectively positioned Goryeo as an equal player on par with the Chinese states. In his effort to further increase Goryeo’s prestige, Gwangjong seems to have faced a shortage of capable diplomats. Until the downfall of Tang, the Silla kingdom sent students abroad, making them attend the imperial examinations for foreign visitors. Educated in the “four-six parallel ornate style” (saryukbyeollyeoche, 四六騈儷體), those who returned were qualified for writing official documents. During Gwangjong’s times, the state could no longer rely solely on this reservoir of talents. By introducing the examination system, Gwangjong established an institution that would provide him with officials capable of writing state documents.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focuses on this particular func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tracing its development throughout the second half of the 10<sup>th</sup> century. The first successful candidates initially seem not to have played any significant role in civil service. Only some 20 years later, under King Seongjong (r. 981-997), their names appear among the roster of higher ranking officials. An analysis of their career paths, however, discloses their importance in the field of diplomacy. The Goryeo-Song relationship seems to have exerted direct influence on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examinations were conducted. When the exchange of envoys was sparse, the examinations came to a halt, too. Lastly, changes in the background of the examiners (jigonggeo, 知貢擧)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For decades, those appointed examiners were selected from the ranks of the Hallim (翰林) scholars. This changed at the end of the 10th century, when the diplomatic equation was altered fundamentally by the Khitan expansion. Eve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observations, it might be biased to claim that the examination system was established for diplomatic purposes only. Nevertheless, a consideration of Gwangjong’s imperial policies an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10<sup>th</sup> century can help to shed some new light on an ancient institution.

      • KCI등재

        문자기와를 통한 안성 봉업사의 성격 연구

        김병희 백산학회 2018 白山學報 Vol.0 No.112

        we try to analyze the tiles inscribed with the names of people and places. "Neungdal" is the name of a person from Cheongju. We can think that Neungdal was dispatched to the site, after Wanggeons accession, to check and conciliate Cheongju influence and Jukju influence, as for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tiles with the era names -such as "Junpung", "Taepyeongheungguk" and "Ongheui" - were embossed with two lines in a rectangle on the back without figure motif. The tiles with "Geondeok" and "Heunggukpallyeon" were also inscribed with oblique lines or fish skeleton, but we found that the main motifs were not the figure motifs but the inscriptions. This aspect shows the remarkable feature compared with the major tiles with the zodiac names, which have figure motifs in the key role with inscriptions inside. That is, the tiles with the era names were manufactured in small numbers, and do not have figure motifs around or have figure motifs in the minor role so that we can find that the inscriptions were highly regarded. The motifs on the back of the tiles with zodiac name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ith "Muonyeon" or "Shinyunyeon" has oblique lattice rather than complex motif. The other group with "Gisanyeon" or "Gapsullyeon" has lattice or oblique lattice as the main motif; the tiles with "Gapsullyeon" have diamond-shaped motif as the sub-motif while the tiles with "Gisanyeon" have fish skeleton as the sub-motif, which show complex motifs. 이 연구는 안성 봉업사 3차례 발굴조사를 통하여 출토된 많은 문자기와들의 분석을 통하여 봉업사의 성격과 변천과정을 살펴본 글이다. 안성 봉업사는 통일신라시대 9세기경 신라왕실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세력들에 의해 현재 오층석탑이 있는 봉업사 이전시기에 ‘화차사’가 창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 초 인물인 “능달(能達)”명 문자기와는 왕건 즉위 후 궁예의 지지기반이었던 청주 세력과 죽주세력들을 견제하고 회유하기 위해 청주 출신인 능달을 이곳에 파견하였으며, 문자기와가 제작되던 925년에 이곳에서 봉업사의 불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였음을 보여준다. 고려 전기 대규모 봉업사 중창과 함께 제작된 문자기와들은 봉업사의 역사적 성격과 위상을 엿볼 수 있다. 기와에 지명이 기록된 “대개산(大介山)”, “죽주(竹州)”, “개차관(皆次官)” 등은 봉업사가 있는 안성 죽산의 옛 지명들이다. “개차관”에서 “개차”는 죽산의 고구려 지명이며, “서주관(西州官)”의 서주는 서원경인 지금의 청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명문이 기록된 문자기와에서 그 종류와 개체 수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고려 전기 광종 대에 제작된 것들이다. 고려 광종 때 제작된 기와를 시기 순으로 나열하면 “병진(丙辰)” : 광종 7년(956)-“무오(戊午)” : 9년(958)-“신유(辛酉)” : 12년(961년)-“준풍(峻豊)” : 14년(963)-“건덕(乾德)” : 18년(967)-“기사(己巳)” : 20년(969)-“갑술(甲戌)” : 25년(974)이다. 봉업사 전체 지역에서 출토되는 문자기와들은 광종 7~25년(956~974)의 18년에 해당되는 시대이며, 고려 태조의 진영을 모신 진전사원으로서 봉업사의 창건시기와 상통한다. 진전사원으로서 봉업사의 대규모 불사가 이루어지는 시기는 광종의 개혁정책이 시작되고 이에 반발하는 호족들에 대하여 숙청정책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봉업사 출토 문자기와를 통해 고려 광종의 개혁과 왕권강화 정책 등을 알 수 있다. 광종은 청주-죽주-충주로 이어지는 중부내륙지방의 세력들을 중심으로 하여 개혁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견제하였다. 광종은 이러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개혁에 지지 세력이던 죽산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국가와 국왕의 권위를 나타내고 또한 지속적인 민심의 확보와 배려차원에서 진전사원인 봉업사를 대규모 중창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高麗 光宗의 개혁정치와 淸州 龍頭寺 鐵幢竿의 건립

