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수양연구요론』의 문목 연구: 문목의 변천을 중심으로

        류성태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5 No.-

        소태산 대종사의 깨달음에는 초기교단에서 의두·성리의 초기형태로 등장한 문목이 큰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하늘은 왜 푸르고 구름은 왜 떠다니는가라는 우주 대자연에 대한 의심에서 비롯하여 진리에 대한 관심 등이 다름 아닌 초기교단의 문목에 관련되며, 이것이 대종사의 대각으로 이어진 것이다. 주지하듯이 소태산은 1927년(원기 12) 『수양연구요론』을 간행하여 초기 공동체의 공부풍토 조성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특히 교단 초창기로서 정식 교과서가 없는 상황에서 제자들의 공부와 법력 증진을 위해 스승으로서 교서 간행에 대해 관심이 컸을 것이다. 그것이『수양연구요론』이며, 이는『불법연구회규약』과 더불어 원불교 최초의 교서라는 교단사적 의의를 지닌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초기교단의 제자들이 문목을 연마하도록 하게 된 계기는 소태산 대종사가 제불 불조사의 화두를 참고삼아 연마해 보는것이 좋겠다고 하는 것에 관련되며, 또한 유교 성리학의 참조도 이러한 맥락과 통한다. 따라서 소태산은 제자의 혜두단련에 이어 견성인가의 기준 설정, 초기교단의 법풍진작을 위해 수양 연구에 도움이 되는 문목을 창안하였다. 이처럼 문목은 불교의 화두, 유교 및 도가 경전 등에서 추구하는 심학(心學)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후래 원불교의 의두와 성리로 정착된다. 물론 문목은 후래 교리 형성사에서 볼 때 계문, 솔성요론, 의두, 성리 등으로 다양하게 변천되면서 교리 이해에 있어 빠뜨릴 수 없는 항목이 되었다. 그리하여 문목은 초기교서의 등장에 따른 교리형성과 정착에 일정부분 역할을 하였으며, 불교의 번다한 화두선인 간화선을 혁신한 특성을 지님과 동시에 원불교 성리의 효시이자 정기훈련 과목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초기교서『수양연구요론』의 문목을 조망하면서, 수양연구요론의 의의, 문목 개념의 변천, 문목 항목의 변천, 문목의 의의 및 과제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깨달음에의 열망과 더불어 의두와 성리에 대한 관심이 점증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문목의 교리 변천사적 연구는 그 의의가 크다고 본다. It is interested that the Abstruse Questions(Mun-Mok) had played a role to be awakening to the Won-Buddhist followers as follows; why the sky is blue, and what the cloud float around for. As we know, Sotaesan, the great master, published the Essentional Text of Won-Buddhist Culture and Study to make an effort for disciples studying and practising hard. He could not help being interested in publishing the regular teaching materials for the disciples in order to cultivate with. That is the Essentional Text of Won-Buddhist Culture and Study as the first historical book of Won-Buddhism. The motive to study the Abstruse Questions in the early Won-Buddhist Order is related to the teaching of the Great Master who let the disciples refer to Buddhist Topic of truth, furthermore to Confucian Human Nature. Accordingly, Sotaesan created the Mun-Mok in order that his followers get the wisdom, the enlightenment, and studying atmospheres. The Mun-Mok has been taken root in Eui-Du and Sung-Ri of Won-Buddhist doctrine as the means of enlightening the human being which Buddhism and Confucianism seek after. Also, it has been the essential item to understand such a doctrine of Won-Buddhism as commandment, initiative essentials, Eui-Du, and Sung-Ri in its history. Therefore, the Abstruse Questions played an important part after being published the Essentional Text of Won-Buddhist Culture and Study in forming Won-Buddhist doctrines which renovated troublesome Hoa-Du of Buddhism. It became the beginning of Sung-Ri and an item in the regular training program. On the occasion of a centennial anniversary of Won-Buddhism, it significantly helps us to make studying atmospheres by grasping for the ground of the appearance, the changes of the concept, and items in Won-Buddhist Mun-Mok.

