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상도 안동 虎溪書院의 건립과 위상

        우인수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5 No.-

        퇴계 이황의 사후 그를 모시는 서원을 건립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특히 그의 문인집단이 집중되어 있던 큰 고을인 안동에는 예안의 도산서원 건립과 비슷한 시기에 여강서원이 건립되었다. 여강서원은 추가로 안동 출신의 뛰어난 두제자인 류성룡과 김성일을 배향하였으며, 후일 호계서원으로 사액되었다. 호계서원은 일찍이 屛虎是非와 관련하여 연구자의 관심을 끄는 대상이 되었으 며, 근래에는 호계서원 자체를 좀 더 객관적인 시각에서 다루려는 일련의 시도가 나타나 주목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호계서원의 복원으로 세간의 이목이 쏠린 바있다. 본 논문은 호계서원의 건립 과정과 호계서원이 안동 또는 경상도에서 지닌 지위를 검토함으로써 서원 자체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에 한 걸음 더 다가서고자 하였 다. 경상도의 거점 지역인 안동에 가장 먼저 세워진 서원으로서 안동 권역을 대표 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 명성에 맞게 소유한 경제력도 안동 내 보통 서원의 수 배에서 수십 배에 달하는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원임록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호계서원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호계서원의 원임록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중엽에 걸쳐 약 60년 정도의 분량이 현전하고 있다. 이를 도산서원과 병산서원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호계서원의 위상을 객관적으로 드러낼 수 있었다. 호계서원 원장으로 선임된 사람은 대부분 대과나 소과에 급제한 인물들이었는데, 그 비율이 두 서원의 경우보다 높았다. 그리고 호계서원장을 역임한 후 병산서원장에 선임된 경우가 22인, 도산서원장에 선임된 경우가 19인 이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호계서원의 원장을 역임한 이들의 위상이 대단히 뛰어난 명망가였음을 증명해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계서원이 안동 나아가 경상도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호계서원(虎溪書院)의 위상과 강학활동

