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은 행동을 설명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가 ? : 국내 학술지 대상 메타분석을 통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정교화를 위한 시론

        이진우,손영곤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광고PR실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계획된 행동이론 및 확장된 이론을 적용한 논문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을 위해 사용된 개념들을 검토해 보았다 . 또한 이들 개념이 추가됨에 따라 계획된 행동이론의 설명력 증가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이를 위해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217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 그 결과 , 계획된 행동이론의 설명력을 증가시기키 위해 사용된 추가 개념은 과거 행동 , 습관 , 과거 경험 , 도덕규범 , 집단 규범 , 기술 규범 , 지식 , 자기효능감 , 자기정 체성 , 실천의도 등이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 습관 , 과거 행동 , 도덕규범은 행동의도나 행동을 설명하는 변량을 증가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특히 이들 개념은 행동의 도나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계획된 행동이론을 확장 하는 데 있어 유용한 개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데 널리 적용된 대표적인 이론가운데 하나인 계획된 행동이론을 확장하는 데 있어 검토할 수 있는 요인과 그 설명력을 살펴보았다는 데 가장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s used for the expa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o show the change of variance of additional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how much the addition of these concept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rough a meta-analysis on 217 studies published up to the end of 2016 in Korea.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in the exte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re past behavior, habit, past experience, moral norm, group norm, descriptive norm, knowledge, self-efficacy, self-identity, and implementation intention. The habit, past behavior, and moral norm had a great effect to increase variance explaining the behavior intention or behavior. Also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se concepts could be useful to exte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finding implies that additional variables are significant in the exte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meta-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s in which curren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search can be taken forward.

      • KCI등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적용을 통한 해양스포츠 체험 활성화 탐색

        김성규(Sung-Kue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해양스포츠 체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계획행동이론(TPB),‘사전지식’변수를 추가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의 상대적 유용성을 검증하고,‘사전지식’정도별 사람들의 계획행동이론의 구성변인들(태도, 주관적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재방문의도)의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9년 S시에서 진행된 해양스포츠 체험 참여자 4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편향되거나, 불성실한 자료 35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85부의 설문지를 코딩하였다. 코딩한 자료는 SPSS 21.0 및 AMOS 21.0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였다.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개념신뢰도, AVE값, Cronbach’s α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계획행동이론(TPB)에서 세 개의 예측변인이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으로‘사전지식’을 추가하여 재방문의도를 네 개의 예측변인 중지각된 행동통제를 제외한 태도, 주관적 규범, 사전지식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방문의도를 설명하는 설명력을 살펴보면 계획행동이론이 43.5%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 51.8%(계획행동이론보다 8.3% 증가, p=.000)로 나타났다. 사전지식이 새로운 변인으로 추가될 때 재방문의도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전지식변수를 고, 저 집단으로 분류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이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구성변수에 평균값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usefulness of the TPB and Extended TPB with the addition of the “Battery” variable to participants in marine sports experiences.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theories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revisit intention) were compared. A total of 4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survey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the general public who participated in the marine sports experience in S city in 2019. Finally, 385 copies of valid samples were extracted, except for the questionnaire. The following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cept reliability, AVE value,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performed. First, in the TPB, three predi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rior knowledge, except for behavior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Second, the explanatory power to explain the return intention was 51.8% (3.3% more than plan behavior theory, p = .000). It can be seen that when prior knowledge is added as a new variable,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intention to return. Third, prior knowledge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high and low group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ended planning behavior theo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 with higher prior knowledge had a higher mean value for the constituent variables of the extended planning behavior theory.

