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척지역의 ‘삼대세우기’ 고찰

        김태수(Kim Tae-Soo) 한국민속학회 2010 韓國民俗學 Vol.52 No.-

        이 글에서는 삼척지역에서 전승되었던 ‘삼대세우기’라는 민속에 대한 그동안의 조사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삼대세우기’란 민속의 개념, 전승지역, 지역별 양상, 민속적 의의를 새롭게 정리했다. 삼척지역의 ‘삼대세우기’는 정월 대보름 1~2일 전 마을 주민들이 모두 모여 그동안 만들어 둔 각종 농기구와 등(燈), 솔 등의 소품을 긴 생솔(소나무)에 매달아 세우는 입간(立竿)민속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삼대의 형태는 살아있는 소나무를 장대로 삼아 꼭대기에 솔잎을 남겨두고 각종 액막이 소품과 농기구들을 매달고, 장대가 넘어가지 않도록 여러 가닥의 줄을 매달아 바닥에 고정시키고, 그 줄에 삼베작업에 사용하는 솔 모양의 소품을 매다는 기본형은 같지만 세부적인 형태는 마을마다 차이가 났다. 삼척에서 삼대세우기가 행해졌던 지역을 살펴보면 노곡면 주지리ㆍ여삼리, 신기면 서하리ㆍ고무릉리ㆍ대이리, 마차리, 도계읍 한내리, 하장면 갈전리, 근덕면 광태리 선흥리 등지인데 모두 산간마을이라고 할 수 있다. 바다 쪽 마을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산간 마을에서만 그 흔적이 찾아지는 특징을 지닌다. 삼대세우기를 했던 지역은 밭농사를 주로 했으며 특히 삼베농사를 많이 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삼대세우기의 민속적 의의는 삼베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삼대세우기와 삼태국수는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삼대를 세우는 날 반드시 삼태국수를 먹는데 제보자들은 국수가락처럼 고운 삼베를 많이 짜도록 해달라는 기원을 담고 있다고 했다. 삼태국수를 먹는 의미가 삼베농사가 잘 되게 하는 의례라는 점과 삼대를 세울 때 대를 고정시키는 줄에다 삼베작업에 사용하는 도구인 솔을 매달아두는 것, 그리고 그 대의 이름이 ‘삼대’ 또는 ‘삼태’라는 점과 ‘삼(麻)이 잘 되기를 기원하기 위해 삼대를 세운다’는 기존의 연구성과를 주목하면 삼대세우기가 삼베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인 것이 분명해진다. 그러나 삼대 위에 오리를 올려놓거나 배에다 짚 인형을 매달거나 화살을 단 것 등으로 보면 마을로 들어오는 살(부정과 액)을 막는 의미도 담겨있다. 그러므로 삼대세우기는 마을의 안녕과 평화, 액막이, 각종 농사와 특히 삼베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정월의 세시풍속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 유배기 정약용 삼대토지제도론의 추이

        윤석호(Yoon, Suk-ho)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9 다산과현대 Vol.12 No.-

        사환기의 다산은 전업에 기초한 ‘농자득전’을 삼대 토지제도의 이상적 원리로 제시했다. 하지만 『맹자집주』의 고법 이해를 따랐던 까닭에, ‘농자득전’의 고법을 삼대 전역에서 해명하지는 못했다. 유배기의 다산은 여러 경전을 탐구하고 통섭하는 가운데, 몇 번의 단계를 거쳐 ‘농자득전’의 고법적 양상을 삼대 전역에서 논증해갔다. 먼저 정지가 시행된 時空을 삼대 전역으로 확대했고[삼대정지론], 이어 모든 정지에 공전이 설치되었다고 보았으며[일원적 삼대공전론], 마지막으로는 10구법과 정지를 구분하여 양자가 각기 권역을 달리해 기내에서 시행되었다고 보았다.[이원적 삼대공전론] 이같은 과정 속에서 다산은 3경과 『주례』를 중심으로 4서를 통섭 및 재해석했다. 그리고 공전을 삼대의 보편적이고도 핵심적인 제도로 간주했다. This article aims to argue the course of understanding about the Three Periods"s land system. In Jeonron(〈田論〉, 1798)”, he proposed Land-to-the-Tiller Principle(農者得田) as the ideology of the Three Periods"s land system under nine consecutive jobs. However, he could not explain the principle under Old Law(古法) because his method of understanding old law was based on the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Book of Mencius(『孟子集註』), which regarded Nine-square Field(井田) as a partial land system of Three Periods. Dasan explored the Three Periods ruling system and its Old Law(古法) during his exile period(1800-1818), and constantly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viewpoint of the period of official career.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was the Samdae Jungjiron(三代井地論), which regarded the Nine-square Field(井田) as a section of the whole area of the Three Periods Land by breaking away from the way of understanding Nine-square Field(井田) of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Book of Mencius(『孟子集註』). However, he maintained the Classical style of Mencius(『孟子』), which matched Gongjeon(公田) with Jobeob(助法). The second stage was a One-way Samdaegingjeonron(一元的三代公田論) which considered Gongjeon(公田) was installed inwhole agricultural land of Three Periods. This opinion couldbe made by breaking away from the Classical style ofMencius(『孟子』), which matched Gongjeon(公田) with Jobeob(助法). As a result, the ideology of Bunjeon(分田) and Jerock(制祿) could be specifically proved through the Old Law(古法) of Gongjeon(公田). The third stage was Two-way Samdaegingjeonron(二元的 三代公田論), which means that although Gongjeon(公田) was installed around the whole agricultural area of Three Periods, the division method was different from the Ten-square Field(10溝法) and the Nine-square Field(井田). In particular, Dasan studied Zhou-li(『周禮』) in earnest under the Two-ways Samdaegingjeonron(二元的 三代公田論), and through this he regarded Gongjeon(公田) as the key law of the ruling system including the land system.

