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상도 안동 虎溪書院의 건립과 위상

        우인수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5 No.-

        퇴계 이황의 사후 그를 모시는 서원을 건립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특히 그의 문인집단이 집중되어 있던 큰 고을인 안동에는 예안의 도산서원 건립과 비슷한 시기에 여강서원이 건립되었다. 여강서원은 추가로 안동 출신의 뛰어난 두제자인 류성룡과 김성일을 배향하였으며, 후일 호계서원으로 사액되었다. 호계서원은 일찍이 屛虎是非와 관련하여 연구자의 관심을 끄는 대상이 되었으 며, 근래에는 호계서원 자체를 좀 더 객관적인 시각에서 다루려는 일련의 시도가 나타나 주목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호계서원의 복원으로 세간의 이목이 쏠린 바있다. 본 논문은 호계서원의 건립 과정과 호계서원이 안동 또는 경상도에서 지닌 지위를 검토함으로써 서원 자체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에 한 걸음 더 다가서고자 하였 다. 경상도의 거점 지역인 안동에 가장 먼저 세워진 서원으로서 안동 권역을 대표 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 명성에 맞게 소유한 경제력도 안동 내 보통 서원의 수 배에서 수십 배에 달하는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원임록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호계서원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호계서원의 원임록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중엽에 걸쳐 약 60년 정도의 분량이 현전하고 있다. 이를 도산서원과 병산서원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호계서원의 위상을 객관적으로 드러낼 수 있었다. 호계서원 원장으로 선임된 사람은 대부분 대과나 소과에 급제한 인물들이었는데, 그 비율이 두 서원의 경우보다 높았다. 그리고 호계서원장을 역임한 후 병산서원장에 선임된 경우가 22인, 도산서원장에 선임된 경우가 19인 이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호계서원의 원장을 역임한 이들의 위상이 대단히 뛰어난 명망가였음을 증명해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계서원이 안동 나아가 경상도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16~18세기 안동지역 사족의 虎溪書院 운영

        김영나 조선시대사학회 2015 朝鮮時代史學報 Vol.73 No.-

        Hogye Seowon was established in Andong by Yi Hwang’s followers and the government office in 1575 where is his ancestor’s birthplace and he studied in his childhood. The principals of Hogye Seowon are a total of 78 including 14 between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64 between the second half of the 17th and the first half of the 18th. At first, Yi Hwang' followers' families took over the position of principal of Hogye Seowon in turn. However, the success of Chuhyang of Ru Sung-Ryung and Kim Sung-Il, and the failure of that of Nam Chi-Ri caused the initiative of Hogye Seowon to be transferred to the Seoae sect and the Hakbong sect, and Hakbong sect lot its power due to the containment of the Seoae sect and the Hakbong sect. The principals in the late of 17th century and the mid-18th century were mainly from Yi Hyeon-Il 's followers and related people to him, and the amnesty movement of Yi Hyeon-Il was progressed mostly by them. In spite of its failure, we can guess through it that Hogye Seowon was the center of the regional public opinion. In addition,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removal of Hakdong Seowon(鶴東書院) were the principals of Hogye Seowon or those who took over the principal position after the removal of Hakdong Seowon or those who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principals. Even the people, who took over the principals of Hogye Seowon, Dosan Seowon(陶山書院) and Byeongsan Seowon(屛山書院) in turn, were mostly Yi Hyeon-Il 's followers, and most of them became the principals of Dosan Seowon or Byeongsan Seowon after the principal of Hogye Seowon. Because it was profitable to Hogye Seowon, Dosan Seowon or Byeongsan Seowon when people, who were recognized by both regions or the center to some extent become principals were invited a lot regardless of sect. Moreover, considered that Yi Hyeon-Il 's followers become principals a lot, it is known that during this period, scholar-official families of Yeongnam province were combined focused on Yi Hyeon-Il 's followers. There might be more principals besides the 78 principals above-mentioned. Accordingly, when other collections of works or diaries are used, more principals can be supplements, and more details on what the principals of Hogye Seowon did, can be learned. It is required to additionally supplement the part. 이 논문은 안동 호계서원의 원장들이 어떠한 활동을 했는지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주요사료인 『虎溪任錄』 등을 통해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에는 14명, 17세기 후반~18세기 중반에는 64명, 총 78명의 원장을 찾을 수 있었다. 처음에는 이황의 문인 가문 중심으로 원장을 하였지만, 류성룡․김성일의 合享 성공과 南致利의 追享 실패로 호계서원의 주도권은 西厓系와 鶴峯系가 장악하게 되었다. 17세기 후반~18세기 중반의 원장들은 이현일의 문인이나 그와 관련된 사람이 많았고 이들은 이현일의 신원운동과 학동서원 훼철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를 통해 호계서원이 지역여론의 중심으로 활동하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호계서원과 도산서원, 병산서원 원장을 번갈아 한 사람들 또한 이현일의 문인들이 많았고 대체로 호계서원 원장을 거친 후 도산서원이나 병산서원 원장을 하였다. 세 서원의 원장 중 이현일의 문인이 많은 것을 보면, 이 시기는 이들이 영남의 대표적인 세력으로 활동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19세기 후반 국내외 정세변화와 호계서원의 대응

