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 신뢰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 비교연구

        장현석 한국경찰연구학회 2014 한국경찰연구 Vol.13 No.2

        지금까지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에서 국가 간 비교 연구는 드물었다. 지정학적으로 이웃하면서 역사적으로 서로 관련이 있고 또한 학문, 문화, 등 다양한 사회분야에서 교류가 있어 온 일본에서 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한국의 경찰 신뢰 도와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이를 위해 Global Barometer Survey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과 일본 국민들의 자국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떠한 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첫째 경찰 에 대한 신뢰도가 두 국가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로 어떠한 요인들이 신뢰도를 유 의미하게 설명하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두 국가에 대한 회귀모형 비교에서 각 변수의 계수 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는 지 알아보았다. 또한 의미 있는 결과 해석을 위하여 일본 경찰학자 2 명에게 면접 조사한 내용을 결과 부분에 기술하여 일본에서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어떠한 지 질 적 연구를 추가하였다. 연구결과 종속변수인 경찰에 대한 신뢰도의 경우 일본 국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한국 국민 들 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일 양국 전체 모형에서는 관 료부패에 대한 인식, 민주주의 만족도, 지역 안전도, 이웃에 대한 신뢰가 경찰에 대한 신뢰와 유의 미한 관계를 보였다. 두 나라 모형간의 계수 비교에서는 성별, 민주주의 만족도, 그리고 불평등대 우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왔다. 두 나라 모두 관료부패에 대한 인식이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이 결과는 두 일본 경찰학자 와의 심층면접에서도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제언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경찰에 대한 신뢰도 영향요인 분석 : 표현적 시각 모형에서 범죄두려움의 매개효과 검증

        이용일 ( Yong-il Lee ),장현석 ( Hyunseok Jang ) 대한범죄학회 2020 한국범죄학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 신뢰도를 설명하는 두 가지 모형을 결합하여 표현적 시각 요인들이 경찰 신뢰도를 설명할 때 도구적 시각 요인인 범죄 두려움을 통하여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찰 신뢰도에 대한 설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먼저 경찰신뢰도는 주민들의 경찰활동에 대한 평가의 결과로서 개인적으로 범죄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경험이 없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낮으면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도구적 시각의 설명모형이 있다. 그 다음 표현적 시각의 경찰신뢰도 설명 모형은 경찰신뢰도를 설명함에 있어 가장 적합한 요인은 지역 주민간의 사회적 결속력 또는 사회적 도덕 질서 수준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대부분 연구들은 도구적 시각과 표현적 시각을 따로 검증 또는 비교한 연구들이기 때문에 현재까지 경찰신뢰도의 설명 모형을 통합하여 매개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현적 설명 요인인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사회적 유대, 비공식적 사회통제 요인별로 각각 경찰의 신뢰도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 도구적 설명모형의 주요 변수인 범죄두려움을 매개변수로 제시하여 각 독립변수에 따른 그 영향력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12,62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2016 전국범죄피해조사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여러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표현적 설명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사회적 무질서, 사회유대, 비공식적 사회통제 요인이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물리적·사회적 무질서, 사회유대, 비공식적 사회통제 요인이 범죄두려움을 매개하여 경찰 신뢰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경험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bine two confidence in the police models by examining whether the fear of crime has a mediating effect when the expressive perspective factors explain confidence in the police. In the study of confidence in the police, there are two distinct explanations which are an instrumental model and expressive model. The instrumental model explained that confidence in the police was determined by public perception on the crime such as victimization experience or fear of crime.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ve model argued that confidence in the police would be affect by evaluations of the social community values such as disorder, social cohesion, and informal social control.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fear of crime in the effects of expressive variables (i.e., physical and social disorder, social cohesion, informal social control) on confidence in the police by using the 2016 Korea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12,620 citizens throughout South Korea. Results revealed the significant effect of expressive variables directly on confidence in the police. It also showed that physical and social disorder, social cohesion, and informal social control affected confidence in the police via fear of crime.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비교 연구 - 중국, 몽골, 베트남 출신 체류외국인을 중심으로 -

