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전통문화 속의 효 사상

        심우섭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09 儒敎文化硏究 Vol.- No.14

        효는 한국인들이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윤리적 덕목이요, 미풍양속이다. 교육학 적 안목에서 보면 효는 직접적인 인격과 탁월한 지혜를 획득하는 방법적 원리이다. 따라서 효가 직접적으로는 인격교육의 방법론적 원리가 되고 결과적으로는 지혜를 획득해가는 원리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효 교육사상은 고대 한국인의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계승하고 있는 한국인의 미덕이며 전통교육사상인 것이다. 경제적 풍요를 목표로 하는 산업화의 외길만 달려온 현대사회는 인간성의 상실과 퇴폐풍조를 만연시켜왔으며 전 세계 인류사회가 인간다운 행동보다는 비리와 부정 과 폭력이 공공연히 자행되고 있다. 이처럼 문명과 과학, 경제 및 산업화 등의 고도 발달로 인해 물질적 풍요는 이루었지만 정신적 문화적 황폐는 치유할 수 없는 병적 인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현대사회는 서구적 사유방식과 사회제도에 의거하여 생활하고 있으나 병리현상은 더욱 심각해지게 된 것이다. 효는 앎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태도이다. 부모가 자녀를 사랑하고 자녀가 부모를 친애(親愛)하며 공경하는 것은 인륜에 앞서 천륜(天綸)이다. 효는 인간의 생명에서 우러나는 도리로서 생리(生理)이며 성리(性理)이다. 즉 효의 원리는 생명 그 자체에 뿌리박고 있는 것이다. 효행은 시대와 환경과 처지에 따라 변하지만 효심은 국가 사회에 많은 영향을 주어 가정윤리와 사회윤리 그리고 국가윤리에 지대한 공헌을 해온 것이 사실이다. 효는 인도정신의 각성이며 인간 동질성을 회복하는 길이요, 세계 공동체의식을 진작하는 요도(要道)이기에 세계인류인 모두에게 있어서 진정한 효행이야말로 갈등과 분열과 투쟁의 시대를 화합과 협동과 평화의 세계로 이끄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효는 선진유가의 인격교육에서의 자연스런 방법적 원리이다. 성리학파에 따르면 효 사상이란 인격 확립의 방법적 원리이자 이(理)를 궁구(窮究)해 나가는 근거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인들이 현대에 있어서도 가장 소중한 덕목으로 또한 미풍양속으로 효를 중시하는 까닭은 유가의 교육학사상이 일찍이 우리문화에 유입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조상을 숭배하고’ ‘인격을 중시’하는 한국인의 문화 전통과 맥을 같이 하고 있기 때문이라 하겠다. 또한 성리학파의 교학사상은 효의 본질인 인격 확립의 교육방법론으로 채택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궁구해가는 인식론으로까지 그 의미와 가치를 높여주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대 한국인의 효 교육사상을 조명해 볼 때 인간관계적 효 교육사상은 21세기를 맞이하고 있는 현대에 있어서도 그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한국인의 전통교육사상은 현대에 있어서도 보편성을 지니고 있는 탁월한 교육사 상이라 하겠다. 따라서 한국인에 있어 효는 가장 중시하는 덕목 또는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미풍양속을 넘어 현대에 있어서도 인격교육의 방법론과 지혜론으로써의 그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격을 중시’하고 ‘조상을 숭배’하는 한국인의 오랜 문화전통을 이어 받고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우리사회에 대두된 가장 큰 문제는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는 점이다. 가정에서의 자녀교육의 실종, 청소년들의 타락 등 오늘날 우리가정이 총체적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유교윤리의 붕괴, 전통가치관과의 단절로 ...

