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 이황의 『계몽전의(啓蒙傳疑)』에서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의 의미 연구

        서근식 ( Seo Geun-sik ) 동양철학연구회 2021 東洋哲學硏究 Vol.105 No.-

        이 논문은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과 『주역참동계고이(周易參同契考異)』의 관련성과 이황(李滉)의 『계몽전의(啓蒙傳疑)』에 보이는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의 납갑법(納甲法)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주희의 『역학계몽』과 『주역참동계고이』는 모두 채원정(蔡元定)과 함께 연구하여 완성된 저술이다. 주희는 『역학계몽』에서 채원정이 말한 ‘천지의 이치[理]는 하나이다.’라는 논리로 『주역참동계』를 주석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렇지만 이황은 사화기(士禍期)라는 여건상 『주역참동계』를 주석할 수 없었으므로 이를 『계몽전의』 속에 담아내고 있다. 이황은 『계몽전의』에서 납갑법을 곳곳에서 설명하고 있다. 내용을 보면 『주역참동계』의 월체납갑법(月體納甲法)을 소개 하고 사람들이 잘 모르는 내용까지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그림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이황의 『계몽전의』는 『주역참동계』가 본래 연단서(鍊丹書)임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주희가 『주역참동계고이』에서 내단(內丹)을 긍정하고 외단(外丹)을 비판했던 것을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다. 또한 『계몽전의』에서는 주희의 제자들이 주석한 내용이라도 주희와 다른 견해면 잘잘못을 논하고 있으며, 납갑설은 주희가 주석했던 『주역참동계고이』의 견해를 그대로 따르고 있으므로 잘잘못을 논할 필요가 없었다. 이황이 이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주희와 같이 ‘천지의 이치[理]는 하나이다.’라는 사실을 믿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Zhu Xi(朱熹)’s Yixueqimeng (『易學啓蒙』) and Zhouyicantonggikaoyi(『周易參同契考異』), and Najiafa(納甲法) of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 shown in Qimengchuanyi(『啓蒙傳疑』). Both of Zhu Xi(朱熹)’s Yixueqimeng(『易學啓蒙』) and Zhouyicantonggikaoyi(『周易參同契考異』) were completed when he was studying with Cai Yuan-Ding(蔡元定). In Yixueqimeng(『易學啓蒙』), Zhu Xi(朱熹) prepared the ground on which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could be annotated with the logic that ‘the Reason[理] of all of the world is one[天地의 理는 하나]’ argued by Cai Yuan-Ding(蔡元定). Yet, because Yi Huang(李滉) couldn’t annotate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 in the given situation of Shihuoqi (士禍期), he put it in Qimengchuanyi(『啓蒙傳疑』). In Qimengchuanyi(『啓蒙傳疑』), Yi Huang(李滉) explained the Najiafa(納甲法) in many parts. He introduced Yuetinajiafa(月體納甲法) of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 gave a detailed account of what people didn’t know well, and used pictures, too. Yi Huang(李滉)’s Qimengchuanyi(『啓蒙傳疑』) didn’t take it consideration that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 had been Liandanshu(鍊丹書), which showed that Yi Huang(李滉) accepted it as it was that Zhu Xi(朱熹) had affirmed Neidan(內丹) and criticized Waidan(外丹) in Zhouyicantonggikaoyi(『周易參同契考異』). In addition, in Qimengchuanyi(『啓蒙傳疑』), even the right and wrong of the annotations of Zhu Xi(朱熹)’s disciples were discussed if they had had different opinions from those of Zhu Xi(朱熹). Regarding the Najiafa(納甲法), Yi Huang(李滉) accepted the opinion of Zhouyicantonggi(『周易參同契』) that Zhu Xi(朱熹) had annotated as it was, so there was no use to discuss its right and wrong. Yi Huang(李滉) could do this because he believed that ‘the reason[理] of all of the world is one[天地의 理는 하나]’ as Zhu Xi(朱熹) had done.

