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40~1950년대 조선 비교문학에 관한 고찰

        마성은 ( Ma Sung-e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0 No.24

        본고는 1940~5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조선) 비교문학을 검토하였다. 우선 8.15 민족해방 이후 민족문화 모색기에 있어 소비에트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하 소련)문학을 섭취하고자 했던 논의를 살펴보았고, ‘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을 비판함으로써 대한민국(이하 한국) 문단을 비판했던 모습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당시 조선에서 소련문학이 어느 정도 번역ㆍ소개되었는지 살펴보았고, 소련문학의 번역ㆍ소개가 시 창작에 미친 영향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조선의 비교문학은 거의 논의된 바가 없다. 조선문학사를 돌이켜 보더라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는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조선에서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시기가 있었다. 바로 8ㆍ15 민족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까지의 시기이다. 8ㆍ15 민족해방 이후 조선문학예술계에서는 ‘민족문화론’을 제기하는 글들이 연이어 발표된다. 민족문화론의 주된 논점 가운데 하나는 소련과의 국제적 친선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조선문학은 그 건설단계에서부터 소련문화예술과의 교류를 강조했다. 1940~50년대 조선에서 이루어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에서 흥미로운 것들 가운데 하나가 바로 ‘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에 대한 비판이다. 이러한 비판은 곧바로 당시 한국 문단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더욱 주목할 만하다. 한효는 1949년에 발표한 장문의 평론 「민족문학에 대하여」를 통하여 ‘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을 비판하고 ‘인터나쇼날리즘’을 주장하는데, 이를 통하여 당시 조선에서는 비교문학을 ‘프로레타리아 국제주의적 관점에서 소련문학을 섭취함으로써 조선의 민족문학 건설을 뒷받침 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인식했다고 볼 수 있다. 1940~50년대 조선의 비교문학이 주로 소련문학을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었음을 고려할 때, 당시 조선에서 소련문학이 어느 정도 번역ㆍ소개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물론 분단 상황에서, 그것도 조선에서 이미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를 찾아보기 어려워진 실정에서 1940~1950년대 조선의 소련문학 번역ㆍ소개 실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일부 평론과 문헌을 통하여 당시 조선의 소련문학 번역ㆍ소개 상황을어느 정도는 가늠해 볼 수 있다. 1940~50년대 조선에서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는 주로 이론 영역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창작 영역에서 비교문학의 양상을 검토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하지만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기관지 『문학예술』 1950년 2월호에 발표된 이정구의 「쏘베트 시문학과 우리 시인들」을 통하여 시 창작에 나타난 비교문학의 면모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미 1950년대에 단행본으로 350권 이상의 번역 작품을 내놓은 바 있을 만큼, 조선 비교문학의 토양은 척박하지 않았다. 그러나 1956년 ‘8월종파사건’ 이후 ‘천리마시대’가 도래하면서 조선에서는 더 이상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지 못했다. 이후 조선이 국제무대에서 고립되면서 조선문학 역시 비교문학을 배제하고 자체 내에서만 해명하고자 하는 배타적 고립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이러한 조선문학의 배타적 고립은 주체문학과 선군문학으로 이어지면서 외국문학과의 소통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In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ROK), there has been few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after DPRK). Thinking back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DPRK, there has not been weighty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1940~50s, however, there was active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many critics in the North promoted ‘National Culture’. One of the main points of ‘National Culture’ was to establish amicable relations with the USSR. From its beginning, literature of DPRK emphasis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change with the USSR. One of the interesting points of the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is its criticism of ‘Foreign Literature Group’ and ‘Cosmopolitanism’. This criticism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connected to criticism of the literature of ROK. In Hyo Han’s lengthy critical essay, ‘About National Literature’, published in 1949, Hyo Han criticised ‘Foreign Literature Group’ and ‘Cosmopolitanism’, and promoted ‘Internationalism’. With this, it can be said that comparative literature was perceived in the DPRK as a methodology to build ‘National Literature’ by learning literature of USSR in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ism. Considering that one of the main object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was literature of USSR, it is required to see how much of literature of USSR was translated and introduced in the DPRK. And yet, as Korea is divided and it is now very hard to find any traces of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even in the DPRK,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collect enough material about the situation of the DPRK in 1940~50s. Despite the fact, we can understand the situation more or less via some critics and material about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literature of USSR in the DPRK. The base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was not so poor, as over 350titles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as early as 1950s. And yet, after ‘August Affair of Sect’ and ‘The Period of Chollima Movement’ that followed, comparative literature ceased to be a topic of discussion in the DPRK. Since that time, as DPRK was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literature of DPRK excluded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t itself off from literature of the outside world as well. Such international isolation of literature of DPRK leads to ‘Juche Literature’ and ‘Songun Literature’, making it even more difficult for exchange of literature with the outside world.