        김자운 ( Kim Ja-w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호계서원(虎溪書院)은 퇴계의 선향이자 퇴계가 어릴 적 독서하던 곳이라는 연고로 퇴계를 주향하기 위해 안동지역에 최초로 건립된 서원으로, 17세기 이후 안동의 수원(首院)이자 예안의 도산서원, 경주의 옥산서원과 함께 영남지역의 대표적인 서원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같은 호계서원의 위상과 조선후기 병호시비의 근거지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동안 정치사회사 분야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호계서원 강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한 형편으로 19세기의 「호계강록(虎溪講錄)」을 다룬 두 편의 연구 외에 본격적으로 시도된 바가 없다. 이는 강학과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확인되는 기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관련 인물들의 문집 등에 수록된 시, 편지, 연보, 행장 등 관련 기록과 맥락을 최대한 검토, 추적하여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호계서원 강학의 전체적인 흐름과 변화상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퇴계 문인들에 의해 건립된 호계서원이 퇴계의 서원관과 도학론을 충실히 계승하는 한편, 당시까지 매우 부진했던 안동향교의 교육기능을 대신하여 관학에 버금가는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퇴계의 이산원규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입원 규정에서만큼은 과거 입격자를 우선으로 규정한 호계서원의 원규, 안동부 및 안동향교와의 긴밀한 협력관계 속에서 설립, 운영되었으며 호계서원의 주요 인물들이 16세기 안동향교의 운영까지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17세기까지의 강학이 과업(科業)을 목적으로 한 거접 중심으로 시행되었고, 완공된 건물의 규모가 관학의 규모를 훨씬 능가하고 있다는 점 등을 통해 적어도 16세기의 호계서원은 관학에 버금가는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16-17세기 강학의 전개상을 개략적으로 검토하였다. 권호문의 문집 기록을 통해 16세기 강학은 ‘알묘례-강학-수창시’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16세기 강학은 퇴계 저술의 교정 작업과 병행하여 시행되었고, 강학과 교정은 때로는 일회적으로, 때로는 며칠씩 서원에서 유숙하면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 ‘누에 오르면 감발하는 효과가 있어 호연지기를 기르고 연비어략의 이치를 깨우치는 데 적합하다’고 하여 강당인 숭교당 외에 유식공간이었던 양호루가 강학 공간으로 자주 활용되었으며, 이는 ‘장수(藏修)와 유식(遊息)’을 아우르는 서원 강학의 목표와 의미를 드러내는 대목임을 지적하였다. 남치리의 원규에는 동몽 강학에 대한 규정이 없으나 배용길이 16세기 강회에 참여할 때마다 ‘소아(小兒)와 함께 동몽재에 우거하였’으며 동몽재의 규모가 15칸이나 되었다는 점, 또 18세기 김성탁이 15세의 나이로 호계서원 거접에 참여하였다는 기록을 토대로, 16세기부터 15세 이하 동몽들을 대상으로 동몽 강학이 시행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17세기 후반 김성탁이 ‘전례대로 수일간 거접에 참여하여 과거문자를 익혔다’는 기록에 따르면 17세기까지 과업(科業)을 목적으로 한 거접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4장에서는 18-19세기 강회의 변화상 및 심학적 성격과 실천적 학풍을 검토하였다. 18세기 후반으로 가면서 ‘알묘례-정읍례-상읍례-강독과 발문, 토론-강회 후 산수 유람-파재 시 수창시’의 순서로 강회의 절차와 방식이 체계화되었으며, 1765년 대산 이상정이 이끈 심경강회를 기점으로 강회 참여자의 명단과 강회의 전말, 문답 내용을 제명록, 차록, 강회록 등의 기록으로 남기는 관례가 정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 지방관의 흥학책과 그에 대한 적극적으로 대응으로 18-19세기 강회가 활성화되었으며, 18-19세기 호계서원 강회를 주도한 인물들의 사승관계 분석을 통해 호계서원 강회는 ‘퇴계로부터-학봉 김성일-갈암 이현일-밀암 이재-대산 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맥 형성에 핵심적인 매개체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18-19세기에 가장 많이 활용된 강회의 주요 텍스트는 심경이었으며, 강회에서 공부한 내용을 더욱 궁구하여 체득하고 일상생활의 언어와 동작에서 실천하는 자만이 진정한 ‘강학인’이라 강조하고, 19세기 붕당의 폐해와 유림의 분열상을 극복하기 위한 해법을 서명(西銘)에서 찾고 일상에서 이일분수의 실천을 강조한 19세기 강회 등을 통해 이 시기 호계서원 강회의 특징과 경향성이 심학과 실천적 학풍을 지향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호계서원 강학의 전체적인 흐름과 변화상은 개괄적으로 추적하였으나, 강학의 가장 핵심에 해당하는 강회의 주요 내용과 문답 기록까지는 미처 분석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 수집한 자료 외에 향후 관련 자료를 좀 더 추적, 보완하여 본고에서 미처 수행하지 못한 강회의 주요 내용과 문답 기록에 대한 분석은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Hogye-Seowon(虎溪書院) is the first Seowon established in Andong area to celebrate Toegye because it was a place where Toegye was reading when he was a child. After the 17th century, it has grown into a representative Seowon in the Yeongnam region along with Dosan-Seowon and Oksan-Seowon. Paying attention to the status of Hogye- Seow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political history. However, there are only two thesis on education in the 19th century on the study of Hogye-seowon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little data on education of Hogye- Seowon. Therefore, I tried to trace the overall flow and changes of Hogye Seowon educati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by investigating the data on Hogye-Seowon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In Chapter 2, I first analyz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Hogye-Seowon, and then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dongbu(安東府) and Hogye-Seowon. In 1576, Nam, chi-ri(南致利) creat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Hogye-Seowon, imitating Toegye's Isan-Seowon regulations. However,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addition, Hogye-Seowon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in a very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Andongbu.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Chapter 2 I confirmed that the 16th century Hogye-Seowon played the same status and role as the Andong-Hyanggyo. In Chapter 3, I review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Hogye-Seow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7th century. Through this, the operation status of children's education, the space used for educ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method were confirmed. In Chapter 4, I reviewe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system of Hogye-Seowon, the changes in textbooks and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chool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Hogye-seowon's educational system began to change systematically starting with the Simkyung-Lecture(心經講會) led by Daesan(大山) Lee, Sang-jung(李象靖) in 1765. An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book they studied hardest at Hogye-Seowon was Shimkyung(心經). In addition, the teachers at Hogye-Seowon put great emphasis on practicing what they learned in Seowon in their daily life.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Hogye- Seowon educa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an be found in the learning of the mind and practical academic practices. Through the education at Hogye-Seowon, the people who led the schooling were forming a academic network leading to “Toegye Lee Hwang(退溪李滉)-Kim, Seong-il(金誠一)-Lee, Hyun-il(李玄逸)-Lee, jae(李栽)-Lee, Sang-jeong(李象靖)”.