      • KCI등재

        退溪 李滉의 理自到說에 대한 연구 - 인식 과정에서 마음의 역할을 중심으로 -

        김형찬 퇴계학연구원 2022 退溪學報 Vol.152 No.-

        Yi Hwang (李滉, pen name Toegye 退溪, 1501-1570), who paid his attention to the role of li - the principle, in the theory of ligi and the heart-mind and the human nature, proposed the theory of li arriving of its own accord. The theory he presented in his later years is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mulgyeok 物格" in The Great Learning 大學 which means literally "(li of) things are investigated". At first, Hwang was reluctant to embrace Ki Daeseung's (奇大升, pen name Kobong 高峯, 1527-1572) interpretation of mulgyeok that "li (of things) arrives." However, he later presented the theory that further develops the interpretation of li beyond that of Kobong's interpretation, "li arrives of its own accord." The turning point for Toegye was the change of his view on the role of heart-mind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li. In the understanding of mulgyeok, Zhu Xi (朱熹, 1130-1200) divided the heart-mind and li of things as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recognition, respectively. Toegye also thought that the heart-mind, the subject, recognizes li of things. Meanwhile, Wang Shouren (王守仁, 1472-1528) who criticized Zhu Xi's view as a dichotomy of mind-heart and li stipulated that things are where the intentions are directed. He also identified gyeongmul 格物,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s rectifying things of the heart-mind by li, and proposed the idea of unifying the heart-mind and li. However, anything where the heart-mind aims becomes the object in this case, and peril of distortion lies in this recognition process of things from subjectivity or self-righteousness of the heart-mind. After a long reflection, Toegye presented the theory of li arriving of its own accord, meaning when I (heart-mind) strive to comprehend li, li arrives its own accord. It means that when the heart-mind faces things and eliminates selfishness and subjectivity by reverent mindfulness [kyong 敬], li as the universal truth 'arrives of its own accord' in the heart-mind, and the pure heart-mind faces li of the things without any hindrance of matter-energy [ki]. Mulgyeok that Toegye described as 'li arriving of its own accord' is the moment when different principles that are diversely focused on within and outside of the mind-heart are understood as single li. In this light, Toegye's theory of li arriving of its own accord is a stellar accomplishment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overcoming Wang Shouren's criticism of Zhu Xi for separating heart-mind and li and surpassing the subjective tendency of mind-heart in Wang Shouren's theory. 退溪 李滉(1501~1570)의 理自到說은 理氣心性論에서 理의 역할에 주목했던 그가 말년에 『大學』의 “物格”에 대한 해석과 관련하여 제기한 설이다. 그는 物格을 “사물의 理가 이르다[理到]” 라고 해석해야 한다는 高峯 奇大升(1527~1572)의 제안을 선뜻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나중에는 오히려 ‘理到’보다 더 理의 역할을 강조하는 명제인 “理自到[理가 스스로(저절로) 이르다]”를 제시하였다. 퇴계의 입장 변화에는 格物/物格이라는 物理 인식 과정에서 마음의 역할에 대한 생각의 변화가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格物/物格의 해석에서 朱熹(1130~1200)는 마음과 物理를 인식의 주체와 대상으로 구분하였고, 퇴계도 본래는 마음이 인식 주체로서 대상인 物理를 인식하는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주희에 대해 마음과 理를 둘로 나눈다고 비판했던 王守仁(1472~1528)은 사물을 意之所在라고 규정함으로써 사물을 마음이 지향하는 대상으로 한정하고, 格物을 마음의 理로써 사물을 바로잡는 것이라고 규정함으로써 마음과 理를 하나로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그럴 경우에 마음의 지향이 주어지는 모든 것들이 대상으로서의 사물이 되고, 그러한 사물에 대한 인식과 행위 과정은 마음의 주관성 혹은 독선에 의해 왜곡될 가능성에 쉽게 노출된다. 퇴계는 오랜 고심 끝에 理自到說, 즉 내(마음)가 전심전력으로 理를 인식하려고 노력할 때 理가 스스로 마음에 이른다는 설을 제시하게 된다. 마음이 사물과 마주하여 경건한 집중[敬]을 통해 사욕과 주관성 등을 완전히 배제해 내는 순간, 사물의 理가 인식 주체인 마음에 스스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며, 이 때 그 순수한 마음은 질료[氣]의 장애 없이 사물의 理와 직접 대면하게 된다는 것이다. 퇴계가 ‘理自到’ 라고 설명한 그 物格의 순간은 사물 안에 있는 사물의 理가 경건하게 집중된 마음이라는 계기를 통해 그 본질을 드러내는 것이고, 나아가 이는 마음의 안과 밖에 分殊되어 있다고 여겨지던 각각의 理들이 본래 하나의 리[理一]로서 인식되는 순간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퇴계의 理自到說은 마음과 理를 분리한다는, 주희에 대한 왕수인의 비판을 극복하고, 나아가 왕수인의 주관화 경향성을 넘어선 이론으로서, 유학사의 중요한 성취라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重軒 黃澈源의 蘆沙學 繼承에 의한 心性論 一攷 -明德과 人心道心說을 中心으로-