        김지은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Hogye Seowon, one of the Andong's representative Confucian academies, served as the center of the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s of the Yeongnam in response to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in the late 19th century. After Kim Seong-il(⾦誠一), the writers who inherited the academic line that led to Lee Sang-jeong(李象靖) and Ryu Chi-myeong(柳致明) established their identity based on the academic mission and superiority of continuing the Toegye academic line. They strengthened their solidarity by leading lectures centered on Hogye Seowon and expanded their personal network. Based on this, in the late 19th century, a campaign against Seowon demolition was launched to protect Neo-Confucianism in response to the domestic crisis of the Seowon demolition, the spread of Catholicism, and an armed conflict with foreign powers. Furthermore, it led an organized and united movement called Cheoksa(斥邪) Maninso(萬人疏) against the situation in which trade with Japan and the West became a reality and threatened Christianity. When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was issued in 1895, Confucian scholars of the Yeongnam organized and led the righteous army and expressed their theory of Cheoksa as an active resistance movement using force.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at the center of all these processes.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an academic pride to them and became a human and material basis. In the late 19th century,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could not resist the ordeal of demolition. However, the scholarship and spirit that continued through Hogye Seowon still had a great influence on Yeongnam Confucian scholars and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20th century.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 중 하나인 호계서원은 19세기 후반 국내외 정세변화에 대응한 영남유림의 활동에서 구심점으로 기능하였다. 김성일 이후 이상정-류치명으로 이어진 학맥을 계승한 문인들은 퇴계학맥의 적전을 잇는다는 학문적 사명감과 우월감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그들은 호계서원을 중심으로 한 강회를 주도하며 결속력을 다졌고, 인적 관계망을 확대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19세기 후반 서원훼철이라는 국내적 위기와 천주교 확산 및 외세와의 무력 충돌이라는 국외적 위기에 대응해 정학의 수호를 위한 서원훼철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나아가 일본 및 서양과의 통상이 현실이 되고, 기독교까지 위협해 오는 상황에 맞서 척사만인소라는 조직적이고 단합된 운동을 이끌어갔다. 1895년 단발령이 내려지자 영남유림은 의병을 조직하고 이끌어가며 그들의 척사론을 무력을 동원한 적극적인 저항운동으로 표출하였다. 이 모든 과정의 중심에는 호계서원이 있었다. 호계서원은 그들에게 학문적 자긍심이었으며, 인적・물적 기반이 되었다. 19세기 후반 호계서원은 훼철이라는 시련을 거스를 수 없었다. 그러나 호계서원을 통해 이어진 학문과 정신은 여전히 영남 유림에게 큰 영향을 끼쳤고, 20세기 독립운동으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었다.