      • KCI등재후보

        수용자에 대한 “효”관련 사회적 처우 교정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천정환 한국효학회 2011 효학연구 Vol.0 No.13

        오늘날 패륜범죄를 포함한 형법상의 범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증 가된 범죄에 대응하기 위하여 형사 사법관련기구와 예산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범법자에 대한 교화와 재범방지를 줄이기 위하여 교정본부는 수용자에 대 하여 시설내 처우와 사회적 처우 및 사회내 처우 교정 프로그램을 단독 또는 민관 합작의 제3섹터(sector) 방식으로 교정 공공재를 생산해 오고 있다. 수용자에 대한 교화 서비스의 생산은 원칙은 교정 관료체제하의 생산인 점에서 교정 공공재적인 성격을 띠는바 이러한 교정 공공재의 전통적인 생산은 교정 시설내 처우 프로그램 에 의하였다. 교육형 주의와 목적형 주의로 교정이념이 변천 되어감에 따라 그러 한 시설내 프로그램외에도 사회적 처우 또는 사회내 처우 교정 프로그램의 중요성 이 부각되게 되었다. 여기에서 수용자에 대한 사회적 처우 교정 프로그램은 교정 시설내외에서 수용자가 사회적 자원과 연결되어 교정 공공재를 생산하는 프로그램 을 말한다. 이러한 사회적 처우 교정 프로그램에는 귀휴 같은 효 인지적 관점을 내포한 교정 프로그램과 개방시설에 의한 처우같이 효와 무관한 사회적 교정 처우 프로그램이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논문의 주제에 맞게 수용자에 대한 사회적 교정 처우 프로그램중에서 효 관련 사회적 처우 교정 프로그램의 종류와 내용을 살피되 그전에 기본이론으로서 수용자 개념론과 사회적 처우론, 교정이념론을 논 술하였다. 그리고 효 관련 사회적 처우 교정 프로그램의 내용을 살펴 본 다음에 현재 실시되고 있는 그러한 사회적 처우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효 인지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효 인지적 관점에서 발전방안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결론에서 효 인지적 관점의 강화를 위한 사회적 처우 교정 프로그램의 필요성 등을 다양한 학제적 방 법을 통해 사견으로 지적하였다.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 the number of the criminal violence crime in korea including the crime of a lineal assendant has increased gradually. As it turned out, the korea correctional administrative headquarters has executed social treatment correctional program for criminal prisoners including the crime of a lineal assendent in response to the new educational correctional service producing ideology instead of the retribution penal ideology which had dominated for a long time. These social correctional treatment program for resocialization of prisoners can be classified into two main groups : HYO related one and non HYO one. Temporary release of a prisoner for maintaing family relationship, parents school in the prison, and family love camp are grouped into the same HYO related socoial correctional treatment program. Little is Known about HYO related social correctional treatment study. Firstly, in the article, I would like to give an account of what was writed up about HYO related social correctional treatment program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In the second place, I would like to explore the problems of HYO related social correcitonal treatment program from the standpoint of HYO cognitive view and insist on the alternatives in view of the path-breaking aspect through the HYO cognitive contents about social correctional treatment program. HYO cognitive social correctional treatment program for resocializtion of prisoners was the conclusion I have come to asserting.

