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寒居 崔后大의 文學世界, 그 日常의 形象에 관하여

        鄭羽洛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2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1

        본고는 寒居 崔后大(1669-1745)의 문학을 통해 隱求型 士林의 문학세계, 그 일단을 밝히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은구형 사림은 官人型 및 方外型 사림과 달리 자연에 은거하면서 내면적 심성을 닦아 천리를 보존하고자 한 사람들로서 성리학적 측면에서 순수할 뿐만 아니라, 정치일선에 나아가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관인형이나 방외형 사림 등 여타의 사림과는 변별되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이들은 주자학에 그 사유의 근간을 두고 이론적 측면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도 하고, 그들 자신의 생활현장을 더욱 가치있는 것으로 보고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나가기도 했다. 한거는 바로 후자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인식하면서 본고는 우선 한거 사유의 근원과 문학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고, 나아가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일상에 대한 다면적 형상을 生活小事에 대한 관심, 자기 수양과 집안 다스리기, 국토유람과 동국문화에 대한 재인식 등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한거 문학의 중요한 일면과 함께 은구형 사림의 상상력의 한 부면을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rough Hangeo(寒居) Choi Hoo-dae(崔后大)'s literature, a part of the literature of Recluse Confucianists(隱求型 士林). Recluse Confucianists, different from Politician Confucianists(who were, or at least wanted to be, in politics) and from Outsider Confucianists(who ignored realities and absorbed in ideals), tried to preserve the laws of nature by cultivating their mind and retired to the hermitages in nature. It makes difference from other Confucianists that Recluse Confucianists, who were pure in the metaphysics aspect, did not go into politics as well. Some of Recluse Confucianists, rooting their thoughts in the doctrines of Chu-tzu, strengthened theoretical aspect; others created new culture putting much value on the site of their life. Hangeo belongs to the latter. On noticing this point, this study examines the origin of Hangeo's thoughts and his recognition of literature, and furthermore, studies the various pictures of daily life in his works: his interest in daily trivial matters, his self-discipline and home management, his pilgrimage of the country and new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se efforts, we can find an aspect of recluse Confucianists' imaginative power along with an important part of Hangeo's literature.

