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효자․효녀 스토리텔링의 콘텐츠화 연구 : 디자인 콘텐츠화 방안을 중심으로

        권윤경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s of Korean filial piety and filial culture of filial piety, focusing on Korean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storytelling.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ial piety and filial culture, collected 296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data, and analyzed the Korean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story by case type. By looking at the meaning of storytelling and the development cases of storytelling, I proposed the method of contentization of Hyoja and Hyo-na storytelling. In this study, a total of 296 people including 283 filial piety and 13 filial piety women were drawn and the performance of filial piety was investigated. By case type, 373 detailed cases were investigated for a total of 25 types of cases. In the method of contentization of Hyoja and Hyo-na storytelling in Korea, the approach was divided into design contents. In the design contentization plan, the storytelling of Mokju Hyo-na and Hyoja Lee Kyu-ho was presented as a calendar design content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Deriving the design concept → Main concept setting → Other case analysis → Design content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not only the role of edutainment, but also the role of the most effective content that informs the world of Korea's identity to the world through the design contents in which abstract mental culture is integrated into visual language in formative aspect.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ment. 본 연구는 한국의 효자·효녀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국 효 사상과 효 문화의 콘텐츠 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 효 사상과 효 문화의 특징을 고찰하고 한국의 효자·효녀 스토리텔링을 사례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스토리텔링의 의미와 스토리텔링의 개발 사례를 살핌으로써 콘텐츠 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리의 전통사상은 단연 효 사상이다. 효는 백행지본이었다. 모든 전통교육의 출발은 효요 그 교육의 끝도 효였다. 효 사상과 효 문화가 우리의 전통사상과 문화로 정착된 것은 본래 우리의 원시 종교에 부모와 조상을 숭배하는 사상이었기 때문이다. 개인주의와 물질문명의 서구 사조는 엄청난 비윤리적 현상을 만연케 하였다. 이런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절실한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도덕성을 회복하기 위해 우리의 효 사상을 성찰하고 효도 교육을 근본적으로 강화해야 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교육은 이성을 계발하는 것뿐 아니라 신체의 정서 모두를 성장시키는 총체적인 인성교육이어야 한다. 인성교육이란 말 그대로 인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을 말하는 것으로서, 마음의 바탕을 교육하고, 사람 됨됨이를 교육하는 것이고, 인간으로서 바람직하고 보편타당한 가치를 추구하며, 그 가치를 완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우리의 효 사상의 형성, 참 뜻, 효도 교육, 역사성과 앞으로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앞으로 인간 교육을 위해서 계속 중요할 수밖에 없다는 역사적 당위성을 살펴봤다. 이제부터 학교는 대학입시 교육보다는 효도 교육에 모든 것을 걸어야만 한다. 그것이 우리가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우리가 진정 세계를 선도하는 문화 국가가 되려면 효도사상을 계승하여 교육하는 것이 최선이다. 우리는 효를 통하여 애국애족은 물론이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원만한 인간관계 기술도 익힐 수 있다. 효를 통하여 가족해체로 인한 우리 사회의 병폐를 없애고 난마처럼 얽힌 사회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효를 통하여 무너져 가는 사회 기강을 바로 잡는 것은 물론, 이를 세계적인 가치관으로 확대하여 인류를 불행으로부터 구하는 데 활용해야 한다. 그리하여 효도의 깊은 뜻을 바르게 알리고 열심히 실천하도록 하기 위한 일과 과거 우리 조상들이 효도 교육을 중시하였던 일들이 지금과 무관한 것이 아님을 자각하고, 우리의 밝은 미래를 위해 효도교육의 역사적 중요성을 각인시키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의 효 문화에 관한 연구 -<심청전>을 중심으로-