      • KCI등재

        경(敬)과 유교의례(儒敎儀禮)로 본 효(孝) 실천과 유교적 영생의 길

        강보승 ( Kang Boseung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4

        유교가 효(孝)를 강조하는 것은 유교가 지향하는 인(仁)의 함양과 밀접히 관련된다. 인은 나와 가장 가까운 존재인 부모와의 관계, 곧 효에서 싹트고 발전하여 천하에 미친다. 이러한 관점에서 퇴계는 『성학십도』에서 효 실천을 통한 인의 실현을 말하면서 효가 인간의 도덕본성에서 자연스럽게 발출되는 행위임을 보이고 있다. 또한 경의 자세 유지를 인 함양과 효 실천력 제고의 관건으로 보고 경을 통한 인 함양과 효 실천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율곡은 『성학집요』를 통해 효가 부모에 대한 섬김은 물론, 장례와 조상에 대한 제사까지 포함하여 넓은 범위에서 작용하는 유교 사상의 핵심임을 말한다. 특히 부모님께 받은 신체를 잘 보존하는 것을 효 실천에서 가장 유념해야 할 것으로 보았으며, 보모를 공경하고 신체를 보존하는 원칙으로 경을 제시하였다. 효 실천에는 경을 통한 개인적 노력뿐만 아니라 의례라는 공동체적 규범이 필요하다. 유교의례는 효 실천을 확산하고 추동하기 위한 외적인 힘이다. 관혼상제로 대표되는 유교의례의 목적은 근본이 되는 사랑[仁]과 공경의 마음을 합리적인 형식으로 표현해 냄으로써 효를 실천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도덕적 완성을 추구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조선조 성리학자들은 번다한 의례보다는 일상에서 경을 기반으로 효를 실천하는 『소학』을 중시하였고, 가정과 공동체에서 의례 실천은 『주자가례』를 준용하였다. 아울러, 유교에서 효는 본성의 자연스러움을 따라 조상과 부모로부터 시작해 ‘나’를 거쳐 자손만대로 이어지는 영생의 길이다. 효는 나로부터 시작해 부모와 조상을 경유하여 하늘에 이르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방법이자 구원의 문이다. 또한 공동체와 자연 만물에까지 인(仁)을 확산하여 천지 만물과 일체가 되는 조화의 시작이다. 그리고 효 실천을 통한 인의 추구는 유교적 영생의 본질이 육체의 영속을 넘어 ‘도(道)’의 영속이자 인간 본성의 영속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영생은 육체뿐만 아니라 인간의 본질인 성(性), 특히 인(仁)을 자손에게 온전히 전달함으로써 가능하며 그 시작이 바로 효이다. 경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적 차원에서 인의 함양과 효의 실천, 그리고 유교의례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 차원에서의 효 실천은 인류의 영생과 구원을 위해 유교가 제시한 길이다. Confucian Humanness arises and develops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closest to him and spreads to the world. Thus, Confucian filial fit is the closest and easiest way to cultivate Humanness. And when cultivating Humanness through a filial fi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regenerative attraction. In Ten Diagram on Sage Learning, Toegye systematically presented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and how to practice referential attraction. In his Essentials of the Sage's Learning, Yulgok emphasized the practice, meaning, and the preservation of the body through the principle and meaning of the filial fit. Confucian rituals is a process and procedure for practicing filial piety. Humanness spreads socially through Confucian rituals. In particular, the practice of Confucian rituals requires a attitude of revival. Confucian rituals provide an opportunity for individuals or families to practice filial piety and regenerative attraction to foster humanness and spread it to society. The Filial fit and Confucian rituals are also plans for Confucianism for eternal life.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that does not recognize the afterlife, one can maintain physical and mental permanence only through one's children. Therefore, preserving one's own body and respecting one's parents' wishes become the core of the filial pie. And offspring are followed and ancestors are remembered forever through Confucian rituals. Currently, Filial piety and Confucian rituals are in serious danger of collapse because of the loss of balance between meaning and form, and the conventionalization of form. In particular, if Confucian rituals loses their intrinsic value and spirit and only forms remain, faith in ancestors and families,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rituals will weaken, making it difficult to expect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and cultivation of humanness. Changes in the meaning, purpose, and format for realizing the objectives of Confucian rituals should be harmoniously combined.