        이형성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2 No.-

        Neo-Confucianism in Joseon period intensely discussed human nature rather than the formation of the universe. This philosophical discussion may be attributed to difference between thinking structure unfolded with Li(理) and Qi(氣). Jungheon Hwang Cheol-won(重軒 黃澈源) is a secondary disciple who inherited learning of Nosa Gi Jeong-jin(蘆沙 奇正鎭). Gi Jeong-jin inherited neo-Confucianism of Yulgok Yi Yi(李珥) but Hwang Cheol-won focused more on ‘Li(理)’ which serves as ultimate grounds for phenomenon while Yi Yi’s theory put more stress on Qi(氣), developing into theory of Li Qi and philosophy of mind. Studying under Jeong Eui-rim(鄭義林) and Jeong Jae-gyu(鄭載圭) who were called the tertiary disciples of Nosa school(蘆沙學派), Hwang Cheol-won established his own neo-Confucian theory. Particularly when Nosa study was criticized by other schools, Hwang Cheol-won firmly insisted the reasoning system focusing on ‘Li’, advocating Nosa study. This paper is to develop Hwang Cheol-won’s theory of mind, mainly focusing on illustrious virtue(明德) and the theory of moral mind and human mind(人心道心說). Prior to that discussion, this paper examines succession of Gi Jeong-jin’s studies; deals with aspects that illustrious virtue which serves as numinous natures in the theory of mind is united with Taegeuk (太極) and; unfolds the theory of moral mind and human mind based on one’s perception with numinous emptiness in mind. Based on Hwang Cheol-won’s reasoning with more focus on ‘Li’, what he generally points out is representation of Li which directs the perception with numinous emptiness in mind in the phenomenal world towards the moral mind(道心), rooted from ‘rightness of life obligation.’ His way of thinking suggests the spirit of Protect the Orthodox, Repel the Heterodox(衛正斥邪) that tried to guard traditional values and to block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midst of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조선은 19세기에 이르러 국내외적으로 혼란하여 전통적 가치 체계가 크게 흔들렸다. 당시 유학자들은 위기의식을 느끼며 전통 사상과 문화 수호에 전념하였다. 특히 그들의 성리학 이론은 氣보다 주로 理를 중시하는 理氣心性論을 전개하였다. 重軒 黃澈源은 화순출신으로 蘆沙 奇正鎭의 학문을 계승한 재전제자이다. 기정진은 李珥의 성리학을 계승하지만, 이이의 ‘기’ 중시적 경향을 벗어나 현상의 궁극적 근거가 되는 ‘리’를 더 중시하는 리기심성론을 전개하였다. 황철원은 노사학파의 3대로 제자로 불린 鄭義林과 鄭載圭에게 수학하며 성리설을 구축하였다. 특히 그는 당시 타학파로부터 노사학이 비판받자 ‘리’ 중시적 사유체계를 통해 노사학을 옹호하였다. 본 논문은 황철원이 전개한 리기심성론 가운데 明德과 人心道心說을 위주로 고찰한 것이다. 내용은 먼저 노사학 계승성에 의한 리 중시적 理發說을 살펴보고, 그 다음 심성론 가운데 虛靈本體로서의 明德太極說의 일면을 다루었으며, 끝으로 마음의 속성인 虛靈神明과 虛靈知覺의 體用과 人心道心論 등을 기술하였다. 그의 논지는 ‘리’ 중시적 사유체계를 토대로 마음의 허령지각이 ‘성명의 올바름에서 근원하여’ 도심으로 향하도록 하는 리의 발현을 강조하였다. 다시 말하면 마음의 의식적 작용의 주체를 본체의 리로 그가 간주한 것은 도심에 의한 마음의 주재성이 현실세계에서 올바르게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다. 그의 이러한 사유양상에는 당시 서세동점의 물결에 전통적 가치를 수호하면서 일제의 침략성을 저지하려는 위정척사의 정신도 깃들어 있었음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헌(重軒) 황철원(黃澈源)의 노사학(蘆沙學) 계승양상 일고 - 「태극도(太極圖)」 이해를 통한 리발론(理發論)을 중심으로 -

        이형성 ( Lee Hyung-s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2 No.-

        성리학을 수용한 조선의 학계는 우주의 생성보다는 인간의 심성을 치밀하게 논변하였다. 16세기 감정을 다룬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18세기 본성을 탐구한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19세기 마음을 고찰한 심설논쟁(心說論爭)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학리적 논변은 리(理)와 기(氣)로 전개되는 서로 다른 사유체계가 자리 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19세기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은 율곡학을 계승하지만, 그 율곡학의 ‘기’ 중시적 리기론을 벗어나 현상의 궁극적 근거가 되는 ‘리’에 치중하는 리기론으로 전개하였다. 때문에 율곡학을 계승한 같은 기호학파 계열로부터 적지 않은 비판을 받았다. 기정진을 따르는 직전문인이나 재전문인들은 스승의 학설을 굳건히 지키며 재반론을 가하였다. 본 논문은 화순출신으로 노사학을 계승한 재전문인 중헌(重軒) 황철원(黃澈源)의 성리사상을 살펴본 것이다. 황철원은 같은 향리 출신 정의림(鄭義林)에게 먼저 노사학을 접하고 뒤에 경상도 합천 출신 정재규(鄭載圭)에게도 수학하며 성리설을 구축하였다. 이에 논문 전개는 먼저 그의 생애와 양사종유(兩師從遊)를 간략히 살펴보고, 성리학 체계에 있어서는 『시경』에서 언급한 유물유칙(有物有則), 『주역』에서 언급한 음양(陰陽)과 도(道)의 관계, 그리고 태극도(太極圖) 이해를 통한 리발일도설(理發一途說)의 경향을 고찰하였다. 황철원에 대한 이러한 고찰은 당시 타학파로부터 비판받던 노사학 옹호와 리에 치중하는 사유체계를 이해하고 아울러 화순지역의 노사학파 계승 양상을 살펴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intensely discussed human nature rather than the formation of the universe. This philosophical discussion may be attributed to different thinking structures unfolded with Li (理) and Qi (氣). A 19th-century scholar, Nosa Gi Jeong-jin (蘆沙 奇正鎭) succeeded the Yulgok school but he developed the existing Yulgok School’s theory of Li and Qi that stressed ‘Qi’ into that which stressed ‘Li’ which served as ultimate grounds of phenomena. Thus, he was harshly criticized by the Kiho school that also succeeded the Yulgok school. The scholars who directly or secondarily learned from and followed Gi Jeong-jin criticized the Kiho school again, firmly supporting their master’s theory.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o-Confucian ideas of Hwang Cheol-won (黃澈源), a secondary disciple from Hwasun who succeeded the Nosa school. Jeong Euirim who was from the same hometown as Hwang Cheolwon's first introduced the Nosa school to him and then he learned from Jeong Jae-gyu (鄭載圭) who was from Hapcheon, Gyeongsang-do Province, establishing Neo-Confucian ideas on his own. Thus, this paper briefly investigates his life and learning from the two masters and for Neo-Confucian system, examines his scholarly aspects developed toward the relation between Yin-Yang (陰陽) and Tao(道) mentioned on I-Ching and the theory of Lifayitu (理發一途說: one route where Li is arous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aegeukdo(太極圖). This investigation will help to understand the advocacy of the Nosa school and the Li-stressed thinking structure which were criticized by other schools and serve as an opportunity to inspect how the Nosa school was succeeded in the area of Hwasun as well.