        김지안 한국효학회 2022 효학연구 Vol.- No.36

        배경: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곧 문화를 배운다는 것과 같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효’를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한국의 효는 인류 보편성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그 가치가 남다르다. 타인과 다른 사회에 대한 이해와 이타적 배려가 절실히 필요한 때 인류가 마지막까지 지켜내야 할 윤리 의식 ‘효’의 지향성을 찾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따라서 한국어교육 입장에서 한국의 효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류에게 교육될만한 문화로 그 가치가 높다. 목적 : 한국의 효 정서를 가장 잘 나타낸 대표 고전소설 <심청전>을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에 있어 효 문화에 대한 현대적 가치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첫째, <심청전>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공통된 주제 의식을 분석한다. 둘째, 한국의 효에 대한 해석에 있어 전통적 해석과 현대적 해석을 하고 현대적 관점에서 ‘효’의 의미를 재해석한다. 셋째, <심청전>의 내용 분석을 하고 그에 따른 현대적 관점에서 한국어교육을 염두한 ‘효’ 문화 내용을 검토한다. 결과/결론: 현대적 효의 의미는 상호존중이 기본원리로 작용하는 효, 타인에 대한 사랑이 전제되는 효, 다름의 이해와 평등의식에 따른 배려와 봉사의 효로 해석될 수 있었다. <심청전>은 심청의 효가 중심이 되면서 딸에 대한 아버지의 신뢰와 믿음과 딸의 부모에 대한 신뢰와 믿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이웃 사람들의 심청 부녀에 대한 이해와 사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인물 황제의 실천적 자세로 배려와 봉사 정신의 효를 찾아볼 수 있었다. 시사점 : 현대의 효로 재해석된 <심청전>을 활용하여, 한국어교육 측면에서 한국의 효 문화를 인류 보편적 가치로 접근한다면, 한국의 효는 인류의 문화로 승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 가능성을 위한 노력으로써 본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 KCI등재후보

        ‘효’ 전수와 전승에 대한 딜레마 -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

        이현용 한국효학회 2015 효학연구 Vol.0 No.21

        현대사회는 효 윤리를 전승시켜야할 부모세대와 전수받아야 할 자녀세대 간 효에 대한 인식이 점차로 간격이 넓어지고 있는 상황이 되었다. 가정에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역할은 축소되어지고 효를 보고 배우며 성장하여야 할 자녀세대는 합리적이고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더불어 한국사회는 빠른 경제성장과 맞물려 물질적인 풍요로움을 얻은 반면에 가정의 해체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가족구성원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상호이해를 요구하며 배타적인 관계로까지 변질되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여하튼 효는 시대적인 환경에 의하여 점차로 약화되어 가고 있는 윤리로 전락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에서 현재도 끊임없이 효의 가치를 내세우고 있다는 것에 연구자는 주목 하였다. 따라서 성인자녀들이 무의식적으로 효를 전수 받은 가운데 효의 실천 양상이 위선적이고 허위적인 양상을 보였지만 그 이면에는 효 사상의 가치를 인식하고 다음세대에 전승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때문에 성인자녀가 자녀세대에게 효 ‘전승’에 대한 당대 사회의 딜레마를 조명하였다. Nowadays in Korea there has widen the gap between parents generation who pass the HYO ethics down to their children and children generation who are handed the HYO down. This gap has widen because the role of parents are reduced as children generations are resonable and individualism. Moreover the breakdown of a family has increased gradually on the back side of the material wealth through the economic growth. It is because family members are in discord with each other and they demand the interests, so the relationships have turned exclusively. Like this, the HYO has been weakened in modern society. Nevertheless, this study focused that the Korean society emphasis on the value of the HYO constantly. When an adult child was handed down the HYO unconsciously, it looks like they are two-faced persons or act a falsehood. However, the adult child perceive the value of the HYO and they have a will to pass the HYO down to next gener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bout a dilemma in a transmission and learning of the HYO in the present age.