      • KCI등재후보

        묘공(妙空) 대행(大行)의 실천성과 지성성

        이인석 ( Lee In-seok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9 한국불교사연구 Vol.15 No.-

        본고는 현대 한국 불교사에 큰 획을 그은 비구니인 묘공당 대행선사(妙空大行 1927~2012, 이하 대행으로 약칭)의 실천성과 지성성을 그의 생애와 사상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대행의 극한의 두타행과 깨달음 후의 괄목할만한 성취를 살펴봄으로 인하여 대행의 생애에 있어서의 실천성과 그 의의를 살펴볼 것이다. 대행의 생애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고는 그의 생애를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 볼 것이다. 첫째는 탄생과 유아기, 둘째는 첫 번째 깨달음이 있었던 9세 전후, 셋째는 한암스님을 만났던 십대, 넷째는 극도의 고행을 했던 이십대에서 삼십대초반, 다섯째는 수없는 이적을 보였던 삽십대, 여섯째는 대중포교기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그의 생애에서 보이는 특징은 다섯 가지가 있다. 그 중 첫째는 그의 수행에서 보이는 자성불에 대한 완전한 믿음과 놓음의 중요성이다. 둘째는 깨달음 이후의 그의 신이한 행적의 역사적 희유성이다. 셋째는 그의 깨달음에 나타나는 만 중생을 위한 자비의 대승정신이다. 넷째는 생활속에서의 수행의 강조이다. 다섯째는 그의 無相·無作行의 측면이다. 한편, 사상적으로는 그의 사상이 대승불교의 교과서라고 하는 『대승기신론』과 동일한 구조와 원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고찰해 볼 것이다. 대행의 한마음은 『대승기신론』의 일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니 두 가지 동일한 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는 제 대승교학을 섭수하여 회통하고 있다는 것이며, 둘째는 그 회통의 원리가 일심·이문·삼대의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첫 번째 논점은 하나하나 논증하여야 하는 매우 방대한 주제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두 번째 논점인 일심·이문·삼대의 구조와 원리의 동일성에 대하여 우선 고찰하고자 한다. 대행과 『대승기신론』양 사상에서 이 일심·이문·삼대의 구조와 원리의 동일성을 고찰하는 데는 두 가지 관점이 필요하다. 첫째는 본 각으로서의 일심의 구조와 원리이며, 둘째는 본각과 시각이 둘이 아님을 설하고 있는 일심·이문·삼대의 구조와 원리이다. 본각으로서의 일심은 중생이 그대로 부처임을 설하는 사상이다. 수행을 한다, 하지 않는다를 떠나 모르는 중생이 그대로 이미 깨달아 있다는 것으로, 대행과 『대승기신론』양 사상에서 모두 이를 근본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본각으로서의 일심을 이해할 수 없는 대다수의 중생들을 위한 선방편으로서 일심·이문·삼대의 구조에 나타나 있는 시각과 본각이 둘이 아닌 입장이다. 그 요지는 먼저 『대승기신론』에서는 중생이 이문으로서의 심생멸문과 심진여문을 갖추고 있으며 삼대로서의 체대·상대·용대를 본래부터 갖추고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이 이문과 삼대는 각각 불가분리의 관계이며 심진여문은 체대에, 심생멸문은 자체·상·용에 해당함을 설한다. 이는 중생의 본래 부처로서의 구족성과 중생과 부처의 불가분리성을 드러내는 부분이다. 그러나 중생은 심생멸문에서 심진여문의 체의 공덕을 감지하지 못하는 까닭에 심진여에 계합되지 못하며 그러한 고로 중생으로서의 고통을 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통을 벗어나기 위하여 심생멸문의 자체·상·용으로서의 중생은 심진여문의 체를 감지하고 계합하여야 한다. 이 계합은 “탄다”는 표현으로 잘 대변된다. 『대승기신론』 「입의분」에서 “모든 부처가 본래 타고 있으며 모든 보살이 타고서 여래지에 이르는 수레를 탄다”는 것의 의미가 바로 그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다시 말해 중생이 본래로 부처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지 못하고서는 부처가 되지 못한다는 의미가 된다. 수레를 탄다는 것은 止와 觀의 쌍운을 의미한다. 심진여문의 부동의 止와 심생멸문의 작용의 觀行이 합해져 止와 觀이 쌍운되니 이는 중생으로서의 자기와 부처로서의 자기가 계합된 행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레와 자신의 계합도 단계가 있어 점차적으로 삼 단계로 깊어지게 되니 이를 『대승기신론』에서는 세 가지의 발심으로 표현하여 신성취발심, 해행발심, 증발심이라고 하고 있다. 한편, 대행에게 있어서 본각과 시각이 둘이 아닌 일심·이문·삼대사상은 그의 수행론의 근간을 이룬다.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삼대구조는 대행에게 있어서 한마음·주인공·삼합구조로 나타난다. 一心은 한마음에 해당한다. 二門은 주인공에 해당되니 이 주인공은 부동의 근본으로서의 “주인”과 고정됨이 없이 작용하는 “공”이 합해진 단어이니 이는 체와 용의 결합을 의미하며 심생멸과 심진여문의 불가분리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주인공”이란 단어는 이문의 의미도 되며 이문을 갖춘 진여의 의미도 된다. 三大는 삼합에 해당되니 이 삼합이란 생명의 근본인 불성·마음내는 것·육신의 작용의 세 가지이다. 다시 말해 삼합이란 생명의 근본이 있으므로 살아있으며, 살아있으므로 생각할 수 있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움직일 수 있는 인간의 세 가지 구성원리를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이문과 삼대의 작용 자체가 신해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은 이것이 바로 본래의 부처의 능력과 작용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래로 일심인데 이 일심이 이문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이문이 삼대의 구조를 가지고 있음은 본래로 부처인 중생의 구조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한마음이자 부처로서의 지혜와 능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생은 자신의 한마음의 공덕을 감지하지 못하는 까닭에 고통을 벗어나지 못한다. 