      • KCI등재

        16~18세기 안동지역 사족의 虎溪書院 운영

        김영나 조선시대사학회 2015 朝鮮時代史學報 Vol.73 No.-

        Hogye Seowon was established in Andong by Yi Hwang’s followers and the government office in 1575 where is his ancestor’s birthplace and he studied in his childhood. The principals of Hogye Seowon are a total of 78 including 14 between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64 between the second half of the 17th and the first half of the 18th. At first, Yi Hwang' followers' families took over the position of principal of Hogye Seowon in turn. However, the success of Chuhyang of Ru Sung-Ryung and Kim Sung-Il, and the failure of that of Nam Chi-Ri caused the initiative of Hogye Seowon to be transferred to the Seoae sect and the Hakbong sect, and Hakbong sect lot its power due to the containment of the Seoae sect and the Hakbong sect. The principals in the late of 17th century and the mid-18th century were mainly from Yi Hyeon-Il 's followers and related people to him, and the amnesty movement of Yi Hyeon-Il was progressed mostly by them. In spite of its failure, we can guess through it that Hogye Seowon was the center of the regional public opinion. In addition,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removal of Hakdong Seowon(鶴東書院) were the principals of Hogye Seowon or those who took over the principal position after the removal of Hakdong Seowon or those who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principals. Even the people, who took over the principals of Hogye Seowon, Dosan Seowon(陶山書院) and Byeongsan Seowon(屛山書院) in turn, were mostly Yi Hyeon-Il 's followers, and most of them became the principals of Dosan Seowon or Byeongsan Seowon after the principal of Hogye Seowon. Because it was profitable to Hogye Seowon, Dosan Seowon or Byeongsan Seowon when people, who were recognized by both regions or the center to some extent become principals were invited a lot regardless of sect. Moreover, considered that Yi Hyeon-Il 's followers become principals a lot, it is known that during this period, scholar-official families of Yeongnam province were combined focused on Yi Hyeon-Il 's followers. There might be more principals besides the 78 principals above-mentioned. Accordingly, when other collections of works or diaries are used, more principals can be supplements, and more details on what the principals of Hogye Seowon did, can be learned. It is required to additionally supplement the part. 이 논문은 안동 호계서원의 원장들이 어떠한 활동을 했는지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주요사료인 『虎溪任錄』 등을 통해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에는 14명, 17세기 후반~18세기 중반에는 64명, 총 78명의 원장을 찾을 수 있었다. 처음에는 이황의 문인 가문 중심으로 원장을 하였지만, 류성룡․김성일의 合享 성공과 南致利의 追享 실패로 호계서원의 주도권은 西厓系와 鶴峯系가 장악하게 되었다. 17세기 후반~18세기 중반의 원장들은 이현일의 문인이나 그와 관련된 사람이 많았고 이들은 이현일의 신원운동과 학동서원 훼철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를 통해 호계서원이 지역여론의 중심으로 활동하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호계서원과 도산서원, 병산서원 원장을 번갈아 한 사람들 또한 이현일의 문인들이 많았고 대체로 호계서원 원장을 거친 후 도산서원이나 병산서원 원장을 하였다. 세 서원의 원장 중 이현일의 문인이 많은 것을 보면, 이 시기는 이들이 영남의 대표적인 세력으로 활동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19세기 후반 국내외 정세변화와 호계서원의 대응