      • 黃胤錫의 1775년 全國 地理誌 編纂 凡例의 특징 분석 - 1775년 무렵 弘文館의 전국 지리지 편찬 關例의 復元 시도 -

        이건식 한국지명학회 2008 지명학 Vol.14 No.-

        黃胤錫의 일기인 『頤齋亂藁』 권20의 「擬弘文館增修東國輿地勝覽例」에 全國 地理誌 編纂 凡例가 실려 있다. 「擬弘文館增修東國輿地勝覽例」는 1775년 10월에 작성된 것으로 그 연대가 분명하여 18세기 전국 지리지 편찬 사업의 실체를 밝힐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글에서는 황윤석의 全國 地理誌 編纂 凡例에 기술된 내용을 근거로 하여 홍문관의 입장과 황윤석의 견해를 부분적으로나마 구분하고자 한다. 이글은 1775년에 작성된 黃胤錫의 全國 地理誌 編纂 凡例가 보여주는 특징을 2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즉 설정된 門目의 종류, 문목 작성의 規式 등이다. 설정된 門目 종류의 관점에서는 新補로 주석된 문목, 황윤석이 새로이 추가한 문목, 황윤석이 명칭을 수정한 문목, 명칭 변경이 가능한 문목 등 4가지 세부 분석 관점을 세웠다. 문목 작성의 규식 관점에서는 문목 작성 규식의 구조, 항목 선정의 기준을 제시한 주석, 항목 주석의 출처, 산천 조 작성 규식 등 4가지 분석 관점을 세웠다. 이상과 같이 9가지 세부 분석 기준을 가지고, 黃胤錫의 全國 地理誌 編纂 凡例의 내용을 『新增東國輿地勝覽』의 내용과 대조하여 『新增東國輿地勝覽』에 기재된 내용이 黃胤錫의 全國 地理誌 編纂 凡例에 실려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가급적 그 출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작업의 결과 황윤석이 『新增東國輿地勝覽』의 내용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全國 地理誌 編纂 凡例를 작성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문목에 대한 주석에 기반하여 ‘物産, 糶糴, 城池, 鎭堡’ 등 4가지 문목은 홍문관 관례에서 규정된 것이며, ‘軍餉, 軍器, 市街, 學行, 雜器’ 등은 홍문관 관례에 규정되지 않은 것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정확하게 그 용법이 정의된 ‘[部坊, 坊里], [祠廟, 祠壇, 壇廟], [陵寢, 塚墓, 塚墓], [流寓, 寓居]’ 등이 홍문관 관례에서 정확하게 사용되지 않았을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각 문목에 기술될 항목에 대한 주석 역시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그 내용을 찾을 수 있었음을 기술하였다. 특히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재되지 않은 주석의 경우에는 그러한 주석이 나타난 문헌 자료를 소개하였다. 이것으로 황윤석의 全國 地理誌 編纂 凡例가 당대의 지리에 관한 지식을 종합한 것임을 밝혔다.

      • KCI등재

        문목과 별지를 활용한 퇴계와 그 문도들의 고전 연구

        신영주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퇴계와 그 문도들에 의해 수행되었던 별지와 문목을 통한 학술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문목과 별지의 활용은 주자의 선례에서 본보기를 취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퇴계와 그 문도들은 주자에 의해 선행되었던 학문 방식을 적극 도입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학습의 방식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문목과 별지의 왕래는 학인들의 지식 담론이 구두가 아닌 문자 매체로 이루어지게 하였다는 점에서 전향적 의미를 갖는다. 문자를 매체로 한 문헌 비평과 주해 작업은 그 특성상 당대 연구자들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였을 뿐 아니다. 후대의 학자들도 지속적으로 이를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경전의 자구를 토론하고 성리학, 예학을 논변하면서 발전하였던 조선 후기 학문 풍토의 밑바탕에는 퇴계와 그 문도들에 의해 시도된 학문 방식이 강력하게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이 방식은 지식의 외형적 축적과 발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선 후기의 학문 수준이 새로운 지점으로 진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되었다. study 別紙 and 問目 (literary forms) co-founded by Toegyeh and his disciples and their influence on academic activities. In fact, flexible application of 別紙 and 問目 was an imitation and succession of studying way of Zhu Xi to a considerable degree. Toegyeh and his disciples flexibly used study form of Zhu Xi and shook off constraints of inherent study form. After discussed and researched by scholars, this study way was recorded, thus having highly research value. These historical materials in words have enriched the research results of contemporary scholars, and they will also have sustained and far-reaching influence on study and research of scholars of younger generation. Toegyeh and his disciples studied not only 經傳 but also 性理學. A study atmosphere was gradually formed around them, and the late knowledge study upsurge in Korea was just formed in this atmosphere. Study of Toegyeh and his disciples not only added to and developed prior classical works but also raised the late academic standards of Korea to a new level.