      • KCI등재

        An Analysis on Chinese Imitation of Aesop`s Fables - WuGan by Li Shi Xiong in the end of Ming dynasty

        오순방 ( Oh Soon-bang ),고비 ( Go Bee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2 No.-

        천주교 예수회신부 니콜라스 트리고(Nicolas Trigault, 金尼?, 1577-1629)가 口述하고 중국인 신자 張?이 筆錄하여 1625年에 출간된 《況義》는 중국에서 첫 번째로 中譯된 이솝우화집이다. 《況義》의 飜譯은 이솝우화를 證道故事(선교용 이야기)로 천주교 선교저작 중에 삽입하여 서술했던 《畸人十篇》과 《七克》등의 서술방식에서 벗어나 이솝우화를 비교적 원전에 가까운 형태로 중국인에게 소개해 주었는데, 중국의 전통우언과는 다른 새로운 寓言樣式을 구현해 내었다. 당시의 우언문학은 수용과 모방을 통하여 이런 새로운 樣式을 창작해 내었는데, 明末文人 李世熊의 《物感》은 이런 문학환경에서 탄생되었다. 《物感》은 서술방식과 등장인물, 故事의 구조적 측면에서는 《況義》의 특징을 수용하였지만 證道故事의 特徵을 갖춘 서술형식과 寓意의 전달방식은 李世熊이 모두 배제시켜 버렸다. 李世熊은 창작과정 중에서 중국 傳統諷刺寓言의 특성을 수용하였지만 중국의 전통우언과는 다른 새로운 우언작품을 기술해 냄으로써 中西의 문학양식이 융합된 李世熊만의 독특한 寓言風格을 구축해 내었다. 《況義》는 출간된 뒤 작품이 널리 전파되지 않았고 영향력도 별로 대단치가 않았다. 하지만 서방의 고전문학이 종교의 지지를 받아 중국에 진입한 일종의 시범적인 케이스였는데, 李世熊은 文學家 특유의 예리한 필치로 《況義》의 이러한 특성을 흡수하고 《況義》에 나타난 종교적 證道故事의 경직된 방식을 배제시킨 뒤, 중국본토의 寓言風格을 융합시켜 《物感》이란 작품을 완성하였다. 《物感》은 中西文學의 文化交流에 있어 첫 번째로 성공한 시범작이라 할 수 있으며 中西寓言이 상호 교류한 뒤 태어난 최초의 걸작이기도 하다. 《物感》은 寓言史에 있어 중요한 지위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東西比較文學의 연구측면에서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초기의 經典이라 하겠다. In 1625 KuangYi as the first chinese translation of Aesop`s Fables was published in China, which was dictated by Nicolas Trigault(金尼?, 1577-1629), also recorded by ZhangGeng. KuangYi as the first chinese collection of Aesop`s Fables shew the general outlook of western fables to Chinese readers. KuangYi has held an unshakeable place in the history of Chinese translation literature. Unique heterogeneous culture (literary, religious) factors enrich the Chinese fable and directly contribute to the birth of WuGan, an imitation works with the combination of Chinese and Western. During the process of imitating KuangYi, Lishixiong(李世熊, 1602-1686) got rid of religious factors and combined the western literary factors with satire of chinese traditional fables to form his own style of writing fables. Nowadays, we take WuGan by LiShiXiong as the early model for the integration of Chinese and Western literature.

      • KCI등재

        〈강세황 71세 초상〉: 강세황(姜世晃), 이명기(李命基), 정조(正祖)가 합작한 초상

        최석원 ( Seokwon Choi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7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0 No.-