아집과 법집에 가로막혀 자신의 일거수 일투족이 한마음의 공덕의 작용임을 감지하지 못하고 모든 것을 자기 자신이 하는 것으로 아는 전도몽상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다. 그러한 까닭에 무명에 덮여 있다고 하는 것이요, 불각인 것이요, 그 결과로 고통을 벗어날 길이 없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행은 이 고통을 벗어나기 위하여 중생은 자신의 근본인 한마음을 지극한 마음으로 굳게 믿고 중생으로서의 자신을 진여로서의 한마음에 내려놓아야 한다고 한다. 그리하여 ‘자신’이 살고 있다는 전도몽상에서 벗어나 자신의 일거수일투족이 한마음의 작용임을 증득하라는 것이다. 이러한 일거수일투족에서의 한마음에로의 계합을 止와 觀의 겸수라고 할 수 있으니 이것은 모든 것을 근본에 놓아 자신이 하는 게 하나도 없어지는 止이되 근본의 작용으로 소소영영하게 보고 듣고 생각하는 까닭에 觀인 것이다. 이와 같이 주인공에 믿고 맡기는 수행이란 止에만 집착하지도, 觀에만 머무르지도 않는 지관쌍운인 것이니 이를 대행은 “함이 없는 행”이라고 한다. 이러한 계합을 통한 지와 관의 겸수에 있어서도 차원의 높낮이가 없지 않으며 이 차원의 단계를 대행은 세 가지 관의 차제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으니 내 일심으로의 관, 무심으로의 관, 둘 아닌 관이라고 하고 있다. 이상의 과정이 대행에게 있어서 시각과 본각이 둘이 아닌 가운데 본각을 회복하는 과정이 된다. 이와 같이 『대승기신론』과 대행의 일심·이문·삼대의 원리가 동일하게 본래로는 본각임에도 불구하고 무명으로 인한 불각으로 인해 고통의 원인이 되며, 그 고통을 벗어나 본각으로 돌아가는 방법으로 진여의 체에 중생으로서의 자신을 믿고 놓음을 설하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 사상이란 점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examines the life and ideology of Myogong Daehaeng (1927-2012), who marked a new era in modern Korean Buddhist history. The first chapter of this essay examines the life of Daehaeng by reflecting on her dharma practice and the remarkable achievements she experienced after her enlightenment. The second chapter examines her Buddhist thoughts to evaluate the intellectual aspect of her ideology. To evaluate Daehaeng’s life, this essay will divide her life into six parts: the period of her birth and infancy; her first awakening at nine years old; her teens, when she first met Hanam Sunim; her twenties through her early thirties, when she practiced extreme asceticism; her thirties when she produced uncountable miracles after her enlightenment; and the period when she taught people. Many people seem curious about how Daehaeng’s Buddhist thoughts will be related to Mahāyāna Buddhist thoughts because she awakened to the truth without any scriptural lessons. However, regardless of her background, Daehaeng’s thought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textbook of Mahāyāna Buddhism. Daehaeng’s Buddhist thoughts are focused on One Mind, as evidenced by the name of the One Mind Seon Center that she founded. One Mind means the mind of true thusness and the real nature of every being. The thought of One Mind may be discovered in many sutras, such as Huayan Sutra, Lotus Sutra, Lankȃvatāra Sutra,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Commentary on the Mahāyāna-samgraha-sastra, and Cheng weishi lun, but the concepts of One Mind in these sutras are somewhat different based on the stance of their sect. Daehaeng's One Mind has two things in common with the One Mind of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First, they both reconcile and unite all the Mahāyāna thoughts into a pervasive and inclusive understanding. Second, the logic of their reconciliation is the principle of “One Mind with Two Doors.” However, because the first point is an issue that covers a wide range of topic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dividuall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similarities based on the second point.

