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종실록』의 편찬과 수정

        오항녕(Oh, Hang-nyeong)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2 No.-

        본고에서는 『경종실록』의 편찬과 『경종수정실록』의 편찬을 살펴보고, 경종실록 원본과 수정본을 비교하여 수정의 실제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경종 연간에 『숙종실록』편찬이 끝나지 않아, 『경종실록』은 관례적으로 영조 즉위 이후 시작했어야 했음에도 『숙종실록』이 편찬된 뒤에야 시작될 수 있었다. 또한 정미환국(1627)으로 노론에서 소론으로 정치 주도세력이 바뀌면서 『경종실록』편찬 총재관도 교체되었으며, 뒤이어 무신년 변란으로 지체되기도 했다. 정조 이후 『영조실록편찬』 뒤에 『경종실록』이 수정되었고, 현재 『경종실록』과 『경종수정실록』의 두 실록이 남게 되었다. ‘수정’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경종수정실록편찬』은 『경종실록』을 원본으로 하되, 『경종실록』에서 누락된 事實을 보완하고, 왜곡된 史論을 바로잡는 두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두 실록(원본과 수정본)의 비교는, 날짜별로 대조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이 때 문제가 되는 것은 비교해보았다. 첫째, 수정본에 있지만 원본에 없는 기사, 둘째, 원본과 수정본에 동시에 나오지만 내용이 상반되거나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기사가 두 실록의 지향과 성격을 규정할 것이기 때문에 본고에서 주목하였다. 이 조건에 부합하는 사례로는 1721년(경종1년) 왕세제 建儲와 聽政과, 그에 이은 金一鏡의 옥사 및 이듬해 睦虎龍의 고변과 노론 4대신의 죽음, 尹宣擧 부자의 복권과 宋時烈의 道峯書院 黜享 등을 선택하여 두 실록의 기사와 사론을 비교하였다. 김일경의 옥사와 목호룡 고변에 대해서 경종실록원본은 김일경ㆍ박상검과 안팎으로 서로 호응하며 만든 무옥이라는 관점을 견지하고 있었다. 이는 경종수정실록과 일치하는 관점이다. 이는 신임사화를 좀 더 객관적으로 접근하고, 역사의 화해까지 가능할 수 있는 단서가 아닌가 생각한다. 윤선거, 윤증의 관직을 회복시키고 시호를 내렸다. 그런데 이 사안에 대해서는 흥미롭게도 『경종실록』에서 소홀히 다루고 있는 한편, 『경종수정실록』에서는 부정적이었지만 상세히 다루고 있었다. 물론 수정본이 윤선거 부자의 복권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사론을 달았다. 송시열이 조광조와 병향되었던 도봉서원에서 출향된 데 대해 『경종실록』의 사론과 『경종수정실록』의 사론 모두 과도한 조치로 시비가 정확하지 않았다고 비판하였다. 이렇게 된 이유로는 정미환국으로 다시 노론에서 소론으로 정국주도세력이 바뀌었어도 『경종실록』의 편찬은 趙文命, 徐命均 등은 소론에서도 緩論에 속하는 인물들에 의해 이루어졌고 신임사화를 誣獄으로 보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경종실록』과 『경종수정실록』은 蕩平의 흔적이 남아 있는 역사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I studied the revision of the Veritable Records of Kyeongjong(VRK) as a whole in two chapters ; 1) the revision procedure and debates, 2) the comparison of the main revised articles. The reason why both the original VRK and the revised VRK remained was that the revisioners took the model of the revision from the Red-Black History (朱墨史), which corrected the distorted records of the Emperor Cheol-jong Reign in Chinese Sung Dynasty by using red ink in revising on the one hand and black ink in rewriting the original on the other. In chapter Ⅰ, I traced the argument around the revision of the VRK. As the reign of King Youngjo, the Old party had the good position in the court and suggested the revision of the VRK they considered as a distorted history. But their trial leaded to fail because of the Change of Power in 1727 (丁未換局). The comparison of the two VRK was examined one by one. And I selected several cases which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view of the situation or event; the nomination of the Prince in 1721, the Sin-Im calamity of literati, the restoration of Yun Sun-Gue and Yun Jeong and the excommu nication of Song Si-Yeol from the academy shrine of Do-Bong. I think the revision of VRK meaned 1) the complement of the facts, 2) the correction of the comments. In the policy of Impartiality (蕩平), the revised VRK reflected the currency of the politics.