      • KCI등재후보

        ‘보편화 가능성의 효 체계’로 분석한 누가복음 15장(탕자의 비유)에 나타난 효 연구

        최남운 한국효학회 2011 효학연구 Vol.0 No.13

        1995년 시작된 최성규 목사의 성경에 바탕을 둔 효 운동은 윤리학적 접근을 통해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체계를 정립하여 효를 보편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신약성경 에베소서 6장의 내용을 토대로 박철호 교수는 동서양에서 강조하고 있는 공통적인 효 개념을 추출하여 상호복합적인 관계 속에서 순종, 대리, 친애, 존속의 4가지 변수를 통해 효 윤리체계를 정립했다. 이 윤리체계를 통한 연구를 가속화하고 심층화 하기위해서는 성경에 나타난 본 문들을 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보편화 가능성의 윤리체계로 재설명해 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신약성경에서 예수께서 직접 비유를 들어 가르치신 누가복음 15장의 비유를 보 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체계를 통해 연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탕자의 비유에 나타난 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는 아버지의 크고 넓은 사랑, 즉 용서와 긍휼이 반역하고 떠난 아들의 참회와 회복으로 나아오는 힘으로 작용했다. 즉, 아버지의 끝없는 사랑은 실패와 좌절 가운데서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과 용기를 제공해 주는 근원이 된다는 것이다. 누가복음 15장의 탕자의 비유에는 친애적인 아버지의 효가 두드러지게 드러나고 있으나 순종, 대리, 존속의 효는 모두 매우 빈약하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이 부모 자녀 간의 관계가 회복될 수 있었던 것은 아버지의 친애적 효가 바 탕이 된 자녀와의 인격적인 대화라고 파악된다. 현대사회의 다양하고 복잡한 가족 구성원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편은 부모의 친애적인 사랑이 바탕이 된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라고 분석된다.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을 통한 관계회복은 하나님의 선교명령에 순종하는 중요한 사안이라 여겨진다. Rev. Choi's Hyo(filial piety) movement based on Bible, began in 1995, has established Hyo-ethic system through Ethical approach, thus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wide spread of filial piety. Hyo-ethic system has rooted from Ephesians Chapter 6, and has extracted the concept of a common Hyo from tradition of the East and West. It has the complex system of four parameters; obedience, agency, affection, and perpetuity. To accelerate and deepen these studies, it seems necessary that analyzing context in Scriptures in terms of Divinity, as well as explaining ethic systems which have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In Luke chapter 15 of the New Testament, Jesus directly taught the parable from which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derived in terms of the ethic system that has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In the parable of lost son, the father and son relationship, based on love, compassion, and forgiveness, has functioned as the power of retrieve; the left and treason son had to do penance and to react to the return. In other words, father's endless love amid the failure and frustration provides strength and courage to get his life back. The parable of the lost son in Luke chapter 15 shows father's affection prominently, but very little obedience, agency, and perpetuity can be found. Nevertheles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on could be restored through personal conversation based on the father's affection-hyo. To minimize conflicts between family members in the diverse and complex society, it is essential to have effective communication based on affection of parents.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through parent-child communication has a high priority in obeying God's missionary command.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청소년자녀를 위한 성경적 효교육

        박행님 한국효학회 2011 효학연구 Vol.0 No.13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교육의 현장과 한국 교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고히 정립하는 동시에 한국사회의 일원으로서 건강하게 적응하고 성장 하도록 도와야 하는 것은 한국사회와 교회의 책임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의 청소년들로 하여금 한국사회의 일원 으로서, 또 교회의 구성원으로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성경적 효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결정적 시기에 있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에게 한국문화의 기 저를 이루고 있으며 한국사회가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여겨온 ‘효’에 관해 교육하는 것은 한국사회 적응과 한국국민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을 지원하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성경적 효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성경적 효에 대한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의 생활문화와 가치규범에의 적응과 그를 통한 한국국 민으로서, 또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바른 정체감 확립’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를 위한 성경적 효교육의 목표는 부모 공경을 통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는 법을 배 우게 하는 것, 부모를 공경함으로써 어른을 섬기며 가족을 사랑하게 하는 것, 부모 공경의 효가 이웃사랑과 나라사랑으로 확장되어 실천되도록 하는 것, 그리고 효의 정신이 자연보호와 인류봉사로 확장되어 실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곧 성경적 효교육의 내용인 대리의 효, 순종의 효, 친애의 효, 존속의 효로 연결된다. 본 연구 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경적 효교육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내용을 바탕으로 다문 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성경적 효교육의 방법을 구상하고 실천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한 정체성 형성과 성경적 가치관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putting down roots as important members in education field and Korean church. Now, it becomes the responsibility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to help to establish identity of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firmly and to adapt and growth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as a device for helping adaptation of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Adolescence is a critical period for formation of identity. Hyo(filial piety) education for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the effective way for support of adaptation in Korean society and formation of identity. Because of Hyo(filial piety) is the basis of Korean culture and core of human education of Korean society. The ultimate goal of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for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the adaptation in Korean life culture and the standard of value and the identity formation as the Korean people and people of God through the right understanding of biblical Hyo(filial piety). And the objectives of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are to learn the fear of God through the respect for parents, to love families and to care the elderly on the basis of the respect for parents, to love neighbors and nation, to protect nature and to serve mankind as a extension and practice of Hyo(filial piety). These objectives are connected directly with the contents of Hyo(filial piety) education, that is Hyo of representation, Hyo of obedience, Hyo of affection, Hyo of continued existence. The plan and practice for the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goal, objectives and contents of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is respected to contribute to the identity 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biblical values for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효의식과 효행에 관한 실증적 연구