        강세황(1713-1791)은 <70세 자화상>에서 관모와 야복을 병치한 유례없는 도상(圖像)으로 오랜 야인(野人) 생활과 만년의 출사(出仕)로 집약되는 자신의 삶을 표현하였다. 그런데 정작 강세황은 <70세 자화상>에 만족하지 못했다. 이듬해인 1783년 정조(正祖, 재위 1776-1800)는 화원(畵員)인 이명기(李命基, 1756-1802이후)로 하여금 강세황에게 <71세 초상>을 그려주도록 명하였다. 세상이 알아주지 않는 야인의 자존(自尊)을 수차례의 자화상 제작으로 승화시킨 바 있는 강세황은 전통적인 ‘관복본’ 초상의 형식을 따른 <71세 초상>을 받고 나서야 자신의 초상이 완성되었다고 여겼다. 관료로서의 공적(公的) 이미지가 투영된 <71세 초상>은 강세황뿐만 아니라 진주(晉州) 강씨(姜氏) 가문의 정치적 복권을 상징하는 기념물로서 후대에 전해지게 되었다. <71세 초상>에서 강세황은 오른손을 옷 밖으로 내밀고 있는데, 유독 이명기가 그린 초상화 중에는 당시로서는 예외적인 도상이었던 ‘손’을 그린 것이 많아 주목된다. 이명기는 초상화별로 다양한 손동작을 그렸으며 모두 명암법을 사용해 세밀하게 묘사했다. 특히 이명기가 ‘구법(舊法)’과 ‘신법(新法)’에 따라 두 본으로 모사한 <윤증(尹拯) 초상>을 보면 그가 손을 새로운 회화 기법을 적용하는 데 관건이 되는 대상으로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이명기가 손을 통해 보여 준 조형적, 기법적 시도는 초상화가로서의 작가적 의식 증대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국수(國手)’로 불린 이명기의 초상화가로서의 독보적 위상과 강한 자의식을 반영하듯 그의 이름이 적혀 있는 초상화가 여러 점이 전한다. 18세기에 이르러 작가가 명시된 초상화가 늘어나고 아울러 그중에 비관습적 조형성을 띤 작품이 많은 것을 고려해 보아도 손 노출 도상은 이명기의 작가적 시도였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71세 초상> 위에는 정조가 강세황 사후에 내려 준 제문(祭文)이 적혀 있다. 이처럼 정조는 이명기에게 당대 관료의 초상화 제작을 맡기고 자신은 대상 인물과 관련된 글을 지어 주는 방식으로 초상화 주인공과의 군신 관계를 확인, 공표하였다. 정조는 역사 속 사대부의 초상화를 모사하고 감상하는 데에도 직접 관여했다. 정조가 이명기에게 허목(許穆, 1595-1682)의 초상화를 모사하여 진상하도록 한 것은 남인(南人)을 배려하여 정국을 안정시키려는 의도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조는 허목의 정적(政敵)이었던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초상화 위에도 찬문을 남겼다. 송시열은 주희(朱熹, 1130-1200)에 대한 숭상의 뜻으로 심의(深衣)를 입은 모습으로 초상화에 그려졌다. 송시열을 따랐던 정조대의 노론(老論)계 인사들 사이에서는 심의본 초상이 유행하였다. 정조가 초상화를 이용하여 송시열에 대한 존숭을 표시한 것은 노론계의 성리학적 도통(道統)을 인정하고 나아가 자신을 유교 군주로서 이상화하기 위함이었다. 요컨대 정조대에 관복본과 심의본이 사대부 초상화의 양대 축을 이룬 것은 소론(少論) 및 남인 등에게는 정치권력을, 노론에게는 주자 성리학의 정통성을 부여하고자 했던 정조의 탕평책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self-portrait of 1782 depicts Kang Sehwang (1713-1790) at the age of 70, dressed in an official black hat and a plain robe, a rather unconventional clothing combination, signifying both Kang’s entrance into government office late in life and the long years he passed in reclusion. When Kang joined the giroso (Office of the Elders) in 1783, King Jeongjo (r. 1776-1800) ordered the leading portraitist of the period Yi Myeonggi (1756-after 1802) to paint Kang’s formal portrait in full official attire. Kang considered this portrait to be the ultimate expression of his painted likeness; here, his lifelong aspiration to have a proper self-image was fulfilled. This portrait came to be regarded as a symbol of the political reinstatement of Kang and his family and was handed down to posterity as such. The most intriguing feature in Portrait of Kang Sehwang at Age 71 is the right hand that Kang leaves exposed. With little exception, in literati portraiture, hands were hidden from view. Yi Myeonggi, however, painted several portraits of literati in which sitters expose their hands and paid special attention to naturalistic depictions of various hand gestures, using new techniques of shading. It seems that Yi recognized the accurate depiction of hands as a defining feature of the new technique of portrait painting. Yi’s stylistic and technical experiments reflect his preeminent status and confident command as a portraitist. In several cases, Yi even signed the portraits he painted, which was very rare for a court portraitist. The number of portraits that were signed by their maker increased over the eighteenth century. Many of these signed works exhibit unconventional stylistic traits. The trend toward individuality and experimentation which Yi Myeonggi exemplifies is an important development in eighteenth-century portraiture. Another important feature of Portrait of Kang Sehwang at Age 71 is the eulogistic inscription in the upper right by King Jeongjo. King Jeongjo often commissioned portraits of his high officials from Yi Myeonggi and composed eulogies for the sitters. Many portraits of literati of the time were closely related to King Jeongjo’s tangpyeong policy (policy of impartiality) which was intended to ensure that the appointment of officials was not influenced by factional affiliations. The king equally supported the leading Noron (Old Doctrine) faction, consisting of orthodox followers of Zhu Xi (1130-1200), and the politically marginalized Soron (Young Doctrine) and Namin (Southerners) factions. To further the aims of this policy, King Jeongjo also actively engaged in the reproduction and appreciation of the likenesses of historical literati. When King Jeongjo ordered Yi Myeonggi to copy a portrait of Heo Mok (1595-1682), it was to appease the Namin faction and thereby served to stabilize the political situation. In turn, King Jeongjo composed a respectful eulogy for a portrait of Heo’s political enemy, Song Siyeol (1607-1689), a paramount leader of the Noron faction. The fact that members of the Noron and followers of Song mostly wore Zhu Xi’s deep robe (simui) in their portraits―in contrast to the court officials who were portrayed in their official attire shows symbolically the political checks and balances that the king sought to preserve. In the same vein, Portrait of Kang Sehwang at Age 71 was at the heart of King Jeongjo’s tangpyeong policy.

