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安東의 關王廟를 통해 본 지역사회의 동향

        김명자(Kim Myung-Ja)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2 No.-

        이 글에서는 官의 안동 관왕묘의 건립에 대한 지역사회의 담론과 관왕묘 건립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떠한 전략을 펼치는지를 중심으로 하여 안동 관왕묘의 존속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이후 관왕묘의 건립에서부터 현재에 이르는 통시대적인 관점으로 신앙형태는 어떠한 변화와 지속을 거듭하였는지도 함께 논의하였다. 먼저. 선조 31년( 1598) 국가의 공적 廟로써 안동 관왕묘를 건립하게 된 시대적 배경을 검토했다. 다음에는 선조 39년(1606)에 안동 유림의 반발로 西嶽의 東臺 현 위치로 移安한 시기, 이어 숙종 37년(1711)에 이르러 명나라 군대의 철수 이후 황폐한 상태에 놓여진 관왕묘를 국가차원에서 정비를 하는 시기로 크게 나누어 지속과 변화의 양상을 짚어 보았다. 그 결과 안동의 관왕묘는 보편성과 함께 지역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598년 명나라의 眞定營都司 薛虎臣에 의해 城內 北山頂에 처음 세워진 국가차원의 안동 관왕묘가 건립된 후 8년만인 1606년에 안동향교와 대치되어 있다는 이유로 유림에서 관왕묘의 철수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官에서 현재의 위치인 西岳 東臺로 관왕묘를 이전할 수밖에 없었던 일련의 사건은 관왕묘에 대한 안동지역사회의 여론과 동향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다. 관에서는 관왕묘를 이전하는 구실 즉, 정당성을 관왕의 현몽과 서악의 풍수지리적 형국에서 찾게 된다. 지역사회와 관 차원에서 풍수지리적 형국을 어떻게 자신에게 유리한 관점으로 해석하며, 이용하는가를 통해 관왕묘를 둘러싼 지역사회에서 야기되는 문제와 민간신앙으로 정착된 양상을 보다 정치(精緻)하게 살필 수 있었다. 요컨대 관왕묘를 이전하기 전, 관왕이 고을 원에게 좋은 자리로 옮겨달라는 설화가 동원되고, 다음으로는 서악산의 풍수지리적 형국이 虎頭穴이어서 虎食을 많이 당하기 때문에 軍神인 관왕의 氣로써 호두혈을 눌러야 한다는 풍수지리적 정당성이 동원된 것이다. 이처럼 국가차원의 관왕묘 건립과 안동 지역사회의 대응양상을 통해 볼 때 안동 관왕묘는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관왕묘가 국가 차원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는 것은 관왕묘의 보편성이라 할 수 있지만 유림의 반대에 의해 관왕묘의 자리를 옮기는 것은 안동 관왕묘의 지역적 특수성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관왕묘를 이전하는 구실을 관왕의 현몽과 풍수지리적 형국으로 해석하는 것 역시 특수성에 해당된다. 신앙대상으로서의 관우는 관성제군을 신으로 모시는 무속인들과 미륵불을 섬기며 관우를 협시보살로 모시는 관성교 등에 의해 신앙되어 왔다. 안동의 관왕묘 역시 후전도 미륵종불을 섬기는 이에 의해 현재 관리되고 있다. 관우의 財神ㆍ治病ㆍ祈福의 기능은 지속되고 있으나 실상 안동지역에서 관왕에 대한 신앙적 인식은 그리 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gives an over view of a local community concerned with the establishment of Gwanwangmyo, an ancestral shrine worshiping Gwanu in the era of Three States, China, under the government in Andong and the existence legitimacy of Gwanwnagmyo in Andong, based on the strategy that was used to get legitimacy for its establishment. This study also shows how the form of a faith has changed and been sustained from the establishment of Gwanwangmyo after Imjin-waeran to the present. First, we looked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by which Gwanwangmyo was established as the public ancestral shrine in Seonjo 31, 1598. Next, we looked into the durability and the nature of the change, by dividing into two parts, Firstly, the time of moving an ancestral tablet or the scroll of a portrait to Dong-dae, Seo-ak because of the opposition of the Confucians at Andong in Seonjo 39, 1606. Secondly, the time of maintenance of the ruined Gwanwangmyo by the government after the withdrawal of the army of the Ming dynasty in Sukjeong 37, 1711. As the result, we found that Gwanwangmyo in Andong had a localized view as well as a general view. The Confucians demanded the withdrawal of Gwanwangmyo because it stood up against Andong Hyanggyo in 1606, eight years after Gwanwangmyo under the government was established at Buksanjeong by Seol Hosin who managed Jinjeong-yeong in the Ming dynasty, 1598. Accordingly the series of events by which people felt the need to move Gwanwangmyo to Dong-dae, Seo-ak showed the public opinion of Andong community about Gwangwangmyo clearly. The government set down the reasons for moving Gwangwangmyo according to Gwanwang’s dream and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he topography of Seoak. We were able to ascertain the problems caused by Gwangwangmyo in the local community and how it took root as a folk belief in detail, that is, understanding how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was viewed favorably and had an influence on the condition of the community and the government. In other words, people brought something into play as following: the tale, by which Gwanwang asked a country magistrate to move it into a good place, and the reasons on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according to which people suggested the need to control Hoduhyeol, the hole with the shape of a tiger, using Gwanwang’s strength because the appearance of Seoak-san was the shape of Hoduhyeol and had caused a tiger's attack. As a result, we could be sure that Gwanwangmyo in Andong held an important status as suggested above. We can consider it as a general view of Gwanwangmyo that it held an important status in the national situation, while we can also consider it as a localised view of Gwanwangmyo that it moved its place because of the opposition of the Confucians and the cause of its movement was considered as a result of Gwanwang’s dream and the geographical position. Gwanu was considered as the being like a faith by the person following the shamanist custom, who served Gwanseong-jegun as a god, and Gwanseonggyo, which served Maitraye and considered Gwanu as Hyeopsi-bosal. Gwanwangmyo in Andong was also managed by persons serving Maitraye of Hwucheondo. We found that Gwanu’s ability of being like a god, healing illnesses and granting wishes was sustained but the belief in considering Gwanwang a faith was poor.