      • KCI등재

        丁若鏞의 三代 田賦論: 三代 ‘二元的 田賦論’의 논정 과정을 중심으로

        윤석호 진단학회 2019 진단학보 Vol.- No.132

        Dasan Jeong Yak-Yong proposed state reformation plans which were ideologically and methodologically based on Old Law implemented in Three Periods of Xia, Yin, Zhou. This study focused on the Jeon-Bu[田賦] system, and aimed specifically at demonstrating the process of Dasan’s argumentation on the Jeon-Bu[田賦] system in Three Periods of Xia, Yin, Zhou. and revealing its features. Various Confucian scriptures described in common that farmland was the major subject to tax, but expressed different aspects about the non-farm tax. For example, Mencius regarded receiving only land tax as the ideal tax system, on the other hand, Zhou-li described various names of tax which can be assumed non-farm tax. Moreover, Shang Shu’s Yu Gong graded nine Ju(州)‘s Jeon(田) and Bu(賦) separately, but did not really explain the meaning of Jeon and Bu. The older Confucian scholars were commonly regarded that there was only land tax, or that even if non-farm tax was there, it could not be a separated tax system independent from land. Accordingly, they regarded Jeon as the land’s grade, and Bu as the land tax amount’s or whole taxes amount’s grade. It reveals that they regarded production in Three Periods was depended entirely on agriculture, and tax system was unified into land tax. However, Dasan argued dualistic tax system in Sangseo-jiwonrog(『尙書知遠錄』), expressing Jeon as land tax amount’s grade and Bu as non-farm taxes amount’s grade. After that, he realized Se(稅) was different from Jeon, and wrote it on the headnote of Sangseo-jiwonrog(『尙書知遠錄』). Dasan’s perception of dualistic tax system in Three Periods was systemized based on Zhou-li’s Nine-Bu(9賦). He argued that all adults in Wanggi(王畿) had own job, and had an common obligation to pay taxes, namely Teakjoen(宅田)-Buga(夫家)-Oksok(屋粟). Furthermore, some jobs that produced a lot of added value were imposed additional tax such as Guansi’s Bu(關市之賦) and Santeak’s Bu(山澤之賦). Also in such perception, he reinterpreted Jeon, Se, Bu’s examples in Confucian scriptures. Dasan’s dualistic tax system in Three Periods was founded on the principle of specialization of Nine-Jobs(9職), which was a strong reflection of realistic goals. In other words, to reform the reality, he kept trying to demonstrate and find the ideal model in Confucian academic system. Therefore, Dasan’s dualistic tax system in Three Periods can be evaluated the highest reform’s measure can be derived based on the Confucian scriptures. 다산 경세학의 이념적․방법론적 토대는 三代의 古法이었으며, 삼대의 田賦는 토지제도와 더불어 다산 경세학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다산이 經學史的 전통 하에서 三代的 田賦의 古法을 논정해갔던 과정과 그 讀法의 原理를 해명하고자 했다. 유교 경전에서는 공히 農地와 田租가 수취의 주요한 부과대상이자 稅目임을 밝혔다. 그러나 농지 외를 대상으로 한 세목의 존재에 대해서는 經義가 다소 상이한데, 『孟子』가 오직 助法 하의 田租만 수취하는 것을 善政의 방도로 제시했던 한편으로, 『周禮』는 농지 외의 부과대상과 田租 외의 세목을 추정케 하는 다양한 賦稅의 양상을 전한다. 더욱이 『尙書』 「禹貢」에서는 9州마다 ‘田’과 ‘賦’의 등급을 별도로 매겼는데, 정작 ‘田’과 ‘賦’의 세법적 함의는 명시하지 않았다. 先儒는 대체로 삼대에는 田租 이외의 수취가 없었다거나, 있었다 하더라도 고유한 부과대상을 지닌 독립된 수취체계로는 간주하지 않았다. 이에 「禹貢」에서의 ‘田’을 농지의 등급으로, ‘賦’는 田租 혹은 田租를 중심으로 한 수취 총액의 등급으로 독해했다. 당시의 생산과 사회구성이 농업에 전적으로 의존했으며, 따라서 田賦의 체계 역시 田租를 중심으로 일원화되었다고 본 것이다. 이와 달리 다산은 『尙書知遠錄』에서 삼대의 ‘二元的 田賦論’을 제시했다. 「禹貢」의 ‘田’과 ‘賦’를 각각 田租와 田租 외의 세목으로 이원화한 것으로, 이로써 삼대에 농지 외를 대상으로 한 수취가 田租로부터 독립된 체계를 이루었다고 간주했다. 하지만 이 시기의 다산은 『周禮』 9賦 각각의 부과대상과 세목을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못하고 있었다. 다만 변화의 단초가 『尙書知遠錄』의 頭注에서 확인되는데, ‘田’과 ‘稅’를 田租로 등치했던 본문의 견해와 달리 ‘稅’를 ‘賦’로 간주했다. 이는 ‘賦’의 체계와 경전적 용례에 대한 다산의 탐구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稅’의 세목을 9賦 내에서 비정하지는 못했다. 二元的 田賦論의 체계는 『經世遺表』에 이르러 확립되었다. 다산은 『周禮』에서의 ‘9賦’를 용도에 따른 재원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만든 범주로 보았고, 따라서 기내 전역에서는 지역적 편차없이 동질의 수취제도가 시행되었다고 했다. 이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9職에게 보편적으로 수취되는 부세로서 宅田-夫家-屋粟이며, 그 명목은 각각 가호세-인구세-직업세에 해당한다. 한편 특정 직사에게만 부과된 세목도 상정했는데, 바로 關市之賦와 山澤之賦이다. 다산은 이를 농자의 田租에 비견했는데, 자생을 넘어서는 수준의 부가가치가 생산되는 직사에게 이에 대한 별도의 수취가 있었다고 본 것이다. 이로써 다산은 삼대에 독자적인 부과대상 하의 다양한 세목이 존재했고, 보편과 특수의 세목이 조화를 이루며 균평한 수취가 달성되었다고 보았다. 이같은 독법은 당시의 산업이 ‘9職의 專業’에 도달했다는 전제 하에서 구축된 것이었다. 즉 삼대 기내의 모든 민인이 재산-인구-직업에 대한 수취를 부담할 정도의 경제적 토대, 즉 專業으로서의 직업을 가지고 있었음을 상정한 것이다. 또한 다산은 이러한 원리 하에서 『尙書』와 『周禮』, 『春秋』 등의 경의를 재해석했고, 이에 부합하지 않는 『孟子』의 경의를 기각했다. 이처럼 다산은 9職의 專業이라는 三代的 理想을 유교의 학문 ...