      • KCI등재

        중국내 한중비교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해영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중국내, 한중비교문학연구의 중요한 3대 영역인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 한중근현대문학비교연구, 비교문학 형상학(比较文学形象学)연구 등 세 영역에 거쳐 최근 10년간 산출된저서, 박사학위논문, 주요학술지 게재논문 등을 중심으로, 중국내 한중비교문학연구에 대해살펴보았다.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의 경우 최근 10년간 박사학위논문은 2 편뿐으로 매우 저조하며 주요 학술지 논문은 적지 않게 산출되었다. 주요 학술지 논문은 거의 대부분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산출되었다. 이는 역으로 중국내, 한국문학 전공자들의 분포상황을보여주고 있는데, 석사학위 과정의 경우 한국고전문학전공자와 한국근현대문학전공자의 비율이 비슷하나, 박사학위과정에서는 한국고전문학전공자가 한국근현대문학전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을 보여준다. 향후 중국내, 한국문학 학문후속세대 육성에서 보다 균형적인발전을 위해 유의해야할 부분이다.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전공자들이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매우고무적인 일이나, 그럼에도 우리는 결코 두 가지 측면의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하나는그들이 조선한문학을 역외한문학의 시각으로 접근함으로써 은연중 논문 속에 중화중심주의사상이 녹아들게 되는 부분이다. 다른 하나는 그들이 비록 우수한 고한문 해독능력을 가지고있음으로 하여 원전해독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나, 한국어 해독이 불가능함으로 하여 한국 고전문학 내지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에 관한 한국 측, 학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들을 읽을 수 없고 참조할 수 없다는 부분이다. 이는 자칫 그들로 하여금 편향되고 왜곡된 시각을갖게 하는 위험 요소이기도 하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국학자들의 우수한 연구성과들을 중국어로 번역하여 중국학계에 전파하는 일이 매우 중대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이러한 학술성과들의 번역과 전파에 관심을 갖고 노력하고 있는 일례로는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중핵대학사업단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총서의 한중양국에서의 동시 출간이다. 또한 중국정부가 2011년부터 의욕적으로 추진하고있는 中华学术外译 프로젝트를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한중근현대문학비교연구의 경우는 우수한 저서들과 함께 박사학위논문과 주요 학술지 논문들이 다양한 분야에 거쳐 적지 않게 산출되었다. 주제별로 강경애와 소홍에 대한 비교가 압도적으로 많은 양을 차지했으며 그 외 강경애, 소홍, 정령 등에 대한 비교연구도 진행되었다. 한중 근현대 여성문학에 대한 비교도 많이 이루어졌는데, 폐미니즘 이론을 적용한 깊이 있는비교 연구는 아직 산출되지 못하고 있다. 현진건과 욱달부, 노신과 이광수, 한국 근대전환기문학 내지 신소설에 대한 양계초 문학사상과 문학관의 영향관계 등에 대한 비교연구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졌다. 저자들로는 중국의 한국문학전공자 출신, 중국의 중문과 출신 중국문학전공자, 한국의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 등 다양한 부류가 있다. 중국의 한국문학전공자와 한국의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들의 경우, 목표어 문학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상당히 깊이 있게 진행해왔지만 역으로 자국문학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하여 보다 밀도 있는 심층적인 비교연구가 이... This paper reviews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of Korea-China in China,focusing on most recent publication for the last 10 years including Ph.D thesesand published academic journals, in particular three main themes inKorea-China comparative literature study (Comparative Study on Korea-ChinaClassic Literature, Comparative Study on Korea-China Modern &Contemporary Literature, and Study on Comparative Literature Imagelogy (比较文学形象学). For comparative researches on Korea-China classics, there are only two (2)Ph.D theses for the last 10 years.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academicjournals for the same period. Almost all of these papers were written by Chineseliterature majors who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This also implies composition of those who major in Korean Literature inChina. For master program, there are about the same number of students inthose who major in Korean Literature and those in Korean Modern &Contemporary Literature. However, in Ph.D program, there are only a few ofthose who major in Korean Classic Literature, compared with those in Korean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 This suggests that it needs to consider forbalanced academic development in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raining nextgeneration. It is very encouraging that those who major in Chinese Literature aftergraduating from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re interested in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China classic literatures. However, weshould not overlook the following two (2) issues: its intention of consideringChosun Chinese Classics as an outside Chinese Classics, as a way of meltingthose into Sino centrism. Another is the fact that they cannot translate Koreanalthough their capacity of translating old Chinese scripture is outstanding. This means that they cannot understand and refer to the works of Koreanscholars. This also can be used as a tool to form a distorted/biased view. To preventit,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outstanding works of Korean scholars intoChinese, to spread the works to Chinese academic circles. As an example of making efforts in translating/propagating academicresearch outcomes, ‘Series of Korea Research Center in Ocean University ofChina’ was published simultaneously in Korea and China, which was carriedout by Project Management Unit of Overseas Korean Studies Institution. Also,it needs to pay attention to ‘中华学术外译’ project, which is carried out byChinese Government since 2011. For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China modern literatures, there area number of academic thes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h.D thesis. Most ofthem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works of Gyeong Ae GANG andthose of Hong SO. Others include comparative studies on Gyeong Ae GANG,Hong SO, Ryeong JEONG, etc. There have been much works produced in the subject of the comparison ofKorea-China 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s. However, there has beenalmost none of comprehensive comparative researches done that reflectedfeminism. So fa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omparative studies done aboutliterature at the turning point to modern period (Jingeon Hyeon, Dalbu UK,Shin RHO, Gwangsoo Yi), Gecho YANG’s literary ideology, and the relationbetween literature views. Authors are from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Chinese scholars whomajored in Korean Literature in China, Chinese scholars who majored inChinese Literature, Korea scholars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etc. Inparticular, Chinese scholars who either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andKorean scholars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have produced in-depthanalysis and research papers in target language literature. However, withoutcomprehensive studies and understanding on their own literature, it seems notto progress further in comprehensive comparative researches. Even those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after graduating with a degreein Chinese Literature in college, have difficulty in interpreting the or...