      • KCI등재후보

        중국불교사상에 나타난 불교의 효 윤리

        강기선 한국효학회 2019 효학연구 Vol.0 No.29

        This paper has explored into the filial piety of Buddhism demonstrated in Chinese Buddhism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Buddhist scriptures as to filial piety and their contents and the action plan of filial piety in modern days. One of the major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settling Buddhism transferred from India in China was its conflict with ‘filial piety’. The Chinese found the ritual of taking the tonsure and changing clothes to enter the Buddhist priesthood shameful as it was considered going against filial piety. As a countermeasure, the Chinese Buddhism compiled and published a variety of Buddhist scriptures in Chinese language. These efforts helped the Buddhism gradually settled in the minds of Chinese people, which led to translating a lot of filial piety Buddhist scriptures into the Chinese language. The key aspect of filial piety taught by these Buddhist scriptures primarily starts with the pure love and affe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helping parents return to Sambo (Buddha, the law of Buddha and a Buddhist monk) and regain the nature of Buddha while being exempted from the pain of birth and death eternally is found to be the greatest filial piety. The scope of filial piety is not limited to one's lifetime but is extended beyond the limit of life and death to helping parents even through the upmost way of Heaven. In addition, the filial piety taught by the Buddhist scriptures is a characterized by a horizontal, reciprocal, and equal filial piety with parents’ benevolentness and children’s respect going hand in hand and the duty of practicing filial piety among all creatures in an equal manner based on the Buddhist Philosophy. This requires a precondition that a democratic and mutually equal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refore, the filial piety in Buddhism is an equal, universal, and lateral teaching for all, and the ultimate value sought by the filial piety of Buddhism is to help all creatures restore the nature of Buddha while escaping from 84,000 pains and sufferings through the pursuit of virtue and goodness. 본 논문은 중국불교사상에 나타난 불교의 효 윤리를 중국의 효 관련 불교경전과 그 내용, 효 윤리의 현대적 실천방안의 측면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파된 이래, 중국 땅에서 정착하는 과정에서 당면했던 문제들 중의 하나가 윤리 개념인 ‘효’와 상충한다는 것이었다. 중국인들은 출가 수행자의 삭발염의가 불효에 해당한다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불교에서 시행한 것이 다양한 효 관련 불교경전들을 중국의 언어로 찬술 ․ 번역하는 사업이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불교는 중국인들의 사유 속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많은 효 관련 불교경전들이 중국에서 번역되면서 존재하게 되었다. 이들 불교경전에서 교설된 효의 핵심은 1차적으로는 부모와 자녀간의 순수한 자애(慈愛)의 효행으로부터 출발하여, 2차적으로는 부모가 삼보(三寶)에 귀의하여 영원히 생사의 고통을 면하고, 불교의 근본 목적인 불성(佛性)을 되찾게 해주는 것이 가장 큰 효라고 하고 있다. 이것은 일생에 국한된 효가 아니라 태어남과 죽음(生死)의 한계를 넘어서 지극한 천도(薦度)를 통해서까지 부모님을 구제하는 데까지 효의 영역을 확대하여 적용시키고 있다. 그리고 또한 불교경전에서 교설되고 있는 효행(孝行)은 부모의 자애와 자녀의 공경을 함께 언급한 수평적이고 상호적으로 평등한 효행이라는 점과 연기법에 의해 일체중생에게 평등한 효도를 행해야 한다는 것이 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부모와 자녀간의 특권의식이 없는 서로 존중함과 배려심이 있는 평등한 관계를 전제로 했을 때 가능하다. 따라서 불교의 효는 만인에게 평등하고 보편타당한 수평적 교설이라는 것과 아울러 불교 효 윤리가 추구하는 궁극적 가치는 깨달음의 윤리인 선(善)의 추구를 통해 일체 모든 중생들이 8만 4천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불성을 회복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성경적 효윤리체계에 의한 요나단의 효 분석 -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박철호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2010 장신논단 Vol.0 No.39