      • KCI등재

        大韓佛敎天台宗 三大指標의 實踐에 대한 硏究

        김동림(보덕) 대각사상연구원 2015 大覺思想 Vol.24 No.-

        대한불교천태종 중창조 상월대조사는 관념이나 이론에만 치우친 불교는 우리의 生命과 眞理體驗에 아무런 도움이 될 수 없음을 천명함에 따라 오직 몸과 마음에 의지한 실천하는 불교에 역점을 두고 종단 중창 이념으로 三大指標를 설정하였다. 삼대지표는 ‘인간 즉 불타, 생활 즉 불법’ 실현에 뜻을 둔 애국불교․생활불교․대중불교 具現을 지향하는 천태종의 새 불교운동이다. 첫 번째 덕목인 애국불교는 과거 정치 세력과 밀접하게 유착되었던 세습적인 호국불교 개념이 아니라, 個人과 國家와 社會가 안정된 가운데 민족 고유의 전통과 정신문화를 계승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다음 생활불교에 있어서는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觀音呪誦 수행과 晝耕夜禪이라고 하는 대한불교천태종의 전통 수행법에 따라 생활 속에 실천 가능한 불교 풍토를 조성한 것이다. 특히 실천적인 부분에서 강조되고 있는 계율 수지에 대해 비구 250계와 비구니 348계를 함축한 十善戒 受持만을 선포함으로써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한 持戒風土를 정착한 점은 대한불교천태종 수행문화의 새로운 면모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중불교는 도심 속의 사찰운영, 4박 5일의 관음수행, 승속불이의 안거제도 등을 통해 모든 생명체들을 성불의 길로 인도하는 會三歸一의 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중창 70년을 맞는 대한불교천태종은 전국에 260여 곳의 말사를 건립하고, 신도 250만에 이르는 성과를 내면서 한국 불교계에서 삼대 종단의 班列에 올랐다. 이렇듯 종단의 敎勢와 성역화 사업이 번창할 수 있었던 것은 상월대조사의 興法護國․救世諸衆의 원력과 새 불교운동으로 전개된 삼대지표의 설정이 일반 대중들에게 쉽게 다가가 불교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했다는 점을 손꼽을 수 있다. 이에 필자는 대한불교천태종 성장의 동력이 된 삼대지표의 실천 내용과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천태종단의 현재와 미래에 溫故而知新의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동시에 본고에서 제시하는 삼대지표의 세부내용들을 현 불교계가 사찰 경영과 포교 방안에 적용해 간다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뭇 사람들이 정신적 안정을 취하고 마음의 평온을 회복하는 귀의처로 거듭 성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임을 의심하지 않는다.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of viewing the development path of Cheontae as three indicators, which were deployed by New Buddhist Movement and religious building ideology of Sangwol Daejosa Temple. Sangwol Daejosa Temple tells us that Buddhism only oriented with the principles is not a help to our lives and sincere experience at all. Thus, through the practice of life of Buddhism, Buddhism in daily lives, one should run parallel with works and practice toward fundamental ideology and through the emphasize of devotion to parents, one should not abandon the basic responsibility of human beings and thereby achieving the true religion. Based on this kind of background, the three indicators deployed by the new Buddhist Movement has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Buddhism of Patriotism, Livelihood, and Public. Buddhism of Patriotism does not mean the concept of Patriotism to conspire with the political power, but to success Korea's unique mentality and peace and harmony of individual, the society, and the country. Buddhism of Livelihood is settled with performing characteristics of 관음주송 and 주경야선. Buddhism of public leads Buddhist temple by harmonizing the Buddhists of authority centrally with the Chief monk and administration of religious affairs in Chong Bong mountain. The fact that Cheontae has 260 branch temples and consists of 2.5 million believers, rising to the rank of three religions in Korea, proves that we cannot help but concentrate on the New Buddhist Movement of Sangwol Daejo Temple. This would undoubtfully become the based of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Buddhism which is now realistically repressed. Especially, the three indicators of Cheontae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nagement principle of the traditional temple and this has a meaning of constructing the basis for Buddhist of authority and monks to devote to Kwan-im as practical Buddhism for the society and the country.