        황의갑,홍명기 한국경찰연구학회 2020 한국경찰연구 Vol.19 No.3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general citizens and foreigners in South Korea where multiculturalism is a social phenomena. Based on instrumental and expressive models, differences in major factors between general citizens and foreigners were investigated.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and assimilation theory were applied to foreigners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fidence in the police. In addition to general citizens, Chinese, Mongolian, and Vietnamese living in Korea were included in the study subjects for comparative purposes. Findings revealed that compared to variables under instrumental models, those under expressive models showed stronger power to confidence in the police. Interestingly, informal social control had a positive and the strongest effect on confidence in the police in all groups of analyses. Except informal social control,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general citizens(prior victimization, physical disorder, and social bond) and foreigners(fear of crime). There were factors unique to different groups of foreigners(prior victimization to Chinese, social disorder to Mongolian, and fear of crime to Vietnamese). Overall, compared to general citizens, foreigners showed higher confidence in the police, and compared to Chinese, Mongolian and Vietnamese expressed higher confidence in the police. These results supported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As well, Korean language ability of Chinese and length of stay of Mongolia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fidence in the police, supporting assimilation theory.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본 연구는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성큼 들어선 상황에서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을 대상으로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도구적 모형과 표현적 모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두 모형에 포함된 요인들이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 사이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중 참조기준 이론과 동화이론을 체류 외국인들에게 적용함으로써, 경찰 신뢰도를 설명하는 모형들에 대한 통합적인 논의가 가능한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중국권, 중앙아시아권, 동남아시아권을 대표하는 중국, 몽골, 베트남 3개국의 체류외국인과 일반시민을 비교함으로써 체류외국인들의 권역별 차이까지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 모두에게 있어서 표현적 모형이 도구적 모형보다 경찰 신뢰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비공식 사회통제가 모든 분석대상의 경찰 신뢰도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전 변수들을 통틀어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였다는 것이다. 비공식 사회통제를 제외한 분석대상별 영향요인의 차이에 있어서는 범죄피해경험, 물리적 무질서, 지역사회 유대는 일반시민의 경찰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범죄두려움은 체류외국인의 경찰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출신국가별로는 중국출신의 경우 범죄피해경험, 몽골출신은 사회적 무질서, 베트남출신은 범죄두려움이 경찰 신뢰도 형성에 유의미한 변수들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체류외국인이 일반시민들에 비해 더 높은 경찰 신뢰도를 보이고, 중국 출신에 비해 몽골과 베트남 출신 외국인들의 경찰 신뢰도가 더 높게 형성되어 이중 참조기준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중국출신 외국인의 한국어 능력 및 몽골출신 외국인의 체류기간과 경찰 신뢰도가 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동화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대안과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국민과 국내거주 중국인의 한국 경찰에 대한 신뢰도 비교 연구

        장현석 ( Jang Hyunseok )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1

        경찰에 대한 신뢰도는 경찰활동의 정당성 부여와 더불어 경찰업무에 대한 협조를 얻어내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어 경찰학 연구에서 하나의 중요한 줄기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하지만, 현재까지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 중에서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대하여 우리국민과 외국인들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 국적을 가진 사람들과 우리나라 국민들이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은 이중 참조기준 이론을 사용하였고, 2016년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내·외국인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설명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인과 중국인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평균 비교에서 중국인이 한국인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고, 회귀분석에서 역시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중국인들이 한국인 보다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이중 참조기준 이론의 가설이 지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국인들에 대한 회귀분석 모형에서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또한 이중 참조기준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였다. 그리고 일상생활긴장, 사회유대 그리고 체류신분이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 변화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들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Research o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has become an important area of study because the confidence from the citizen not only provides the justification for the police existence, but also is required in order to obtain support among citizens. Until now, however, there is no study which compares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between Korean citizens and foreigners in South Korea. Since Chinese people are recorded as the number one in the statistics regarding foreigners,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on the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people.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was utilized. The survey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both Korean people and foreigners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16, was analyzed to examine confidence in the pol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hinese peopl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than Korean people. The same result was confirm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while controlling other factors. This finding supported the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Also, as the length of residence in South Korea became longer, Chinese people’s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became smaller. This finding also supported the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Strain, social cohesion, and legal status were other significant factors for the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among Chinese people.