        채경선 한국효학회 2011 효학연구 Vol.0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전통적인 효 의식에 대한 조사와 함께 현대적 의미의 효와 관련된 행동들에 대한 실천의 문제 에 초점을 맞추어 효 실천을 조사하였다. 또한 효의식과 효행과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학교, 가정, 사회에서의 효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를 살펴보면 첫째, 초등학생들의 전통적인 효 의식은 고등학생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효를 인간이 지켜야 할 기본 도리로서 생각하고 있었으나 효 실천에서 는 효 의식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효 교육을 학교에서 받는다고 가장 많이 인식 했으며 다음으로 가정이었다. 효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은 혜에 보답으로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효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가정, 학 교, 사회가 똑같이 관심을 가지고 지도해야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초등학생들 이 효를 실천하는데 영향을 준 사람은 부모님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선생님, 조부모 님, 친구 연예인 순이었다. 효심이 깊은 사람의 글로벌 리더 가능성에 대해 초등학 생들은 대체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다지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학교, 가정, 사회에서의 현대적 의미의 효 실천 정도를 살펴본 결과 효 의식에 비해 효 실천정도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사회에서의 효 실천은 가정과 학교보 다 낮게 나타났으며 가정, 학교 사회에서 효 교육을 받는 정도 대한 결과는 자주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차원에서의 효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에 대해 개인의 차원이 아닌 사회 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해결해야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효 실천의 확산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사회지도층의 솔선수범, 효 교육 컨텐츠 개발보급과 대중매체 등의 효 관련 보도강화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ilial piety consciousness and the practical filial conduct of 303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ose concrete Data,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educational method for setting up the sound ethical values of the student, to prepare the practical pian in home, school, and social for building a desirable personality and morality.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s follows : The conventional consciousness for filial p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to expressed the result numerically 4.12 out of 5.00 points and the average in 11 items is higher than the investig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but student 17% have consciousness that uneducated for filial piety. The data of practical filial piety in school and home and society show us that the area of society is the lowest (3.48), and home (3.59), school (3.92) in order. The education for filial piety at home is to show the result of average 3.32, and the education for filial piety in a class at school is to show that the result average 3.12. Based on these objective and concrete results, I wish to present the desirable educational method and to make the pratical pians for filial piety.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nsciousness of fility piety and practical filial conduct. Stimulating filial devotion should be created to let students build up their good moral personality by learning to be dutiful to their parents, and every school, family and society should make concerted efforts to spread filial devotion.

      • KCI등재후보

        한국의 전통적 효 사상에 대한 역사적 흐름과 현대적 의미의 효 사상과 실천 방안

        정승윤 한국효학회 2009 효학연구 Vol.0 No.10

        본 논문은 전통적 의미의 효 사상과 현대적 의미의 효 사상을 알아보았다. 시대별 효사상의 특징을 통해서 현대적 의미의 효 사상을 고찰 하였고, 이를 토대로 그 교육적 방법과 실천 방안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This paper analyses the traditional meaning of Hyo and the modern meaning of Hyo. Through the chronicles of Hyo we inspected the the meaning of the modern Hyo thought and discussed the educational way and practical way in this base.