      • KCI등재

        문목과 별지를 활용한 퇴계와 그 문도들의 고전 연구

        신영주 ( Young Ju Shi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퇴계와 그 문도들에 의해 수행되었던 별지와 문목을 통한 학술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문목과 별지의 활용은 주자의 선례에서 본보기를 취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퇴계와 그 문도들은 주자에 의해 선행되었던 학문 방식을 적극 도입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학습의 방식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문목과 별지의 왕래는 학인들의 지식 담론이 구두가 아닌 문자 매체로 이루어지게 하였다는 점에서 전향적 의미를 갖는다. 문자를 매체로 한 문헌 비평과 주해 작업은 그 특성상 당대 연구자들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였을 뿐 아니다. 후대의 학자들도 지속적으로 이를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만들었다. 경전의 자구를 토론하고 성리학, 예학을 논변하면서 발전하였던 조선 후기 학문 풍토의 밑바탕에는 퇴계와 그 문도들에 의해 시도된 학문 방식이 강력하게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이 방식은 지식의 외형적 축적과 발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선 후기의 학문 수준이 새로운 지점으로 진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되었다. study 別紙 and 問目 (literary forms) co-founded by Toegyeh and his disciples and their influence on academic activities. In fact, flexible application of 別紙 and 問目 was an imitation and succession of studying way of Zhu Xi to a considerable degree. Toegyeh and his disciples flexibly used study form of Zhu Xi and shook off constraints of inherent study form. After discussed and researched by scholars, this study way was recorded, thus having highly research value. These historical materials in words have enriched the research results of contemporary scholars, and they will also have sustained and far-reaching influence on study and research of scholars of younger generation. Toegyeh and his disciples studied not only 經傳 but also 性理學. A study atmosphere was gradually formed around them, and the late knowledge study upsurge in Korea was just formed in this atmosphere. Study of Toegyeh and his disciples not only added to and developed prior classical works but also raised the late academic standards of Korea to a new level.

      • KCI등재

        溪堂 柳疇睦의 교육활동

        강문식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0 No.-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Ryu Ju-mok(柳疇睦, 1813~1872), who lived at Yoengnam(嶺南) in 19th century.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two ways. One was a lecture and the other was the education using the replies to people’s letters of questions. Gyedang gangheo jeolmok(「溪堂講會節目」), the manual of the lecture which was performed in 1868 showed the real states of Ryu Ju-mok’s lecture. The textbook of that lecture was Sohak(小學) and Ryu Ju-mok placed more emphasis on the mental attitudes for study and the respect to the teacher and fellow students than scholastic achievements. Those reflected Ryu Ju-mok’s thought of learning that put emphasis on the practicing Confucian ethical standards in daily life. Ryu Ju-mok’s students and other people gave questions to Ryu Jumok by letters and Ryu Ju-mok studied the questions and proposed the solutions by replies. The greater part of people’s questions are the problems about family rites because Ryu Ju-mok had profound knowledge about the study of ritual(禮學). Meanwhile, Ryu Ju-mok emphasized on the study of mind in the replies of letters about Simgyeong(『心經』) and Daehak(『大學』) because he thought that the study of mind was the precondition of practice ethical. standards. Ryu Ju-mok’s educational activities like above inherited the academic traditions of Seoae School(西厓學派) that made much of ethical practice. In 19th century, the western culture spread widely at Joseon. Ryu Ju-mok thought that the spread of western culture was great problem to Joseon and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education of Confucianism must be enlarged. For this purpose he held fast to the traditional methods of Confucian education. 본 논문은 19세기 학자 溪堂柳疇睦(1813~1872)의 교육활동을 정리한 것이다. 유주목의 교육활동은 강의를 통한 교육과 問目答書를 통한 교육 등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강의를 통한 교육은 1868년에 실시된 講會의 절목인 溪堂講會節目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당시 강회의 교재는 『小學』으로, 여기에는 ‘日用의 실천’을 학문의 궁극적 목적으로 생각한 유주목의 학문관이 반영되어 있다. 또, 「溪堂講會節目」에는 강회의 진행 절차와 講生들이 지켜야 할 유의사항들이 실려 있는데, 이를 보면 유주목은 지식적인 성취보다도 학문에 임하는 바른 자세, 강생 상호간의 존중과 격려, 스승에 대한 공경 등 실천의 측면을 더 중시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주목은 제자들이 질문 내용을 問目으로 정리해 보내면 그에 맞는 답변을 회신해 주었는데, 이러한 問目答書는 그의 교육활동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問目의 내용은 喪禮․祭禮에서 禮書의 일반 규정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變禮에 관한 것이 대부분인데, 禮學에 조예가 깊었던 유주목은 문목 내용을 연구하여 그에 부합하는 내용을 答書로 보냈다. 한편, 『心經』과 『大學』에 관한 問目答書에서는 ‘日用실천’의 생활화를 위한 마음공부를 강조했는데, 이 역시 실천을 중시하는 그의 학문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유주목의 교육활동은 도덕적․현실적 실천을 중시했던 西厓學派의 학풍을 계승한 것이다. 한편, 유주목은 儒家의 전통적 교육 방식과 내용을 고수했는데, 이는 그가 19세기 西勢東漸의 물결 속에서 ‘崇儒敎’를 통해 나라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나름의 대처 방안을 실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溪南 崔琡民의 四書學에 대한 일고찰 − 蘆沙 奇正鎭과 주고받은 問目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이영호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5 No.-