      • KCI등재

        여강서원과 호계서원의 상량문

        심경호 ( Sim Kyung-ho ) 한국서원학회 2024 한국서원학보 Vol.19 No.-

        1574년 봄, 이황 문하의 산림처사 권호문(權好文)은 「여강서원 명륜당 상량문(廬江書院明倫堂上樑文)」을 지어, 장식(張栻)과 주희(朱熹)의 서원 이념과 이황의「이산서원기(伊山書院記)」 교훈에 따라 하학(下學)을 통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실현을 서원 교육의 목표로 제시했다. 1606년 여강서원 중건 때 안동부사 김륵(金玏)과 이황의 재전 제자 배용길(裵龍吉)이 각각 「존도사 이건 상량문(尊道祠移建上樑文)」을 지었다. 김륵은 관아의 후원을 더욱 천명했고, 배용길은 류성룡(柳成龍)과 권춘란(權春蘭)의 위상을 부각시켰다. 상량식에서는 김륵의 상량문을 채택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구봉령(具鳳齡)의 문인 정사신(鄭士信)은 「여강서원 양호루 중수 상량문(廬江書院養浩樓重修上梁文)」을 작성하여, 제생들이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길러서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실효를 이룰 것을 축원했다. 여강서원이 호계의 사액을 받은 이후 서원의 여러 건물이 개축, 중건되었을 듯하지만, 그와 관련한 상량문을 찾을 수가 없다. 병호시비(屛虎是非)의 와중에 건물의 개건(改建)이 없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2010년대에 호계서원은 한국국학진흥원 경내에 복원되고 이상정(李象靖)이 추가 배향되었다. 2018년 10월 안동인 김창회(金昌會)가 존도사 상량문을 작성하고 2020년 5월 전주인 류창해(柳昌海)가 양호루 상량문을 작성했다. 여강서원의 여러 상량문들과 호계서원 복원 후 상량문들은 퇴계 이황이 게시한 서원 교육 정신을 충실하게 재확인해 왔다. In the spring of 1574, a hermit scholar, Kwŏn Homun, a disciple of Yi Hwang, composed “Yŏgangsŏwŏn myŏngnyundang sangnyangmun [The Eulogy to the Raising Beam Ceremony of Myŏngnyundang Lecture Hall]” to present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Sŏwŏn [academy]. These goals were rooted in the idea of self-cultivation, based on the Zhang Shi and Zhu Xi’s idea for education system in academies, and teachings in Yi Hwang’s “Isansŏwŏn'gi [The Note on Isansŏwŏn].” When Yŏgangsŏwŏn was rebuilt in 1606, Andong Pusa [magistrate] Kim Rŭk and Yi Hwang’s disciple-to-disciple, Pae Yonggil, composed “Chondosa igŏn sangnyangmun [The Eulogy to the Moving Ceremony of Chondosa Shrine].” Kim Rŭk emphasized the sponsorship of the government office, while Pae Yonggil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Ryu Sŏngnyong and Kwŏn Ch'ullan. It is likely that Kim’s eulogy was selected for the actual ceremony. Additionally, Chŏng Sasin, a disciple of Ku Pongnyŏng, composed “Yŏgangsŏwŏn yanghoru chungsu sangnyangmun [The Eulogy to the Rebuilding Ceremony of Yanghoru Pavilion]”, expressing a wish that the students would cultivate the spirit of greatness to achieve sageliness within and kingliness without. It is assumed that several buildings were rebuilt after Yŏgangsŏwŏn was bestowed the signboard of “Hogye”, though no relevant eulogies have been found. It is possible that the rebuilding and ritual were not carried out normally during the pyŏnghosibi [The Dispute between Pyŏngsansŏwŏn and Hogyesŏwŏn]. In the 2010s, Hogyesŏwŏn was restored within the precincts of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and Yi Sangjŏng was additionally enshrined. In October 2018, Kim Ch'anghoe from Andong composed “Chondosa sangnyangmun”, and in May 2020, Ryu Changhae from Chŏnju composed “Yanghoru sangnyangmun.” The eulogies of Yŏgangsŏwŏn and those following the relocation of Hogyesŏwŏn have faithfully reconfirmed the educational ideology of the sŏwŏn, as presented by Yi Hwang.