      • KCI등재

        일본 비교문학 연구 동향 - 도쿄대학 비교문학비교문화코스를 중심으로

        이병진 ( Lee Byungjin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70

        근대일본은 도쿄제국대학을 중심으로 일본 각지에 산재한 제국대학들은 선진 유럽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초빙해서 그들의 문화를 일본에 소개하고 현지화 했다. 당시 일본은 정부주도하의 전략적인 서구 문화를 수용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러시아의 철학자이자 음악가였던 라파엘 폰 케벨(Raphael von koeber, 1848-1923)은 메이지(明治)정부의 고용외국인 자격으로 1893년부터 도쿄제국대학에서 21년간 철학과 서양고전학을 강의하며 많은 일본인 학생들을 양성했다. 그로부터 미학, 철학, 그리스 사상 등의 폭넓은 지식을 교육받은 일본인 제자들은 후에 일본문단을 대표하는 문학가와 사상가로 자리를 잡는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구축은 서구 중심의 교양과 철학을 중시하고 섬세한 감수성을 중시하며 스스로 원전(原典)을 읽고 해독하려는 학문적 풍토에 이바지한다. 그 연장선에서 1930년대부터 일본은 자각적으로 비교문학연구를 시작하게 된다. 예를 들면 『세계문예대사전』(1935-37년)에서 시마다 긴지(島田謹二, 1901-1993, 비교문학연구자, 도쿄대교수, 비교문학연구 영역을 개척)가 집필한 「비교문학」, 「포우와 보들레르-비교문학사적 연구」 항을 보면 프랑스 비교문학의 변천과 현황 및 비교문학의 일본에서의 의미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아마도 자각적으로 서구의 비교문학을 일본에 소개하고 그 필요성을 강조한 최초의 언급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의 비교문학연구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대학 연구기관으로서는 1953년 도쿄대학 대학원에 비교문학비교문화과정이 처음으로 만들어지고 시마다 긴지가 강좌주임을 맡는다. 다음 해 東大比較文學會가 결성되어 기관지 『比較文學硏究』를 창간한다. 같은 해 도쿄여자대학에도 비교문화연구소가 창설되어 『比較文學』이 창간된다. 이후 1962년에는 와세다대학에도, 대비(對比)연구 노작인 『롤랑의 시와 헤이케(平家)이야기』를 집필한사토 데루오(佐藤輝夫, 1899-1994, 중세 프랑스문학연구자)를 실장으로 하는 비교문학연구실이 만들어지고 1965년 『比較文學年誌』를 창간한다. 이 밖에도 많은 대학에 비교문학 강좌가 개설되고 계몽활동적인 공개강좌와 강연회가 각지에서 개최되기에 이른다. 일본의 비교문학은 이처럼 종래의 문단적 문학을 대상으로 하는 틀에서 벗어나 비교문화사, 국제적 문화관계사와 같이 독창적인 새로운 영역에까지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러한 배경에는 일본의 근대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세계 속의 일본이라는 자국중심의 비교문학 비교문화의 논점이 강한 일본 중심의 성향과, 외래문화와 학문에 대한 개방적인 사회적 분위기와 학문적 풍토가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Japan is the starting point of comparative literature generally around 1890 Tsubouchi Shoyo (坪 內 逍遙, 1859-1935, novelist, critic) under the name "Treviso (比照) literature at the Tokyo College (now Waseda University) poses four ( looking into a river in the center of "comparative literature (comparative literature)" (1886) of HM Posnett). Bow River is a value used in the Japanese market spirit of the European City (詩歌) spirit, it recognized the need for a comparison of European and Japanese literature and literary history and comparative literary composition hayeotdago climate. It thus starting a comparison of Japanese literature gave vital help to reach a global awareness across the country of Japan can come up with the presence of foreign hydrologist (ohgeoseu Tuscan wood, Lafcadio one) who hold the teaching, etc. at the time of the University of Tokyo, they received training in earnest from a variety of disciplines such as systems of Western modern literature and art Ogai Mori (森鷗外, 1862-1922, writer), Natsume Soseki (夏目漱石, 1867-1916, English scholar and novelist), empty Ueda (上田敏, 1874-1916, is the emergence of the Japanese scholar of English literature, poet, etc.). At the time of the Imperial University in Japan it centered around the Tokyo Imperial University and had a role to introduce and localize the Japanese culture of the West actively by inviting experts in various fields of advanced Europe. At the time of Japan`s modernization was accepted under a government led by aggressive Western culture was performed at the same time faithfully serve to propagate Western culture, one is selected government agencies and Imperial College to the inside Japan. For example, the Russian-born philosopher, who was a musician Rafael kebel phones (Raphael von koeber, 1848-1923) has taught Meiji (明治) Foreign Employment Eligibility 21 years philosophy and classics at the Tokyo Imperial University since 1893 by the government and a number of Japanese students It was a positive. Kebel from aesthetics, philosophy, ensuring a wide field of view than a wide and deep range of knowledge transfer through the Japanese students, such as Greece will ever have after working as a literary and thinkers representing Japan paragraphs. The educational foundations of Western center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emission of intellectuals to the delicate sensitivity and importance and emphasis on reading their own nuclear power plants (原典) decrypts the culture and philosophy of the western center. Since its extension in 1930 Japan will begin a comparative study of literature as subjective. For example, each time in a comparative literary intentions strong in Japan, "Dictionary of World Literature" (1935-37) is long (島田謹二, 1901-1993,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er, University of Tokyo professor, pioneered the comparative literature study area), "who wrote the comparative literature "," Poe and Baudelaire - comparative literature and look at the historical study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term in Japan and in France compared to transition into literature and comparative literature wonderfully. This compares with the activation of the research institutes of the University of Literary Studies in Japan As a cross-cultural comparative literature courses are founded in 1953, The University of Tokyo Graduate School of Shimada is long is the course supervisor struggled to reverse development. The following year formed the 東大比較文學會 and will constitute the bulletin "比較文學硏究". And compared to the same cultural institute in Tokyo Woman`s Christian University is the creation of "比較文學" is launched. Since in 1962 in Waseda University, that is mounted against (對比) research nojak the "Kerala Hay and when Roland (平家) story," Sato, author of Teruel five (佐藤輝夫, 1899-1994, medieval French literature researchers) comparative literature lab has been created, and in 1965 founded the "比較文學年誌". In addition, it leads to the establishment comparative literature courses at many universities and enlightenment activities of public lectures and seminars held in the country. Comparison of Japanese literature is thus to advance in the prior paragraph of the enemy ingenious new areas such as comparative cultural history and international culture in the subsidiaries outside the framework to target the literature. Such a background would have been possible, with the modernization of Japan in the iteotgie always keep this in mind, the nationalist tendencies in the world, Japan, strong academic culture in Japan.