      • KCI등재

        기획논문 : 연민학(淵民學) 제7차 학술대회 ; 연민선생의 『연암소설연구』; 허생의 삼대책(三大策)을 중심으로

        김동석 ( Dong Suk Kim ) 연민학회 2012 연민학지 Vol.18 No.-

        서구세력이 점차 동양으로 진입하여 커다란 변화가 예상될 무렵 연암은 북경을 다녀오고, 자신의 견문을 담은 『열하일기』를 창작한다. 연암이 남긴 서사작품 「허생」은 「호질」과 함께 『열하일기』에 있는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허생의 삼대책(三大策)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민 선생은 연암소설연구에서 허생이 이완장군에게 제시한 삼대책을 용첩(用諜)과 입학(入學), 유환(遊宦), 통상(通商), 치발(치髮), 호복(胡服) 같은 것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연암소설연구에 고찰한 三大策을 후속연구의 일환으로 허생이 이완에게 제시한 삼대책과 관련된 내용을 『열하일기』에서 찾아 분석하려고 한다. 허생이 제시한 용첩과 입학, 유환, 통상 같은 것은 중주인물과 교류하여 북벌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을 만나야 변화하는 시대의 정보를 구할 수 있고,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북학파의 태동 이후 북경에서 연암이 만나 교류한 사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암은 북경에서 이여송(李如松)의 후손을 만나 조선에 있는 집안사람에게 족보를 보낸 적이 있다. 전후 과정이 허생이 제시한 명나라 후손과 관련이 있고, 이것이 삼대책의 중요한 소재가 된 것으로 보인다. 의복에 대한 견해로 그의 시대관을 엿볼 수 있다. 장자에 있는 말을 인용하여 깨진 기왓장과 똥거름 속에서도 볼 것이 있다고 주장한 연암은 복장 문제도 간과하지 않는다. 특히 조선 사신의 일행이 북경을 연행할 때 만난 청나라 사람들이 조선 사람들의 복장을 조롱하는 일화가 있었다. 분명 연암도 이런 대열에서 이것을 체험하였을 것이다. 연암이 이런 체험이 의복에 대한 관심을 더욱 자극하였을 것이라고 본다. 『연암소설연구』에서 문체 파동에 대하여 비중 있게 연구된 적이 있다. 특히 조선에서는 과거제도를 통해 더욱 유교 중심 사회를 이룩하려고 한다. 본고에서는 작품에서 허생이 이완에게 제시한 유환은 연암 당시에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 살펴보았다. 『열하일기』에 『장자』의 말을 수시로 인용하는 것은 분명 관료를 지향했던 선비들에게 금기시 되는 저술활동이다. 또 중국 한자에서 잘 쓰지 않는 한자어도 연암은 자신이 구상하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하여 조어(造語)에 가까운 표현을 한다. 이런 경우를 몇 가지 살펴보기로 한다. YeonArm is one of the important literary man in 18 century in the Zosun dynasty. In 1980, YeonArm who is called ParkJiWon has been to BeiJing and write 『YULHAILGYI』. An analogy of Heshang come from in In this book. An analogy of Hesheng contains the story between Hesheng and general Yiwan. This analogy is based on the background in 16century. At that time Joseon Dynasty was invaded by Qing dynasty.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Yiwan ask Hesheng for some advice how to attack Qing dynasty. Heshang made 3 policy for overcoming Qing dynasty. Even though 3 policy for overcoming Qing dynasty in 16 century, its policy is very cloely related with situation in 18 century when the writer wrote this story. So this paper investigate into 『YULHAILGYI』 to find some elements that is related with Heshang` 3 policy. First, Heshang suggested to wear casual clothes in order to carry out war in 16century. But general Yiwan rejected that request because it is almost impossible to change traditional clothes. When Parkziwon and Royizom visited Beijing in 1780 with an Joseon Dynasty envoy, they are sometimes ridiculed on the street by chinese children because their clothes are quite different from chinese people. Royizom wrote down what he feeled shameful in his traveler` note that is called 『Susalok』. But Parkziwon didn`t note down in his traveler` note that is called 『YULHAILGYI』. Even though Parkziwon didn`t note down this thing, he expressed many another words about clothes. So what the Heshang` said about clothes is closely related his experience in Beijing. This paper conclude that the voice of Hesheng in the voice of Parkziwon in 18century. Hesheng advised general Yiwan to urge Joseon Dynasty state minister to let their descendant marry Ming明 Dynasty descendant who were living in Korean peninsular in 16 century. General Yiwan also denied Hesheng` proposal because Joseon Dynasty were so conservative that they wouldn`t accept this proposal. Hesheng`s this idea come from Parkziwon` experience. During his staying in Beijing in 1780. In 『YULHAILGYI』, Parkziwon` met with Leehongmoon who is the descendant of Ming Dynasty general Leesheng- yang. Leehongmoon asked Parkziwon to deliver by hand their family tree book. Under Qing Dynasty it is taboo. Through this paper, it cud be said that many people in Joseon Dynasty in 18 century still strongly want to revenge Qing Dynasty because Joseon Dynasty were conquered by Qing Dynasty in 16 century. So Parkziwon criticize his society atmosphere through Hesheng`s saying in his writting 『YULHAILGYI』. And by overcoming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Qing Dynasty, it is possible to learn Qing Dynasty that is the only country at that time that Joseon Dynasty could meet outside world at that time.