      • KCI등재

        『景宗實錄』과 『景宗修正實錄』의 비교를 통해서 본 老論의 정치 의리

        허태용(Huh, Tae-Yong) 한국사학회 2013 史學硏究 Vol.- No.112

        세손 시절부터 지난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즉위한 정조로서는 자신이 영조의 정치적 처분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는 유일하고 정당한 후계자라는 점을 대내외에 과시하고 확인받음으로써 왕권을 공고하게 만들어야 했다. 사도세자의 추숭 세력을 역률로 다스리거나 송시열을 효종의 묘정에 추배하도록 결정한 것은 바로 이런 정치적 맥락에서 이루어진 일이었다고 보인다. 즉 이런 결정을 통해서 정조 자신이 영조의 처분을 준수하는 정당한 계승자임을 드러낼 수 있었고, 동시에 노론 측이 자신의 정치적 정통성을 부정할 수 있는 명분을 원천 봉쇄해버릴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영조대에 소론이 편찬한 『경종실록』을 개수해야 한다는 노론 측의 주장을 수용하였던 것도 노론의 정치 의리를 재확인하는 동시에 자신과 영조의 정통성을 함께 확인한 것이었다. 영조의 정통성을 높이는 것은 동시에 그의 후계자인 자신의 정통성을 높이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경종수정실록』은 바로 이런 맥락에서 편찬되었기 때문에 『경종실록』에서 견지되었던 소론의 정치 의리는 모두 부정되었고 이미 영조대에 확정된 노론의 정치 의리를 담는 내용으로 새로 구성되었다. 『경종수정실록』에 담긴 노론 측의 정치 의리는 대략 네 가지 정도의 입장으로 정리되었다. 첫째, 노론은 경종에 대해서 충성스러운 자세를 잃은 적이 없었다는 입장이다. 둘째, 소론은 환관과 결탁하여서 세제를 모해하려 하였다는 입장이다. 셋째, 임인옥사는 사실상 세제를 겨냥하였던 무옥이라는 입장이다. 넷째, 경종에게서 영조로의 계승은 천명과 경종의 우애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일이라는 입장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examine the political justification of Noron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Noron,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partie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took political hegemony in King Yeongjo"s reign period after long lasted confrontation with Soron since 1680"s, because they played a great role in help Yeongjo to the throne in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King Gyeongjong and King Yeongjo. But they had to pay a high price for getting political hegemony. Most of all, Noron had marked as traitor to King Gyeongjong in The Annals of King Gyeongjong that was compiled by their opponent Soron, in King Gyeongjong"s reign period. So Noron sincerely hoped to correct record of The Annals of King Gyeongjong and revaluate their political conduct in King Gyeongjong"s reign period to justify their acquisition of government, but King Yeongjo did not permit to revise The Annals of King Gyeongjong in his reign period. Anxiety of Noron to revise The Annals of King Gyeongjong was accomplished in King Jeongjo"s reign period in the aspect of political agreement. Political justification designed by Noron, and filled in The Amendment of Annals of King Gyeongjong can be classified by four typed discourse like below. First, Noron gave their fealty to the King Gyeongjong as well as King Yeongjo. Second, Most of Soron committed great political mistakes to King Yeongjo, what was worse, they tried to get rid of King Yeongjo by connecting with some eunuches. Third, the Imin-major rebellion criminal cases that was happened in King Gyeongjong"s reign period to aim King Gyeongjong was totally falsehood. Fourth, the throne succession from King Gyeongjong to King Yeongjo was totally thank to Heaven"s will and brotherly love of King Gyeongjong. In sum, these four typed discourse means that only Noron were qualified to participate in the new court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whereas Soron were not.