        The doctrines of Chu-tzu was a core principle that maintained the Joseon dynasty. Both bureaucrats and scholars considered the doctrines of Chu-tzu a milestone for their way of living and scholarship. Furthermore, commoners also relied on principles of the doctrines of Chu-tzu as their guidance of practical ethics. Scholars of the Chu-tzu school obtained their knowledge on the essence of the doctrines of Chu-tzu through learning of Ju Ja's annotations of the scriptures. In this regard, Munmok, a way of learning, deserves special attention. Munmok refers to a collection of scholarly letters exchanging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scholars about the scriptures and Ju Ja's annotations of the scriptures. Originating from Toegye, Yi Hwang and his students and continuing until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Munmok was used as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doctrines of Chu-tzu among scholars of the Ju Ja school. Munmok between Ki, Jeong-Jin and Choi, Suk-Min specifically shows a typical trend of the learning process between scholars. The Munmok between them evidently demonstrates the student's inheritance of the master's theory. In conclusion, Munmok was used as a method of inheriting and further strengthening the master's theory as well as learning the doctrines of Chu-tzu in the Joseon dynasty. 주자학은 조선을 지탱한 이념이었다. 조정의 관료들 뿐 아니라 재야의 지식인들도 주자학을 삶과 학문의 이정표로 삼았으며, 백성들도 주자학적 이념을 실천윤리로 삼았기 때문이다. 이에 조선의 주자학자들은 주자학의 정수를 주자의 경전주석서에 대한 학습을 통해 습득하였다. 이 학습의 방법 중,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이 바로 問目이다. 문목은 경전과 주자 주석서의 자구와 내용에 대한 학술적 질의와 응답이 오간 편지글이다. 이러한 문목은 退溪 李滉과 그의 제자들에게서 시작되어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주자학자들의 주자학 습득의 방식이었다. 특히 조선후기 奇正鎭과 崔琡民이 주자 경학의 난제에 대하여 주고받은 문목은 그 전형적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들 사제간의 문목에는 스승의 학설을 계승한 흔적이 뚜렷이 보인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조선의 주자학자들이 문목을 통하여 주자의 경학을 학습하였을 뿐 아니라, 스승의 학설을 공고히 하는 수단으로 사용했음을 알게 해 주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의 사서학(四書學)에 대한 일고찰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과 주고받은 문목(問目)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이영호 ( Young Ho Lee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5 No.-