        지금 한국 사회는 가족체계의 위기 시대라 할 수 있다. 이혼이나 가출 그리고존속 상해와 살해 등에 의해 가족 해체 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자녀들에 의한 부모 유기나 상해 그리고 살인의 문제는 한국 사회의 윤리적 기초가 균열을 일으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모든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친밀하고 가까워야 할 부모 자식 간의 관계가 상해나 살인으로 붕괴되는 현상은 그 동안 부모 자녀 관계를 지탱해온 윤리체계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의미에서 특히 여기서 관심을 갖는 것은 그 동안 한국 사회에 만연한 유교적이고 가부장적이며 권위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한 효윤리이다. 유교적 가부장적 효윤리는 부모 자녀 관계를 억압적이며 자녀의 순종만을 강조하는 편협한 윤리 의식을 지배하였다. 이제 이러한 억압적이고 편협한 효윤리를 보다 상호 관계적이고 복합적인 효윤리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경적 효윤리 체계는 바로 이러한 유교적 가부장적 효윤리를 대체하는 현대 한국 사회의 새로운 효윤리라 할 수 있다. 성경적효윤리체계의 네 가지 변수 즉 순종, 친애, 존속 그리고 대리는 서로 상호 작용하여부모 자녀 간의 상호 관계적이고 복합적인 성격을 제대로 반영한 효윤리체계를 구성한다. 여기서 순종은 부모의 뜻을 받드는 것이고 친애는 자녀는 부모에 대해 지지하면서 또한 요구하여 상호관계로서 친밀함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존속은부모의 안녕을 위해 부모의 의식주을 자녀가 책임지며 가문을 지속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마지막으로 대리는 자녀가 효를 행하되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즉 성령의 인도함으로 효를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성경적 효윤리체계에 비추어제대로 이 네 가지 변수를 가지고 효를 행한 인물을 성경 속에 찾아보면 사무엘상에 등장하는 요나단이다. 요나단은 아버지 사울의 권위를 세우기 위해 자기 목숨까지 내어 놓고 순종하였다. 또한 아버지를 위해 용감히 싸웠으며 또한 필요한 경우 주저없이 직언으로아버지에게 진리에 따를 것을 요구하던 철저히 친애의 효를 실천하였다. 그리고 아버지의 생명과 가문의 유지를 위해 최후까지 아버지 사울을 따라 갔던 요나단은 존속의 효의 실천가라 할 수 있다. 요나단은 이 모든 효행은 바로 성령에 순종하여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려는 대리의 효를 그가 깨달았기에 가능하였다. 결국 오늘날 한국 교회는 이러한 요나단의 효를 본받아 성경적 효인 순종, 친애, 존속, 대리의 효를실천하는 의지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영성발달과 유교적 영성의 효(孝) - Ken Wilber의 통합이론과 긍정청소년개발모델의 적용 -