      • KCI등재

        향교의 생활상 연구 — 學令, 慶州鄕校⋅安東鄕校⋅福川鄕校 學令을 중심으로 —

        권혁명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40 No.-

        본고는 향교의 생활상을 소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관학의 기본 학령인 <학령>과 지방 향교의 학령인 <경주향교학령>, <안동향교학령>, <복천향교학령>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교의 입학시험에 관한 것이다. 儒者나 평민이 향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교생 10인 이상이 입학 할 사람의 志學을 추천해야 했으며, 그 다음에 小學 과목을 講해서 粗通 이상의 등급을 받아야 가능하였다. 두 번째는 수업과 관련하여 향교의 교재, 수업방식과 벌, 휴가와 방학에 관한 것이다. 향교의 교재는 대부분 小學, 四書五經, 近思錄, 性理大全, 朱子家禮 또는 儀禮가 교재로 채택되었으며, 수업은 1교시는 이전에 배운 내용을 講을 통해 복습하고, 2교시는 새롭게 배운 내용을 토론을 통해 익혀 나가는 것이었다. 한편, 수업 중 집중하지 않거나 졸거나 할 때에는 회초리 또는 과제를 부과하는 벌이 가해졌다. 향교의 휴가 횟수는 각 지방향교의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방학 도한 정기적인 것이 아니라 농번기나 흉년이 들었을 때 수시로 하고 있었다. 세 번째는 그 밖의 생활상으로 향교 일상생활에서 행해지는 일들을 살펴보았다. 향교에서는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정기적인 문묘참배 행사가 있었고, 교생이 起牀하여 아침식사를 하기까지는 세 단계를 거치고 있었는데, 침상에서 일어나는 단계, 의관을 정제하고 독서를 하는 단계, 식당에 가서 식사를 하는 단계였다. 식당을 출입할 때는 식당에 온 차례대로 식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연장자 순으로 식사를 하여 장유유서가 철저히 지켜지고 있었다. 교생이 守令, 師長, 鄕老, 先達 등을 대할 때는 교관과 동등하게 대우하였다. 이상, 향교에 대한 본고의 소개가 향교의 일상 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기대해 본다. In this paper, I focused on introducing the lifestyle of confucian school which was called hyanggyo. For this purpose, I considered several documents which described the system and regulation of hyanggyo. It includes both national school and regional school. I especially suggested Kyungju, Andong and Bokchun as representative examples for regional school. For the result, I found out some distinct features like following. First thing is about the entrance examination. If scholars or ordinary persons wanted to get into the hyanggyo, they need to receive a recommendation from more than ten scholars, and also need to get a prominent grade in the subject of Sohak(小學). Second thing is about the textbooks, teaching system, reward and punishment, and vacation. Usually, the nine chinese classics, Sohak, Keunsarok(近思錄), Sunglitaejeon(性理大全), Jujakarye(朱子家禮) were selected as primary texstbooks, and most hyanggyo used similar textbooks. The class was devided into two major periods. The first class was focused on reviewing what they learned last time, while the second class was focused on studying new materials by debating. If students didn't concentrate in class or doze over a book, then teachers caned their students or set extra tasks. The regulation holidays were given to the students on the eighth and twenty-third day of every month. However, it could be changed depend on the condition of each school. Third is about some diverse life style in hyanggyo. I looked after the periodical ceremony for Confucian shrine, the table manners, etiquette lessons.