        김지은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Hogye Seowon, one of the Andong's representative Confucian academies, served as the center of the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s of the Yeongnam in response to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in the late 19th century. After Kim Seong-il(⾦誠一), the writers who inherited the academic line that led to Lee Sang-jeong(李象靖) and Ryu Chi-myeong(柳致明) established their identity based on the academic mission and superiority of continuing the Toegye academic line. They strengthened their solidarity by leading lectures centered on Hogye Seowon and expanded their personal network. Based on this, in the late 19th century, a campaign against Seowon demolition was launched to protect Neo-Confucianism in response to the domestic crisis of the Seowon demolition, the spread of Catholicism, and an armed conflict with foreign powers. Furthermore, it led an organized and united movement called Cheoksa(斥邪) Maninso(萬人疏) against the situation in which trade with Japan and the West became a reality and threatened Christianity. When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was issued in 1895, Confucian scholars of the Yeongnam organized and led the righteous army and expressed their theory of Cheoksa as an active resistance movement using force.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at the center of all these processes.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an academic pride to them and became a human and material basis. In the late 19th century,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could not resist the ordeal of demolition. However, the scholarship and spirit that continued through Hogye Seowon still had a great influence on Yeongnam Confucian scholars and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20th century.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 중 하나인 호계서원은 19세기 후반 국내외 정세변화에 대응한 영남유림의 활동에서 구심점으로 기능하였다. 김성일 이후 이상정-류치명으로 이어진 학맥을 계승한 문인들은 퇴계학맥의 적전을 잇는다는 학문적 사명감과 우월감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그들은 호계서원을 중심으로 한 강회를 주도하며 결속력을 다졌고, 인적 관계망을 확대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19세기 후반 서원훼철이라는 국내적 위기와 천주교 확산 및 외세와의 무력 충돌이라는 국외적 위기에 대응해 정학의 수호를 위한 서원훼철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나아가 일본 및 서양과의 통상이 현실이 되고, 기독교까지 위협해 오는 상황에 맞서 척사만인소라는 조직적이고 단합된 운동을 이끌어갔다. 1895년 단발령이 내려지자 영남유림은 의병을 조직하고 이끌어가며 그들의 척사론을 무력을 동원한 적극적인 저항운동으로 표출하였다. 이 모든 과정의 중심에는 호계서원이 있었다. 호계서원은 그들에게 학문적 자긍심이었으며, 인적・물적 기반이 되었다. 19세기 후반 호계서원은 훼철이라는 시련을 거스를 수 없었다. 그러나 호계서원을 통해 이어진 학문과 정신은 여전히 영남 유림에게 큰 영향을 끼쳤고, 20세기 독립운동으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었다.