        천정웅 한국효학회 2016 효학연구 Vol.0 No.24

        본 논문은 유교적 영성으로서의 효와 청소년의 영성적 발달과의 관계를 최근 영성연구에서 대두되는 Ken Wilber의 통합이론과 청소년분야에서 발전되어온 긍정적 청소년발달(positive youth development)모델의 관점에서 접목적으로 고찰한다. 켄 윌버가 인간발달에 관한 여러 학자들의 이론들을 종합하여 제시한 통합이론모델은 유교적 영성으로서의 ‘효’의 목적을 달성하고 실천방법을 찾기위한 분석틀로 활용할 수 있다. 칸다는 윌버의 통합모델을 청소년발달에 대한 전통적 유교관에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유교원리와 상응하고 있다고 보고 유교사상의 효에 대한 관점과 비교하면서 전통적 효, 성찰적 효, 전일적 효, 일원적 효 등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긍정적 청소년개발 모델의 관점에서는 유교적 영성으로서의 ‘효’는 청소년의 긍정적 성과를 위한 하나의 자원이며, 정체성 발달에 기여하며, 청소년기의 강점측면으로, 지역사회와 연결해주는 것인 동시에, 위기에 처한 청소년들에게는 더욱 필요한 실천으로서, 청소년의 문제와 위기상황에 대한 치료적 개입으로서 효과를 갖고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긍극적으로 효는 청소년들의 영성적 자기수양을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며 동시에 사회구성원들은 물론, 자연의 모든 생명체들과도 책임감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relationships between filial piety(hyo; 孝) as a Confucian spirituality and spiritual development based on the application of Ken Wilber's intergral model and positive youth development model as an analytic framework. Ken Wilber's integral model as suggested with integration of many human development theories can be utilized for the stud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filial piety to find a method for practices. Although Wilber's integral models do not correspond exactly to traditional Confucian views of development, Canda views it as an exact parallel to the Confucian principles and simplified into four stages of spiritual consciousness development as conventional filial piety, reflective filial piety, holistic filial piety, and unitary filial piety. Also, for the positive youth development model, the filial piety can be reviewed as a resource of positive outcomes, contributable element for identity development, a strength aspect for the youth, a connection to community, a meaningful practices for at-risk youth, and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youth problems. Ultimately, filial piety can serve as a vehicle of spiritual self-vultivation for youth that enables them to engage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society and all in the nature.

      • 부모의 효(孝)교육이 청소년 교육문화에 미치는 영향(3) - 전통적인 효문화와 현대적 효문화의 수용 정황을 중심으로 -

        김황기 ( Kim Hwang-ki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8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2 No.-

        근세에 이르면서 우리나라는 서구사상이 범람하고 산업화되어 과학화, 정보화 시대로 급격히 변화하면서 우리의 생활은 아주 편리해지고 진보된 점이있다. 그러나 우리의 효문화에 대한 인식과 가치관이 아주 희박해져가고 있다. 이는 이 시대에 필요한 올바른 가치관이야말로 우리의 조상 대대로 뿌리 깊게 이어져온 전통적인 ‘효’문화 사상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국적인 효문화의 뿌리에서 비롯된 것으로, 유교, 불교, 기독교를 모두 포함한 통교적(通敎的)인 것이고, 수 천 년 전의 역사로부터 현대에까지 이르는 통시적(通時的)인 가치관이라고 할 수 있다. 효는 부모님에 대한 공경과 형제사이의 우애와 가족 간의 화목이며 나아가서는 타인에 대한 배려와 사랑인데, 특히 우리의 전통적인 효 문화의 실종은 인성 교육의 상실로 연계되어 청소년 비행이 매년 증가하고 흉폭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근본적으로 효행교육의 부실로 인하여 가정이 해체되고 독거 노인이 늘고 노인 자살률이 OECD회원국 중에서 1위라는 불명예는 우리의 가정교육과 학교교육 그리고 사회 교육이 소임을 다하지 못하고 국가의 교육정책이 부실하기 때문이다. 날로 심각해지는 청소년 비행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중의 하나는 가정에서부터 이루어지는 부모 교육과 학교교육으로 연계하고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뿌리인 효사상과 인성교육을 중점적으로 시행하고 사회교육에서도 교육의 근본을 망각한 윤리와 도덕이 사라진 병든 우리사회를 치유하고 전도된 가치관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성장에 맞는 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국가정책으로 효문화 교육을 실행하여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효문화와 효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케 하고 새로운 인성교육관을 재정립하는 일이 어떤 국가정책보다도 시급하다고 본다. 이일의 성취를 위하여 전통적인 효 문화와 효행 교육의 효율적 시행을 위해서 우리의 전통문화인 효 교육과 인성교육을 현대와 조화시켜 가정과 학교와 사회 윤리를 재정립하는데 이를 바탕으로 한 방안이 반드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요컨대 본연구의 목적은 가정, 학교, 사회가 일관되는 효교육으로 청소년 교육에 절대로 도움이 되게 하는 올바른 효문화 교육을 위하여 가정, 학교, 사회로 일관되게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을 국가정책으로 연계시켜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As we move into the modern era, rapid changes have occurred through industrialization, scientification and informatization as Western ideas have flooded into Korea, while our lives have become very convenient and advanced. However, our perception and values regarding the filial piety culture are diminishing. The upright values necessary for this age can be found in the traditional cultural ideology of ‘filial piety’ that is deeply rooted in the Korean ancestry. Rooted in the Korean filial piety culture, it is a diachronic value that spans from several thousand years ago to the modern era, and it is embraced by all religion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Christianity. Filial piety is the respect for parents, affection between siblings, harmony between the family, and furthermore, consideration and love for others. The disappearance of our traditional culture of filial piety is linked to the loss of character education, causing juvenile delinquency to increase and aggravate each year. This phenomenon is fundamentally a result of poor filial conduct education, which causes broken families, increase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the dishonour of the highest suicide rate of the elderly in OECD countries. This is because of the failure of domestic upbringing,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and poor national education policies. One of the best ways to solve teenager issues that are worsening each day is to link parental education at home with school education, and to emphasize character education and the ideology of filial piety, which is the root of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To restore the reversed values and to heal this sick society, where the foundations of education have been forgotten and the morals and ethics have disappeared, social education must develop filial piety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the growth of teenagers, and to implement filial piety cultural education as a national policy. Therefore, more than any other national policy, it is of upmost urgency to have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culture and filial piety education, and to reestablish a new paradigm of character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we must draw up measures to reorganize ethics in the home, school and society by balancing traditional filial piety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filial piety culture and filial conduc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ongly argue that filial piety education should be consistent in the home, school and society for correct filial piety culture education that is absolutely beneficial to teenage education, and that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should be linked by national policy.