      • KCI등재

        영조대 違豫論과 그에 기반한 역사 인식-南宋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이동화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8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Korean intellectual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英祖 (1694~1776; r. 1724~1776) of the Joseon Dynasty 朝鮮 (1392~1910) perceived the illness of King Gyeongjong 景宗 (1688~1724; r. 1720~1724), the preceding ruler-i. e., a monarch’s ailment 違豫-and rationalized their arguments.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it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case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from Emperor Guangzong 光宗 (1147~1200; r. 1189~1194) to Emperor Ningzong 寧宗 (1168~ 1224; r. 1194~1224) during the Southern Song Dynasty 南宋 (1127~1279) in China, mainly cited by intellectuals of the Old Doctrine 老論 (Noron) faction, was understood by intellectuals from disparate factional affiliations 黨色. Because King Gyeongjong’s illness, or a monarch’s ailment,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evaluating the Treason Case of 1721~1722 辛壬獄事 (Sinim Oksa) and King Yeongjo’s accession to the throne,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Despite many fruits of research,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tended to understand discussions on King Gyeongjong’s illness as a political process.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grasp discussions on the monarch’s illness ideologically on the basis of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In addition, it seeks to present a modest hint for rethinking the theory of the lineage of the three kings 三宗血脈論 [i. e., Kings Hyojong 孝宗 (1619~1659; r. 1649~1659), Hyeonjong 顯宗 (1641~1674; r. 1659~ 1674), and Sukjong 肅宗 (1661~1720; r. 1674~1720)],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theory of monarchs’ ailments 違豫論. From the early years of King Yeongjo’s reign,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argued that King Gyeongjong’s illness, or the monarch’s ailment, must be elucidated clearly. Such an opinion on the part of the Old Doctrine faction was partly accepted by King Yeongjo due to the limitations of Realpolitik. Directly applying the case of Emperors Guangzong and Ningz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to that of Kings Gyeongjong and Yeongjo, however,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sought to demonstrate the legitimacy of King Yeongjo’s enthronement and the superiority of the value of righteousness and integrity 義理 that they espoused. These figures first criticized King Gyeongjong’s failure properly to perform mourning rites 喪禮 due to his illness. As representative examples of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this study examines figures including Yi Jae 李縡 (1680~1746) and Gim Won-haeng 金元行 (1702~1772). On the contrary, intellectuals from the Young Doctrine 少論 (Soron) faction and the Southern 南人 (Namin) faction expressed divergent opinions on King Gyeongjong’s illness. First, intellectuals of the Young Doctrine faction, who were participants in political affair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responded passively, claiming that King Gyeongjong’s illness should not be mentioned directly. In contrast, Yi Ik 李瀷 (1681~1763), who is presented in this study as a representative figure from the Southern faction, assessed the case of Emperors Guangzong and Ningz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cited positively by the Old Doctrine faction, in a directly opposite manner. Yi Ik, who defined the case of Emperors Guangzong and Ningz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as usurpation, perceived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from King Gyeongjong to King Yeongjo in a way different from the evaluation of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본고는 英祖(재위 1724~1776) 시기 지식인들이 이전의 군주였던 景宗(재위 1720~1724)의 병증, 즉 違豫를 어떻게 인식하고 자신의 주장을 합리화했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노론계 지식인들이 주로 활용하였던 南宋(1127~1279) 光宗(재위 1189~1194)-寧宗(재위 1194~1224)의 승계 사례가 서로 다른 당색의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경종의 병증, 즉 違豫는 辛壬獄事(1721~1722, 경종 1~2)와 영조의 즉위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기 때문에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많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경종의 병증과 관련된 논의를 정치적 과정으로 이해한 경향이 없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경종의 병증에 관한 논의를 사상적으로도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에 더해 違豫論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三宗血脈論을 다시 생각해보는 작은 단서를 제시하고자 했다. 영조 즉위 초부터 노론계 지식인들은 경종의 병증, 즉 違豫를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견해는 이후 현실 정치의 제약으로 인해 영조에게 부분적으로 수용되었다. 노론계 지식인들은 남송 광종-영종의 사례를 곧바로 경종-영조의 사례에 적용하며 영조 즉위의 정당성과 노론의리의 우월성을 증명하고자 했다. 이들은 병증으로 喪을 제대로 집행하지 못한 경종의 행위를 우선적으로 비판했다. 본고는 노론계 지식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李縡(1680~1746)․金元行(1702~1772) 등을 살펴보았다. 이에 반해 소론․남인계 지식인들은 경종의 병증에 대해 다른 견해를 제시했다. 우선 영조 당대 정국에 참여하고 있던 소론계 지식인들은 경종의 병증을 직접적으로 거론하지 말 것을 주장하는 등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본고에서 남인계의 대표적인 사례로 제시한 李瀷(1681~1763)은 노론계 지식인들이 긍정적으로 활용한 남송 광종-영종의 사례를 정반대로 평가했다. 남송 광종-영종의 사례를 찬탈로 규정한 이익은 경종-영조의 승계 과정을 노론계와 다르게 이해하였다.

