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트프레드 레키보(Gotfred Rekkebo)의 『한국 사회사업 1955~1965』 고찰

        최원규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8 사회복지역사연구 Vol.1 No.1

        이 글은 노르웨이 부제(deacon)이자 간호사·사회사업가로 1955년부터 1972년까지 한국에서 활동한 고 트프레드 레키보(Gotfred Rekkebo, 1911~1993)의 사회사업 관련 활동에 관한 것이다. 그는 1950년 에 발발한 한국전쟁에 간호사로 파견되었다. 그는 현임 사회사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별사회사업 (social case work)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들을 병원, 고아원, 지역사회복지관 등에 파견하고, 그들에 대한 슈퍼비젼을 제공하였다. 1959년에는 그가 훈련시킨 개별사회사업가들과 함께 한국개별사회사업가 협회(Korea Case Workers’ Association)를 만들어 1967년 한국사회사업가협회 발족의 한 축을 담당 하였다. 17년(1955-1972)에 달하는 한국에서의 레키보의 활동은 한국 사회사업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여로 평가되는데, 특히 병원 기반의 의료사회사업의 출발을 이룩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서울 마 포와 전남 목포 등지에서 그의 활동은 오늘날 수백개에 이르는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의 원형으로 자리매 김할 수 있다. 아울러 목포에서의 MAVA의 결성은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 한편 교육훈련의 방법론과 관련하여 볼 때, 현장의 사례들에 대한 토의를 중심으로 한 그의 노력은 실용적, 실천적 사회사업 교육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이론교육 중심이 라는 비판을 받아 온 한국 사회사업 대학교육과는 대비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on Gotfred Rekkebo’s social work activities in Korea from 1955 to 1972. He was a deacon, a nurse, and a social worker from Norway. He was sent to Korea as a nurse during Korean War of 1950. He conducted social work training for the active social workers. He dispatched them to hospitals, orphanages,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provided them with a supervision. In 1959, he created the Korea Case Workers' Association, along with individual social workers who were trained by him. He was responsib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in 1967. 17 years(1955-1972) of Rekkebo’s activities in Korea could be evaluated as a contribu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social worker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start of the hospital-based medical social work in Korea had been achieved by his endeavors. His activities in Mapo area in Seoul and Mokpo city in Chonam province could be regarded as the prototypes of hundred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MAVA in Mokpo city wa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a network for promoting community welfare.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methodology of social work education and training, it could be concluded that his efforts centered on discussion of cases in the field were a practical method of social work education. This was contrasted with the Korean social work education, which had been criticized as the theoretical education centered.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법률 및 지침 분석을 중심으로

        주연선,손영은,오승환,김민정 사회복지법제학회 2022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3 No.2

        A range of the professional activities performed by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actice of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s it improves the awareness and sensitivity of human rights of social workers. To date,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systematic review of relevant laws and guidelines and an understanding of the need for aligning laws and regulations. This study examined 8 individual laws related to human rights education to understand responsibilitie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und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 type and target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penalty claus. The 8 individual laws ar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Act On Support For Welfare And Self-reliance Of The Homeless”, “Child Welfare Act”, “Youth Welfare Support Act”,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and "Act on the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guidelines for human rights education in 7 field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for general social welfare, mental health, homeless people, the disabled, children, youth, and the elderly were reviewed. Further, the time of education, institutions of education, standards of instructors, and changes in guidelines were analyzed. Findings indicated the legal obligations and status of the compulsory human rights educ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discussed the supplementation of the alignment and human rights education-related guidelines of future compulsory human rights education legisl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ocial welfare has been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and actual laws and guidelines have been analyzed and discussed on the basis of actual conditions at an objective and substantive level. 사회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의 활동은 인권실천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사회복지종사자의 인권의식과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인권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관련 법률과 지침의 체계적 검토와 법령 정비 필요성에 대한 이해의 구축이 미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과 관련된 개별법인 「사회복지사업법」,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 「아동복지법」, 「청소년복지 지원법」, 「장애인복지법」, 「노인복지법」,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의 8개 개별법 고찰을 통해 인권교육의 책무, 인권교육의 근거, 인권교육의 종류와 대상, 불이익 조항 유무를 고찰하였다. 또한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에서 발간한 사회복지전반, 정신건강, 노숙인, 장애인, 노숙인, 아동, 청소년, 장애인, 노인 등 7개 분야의 인권교육의 분야별 사업지침을 검토하여 교육시간, 교육기관, 강사 기준, 지침 변동 사항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의 법적 의무와 현황을 확인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인권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법률적·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의무 인권교육의 법령 정비와 인권교육 관련 지침의 보완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를 인권관점으로 접근하여 객관적이고 실체적 수준에서 실제 법령과 지침들을 분석하고 실태를 기반으로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A Review on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 For Evidence-Based Practices of the Korean Rehabilitation System

        Park, Jongha,Cheong, Jinseong 아시아교정포럼 2015 교정담론 Vol.9 No.2

        본 연구는 교정교화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국내외 실증연구를 광범위하게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정교화사업이 성공적으로 뿌리내리는데 기여하고자 했다. 교정교화의 개념적 발달과정과 이론적 토대에 대해 살펴보고, 교정교화사업의 유형과 범죄자의 특성을 중심으로 문헌분석을 실시한 결과, 처벌위주의 정책에 비해 교정교화사업이 훨씬 효과적인 대안임을 알 수 있었다. 그 가운데서도 다체계 치료법(Multisystemic Therapy : MST)과 종교기반 프로그램(Faith-Based Programs) 등이 재범률(재복역율) 감소에 가장 성공적인 것으로 드러났는바, 이와 같이 효과적인 정책들의 공통점은 범죄자 개인사에 대한 탐구를 통해 개별 특성을 파악한 후 심리적이고 환경적인 치유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 즉 개별화 접근이 핵심이었다. 사회학습이론이 주장하는 것처럼 교정교화사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범죄자의 사고방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했는바, 이를 위해서는 학자들과 교정행정관들에게 장기적 관점에서 개별화된 전략을 지속 수행할 수 있는 깊은 지식과 강한 책임감이 요구되었다. 비록 우리 국민의 정서가 범죄에 관대한 것을 매우 꺼려하지만 이에 편승해 단기적이고 임시적인 처방에만 의존하는 접근법은 피해야 하며 반드시 서구와 같은 증거기반 운영이 정착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This study made a comprehensive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offender rehabilitation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policy. The review of conceptualization, underlying theory, and past studies of rehabilitation revealed sufficient evidence to claim that rehabilitation is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as opposed to its punitive counterparts. Some models of rehabilitative intervention such as Multisystemic Therapy (MST) and Faith- Based Programs have been proved to be particularly successful in reducing recidivism. The key element of the success appeared to be an individualized approach that considers each offender’s unique pathways to criminal behavior and improves his/her life both internally and environmentally. As the social learning theory posits, it is crucial that offenders change their cognitive processes in a positive direction, which is what must be secured by any rehabilitation program to be successful. To this end, scholars and practitioners need to have a stro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responsibility to keep administering long-term individualized tactics, which proved not only effective but even more efficient than short-term temporary expedient, particularly prevalent in Korea. This way the evidence-based practice of rehabilitation is to be settled in Korea in spite of public fear against softness on cr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