      • KCI등재

        경찰 신뢰도에 관한 국가간 비교연구 - 한국과 중국 대학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

        노연상,임창호 한국경찰연구학회 2017 한국경찰연구 Vol.16 No.3

        경찰 신뢰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존재하지만 지금까지 경찰 신뢰도의 국가간 비교연구는 많지 않을뿐만 아니라 국가간 시민이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토대로 비교 검증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이웃국가이며 중요한 우방인 중국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우리 경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대전대학교, 공주대학교, 신성대학교에서 재학중인 대학생 300명과 중국의 경우 베이징리공대학교, 베이징린예대학교, 지닝스판대학교, 흐타오대학교에서 재학중인 대학생 300명 등의 총 600명이고, 경찰 신뢰도에의 영향요인인 독립변수는 경찰책임성, 친절성, 청렴성, 효과성, 시민의 협력 등의 5개 변수이고, 종속변수는 경찰에 대한 신뢰도이다. 또한, 통제변수로서 인구사회학적 변수인 성별, 연령, 학과, 학년, 거주기간, 군(軍)복무 여부를 투입하였다. 경찰 신뢰도에의 영향요인인 5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경찰 책임성, 친절성, 효과성, 시민의 협력 등이 경찰 신뢰도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찰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찰 책임성, 친절성, 효과성, 시민의 협력차원의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there are various studies on the trust of police, there are few comparative studies on this topic among different nations. In particular, it is different to find comparative students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s for citizens or students.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enhance the trust of our police through a comparative study with China, which is our important neighbor and friendly nation.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college students. There were 300 respondents from each country, and the total number of the respondents was 600. Korean respondents are form Daejeon University, Kongju University and Shinsung University. Chinese respondents are from 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 Beijing Forestry University, Jining Normal University and Hetao Univers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trust of police, included police responsibilities, kindness, integrity, effectiveness, and citizen cooperation.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trust of police. In addition, this study used some variables of sociology of population such as gender, age, department, grade, resident period and military service as control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five independent variables mentioned above on the trust of poli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se four factors which were police responsibilities, kindness, effectiveness and citizen coope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trust of police. Therefore, a proposal about how to improve police responsibilities, kindness, effectiveness and citizen cooperation is needed to enhance the trust of police.

      • KCI등재후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경찰활동에 대한 신뢰도 연구

        유영현,신성식 한국자치행정학회 200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2 No.2

        과거 우리나라의 경찰은 정권유지를 위한 도구적 수단에 불과하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선진 여러 나라에서는 국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찰활동 즉, 치안유지와 서비스․봉사를 함께하는 경찰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세계의 경찰은 이제 주민들을 감시하고 억압하는 경찰이 아닌 주민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봉사하는 경찰로 변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들을 강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활동에 대한 주민의 신뢰도를 평가하고 전반적인 경찰활동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찾아내기 위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현재 우리나라 경찰활동에 대한 신뢰도를 먼저 확인하고자 조사하였다. 경찰활동에 대한 주민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인계통계학적으로 조사하였으며, 가설의 설정을 6가지(성별, 연령, 수입, 주거, 학력, 직업)로 설정하여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의 결과치를 제시하였다. The police activities have been progressing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every cultural trait and the difference in national consciousness. The police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devising a variety of means in order to change the police serving on the basis of the public confidence, not the police keeping serveillance and suppressing from the police activities which are nothing but means to stay in power to the police activities which have a direct effect on qualities of the national life. As a result, this study deals with an evaluation on the public confidence rating and means to enhance the confidence rating of police activities. The demographical analysis of the public confidence rating shows as follows: Firstly, the public general confidence rating on the police activities has been showing high numerical value of 3.3458 per 5. This result is equal to the 66.76% average value during a period of 5 years that 'the survey of the national satisfaction rating on the police administration' is carried into effect by the Gallup poll every year. Secondly, according to sex, women have a 3.3560 higher confidence on the police activities as compared with men. In accordance with age, the confidence rating shows twenties, forties, under twenties, thirties, and fifties respectively in order. Depending on occupations, professional careers show a high confidence rating while the first industry such as agriculture a low confidence rating. According to an academic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the confidence rating and quantities have correlation. In accordance with residential districts, metropolitan cities shows a high confidence rating and a municipality, cities, and counties follow metropolitan cities. As a result, the public confidence rating on the police activities shows differently depending on a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 KCI등재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경찰 신뢰도 변화에 대한 연구