      • KCI등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프로야구팬의 관람행동에 관한 연구

        배정섭 ( Jung Sup Bae ),원도연 ( Do Yeon Won ),조광민 ( Kwang Min Cho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5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계획행동이론에서 제시된 태도, 주관적 규범 및 지각된 행동 통제력 외에 팀 동일시와 사전지식이포함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설정하여 이를 프로야구팬들에 적용한 후 관람의도 및 관람행동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에 프로야구팬들의 관람행동에 관한 본질적인 부분을 탐색하여 프로야구 구단들이 야구팬들을 증대 및 유지하기 위한 마케팅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연구대상은 2014년 4월 12일부터 4월 27일까지 프로야구경기를 관람한 400명의 야구팬으로 설정했다. 표본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추출되었으며 총40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것으로 판단되는 19부의 설문을 제외한 381부를 유효 표본으로 활용했다. 선정된 설문지는 IBMSPSS 20.0과 AMOS 20.0을 통하여 빈도분석,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행동이론의 구성요인 중태도가 프로야구팬들의 관람의도에 정(+)의 영향을 준 반면 주관적 규범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획행동이론의 구성요인인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프로야구팬들의 태도와 관람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획행동이론의 추가구성요인인 사전지식은 프로야구팬들의 태도와 관람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계획행동이론의 추가구성요인인 팀 동일시는 프로야구팬들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프로야구팬들의 관람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야구팬들의 관람의도는 관람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계획행동이론의 추가구성요인인 사전지식과 관람의도 사이에서 계획행동이론의 구성요인인태도는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전지식과 팀 동일시가 포함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 프로야구팬들에 적용 가능성을 알린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고, 이중 태도, 지각된 행동 통제력, 사전지식 및 팀 동일시로 형성된 관람의 도를 이끌어내야 직접적인 관람행동에 이를 수 있음이 밝혀졌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baseball fans’ spectator-related behaviors in the context of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using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the research,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pectators who visited baseball stadiums and 381 fill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urther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s well a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measure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Second, subjective norms has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Third, perceived behaviour control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Forth, perceived behaviour control has significant effect on spectator behavior. Fifth, prior knowledge has in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Sixth, prior knowledge has insignificant effect on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Seventh, team identification has not in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Eighth, team identification has insignificant effect on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Ninth,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spectator behavior. Tenth, attitud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knowledge and spectator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found the extended theory of planed behavior that included the prior knowledge and team identification could be applied to the professional baseball fans and the effective spectatorship behavior could be derived only when the spectatorship intention is made up of dual attitude, perceived behavior control, prior knowledge and the team identification.