        김낙진(Kim nak-jin)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1

        청주 龍頭寺 철당간 건립은 청주지역의 지방사회가 큰 이완을 겪고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청주는 궁예가 나라를 세우기 이전부터 그와 관련이 있었다. 그 이후 나라를 세우고 수도를 철원으로 옮길 때 청주인호 1천을 徙民 시켜 그의 군사적, 정치적 기반으로 삼았다. 청주세력은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자 크게 분열하였다. 친궁예세력과 친왕건세력으로 나누어지면서 서로 대립하였다. 그리고 중앙에서 활동하던 청주세력과 지방에 재지하고 있던 청주세력들도 서로 이해관계가 달라졌다. 이러한 분위기는 청주지역 호족들의 결속력을 약화시켰을 것이다. 또한 점차 강화되어가는 중앙의 지방통제는 지방사회의 실질적인 지배자였던 호족들의 지방민에 대한 영향력을 감소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상태는 용두사 철당간이 세워지는 광종대도 계속되었다고 보았다. 광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개혁정치를 추진하면서 중앙에서 활동하던 대호족들을 숙청하였다. 이러한 개혁정치를 추진하기 위한 무력적 기반으로 주군에서 풍채 있는 자들을 뽑아 올려 자신의 시위군으로 삼았다. 이 때 뽑혀 올린 시위군은 아마도 지방 호족들의 휘하에 있던 사병들이었을 것이다. 특히 국왕을 호위하는 시위군이었다는 점에서 장교급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점에서 주군의 중소호족들도 시위군으로 선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일찍부터 궁예의 군사적 기반으로서 중요성을 나타냈던 청주지방에서도 시위군이 선발되었을 것이다. 이 점은 청주지방사회의 분열을 가속하는 것이며, 청주의 주도적인 호족세력들의 힘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청주의 용두사는 선종계통 사찰로 추정되는데, 광종의 법상종 계통 사찰에 대한 지원으로 교종이 우세하게 되자 용두사는 점차 쇠퇴하였다고 생각된다. 이에 따라 청주지역민들의 사상적 기반으로서의 용두사의 역할도 줄어들었다. 堂大等 김예종 김희일 일가를 비롯하여, 김수□, 김석희, 김관겸 등 청주김씨들은 경제적 비용을 책임지면서 용두사에 당간건립 사업을 추진하였다. 청주지역의 호족세력들은 이완 되어 가는 지역사회의 지배력에 대한 위기의식을 극복하기 위해 당간 건립이라는 대규모 사업을 주도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결속력을 다지고 청주김씨 일족을 중심으로 당간기에 기록된 손씨, 경씨, 한씨 등 지역의 중소호족들의 지배질서를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었다. 이 때 청주지역은 이미 지방호족들의 지배력이 많이 약화되었다고 보인다. 당간기에는 전직 시랑과 전직 병부경, 전직 사창 등 전임자와 학원경과 학원랑중 등 현직자가 보인다. 당간기에 등장하는 이름이 당시 용두사를 중심으로 한 청주지역 호족들의 전부는 아닐 것이다. 그들 가운데 일부는 당간건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것은 청주김씨의 청주지역에 대한 지방 지배력이 약화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주 용두사 철당간의 건립은 청주 지역민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청주김씨를 중심으로 한 지방세력의 지배질서를 재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고 생각된다. The construction of Iron Flagpole of Yongdusa(龍頭寺) reflects the hojok’(豪族local gentry)s decreasing influences on the local communities in Cheongju. Cheongju was closely related to Gungye(弓裔) before his accession. Gungye built a solid foundation as forcible displacements of Cheongju’s 1000households when he moved the capital to Cheorwon. The powerful of Cheongju were so badly disunited when Wang Geon(王建) was crowned king. They were divided into Loyalists to Wang Geon and the opposing part(Loyalists to Gungye). Also the local gentry of Cheongju had different interests depending on where they live. This conditions made it difficult for the cohesion of the hojok in Cheongju. Also central government strengthened it’s control over hojok’s power and it led to lessen their influence on local residents. This lasted until the reign of Gwangjong. Gwangjong executed a sweeping purge to major hojok. For that, Gwangjong picked men of great presence as the King’s guards(侍衛軍). They formed the military basis of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These guards used to belong to the hojok privately. Especially they had a duty of escorting the king, the officers were also involved. Because of this, some of the hojok presumed to be chosen as King’s guards. From early on, Cheongju played a key role in the military support of Gungye. So selecting King’s guards in Cheongju split local societies and reduced the major hojok’s power. Yongdusa in Cheongju was estimated to be a temple of Cheontae Order. Because of Gwangjong’s(光宗) support to Beopsangjong, Gyojong was in a position of advantage over the other Buddhist sects. So Yongdusa decayed and lost its position as an ideological foundation to local people. The Kim clan of Cheongju, including Dangdaedeung(堂大等 local headman) Kim Yejong, Kim Huiil, Kim Su□, Kim Seokhui, Kim Gwangyeom, bear the cost as a part of its efforts to build the Iron Flagpole of Yongdusa. Such a large-scale project came amid a mounting sense of crisis about their power.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Iron Flagpole of Yongdusa, the hojok of Cheongju (The Kim clan as the central figure, The Son clan, The Gyeong clan, The Han clan) wanted to build the flagpole to show solidarity for their dominating force. The hojok of Cheongju already lost their power and influence. From the records of flagpole, we could notice the list of contributors with many well-known names and the titles of the office for both predecessors and incumbents. It was not the totality of the hojok in Cheongju. Some of them did no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of Iron Flagpole of Yongdusa. This means that hojok’s influence is on the ebb.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Iron Flagpole of Yongdusa was actively promoted as a means of solidifying the hojok’s power.