      • KCI등재

        조선전기 사림(士林)ㆍ사림정치(士林政治) 연구의 쟁점과 전망

        김정신 ( Kim Jeong Shin ) 한국사상사학회 2020 韓國思想史學 Vol.0 No.64

        조선전기 핵심 정치세력이라 논해지는 ‘사림’에 대해서는 방대한 연구가 집적되었으며, 많은 핵심적 논제들이 이미 해명되었거나 논쟁이 되고 있다. 1970년대부터 본격화된 ‘사림’·‘사림세력’ 연구는 그 대응 세력으로서 훈구세력을 설정하고, 조선전기 지배세력을 ‘훈구세력’과 ‘사림세력’으로 이분화하는 가운데, 16세기 말 사림세력의 정권 장악을 훈구세력으로부터 사림세력으로의 ‘지배세력 교체’로 간주하고 이를 ‘성리학’과 ‘중소지주의 승리’라고 규정하였다. 이와 같이 훈구세력과 사림세력의 대립이라는 조선전기 정치사의 통설적 이해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비판이 제기되었다. 즉 ‘사림’의 개념이 부정확하게 사용되고 있고, 사림에 대한 설명에 실증적 근거가 부족한 측면을 지적함과 동시에 지배층으로서 훈구·사림의 동질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조선전기, 나아가 한국 지배세력의 장기적 지속성·연속성을 강조하는 가운데 15·16세기의 조선사회 및 정치세력을 너무 정태적으로만 파악하거나 시대의 역사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은 훈구세력과 사림세력을 도덕적으로 준별하는 이분법적인 인식을 지양하면서도 동시에 분명히 존재하고 있는 조선전기 지배층 내부의 정치적 대립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문제의식이 모아지고 있다. 사실로서 ‘사화’가 보여주듯이, 지배층 내부에서 현실 지배질서에 대한 이해를 달리하고, 정치운영의 지향을 달리하여 갈등하고 대립하였다는 것은 분명한 ‘역사적’ 사실이다. 그동안 15·16세기 조선전기는 고려적 유제를 청산하고 중세사회를 새롭게 재편하였던 시대로서 그 역사적 의미가 조명되어 왔다. 조선전기 지배층이 이른바 ‘경국대전체제’의 동요에 맞서, 서로 다른 집권화 방안으로 문제를 수습하고 집권질서를 재정립하려 하였던 것도 큰 틀에서는 중세사회를 재편하고자 하였던 노력의 일환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조선전기 지배층의 갈등과 대립은 단순히 상대방에 대항하기 위한 권력 다툼 차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공히 자신들 내부의 정치질서, 정치운영에 근거를 둔 ‘국가상(國家像)’의 수립이라는 차원에서 진행된 것이었다고 하겠다. 이렇듯 조선전기 지배층이 구상하였던 국가상의 다양한 내용과 면모를 시대적 좌표로서 복원해낸다면, 한국 중세 정치세력·정치사상이 조선전기 사회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변화에 조응하여 발전하고 있었음을 동태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arim (士林), the main political force in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and many of the core issues surrounding this force have been studied in detail or are currently being debated. Research on the Sarim and the Sarim faction that began to take off in the 1970s situated the Hungu faction as the counterforce to the Sarim. This vein of research established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as the ruling power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ccordingly, the Sarim faction’s seizure of power at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has been considered the turning point at which the ruling power passed from the Hungu faction to the Sarim faction. This shift has been described as the victory of neo-Confucianism and small and medium-sized landowners.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early Joseon political history holds up the conflict between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as a manifestation of the confrontational landscape of the political forces at the time. However, this understanding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innately and excessively formulaic and for involving an ethical value judgment. Other perspectives have emphasized the homogeneity of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as both made up of members of the ruling class. These perspectives treat the differences and directions in political thought that arose during this period as arising from differences in the duties of court officials and the Three Offices. These perspective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rise from strictly impartial empirical research techniques. However, they are also problematic in that they understand Joseon society and political powers only from a static perspective by overly emphasizing the long-term persistence and continuity of the ruling pow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by extension, Korea. These perspectives carry the risk of concluding that these ruling groups fully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As such, the focus of the current study on the Sarim faction rejects the dichotomous perception base on moral standard of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examines the polit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factions. As literati purges shows, the two factions ha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ruling order and for this reason came into conflict. This conflict is thus a clearly a historical fact. Thus, the task of research is to provide a dynamic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how political power and thought in medieval Korea were develop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various and dynamic changes taking place in early Joseon society.

      • KCI등재

        기묘사화와 中和論 - 16세기 사림의 신권강화 -

        김윤경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2

        Nowadays, there are various positive and negative views about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conomics and politics through the analysis of Confucian cultures in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se studies often ignore a detailed approach, such as what kind of Neo-Confucian theories have developed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 regarding Confucian discourse in a wider sense. In this paper, it is clarified that Zhonghe-theory(中和論)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refront of the political and moral issues starting from the Gimyo(己卯) Literati Purge in 1519, and, as a result, the Sarim[士林,Neo-Confucian Literati] emerged as a political subject, creating a new political climate in order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Literati.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16th century, the Sarim class attained the status of political subject to educate monarchs and participate in real politics through the Gimyo(己卯) Literati Purge. 2. In the 16th century, Zhonghe-theory(中和論) strengthened the power of the press while checking and criticizing the kingship. 3. In the early Joseon Dynasty, Zhonghe-theory中和論 was used to mean the praying for the virtue of the monarchy, or for the prevention of natural disasters under the theory that the monarch could raise morality based on the idea that God communicates with the heart of human beings. In conclusion, the study of Sarim[士林,Neo-Confucian Literati] politics can be a factor in understanding Korean politics and society today, and will show that the Confucian culture of Joseon was a society that sought to achieve the ideals of the "philosopher king" under Neo-Confucianism. 오늘날 한국의 경제·정치·문화의 특수성을 조선의 유교문화 안에서 찾으려는 다양한 긍정 ·부정의 시선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연구들은 광의의 조선 유교문화를 논의하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성리학적 논의가 어떠한 정치·사회적 변화를 만들었는가와 같은 각론적 접근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16세기 기묘사화를 기점으로 정치적 현안과 성리설이 만나는 분기점에서 ‘중화론’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밝히고, 이를 계기로 사림이 정치주체로 등장하면서 ‘신권강화’의 정치문화를 조성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6세기 사대부 계급은 기묘사화 이후 ‘중화론’의 심성공부를 군주에게 요구하면서 군주를 교육하고 천하공치에 참여하는 정치주체의 위상을 구축하였다. 둘째, 16세기 사림의 중화론 공부 요청은 왕권을 견제·비판하면서 경연과 간언을 확장시켰고 조선후기 중국·일본과는 다른 자유로운 직소 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기묘사화 후 ‘중화론’은 조선초기에는 군주의 덕치를 기원하거나 천인감응의 사유에서 군주의 도덕성 함양이 자연재변을 막을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다가 사림파의 정치적 부상 이후 언로 확대를 위한 신권 강화의 요소로 활용되었다. 이상의 조선의 군신 관계 설정과 사대부의 정치주체화 과정 연구는 오늘날 한국정치·사회를 재이해하는 하나의 요소가 될 것이다. 조선시대 유교문화를 비합리적 개인영역의 도덕 수양론으로 폄하하는 부정적 해석에 대한 반론이기도 하다. 16세기 도덕 수양론의 강조는 조선사회에서 ‘사대부’ 계급(지식인 계층)의 정치 영역을 확대시키고, 언로가 확대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상소 확대와 간쟁허용 등 조선의 유교문화가 철인정치의 이상을 실현하려한 지향점은 오늘날 재평가되어질 것이다.