      • KCI등재

        19세기 후반 국내외 정세변화와 호계서원의 대응

        김지은 ( Kim Ji-eun )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 중 하나인 호계서원은 19세기 후반 국내외 정세변화에 대응한 영남유림의 활동에서 구심점으로 기능하였다. 김성일 이후 이상정-류치명으로 이어진 학맥을 계승한 문인들은 퇴계학맥의 적전을 잇는다는 학문적 사명감과 우월감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그들은 호계서원을 중심으로 한 강회를 주도하며 결속력을 다졌고, 인적 관계망을 확대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19세기 후반 서원훼철이라는 국내적 위기와 천주교 확산 및 외세와의 무력 충돌이라는 국외적 위기에 대응해 정학의 수호를 위한 서원훼철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나아가 일본 및 서양과의 통상이 현실이 되고, 기독교까지 위협해 오는 상황에 맞서 척사만인소라는 조직적이고 단합된 운동을 이끌어갔다. 1895년 단발령이 내려지자 영남유림은 의병을 조직하고 이끌어가며 그들의 척사론을 무력을 동원한 적극적인 저항운동으로 표출하였다. 이 모든 과정의 중심에는 호계서원이 있었다. 호계서원은 그들에게 학문적 자긍심이었으며, 인적·물적 기반이 되었다. 19세기 후반 호계서원은 훼철이라는 시련을 거스를 수 없었다. 그러나 호계서원을 통해 이어진 학문과 정신은 여전히 영남 유림에게 큰 영향을 끼쳤고, 20세기 독립운동으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었다. Hogye Seowon, one of the Andong's representative Confucian academies, served as the center of the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s of the Yeongnam in response to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in the late 19th century. After Kim Seong-il(⾦誠一), the writers who inherited the academic line that led to Lee Sang-jeong(李象靖) and Ryu Chi-myeong(柳致明) established their identity based on the academic mission and superiority of continuing the Toegye academic line. They strengthened their solidarity by leading lectures centered on Hogye Seowon and expanded their personal network. Based on this, in the late 19th century, a campaign against Seowon demolition was launched to protect Neo-Confucianism in response to the domestic crisis of the S eowon demolition, the spread of Catholicism, and an armed conflict with foreign powers. Furthermore, it led an organized and united movement called Cheoksa(斥邪) Maninso(萬人疏) against the situation in which trade with Japan and the West became a reality and threatened Christianity. When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was issued in 1895, Confucian scholars of the Yeongnam organized and led the righteous army and expressed their theory of Cheoksa as an active resistance movement using force.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at the center of all these processes.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an academic pride to them and became a human and material basis. In the late 19th century,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could not resist the ordeal of demolition. However, the scholarship and spirit that continued through Hogye Seowon still had a great influence on Yeongnam Confucian scholars and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안동유림의 항일투쟁과 호계서원

        강윤정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안동유림들은 의병항쟁기 호계서원을 중심으로 의병의 당위성을 공론화하고, 호계서원에 본부를 두고 무력으로 항쟁하였다. 이 시기 호계서원은 공고한 집결의 장이었다. 그러나 협동학교 설립을 계기로 그 공론화의 장에는 균열이 발생하였다. 호계서원을 유지하려는 쪽과 새로운 학교를 세우려는 쪽으로 나뉘어 신구 유림은 대립하였다. 그러나 호계서원의 재원이 협동학교로 흡수되면서 적지 않은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는 호계서원이 지니고 있었던 영향력의 상실이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에서 이러한 흐름은 항일투쟁의 새로운 동력으로 작동하였다. 이후만주망명을 선택한 대다수의 유림들은 협동학교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거나, 영향을 받은 인물이다. 안동유림의 만주지역에서의 활약은 독특한 성격을 보인다. 첫째, 이들의 노선은 방략적 측면에서 독립전쟁론이, 이념적 측면에서 공화주의가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의병의 무장항일투쟁과 애국계몽운동의 경험을 아울러 낸 것이다. 둘째, 가족공동체의 역할이 독립운동기지 건설과 이후 지속적 활동에 중요한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경계가 없었던 만주에서 이들 가족 구성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호계서원-협동학교-만주신흥 무관학교를 중심 축으로 전개되는 안동유림의 항일투쟁사에서 호계서원은 그 출발로서 사회적・물리적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Andong Yurims publicized the legitimacy of righteous army around Hogye Seowon during the righteous army resistance period, and fought by force at Hogye Seowon. During this period, Hogyeseowon Confucian Academy was a place for solid gathering. However, with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chool, a crack occurred in the field of public debate. The old Yurim was divided into two sides: maintaining Hogye Seowon and establishing a new school. However, as the financial resources of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were absorbed into the cooperative school, considerable changes were encountered. This was also the loss of influence that Hogye Seowon had. However, on the other hand, this trend served as a new driving force for the anti-Japanese struggle. Since then, most of the Confucian scholars who chose to defect to Manchuria have been directly related to or influenced by cooperative schools. Andong Yurim's activities in Manchuria show a unique character. First, their line was mainly based on the theory of independence war in terms of strategy and republicanism in terms of ideology. Second, the role of the family commun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ase and subsequent continuous activities. In Manchuria, where there was no boundary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these family members played roles in their respective spheres. In Andong Yurim's anti-Japanese struggle history, which is centered on Hogyeowon Confucian Academy, Cooperative School, and Manju Shinheung Military School, Hogye Seongwon served as a social and physical space as its start.