      • KCI등재

        18세기 서원건립을 둘러싼 향촌사회의 갈등관계-영조 14년(1738) 안동 김상헌서원 건립문제를 중심으로-

        정진영 조선시대사학회 2015 朝鮮時代史學報 Vol.72 No.-

        This study reviewed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s between Namin Party and Noron Party over the issue of establishing Kim Sang-Heon Seowon in Andong in the 14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38) under the political conditions including the status of Namin Party in Yeongnam region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actual power of Namin Party, the suppression policy of Noron Party against Namin Party and the control policy of Noron Party through protection of Soron Party for Namin Party. The biggest key part of the measure of Noron Party for Namin Party in Yeongnam region was to transform Namin Party into Noron Party whereby Namin Party is divided and dismantled. Therefore, the local society in Yeongnam region focused on Andong in the early 18th century had to face the issue of the advent of new Noron Party. They could compete and confront with the existing Namin Party under the support and sponsorship of the local officials including governors and auditors as well as the central officials of Noron Party. Noron Party showed their presence by dominating Hanggyo,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and establishing Seowon that paid tribute to the figures of Noron Party and enshrining them. Such activities were very useful means to dominate the power of the local society as well as to advance into the central political world. The situation was not very different in Andong, which was so-called the key area of Namin Party. The new Noron Party in Andong that was turned from Namin Party to Noron Party established Kim Sang-Heon Seowon with an active cooperation and support by the local officials and the central ruling power of Noron Party. However, Namin Party who couldn’t overlook broke down the building with physical force. Noron Party defined such Namin Party as disturbing people(亂民). Namin Party members in Andong were under disadvantages. They had little methods to deliver their positions. They had to fully rely on one member of Soron Party, Park Moon-soo. This was the situation in Yeongnam region at that time. Noron and Soron Parties were fiercely confronted with each other in the government over the issue of the damage of Kim Sang-Heon Seowon. The key issue was about reconstructing the destroyed Seowon. The Seowon was not permitted to be reestablished in King Yeongjo’s reign but was rebuilt as a shrine named Seogansa in the 10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1786). However, Noron Party members in Andong were exercising their political voice by dominating Hyanggyo, which had been the basecamp of Namin Party. On the other hand, the status of Namin Party in Andong greatly shrank in the local society as well as Yeongnam region. Hyanggyo in Andong was kept under the control of Noron Party since then. 이 연구는 영조 14년(1738) 안동에서 김상헌서원 건립을 둘러싼 남인과 노론의 대립․갈등을 18세기 전반 영남의 남인이 처한 사정, 곧 남인의 실세, 노론의 남인 억압책, 소론의 남인 보호를 통한 노론 견제책 등의 정치적 상황 속에서 검토해 본 것이다. 노론의 영남 남인에 대한 대책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남인의 노론화와 이를 통한 남인의 분열과 해체였다. 이로써 18세기 전반기 안동을 중심으로 한 영남의 향촌사회는 신생노론의 등장이라는 문제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수령과 감사 등 지방관, 나아가서는 중앙의 노론 당국자들의 지지와 지원을 통해 기존의 남인세력과 경쟁․대립할 수 있었다. 노론세력은 향교의 장악과 노론계 인물의 서원 건립이나 배향을 통해 그들의 존재를 드러냈다. 이러한 활동은 향권의 장악뿐만 아니라 중앙정계로의 진출에도 아주 유용한 수단이었다. 남인의 핵심지역으로 일컬어지던 안동에서도 사정은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남인에서 노론으로 전향한 안동의 신생노론은 지방관과 중앙 노론 집권세력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받아 김상헌서원을 건립하였다. 그러나 이를 묵과할 수 없었던 남인은 물리력을 동원하여 이를 부셔버렸다. 노론은 이런 남인을 亂民으로 규정했다. 안동의 남인들은 불리했다. 그들의 입장을 전달할 방법이 별로 없었다. 소론인 박문수에게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것이 당시 영남의 처지였다. 김상헌서원의 훼파문제를 두고 노론과 소론은 조정에서 격렬하게 대립했다. 그 핵심은 파괴된 서원의 재건문제였다. 서원의 재건은 영조 연간에는 허락되지 않았지만, 정조 10년(1786)에 마침내 서간사라는 사당으로 마무리되었다. 이것은 정조의 남인 활용을 위한 정치적 포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김상헌서원 건립 사건은 이후의 향촌지배세력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간 남인들의 근거지였던 향교는 이제 노론의 수중에 있었고, 노론은 향교를 통해 정치적 발언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따라서 안동 남인의 위상은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이후에도 안동의 향교는 여전히 노론의 근거지로 남아 있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호계서원(虎溪書院)의 위상과 강학활동