      • KCI등재

        朝鮮前期 園林文化의 한 局面

        이종한(Lee Jong-H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朝鮮前期의 한문학사는 당시 문인들을 勳舊·士林으로 나누는 구도로 논의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각을 통해 두 집단의 대별적인 측면을 주목해온 것을 반성하고 그들이 공유했던 부분들을 ‘원림문화’를 통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대상 인물들을 成宗朝에 서로 다른 문학적·정치적 성향을 보인 것으로 논의된 ‘勳舊’와 ‘新進士類’에 해당하는 인물들로 선택했다. 이들의 일상과 문학에서 원림 문화가 자리잡고 있는 양상을 통해 두 문학 담당층의 공유점들을 확인해 보았다. 당시 원림 문화는 ‘훈구’와 ‘신진사류’의 일상 속에서 공통적으로 향유되었다. 서거정과 김종직은 자신의 가택에 별도로 화원을 조성했으며 이를 보고 느낀 바를 시문으로 나타내기도 했다. 또 강희맹과 조위도 자신의 원림에 花樹을 직접 재배했었고, 김굉필도 평소에 산수에 대한 애호가 깊어서 별서를 따로 지어서 그 곳에 원림을 조성했다는 기록이 확인된다. 조선 전기의 문인들이 원림을 문학적 소재로 대할 때에도 서로 유사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즉, 기존의 시각을 따르자면 훈구의 경우 관각적 화려함에 기반한 神仙思想이 내재된 표현, 신진사림의 경우 주자학을 의식한 心性陶冶와 관련된 표현이 서로의 문학이 지니는 대별적인 특징들이었다. 하지만 원림에 대한 문학에서는 두 집단이 이러한 표현들을 함께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고찰되어진 부분들은 기존의 ‘훈구’와 ‘신진사류’를 二分해서 대별적으로 보는 시각으로는 파악하기 힘든 특징들이다. 물론 원림이 그 특성상 당시의 인물들에게 문화적 산물로서 향유되는 것이 그저 자연한 현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속에서 엿보이는 전기 문인들의 일상적 생각과 표현에서 대립이 아닌 공유점이 찾아지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리고 훈구에서 사림으로 이어지는 과정 전체에서 대상 인물들을 아우르지 못한 점에도 한계가 있다. 하지만 대상 시기가 훈구와 사림의 선구인 ‘신진사류’가 만나기 시작하는 시점이므로 이 부분에서 발견되는 접점에도 의미가 없진 않을것이다. The dualistic structure which divides the literati into the two group, Hungu(勳舊) and Salim(士林) has made many discussions about the history of the literature of the early Chosun period. This study reflects the tendency that some researches have focused on each groups' different characters, and tries to find the sharing part of the two groups. Hungu(勳舊) and New scholar-officials(新進士類)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who have been researched as having contrary literary and political characters, a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sharing parts between two groups are searched by focusing on how the garden culture are enjoyed in their daily lives and literature. At that time the enjoyment of the garden culture were common to Hungu(勳舊) and New scholar-officials(新進士類). Seo Geo-Jeong(徐居正) and Kim Jong-jik(金宗直) grew their gardens and wrote many poetries with the appreciation of their gardens. Kang Hi-maeng(姜希孟) and Jo We(曺偉) also grew trees and flowers in their own garden, and there are some records saying that Kim Goeng-pil(金宏弼) liked the scenery of nature so much that he built some cottages and grew gardens near them. When the garden is regarded as literary material, similar aspects are found between them. The existing study says about each groups' literary characters that Hungu(勳舊) often uses the expressions implying the idea of immortals(神仙思想) that are from the splendidudy says wan-gak(館閣) literature, and Salim(士林) often uses the expressions implying the training of mind(心性陶冶) that are from the Zhuxi studies. However, these expressions are used altogether when they see garden as a literary material. These parts can rarely be found in the view focusing on the contrary points between them. The fact that they enjoyed the garden culture together would be a natural cultural phenomenon, but it would be significant that we can find out the similar things, not the contrary things in their daily thoughts and literary expressions. There's a limit in this study that it can't involve the whole people in the course in which the people in charge of literature are changing from Hungu(勳舊) to Salim(士林). However, the time this study focuses on is the beginning point when the two groups start to meet each other, so the sharing point between them would be meaningful.