      • KCI등재

        호계서원(虎溪書院)의 강학 활동과 학풍

        정재훈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5 No.-

        안동에서 최초로 세워진 호계서원은 이 지역의 대표적인 학자인 이황과 그의 제자인 류성룡, 김성일을 모신 사액서원으로서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이다. 호계서원의 경우 다른 서원과 비슷하게 16~17세기에는 개별적인 학습을 중시하고, 또 그에 대한 평가 위주로 강회가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강회를 운영하는 것에 관한 기록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18~19세기에는 대규모의 강회가 집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을 기록으로까지 남기는 경우가 생겼다. 이들 강회에서는 『대학』, 『중용』, 『근사록』, 『심경』, 『태극도설』, 『서명』 등 다양한 서적이 검토되었지만 특히 그 가운데서도 『심경』의 비중이 높았다. 이러한 경향성은 이미 이황의 단계에서부터 『심경』에 대한 주목이 높았던 사실과 연관된다. 호계서원에서 간행된 『송계원명이학통록』이나 강론된 『학부통변』 역시 이황이 당대 조선에서의 성리학의 이해와 실천 방향과 관련하여 고민하는 가운데 저술되거나 주목된 책으로서, 두 책 모두 실천적인 고민 아래에 주목된 것이 었다. 그런데 18~19세기에 호계서원에서 이루어진 『심경』에 대한 관심은 이황-김성일-이현일-이재-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풍의 계승을 확인하는 의미를 지녔 다. 이는 심학에 기반한 성리학의 학설을 고집하기는 힘든 당시의 현실 상황에서는 한계를 지닌 것이었다.

      • KCI등재

        18세기 정국 동향과 호계서원의 공론 주도 노력

        이욱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18세기 호계서원은 이현일 제자들이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그러나 이들이 안동의 공론을 장악하고 주도하기에는 정치적 여건이 좋지 않았다. 그들은 이현일이 명의죄인에서 신원되지 않은 점과 이현일 문인 중 일부가 무신란 동조자로 지목된 점 때문에 정치적 운신에 많은 제약을 받았다. 특히 영조는 이현일이 죄인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이 사실이 김성탁의 이현일 변무소를 계기로 분명해졌다. 이후 노론은 남인을 공격할 때 반드시 무신란에 동조하는 세력이라는 비난과 함께 명의죄인 이현일의 문인들이라는 점을 언급하였다. 게다가 남인에 적대적인 노론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그들은 안동지역의 노론과 합세하여 안동에 정치적 거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김상헌 서원 건립 시도가 그것이었다. 안동향교는 호계서원과 관련 깊은 사족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었고, 당연히 그 시도를 적극적으로 좌절시켰다. 노론은 거기에 멈추지 않고 호계서원 원장을 안동 부사가 맡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안동 지역 공론을 장악하고자 하였다. 호계서원이 중심이 된 안동의 사족들은 무신 여얼이라는 혐의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었다. 그렇지 않으면 이를 빌미로 명의죄인과 연결시키는 노론의 공격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었다. 호계서원 인사들은 그 해결책을 사도세자 신원에서 찾았다. 사도세자 죽음과 관련이 있는 노론 역시 역적의 혐의가 있다는 논리였다. 정조의 즉위로 이 작전은 주효하였다. 1776년 9월 정조는 소론이나 노론 모두 충신과 함께 역적도 포함되어 있음을 공식화하였다. 나아가 1782년에는 영남 남인과 무신란이 무관함을 공식적으로 천명하였다. 이를 통해 무신 여얼이라는 혐의로부터 자유로워졌다. 호계서원 인사들은 무신 여얼의 혐의를 벗게 되자 정치적 진출과 안동 지역 공론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임자만인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In the 18th century, Hogye Seowon was dominated by Lee Hyun-il's disciples. However, political conditions were not good for them to dominate and lead Andong's public opinion. They were heavily restricted in their political movements because of the fact that Lee Hyun-il was a criminal of ethics and that some of Lee Hyun-il's disciples were a sympathizer of the Musin-ran(1728’s rebellion). In particular, King Yeongjo was convinced that Lee Hyun-il was a criminal of ethics. This fact became clear that Kim Sung-tak's an exculpatory appeal for Lee Hyun-il was the trigger. Later, Noron criticized that Namin was a sympathizer of the Musin-ran(1728’s rebellion), and mentioned that they were disciples of Lee Hyun-il, a criminal of ethics. Furthermore, Noron, who was hostile to Namin, took control. They tried to establish a political base in Andong by joining Noron in the Andong area. It was an attempt to build Kim Sang-heon Seowon. Andong Hyanggyo, led by Hogye Seowon Sarim, actively frustrated it. Noron did not stop there, but tried to dominate the Andong area's public opinion in various ways, such as allowing the Andong president to take charge of Hogyeseowon.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escape the charge that Hogye seowon Sarim was a a sympathizer of the Musin-ran(1728’s rebellion). Otherwise, it would not be free from Noron's attack to connect with a criminal of ethics under the pretext of this. Hogye Seowon Sarim found the solution in the innocence of Crown Prince Sado. Noron, who was related to the death of Crown Prince Sado, was also suspected of being a traitor. With the accession of King Jeongjo, this operation was effective. In September 1776, King Jeongjo made it official that both Soron and Noron included both loyalists and adversaries. Furthermore, in 1782, it was officially declared that Yeongnam Namin was not involved in the Musinran. Through this, they were freed from the charge of being a sympathizer of the Musin-ran. When Hogyeseowon Sarim was cleared of the charges of a sympathizer of the Musin-ran,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mja Maninso to secure political advancement and the initiative in public opinion in Andong.