        주자학은 조선을 지탱한 이념이었다. 조정의 관료들 뿐 아니라 재야의 지식인들도 주자학을 삶과 학문의 이정표로 삼았으며, 백성들도 주자학적 이념을 실천윤리로 삼았기 때문이다. 이에 조선의 주자학자들은 주자학의 정수를 주자의 경전주석서에 대한 학습을 통해 습득하였다. 이 학습의 방법 중,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이 바로 問目이다. 문목은 경전과 주자 주석서의 자구와 내용에 대한 학술적 질의와 응답이 오간 편지글이다. 이러한 문목은 退溪 李滉과 그의 제자들에게서 시작되어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주자학자들의 주자학 습득의 방식이었다. 특히 조선후기 奇正鎭과 崔琡民이 주자 경학의 난제에 대하여 주고받은 문목은 그 전형적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들 사제간의 문목에는 스승의 학설을 계승한 흔적이 뚜렷이 보인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조선의 주자학자들이 문목을 통하여 주자의 경학을 학습하였을 뿐 아니라, 스승의 학설을 공고히 하는 수단으로 사용했음을 알게 해 주기 때문이다. The doctrines of Chu-tzu was a core principle that maintained the Joseon dynasty. Both bureaucrats and scholars considered the doctrines of Chu-tzu a milestone for their way of living and scholarship. Furthermore, commoners also relied on principles of the doctrines of Chu-tzu as their guidance of practical ethics. Scholars of the Chu-tzu school obtained their knowledge on the essence of the doctrines of Chu-tzu through learning of Ju Ja`s annotations of the scriptures. In this regard, Munmok, a way of learning, deserves special attention. Munmok refers to a collection of scholarly letters exchanging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scholars about the scriptures and Ju Ja`s annotations of the scriptures. Originating from Toegye, Yi Hwang and his students and continuing until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Munmok was used as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doctrines of Chu-tzu among scholars of the Ju Ja school. Munmok between Ki, Jeong-Jin and Choi, Suk-Min specifically shows a typical trend of the learning process between scholars. The Munmok between them evidently demonstrates the student`s inheritance of the master`s theory. In conclusion, Munmok was used as a method of inheriting and further strengthening the master`s theory as well as learning the doctrines of Chu-tzu in the Joseon dynasty.

      • 기획논문 : 상주지역 퇴계학파(退溪學派)의 학문과 사상 ; 계당(溪堂) 유주목(柳疇睦)의 교육활동

        강문식 ( Moon Shik K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0 No.-

        본 논문은 19세기 학자 溪堂 柳疇睦(1813-1872)의 교육활동을 정리한 것이다. 유주목의 교육활동은 강의를 통한 교육과 問目答書를 통한 교육 등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강의를 통한 교육은 1868년에 실시된 講會의 절목인 『漢堂講會節目』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당시 강회의 교재는 『小學』으로, 여기에는 ``日用의 실천``을 학문의 궁극적 목적으로 생각한 유주목의 학문관이 반영되어 있다. 또, 「계당강회절목」에는 강회의 진행 절차와 講生들이 지켜야 할 유의사항들이 실려 있는데, 이를 보면 유주목은 지식적인 성취보다도 학문에 임하는 바른 자세, 강생 상호간의 존중과 격려, 스승에 대한 공경 등 실천의 측면을 더 중시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주목은 제자들이 질문 내용을 問目으로 정리해 보내면 그에 맞는 답변을 회신해 주었는데, 이러한 問目答書는 그의 교육활동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問目의 내용은 喪禮·祭禮에서 禮書의 일반 규정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變禮에 관한 것이 대부분인데, 禮學에 조예가 깊었던 유주목은 문목 내용을 연구하여 그에 부합하는 내용을 答書로 보냈다. 한편, 『心經』과 『大學』에 관한 問目答書에서는 ``日用실천``의 생활화를 위한 마음공부를 강조했는데, 이 역시 실천을 중시하는 그의 학문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유주목의 교육활동은 도덕적·현실적 실천을 중시했던 西涯學派의 학풍올 계승한 것이다. 한편, 유주목은 儒家의 전통적 교육 방식과 내용을 고수했는데, 이는 그가 19세기 西勢東漸의 물결 속에서 ``崇儒敎``를 통해 나라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나름의 대처 방안을 실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Ryu Ju-mok(柳疇睦, 1813~1872), who lived at Yoengnam(嶺南) in 19th century.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two ways. One was a lecture and the other was the education using the replies to people`s letters of questions. Gyedang gangheo jeolmok(「溪堂講會節目」), the manual of the lecture which was performed in 1868 showed the real states of Ryu Ju-mok`s lecture. The textbook of that lecture was Sohak(『小學』) and Ryu Ju-mok placed more emphasis on the mental attitudes for study and the respect to the teacher and fellow students than scholastic achievements. Those reflected Ryu Ju-mok`s thought of learning that put emphasis on the practicing Confucian ethical standards in daily life. Ryu Ju-mok`s students and other people gave questions to Ryu Ju-mok by letters and Ryu Ju-mok studied the questions and proposed the solutions by replies. The greater part of people`s questions are the problems about family rites because Ryu Ju-mok had profound knowledge about the study of ritual(禮學). Meanwhile, Ryu Ju-mok emphasized on the study of mind in the replies of letters about Simgyeong(『心經』) and Daehak(『大學』) because he thought that the study of mind was the precondition of practice ethical standards. Ryu Ju-mok`s educational activities like above inherited the academic traditions of Seoae School(西厓學派) that made much of ethical practice. In 19th century, the western culture spread widely at Joseon. Ryu Ju-mok thought that the spread of western culture was great problem to Joseon and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education of Confucianism must be enlarged. For this purpose he held fast to the traditional methods of Confucian education.