      • KCI등재

        海石 李相勉의 海石詩稿와 梅泉 黃玹의 그 批評에 대하여

        윤호진 열상고전연구회 2022 열상고전연구 Vol.78 No.-

        梅泉 黃玹의 문집에 「題海石詩卷」이라는 3수의 시가 전한다. 이 시에서 매천은 『해석유고』의 작자에 대해 매우 높이 평가하였지만 이 시의 평가 대상인물에 대해 최근까지도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해석이란 호에 근거하여 작자를 조선후기 이름난 정치가이며 문인인 해석 金載瓚으로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이 시집의 작자는 전라도 곡성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李相勉(1870-1921)이다. 그는 호가 해석이고, 자는 益瑞이며, 본관은 星州이다. 그가 남긴 시는 『해석유고』에 전하는데, 이 책은 이상면 사후 그의 족제 李相赫에 의해 1941년 편집, 완성이 되었다. 이 책은 시작 연대순으로 편집이 되었는데, 1899년부터 1920년까지의 시 천여 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그가 서울의 草亭 金星圭에게 초청을 받아 함께 지내며 시를 짓기도 하고, 강원도를 거쳐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들이 수록되었다. 뿐만 아니라, 황현은 이 책에 실린 일부 시에 대해 2차에 걸쳐 批圈을 행하였는데, 1차 20수, 2차 80여 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의 부록과 발문 등에서는 황현이 李相勉의 시를 읽어보고 평가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황현은 그의 시를 보고는 “눈썹이 들썩이고 어깨를 으쓱 올리고, 조용히 노래하고 조금씩 춤을 추면서, 자기도 모르게 민간에서 말하는 바 ‘소눈깔 같은 貫珠’와 ‘쥐똥 같은 飛點’을 마구마구 베풀었다.”고 하였다. 자신이 남의 시를 평가함에 인색하여 작대기를 마구 그어대어 ‘黃作大旗’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지금부터는 여러 사람들에게 “내가 지금은 황작대기가 아니라 黃貫珠, 黃飛點이 되었다.”라고 불려야 할 것이니, 이후로 어디에서 황작대기를 찾을 것이냐고 하였다. 황현이 이상면에 대해 이처럼 극찬을 하였던 일은 이것에서 그치지 않고, 이 글의 冒頭에서 언급한 「제해석시권」이라는 3수에서는 이상면의 시에 대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다. 첫수에서는 이상면의 시가 아름답게 꾸몄지만 그 흔적이 드러나지 않았다고 하였고, 두 번째 시에서는 이상면의 시가 다른 사람들의 시와는 달리 새로운 경지를 열었지만 아무도 알아주지 않았음을 말하였고, 세 번째 시에서는 이상면의 시가 호남의 이름난 시인들인 三唐派의 崔慶昌, 白光勳 같은 시인과 맞닿아 있는 깊은 연원을 가지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 KCI등재

        雪月堂 金富倫의 『心經箚記』 연구

        서근식 한국고전번역원 2023 民族文化 Vol.63 No.-

        This thesis aims to examine Simgyungchagi(『心經箚記』) by Kim Bu-Ryun(金富倫). When a brief survey of the life of Kim was made through the “Records of a deceased person's life(「行狀」)” by Lee Gwang-Jeong and “Myogalmyong(「墓碣銘」)” by Chae Je-Gong, no comment was found on Kim’s writings titled “Toegyeseonsaengeonhaecharok(「退溪先生言行箚錄」)”, “Mundapcharok(「問答箚錄」)”, and ‘Annotations(箚記) on the Great Learning (『大學』) and The Heart Sutra (『心經』),’ which is considered to be an insufficient part. Kim’s Simgyeongchagi(『心經箚記』) became the first work among the commentaries to Simgyeongbuju(『心經附註』) by Yi Hwang(李滉)’s closest disciplines. In Simgyeongchagi(『心經箚記』), difficult letters or misspelled letters in were figured out correctly and their meanings were clarified. In particular, the fact that Kim’s commentary was composed by using Eonhae(諺解) and Gugyeol(口訣) was an epochal shift in the history of commentaries. The Mean(『中庸』) says about the two studying methods, one method is to honor moral nature(尊德性工夫) and follow the path of studies(道問學工夫) at the same time. But Yi Hwang(李滉) emphasized on honoring moral nature(尊德性工夫) in his writings titled Simgyeongbuju(『心經附註』) and “Jondeokseongjemyeong (「尊德性齋銘」)”. It was because Zhuxi(朱熹), in his later days, thought that his disciplines were short of honoring moral nature(尊德性), and Yi Hwang(李滉) also accepted it as it was. Kim Bu-Ryun(金富倫) also followed Yi Hwang(李滉), concentrating all his efforts on studying by honoring moral nature(尊德性工夫) in his “Jondeokseongjemyeong(「尊德性齋銘」)”. 이 논문은 金富倫의 『心經箚記』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李光靖의 「行狀」과 蔡濟恭의 「墓碣銘」을 통해 김부륜의 생애를 간략하게 살펴보았지만, 그의 저술인 「退溪先生言行箚錄」, 「問答箚錄」, 『大學』과 『心經』에 대한 箚記 를 언급한 것은 없었다. 이는 미흡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심경차기』는 李滉의 직전제자들의 저술 가운데 『心經附註』 주석서의 嚆矢가 된다. 『심경차기』는 『심경부주』에서 어려운 글자나 잘못 표기된 글자들을 제대로 파악해 냄으로써 그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하였다. 특히 『심경차기』에서 諺解와 口訣을 사용하여 주석한 것은 주석사에 있어서 획기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中庸』에서 尊德性工夫와 道問學工夫를 함께 할 것을 말하고 있지만, 이황은 『심경부주』 「尊德性齋銘」에서 존덕성공부에 보다 힘을 쏟았다. 이는 주희가 만년에 제자들이 존덕성공부가 부족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고, 이를 이황도 그래도 받아들이고 있다. 김부륜도 역시 이황의 공부 방법을 본받아서 「존덕성재명」에서 존덕성공부에 힘을 쏟았다.