      • KCI등재

        호계서원과 경세-국가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정재훈 ( Jung Jaehoon ) 한국서원학회 2024 한국서원학보 Vol.19 No.-

        본 논문은 안동 지역에서 설립된 호계서원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서원이 가진 경세적 측면을 분석하였다. 서원은 본래 선현 봉사와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나, 국가와 지역사회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다양한 경세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호계서원은 이황, 류성룡, 김성일 등 당대 주요 학자들을 제향하며 안동 지역의 학문적 중심지로 기능했을 뿐 아니라, 향촌 사회와 국가 간의 공론 수합 및 학문 전파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호계서원의 설립과정, 관과의 관계, 교육활동, 공론 형성과 같은 다양한 방면에서 서원의 경세적 의미를 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서원이 단순히 학문과 교육의 장을 넘어 향촌사회의 공론장을 형성하고 국가 통치 체제와의 연계를 통해 경세적 기구로 자리 잡았음을 논의하였다. 호계서원의 사례는 조선시대 서원의 사회적 역할과 관과 민이 상호작용하는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roles (gyeongse, 經世) of Joseon Dynasty academies (seowon, 書院) with a focus on Hogye Seowon, established in the Andong region. Originally founded for the purposes of honoring Confucian sages and providing education, seowon assumed broader roles in governance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the state and local communities. Hogye Seowon, in particular, enshrined prominent scholars such as Yi Hwang, Ryu Seong-ryong, and Kim Seong-il, functioning as a central hub of scholarship in Andong. Furthermore, it contributed to the aggregation of public opinion in rural society and the dissemination of academic knowledge within the region. This study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Hogye Seowon, its relationship with government authorities, its educational activities, and its role in fostering public discourse. The findings highlight that seowon were not merely academic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also played an active role as public forums and intermediaries between rural communities and the central governance system. The case of Hogye Seowon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social roles of seow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interactive dynamics between the state and the people.