        장현석 ( Hyunseok Jang ),김소희 ( Sohee Kim ) 한국경찰학회 2015 한국경찰학회보 Vol.17 No.1

        한국은 짧은 기간 동안 세계에 유래 없는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해 왔고, 경찰 또한 민중의 지팡이로서의 역할을 다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그만큼 경찰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 수준에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경찰의 발전 역사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시민들의 경찰 신뢰도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가치조사(World Values Survey) 연구의 1982년, 1990년, 1996년, 2001년, 2005년, 그리고 2010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먼저 각시대의 전체 시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평균을 측정하여 시대의 흐름과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 정도에 따라 과연 실제로 경찰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가 증가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보다 구체적으로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세대효과 (Cohort Effect), 나이 듦 효과 (Aging Effect), 시대효과 (Period Effect)에 따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변화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1980년, 1990년대 초반과 2010년도의 신뢰도 평균들이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의 평균들보다 높아서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의 분포를 보여주었다. 이는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민주주의 정도와 곡선형의 관계를 갖는다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세대효과 검증에서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경찰 신뢰도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나이효과 검증에서는 90년도에 20대들이 2001년도 30대를 거쳐 2010년도에 40대가 되었을 때 갑자기 신뢰도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시대효과의 경우, 특히 1990년, 2001년, 2010년의 20대들의 경찰 신뢰도 평균비교에서 2001년도가 가장 낮게 나와서 민주주의 과도기인 2001년도에 시대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South Korea has made various changes achieving a lot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d witnessed the unprecedented success in the world in short period. The police also has consistently tried to play its role as a guardian of the society by satisfying public needs. Thus, we are sure to say that the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e might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confidence in the police for several decad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used World Values Survey``s 1982, 1990, 1996, 2001, 2005, and 2010 data. First, we measured each period``s average of the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confidence in the Police actually improved as time passed and the democracy developed in our society. More specifically, we utilized one-way ANOVA to check significant difference in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e focusing on cohort effect, aging effect, and period effect. The result showed that the averages of confidence in the police in the early 1980s, 1990s, and 2010s are higher than those of mid-1990s and mid-2000s. This result showed that the degree of democracy and the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e have curvilinear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age group showed more confidence in the police in the cohort effect. For Aging effect, age group which reach 40s in 2010 showed sudden increase in the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e in 2010 compared to their 20s, 30s, and showed the lowest average of confidence in the police in 2001.

      • KCI등재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표현적ㆍ도구적 요인 : 한국과 몽골 시민들 간의 비교연구

        황의갑,한성일 한국경찰연구학회 2016 한국경찰연구 Vol.15 No.4

        시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는 경찰활동의 원동력이자 핵심요소로 인식되어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면서 몇 가지 연구모형으로 발전하였다. 경찰은 치안활동의 도구로 인식되기에 경찰활동의 주요목적인 치안유지의 결과가 경찰신뢰도에 반영된다는 도구적인 설명과 지역사회의 가치 및 규범과 같은 전통적인 가치에 대한 인식이 경찰신뢰도로 표출된다는 표현적인 설명이 대표적인 연구모형이라 할 수 있다. 영국과 미국 등 서구국가들에서의 축적된 연구를 중심으로 형성된 이러한 연구모형에 대한 아시아적 접근과 국가 간 비교 연구는 많지 않다. 선행연구에서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유사한 문화권에 속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상이한 정치·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한국과 몽골 시민들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경찰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론적인 견지에서 검증하였다. 경찰신뢰도 연구모형 검증에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아시아 국가를 배경으로 하였다는 점과 한국과 몽골의 사회구조와 정치구조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려한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분석결과 한국시민들과 몽골시민들 간 경찰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두 나라 모두에서 표현적 연구모형이 도구적 연구모형보다 더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도구적 연구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몽골보다 한국에서 더 높았다. 한국시민들에게 있어서는 범죄추세에 대한 인식, 간접적인 범죄피해, 물리적 무질서 인식 등이 중요하였으며, 몽골시민들에게는 범죄두려움, 지역사회유대감 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비공식사회통제에 대한 인식은 두 나라 모두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요인이었다. 흥미롭게도 시민들의 연령은 반대의 효과를 보였는데 한국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그리고 몽골에서는 나이가 적을수록 경찰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대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Many empirical studies have given attention to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as it is considered to be a driving force of the community based policing. Two conceptual models, instrumental and expressive, have been developed as the strongest research framework in this regard. The expressive model proposes that citizen’s perceptions of social norms, values, and community atmosphere are expressed to influence confidence in the police, while the instrumental perspective insists that public concerns about police performance in crime prevention are linked to their confidence in the police. Research based on these models has mostly been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and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Asian countries. To fill this void, this study designed a comparative research frame by using the sample of Koreans and Mongolians. It is the valu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xpressive and instrumental factors of confidence in the police by using a relatively neglected sample of two Asian countries, with a similar but different culture and history. The results revealed that major factors are not evenly associated with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the two countries. Perceptions of crime trend, indirect victimization, physical disorder were important predictors among Koreans, while fear of crime, community cohe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mong Mongolians. Importantly, informal social control was the strongest factor of confidence in the police in both countries and it was the only common predictor. Interestingly, age showed a mixed effect. Older citizens in Korea and younger citizens in Mongolia expressed higher levels of confidence in the police.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국내 거주 외국인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장현석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0 치안정책연구 Vol.34 No.1