      • KCI등재

        균여(均如)의『석화엄지귀장원통초(釋華嚴旨歸章圓通鈔)』 삼대육구(三對六句)에 나타난 원통(圓通)의의미 고찰

        이선이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8 No.-

        Seokhwaeomjigwijangwontong-cho (『釋華嚴旨歸章圓通抄』) by Gyunyeo (均如) is a commentary of Hauyanjingzhigui (『華嚴經旨歸』) by Fazang (法 藏). He developed his own logic of Perfect penetration (圓通) by classifying the preface of Hauyanjingzhigui into the three antitheses of the six-line verse (三對六句). The three antitheses of the six-line verse (三對六句) make an antithesis utilizing the four-six rhymed style (四六騈儷体), with which commentators can reconcile and unite different arguments into one. Because the very antithesis between the two produces counterevidence that they are related each o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rms making an antithesis varies depending on each scholar. Gyunyeo brought to a conclusion of ‘one (一)’, founding the common meaning in different arguments. Dharma (法) and artha (義) of the Buddha’s teaching are one as a counterpart. He discusses Perfect penetration (圓通) of dharma (法)⋅ artha (義) with the logic of the antithesis. It is because dharma (法) and enlightenment (喩), cause (因) and effect (果) and the deep (深) and the wide (廣) as counterparts penetrate each other without conflict. Samantabhadra’s (普賢菩薩) part (分) and Mahāvairocana’s (盧舍那 佛) gate make perfect penetration and one through the antithesis of dharma-enlightenment (法喩對), that of cause-effect (因果對) and that of the deep-the wide (深廣對). Also they show that the aim (旨歸) and the doctrinal tenet (宗趣) only consist in Mahāvaipulya Buddhāvataṃsaka Sūtra (『大方廣佛華嚴經』; the Flower Adornment Sutra). The mysterious sphere of Mahāvairocana’s and the mirror reflected by Samantabhadra are not different. Gyunyeo didn’t create the terminology of Perfect penetration but employed the meaning of it in the way that his idea of Hwaeom (the Flower Adornment) demonstrates One vehicle of perpect teaching (一乘圓 敎). He add the logic of the antithesis which reconciles and unites Dharma (法) and artha (義) into one in to the meaning of Perfect penetration in the three antitheses of the six-line verse, and recreate Perfect penetration as the main terminology which defines his idea of Hwaeom. This writing studies how he understood and employed this Perfect penetration. 균여의 『석화엄지귀장원통초(釋華嚴旨歸章圓通鈔)』는 법장의 『화엄경지귀(華嚴經旨歸)』의 주석서이다. 균여는 『화엄경지귀』의 서문을 삼대육구(三對六 句)로 분과하여 자신의 원통 논리를 드러낸다. 삼대육구는 사륙변려체(四六騈儷体)의 문장을 활용한 대구법(對句法)을 가리키는 것이며, 주석가마다 다른 주장을 하나로 회통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왜냐하면 對하고 있는 그 자체가 쌍방이 서로 관련이 있다는 반증이기 때문이다. 對句에서 對하고 있는 단어[용어]에 대한 이해는 교학가마다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여러 주장에서 균여는 같은 의미를 찾아 ‘一’이라는 하나의결론을 이끌어 낸다. 부처님의 가르침인 法(敎)과 義는 서로 마주 보는 對로서 一이다. 균여는 對의 논리로 敎⋅義의 圓通을 논증한다. 왜냐하면 法과 喩, 因과 果, 深과 廣과 같이 서로 對하여 이지러짐이 없이 원만하게 통하기 때문이다. 이 法喩對, 因果對, 深廣對를 통해서 보현보살의 分과 노사나불의 門도圓通하여 하나이며, 旨歸와 宗趣는 오직 ‘대방광불화엄경’에 있음을 보인다. 노사나불의 묘한 경계와 보현보살의 눈에 비치는 거울은 다르지 않다. 圓通이란 말을 균여가 스스로 사용하지 않았지만, 균여는 자신이 주석한圓通 또는 圓⋅通의 의미를 자신의 화엄교학이 일승원교임을 보이는 방식으로 운용하였다. 균여는 이러한 圓通의 의미에 삼대육구에서 敎⋅義를 하나[一]로 회통시키는 ‘對’의 논리를 부가하여 자신의 화엄을 규정지을 수 있는대표적인 용어로 ‘圓通’을 재탄생시킨다. 본고에서는 이 중심에 놓인 ‘圓通’을균여는 어떻게 사용하고 이해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삼대록계 소설에 나타난 남성 인물의 의처증 연구:〈소현성록(蘇賢聖錄)〉 연작의 ‘소운명’을 중심으로

        공혜란(Gong, Hye-ran)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 No.53

        삼대록계 소설은 그 방대한 양으로 인해 많은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중 아내가 실제로는 부정하지 않으나 아내의 정절을 의심하는 남편들이 17∼18세기 삼대록계 소설에서 종종 구현된다. 이 글에서는 먼저 초기 삼대록계 소설인 17세기 〈소현성록(蘇賢聖錄)〉 연작에서 소운명이 아내 이씨에게 보이는 일련의 행동들을 현대의 병리적 현상인 ‘의처증’으로 규정하여 그 증상과 원인을 살피고, 이러한 남성 인물 유형이 후대 18세기 삼대록계 소설의 남성 인물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밝히기 위해 현대 정신의학의 개념과 프로이트의 연구에서 도움을 받았다. 그리고 18세기 삼대록계 소설에서는 18세기 초의 〈유씨삼대록(劉氏三代錄)〉, 18세기의 〈현몽쌍룡기(現夢雙龍記)〉, 18∼19세기 초반의 〈조씨삼대록(曺氏三代錄)〉을 선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17∼18세기 삼대록계 소설에서 의처증 증세를 보이는 남성 인물들을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논의를 통해 국문장편소설 속 남성 인물들의 다기한 모습을 조금이나마 엿보려 한다. In three-generation series novels, many characters are embodied due to their massive volume. Of them, the husband who doubts his wife’s fidelity, even though she is not unfaithful, is often embodied such novels from 17th and the 18th century. This study first defines a long line of acts by Sounmyeong Sohyeonseong- rok series in the 17th century, which is an early three-generation series novels on “morbid jealousy”, a modern pathological phenomenon to examine its symptoms and investigate causes and the impact of such a type of male characters on these novels later in the 18th century. This study received help from concepts in Modern Psychiatry and Sigmund Freud’s studies. In addition, of the three-generation series novels in the 18th century, this study was concerned with Yussisamdaerok in the early-18th century, Hyeonmong-ssangryonggi in the 18th century and Jossisamdaerok in the 18th to the early-19th century. this study classifies and investigate the male characters who show symptom of morbid jealousy aforementioned novels. this study also examines various aspects of male characters in Korean full-length novels through this discussion.