      • KCI등재

        千秋太后의 실체와 西京 勢力

        김갑동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38 No.-

        Chonchu empress dowager was the mother of Mokjong(穆宗). She was the daughter of Daejong(戴宗) on the record, but actually she was the daughter of Kwangjong(光宗). Her mother was not Sunoe(宣義) empress, was Daemok(大穆) empress. Her original name was Ajigoon(阿志君). But after the marriage with Gyungjong(景宗), she was named “Hunae empress(獻哀王后).”Her family name was Hwangbo(皇甫), her mother,s hometown was Hwangjoo(黃州). Hwangjoo(黃州) was located near west capital(西京). Therefore her clan was representative powerful clan of west capital(西京). Hwangbo(皇甫) clan was put out of power in the reign of Gwangjong(光宗). When Gyungjong(景宗) acceded the throne, Chonchu empress was married with Gyungjong. Chonchu empress was younger sister of Gyungjong. By this consanguineous marriage, her clan recovered the political power. As Sungjong(成宗) acceded the throne, He hated Chonchu empress clan. Therefore He did not marry with Hwangbo clan. Kimchiyang, remarried husband with Chonchu empress, was exiled by Sungjong. When Mokjong ascended the throne, Chonchu empress became empress dowager. She regained the political power. Because Mokjong was her son. This situation became background that Chonchu empress dowager could make political power. As the result, west capital(西京) became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千秋太后는 목종의 어머니였는데 기록에는 戴宗의 딸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는 대종의 딸이 아니고 光宗의 딸이었다. 어머니도 宣義王后 柳氏가 아닌 大穆王后 皇甫氏였다. 그의 본래 이름은 阿志君이었는데 千秋殿君에게 시집가면서 千秋殿 夫人이라 하게 되었다. 그러나 천추전군이 일찍 죽고 과부가 되었다가 景宗과 결혼하면서 獻哀王后가 되었다. 그 후 그의 아들인 穆宗이 왕위에 오르면서 千秋太后라 불리우게 되었다. 千秋太后는 黃州의 호족인 皇甫氏로 그의 등장은 西京 勢力의 부침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黃州 皇甫氏는 서경 세력의 대표적 역할을 하였다. 이들 서경 세력은 定宗 때에는 서경 천도를 계획하기도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光宗 때에는 이들이 탄압받고 소외되는 과정에서 景宗이 등장하였다. 경종대에는 각 지역의 세력들이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경종과의 혼인을 추진하였다. 먼저 경주 김씨 계열이 정종에서 광종대의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결혼을 추진하였다. 이것이 경종과 敬順王 金傅의 딸 헌숙왕후 金氏와의 결혼이었다. 이에 위협을 느낀 忠州 劉氏 계열이 후사를 얻기 위해 추진한 것이 2비 헌의왕후 劉氏와의 혼인이었다. 그러나 광종대에 소외되었던 黃州 皇甫氏가 다른 세력에게 권력을 빼앗길 수 없어 경종의 친동생들인 헌애왕후와 헌정왕후를 경종과 혼인시켰다. 그러나 이는 유교적인 윤리에 어긋나는 행위였으므로 이를 감추기 위해 이들을 戴宗의 딸로 둔갑시켰다. 그리하여 그들은 황보씨를 칭하게 되었다. 이러한 세력 다툼에 貞州 柳氏도 끼어들어 大明宮夫人 柳氏를 경종과 혼인하게 하였다. 成宗이 왕위에 오르자 그는 서경 세력을 비롯한 외척 세력의 발호를 싫어하였다. 제1비 문덕왕후 劉氏와의 혼인은 경종의 주선으로 왕위에 오르기 전에 행해졌다. 그것은 또 왕위에 오르기 위해 필요한 것이기도 했다. 그러나 제 2비 문화왕후 金氏, 제3비 연창궁부인 崔氏는 종실에서 맞아오지 않았다. 서경 세력과 연계된 가문도 아니었다. 그러한 맥락에서 헌애왕후, 헌정왕후와 불륜을 맺은 金致陽과 安宗을 먼 곳으로 귀양보내는 극단의 조치가 취해졌다. 황주 황보씨의 등장을 달가워하지 않았던 것이다. 穆宗대에 이르러 황주 황보씨 세력은 忠州 劉氏의 후원을 얻어 부활하였다. 그러나 천추태후의 등장으로 충주 유씨의 세력은 약화되었다. 천추태후가 鎬京(서경)을 중심으로 활약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 말미암은 것이었다. 결국 황주 황보씨로 대표되는 西京 세력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男妹婚이라는 극단적인 근친혼을 추진하였다. 이들 세력은 갖은 역경 끝에 穆宗代에 이르러 결실을 맺어 천추태후의 등장과 함께 西京 중심의 개혁 정치를 행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損窩 崔錫恒 「請對」의 설득 전략과 의미

        윤재환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81

        손와 최석항은 조선 후기 소론계열의 중심에서 당대 정국을 주도했던 인물의 한 사람이다. 그는 71년의 생애 동안 45년을 관직에 있으면서 소 론계열의 존립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이와 같은 활동으로 인해 최석 항은 경종대의 소론 4대신 중 한 사람으로 꼽힐 만큼 높은 정치적 위상 을 누렸지만, 운명 이후 지속적인 곤경을 겪었다. 이 글은 최석항의 「청 대」를 대상으로 그의 설득 전략을 확인하고 「청대」가 지닌 의미를 살펴 보고자 한 것이다. 모두 9단락으로 구성된 「청대」는 경종의 대리청정 결정이 지닌 논리 적 문제점의 지적을 시작으로 경종에 대한 비판과 선왕과 왕세제의 마 음을 이용한 호소, 비판을 통한 도발과 자기감정의 토로를 거쳐 왕세제 청정요구 자체의 문제와 비망기 환수의 이익 제시로 마무리된다. 「청대 」의 논지 전개 방법은 대화의 상대인 경종의 반응에 따라 바뀌는데, 이 런 방법은 경종에게서 원하는 답을 얻기 위해 최석항이 선택한 대화 전 략이다. 최석항의 「청대」를 보면 당시 절박했던 최석항의 심정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 이후 이루어진 일련의 정치적 결정들을 살펴보면, 최석항의 「청대」는 그 스스로의 선택에 따른 것이지만 경종의 의도에 부합하는 것으로 경종의 행동 근거를 만들어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 석항과의 면대 이후 이루어진 경종의 과단한 정치적 결정들은 최석항의 「청대」가 경종에게 준 자신감을 읽을 수 있게 한다. 그런 점에서 최석항 의 「청대」는 정치적 설득 전략뿐만 아니라 당대 정치사의 이면을 이해 하는 중요한 자료로 의미를 지닌다. Sonwa Choi Seok-hang is one of the characters who l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day at the center of the soron fac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spent 45 years in office during his 71-year career trying to keep the existence of the soron faction. Due to these activities, Choi Seok-hang had a high political status as one of the four ministers of the Kyongjong era, but suffered a constant political plight even after his die. This study is to confirm his persuasion strategy through Choi Seok-hang's 「Cheongdae(請對)」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Cheongdae(請對)」. The 「Cheongdae(請對)」 consisting of all nine paragraphs begins with the indication of the logical problems of the Daericheongjeong(代理聽政) decision of Kyongjong. And criticism of Kyongjong, appeal using the late king and crown prince's mind, provocation through criticism and self-emotion, and the error of raising the problem itself and the profit of Bimangi(備忘記) return are concluded. The development of the point of an argument in 「Cheongdae(請對)」 depends on the reaction of the conversation partner Kyongjong. This is the conversation strategy Choi Seok-hang chose to get the answer he wanted from Kyongjong. When you look at 「Cheongdae(請對)」, which records the stories that Choi Seok-hang met with Kyongjong, you can feel the feeling of Choi Seok-hang, who was desperate at the time. However, Choi Seok-hang's 「Cheongdae(請對)」 was made by his own choice, but if you look at the series of political decisions made after this, this is in line with Kyongjong's intention and it can be said that Kyongjong has made a basis for his future action. The bold political actions after the meeting with Choi Seok-hang allow Choi Seok-hang's 「Cheongdae(請對)」 to read the political confidence given to Kyongjong. In this regard, Choi Seok-hang's 「Cheongdae(請對)」 is meaningful not only as a political persuasion strategy but also as an important material to understand the back of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day.