      • KCI등재

        『高麗史』食貨志 陳田 개간 判文의 ‘私田’ 검토

        吳致勳(Oh, Chi-hoon) 한국사학회 2013 史學硏究 Vol.- No.110

        고려시대에는 관직에 복무하거나 직역을 부담하는 이들에게 전시과를 지급하였다. 전시과는 토지와 땔감을 얻을 수 있는 산판 ? 柴地 ?을 각각 나누어 준 것이었다. 하지만, 전시과에 의해 분급된 토지는 토지 그 자체가 아니라 단지 토지에서 생산된 곡물의 일정량을 주는 것이었다. 이렇게 곡물의 일정량을 가져갈 수 있는 권리를 수조권이라 한다. 전시과제도에 의해 양반관료가 수조권을 위임받은 토지가 곧 양반전이었다. 그런데, 당시 사료에는 양반전을 흔히 ‘私田’이라고 표현하였다. 이것은 오늘날의 사유지와는 다른 뜻이며, 단지 租가 국가가 아닌 개인에게 귀속된다는 의미에서 ‘私田’이라고 한 것이었다. 하지만 한편으로 사유지를 ‘私田’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어서 고려시대의 ‘私田’을 해석할 때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고는 고려시대의 私田을 이해하는 기초 작업으로『高麗史』食貨志 田制 租稅條의 陳田 개간과 관련하여 등장하는 私田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진전 개간 판문에 보이는 私田은 兩班田과 같은 私人收租地였다. 때문에 사유지에서의 개간과는 달리 국가가 田主와 佃戶사이의 수확물 분배를 규정한 것이었다. 이러한 내용은 광종 24년(973)과 예종 6년(1111)에 두 차례에 걸쳐 확인된다. 광종대의 개간 규정은 3년 뒤에 시행될 始定田柴科의 예비 작업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광종의 호족 숙청과 같은 정치세력교체의 결과를 반영한 것이었다. 광종은 태조 이래의 호족 및 공신세력을숙청하고 신진인사들을 등용하여 자신의 정치기반으로 삼았다. 그 결과 구세력이 갖고 있던 토지가 적몰되거나 신진관료들에게 주어지는 등 토지 소유관계에 혼란이 있었다. 陳田은 이와 같은 정치적 혼란 및 농업환경의 제약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에 973년에 전시과 창설 3년을 앞두고 관료에 대한 체계적인 토지분급제 마련을 위해 진전 개간 규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예종대의 진전 개간 규정은 부실한 私田관리의 결과 만들어졌다. 국초에 정해진 진전 개간 및 사전 운영 방식이 시간이 흐르면서 규정대로 지켜지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관리들이 佃戶로부터 불법적으로 租를 거두거나 軍人田을 소홀하게 관리하여 군인이 도산하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 때문에 예종 6년에는 전호와 사전주의 수확물 분배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정하였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私田경영을 도모했다.

      • KCI등재

        영조대 違豫論과 그에 기반한 역사 인식-南宋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이동화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8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Korean intellectual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英祖 (1694~1776; r. 1724~1776) of the Joseon Dynasty 朝鮮 (1392~1910) perceived the illness of King Gyeongjong 景宗 (1688~1724; r. 1720~1724), the preceding ruler-i. e., a monarch’s ailment 違豫-and rationalized their arguments.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it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case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from Emperor Guangzong 光宗 (1147~1200; r. 1189~1194) to Emperor Ningzong 寧宗 (1168~ 1224; r. 1194~1224) during the Southern Song Dynasty 南宋 (1127~1279) in China, mainly cited by intellectuals of the Old Doctrine 老論 (Noron) faction, was understood by intellectuals from disparate factional affiliations 黨色. Because King Gyeongjong’s illness, or a monarch’s ailment,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evaluating the Treason Case of 1721~1722 辛壬獄事 (Sinim Oksa) and King Yeongjo’s accession to the throne,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Despite many fruits of research,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tended to understand discussions on King Gyeongjong’s illness as a political process.