      • KCI등재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을 넘어서

        박성창(Park Sung Cha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연구 Vol.28 No.-

        동양과 서양의 문학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유사정과 차이를 드러내고자 하는 이른바 ‘동서 비교문학’은 서로 다른 문명권에 속해 있으며, 서로 이질적인 사상과 표현 체계를 지닌 문학들을 비교한다는 점에서 서구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비교문학이나 한국ㆍ일본ㆍ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비교문학과는 그 이론적인 지향점이나 체계가 다를 수밖에 없다. 비교문학의 서구 중심적 시각을 벗어나 동서 비교문학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정립하는 것은 한국학의 일환으로서 한국 비교문학의 중요한 과제이다. 한국문학에 대한 비교문학적 연구가 동아시아 문학과 세계 문학의 이론적 틀 속에서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전제에서 ‘동서 비교문학’이라는 명칭 아래 그 이론적 틀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선 서구 비교문학이론 가운데 동서 비교문학 연구방법론과 관련해 중요한 쟁점들을 보여주는 작업들을 검토한 다음, 동양과 서양의 서로 이질적인 텍스트들을 어떤 이론적 근거에 기반하여 비교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해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한국학의 일환으로서 한국비교문학은 한편으로 세계문학의 틀과 다른 한편으로는 동아시아 문학의 틀 속에서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을 넘어서서, 보편성과 상대성, 공통점과 차이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관계를 사유해야 할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serious effort to systemize the study of East-West literary relations has just begun to be initiated in the recent field of comparative literature. The main obstacle to the study of East-West literary relations and even to that of intra-Asian relations has been and still remains the 'Eurocentric' im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Western comparative literature. Advocating the problematic of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we argue for the expan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beyond what Rene Etiemble calls 'European or Eurocentric chauvinism', while going beyond those nagging questions of inequality between influence and indebtedness, center and periphery, the West and the rest, and so forth.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does not mean simply to put together disparate texts without any grounds for comparaisons. Questions of literary theory become important in providing the basis for wide-ranging comparison between East and West. To establish the problematic of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closely two main issues of this problematic. It can be formulated in the terms of binary opposition: cultural universalism / relativism (pluralism), orientalism / occidentalism. As a branch of Korean Studies,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should be studied within two theoretical frames of reference: World literature and East Asian literature.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 근대초기문학 연구

        허련화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2 No.-

        본 논문은 중국에서의 한국 근대초기문학에 대한 연구 상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중국에 서의 한국 근대초기문학에 대한 연구는 1999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2010년 이후 눈에 띄게 늘었다. 크게 비교문학적 연구와 일반적인 한국문학연구로 나뉘는데, 그중 비교문학연 구가 특히 많다. 대부분은 중한문학비교이고 일부 중한일문학비교, 한국과 서구문학 비교가 있다. 중한 두 나라 근대초기문학은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그 당시 두 나라의 시대상 황, 문학사조 등이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관계로 영향관계의 비교문학논문, 평행적인 비교문 학논문이 모두 많으며, 일부는 한 논문에서 두 가지 연구방법을 모두 적용하고 있다. 영향관 계연구에서 가장 많이 다뤄진 내용은 양계초의 사상이 한국근대문학과 한국근대사회에 준 영 향이며, 그 다음으로는 기독교가 한국 근대초기문학에 준 영향을 들 수 있다. 평행비교연구로 는 중한 두 나라 근대문학사조, 근대문학사상의 비교 및 작가 작품 비교가 있는데, 가장 많이 비교된 것은 한국 이광수의 <무정>과 중국 노신의 <광인일기>이다. 일반적인 한국 근대초기 문학연구에서도 이광수와 그의 소설 <무정>에 대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이로부터 중 국학계의 이광수에 대한 중시도를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quo of the research o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in China. The research began in 1999 and has been intensified since 2010. Research approaches are largely divided into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and Korean literary studies, with the former figuring dominantly. In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most are on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and some are o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or on Korean and west European literature. Early modern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influences each other because the two countries share similar social conditions and trends of literary thought. So many papers apply the approach of influence studies or parallel studies. Some papers even adopt the approach of influence studies combined with parallel studies. In influence studies, the most talked about is the influence of Liang Qichao's ideas o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society, followed by the Christian influence o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In parallel studies, the most talked about is comparison between Mutiny by Lee Kwang-soo and A Madman's Diary by Lu Xun. Aside from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the study on Lee Kwang-soo and his Mutiny is most popular in China, which represents the great importance attached to Lee Kwang-soo by the Chinese academic circle.