      • KCI등재

        18세기 정국 동향과 호계서원의 공론 주도 노력

        이욱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18세기 호계서원은 이현일 제자들이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안동의 공론을 장악하고 주도하기에는 정치적 여건이 좋지 않았다. 그들은 이현일이 명의죄인에서 신원되지 않은 점과 이현일 문인 중 일부가 무신란 동조자로 지목된 점 때문에 정치적 운신에 많은 제약을 받았다. 특히 영조는 이현일이 죄인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이 사실이 김성탁의 이현일 변무소를 계기로 분명해졌다. 이후 노론은 남인을 공격할 때 반드시 무신란에 동조하는 세력이라는 비난과 함께 명의죄인 이현일의 문인들이라는 점을 언급하였다. 게다가 남인에 적대적인 노론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그들은 안동지역의 노론과 합세하여 안동에 정치적 거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김상헌 서원 건립 시도가 그것이었다. 안동향교는 호계서원과 관련 깊은 사족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었고, 당연히 그 시도를 적극적으로 좌절시켰다. 노론은 거기에 멈추지 않고 호계서원 원장을 안동 부사가 맡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안동 지역 공론을 장악하고자 하였다. 호계서원이 중심이 된 안동의 사족들은 무신 여얼이라는 혐의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그렇지 않으면 이를 빌미로 명의죄인과 연결시키는 노론의 공격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었다. 호계서원 인사들은 그 해결책을 사도세자 신원에서 찾았다. 사도세자 죽음과 관련이 있는 노론 역시 역적의 혐의가 있다는 논리였다. 정조의 즉위로 이 작전은 주효하였다. 1776년 9월 정조는 소론이나 노론 모두 충신과 함께 역적도 포함되어 있음을 공식화하였다. 나아가 1782년에는 영남 남인과 무신란이 무관함을 공식적으로 천명하였다. 이를 통해 무신 여얼이라는 혐의로부터 자유로워졌다. 호계서원 인사들은 무신 여얼의 혐의를 벗게 되자 정치적 진출과 안동 지역 공론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임자만인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In the 18th century, Hogye Seowon was dominated by Lee Hyun-il's disciples. However, political conditions were not good for them to dominate and lead Andong's public opinion. They were heavily restricted in their political movements because of the fact that Lee Hyun-il was a criminal of ethics and that some of Lee Hyun-il's disciples were a sympathizer of the Musin-ran(1728’s rebellion). In particular, King Yeongjo was convinced that Lee Hyun-il was a criminal of ethics. This fact became clear that Kim Sung-tak's an exculpatory appeal for Lee Hyun-il was the trigger. Later, Noron criticized that Namin was a sympathizer of the Musin-ran(1728’s rebellion), and mentioned that they were disciples of Lee Hyun-il, a criminal of ethics. Furthermore, Noron, who was hostile to Namin, took control. They tried to establish a political base in Andong by joining Noron in the Andong area. It was an attempt to build Kim Sang-heon Seowon. Andong Hyanggyo, led by Hogye Seowon Sarim, actively frustrated it. Noron did not stop there, but tried to dominate the Andong area's public opinion in various ways, such as allowing the Andong president to take charge of Hogyeseowon.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escape the charge that Hogye seowon Sarim was a a sympathizer of the Musin-ran(1728’s rebellion). Otherwise, it would not be free from Noron's attack to connect with a criminal of ethics under the pretext of this. Hogye Seowon Sarim found the solution in the innocence of Crown Prince Sado. Noron, who was related to the death of Crown Prince Sado, was also suspected of being a traitor. With the accession of King Jeongjo, this operation was effective. In September 1776, King Jeongjo made it official that both Soron and Noron included both loyalists and adversaries. Furthermore, in 1782, it was officially declared that Yeongnam Namin was not involved in the Musinran. Through this, they were freed from the charge of being a sympathizer of the Musin-ran. When Hogyeseowon Sarim was cleared of the charges of a sympathizer of the Musin-ran,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mja Maninso to secure political advancement and the initiative in public opinion in Andong.