      • KCI등재

        당송분문명현시화(唐宋分門名賢詩話) 의 간행(刊行)과 그 내용(內容)

        윤호진 ( Ho Jin Yu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60

        『 唐宋分門名賢詩話 』는 제목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나라와 송나라의 명현들에 대한 시화를 문목을 나누어 수록한 책이다. 이 책은 시화로서는 매우 이른 시기인 北宋熙寧6년(1086)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누가 편찬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이 책은 이미 조선 초기에 중국에서도 구해볼 수가 없게 되어, 慶尙都事였던 李宗準이 경상감사인 李克墩의 후원을 받아 이 책을 간행하였다. 이종준은 이 책을 『 遺山樂府 』, 『 酉陽雜俎 』등 중국 서적과 『 破閑集 』, 『 補閑集 』, 『 太平通載 』 등 우리나라의 희귀한 서적들과 함께 간행 하였다. 이 책을 간행함에 있어 완전하게 남아 있는 책이 없어, 여기저기 이 사람 저 사람을 찾아다니며 결락된 부분을 보충하였으나, 끝내 채워 넣지 못한 부분은 비어둔 채로 간행을 하였다. 이 책은 모두 20권으로 되어 있으며, 본래 상하 양책으로 되어 있고, 상책에 1-10권까지, 하책에 11-20권까지 수록되어 있으며, 34門으로 分門되어 수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상책만 남아 있고, 하책은 전하지 않는다. 상책에 있는 목록을 통해 보면, 상책에는 주로 시비평의 개념용어를 門目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반면, 하책에는 시의 소재와 형식등 시 비평보다는 시 주변의 내용을 소개한 것이 많다. 그 내용은 당송의 이름난 시인은 물론 덜 이름이 난 사람들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 시화는 송대의 여러 시화들에게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阮閱이 찬한 『 詩話總龜 』에 끼친 영향은 매우 컸던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다른 당송의 시화보다도 『 시화총구 』의 내용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완열이 이 시화를 참고로 『 시화총구 』를 편찬할 때에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은 아니고, 자신의 견해를 바탕으로 가감을 하기도 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 책은 간행된 뒤 당시의 임금이었던 성종에게 진상이 되었고, 성종이 이를 홍문관 관원 金諶등에게 주석을 달도록 하니, 홍문관 관원들이 이 책의 내용과 이 책을 진상한 경상감사 李克墩의 불순한 의도 등을 문제 삼아 거부하면서, 한바탕 소란이 일어나기도 하였으나, 조선 초기의 학자 김정국의 『사재척언』에 이 책의 내용이 인용되기도한 것을 보면, 당시 사대부들에게 많이 읽혀졌던 것으로 보인다. 『 A Story of Tang and Song named person`s poetry classified by Categorization 』『(『 唐宋分門名賢詩話 』) was published Eemperor Hijong(熙宗) year in Song Dynasty, but was lost already. Early in Choseon Dynasty, scholar Lee, jongjun(李宗準) published this book with other domestic and foreign rare books when he was a Gyeongshang provincial governor. However, he wasn’t able to find final edition not only in Korea but China to correct erratums and omissions, so he published the book as an incompletion. The book comprised 20 parts and originally was published as two books, one of which consisted of the chapters one to ten and the other one consisted of the chapters eleven to twenty. These two are separated as 34 categorizations. The first book took concept words of the poetry criticism as standard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ook introduced forms and materials of the poetry rather than the criticisms. The contents included both famous poets and unknown poets in Dang and Song Dynasty. The poems and paintings in this book were influenced by other existing books expecially 『 A Total Collection of poetry Story『( 『 詩話總龜 』) edited by Won, yoel(阮閱), yet Lee, jongjun(李宗準) did not just copy 『A Story of Tang and Song named person``s poetry classified by Categorization』(『분문당송 명형시화『) in 『A Total Collection of poetry Story『(『 詩話總龜 』). He added and subtracted some contents through his opinion. After the publication and the presentation to the King, Sheong Jung, this book became an controversy due to its political intention. When the King received this book he kept the book and ordered Hong-mun guan scholars to annotate it. Kim, sim(金諶) and other scholars argued that this book was inappropriate and disrespectful that Lee, geukdon(李克墩) had made Lee, jongjun(李宗準) publish this book to flatter the King and recommended that the King should cut the roots of flattery off. The King was very angry about it and had the scholars present the details about the book, so the scholars apologized about this happening. Like this, this book absorbed public attention from the first time, and through the fact that Kim, jungkuk(金正國) quoted some sentences in the book in 『 A Sajae``s Gather of Story』(『 思齋척言 』), we could know that this book was read among high officials. Even though this book is from China, but published ear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our poems, paintings and criticisms. In China this book disappeared long time ago, but in Korea this book was published despite the lose of the second book, therefore, the proportion this book has in the history of Korean printing culture and criticism.