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grasp discussions on the monarch’s illness ideologically on the basis of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In addition, it seeks to present a modest hint for rethinking the theory of the lineage of the three kings 三宗血脈論 [i. e., Kings Hyojong 孝宗 (1619~1659; r. 1649~1659), Hyeonjong 顯宗 (1641~1674; r. 1659~ 1674), and Sukjong 肅宗 (1661~1720; r. 1674~1720)],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theory of monarchs’ ailments 違豫論. From the early years of King Yeongjo’s reign,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argued that King Gyeongjong’s illness, or the monarch’s ailment, must be elucidated clearly. Such an opinion on the part of the Old Doctrine faction was partly accepted by King Yeongjo due to the limitations of Realpolitik. Directly applying the case of Emperors Guangzong and Ningz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to that of Kings Gyeongjong and Yeongjo, however,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sought to demonstrate the legitimacy of King Yeongjo’s enthronement and the superiority of the value of righteousness and integrity 義理 that they espoused. These figures first criticized King Gyeongjong’s failure properly to perform mourning rites 喪禮 due to his illness. As representative examples of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this study examines figures including Yi Jae 李縡 (1680~1746) and Gim Won-haeng 金元行 (1702~1772). On the contrary, intellectuals from the Young Doctrine 少論 (Soron) faction and the Southern 南人 (Namin) faction expressed divergent opinions on King Gyeongjong’s illness. First, intellectuals of the Young Doctrine faction, who were participants in political affair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responded passively, claiming that King Gyeongjong’s illness should not be mentioned directly. In contrast, Yi Ik 李瀷 (1681~1763), who is presented in this study as a representative figure from the Southern faction, assessed the case of Emperors Guangzong and Ningz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cited positively by the Old Doctrine faction, in a directly opposite manner. Yi Ik, who defined the case of Emperors Guangzong and Ningz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as usurpation, perceived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from King Gyeongjong to King Yeongjo in a way different from the evaluation of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본고는 英祖(재위 1724~1776) 시기 지식인들이 이전의 군주였던 景宗(재위 1720~1724)의 병증, 즉 違豫를 어떻게 인식하고 자신의 주장을 합리화했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노론계 지식인들이 주로 활용하였던 南宋(1127~1279) 光宗(재위 1189~1194)-寧宗(재위 1194~1224)의 승계 사례가 서로 다른 당색의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경종의 병증, 즉 違豫는 辛壬獄事(1721~1722, 경종 1~2)와 영조의 즉위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기 때문에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많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경종의 병증과 관련된 논의를 정치적 과정으로 이해한 경향이 없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경종의 병증에 관한 논의를 사상적으로도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에 더해 違豫論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三宗血脈論을 다시 생각해보는 작은 단서를 제시하고자 했다. 영조 즉위 초부터 노론계 지식인들은 경종의 병증, 즉 違豫를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견해는 이후 현실 정치의 제약으로 인해 영조에게 부분적으로 수용되었다. 노론계 지식인들은 남송 광종-영종의 사례를 곧바로 경종-영조의 사례에 적용하며 영조 즉위의 정당성과 노론의리의 우월성을 증명하고자 했다. 이들은 병증으로 喪을 제대로 집행하지 못한 경종의 행위를 우선적으로 비판했다. 본고는 노론계 지식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李縡(1680~1746)․金元行(1702~1772) 등을 살펴보았다. 이에 반해 소론․남인계 지식인들은 경종의 병증에 대해 다른 견해를 제시했다. 우선 영조 당대 정국에 참여하고 있던 소론계 지식인들은 경종의 병증을 직접적으로 거론하지 말 것을 주장하는 등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본고에서 남인계의 대표적인 사례로 제시한 李瀷(1681~1763)은 노론계 지식인들이 긍정적으로 활용한 남송 광종-영종의 사례를 정반대로 평가했다. 남송 광종-영종의 사례를 찬탈로 규정한 이익은 경종-영조의 승계 과정을 노론계와 다르게 이해하였다.