        김자운 ( Kim Ja-w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호계서원(虎溪書院)은 퇴계의 선향이자 퇴계가 어릴 적 독서하던 곳이라는 연고로 퇴계를 주향하기 위해 안동지역에 최초로 건립된 서원으로, 17세기 이후 안동의 수원(首院)이자 예안의 도산서원, 경주의 옥산서원과 함께 영남지역의 대표적인 서원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같은 호계서원의 위상과 조선후기 병호시비의 근거지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동안 정치사회사 분야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호계서원 강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한 형편으로 19세기의 「호계강록(虎溪講錄)」을 다룬 두 편의 연구 외에 본격적으로 시도된 바가 없다. 이는 강학과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확인되는 기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관련 인물들의 문집 등에 수록된 시, 편지, 연보, 행장 등 관련 기록과 맥락을 최대한 검토, 추적하여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호계서원 강학의 전체적인 흐름과 변화상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퇴계 문인들에 의해 건립된 호계서원이 퇴계의 서원관과 도학론을 충실히 계승하는 한편, 당시까지 매우 부진했던 안동향교의 교육기능을 대신하여 관학에 버금가는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퇴계의 이산원규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입원 규정에서만큼은 과거 입격자를 우선으로 규정한 호계서원의 원규, 안동부 및 안동향교와의 긴밀한 협력관계 속에서 설립, 운영되었으며 호계서원의 주요 인물들이 16세기 안동향교의 운영까지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17세기까지의 강학이 과업(科業)을 목적으로 한 거접 중심으로 시행되었고, 완공된 건물의 규모가 관학의 규모를 훨씬 능가하고 있다는 점 등을 통해 적어도 16세기의 호계서원은 관학에 버금가는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16-17세기 강학의 전개상을 개략적으로 검토하였다. 권호문의 문집 기록을 통해 16세기 강학은 ‘알묘례-강학-수창시’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16세기 강학은 퇴계 저술의 교정 작업과 병행하여 시행되었고, 강학과 교정은 때로는 일회적으로, 때로는 며칠씩 서원에서 유숙하면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 ‘누에 오르면 감발하는 효과가 있어 호연지기를 기르고 연비어략의 이치를 깨우치는 데 적합하다’고 하여 강당인 숭교당 외에 유식공간이었던 양호루가 강학 공간으로 자주 활용되었으며, 이는 ‘장수(藏修)와 유식(遊息)’을 아우르는 서원 강학의 목표와 의미를 드러내는 대목임을 지적하였다. 남치리의 원규에는 동몽 강학에 대한 규정이 없으나 배용길이 16세기 강회에 참여할 때마다 ‘소아(小兒)와 함께 동몽재에 우거하였’으며 동몽재의 규모가 15칸이나 되었다는 점, 또 18세기 김성탁이 15세의 나이로 호계서원 거접에 참여하였다는 기록을 토대로, 16세기부터 15세 이하 동몽들을 대상으로 동몽 강학이 시행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17세기 후반 김성탁이 ‘전례대로 수일간 거접에 참여하여 과거문자를 익혔다’는 기록에 따르면 17세기까지 과업(科業)을 목적으로 한 거접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4장에서는 18-19세기 강회의 변화상 및 심학적 성격과 실천적 학풍을 검토하였다. 18세기 후반으로 가면서 ‘알묘례-정읍례-상읍례-강독과 발문, 토론-강회 후 산수 유람-파재 시 수창시’의 순서로 강회의 절차와 방식이 체계화되었으며, 1765년 대산 이상정이 이끈 심경강회를 기점으로 강회 참여자의 명단과 강회의 전말, 문답 내용을 제명록, 차록, 강회록 등의 기록으로 남기는 관례가 정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 지방관의 흥학책과 그에 대한 적극적으로 대응으로 18-19세기 강회가 활성화되었으며, 18-19세기 호계서원 강회를 주도한 인물들의 사승관계 분석을 통해 호계서원 강회는 ‘퇴계로부터-학봉 김성일-갈암 이현일-밀암 이재-대산 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맥 형성에 핵심적인 매개체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18-19세기에 가장 많이 활용된 강회의 주요 텍스트는 심경이었으며, 강회에서 공부한 내용을 더욱 궁구하여 체득하고 일상생활의 언어와 동작에서 실천하는 자만이 진정한 ‘강학인’이라 강조하고, 19세기 붕당의 폐해와 유림의 분열상을 극복하기 위한 해법을 서명(西銘)에서 찾고 일상에서 이일분수의 실천을 강조한 19세기 강회 등을 통해 이 시기 호계서원 강회의 특징과 경향성이 심학과 실천적 학풍을 지향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호계서원 강학의 전체적인 흐름과 변화상은 개괄적으로 추적하였으나, 강학의 가장 핵심에 해당하는 강회의 주요 내용과 문답 기록까지는 미처 분석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 