      • KCI등재후보

        노인소외의 대응방안으로서 孝弟의 성찰 - 인간소외의 치유를 전망하며 -

        이선경 한국효학회 2018 효학연구 Vol.0 No.27

        이 글은 한국사회에서 물질적 심리적 두 측면에서 모두 진행되고 있는 노인소외 심각성을 지적하고, 사상적 측면에서의 원인과 대응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한국사회는 2017년 예상보다 빨리 고령사회로 진입하였으나, 노인 빈곤률 50%, 노인 자살률 연속 세계 1위와 같은 부끄러운 민낯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일정부분 전통적 가치관의 붕괴와 새로운 가치관의 미성숙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이는 결코 개인의 차원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보다 근원적으로 한 사회나 국가를 이끌어가는 가치관의 혼란에 기인한다. 따라서 향후 한국사회를 이끌어갈 인도주의적 가치관의 모색이라는 거시적 전망 속에서 노인소외의 문제를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글은 이러한 차원에서 수 천 년 간 유교사회를 이끌어온 효제(孝弟)의 가치관을 다시 성찰하였다. 가족윤리에서 출발하여 사회윤리로 확산되는 효제의 원리는 오늘날 비판적 성찰이 동반되어야 하지만 동시에 유교문화권이 보유하고 있는 전통적 자산이기도 하다. 효제의 가치관 속에서 노인은 생물학적 약자가 아니라 자손들의 생명의 근원이자 가족화합의 구심점으로 존중된다. 효제는 인간의 보편적 정서에 기반하는 덕목이라는 점에서 오늘날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효제는 가족윤리를 기점으로 하므로, 효제의 가치가 원만하게 구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상생적인 가족관계의 모색이 요청된다. 한 사회의 건강성은 법체계뿐 아니라 구성원들의 도덕적 자각과 실천을 통해 유지되는 것이라 할 때, 새롭게 정비된 효제의 가치와 윤리는 가족의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 공동체로 확산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사회적 정책과 제도 역시 효제의 가치관을 중심에 두고 이를 실현해 나갈 것을 목적으로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효제의 확산은 노인소외뿐 아니라 인간소외를 치유하여 인도주의적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방안의 하나로 제시될 수 있겠다. This paper reveals that the alienation of old people in Korea, which has unfolded from both mater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reaches serious proportions. It also attempt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alienation and looks for its solutions. Sooner than expected, Korea entered an aged society in 2017. In that year, the poverty ratio of households with aged people reached 50%, and the suicide ratio among senior citizens was the world leader along with the previous years. I believe that these negative effects of alienation partly stem from the destruction of the traditional sense of values and the immaturity of the new sense of values. Here what causes the problem has to do with the dismantlement of value systems on the level of society or country as opposed to that of individuals. Thus, the problems involving the alienation of old people have to be approached from a wide perspective such as humanitarian value systems that will lead the future Korean society.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value of xiaoti (孝悌, filial piety and fraternal love), which has dominated Confucian societies. The value of xiaoti develops into societal principles from familial ethics. In this respect, it works as a good foundation for a humanitarian community. In the community based on xiaoti, old people are not neglected as biological weaklings; rather, they are highly respected as the origin of the future generations and the focal point of familial unity. The value of xiaoti needs to be reevaluated today in that it is rooted in universal human emotions. Also, since xiaoti starts from familial ethics, co-prospering relationships must be established among family members to realize the value of xiaoti. The soundness of a society is due not only to the maintenance of its legal system, but also to the moral awareness and practice of its members. In this sense, the reevaluated principle of xiaoti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familial level but expand to the social level. In this paper, I argue that social policies and institutions must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xiaoti, while illustrating the effects of such practices with several examples.