      • KCI등재

        高麗 光宗을 보는 또 다른 시각 -미술사와 고고학을 통하여-

        정성권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3 한국인물사연구 Vol.19 No.-

        Kwangjong(光宗) is a one of the famous Emperor in Koryo(高麗) dynasty. Many scholars have been studied about Kwangjong. Most studies about him researched based on Koryosa(高麗史) which is a historical book written in early Choson(朝鮮) dynasty. Although Koryosa is a important book to study about Koryo dynasty, Koryosa has paltry record about early Koryo dynasty. Because of that studying about early Koryo is very difficult. This article was written to solve this kind of problem. To study Kwangjong period. In this paper,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was progressed. This paper used the traditional historical studies method, art historical and archeological method. In the main body, the Kwangjong period was classified into the former, the middle and the latter part. The former part of Kwangjong period, Kwangjong build many buildings. For example, Daebongeunsa(大奉恩寺), Bulilsa(佛日寺) and Sungsunsa(崇善寺) which were huge buildings and temples for his parents. Those site excavated recently. Kwangjong wanted to show that he inherited his father’s legitimacy, because of that he built many temples. The middle part of kwnagjong period, Kwangjong repaired and constructed many mountain castle and fortress at the central districts of Koroy. At this time, usually the threat of national security was existed at outside of Koryo. However Kwangjong repaired many fortress at middle of Koryo. In the article researched the reason. At that time, Kwangjong tried to strengthen Royal power. In order to intensify the royal authority, Kwangjong liquidated many founding contributor. Kwngjong worried about his opponents’ rebellion. He wanted to quash the rebellion if the rebellion brake out. Because of that he built and repaired many fortress and temples at the central districts of Koryo. In this paper, the latter part of Kwangjong period was explained by two statues of the Buddha. One is the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in Guwneumsa(觀音寺). Kwangjong wanted to show his mercy by making this statue. Because at that time, many people thought that Kwangjong was a tyrant. The other Buddhist image is a standing stone Buddha statue in Kwanchoksa(觀燭寺). This is a tallest Buddha image in Korea. The purpose of making this huge Buddha image was that Kwnagjong wanted to control his opponent by huge Buddha’s power. In this article show that Kwangjong identified himself with the huge Buddha image.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신정왕태후 황보씨의 위상 변화 - 왕실 근친혼과 관련하여 -