      • KCI등재

        경종(警宗)제도의 개선방향 : 경목(警牧)을 중심으로

        천정환(JUNG-HWAN CHUN) 한국교정복지학회 2021 교정복지연구 Vol.- No.72

        경종(警宗)제도란 성직자가 경찰에서의 교정교화행정의 일환으로 유치인 및 범죄인에 대한 불교, 기독교 등의 신앙적 교화사업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경종의 하나인 기독교적 경찰선교인 경목(警牧)은 경찰서내외에서 위와 같은 직무를 하는 목사를 말한다. 원래의 경찰선교는 해방이후에 “갇힌 자”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려는 헌신적인 개인 목회자들에 의해 교도소 선교처럼 유치인과 범죄인만을 상대로 하는 경찰서 내에서의 교정사역(선교)이 중심이었고 우리나라의 기독교는 범죄인 등에 대한 경찰에서의 교정교화활동에서 타종교들보다 헌신적인 역할을 하여 왔다. 그런데 이때는 경목제도는 경찰공식조직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1960년대에 들어와 경찰관에 대한 종교활동은 경종중 에서 경목제도만 치안행정조직의 일부로 공식화되면서 경찰선교의 중심은 범죄인외에 경찰관이 중심 대상으로 변질되었다. 이는 권위주의 정권의 이익과 보수화된 한국 교회의 이익이 역동적으로 서로의 이익을 추구하면서 정권의 안정과 기독교의 확대 결합된 배경이 있었다. 그 결과 경찰선교는 치안행정에 기여한다는 명분으로 대상이 확대되어 왔다. 그 뒤 경목독점의 위헌적인 문제점이 제기되자 2007년에는 경찰위촉 목사, 승려, 신부운영규칙으로 입법화되었다. 그런데 경종의 하나인 경찰선교는_다른 경종도 마찬가지이지만 형식적인 실적을 중시하는 계량화된 경찰복음화와 성과주의적 선교에 치중하여 경찰선교는 다양한 친교 등을 중시하면서 정치화, 세속화, 관료화 되어 왔다. 그 결과 본래적 교정복지로서의 경찰선교인 유치인과 비행소년 등에 대한 교정과 심적 안정과 복음화를 통하여 범죄인을 교화시키려는 간접적 교정사역은 축소되었고 경찰관의 정서적 안정이 주목적이 되었고 직장선교화되었다. 또한 오늘날 경찰선교의 패러다임이 복지적 경찰선교로 이행함에도 경찰선교복지에 대한 전문성이 거의 없다 보니 선교의 실효성문제 등 여러 문제점이 노정되어 왔다. 그리고 경찰선교에 관한 선행연구들도 치안행정의 공식적 영역인 경목제도의 운영과 경찰의 복음화에만 치중하고 미시적 측면에서만 접근하는 한계를 보여 경찰선교의 거시적 측면과 경찰선교복지적 측면과 본래적 경찰선교인 교정선교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본래적 경찰선교인 유치인 등에 대한 교정복지에 초점을 ??추어 경찰활동을 중심으로 경찰선교의 개선방안을 운론하였다. Police religion system refers to the prister s conduct of culture-related missio for police officers and religious correction for criminals as part of the police administration. A police chaplin, one of the police religion system, refers to a pastor who performs the above duties. After 8.15 liberation, Korean police mission was centered on mission at the detention center in the police station like correctional mission by dedicated private pastors trying to fulfill God s love for the locked up.“Until then, it was not included in the police official organization The main focus of the Korean police mission was the police officer after the police chaplin system was established by the state ever since only police chaplin as religious activities for police men and criminals have only been formalized as part of the korean police organization in 1960s. The background of police chaplin is a dynamic combination of the interests of the authorative regime and the interests of the conservative church. After that, when the police chaplin monopoly was raised, the police-commissioned prister s operating rules were established in 2007. But among them, the police chaplin- there are differences in degrees in other police religions, too_ korean police mission has been expanded and focused on quantified police mission work and it has been politicized, secularized and officialized, with emphasis on various friendships. Therefore, the original primary police mission for persons detained in the detention center and indirect correction mission to rehabilate criminals by evangelizing police officers was almost formalized. Various problems of Korean police mission have been identified, inclu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ission and so on owing to police mission by police chaplin who has little expertise on police mission welfare eventhough the paradigm of police mission has shifted to a police mission welfare. They pass over microscopic aspects and police mission welfare and the importance of correction mission because prior studies of korean police mission show a limit to access only microscopic aspects. Therefore, I asserted in this paper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police mission with a focus on police activities focusing on the original mission work on the detention center.