      • KCI등재후보

        비교문학연구의 발전과 개방을 위한 선결과제 차원의 `비교가능성` 개념정의라는 도전과제에 관하여 - 일련의 이론적 문제점 되돌아보기

        콩스탕탱마크리스 ( Constantin Makris )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6 불어문화권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개념 자체의 난점 때문에 지금까지 거의 다뤄지지 못했지만, 비교문학연구시 맞닥뜨리게 되는 `비교가능성`의 개념정의라는 도전과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비교문학연구는 이 개념에 대한 정의와 함께 시작하며, 중요성 역시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문학연구 중에서도 비교문학연구는 외적인 압력이 아닌 연구 자체의 실행 및 발전의 부족이라는 도전과제에 직면한 상태다. 이는 비교문학연구자 스스로가 잘못된 관점에서 연구를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최초의 가설 역시 역사적으로도 학문적으로도 근거가 부족해지게 되며, 결국은 연구결과 역시 단순 우연의 일치 수준에 머무르는 상황에 기인한다. 이러한 문제는 비교문학 해석의 실질적인 방식들이 정확한 방향을 잡지 못하면서, 비교문학비평 자체라는 것이 우연적이고 부분적이며 일관성도 부족한 일치현상, 즉 정확한 의미관계가 부실한 텍스트상 관련성 위에서 형성되어버리는 결과와도 연결된다. 본 연구는 `비교가능성의 발생지점과 종점`에 관한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물론이론적인 차원에서만 얼핏 생각해보면 비교가능성이라는 것은 얼마든지 쉽게 나올 수 있는 것 같아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대학 내 학문연구라는 것이 엄밀성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라는 차원에서, 연구자가 비교의 대상으로 만들려고 하는 두 개의 축 사이에 비교가능성의 특성이 확실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야 말로 비교문학의 필수과제라는 점이다. 이는 비교문학의 중심이 연구의 결과물에 있지, 연구과정 자체에 있는 게 아니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물론 그렇다고해서 연구자가 무조건적으로 이러한 점에 주의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과도한 조심성은 자칫 혁신 자체를 거부하고 연구의 흐름 자체를 막는 결과를 낳기 때문이다. 비교문학입문의 성향을 가진 본 연구에서는, 비교문학에 대한 중추적인 조합을 이뤄낼 열 가지 단위에 해당하는 주제들에 관해 알아볼 것이다. 이 주제들은 비교문학이 문학연구 및 교육에 동시에 연관성을 가지면서 부딪히는 도전과제들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이 열 가지단위를 통해, 비교문학연구시 직면하게 되는 도전과제들을 파악할 때 꼭 필요할 (프랑스 및 중부유럽에서 사용되는) 이론들에 관해서도 알아볼 것이다. 토도로프, 메쇼닉, 라스티에 같은 프랑스 내 문학이론의 대표적인 연구자들에 기반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프랑스와 함께 유럽을 통틀어 비교가능성의 범위와 틀을 제안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제기들에 관해서도 같이 언급할 것이다. 이 중 특히 소르본대학의 비교문학연구가인 브뤼넬과 셰브렐, 그리고 비교문학연구 내 새로운 세대를 대표하는 로잔대학의 우테 하이드만의 연구가 본 연구의 논지전개에 영향을 주었던 불어권 이론가들이었음을 밝히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비교문학이론의 중심개념인 `영향`과 `수용`에 대해 특히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다. 전통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와, 이전통이후에 이뤄진 `수용`에 관한 연구의 간격에서 나오는 도전과제들이 대체로 무시되어온 편이지만, 이 문제점들은 계속해서 잔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과거 비교문학연구에서 이미 그 가치를 입증한 바 있는) 영향에 관한 이론보다 주로 수용에 관한 이론을 다뤘는데, 이는 수용개념이 영향작과 수용작간의 관계에 좀더 이론차원에서 발전된 설명을 제공하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또한 현재까지 비교문학비평에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고 보이는 문학작품간의 `접촉`에 관한 이론적 논의에 관해서도 소개할 것이다. 여기서 수용의 이론시도에 관한 야우스의 연구와 나란히 브뤼넬의 비교문학 연구방식의 이론시도에 관한 일련의 연구에 관해서도 참조하였다. 특히 브뤼넬의 `출현`, `가변`, `발산` 이 세 용어로 요약되는 3단계 접근방식이 본 연구에서 중요하게 언급되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예전부터 비교문학연구시 여러 도전과제들을 만들어낸다고 여겨지는 한 가지 현실, 즉 번역상의 실수 혹은 변형으로 인해 생기는 도전과제들에 대한 가장 중요한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비교문학연구시의 다언어주의에 관한 언급이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단위들은 비교문학연구시 여러 도전과제들을 만들어낸다고 여겨지는 요소에 관한 언급으로 이뤄져 있다. 먼저 다룰 것은 `학제적 차원의 개방성 숙고와 비교문학연구의 필요성`이다. 비교문학이 다양한 문학이론에 대한 개방 및 비교문학과 관련해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도전과제의 해결차원에서 연구대상이 되는 주제들을 다루기 위한 요소 혹은 방법의 차용을 역설하고 있다. 이는 비교문학 자체가 아직은 인식론적 차원에서 많은 경험이 필요하며, 동시에 독자적인 대학교육과정의 위치를 차지한지 얼마되지 않았다는 점에서도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문제제기와 함께 본 연구는 `학제적 차원의 개방성`에 관해서도 언급할 것이다. 의외의 문학적 일치현상들을 발견하게 만들어주고, 가능성이 없는 문학접촉을 어떻게 다뤄야 할지 가늠케 하는 `문학현상의 국제적 순환`이 대표적인 예 중에 하나이다. 이 중 가능성 없는 문학접촉에 대한 연구에서 갖가지 도전과제들이 나타난다. 또, 본 연구에서는 불어권 지역과 비교문학간의 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도전과제들에 관해 다룰 예정인데, 그중에서 이민소재 불문학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이다. 비교문학에 관한 입문적 성격의 본 연구의 마지막 주제는 `문학간 비교와 문화간 비교`인데, 이는 비교문학연구시의 도전과제들 해결을 위한 중요한 도구를 통해 비교문학연구를 가능하게 할 기본원칙에 대한 비판적 이해 및 종합의 시도와 연결됨을 밝히는 바이다.