        신수정 ( Soojung Shin ) 한국여성사학회 2015 여성과 역사 Vol.- No.23

        신정왕태후 황보씨는 황주 호족 황보제공의 딸로 태조의 후비가 되었다. 그 후 딸은 광종 비 대목왕후로, 외손자는 경종으로, 친손녀 2명은 경종의비로, 그리고 마침내 친손자는 성종으로 즉위하게 된다. 이처럼 신정왕태후 황보씨는 태조에서 성종대까지 왕실과 오랫동안 관련을 맺고 살았던 고려초기의 왕실여성이다. 그러나 그의 태후로서의 지위는 아들이 왕위에 올라 얻은 것이 아니라 신정왕태후 자신의 노력을 바탕으로 얻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비록 태조의 비가 되었지만 왕에게는 29명의 후비가 있었기에, 그는 여러 후비 중의한 사람일 뿐이었다. 『고려사』에는 신정왕태후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태조대 그녀의 위상은 황주원부인으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니었다. 이런 신정왕태후는 태조가 죽은 후 미망인으로 40년을 살면서 계속해서 왕실과 연결을 맺고 있는데, 그 중심에 왕실 근친혼이 자리하고 있다. 먼저 딸이 광종과 이복남매간 혼인하였다. 딸은 광종의 왕비가 되었고, 이로써 신정왕태후는 외척의 지위에 있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간접적인 정치적 역할이 보이고, 가정과 가문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할머니로서 손자손녀를 양육하고 교육하는 일을 하였고, 광종의 억압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던 외손자 경종을 돌보는 일에도 관여한다. 광종이 죽고 외손자 경종이 즉위하자. 신정왕태후의 역할은 좀 더 적극적인 면을 보이고 있는 듯하다. 경종은 반광종정책을 펴는데, 그 배후에 신정왕태후의 역할이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또한 자신의 친손자손녀들의 결혼에도 집안의 어른으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2명의 친손녀들이 경종과 혼인하고, 친손자 성종은 외손녀이며 경종의 누이인 문덕왕후와 혼인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 신정왕태후의 적극적인 면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경종은 외할머니 신정왕태후의 호칭을 황주원부인에서 명복궁부인으로 승격시켜주었다. 그리고 죽음에 이르자 후계를 사촌동생 성종에게 넘기게 된다. 이로서 친손자가 왕위에 즉위하게 되었다. 황보씨는 손자 즉위 후 2년째 되는 해 별세하게 되는데, 성종이 내린 시호가 신정왕태후였던 것이다. 따라서 신정왕태후로 불리는 것은 아들이 왕위에 올라 자동으로 얻어진 칭호라기보다, 여러 과정을 거쳐 특히 왕실 근친혼을 통해 마침내 친손자가 왕위에 오르는데 기여함으로서 얻은 칭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간접적이나마 신정왕태후의 정치적 영향력을 알 수 있으며, 적극적인 삶을 살았던 왕실 여성의 일면을 볼 수 있다. This is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empress dowager Shin-jung`s status. In general, an empress dowager means the mother of the king, but her son was not the king. In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explain how she had gotten the title of the empress dowager Shin-jung. She was a daughter of Hwangbo Jegong(皇甫悌恭), who had been a local strongman in Hwangju, later she became one of 29 wives of King Taejo. Yet, she could not the queen consort or the mother of the crown prince, so her status was not high enough during the King Taejo period. The daughter of the empress dowager married Wang So(王昭), a step-brother. After Wang So succeed to the throne after King Jungjong, and became King Gwangjong, the fourth king. Because of her daughter, she became a mother-in-law of Gwangjong. Due to the royal marriage, it was possible that she have been treated as the mother of the queen consort during King Gwangjong period. Based on her status, she tried to influence in politics through the queen consort, her daughter. At the same time, she was also able to take care of her grandchildren who had lost their parents. During King Kyongjong period, she became the maternal grandmother of the king. Because of the relationships, perhaps she might have been influential to the king in politics, especially in marriages. King Kyongjong already had wives, but he married two more wives who were granddaughters of the empress dowager. In addition, the king`s sister married her cousin who was the empress dowager`s grandson. These couples were the empress dowager`s grandchildren on her daughter`s side and son`s. King Kyongjong gave her the name of the Madam of Myongbok -palace to show his gratitude to her. At last, her grandson on her son`s side succeed to the throne as the sixth king. King Sungjong gave her a title called the empress dowager Shin-jung after she died. Her titles were Madame of Hwangju-won and Madame of Myongbok-palace during her life. She had tried to match her children and grandchildren with step-siblings and cousins in the royal house. As a result of her efforts through the consanguineous marriage, her grandson could have become a king, and she also became an empress dowager after death. Therefore, the title called the empress dowager Shin-jung was obtained from her efforts.