      • KCI등재후보

        은대 가족주의와 효문화 검토

        김덕균 한국효학회 2017 효학연구 Vol.0 No.25

        보통 종법제도의 확립은 주나라를 기점으로 말하지만, 사실 그 단초는 이전 사회였던 은나라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종법제도는 가족주의와 가족문화를 발달시킨 중국문화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 중국 효문화의 시발점도 이런 은나라의 종법주의나 가족주의가 뿌리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은나라 시대 효개념의 단초라 할 수 있는 조상숭배로서의 제사는 순수 인간본성의 자연성에 근거한 선조 숭앙, 노인 공경, 부모 봉양의 의미보다는 통치자의 정통성 확보와 정당화를 위한 정치적 도구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훗날 말해지는 효개념과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조상제사 문화가 계층간의 명확한 구별을 전제로 한 종교적 행위이자, 정치질서를 위한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었으므로 그 제사행위는 일반인의 일상적 삶이나 내용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강력한 봉건질서의 이면에 종법제도가 있고, 또 그것을 가능하도록 만든 것이 조상숭배였고, 거기서 비롯된 것이 효개념 이라고 한다면 ‘효’는 대단히 정치적 의미일 수밖에 없다. 제정일치사회의 권위적인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로 효가 활용된 것이다. 따라서 은대 갑골문에 부모공경의 의미를 담은 ‘효(老+子)’란 글자가 보이지 않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일 수 있다. 대신 정치적 의미가 담긴 ‘효(封+子)’개념이 나왔던 것이다. 결국 은나라시대 ‘불효’가 무엇보다 큰 죄악이 되었던 것도 이같은 효개념의 정치적 속성과 직결된다. 정리하자면 은대 조상제사는 통치권력 유지에 필요한 순종, 복종의 정치적 의도에서 나왔고, 『설문해자』에서 말하는 아들이 노부모에게 봉양 잘하는 것과 같은 의미의 자연적 효개념과는 거리가 있었다. 효개념이 부모에 대한 사랑이나 공경심의 발로로 조상제사 의식이 나온 것이 아니라 적어도 가부장적 질서를 기반으로 하는 봉건 통치질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사회적 요청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The beginning of the Clan Rules system usually refers to the state of the Zhou(周) Dynasty. But its roots can be found in the Yin(殷) Dynasty. The law system is a prototype of Chinese culture that developed familism and family culture. The starting point of the Hyo(孝, Filial piety) culture in China is also rooted in the Clan Rules and familism. However, the beginning of the concept of Hyo in the Era of the Yin Dynasty is not the meaning of elderly reverence and parental respect based on the natural nature of pure human nature. It was a political tool for the legitimacy and justification of the ruler. It was a religious act and an expression of a strong commitment to the political order. The sacrifice was far from ordinary life or contents. There is a system of law behind the powerful feudal order, and it was the ancestor worship that made it possible, and the idea stemming from it was the efficacy concept. The first concept of Hyo was very political. The notion of efficacy is used to maintain the power of the constitutionally conscious society. Therefore, it is a natural result that the word 'Hyo (老:elder + 子:young)',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parental honor, is not seen in the Yin Dynasty. Instead, the notion of 'Hyo (封:feudal+子:young)', which contains political meaning, came out. An unfilial came from this background and became the greatest sin.