      • KCI등재

        조선 道統論의 비판적 검토 — 金宗直을 중심으로 —

        정성희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Influence of theory of Dotong(道統論) was reduced while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grew into the main current in China. On the other side Chosun established theory of Dotong with advancing Neo-Confucianism as a field of Dohak(道學) in the time of political stability. As the opposition confucians(士林) who had been far from politics in early Chosun became the influences, they began to emphasize Dotong to bear out political legitimacy. Kee Dae-Sung(奇大升) succeeding 'Jeong Mong-Ju(鄭夢周), Kil Jae(吉再), Kim Sook-Ja(金叔滋), Kim Jong-Jik(金宗直), Kim Goeng-Pill(金宏弼), Jo Kwang- Jo(趙光祖)' fortified theory of Dotong which have become the established theory at present. Among the academic heirs, however, Kim Jong-Jik came into questions in qualification as a scholar and a academic heir. The problems were on his performances and academic disposition. In this study I clarified the process of forming theory of Dotong drawing out the meanings of Do(道) and Dotong(道統). And I observed his performances and marshaled criticisms on him. Finally I reviewed his ideas of Dohak by compiling former two subjects. 송대 도학의 도통론은 양명학이 주요 사조로 유행하면서 중국에서는 그 의미와 역할이 퇴색되었다. 반면 도학이 통치이념이 된 조선에서는 정치적 상황이 안정기에 들어서고, 도학의 학문적 영역인 성리학이 발달하면서부터 도통론이 성립되었다. 개국 초기에는 정계와 거리를 두고 있던 사림파들이 정계의 핵심세력으로 부상하면서 자신의 정통성을 입증하기 위한 이론적 작업의 일환으로 도통을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기대승에 의하여 ‘정몽주 길재 김숙자 김종직 김굉필 조광조’라는 도의 수수가 언급된 이후 , 그가 제기한 조선 도통론은 지금까지도 정론이라고 할 만큼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가운데 도통 수수자, 혹은 도학자로서의 정당성에 대하여 여러 차례 문제가 제기된 사람이 있으니 그가 바로 김종직이다. 그 문제제기는 첫째는 김종직의 학문적 경향에 대한 것이고, 둘째는 그의 행적에 관한 것이다.본고에서는 첫째, 조선 도학에서 도와 도통의 의미를 추출하고, 조선 도통론의 형성과정을 밝히며, 둘째, 김종직의 사상과 행적을 살피고, 그를 둘러싼 논란을 정리하였다. 셋째, 위 두 주제를 종합하여 조선 도학에서 차지하는 김종직의 도학적 위상을 재검토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조선 전기] 조선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2013~2014)