      • KCI등재후보

        관광분야 소비자 행동의도 연구동향과 과제: 고관여 태도 이론 중심으로

        이상엽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2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nsumer choices and behaviors in a market economy so analyzing research papers from tourism journal focused on high involvement behavior theory, which are important theories of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and inte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 research by providing important basic data for set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This study is published 140 papers applying Fishbein's Attitude Theory, TRA, TPB, ETPB from 1998 to June 2022 in registered on the tourism field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ent published papers status, publication trends by year, trends in applied theory by each tourism sector, and trends in extended variables by each tourism sector using a systematic review Results: The papers that applied ETPB were 115 papers (82.1%), TPB were 15 papers (10.7%), TRA were 7 papers (5.0%), between theories comparative study 2 papers (1.4%), Fishbein model 1 papers (0.7%). This theory was applied in the tourism field from 2010, and it slowed down a bit in 2018 and 2019, but it is showing an increasing trend until 2021. By field, it can be seen 33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the hotel/restaurant management field. Conclusion: This study is survey of 140 journal papers published in 15 journals in the tourism sector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Papers not included a degree,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this research on in-depth expanded variables for each tourism field is insufficient, but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first time 140 papers applying the consumer behavior theor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the tourism,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pplying behavioral theory.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장경제에서 소비자의 선택과 행동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대한 영향관계 연구의 중요한 이론인 고관여 태도 이론을 적용한 관광분야 학술지 논문을 분석함으로서 소비자 행동의도 연구 논문의 경향을 파악함과 동시에 향후 연구 방향 설정의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서 소비자 행동의도 연구의 발전과 확장에 기여 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관광분야의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1998년 부터 2022년 6월까지 Fishbein태도 이론, 합리적 행동이론, 계획적 행동이론,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1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조사 방식으로 학술지별 게재 현황, 연도별 게재 추이, 관광 분야별 적용 이론 경향, 관광 분야별 확장된 변수 경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논문이 115편으로 82.1%로 가장 많은 적용 비중을 차지했으며, 계획적 행동이론이 15편인 10.7%, 합리적 행동이론은 7편인 5.0%, 행동이론간 비교 연구는 2편 1.4%, 초기 모델인 Fishbein 모델의 경우는 1편으로 0.7%로 조사 분석 되었다. 1998년부터 연도별 게재 추이는 2010년도 부터 관광 분야에서 본 이론이 적용되었으며, 2018년, 2019년 다소 주춤하였지만, 2021년까지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 분야별로는 호텔/외식경영 분야에서 총 33편 게재되어 가장 많이 적용 연구됨을 알수 있다. 결론: 한국연구재단의 관광분야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총 15개에 게재된 Fishbein 모델, 합리적 행동이론, 계획적 행동이론,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을 주제로 하는 학술지 논문 140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서 학술지에 게재하지 않은 학위논문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 되었으며, 관광분야의 모든 항목의 연구 분야를 광범위하게 조사함으로서 분야별로 깊이 있는 확장된 변인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한계점은 있으나, 소비자 행동이론을 관광 분야에 적용한 140편의 논문 연구 경향을 최초로 분석함으로서 향후 행동 이론을 적용한 연구의 방향 설정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여가행동을 예측하는 모형 탐색

        박진경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과 합리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이들 모형에서 제시된 변수 이외에 여가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기여할 것으로 추론되어지는 변수들을 모형에 추가하여 여가활동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대안모형을 찾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일상적 여가활동인 골프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고, 일상적 여가활동인 TV시청은 합리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각의 모형에서 제시된 변수 이외에 모형의 설명력을 높일 수 있다고 추정되는 변수를 추가하여 대안모형의 모형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일상적 여가활동에는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에 과거경험 변수를 추가한 모형을 대안모형으로 제시하였고, 일상적 여가활동에는 합리적 행동이론 모형에 습관 변수를 추가한 모형을 대안모형으로 제시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골프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에 과거경험을 추가한 대안모형은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모형보다 다소 우월한 모형적합지수를 보여 과거경험 변수가 여가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고려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TV시청은 합리적 행동모형에 습관 변수를 추가한 대안모형이 더 좋을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나 습관을 추가한 대안모형의 적합도는 합리적 행동모형보다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습관변수는 여가행동의사와 여가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연구에서도 습관변수가 고려되어질 필요가 있음이 밝혀졌다.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application of the model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model of theory reasoned action, and to search for improved models to describe leisure participation. This study suggests 2 types of leisure : non-routine leisure(golf) and routine leisure(watching tv). For this study, survey was performed in 5 golf driving ranges located in Gyeonggi-do and Seoul. The first survey had been conducted from December 14th to December 20th, 2009. After the first survey, 5 additional surveys had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behavior every 2 weeks. Through the process of survey, 311 valid data were finally obtained. To analyze these data,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uman social behavior is reasonable. But this view has been challenged by theorists who argue that human behavior can be automatic or habitual. So recent extension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ve also included past behavior or habit. In this study, the past behavior is found to slightly improve the prediction of later behavior. But habit is found not to improve the prediction of later behavior in case of watching TV.