      • KCI등재

        『춘추번로(春秋繁露)』에 나타난 효(孝) 담론

        이연승 ( Lee Youn-seung ) 퇴계학연구원 2017 退溪學報 Vol.142 No.-

        효는 중국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중심적 가치로서, 시대에 따라 그 함의를 넓혀왔다. 선진 시기의 제자백가들 가운데 공자와 맹자가 특히 효에 관하여 풍부한 논의를 전개했고, 전국 말에서 전한 초기 사이에 등장했던 『순자』와 『효경』 등에서는 점차 제국의 형성을 염두에 두고 효를 논의하는 경향이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유교가 점차 제국의 지배이념이 되어갔던 과정에서 중요한 시기인 전한 무제기에 활동했던 동중서의 『춘추번로』에서 효라는 주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띠고 있을 것이라 짐작된다. 본고에서는 『춘추번로』에 나타난 효 담론을 고찰해보았다. 먼저, 동중서의 효 담론이 가지는 이론적인 특성을 음양오행론에 입각한 효의 이해라고 파악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서술하였다. 둘째, 『春秋繁露』, 「爲人者天」 편에서 『孝經』의 중요한 문구들을 설명하고 있는 양상을 다루며, 그 인용의 의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천자의 제사론에서 하늘에 대한 천자의 孝라는 이념이 중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춘추번로』의 효 담론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한편으로는 우주론적 차원에서 효가 재해석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천자의 제사론이라는 맥락에서 효 이념이 동원되는 등, 제국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서 효에 대한 다각적인 관심과 논의가 진행되어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lial piety(孝, Xiao) was a central value i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the term Xiao(孝) appeared from the early Zhou(周), when it referred to ritual service to deceased parents. In Confucius’ Analects, the concept of Xiao included the relationship with living parents, for example, feeding parents with deep respect. Confucius and Mencius were the representative thinkers who most seriously discussed on filial piety during the pre-Qin period. The Xunzi(『荀子』)of the late Warring States developed some new aspects of filial piety, and we may characterize them by so-cialization or politicization of filial piety. This paper examines the discourse of filial piety in Chunqiufanlu(『春秋繁露』). Firstly,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 of Dong’s discourse on fili-al piety is the theory of Yinyang-Wuxing(陰陽五行). Secondly, Dong was well acquainted with the Book of Filial Piety, and we found out that the entire chapter of ‘Weirenzhetian(爲人者天)’, the 41st chapter of Chunqiufanlu was the quotation and interpretation of some important parts of the Book of Filial Piety, and Dong especiall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a monarch when he commented these passages. Lastly, the idea of the filial piety has a central meaning in Dong’s theory of sacrificial ritual to Heaven(郊祭) offered by the Son of Heaven(天子). This study has shown that filial piety became to be settled within the cosmology of Yinyang-Wuxing, and also was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