        강문식(Kang, Moonshik) 역사학회 2015 역사학보 Vol.0 No.227

        In 2013 and 2014, the amount of result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266; 37 books, 18 doctorate theses, and 211 journal papers. The reseaches on institutional history, history of foreign policy, measurable figures, a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ere done actively. Whereas the studies on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were not progressing relatively. In my opini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need to be as follows. First, comprehensive and macroscopic research should be done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meaning of 15<SUP>th</SUP> and 16<SUP>th</SUP> century. For this, we have to analyze the materials and interpret the meaning with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Second, it must be necessary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views on the politics, society and thought of the early Joseon Dynasty; for example,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Hun-gu(勳舊) and Sarim(士林) and the awareness of Junghwa(中華).

      • KCI등재

        조선시대 사림세력 형성의 역사적 배경

        김범(金範)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9

        이 글은 조선중기 이후의 지배세력인 사림세력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을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그 주제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경국대전』의 완성(성종 16, 1485)이었다. 종합적인 국법의 완성으로 국가 운영의 원리는 일단 확립되었으며, 특히 중앙의 주요 관서들은 그 기본적 임무를 보장받았다. 이런 중요한 변화에서 가장 주목되는 관서는 삼사였다. 국정에 대한 포괄적이고 강력한 감찰과 간쟁을 기본 임무로 부여받은 그 관서는 본원적으로 국왕·대신과 갈등하거나 긴장할 소지가 컸다. 국법에 보장된 그런 관서의 기능이 현실에서도 원활히 작동하기까지는 상당한 진통과 마찰과 수정이 필요한 것은 당연했다. 그 과정은 연산군대부터 발생한 일련의 사화였다. 성종 중반 『경국대전』이 완성되는 중요한 제도적 발전을 이룬 직후 연산군대부터 거대한 정치적 혼란인 사화가 연속적으로 발발한 것은 이런 역사적 맥락에서 연유한 결과였다. 사화들을 관통한 핵심적 요인과 주제는 삼사였다. 그동안 통설에서는 당시의 지배세력을 훈구와 사림으로 이분하고 그들을 정치적 성향, 경제적 규모, 사회적 배경, 사상적 지향 등 거의 모든 측면에서 상반된 집단으로 파악하면서 그 세력 사이의 정치적 갈등이 사화라고 이해했다. 그러나 이런 견해에는 일정한 논리적·실증적 문제점이 개재해 있다고 판단된다. 전근대 한국사의 지배세력은 왕조 교체에도 강인하고 촘촘한 혈연·혼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유지된 측면이 크고, 조선시대 주요 관직의 운영원리 또한 삼사를 거쳐 대신으로 승진하는 경로가 일반적이었다는 객관적 사실은 이 시기 지배세력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생각한다. 16세기 초반 사화라는 험난한 과정을 통과하면서 결국 삼사의 위상은 확립됨으로써 기존의 국왕·대신과 함께 국정운영의 필수적 관서로 자리잡게 되었다. 정치적 정립구도鼎立構圖라고 부를 수 있을 이런 체제는 견제와 균형에 기반한 수준 높은 유교정치를 구현할 수 있는 제도적 발전이 분명 했다. 사림세력은 이런 정치·제도적 발전을 주도했고 그렇게 이룬 변화를 내면화했다. 거기에는 그 기간을 전후로 심화된 성리학의 이해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요컨대 16세기 이후의 역사를 주도한 사림세력은 새로운 경제적 기반과 사회적 배경을 갖고 등장한 집단이라기보다는 당시에 전개된 중요한 정치·제도적 변화와 사상적 이해를 기반으로 형성되고 확대된 세력이었다. The completion of the National Code(經國大典) was major institutional development. Thereby the main government offices was ensured their mission. The most important offices was Samsa(三司). However, there was many difficult in the function of Samsa demonstrated in reality. The results appeared as a series of the Literati Purges(士禍). But as the phase of the Literati Purges, the function of Samsa established and the political structure of Joseon was shaped in King, major ministers(大臣) and Samsa operated in political structure of checks and balances. Sarim(士林) was built and dispread with this political institutional change and deepening of Neo Confucianism. in the 16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