      • KCI등재

        A Study on T`oegye(退溪) Yi Hwang(李滉): Ultimate Concern and Ultimate Reality of Chosun Confucianism

        ( Lee Kwang Ho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13

        朝鮮是以儒敎看作是政治、敎育的理念的儒敎國家, 而儒敎國家又是國王與士大夫根据民本主義理念來治理國家、從而實現王道政治理想的國家。王道政治根据儒敎的政治理念與敎育理念, 提倡具有德性的君主與士大夫一同治理政治。包括朝鮮儒學在內, 儒學首先關注的是道德, 而對于道德的疑問又引出更加根本的問題, 卽道德的根源――天的問題。在儒學看來, 道德意味着人類在相互關系中實現上天所賦予人類的本性。 退溪李滉是朝鮮最具代表性的新儒學者, 他對韓國新儒學進行體系化, 通過儒學理論的實踐, 爲揭示聖人之道而作出努力。本稿主要從如下幾個方面闡述他的哲學。 1.他的學問是爲己之學。 2.爲己之學就是心學。 3.理是永恒的眞理。 4.以體用爲中心, 將理學的心學體系化。 退溪李滉的終極關心就在于通過個人的人格修養成爲聖人。如果无法認識和實踐終極的實在理, 那么人格的修養也就不可能實現。他的學問通過對內在終極的實在理的認識和實踐, 明確闡明聖人之道。心由體用兩方面構成, 他的學問也主要從體用兩個方面進行考察。 隨着科學的發展, 我們生活在一個包括人類在內, 所有的生命都受到威脅的時代里, 而且如同生命般重要的水和空氣受到嚴重汚染, 各個國家、個人之間的競爭與不信任還威脅到人類共同體的生存。在這種年代里, 如果存在一種思想, 它可以通過自身修養將自己的生活轉變成善的生活, 還將他人的生活改變成善的生活, 那么這種思想卽使與科學相背離, 我們能舍棄其思想? 我們生活在一個人類主體性沦落爲工具主體的時代里, 在這一時代里, 連准確把握人類主體性的途徑也都被堵住。李滉的哲學向我們解釋人類的本心和宇宙與生命創造之眞理。在以現象的分析和綜合作爲學問方法的科學來說, 根本无法找到可以到達超過現象界的、將現象變爲可能性的主體性與眞理。退溪則通過對人類內在心性的考察與體驗, 說明可以將現象世界與超越世界統一的原理。李滉哲學給我們所傳達的信息可謂非常重大。 Chosun Dynasty was a Confucian state-the state whose political and educational ideology was Confucianism. The Confucian State seeks to realize the ideal of ‘Kingly Government’ (王道政治, Wangdochongch'i), in which the king and sadaebu (士大夫; aristocrats or a literati class) rule the 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the people as the very foundation of the nation. ‘Kingly Government’ refers to a political system, in which the king as a man of virtue governs the nation under the principle of morality (道德) with the help of sadaebu who are, both academically and ideologically, committed to Confucianism. The first and foremost concern of Confucianism including the Chosun Confucianism is “What is morality?” This question leads to another more fundamental one: “What is Heaven as the ultimate reality?” It is because morality in Confucianism is a way in which the human nature endowed by Heaven is actualized within human relationships. T'oegye Yi Hwang was a representative neo-Confucian scholar in Chosun Dynasty, who systemized Korean neo-Confucianism and attempted to reach the realm of the sage by putting its ideals into practices. 1. His Learning is the study for the sake of self (为己之学) 2. The study for the sake of self is directly Simhak (心学: Study of the mind-andheart) 3. Li (理, Principle) is the Truth of eternal immortality 4. Simhak (心学) in the dimension of lihak (理学: Study of the Principle) is systematized centering on Substance-Function (体用) The ultimate interest in T'oegye (退溪) Yi Hwang (李滉) was to be equipped with the saint's personality through personal cultivation in self. This interest couldn't be realized without truly knowing li (理), which is the ultimate reality. His theory of study is clearly explaining a method of becoming a saint by recognizing and practicing Li (理), which is the ultimate reality, based on lihak in the position of Simhak based on the theory of substance-function. Due to the development in science, the world of animals other than a human being is all threatened. Air and water, which are as important as life itself, are being contaminated as a whole. And, due to competition and distrust between nation and nation & between individual and individual,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make a comfortable life, is getting rapidly reduced. If there are the thought and method in this period that personal cultivation leads to changing own life into extremely good life, and that such personal cultivation allows neighbors to be comfortable, and further all the mankind to be comfortable, will this thought be able to be unconcerned for a reason of being not suitable for science? We are living in the era of human being's subjectivity fallen into the instrumental nationality, not knowing how to approach human being's subjectivity. In this era Yi Hwang's study can offer a method of newly illuminating what the subjectivity and rationality are. There is no way to approach the eternal world and the absolute world that cannot be approached with science, which is the study of just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individualized phenomenon. Yi Hwang shows the universal validity by connecting the transcendental world with the phenomenal world based on a human being's inner world. The message, which Yi Hwang's study gives to today's philosophy, is powerful. [Article in Chinese]