수집한 자료 외에 향후 관련 자료를 좀 더 추적, 보완하여 본고에서 미처 수행하지 못한 강회의 주요 내용과 문답 기록에 대한 분석은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Hogye-Seowon(虎溪書院) is the first Seowon established in Andong area to celebrate Toegye because it was a place where Toegye was reading when he was a child. After the 17th century, it has grown into a representative Seowon in the Yeongnam region along with Dosan-Seowon and Oksan-Seowon. Paying attention to the status of Hogye- Seow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political history. However, there are only two thesis on education in the 19th century on the study of Hogye-seowon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little data on education of Hogye- Seowon. Therefore, I tried to trace the overall flow and changes of Hogye Seowon educati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by investigating the data on Hogye-Seowon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In Chapter 2, I first analyz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Hogye-Seowon, and then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dongbu(安東府) and Hogye-Seowon. In 1576, Nam, chi-ri(南致利) creat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Hogye-Seowon, imitating Toegye's Isan-Seowon regulations. However,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addition, Hogye-Seowon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in a very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Andongbu.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Chapter 2 I confirmed that the 16th century Hogye-Seowon played the same status and role as the Andong-Hyanggyo. In Chapter 3, I review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Hogye-Seow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7th century. Through this, the operation status of children's education, the space used for educ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method were confirmed. In Chapter 4, I reviewe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system of Hogye-Seowon, the changes in textbooks and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chool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Hogye-seowon's educational system began to change systematically starting with the Simkyung-Lecture(心經講會) led by Daesan(大山) Lee, Sang-jung(李象靖) in 1765. An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book they studied hardest at Hogye-Seowon was Shimkyung(心經). In addition, the teachers at Hogye-Seowon put great emphasis on practicing what they learned in Seowon in their daily life.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Hogye- Seowon educa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an be found in the learning of the mind and practical academic practices. Through the education at Hogye-Seowon, the people who led the schooling were forming a academic network leading to “Toegye Lee Hwang(退溪李滉)-Kim, Seong-il(金誠一)-Lee, Hyun-il(李玄逸)-Lee, jae(李栽)-Lee, Sang-jeong(李象靖)”.