      • KCI등재

        안동유림의 항일투쟁과 호계서원

        강윤정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안동유림들은 의병항쟁기 호계서원을 중심으로 의병의 당위성을 공론화하고, 호계서원에 본부를 두고 무력으로 항쟁하였다. 이 시기 호계서원은 공고한 집결의 장이었다. 그러나 협동학교 설립을 계기로 그 공론화의 장에는 균열이 발생하였다. 호계서원을 유지하려는 쪽과 새로운 학교를 세우려는 쪽으로 나뉘어 신구 유림은 대립하였다. 그러나 호계서원의 재원이 협동학교로 흡수되면서 적지 않은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는 호계서원이 지니고 있었던 영향력의 상실이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에서 이러한 흐름은 항일투쟁의 새로운 동력으로 작동하였다. 이후만주망명을 선택한 대다수의 유림들은 협동학교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거나, 영향을 받은 인물이다. 안동유림의 만주지역에서의 활약은 독특한 성격을 보인다. 첫째, 이들의 노선은 방략적 측면에서 독립전쟁론이, 이념적 측면에서 공화주의가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의병의 무장항일투쟁과 애국계몽운동의 경험을 아울러 낸 것이다. 둘째, 가족공동체의 역할이 독립운동기지 건설과 이후 지속적 활동에 중요한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경계가 없었던 만주에서 이들 가족 구성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호계서원-협동학교-만주신흥 무관학교를 중심 축으로 전개되는 안동유림의 항일투쟁사에서 호계서원은 그 출발로서 사회적・물리적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Andong Yurims publicized the legitimacy of righteous army around Hogye Seowon during the righteous army resistance period, and fought by force at Hogye Seowon. During this period, Hogyeseowon Confucian Academy was a place for solid gathering. However, with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chool, a crack occurred in the field of public debate. The old Yurim was divided into two sides: maintaining Hogye Seowon and establishing a new school. However, as the financial resources of Hogye Seowon Confucian Academy were absorbed into the cooperative school, considerable changes were encountered. This was also the loss of influence that Hogye Seowon had. However, on the other hand, this trend served as a new driving force for the anti-Japanese struggle. Since then, most of the Confucian scholars who chose to defect to Manchuria have been directly related to or influenced by cooperative schools. Andong Yurim's activities in Manchuria show a unique character. First, their line was mainly based on the theory of independence war in terms of strategy and republicanism in terms of ideology. Second, the role of the family commun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ase and subsequent continuous activities. In Manchuria, where there was no boundary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these family members played roles in their respective spheres. In Andong Yurim's anti-Japanese struggle history, which is centered on Hogyeowon Confucian Academy, Cooperative School, and Manju Shinheung Military School, Hogye Seongwon served as a social and physical space as its start.

      • KCI등재

        호계서원 제향 인물의 문학관과 공간 감성

        정우락 ( Jeong Woo-lak ) 한국서원학회 2024 한국서원학보 Vol.19 No.-

        본 논의는 호계서원을 하나의 창작 공간으로 보고, 여기에 출입한 선비 작가들이 이 공간에서 어떤 감성을 지니고 작품을 창작하였던가 하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간 감성 이론’을 활용하였다. 서정적 자아가 외부 사물과 접촉하면서 일어나는 일련의 정서를 감성이라 한다면, 이 감성은 작가의 지적·정서적 상황이 사물이 지닌 현실적 상황과 맞물려 교호 작용을 하면서 형성된다. 공간 감성은 도학·낭만·생활·사회 감성으로 대별된다. 본고는 이것이 호계서원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문학적으로 어떻게 형상화하는 지를 살핀 것이다. 우선 호계서원 尊道祠에 제향된 이황, 류성룡, 김성일, 이상정의 문학관을 살필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이황 및 류성룡이 강조한 溫柔敦厚의 시정신을 기반으로, 沖澹理到(김성일)와 平鋪洪暢(김성일)·冲澹閒遠(이상정) 등의 문학세계를 열고자 하거나 그렇게 평가받았다. 이 같은 미의식을 지니면서도 문이재도론에 바탕하여 末技인 문학의 기능을 적극 인정한 것에서 출발하여 후대로 갈수록 도학이 더욱 강조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도학적 경화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호계서원에서 시종 강조되었던 것이 요순 이래의 도통이다. 호계서원의 선비들은 이러한 도맥이 이황을 통해 류성룡과 김성일을 거쳐 이상 정으로 이어진다는 생각을 가졌다. 문학 작품에 도학 감성이 주로 작동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한편 이것이 主理論과 闢異端 사상과 결부되면서 도학 근본주의를 형성하고, 척사운동과 항일투쟁이라는 강력한 행동주의로 나타나기도 했다. 즉 도학 감성이 강조될수록 사회 감성이 실천 역량으로 발휘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discussion considers Hogye Seowon as a creative space and examines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sensibility the artists who entered and worked in this space had. To do so, I utilized the theory of spatial sensibility. If emotion is a series of emotions that occur when the lyrical self comes into contact with external objects, this emotion is formed by the interaction of the artist's intellectual and emotional situation with the realistic situation of objects. The spatial sensibility i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sensibilities: Dohak(道學), romantic, life, and social. This paper examines how it operates in the Hogye Seowon and how it is literaryize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literary views of Yi Huang, Ryu Sung-ryong, Kim Sung-il, and Lee Sang-jeong, who were enshrined in the Jondosa(尊道祠) of Hogye Seowon. As a result, based on the poetical spirit of On You Don-hu(溫柔敦厚) by Yi Huang and Ryu Sung-ryong, the literary world of Chungdam Yido(沖澹理到, Kim Sung-il), Pyeongpo Hongchang(平鋪洪暢, Kim Sung-il), and Chungdam Hanwon(冲澹閒遠, Lee Sang-jeong)was opened or evaluated as such. Although they had this aesthetic, they actively acknowledged the function of literature as a terminal art based on the theory of munyi jadodo, and it seems that the later generations emphasized taoism more and more. This also implies a hardening of the discipline. The Dotong(道統) lineage since Yosun was emphasized in Hogye Seowon. The masters of Hogye Seowon had the idea that this lineage led from Yi Huang through Ryu Sung-ryong and Kim Sung-il to Lee Sang-jeong. This is also the reason why literary works were mainly characterized by Dohak sensibilities. On the other hand, this, coupled with the ideas of Juri theory[主 理論] and Ideas that defeat heresy, formed the fundamentalism of Dohak and manifested itself in the powerful activism of the Chucksa Mmovement[斥邪運動] and the anti-Japanese struggle. In other words, the more Dohak sensibilities were emphasized, the more social sensibilities could be put into practice.