      • KCI등재

        호계서원(虎溪書院)의 강학 활동과 학풍

        정재훈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5 No.-

        안동에서 최초로 세워진 호계서원은 이 지역의 대표적인 학자인 이황과 그의 제자인 류성룡, 김성일을 모신 사액서원으로서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이다. 호계서원의 경우 다른 서원과 비슷하게 16~17세기에는 개별적인 학습을 중시하고, 또 그에 대한 평가 위주로 강회가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강회를 운영하는 것에 관한 기록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18~19세기에는 대규모의 강회가 집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을 기록으로까지 남기는 경우가 생겼다. 이들 강회에서는 『대학』, 『중용』, 『근사록』, 『심경』, 『태극도설』, 『서명』 등 다양한 서적이 검토되었지만 특히 그 가운데서도 『심경』의 비중이 높았다. 이러한 경향성은 이미 이황의 단계에서부터 『심경』에 대한 주목이 높았던 사실과 연관된다. 호계서원에서 간행된 『송계원명이학통록』이나 강론된 『학부통변』 역시 이황이 당대 조선에서의 성리학의 이해와 실천 방향과 관련하여 고민하는 가운데 저술되거나 주목된 책으로서, 두 책 모두 실천적인 고민 아래에 주목된 것이 었다. 그런데 18~19세기에 호계서원에서 이루어진 『심경』에 대한 관심은 이황-김성일-이현일-이재-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풍의 계승을 확인하는 의미를 지녔 다. 이는 심학에 기반한 성리학의 학설을 고집하기는 힘든 당시의 현실 상황에서는 한계를 지닌 것이었다.

      • KCI등재

        안동유림의 항일투쟁과 호계서원

        강윤정 ( Kang Yun Jeong )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안동유림들은 의병항쟁기 호계서원을 중심으로 의병의 당위성을 공론화하고, 호계서원에 본부를 두고 무력으로 항쟁하였다. 이 시기 호계서원은 공고한 집결의 장이었다. 그러나 협동학교 설립을 계기로 그 공론화의 장에는 균열이 발생하였다. 호계서원을 유지하려는 쪽과 새로운 학교를 세우려는 쪽으로 나뉘어 신구 유림은 대립하였다. 그러나 호계서원의 재원이 협동학교로 흡수되면서 적지 않은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는 호계서원이 지니고 있었던 영향력의 상실이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에서 이러한 흐름은 항일투쟁의 새로운 동력으로 작동하였다. 이후 만주망명을 선택한 대다수의 유림들은 협동학교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거나, 영향을 받은 인물이다. 안동유림의 만주지역에서의 활약은 독특한 성격을 보인다. 첫째, 이들의 노선은 방략적 측면에서 독립전쟁론이, 이념적 측면에서 공화주의가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의병의 무장항일투쟁과 애국계몽운동의 경험을 아울러 낸 것이다. 둘째, 가족공동체의 역할이 독립운동기지 건설과 이후 지속적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경계가 없었던 만주에서 이들 가족 구성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호계서원-협동학교-만주신흥무관학교를 중심 축으로 전개되는 안동유림의 항일투쟁사에서 호계서원은 그 출발로서 사회적·물리적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Andong Yurims publicized the legitimacy of righteous army around Hogye Seowon during the righteous army resistance period, and fought by force at Hogye Seowon. During this period, Hogyeseowon Confucian Academy was a place for solid gathering. However, with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chool, a crack occurred in the field of public debate. The old Yurim was divided into two sides: maintaining Hogye Seowon and establishing a new school. However, as the financial resources of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were absorbed into the cooperative school, considerable changes were encountered. This was also the loss of influence that Hogye Seowon had. However, on the other hand, this trend served as a new driving force for the anti-Japanese struggle. Since then, most of the Confucian scholars who chose to defect to Manchuria have been directly related to or influenced by cooperative schools. Andong Yurim's activities in Manchuria show a unique character. First, their line was mainly based on the theory of independence war in terms of strategy and republicanism in terms of ideology. Second, the role of the family commun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ase and subsequent continuous activities. In Manchuria, where there was no boundary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these family members played roles in their respective spheres. In Andong Yurim's anti-Japanese struggle history, which is centered on Hogyeowon Confucian Academy, Cooperative School, and Manju Shinheung Military School, Hogye Seongwon served as a social and physical space as its start.