      • 약선 음식 이용자의 선택 행동에 관한 연구- 지각된 민감성을 추가한 확장된 계획된 행동이론 중심으로 -

        송연미 글로벌경영학회 2018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2

        본 연구는 약선 음식 이용자가 약선 음식을 선택하고자 하는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를 지각된 민감성을 추가한 확장된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실증 검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충청도 등 약선 음식을 섭취 또는 이용하는 소비자 383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8월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인구통계 학적 분석,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모형적합도 분석, 행동요인간 상관분석, 가설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된 행동이론의 행동의 태도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계획된 행동이론의 주관적 규범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계획된 행동이론의 지각된 행동통제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지각된 민감성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검증결과를 토대로 약선 음식 이용자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가 긍정적이고, 주변의 지인의 지지나 추천의 정도가 높을수록 행동선택 의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자신의 건강에 대한 민감성이 높을수록 행동선택 의도에 더 긍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금번 연구의 시사점은, 약선 음식분야에 지각된 민감성을 추가한 확장된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연구모델로서 소비자 행동연구에 다양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검증결과를 토대로 보면 지각된 행동통제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을 독립변수, 행동의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합리적 행동이론에 지각된 민감성을 포함 하는 경우가 더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과 체화된 인지이론을 적용한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들의 관람행동 예측

        김민철 ( Min-cheol Kim ),임선영 ( Sun-young L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2 체육과학연구 Vol.33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과 체화된 인지이론을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들의 관람행동에 적용하여 관람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주요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2019년 10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개최된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 330명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자가 직접 관람현장에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된 25부를 제외한 305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는 SPSS 24.0 및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 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태도는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주관적 규범은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지각된 행동통제는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의 추가변수인 사전지식은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는 체화된 인지의 관람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는 체화된 인지의 관람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는 관람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체화된 인지의 관람내용은 관람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아홉째, 체 화된 인지의 관람환경은 관람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는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들의 관람행동에 있어 관람객들 스스로가 인식하는 관람행동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 가족 또는 친구들과 같은 주변 인물들이 바라보는 시선과 견해, 환경여건의 통제와 경기관람 몰입에 도움을 주는 사전지식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을 밝혀주고 있다. 또한 관람형 태권도 경기에 대한 관람객들의 관람내용과 관람 환경의 체화된 인지는 관람객들의 관람행동을 유발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ertain factors on spectators' spectating behavior through the analysis of spectator-type Taekwondo spectators’ spectating behavior by apply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embodied cognition theory and considering spectators’ desire to stay. METHODS A total of 305 surveys were used as the final sample. SPSS 24.0 and AMOS 26.0 were used for frequency,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RESULTS First,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rior knowledge, which are predictors of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tators’ desire to stay. Second, the spectators’ desire to sta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tators’ content, environment, and behavior. Third, the spectators’ content and environment, which are sub-factors of the embodied cognition theor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tators’ behavior.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prior knowledge, which are predictors of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mbodied cognition and spectator behavior of spectator-type Taekwondo spectators.

      • KCI등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에 근거한 골프용품 소비자의 소비행동에 대한 연구

        김옥환,문용,이상진 한국골프학회 2020 골프연구 Vol.14 No.4

        [목적] 골프용품 소비자의 소비행동을 예측하여 향후 골프용품 소비자의 지속적인 구매의도를 위한 마케팅 전략과 정 책을 강구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결과 도출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에 대한 모형 적합도 및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계획행동이론의 태도, 주관적 규범 및 지각된 행동통제와 구매의도의 경우 직접 인과관계에서 대부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의 경우에서도 인과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행동통제와 과거경험이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유 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태도와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와 과거경험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 인으로 파악되었고, 지각된 행동통제와 과거경험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변인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and policies for the continuous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of golf goods in the future by predicting the consumption behavior of consumers of golf goods. [Method] A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for the results. In addition, the model suitability and the theory of research were verified through the positive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Result]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urchasing intentions were found to be largely significant in causal relationships, and also in the effects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ast experience on purchasing intentions and purchasing behavior. [Conclusion]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perceptual behavioral control and past experience were identified as leading variables affecting purchasing intentions, while perceptual behavioral control and past experienc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prior variables affecting purchasing behavior.