      • KCI등재

        효묘(孝猫)의 출현으로 본 현대 한국의 가족 및 효에 대한 인식

        황지현,김솔이,Max Altenhofen,정기인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9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widespread use of the term 'hyomyo' (孝猫) in the internet, which connects cats with filial piety (hyo), to understand the changing perceptions of family and filial piety in Korea. Filial piety has historically held an important place in Korean society, but both the category of family and the ethics surrounding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have chang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raditional society. Beyond the nuclear family, the propor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skyrocketed, while pets became new family members. From the Goryeo Dynasty, when cats first appeared in literature, to the present day, they have risen in status and became increasingly part of the family. The phenomenon of cats being referred to as 'hyomyo' provides evidence regarding the place of Confucianism and the changing perception of Confucianism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ollects statements related to 'hyomyo', categorizes them into honor, affection, support, and success, and analyzes specific instances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hyomyo'. The results show that filial piety is no longer limited to strict moral obligations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Specifically, we found that filial piety can be expressed in milder forms of affection, such as in everyday interactions with pets, as well as in playful remarks. The phenomenon of 'hyomyo' shows both continuity and expans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filial piety. In terms of expansio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ubjects of filial piety have expanded from children to include pets, and that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has shifted from strict moral obligations to more intimate, everyday interactions. However, filial piety remains the premise behind it, meaning that in terms of continuity, Koreans still recognize filial piety as an expression of mutual respect and affection between family members. This shows that filial piety is at the core of family ethics and serves as a strong pillar in public perception. Filial piety is still an actively used concept today, just evolving with the times. The 'hyomyo' phenomenon represents a cross-section of modern Korean society, where traditional values and modern lifestyles collide and merge. We see this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filial piety positively, as the meaning of filial piety has expanded, allowing for more inclusive and flexible family relationships. Continued research on the long-term effects of this phenomenon on family relationships and ethics in Korean society is needed, especially, in-depth empirical discussions on the social and ethical implications of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filial piety. 본 연구는 고양이와 효를 결부시킨 “효묘(孝猫)”라는 단어가 인터넷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한국인의 변화하는 가족 및 효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효가 한국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해왔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효를 실천하는 단위로서의 가족 윤리는 전통 사회로부터 크게 달라졌으며, 가족의 범주 또한 변해왔다. 핵가족을 넘어 1인 가구의 비율이 급증하는 한편 반려동물이라는 이름하에 새로운 가족 구성원들이 편입되는 현상도 뚜렷하다. 고양이는 처음 문헌에 등장하는 고려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그 입지가 상승하여 가족에 편입되기에 이르렀다. 그렇기 때문에 고양이가 효묘로 불리는 현상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유교가 점하고 있는 위치, 나아가서는 한국인의 인식에 내재한 유교의 형상을 추적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묘(孝猫)와 관련한 발화들을 수집하고 공경, 친애, 봉양, 입신행도로 분류한 후 구체적인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효묘의 존재 양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이제 효는 자식과 부모 간의 엄중한 도덕적 의무에 국한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는 반려동물과의 일상적인 상호작용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가벼운 형태의 애정 표현은 물론 유희적 발언으로 효를 일컫는 사례도 확인하였다. 효묘 현상은 전통적인 효 개념의 연속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확장성의 측면에서, 효의 주체가 인간 자녀에서 반려동물까지 포괄할 수 있도록 확장되었다는 점, 그리고 효의 실천이 엄격한 도덕적 의무에서 일상성을 띠는 친밀한 교류 위주로 변화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효’가 전제되어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연속성의 측면에서, 효는 여전히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 존중과 애정의 표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그만큼 한국인의 인식에서 효가 가족 윤리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강력한 구심점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반증한다. 효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있는 개념으로서, 시대와 함께 진화하고 있다. 효묘 현상은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적 생활 양식이 충돌하고 융합하는 현대 한국 사회의 단면을 보여준다. 효 개념의 이러한 재해석은 효의 의미가 확장됨으로써 더 포용적이고 유연한 가족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한국 사회의 가족 관계와 윤리 의식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효 개념의 확장이 가져올 수 있는 사회적ㆍ윤리적 함의에 대한 심도 있는 실증적인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여성과 결혼이민여성의 효의식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정정애,박영숙 한국효학회 2009 효학연구 Vol.0 No.10