      • KCI등재

        비교문학과 아날로지

        신정환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7

        The comparative literature has been caught in a crisis because its contents and methodology were not clearly established. This is due to the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comparison act itself. If we perceive the nature of the act of ‘comparison’ clearly, the question of “what, how and why we compare” will be resolved. In this regard,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ontology and ethics of comparative literature by relating ‘comparative’ behavior to the principle of ‘analogy’ and ‘irony’, the contrastive framework of world recognition. Analogy, like the comparison, is the kind of rhetoric that puts the bridge through similarities between different things. However, unlike comparison, analogy is not an apparent ‘similarity’, but a belief in the organic relationship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interconnected. However, with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the harmony between human and world, words and meanings, and appearance and reality is broken by an irony. As the absolute truth is scattered in relative truth, the god hides himself, and the human alienation begins, the novel is born to make up the lost totality of the world. In addition, comparative literature is born with the emergence of nation states and nationalism. The comparative literature that attempts to establish the Weltliteratur is an integrated analogy for treating separative irony. Comparative literature refrains from chauvinistic national literature and serves as a tool for mutual understanding that transcends national borders. It is an antidote to the reductionistic nationalism and the cure of the irony which has torn and divided the world in the name of modernity. Therefore, the comparative literature aims at the totality that disseminates a cosmic harmony in the coexistence of mankind. This, however, is a spiritual and poetic totality unlike the historical and prosaic totality. Poetic totality connects beings and things torn by irony while prosaic totality pursues order and unification. According to Octavio Paz, God creates by talking, and man connects by talking. In a similar sense, Korean philosopher Daseok Yu Youngmo maintains that human being(있음) means connecting(잇음/이음) in Korean language. Man makes everything exist by connecting. Here the act of connection, that is, the act of comparison sublimates into an ontology.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analogy becomes the ethics of globalism which respects the ‘otherness’ against exclusive globalization. 비교문학은 구체적 내용과 방법론이 확실하게 정립되지 않아 곧잘 위기설에 휩싸이곤 했다. 이는 ‘비교’ 행위의 본질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만일 이에 대한 확실한 인식이 정립된다면 무엇을, 어떻게, 왜 비교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도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이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비교’ 행위를 세계 인식의 상반된 틀인 ‘아날로지(analogy)’ 및 ‘아이러니(irony)’의 원리와 관련시켜 보면서 비교문학의 존재론 및 윤리학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비교와 마찬가지로 다른 사물들 사이의 유사성을 통해 다리를 놓는 아날로지는 수사법의 한 종류라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비교와 달리 아날로지란 외형적 ‘유사성’이 아니라 우주 내 모든 존재와 사물들이 맺고 있는 유기체적 관계에 대한 믿음이다. 그런데 근대의 도래와 함께, 인간과 세계의 조화가 깨지면서 말과 의미, 현상과 실재가 어긋나고 있음을 인식하는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절대 진리가 상대적 진실로 흩어져 버리고 신이 모습을 감춘 가운데 인간 소외가 시작되면서, 상실된 세계의 총체성을 문학적으로 구현하는 임무를 맡은 소설이 탄생한다. 또한 유럽에 국민국가가 등장하고 국가주의가 득세하면서 비교문학이 탄생한다. 상실된 ‘세계문학’을 복원하려 하는 비교문학은 분열적 아이러니를 치료하는 통합적 아날로지이다. 비교문학은 국수주의적 국가문학을 지양하고 국경을 초월하여 상호 이해의 도구로 기능한다. 이는 근대 이후 찢고 나누었던 아이러니에 대한 치유이자 환원적 민족주의에 대한 해독제이다. 따라서 비교문학의 도달점은 인류 공존 속에 우주적 조화를 전파하는 총체성이다. 그러나 이것은 질서와 통일을 추구한 역사적이고 산문적인 총체성과는 달리 아이러니로 찢긴 존재와 사물들 사이를 잇는 영성적이고 시적인 총체성이다. 다석(多石) 유영모의 철학에 따르면, 인간의 존재를 말하는 ‘있음(being)’은 본래 ‘잇음’이다. 즉 인간은 본성적으로 사이를 이어서 모든 것을 있게 한다. 여기서 ‘잇는’ 행위, 즉 비교 행위는 인간 존재론으로 승화된다. 또한 계(界)를 가로지르며 조화와 융합을 추구하는 비교문학의 아날로지 원리는 독점적 세계화에 맞서 타자성(他者性)을 존중하는 세계시민주의 시대의 윤리학이 된다.