      • KCI등재

        『景宗實錄(경종실록)』을 통해서 본 少論(소론)의 정치 義理(의리) 검토

        허태용 ( Tae Yong Huh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60 No.-

        경종대 신임옥사의 과정에서 소론의 일부 구성원들이 견지했던 정치적 자세는 영조가 즉위한 이후의 시점 속에서는 더 이상 용납되기 어려운 것이었기에 영조 통치하에서도 소론들은 자신들이 정치적으로 주도권을 쥘 수 있다는 명분과 의리를 다시 정립하면서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 내야 했다. 이러한 노력들은 영조 8 년에 완성된 『경종실록』에서 종합적으로 정리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다만 무신 란 이후 영조 주도의 탕평정국이 보다 본격적으로 전개되면서 기유처분이 내려지는 등, 소론 탕평파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었기에 그들의 입장과 평가를 일정하게 고려하면서도 소론이라는 큰 틀 속에서 공유되는 정치 의리를 중심 내용으로 해서 『경종실록』을 편찬할 수 있었다. 『경종실록』에서 드러나는 정치 의리는 대략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입장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첫 번째는 노론들은 경종에게 不忠하고 잘못 처신하였다는 입장, 두 번째는 소론 과격파는 지나친 討逆에 몰두 하다가 영조에 불충하였다는 입장, 세 번째는 경종에게서 영조로 이어지는 계승 은 올바르다는 입장, 네 번째는 소론 온건파는 경종뿐 아니라 영조에게도 충성하여 그를 보호하였다는 입장이다. 이렇게 보면 네 번째의 입장이 소론의 정체성을 새롭게 규정한 것이었던 셈이고 이 의리를 통해서 자신들의 정치적 주도권을 재 확립하려고 노력한 것이다. After the ascension of King YoungJo, the political attitude strongly held by some of Soron in the process of Sinim-Oksa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was not allowed. Therefore Soron had to reform their political justice and faith over the political hegemony and establish their new identity in the King Youngjo Regime as well. These efforts were well organized in Annals of King Gyeongjong completed in the eighth year of King Youngjo’s reign. After the insurrection by the military, Mushinran, the Tangpyeong Situation, such as such as Giyu-Chuboon, was developed actively by King Youngjo. As a result, Soron Tangpyeong Party’s share of political power was raised. Annals of King Gyeongjong was compiled by considering Soron’s position and evaluation regularly and focusing on the political justice and thoughts shared among Soron. The political justice and faith in Annals of Gyeongjong are based on four different positions: Noron had disloyalty to King Gyeongjong; some radicals of Sor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unitive expedition and were disloyalty to King YoungJo; the royal succession from King Gyeongjong to King YoungJo was proper; and the moderates of Soron were loyal to both King Gyeongjong and King YoungJo and protected them. This demonstrates that the identity of Soron was newly defined by the fourth position, and they tried to reestablish their political hegemony through political justice.