      • KCI등재

        안동의 도시화와 토박이들의 ‘유교공동체’ 구축과 운영

        이상현(Lee, Sang-hyun)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5 No.-

        본 연구는 안동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유림 단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 단체들은 주로 안동시에 거주하고 있는 토박이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단체의 정체성 구축을 위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다만 이들이 활용하는 정체성의 요소들은 주로 과거 지역의 유교적 유산들이며 이를 통하여 참여 유림 단체의 특성과 우월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지역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들이 활용하는 과거 지역의 유산의 기본적 특성은 주로 안동이라는 지역적 기반 그리고 지역의 유명 가문으로 연결되는 혈연적 기반 그리고 퇴계학맥이라는 학연적 기반 등의 세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 요소는 과거 조선 시대에 지역의 기득권을 갖고 있는 세력들을 묶는 장치일 뿐만 아니라 도시화된 현대 생활에서도 토박이들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기득권을 유지하는 데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세 요소로 구축된 집단에 대해 전문연구자들은 전형적 유교공동체로 간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교공동체로서 안동시의 유림단체들의 조직 구축 과정 목적을 분석하였고 동시에 특정 집단이 공동체 구축을 위하여 과거 유산을 활용할 경우의 문제점도 비판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문화의 고장으로 인식되고 있는 안동의 도시화 과정의 특징을 제시하고 또한 민속학 연구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 중에 하나인 공동체에 대한 문제 제기의 일환으로 시도된 연구이다. This study has been composed in order to ap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 groups that work in the Andong city. These groups are generally composed of natives who live in Andong city, and they perform various activiti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dentity of their group. However, the aspects used for their identity are mainly Confucian assets of past regions, which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and superiority of their participating Confucian group, and that are used as a measure to maintain their vested rights of the region. The basic properties of the assets of the past regions they use are mainly composed of three aspects, including the regional basis of Andong, the blood family ties that link to prestigious families of the region, and the studious basis of academic stream of Toigye Yi, Hwang. These three aspects are not only the devices that tie the forces that had had vested rights in the region during the past Joseon era, but can also essentially be used to construct the identity and maintain the vested rights of the natives in the urbanized modern life. Scholars consider groups constructed with these three aspects to be of a typical Confucian community. This study analyzes the purpose of the organization construction process of Confucian groups in Andong-si as a Confucian community, and simultaneously critically proposes the problems that occur with the use of past assets in order for specific groups to construct a community. This study propo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urbanization in Andong, which is perceived as a village of traditional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has been attempted as a part of proposing problems on one of the core concepts of folklore, the problem on community.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