      • KCI등재

        비교문학이 생산하는 지식: ICLA 2010 세계 비교문학대회가 남긴 한국비교문학자의 과제

        조성원 ( Sung Won Cho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6

        이 글은 내재적 성찰의 입장에서 2010년 8월 15일 서울 중앙대학교에서 개최되었던 제19차 국제비교문학회 세계대회가 한국비교문학자에게 남긴 과제가 무엇인지 찾아 보는 글이다. 이 대회에 참가했던 외국 비교문학자들은 이 대회를 매우 성공적인 대회로 평가한다. 아울러, 이로 인해 한국비교문학의 국제적 위상도 어느 정도 격상된 듯 하다. 그러나 이 대회를 개최했던 한국비교문학자의 시선에서 보았을 때 이 대회가 우리에게 가져다 준 실익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다. 이 대회를 통해 한국비교문학자들은 한국에서 비교문학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연구적 상황이나 학문후속세대들이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이 여실히 개선되기를 기대했으나, 여전히 그 현실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외국인의 시선에서는 성공적으로 보이는 대회가 국내학자들에게는 그리 큰 성과를 가져다 주지 못했다면 그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이에 대한 대답을 찾아, ICLA 2010 서울 세계대회의 명암의 의미를 살펴 보고, 그 자성적 평가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비교문학하기’의 어려움을 극복할 실천적 전략을 모색해, 21세기 한국비교문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그리고 그 탐구의 결과로, 이 글은 한국의 비교문학이 현재의 위기상황을 극복할 실천적 방안으로서, 문학의 국제적 관계에 바탕을 둔 전통적 비교문학연구방법에 대한 가치를 새로이 인식할 것과, 외국어능력, 특히 영어능력의 함양을 통해 한국비교문학자의 국제경쟁력을 기를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retroactively discusses the underlying significance of the internationally approved success of the 19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 (ICLA), held in Seoul, Korea, from August 15 to 21, 2010, in order to shed some lights into the future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Korea. For that purpose, an introspective approach is adapted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the problems that the ICLA 2010 Seoul Congress has exposed to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As this study offers some critiques on the disciplinary premises upon which the Korean Special Forum of the ICLA 2010 Seoul Congress was organized, it will eventually raise two points of urgency: firstly, the traditional, transnational approaches of comparative literature should reenter the academic arena of Korean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in order to foste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secondly, Korean scholars in Comparative Literature should endeavor to acquire a good knowledge of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of English, for their global scholarly competency.

      • KCI등재

        비교문학에서 본 독일 문헌학의 현재적 의미- 아우어바흐와 슈피처를 중심으로

        이경진 ( Kyoung Jin Lee ) 한국비교문학회 2014 比較文學 Vol.0 No.64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문학과 세계문학론의 관점에서 독일 문헌학이 어떤 현재적 의미를 담지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 성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비교문학의 대표적인 건립자로 거론되는 에리히 아우어바흐와 레오 슈피처의 공적을 조명한다. 독일 문헌학은 종종 서양의 비교문학, 특히 미국의 비교문학의 기원으로 지목된다. 그러나 최근에 독일 문헌학은 세계문학과 탈식민주의, ‘문화 연구’를 지향하는 현 비교문학의 관점에서 보기에 지나치게 정전중심적이고, 유럽중심적인 학문이 아닌가 의심받고 있다. 예컨대 프랑코 모레티는 세계문학 내지는 비교문학의 중점이 ‘근거리 읽기’에서 ‘원거리 읽기’로 이동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문헌학의 정전중심적인 ‘근거리 읽기’ 방법론을 간접적으로 비판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탈식민주의의 정립자 중의 한 사람인 에드워드 사이드 같이 문헌학을 변호하는 입장들도 있다. 사이드는 아우어바흐가 유럽중심적인 시각을 극복할 수 있었던 계기를 그가 겪었던 망명과 고향 상실의 경험에서 찾고 있다.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지식인에게 필수적인 외부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을 제공해 주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비교문학의 건립자인 아우어바흐와 슈피처 모두 유럽이 아닌 곳에서 망명생활을 했다는 사실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이것은 서구 비교문학이 망명과 비유럽에서 기원했다는 대단히 중요한 사실을 시사한다. 한편, 에밀리 앱터는 비교문학이 태어난 장소라 할 수 있는 이스탄불이 외부나 변두리가 아니라 오히려 대단히 국제적이고 세계시민적인 문화 교류의 중심지였음을 보여주면서 ‘외부자’로 남았던 아우어바흐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그 문화 교류의 현장에 뛰어들었던 ‘슈피처’야말로 세계문학적인 비교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시사한다고 본다. 사이드는 서구 오리엔탈리즘의 전형적인 태도가 바로 문헌학적 태도였다고 주장하면서 문헌학과 보수적인 민족주의 및 유럽중심주의와의 연계를 인정하면서도 20세기 초 문헌학에서 보편적이면서도 문화상대주의적인 ‘다른’ 전통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아우어바흐와 슈피처는 모두 민족의 고유한 문화를 존중하고 중시하는 민족주의적 전통에 바탕을 둔 세계시민주의적인 비교문학을 구상하였다. 말년의 아우어바흐는 자신의 시대를 ‘문헌학자들의 적기’로 선언하면서 세계문헌학을 제창한다. 그는 세계문헌학의 고향이 더 이상 민족이 아니라 지구이자 세계라고 주장함으로써 인문주의적이면서 세속적 비평의 이념을 정립한다. 슈피처 역시 ‘먼 것에 대한 사랑’을 문헌학자의 모토로 설정함으로써 문헌학에 내재한 비교문학적인 성격을 강조한다. 그는 다양성에 대한 인정과 자문화에 대한 거리 두기, 타문화와의 내적이고 열렬한 씨름 없이는 문헌학이 진정한 문헌학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이러한 문헌학적 행위의 기초는 바로 말에 대한 사랑이며, 그것은 타자의 텍스트의 살갗에 접촉하는 경험이다. 세계문학의 거시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비교문학 연구자들이 힘들고 더딘 ‘근거리 읽기’를 포기해야 한다는 모레티의 주장은 비교문학의 목적이 담지하는 중요한 윤리성을 놓칠 수 있다. 즉 타자의 언어에 밀착하여 독해하는 경험은 그 타자의 세계관과 상상력을 배우는 중요한 경험이며 세계화 시대에 이 경험은 더욱 절실하게 요청된다. 이런 의미에서 스피박은 문헌학의 근거리 읽기의 장점은 계승하되, 이 근거리 읽기의 대상을 서구 정전이 아니라 세계문학계에서 주변화된 언어와 문학들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텍스트-언어에 묶인 인문주의’의 유산은 앞으로의 비교문학에서 반드시 계승되어야 하는 문헌학의 유산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the role of philology in the transnational and postcolonial orientat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by illuminating two foundational figures of comparative literature, Erich Auerbach and Leo Spitzer. Even if German philology conducted an important role in the origin of western comparative literature, it is now somehow regarded as outdated, conservative, eurocentric, canon-oriented, so it seems to be no longer suitable for the current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For example, Moretti``s provocative proposal that the focus of world literature and comparative literature has to be shifted from the so called close reading to distant reading is understood as an indirect criticism of the philological method. However, there are perspectives which advocate the values and relevances of German philology. E. Said points out that the experience of exile allows Auerbach to gain an objective perspective on Europe and to overcome his eurocentric perspective. It is then no coincidence that the two fathers of comparative literature were emigrants. The two German-Jewish Philologists were forced into exiles during the Nazi era, first to Turkey and later to the United States, and the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stitute for Europ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the first western university in Turkey. From this historical fact, an important insight can be derived: The western comparative literature has its origins in the exile and non-Europe. From this moment, the philology as exilic and transnational humanism can provide a valid model for the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Although the German philology of the 19th century was involved in western Orientalism and nationalism, it has been developed into an universalistic and cultural relativistic humanism. Auerbach introduces a concept of the humanistic and ``secular`` Weltphilologie by claiming that the home of the philology is now no longer the nation, but the earth, the world. Spitzer appropriates the "Amor de lonh" as the motto of the philology. According to him, there is no true philology without acknowledgment of the diversity of the world, without confrontation with foreign cultures. The foundation of the philological activity lies in the love for words, namely, in the close, intensive reading of foreign text. Moretti``s claim seems to be suspicious because it is based on a problematic division between national literature studies and world literature studies. The experience of close reading is even more necessary in our globalizing world, because it provides us with the imagination and the views of the Other, and offers the possibility to contact with the foreign culture intensively. In this sense, G. Spivak proposes the close reading as a postcolonial and transnational practice. This intimate experience of foreign language and literature is the invaluable legacy of philology for the coming comparative literature.