      • KCI등재

        숙종∼영조 년간 景宗妃 宣懿王后의 지위와 입장

        임혜련(Lim, Hye-Ryun)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4

        선의왕후 어씨는 노론 이었던 함종 어씨 어유귀의 딸로 1718년(숙종 44) 당시 세자였던 경종과 가례를 치렀다. 이때의 국혼은 세자가 31세였음에도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같은 해 훙서한 세자빈 심씨의 국상이 끝나기 전에 빠르게 시행되었다. 숙종 42년 ‘병신처분’으로 정국의 주도권을 노론이 가지고 있었던 상황에서 노론이며 노론 핵심인물과 학연과 혼맥으로 이어져 있었던 여유귀 집안과 국혼을 맺게 되었다. 숙종대 선의왕후는 세자빈의 위상을 가지게 되어, 왕실 어른에 대한 효도와 남편에 대한 내조, 그리고 후사를 출산해야 한다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1720년 경종이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으며, 다소 어려움이 있었지만 청으로부터 책봉을 받아 대내외적으로 왕비의 지위가 확정되어 공표되었다. 또한 책봉례를 통해 왕비로서 지위와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의왕후에게는 후사를 출산하기도 전에, 어쩌면 할 수 없었는지도 모르지만, 시동생 연잉군의 건저 문제가 발생하였다. 선의왕후는 건저에 생각이 없었고, 이에 대한 불만과 반대의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노론과 소론의 대립이 절정에 이르렀던 경종대 건저와 세제 대리청정의 문제는 당시 정국에서 뿐만 아니라 선의왕후에게도 매우 중요하면서도 불편함을 가져온 결과가 되어 버렸다. 1724년 경종이 승하하고 영조가 즉위하자 선의왕후는 20세의 어린 나이로 왕대비가 되어 ‘경순’의 존호 가상과 진연을 받으며 영조로부터 존숭 받았다. 영조는 선의왕후를 황수라 칭하면서도 모자의 도리가 있다며 극진히 모셨다. 그렇지만 경종의 예상하지 못했던 승하와 이후 발생한 무신란에서 선의왕후가 자유로울 수는 없었고, ‘경술년 역옥’으로 어수선한 와중에 26세의 젊은 나이로 승하하였다. 영조는 자신의 정통성을 위해 경종과 선의왕후를 부모로서 모셨고, 경종・선의왕후를 비난하거나 부정하는 것은 자신의 왕위계승의 부당성, 그리고 군무를 기정사실화 하는 것이었던 만큼 끝까지 존숭과 예우를 다하였다. Queen Seonui Eo clan(宣懿王后 魚氏) was wife of Kyungjong of Chosun dynasty. She was a daughter of Hamjong Eo clan Eo Yoo-gwi(咸從 魚氏 魚有龜). Queen Seonui was marriage with Gyeongjong as Noron family in 1718. At that time Gyeongjong was 31-years-old but he didn’t any child. So, it was enforced fast before funeral rites ends to Crown princess Sim clan in that same year. She was chosen in Noron family to lead the political situation by Noron. When period of Sukjong Queen Seonui was given the status of Crown Princess. So, It was given duty that behave filial duty about royal family older person, assist her husband and must give birth to babies. She became queen when Gyeongjong ascended the throne at 1720. The Qing was delayed investiture to pick on her. Position of queen was confirmed domestically and externally as investiture. But, Brother-in-law Yeoninggun happened Geonjeo(建儲) problem before give birth to babies to Queen Seonui. So, She had intention of the protests and opposition. In age of Gyeongjong that antithesis of Noron and Soron was very serious and important this problem got Queen Seonui uncomfortable. She became queen dowager 20 years old following Youngjo acceded to the throne in 1724. Youngjo treated queen Seonui which was sister-in-law to mother. He gave eulogistic title ‘Gyeongsun’ and gave ceremonial feast and respected. But, Musinnan(戊申亂) was happened for cherish the memory of Gyeongjong was poisoned. Also, It was ‘Gyeongsul year-oksa’ happened in 1730. She could not be free in this. And She passed away at this time. Youngjo took care of Gyeongjong and Queen Seonui as parents for himself. But he suspected that Queen Seonui been involved in Musinnan. But, it denied own succession to the throne to blame or deny Gyeongjong and Queen Seonui. And also it might be to acknowledge that he had poisoned Gyeongjong. So, he was courtesy to the end to Queen Seonui.

      • KCI등재

        『景宗春宮日記』를 통해 본 왕세자 書筵과 독서

        김은정(Eun-jeong Kim) 대동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景宗은 숙종의 환국정치 한 가운데 출생하고 성장하면서 전대의 왕세자와는 다른 왕실 내 입지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환국 후의 혼돈을 수습하는 과정에 원자의 보양을 맡는 輔養廳을 신설하여 숙종은 원자를 보호하려 하였고 새 집권 세력은 자신들의 약한 권력을 보완하려 하였다. 비슷한 이유로 경종은 아주 어린 나이에 세자로 책봉되었고, 侍講院에 의한 세자의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초기 시강원 활동은 相見禮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상견례를 통하여 師傅賓客이 세자의 선수학습 상태를 점검하였다. 세자가 童蒙期에 접어들자 入學禮를 거쳐 본격적인 書筵을 시작하였으며, 세자는 일반적인 성리학 학습의 진행과정에 따라서 小學→大學→史書로 연계되는 교재를 학습하였다. 성년 이후 경종춘궁은 여러 사정으로 인해 서연을 쉬는 경우도 많았으나, 서연의 규모가 점점 커졌다. 상번,하번의 궁료만 참석하던 서연에는 효종대에 山林職 1인, 현종대에 빈객 1인이 추가로 참여하기 시작하였으며, 숙종대에 배위만 맡았던 翊衛司 1인까지 참여하게 된 것이다. 이미 장성한 왕세자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서연의 규모를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세자가 聽政을 맡게 되면서 학습 활동은 확연히 줄어들게 되지만, 경종춘궁 자신은 지속적으로 소대를 열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한편, 숙종은 <어제천자문서>를 지었고, 신료들은 새로운 초학교재 『孝經小學抄』를 편찬할 것을 건의하는 등 세자의 교육에 적극적이었다. 또한 미래의 서연을 위해 미리 진강책자를 구비하고 언해서를 마련하였다. 특히 이이의 『小學集註』가 서연의 중요 교재로 자리잡으면서 조선후기 학계의 방향성을 제시하기도 하는데, 이이의 『聖學輯要』, 송시열의 『朱文抄選』 등의 책자가 서연에서 읽힌 것도 같은 맥락을 지닌다. 또한 서연에서는 <農桑十二月帖>, <養正圖屛> 등의 그림을 활용하여 세자의 견문을 넓히는 것에도 힘을 쏟았으며, 穆淸殿 비문을 새긴 족자를 동궁에 들이는 등 왕실의 위엄을 세우는 숙종의 사업 영향을 받았다. King Sukjong created a new office called Boyangchung(輔養廳) to take care of the maintenance of the prince, and hastily appointed him as the crown prince, and made the crown prince take charge of the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Through the meeting ceremony, the presidency of the crown prince was checked. When the crown prince reached the period of regular education, he began to study in earnest, and the crown prince learned textbooks that were linked to Sohak(小學) → Daehak(大學) → history books according to the general course of studying Neo-Confucianism. After coming of age, Kyungjong often took a break from studying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but the scale of lectures gradually increased. It seems that the scale has been expanded to empower the crown prince who has already grown up. In addition, as the Crown Prince took charge of government, learning activitie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 Crown Prince himself showed a willingness to continuously open a platoon. King Sukjong and his servants were active in the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so they prepared books and prepared Korean translations in advance for future learning. In particular, as Sohakjipju(小學集註) became an important textbook for Seoyeon, it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academic worl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lecture, he also focused on broadening the knowledge of the crown prince by using pictures.