      • KCI등재

        합리적 행동이론, 계획된 행동이론, 휴리스틱 변수가 학습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원격수업에 참여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수험생 중심으로

        김형준(Kim, Hyeong-Jun),이상주(Lee, Sang-Joo),김정훈(Kim, Jung-H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합리적 판단기준인 합리적 행동이론(TRA), 계획된 행동이론(TPB), 직관적 판단 기준인 휴리스틱(heuristic) 변수가 학습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원격수업 성인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합리적 행동이론(TRA)의 두 가지 변수 모두 학습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계획된 행동이론(TPB)의 세 가지 변수 중, 학습행동태도만 제외하고 모두 학습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주관적 규범 변수가 가장 강한 영향력을 미쳤다. 또한 마지막에 투입한 전형적 휴리스틱 변수는 합리적 행동이론의 학습행동태도, 주관적 규범 변수들뿐만 아니라, 계획된 행동이론(TPB) 변수들 중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와 함께 학습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휴리스틱이 연구대상자들의 행동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지각된 행동통제를 증대시킨 결과를 주목할 만하다. 이는 학습행동의도의 영향요인으로 드러난 합리적 판단과 직관적 판단의 요소들을 중요하게 고려하면서 원격학습의 설계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학습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는 학습행동 유발을 야기해 학습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제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studied the effects of rational-judgment criteria, rational-action theory(TRA), planned-action theory(TPB), and intuitive-based-heuristic variables on learning behavior inten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dult participants in remote classes preparing for the social welfare official exa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mpact on learning behavior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variables of theory reasoned action(TRA)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behavior intention, and among the three variable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ll but learning behavior attitude had the strongest influence, especially subjective normative variables. It was also shown that the last typical heuristic vari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behavior intention in subjective normative variables of theory reasoned action as well a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variable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heuristic has increased behavioral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the subjects. This means that the design of remote learning is necessary, taking into account the factors of rational judgment and intuitive judgment that have been revealed as the influence factors of learning behavior intention. Furthermore, the results that affect learning behavior intention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found a mechanism that can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by inducing learning behavior.

      • KCI등재

        연구논문 : 여가행동을 예측하는 모형 탐색 : 합리적 행동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박진경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과 합리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이들 모형에서 제시된 변수 이외에 여가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기여할 것으로 추론되어지는 변수들을 모형에 추가하여 여가활동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대안모형을 찾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일상적 여가활동인 골프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고, 일상적 여가활동인 TV시청은 합리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각의 모형에서 제시된 변수 이외에 모형의 설명력을 높일 수 있다고 추정되는 변수를 추가하여 대안모형의 모형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일상적 여가활동에는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에 과거경험 변수를 추가한 모형을 대안모형으로 제시하였고, 일상적 여가활동에는 합리적 행동이론 모형에 습관 변수를 추가한 모형을 대안모형으로 제시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골프를 대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에 과거경험을 추가한 대안모형은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모형보다 다소 우월한 모형적합지수를 보여 과거경험 변수가 여가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고려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TV시청은 합리적 행동모형에 습관 변수를 추가한 대안모형이 더 좋을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나 습관을 추가한 대안모형의 적합도는 합리적 행동모형 보다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습관변수는 여가행동의사와 여가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연구에서도 습관변수가 고려되어질 필요가 있음이 밝혀졌다.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application of the model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model of theory reasoned action, and to search for improved models to describe leisure participation. This study suggests 2 types of leisure: non-routine leisure(golf) and routine leisure(watching tv). For this study, survey was performed in 5 golf driving ranges located in Gyeonggi-do and Seoul. The first survey had been conducted from December 14th to December 20th, 2009. After the first survey, 5 additional surveys had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behavior every 2 weeks. Through the process of survey, 311 valid data were finally obtained. To analyze these data,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uman social behavior is reasonable. But this view has been challenged by theorists who argue that human behavior can be automatic or habitual. So recent extension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ve also included past behavior or habit. In this study, the past behavior is found to slightly improve the prediction of later behavior. But habit is found not to improve the prediction of later behavior in case of watching T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