      • KCI등재

        조선후기 서신강학 사례연구: 윤기의 소학문목 을 중심으로

        최광만 ( Kwang Man Choi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2

        본 연구는 윤기와 이익 사이에 오간 소학문목 을 중심으로 서신강학의 사례를 분석한 내용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신강학이 이루어진 배경에 관한 것이다. 이 서신강학은 1760년 윤기가 이익의 문하에 입문한 후, 1761년 소과 초시에 합격하고 소학강을 준비한 것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여기에 성호학당에서 소학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된 것도 또 하나의 배경이 되었다. 둘째 질문방식에 관한 것이다. 소학문목 에는 소학 전편에 걸쳐 33개 질문이 제시되어 있는데, 유형별로는 구두에 관한 것(4개), 훈석에 관한 것(28개), 대지에 관한 것(1개)으로 구분된다. 윤기는 소학을 그대로 따라야 하는 전범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고, 가능한 한 자신이 어떠한 점에서 의문점을 가지는지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문목을 작성하였다. 셋째 답변방식에 관한 것이다. 이익은 윤기의 공부가 진전되도록 유도하는 관점에서 답변하였다. 윤기의 의견에 동의할 때에는 그 정도를 다르게 표현함으로써 윤기 스스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하였고, 그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을 때에는 직접적으로 지적하는 대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여 윤기 스스로 숙고하도록 유도하였다. 넷째 서신강학의 의미에 관한 것이다. 이 사례는 두 가지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하나는 윤기 자신이 이후 공부 과정에서 성호학당의 학풍에 큰 영향을 받게 되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서신강학이 개인적인 독서, 스승과 직접 강학하는 종사강학, 동료들과 토론하는 강회와 구분되는 또 하나의 중요한 강학활동으로 주목된다는 점이다. 소학문목 에 나타난 질문과 답변 과정은 질문→답변으로 이어지는 단선적 과정이 아니라, 질문→질문의도 파악→교육적 고려→답변으로 진행되는 중층적 과정이었다. This study focuses on one case of the education by questionnaire mail between Yun Ki(尹기) and LeeIk(李瀷). The education by mail was used as a major method of learning in Seong Ho academy(星湖學堂). So this case will provide help to understand the method of the pre-modern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case was the initiation of Yun Ki as a pupil of Lee Ik. (1760) And the entrance for the minor state examination of Yun Ki was another factor to make the questionnaire about Learning through Practice(小學). Second, the questions of Yun Ki were 33. They can be divided three categories, one is reading question(4), another is translation question(28), and the other is understanding question(1). When Yun Ki made the questionnaire, he made an effort to clear up his points. Third, the answers of Lee Ik were given to the questions one by one. But the intention of Lee Ikwas not to simply suggest right answers to them. Before answering, he made a diagnosis Yun Ki``s level, and the intention of the questions. And the aims of the answers was focused to enhance the learning of Yun Ki. So the answers can be educational. Fourth, the meanings of the case can be said by two aspects. One is as the start point of the life long education of Yun Ki and the other is as the major method of learning of Seong Ho academy. Yun Ki could enter the Song Ho academic traditions by the education by questionnaire mail. And the case shed a light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method of Seong Ho school. The process of the education by questionnaire mail is not linear patten as answers to question, but multilayered sequence of question, understanding of the intention, educational consideration and ans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