      • KCI등재

        1765년 虎溪書院 『大學』 강회 연구(1)

        김자운,이우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호계서원은 안동 지역 최초의 서원으로 1575년 ‘廬江書院’이라는 이름으로 건립, 1676년 ‘虎溪書院’으로 사액된 이래, 퇴계 문인들이 건립과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조선후기까지 안동의 首院이자 도산, 옥산서원과 함께 영남지역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성장하였다. 그 위상에 걸맞게 조선후기까지 호계서원에서는 강학활동 역시 매우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에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소개한 호계서원 강학 자료 중 1765년에 시행된 대학, 심경 강회 기록인 「廬江記聞錄」 및 관련 문집 기록을 대상으로 대학 강회의 형식과 절차, 참여 인물 및 문답의 형식과 특징 등을 본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이 제공하는 필사본 「廬江記聞錄」은 전체가 아닌 일부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2월 10일부터 17일까지 시행된 강회 중 2월 14일의 기록에서 내용이 끊겨 이후 3일간 시행된 심경 강회의 내용은 확인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연구 주제를 불가피하게 1765년 대학과 심경 강회 중 <대학 강회 연구>로 한정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1765년 대학, 심경 강회의 전말을 개괄적으로 검토한 뒤, 기존 한국국학진흥원 해제에서 범한 몇 가지 오류를 바로 잡고 「廬江 記聞錄」의 작성자 및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Ⅲ장에서는 강론에 앞서 시행된 강학 의례부터 강독과 문답에 이르기까지 「廬江記聞錄」에 기록된 대학 강회의 절차와 소임을 먼저 검토하고, 강회에 스승으로 초빙된 李象靖과 金樂行, 그리고 강회 참여자들의 사승관계와 교유 관계, 학맥 상의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대학 강회에서 사용된 텍스트, 강회의 형식과 방법 및 문답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강회에서 문답은 아무렇게나 진행된 것이 아니라 일정 한 형식과 틀에 따라 이루어졌다. 문답 참여방식에 있어서도 스승 대산은 참여자들의 연령과 학문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형식의 문답을 요구하였다. 이와 같이 연령과 학문 수준에 따라 다양한 층차와 내용으로 이루어진 문답의 유형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문답의 특징은 대산의 독자적인 대학 해석이 드러난 곳이자 가장 치열한 논변이 이루어진 經 1장 및 傳 6장과 10장의 논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廬江記聞錄」에 기록된 문답을 대학의 각 장절별, 주제별로 분류하면 총 42개 항목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지면상의 한계로 문답 전체를 다루지 못하고 經 1장 및 傳 6장과 10장의 특징만 분석하였다. 이 강회의 사상사적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강회에서 제기된 총 42개 항목의 문답에 대한 종합적, 심층적인 분석이 요청된다. 이는 많은 지면과 시간을 요구하는 일이므로 후속 연구에서 이어가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