      • KCI등재

        영화 <공처가 삼대>와 <장남>에 나타난 공간의 표상성

        백태현(Baek, Tae Hyu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4

        이 글은 근대로 이양되는 시기의 영화들 속 인물의 운명을 공간과 결부하여 설명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영화 속 공간을 서사의 맥락 아래에서 고찰하여 부정적인 것 혹은 긍정적인 의미로만 살펴보았거나, 사회학적 자료로 영화를 활용하는 수준에 그치고 말았다. 이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벗어나 스타일 중심의 영화분석을 시도한다. 영화 <공처가 삼대>는 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삼대의 모습이 재현된다. 이 공간은 삼대가 서로 살아가는 곳으로, 거의 모든 생활을 공유하는 곳이다. 또한 이곳은 조선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곳이었으며, 전근대적 모습을 가지고 있다. 영화후반부에서 가족은 사생활을 공유하는 생활과 전근대적 가치에서 오는 불만으로 감정이 폭발하게 된다. 영화는 이 갈등을 핵가족으로 분화하는 것과 새로운 공간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결한다. <공처가 삼대>의 공간은 전근대적인 모습에서 근대적인 모습, 즉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변화하면서 근대화가 가져다 줄 장밋빛 미래를 약속한다. 영화 <장남>은 자녀세대가 사는 도시 공간을 컴퓨터와 고층 건물로 재현한다. 반면 부모세대가 사는 공간은 수몰 지역과 농촌을 표상한다. 수몰 지역으로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부모 세대는 서울에 있는 장남 집으로 올라오지만, 도시 생활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게 된다. 부모세대가 도시에서 안식을 찾을 곳이라고는 아무 데도 없다. 발전의 최정점 공간으로 표상되는 아파트로 이사해 보지만 적응하지 못하는 것은 여전하다. 결국, 부모는 도시 그 어디에도 정착하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은 부모의 장례식 장면에서 어머니의 관이 곤돌라에 위태롭게 흔들리며 내려오는 장면을 통해 드러난다. 두 영화 분석을 통해 영화와 공간이 가지는 상관 관계를 살펴보았다. <공처가 삼대>에서는 근대적 공간이 행복한 미래를 약속하는 곳으로 나타났지만 <장남>에서의 근대적 공간은 비극적인 죽음을 가지고 왔다. 공간을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는 영화 스타일을 통해 그대로 드러났으며, 이를 통해 변화하는 사회적 의식의 반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ains the destiny of characters in the films in the period to transfer to modernity by associating with spaces captured by camera. The existing studies remained at the level to utilize the film as sociologic data or examined the functions in terms of negative or positive meanings by considering the spaces in the film in the narrative contexts. Therefore, the works in this study to stare film analysis which was the center of narration and historicizing by focusing on style is significance. The film, Three Hen-Pecked Generations, represents the lives of three generations through a space of one house. This space is the living place that the families in the three generations live together and they have to share almost of their lives here. The space figured as a house was the space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Joseon Dynasty and the lives in this space has pre-modern way. As last, the dissatisfaction from the lives to share private lives came to explode in the later parts of this film. The film resolved this confliction due to suggestion to divide into nuclear family and to suggest new spaces. The spaces in the film promise a rosy future by moving from pre-modern way to modern space. The film, Oldest Son, represented the urban space that the children generation lived with computer and skyscrapers. Otherwise, the space that the parents" generation lived represents submerged districts and rural area. The parents’ generation who lost their homes as the submerged districts moved to the house of their oldest son in Seoul, but they did not adjust to the urban life easily. There was no place to find rest in the city for the parents’ generation. Finally, they moved to an apartment house which is the symbol of the central place of development but they did not adjust still. At last, the parents met their deaths without settlement in any place of the city. Those characteristics as above-mentioned revealed through the scene that the coffin of the mother was descending critically and swaying at the funeral of the paren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lm and spaces by analyzing two films was examined. In the film, Three Hen-Pecked Generations, the modern space was expressed as the space to promise a rosy future, but the modern space in the film, Oldest Son, brought tragic deaths. The changes of perspective toward spaces revealed through film styles as it is and it was able to confirm the reflexivity of social consciousness changed to styles through this.

      • KCI등재

        무애무(無得舞)사상의 예술적 의미와 해석 - 일심사상(一心思想)과 삼대(三大)를 중심으로 -

        강은숙 ( Kang Eun-sook ),정은혜 ( Jeong Eun-hye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9 한국무용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무애무의 배경 사상인 일심사상(一心思想)의 이문(二門)과 삼대(三大)를 ‘사상의 예술적 구현’이라는 관점으로 연구한다. 원효의 일심사상이 무애무로 현상화 되기까지의 사상적 근거를 제시하며 체(體)상(相)용(用)삼대(三大)의 논리를 춤의 창조의 원리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이 시대 춤의 본질과 현상에 관한 근원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심사상의 이문과 삼대의 논리를 통해 본체와 현상의 일치로서의 무애무를 해석한다. 이는 본체의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인 현상학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 무애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애무는 일심의 표상으로 삶과 사상과 춤이 관통하여 일체가 된 현상(相)이다. 둘째, 무애무는 삶에서 벗어나려는 예술이며 삶이 되려는 예술이다. 셋째, 무애무는 몸을 지배하는 사상에서 사상을 확장하는 마음의 실천이다. 넷째, 무애무는 창조적 사고와 지식의 통합적 산물의 ‘실천’이다. 다섯째, 예술의 미적가치는 삶의 주체인 인간의 정신과 철학을 표상한다는 점에서 인간 가치와 동일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체(體)와 상(相)의 일여(一如)로서의 몸의 전일적 언어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춤의 본질이며 진정성일 것이다. In this study, I study the one - mindedness of two minds and the three majores of the universe thought, which is the background thought of non - aff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istic realization of thought'. It suggests the ideological basis from the uniqueness of Wonhyo 's one - sided thought to the development of non - aggression and attempts to interpret the logic of the three phases of the phase for the same meaning as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dance 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damental meaning of dance in this era. The essence of the universe and the third is a kind of phenomenological attempt of 'mind'. Based on the discussion, the implications for non - caring are as follows. First, Muae-mu is a phenomenon that life, thought and dance penetrat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one heart. Second, Muae-mu is an art to escape from life and an art to be a life. Third, Muae-mu is the practice of the mind that expands thought from the idea of dominating the body. Dance is not an idea but a living dance of living. It is the sincerity of dancing that makes the whole-day language of body as body and phase one, reviving the sense of life in a single change in the vital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