      • KCI등재

        海石 李相勉의 『海石詩稿』와 梅泉 黃玹의 그 批評에 대하여

        윤호진 열상고전연구회 2022 열상고전연구 Vol.78 No.-

        梅泉 黃玹의 문집에 「題海石詩卷」이라는 3수의 시가 전한다. 이 시에서 매천은 『해석유고』의 작자에 대해 매우 높이 평가하였지만 이 시의 평가 대상인물에 대해 최근까지도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해석이란 호에 근거하여 작자를 조선후기 이름난 정치가이며 문인인 해석 金載瓚으로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이 시집의 작자는 전라도 곡성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李相勉(1870-1921)이다. 그는 호가 해석이고, 자는 益瑞이며, 본관은 星州이다. 그가 남긴 시는 『해석유고』에 전하는데, 이 책은 이상면 사후 그의 족제 李相赫에 의해 1941년 편집, 완성이 되었다. 이 책은 시작 연대순으로 편집이 되었는데, 1899년부터 1920년까지의 시 천여 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그가 서울의 草亭 金星圭에게 초청을 받아 함께 지내며 시를 짓기도 하고, 강원도를 거쳐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들이 수록되었다. 뿐만 아니라, 황현은 이 책에 실린 일부 시에 대해 2차에 걸쳐 批圈을 행하였는데, 1차 20수, 2차 80여 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의 부록과 발문 등에서는 황현이 李相勉의 시를 읽어보고 평가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황현은 그의 시를 보고는 “눈썹이 들썩이고 어깨를 으쓱 올리고, 조용히 노래하고 조금씩 춤을 추면서, 자기도 모르게 민간에서 말하는 바 ‘소눈깔 같은 貫珠’와 ‘쥐똥 같은 飛點’을 마구마구 베풀었다.”고 하였다. 자신이 남의 시를 평가함에 인색하여 작대기를 마구 그어대어 ‘黃作大旗’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지금부터는 여러 사람들에게 “내가 지금은 황작대기가 아니라 黃貫珠, 黃飛點이 되었다.”라고 불려야 할 것이니, 이후로 어디에서 황작대기를 찾을 것이냐고 하였다. 황현이 이상면에 대해 이처럼 극찬을 하였던 일은 이것에서 그치지 않고, 이 글의 冒頭에서 언급한 「제해석시권」이라는 3수에서는 이상면의 시에 대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다. 첫수에서는 이상면의 시가 아름답게 꾸몄지만 그 흔적이 드러나지 않았다고 하였고, 두 번째 시에서는 이상면의 시가 다른 사람들의 시와는 달리 새로운 경지를 열었지만 아무도 알아주지 않았음을 말하였고, 세 번째 시에서는 이상면의 시가 호남의 이름난 시인들인 三唐派의 崔慶昌, 白光勳 같은 시인과 맞닿아 있는 깊은 연원을 가지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In Maecheon Hwang hyeon's collection of writings, there are three poems called The Posthumous Works of haeseok's poetry. In this poem, Mae-cheon highly praised The Posthumous Works of Haeseok, but the person to be evaluated in this poem was not known at all until recently. The author was introduced as Kim Jae-chan(김재찬), a famous politician and literary m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title of “Haeseok”, but the author of this collection of poems is Lee Sang-myeon(이상면: 1870-1921), whose main working area is in Gokseong, Jeonla province. His title is Haeseok(해석), pseudonym is Ikseo(익서), and the family clan is the Seongju(성주). The poems he left were included in The Posthumous Works of Haeseok, which was edited and completed in 1941 by Lee Sang-hyeok(이상혁) after Lee Sang- myeon's death. This book is compiled in chronological order of beginning, and contains over a thousand poems from 1899 to 1920. This book contains poems that he composed while he was invited by Chojueong Kim Seong-gyu(김성규) in Seoul, to write poetry, and while he toured Mt. Geumgang via Gangwon-do. In addition, Hwang Hyeon criticized some poems in this book twic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20 numbers and the second 80 numbers were evaluated very positively. The appendices and footnotes of this book introduce the contents of Hwang Hyeon's reading and evaluation of Lee Sang-myeon's poems. Hwang Hyeon looked at his poem and said, “my eyebrows raised and shrugged, sang quietly and danced little by little, and I praised the poems with a lot of check marks.” He was stingy in evaluating other people's poems, so he was nicknamed 'Hwang jakdaegi(황작대기),' but he said “people would not call me Hwang jakdaegi any more. Hwang Hyeon's praise for Lee Sang-myeon does not end there. After reading Lee Sang-myeon's poems, he composed three verse poems, and each poem highly appreciates Lee Sang-myeon's poetry in many ways. In the first poem, it is said that Lee Sang-myeon's poem was beautifully elaborated, but not too decorative. In the second poem, he said, Lee Sang-myeon's poem opened a new realm unlike other people's poetry, even though no one recognized it. In the third poem, he revealed that Lee Sang-myeon had a deep connection with poets such as Choi Kyung-chang(최경창) and Baek Kwang-hoon(백광훈) of the Samdang faction, famous poets of Hon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