      • KCI등재

        고려 광종대 승계제(僧階制)의 시행과 불교계의 재편

        김윤지 ( Kim Yune Jee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4

        신라에서 왕이 고승(高僧)의 지위를 공인하고자 할 때 수여한 칭호로는 대덕(大德)과 대사(大師)가 있었다. 그러한 정책은 이후 고려에서도 통용되었다. 태조(太祖)는 뛰어난 자질을 지닌 승려를 대덕으로 공인하였고, 당대의 고승이 입적하면 시호(諡號)와 함께 대사를 수여하였다. 광종대에는 대사 이상의 지위가 설정되어 대덕(大德), 대사(大師), 중대사(重大師), 삼중대사(三重大師)로 계서화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승계(僧階)의 제도화로 이해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전 시기 대덕, 대사의 수여와 광종대의 수여가 연결되는 지점들에 주목함으로써 이때의 수여도 기존의 정책의 연장선상에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또한 광종대 승계가 승려에 대한 여러 칭호들 중 대덕과 대사로 구성된 이유를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그런데 광종대의 수여는 젊은 승려들이 그 대상이 되었다는 점에서 변화가 발생하였다. 주목되는 것은 그들이 국왕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던 고승의 문하(門下) 승려들이었다는 점이다. 광종은 그들에게 대덕, 대사를 전 생애에 걸쳐 수여함으로써 그 지위를 단계별로 높여주었다. 이는 대덕, 대사가 계(階)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음을 의미하는데 실제로 당시 승정(僧政)을 구성하는 제도의 시행은 관료체계의 정비과정과 함께 한다. 더욱이 승계를 비롯한 관련 제도들은 관료체계의 정비보다도 먼저 시행된 정황들이 보이는데, 국초 승려들을 통치권 안으로 흡수하고 그 상층부를 새로이 구축하는 것이 그 만큼 중대한 사안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광종은 신라 이래 기존의 정책을 계승하면서도 젊은 승려들을 주요대상으로 하여 승려의 상층부를 새로이 설정함으로써 불교계에 변혁을 가하였다. 그러한 시도는 결실을 거두어 이후 선교(禪敎)를 막론한 승려들이 고려의 승정체계로 들어오게 된다. Silla`s Kings officially granted the degree of Daeduk(大德) or Daesa(大師) to recognize high priest of Buddhism. The policy hold in Gor-yeo. Tae-jo granted to qualified monks the degree of Daeduk(大德). High priests of Buddhism passed away enter[pass into] Nirvana, Tae-jo granted to them Daesa(大師). Gwang-jong period qualified monks`s rank is from Daesa(大師) to SamjoongDaesa(三重大師). That is counted as Seungkye(僧階)`s institutionalization. This manuscript focused relations before granted monks the degree of Daeduk(大德), Daesa(大師) and Gwang-jong period granted Daeduk(大德), Daesa(大師). The same is true of Gwang-jong period policy. This investigation is instrumental in understanding that Gwang-jong period Seungkye(僧階) be composed of Daeduk(大德), Daesa(大師). However, the change happened grant in Gwang-jong period. There was noticable point that they were high priest of Buddhism`s monk disciple ha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king. By granting over whole life to them, Gwang-jong raised the position in stage. In those days several system construct Seungjeong(僧政) synchronize bureaucratic system maintenance. Gwang-jong carry on existing policy, maintain one`s focus on the yonger monks, reformed Buddhism. Therefore regardless of Zen Buddhism, non-Zen Buddhism all monks entered Gor-yeo Seungjeong(僧政).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