      • KCI등재

        비교문학의 정전화와 교육: 미국비교문학회 ‘10년 보고서’를 중심으로

        이형진 ( Hyung-jin Lee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 No.85

        본 연구는 60여 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국내 최초의 비교문학 학회 ‘한국비교문학회’의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국내 비교문학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비교 대상으로 ‘미국비교문학회’의 ‘10년 보고서’의 비교문학 정전화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 비교문학 연구와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문학 학술 담론을 주도하는 ‘미국비교문학회’가 10년마다 미국 내 비교문학 연구와 교육에 관한 진단보고서 성격으로 준비하는 ‘10년 보고서’는 비교문학 연구와 교육에 역사성과 전통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학문적 정전화를 주도해 왔다. 국내 인문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제간 연구 분야인 비교문학 연구의 학문적 체계화와 정전화를 위해서는, 첫째, 그동안의 학회의 비교문학 학술 결과물에 대한 분석과 체계화를 통해 학문적 역사성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비교문학 연구에 관한 학회 차원의 학문적 진단과 방향성 점검의 노력이 필요하며, 셋째, 다양한 국가와 문화의 경계를 교차하는 비교문학의 특성상 해외 비교문학 주요 학술서의 적극적인 한국어 번역과 비판적 수용이 필요하며, 넷째, 미국 비교문학의 정전화 기반 구축에 기여한 ‘미국비교문학회’ ‘10년 보고서’의 비교문학 교육방법론과 교과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로부터 한국 비교문학의 지속가능성과 확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고민과 방법론이 부재한 학문은 학문적 지속가능성을 구축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and analyze the function of the American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ACLA)’s ‘Decennial Reports’ in the canonization proces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US and identify and provid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For the goal of the solidification and canonizat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Korea, first, the comprehensive categorization and analysis of the scholarly achievements by the Korean Comparative Literature Association (KCLA) which was founded in 1959 is needed in order to build up the historicity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Second, the KCLA should be responsible for periodically reviewing and evaluating the status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and providing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cipline. Third, there is a critically growing urgency for the Korean translation of contemporary global scholarly references on comparative literature discourses, published abroad to be share with comparative literature scholars in Korea. Fourth,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educational value and methodology of the teaching of comparative literature with a priority in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which is expected to enhance the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of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in Korea. The vitality and sustainability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its education lie in the discipline’s inherent expansionality which will provide the discipline of comparative literature with a renewed identity as well as an academic motivation, driven by a creative and productive sense of inquie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