      • KCI등재

        『景宗春宮日記』를 통해 본 왕세자 書筵과 독서

        김은정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King Sukjong created a new office called Boyangchung(輔養廳) to take care of the maintenance of the prince, and hastily appointed him as the crown prince, and made the crown prince take charge of the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Through the meeting ceremony, the presidency of the crown prince was checked. When the crown prince reached the period of regular education, he began to study in earnest, and the crown prince learned textbooks that were linked to Sohak(小學) → Daehak(大學) → history books according to the general course of studying Neo-Confucianism. After coming of age, Kyungjong often took a break from studying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but the scale of lectures gradually increased. It seems that the scale has been expanded to empower the crown prince who has already grown up. In addition, as the Crown Prince took charge of government, learning activitie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 Crown Prince himself showed a willingness to continuously open a platoon. King Sukjong and his servants were active in the education of the crown prince, so they prepared books and prepared Korean translations in advance for future learning. In particular, as Sohakjipju(小學集註) became an important textbook for Seoyeon, it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academic worl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lecture, he also focused on broadening the knowledge of the crown prince by using pictures. 景宗은 숙종의 환국정치 한 가운데 출생하고 성장하면서 전대의 왕세자와는 다른 왕실 내 입지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환국 후의 혼돈을 수습하는 과정에 원자의 보양을 맡는 輔養廳을 신설하여 숙종은 원자를 보호하려 하였고 새 집권 세력은 자신들의 약한 권력을 보완하려 하였다. 비슷한 이유로 경종은 아주 어린 나이에 세자로 책봉되었고, 侍講院에 의한 세자의 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초기 시강원 활동은 相見禮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상견례를 통하여 師傅賓客이 세자의 선수학습 상태를 점검하였다. 세자가 童蒙期에 접어들자 入學禮를 거쳐 본격적인 書筵을 시작하였으며, 세자는 일반적인 성리학 학습의 진행과정에 따라서 小學→大學→史書로 연계되는 교재를 학습하였다. 성년 이후 경종춘궁은 여러 사정으로 인해 서연을 쉬는 경우도 많았으나, 서연의 규모가 점점 커졌다. 상번,하번의 궁료만 참석하던 서연에는 효종대에 山林職 1인, 현종대에 빈객 1인이 추가로 참여하기 시작하였으며, 숙종대에 배위만 맡았던 翊衛司 1인까지 참여하게 된 것이다. 이미 장성한 왕세자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서연의 규모를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세자가 聽政을 맡게 되면서 학습 활동은 확연히 줄어들게 되지만, 경종춘궁 자신은 지속적으로 소대를 열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한편, 숙종은 <어제천자문서>를 지었고, 신료들은 새로운 초학교재 『孝經小學抄』를 편찬할 것을 건의하는 등 세자의 교육에 적극적이었다. 또한 미래의 서연을 위해 미리 진강책자를 구비하고 언해서를 마련하였다. 특히 이이의 『小學集註』가 서연의 중요 교재로 자리잡으면서 조선후기 학계의 방향성을 제시하기도 하는데, 이이의 『聖學輯要』, 송시열의 『朱文抄選』 등의 책자가 서연에서 읽힌 것도 같은 맥락을 지닌다. 또한 서연에서는 <農桑十二月帖>, <養正圖屛> 등의 그림을 활용하여 세자의 견문을 넓히는 것에도 힘을 쏟았으며, 穆淸殿 비문을 새긴 족자를 동궁에 들이는 등 왕실의 위엄을 세우는 숙종의 사업 영향을 받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