        Even though the research o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has been done a lot domestically as well as internationally, research on the immigrated foreigner’s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is very limited.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perception on the group position among foreigners gives influence o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Based on Weitzer(2010)’s and Bardford and Jackson(2018)’s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discriminated treatment perception as a indicator of group position perception on confidence in the police. Also, confidence in the law and permissive attitude on the weapon possession were includ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explai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Total 1,086 foreigners from 9 different countries were joined in the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perception on the group position (discriminated treatment perception)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nfidence in the police. Also, as confidence in the law was higher, as the permissive attitude on the weapon possession was lower,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significantly higher among foreigners. Based on the findings, poli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는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 우리나라로 이주한 외국인들의 한국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설명하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인식하는 외국인이라는 집단 지위 인식이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Weitzer(2010)와 Bradford and Jackson(2018)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들의 집단지위 인식 요인인 차별경험인식이 경찰의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체류 외국인들의 법에 대한 신뢰가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도 조사하였다. 아홉 개 국가에서 이주한 외국인 1,086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서 집단지위인식 요인인 차별경험인식이 높을수록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법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무기 소지에 대한 허용도가 낮을수록 한국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시민들의 경찰에 대한 협력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경찰 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성주,정성현 한국경호경비학회 2022 시큐리티연구 Vol.- No.70

        Citizens' cooperation with the police is urgently required to achieve the successful purpose of police activities in a complex and diverse security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Therefore, strategies for ommunities safety are drawing attention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itizens and police in police activities. Citizens decide whether to cooperate or not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y trust the police. Police confidence is traditionally explained in terms of the model of instrumental perspective such as the perception of fear of crime, and the expressive perspective that the expression of perception social cohesion, informal social control, and incivility consciousness is reflected in the police confidence. This study explored to find out how the variables of the two models that explain the police confidence have a differential effect on the citizen's will to cooperate with the police by mediating the police confidenc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citizens' willingness to cooperate with the police by analyz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local residents, including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hen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of the two models were compared, relatively higher value of R-Squared was confirmed in the factors of expressive perspective. It can be seen that the expressive model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to cooperate with the police through the mediation of police confidenc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related overseas cases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improve citizens' willingness to cooperate with the police. 현대 사회의 복잡다기한 치안환경에서 경찰활동의 성공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시민들의 협력이 절실히 요구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에 따라 경찰활동에 있어서민경 협력치안이 주목받고 있다. 시민들은 경찰을 신뢰하는 정도에 따라 협력여부를결정한다. 경찰신뢰도는 범죄두려움의 인식과 같은 도구적 시각의 전통적 모형과 사회적 유대, 비공식적 사회통제, 그리고 지역의 도덕수준 등의 표출이 신뢰도로 반영된다는 표현적 시각으로 설명된다. 본 연구는 경찰신뢰도를 설명하는 두 모형이 경찰신뢰도의 매개에 의하여 시민의 경찰에 대한 협력의지에 어떠한 차별적인 영향을주는지 알아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주변 지역의 거주민을 대상으로 수집한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시민의 경찰에 대한 협력의지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두 모형의 결정계수를 비교하였을 때 표현적 시각의 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설명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표현적 모형이 경찰신뢰도를 매개하여 경찰에 대한 협력의지에 더 크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민의 경찰에 대한 협력의지를 제고 하기위해 해외사례 및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