      • KCI등재

        1765년 虎溪書院 『大學』 강회 연구(1)

        김자운,이우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호계서원은 안동 지역 최초의 서원으로 1575년 ‘廬江書院’이라는 이름으로 건립, 1676년 ‘虎溪書院’으로 사액된 이래, 퇴계 문인들이 건립과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조선후기까지 안동의 首院이자 도산, 옥산서원과 함께 영남지역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성장하였다. 그 위상에 걸맞게 조선후기까지 호계서원에서는 강학활동 역시 매우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에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소개한 호계서원 강학 자료 중 1765년에 시행된 대학, 심경 강회 기록인 「廬江記聞錄」 및 관련 문집 기록을 대상으로 대학 강회의 형식과 절차, 참여 인물 및 문답의 형식과 특징 등을 본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이 제공하는 필사본 「廬江記聞錄」은 전체가 아닌 일부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2월 10일부터 17일까지 시행된 강회 중 2월 14일의 기록에서 내용이 끊겨 이후 3일간 시행된 심경 강회의 내용은 확인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연구 주제를 불가피하게 1765년 대학과 심경 강회 중 <대학 강회 연구>로 한정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1765년 대학, 심경 강회의 전말을 개괄적으로 검토한 뒤, 기존 한국국학진흥원 해제에서 범한 몇 가지 오류를 바로 잡고 「廬江 記聞錄」의 작성자 및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Ⅲ장에서는 강론에 앞서 시행된 강학 의례부터 강독과 문답에 이르기까지 「廬江記聞錄」에 기록된 대학 강회의 절차와 소임을 먼저 검토하고, 강회에 스승으로 초빙된 李象靖과 金樂行, 그리고 강회 참여자들의 사승관계와 교유 관계, 학맥 상의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대학 강회에서 사용된 텍스트, 강회의 형식과 방법 및 문답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강회에서 문답은 아무렇게나 진행된 것이 아니라 일정 한 형식과 틀에 따라 이루어졌다. 문답 참여방식에 있어서도 스승 대산은 참여자들의 연령과 학문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형식의 문답을 요구하였다. 이와 같이 연령과 학문 수준에 따라 다양한 층차와 내용으로 이루어진 문답의 유형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문답의 특징은 대산의 독자적인 대학 해석이 드러난 곳이자 가장 치열한 논변이 이루어진 經 1장 및 傳 6장과 10장의 논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廬江記聞錄」에 기록된 문답을 대학의 각 장절별, 주제별로 분류하면 총 42개 항목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지면상의 한계로 문답 전체를 다루지 못하고 經 1장 및 傳 6장과 10장의 특징만 분석하였다. 이 강회의 사상사적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강회에서 제기된 총 42개 항목의 문답에 대한 종합적, 심층적인 분석이 요청된다. 이는 많은 지면과 시간을 요구하는 일이므로 후속 연구에서 이어가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