        우리의 전통사상인 효의식을 회복하고 생활화하여 다문화사회에 뿌리내리고 자리매김하는 것은 우리가 마땅히 수행하여야 할 과제인데 다문화사회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에너지와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고 스스로에 대한 성취감과 기대감이 충족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을 고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여성과 결혼이민여성의 효의식과 자기효능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다문화시대에 우리의 소중한 전통생활양식인 효의식을 잘 보존하여 살아갈 수 있는 방법과 여성들의 자기자신에 대한 효능감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하였다. 통계를 통해 한국여성들의 효의식은 결혼이민여성들의 효의식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효의식이 위협을 받고 있음을 보여 주는 근거이므로 한국여성들의 효의식에 대한 회복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다문화사회에서 한국여성들이 효의식에 대한 모범을 보이지 못할 경우 현재 보다 더 심각한 가정의 문제가 우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예방하고 행복한 미래를 위해서는 우리의 아름답고 고유한 전통윤리인 효의식을 한국여성들이 모범을 보일 때 결혼이민여성들이 지니고 있는 효의식이 사라지지 않고 그들의 생활양식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생활 수준이 향상되더라고 효의식이 높아질 수 있는 교육이 시급하다고 본다.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교육과 연습 및 학습을 통한 효의식의 회복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또한 연구분석결과 결혼이민여성들의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온 결과는 이들의 성취감과 자신감 그리고 자신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관심과 지지가 요구되고 이들이 한국생활에 작 적응하여 자신감있는 여성으로서 가정생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앞으로 다문화사회에서 우리의 소중한 생활양식인 효의식을 회복하고 현대사회와 미래사회에 걸맞는 효의 식을 잘 보존하여 살아가도록 하고 여성들이 자기자신에 대한 효능감을 고취시켜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도록 힘써야 한다.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yo consciousness and self-efficiency who are Korean women and marriage immigrants women. I analyzed that how korean's Hyo consciousness different through Korean women and marriage immigrants women. And we consider the relationships between Hyo consciousness and self-efficiency and analyze a influence between the factors. I wish to recover the Hyo consciousness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keep it that is suitable to today's and future society. Also we are looking forward to inspire the efficiency about themselves. This shows through the statistics that Korean women's Hyo consciousness is lower than the marriage immigrant's women. It means Korean's Hyo consciousness is threatened. So it is important to recover that consciousness. It is because if Korean women isn't became the model about the Hyo consciousness, it can be caused the serious problem of family in multicultural society. Consquently, we must prevent this problem and Korean women must model to Hyo consciousness. Then the marriage women will have Hyo consciousness and will preserve it and can be their life.

      • KCI등재후보

        효(孝) 문화의 생활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남근 한국효학회 2008 효학연구 Vol.0 No.8

        우리는 열린 마음으로 새로운 도전을 수용할 것은 수용하고 세계화 보편화하여 효(孝) 문화를 생활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전통문화인 효 (孝) 문화를 창조적으로 발전시켜 전통적 가치를 되살리는 지혜를 발휘하고 생활 화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부모님께 소일거리를 만들어 드리자 둘째, 부모님이 원하시는 곳에 살게 해 드리자 셋째, 노년의 삶을 즐기실 수 있도록 경제적으로 도와 드리자 넷째, 부모님의 건강을 적극적으로 지켜드리자 다섯째, 홀로된 부모님들이 이성과 사귀는 것을 인정해 드리자 급변하는 사회변화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효(孝) 문화가 예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전통적인 윤리의 꽃인 효(孝) 문화를 계승하고, 현대생활에 적합한 새로운 효(孝) 문화가 일상적인 생활이 되기를 바란다. We should accept new changes with open mind to make them globalized and universalized, by which we can make filial piety part of our lives. This article aims to recover traditional values by creatively developing our traditional filial piety culture, and to find the method to make the culture part of our lives. The following are the methods to make filial piety part of our lives First, we should give our parents some diversions. Second, we should have them live where they want to live. Third, we should assist them economically for them to enjoy their lives. Fourth, we should positively keep their health. Lastly, we should recognize that our parent who lost his or her spouse may fall in love with a new partner. A new kind of filial piety culture is now coming into our lives according to the dramatic change of the society. Therefore we are hope to the modern life style in succeeding our traditional filial piety as the essence of our traditional mor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