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황의 만매(晩梅)에 나타난 출처관과 도통의식 - 『매화시첩』을 중심으로 -

        심예인 ( Shim Yeain ) 퇴계학연구원 2021 退溪學報 Vol.150 No.-

        동아시아에서 매화는 봄을 알리는 꽃으로, 일찍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송대 이학을 집대성한 주자 역시 매화를 노래하였고, 주자를 본받고자 했던 이황도 평생 매화시를 써 내려갔다. 다만, 이황은 早梅의 고절한 모습뿐만 아니라 늦은 봄 뭇 꽃들 사이에 피어나는 晩梅를 노래하였다. 千紫萬紅의 꽃들 사이에서 피어난 만매가 곧 여러 선비들 사이에 존재한 빼어난 군자처럼 비쳐졌던 것이다. 이황이 마주했던 16세기 정치 현실은 수많은 척신들의 득세로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그는 온갖 색태와 향기가 가득한 속에서도 고고하고 깨끗한 자태와 은은한 향기를 퍼뜨리는 만매를 높이며 순선무악한 理를 추구하였다. 이황은 평소 자신이 송대의 선현으로부터 너무 늦게, 너무 멀리 떨어진 편벽한 곳에서 태어났음을 탄식하곤 하였다. 하지만 선현보다 늦었다 하여 탄식만 한 것은 아니었다. 이황은 도산에 은거하며 도의를 닦고 심성을 길렀다. 그에게 은거는 단순히 세상과 인연을 끊고 산림에 칩거하며 사는 방식이 아니었다. 주자가 무이산에 들어가 정사를 짓고 저술 및 강학 활동을 하면서 정주 이학을 완성한 자취를 본받고자 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도산은 이황의 이학이 자라나는 학문 공간이자 조선 이학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거듭된 조정의 부름에 세상을 그저 외면하지만은 못하였다. 도의를 닦아 세상을 경륜하고자 했던 이황이지만, 조정에 나아가서는 검은 먼지에 물들지 않는 뭇 꽃들 속 만매와 같이 자신을 지켜냈다. 한편, 이황은 16세기 중엽 조선 사회에 존재했던 다기한 도통의식과 넘쳐나는 이설 속에서 정주 이학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주자로부터 370여 년 뒤 조선의 땅에 태어난 이황은, 주자의 도가 아직 밝혀지지 않아 적막함을 안타까워하였다. 그러면서도 주자와의 정신적 교류를 통해 하나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하였다. 실제로 이황은 만매에 의지해 천자만홍과 같은 학풍과 사조를 정화시키겠다는 뜻을 내비추기도 하였다. 이때 조매가 주자의 이학에 비유된다면, 만매는 이황의 이학에 비유할 수 있다. 주자의 이학을 잇겠다는 이황의 생각이 만매를 통해 강한 도통의식으로 드러난 것이다. 여기에는 중국의 이학을 조선의 이학으로 정착시키려는 이황의 학문적 사명감과 자부심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령 찬바람에 꺾이고 꽃을 틔우지 못한다 하더라도, 매화의 뿌리가 굳게 내렸다면 훗날 반드시 꽃을 피워낼 것이라 노래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혀진다. 이황이 주자 이학을 조선의 땅에 뿌리내리게 했으니, 늦게 꽃을 피우는 만매처럼 이학의 향기가 퍼지기를 기대하고 소망한 것이다.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 매화분에게 물을 주라고 한 것도, 매화로 상징되는 조선의 이학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은 아니었을까. 그가 만년에 유독 만매를 노래하고, 죽기 전 마지막으로 『매화시첩』을 편찬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결국 이황이 그토록 노래한 만매는 혼탁한 현실을 정화하는 유일한 理이자, 천자만홍과 같은 선비 가운데 고절한 빛을 지켜낸 도학군자로 비쳐진다. 나아가 다양한 학통 내지 異說 속에서 피어난 이황의 이학이자, 주자 이학의 도통을 계승한 16세기 조선의 이학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East Asia, plum blossoms[梅花] have been loved by many as a flower that heralds spring. Zhuxi, who compiled the Song dynasty’s ‘Principle’, recited poems of plum blossoms, and Lee Hwang, who wanted to imitate Zhuxi, also wrote plum blossoms poems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Lee Hwang wrote poetry on the theme of plum blossoms blooming among the flowers in late spring[晩梅], as well as the noble appearance of early-blooming plum blossoms[早梅].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mong the many flowers was reflected like a man of virtue that existed among many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Lee Hwang faced was disturbing the court with the rise of numerous maternal relatives of royal family. Even in the midst of all kinds of colors and fragrances, he pursued the principle of pure goodness by exalting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at spread a noble and clean appearance. Lee Hwang used to lament that he was born too late and too far away from ancient sages of Song dynasty in a secluded place. But he did not just sigh. He hid in Dosan(陶山), cultivating moral principles and nurturing his nature. For him, hiding was not simply a way of living in the forest after cutting off ties with the world. It was intended to imitate the traces of Zhuxi who systematized th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while entering Muyi Mountain, building a temple, writing, and teaching. In that sense, Dosan is the place where Lee Hwang’s studies grew and the cradle of Joseon’s neo-Confucianism. However, he could not turn away from the world due to repeated calls from the court. He, who wanted to practice the world by cultivating morality, went to court and defended himself like a late-blooming plum blossom that was not stained by black dust. He tried to reveal his plight and feelings about resigning and remaining in office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On the other hand, Lee Hwang tried to systematiz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in the midst of the multifaceted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道統意識]’ and the overflowing dissenting opinions that existed in Joseon society in the mid-16th century. He sympathized that the way of Zhuxi was still unknown in Joseon 370 years after Zhuxi. He earnestly wished to become one with Zhuxi through spiritual exchanges. In fact, he expressed his intention to purify academic traditions of various schools by relying on late-blooming plum blossoms. If the plum that blooms early is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Zhuxi, the plum that blooms late can be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Lee Hwang. Lee Hwang’s idea of succeeding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was revealed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s a strong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t seems that there was Lee Hwang’s sense of academic mission and pride that ‘Chinese learning of principle’ transferred to Joseon and settled as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Even if the plum blossoms are broken by the cold wind and fail to flower, his poems are read in the same vein, saying that if the roots of the plum are firmly planted, they will surely bloom in the future. Since he made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take root in the land of Joseon, he hoped that the fragrance of ‘learning of principle’ would spread lik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e reason he asked to water the plum flowerpots at the moment of his last breath must have been his wish to continue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symbolized by plum blossoms. This is the reason why he recited poems of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in his later years, and compiled the last book 『Plum Blossom Poem[梅花詩帖]』 before he died. After all, in Lee Hwang’s poems,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 was the only principle[理] to purify the turbid political situation, and was a man of virtue who kept the stern light among scholars like many flowers. Furthermore, it meant the ‘Lee Hwang’s learning of principle’ established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traditions and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in the 16th century, which inherited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of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 KCI등재후보

        이황과 이이의 사칠론과 리의 자발성

        조남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4 문화와예술연구 Vol.3 No.-

        이 논문은 이황과 이이의 철학을 사칠론과 리의 자발성이란 측면 에서 검토한 것이다. 이황과 이이의 사유를 비교하자면 이황은 실존 적이라면 이이는 일반적이다. 이황은 실존적 경험과 수양을 중시했 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사칠론에 관심을 가졌다. 사칠론은 삶 속에 서 드러날 수밖에 없는 우리의 마음이나 감정의 분류학이기 때문이 다. 또한 사칠론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그는 리발설을 주장하게 된 다. 도덕적 마음으로서의 사단은 인간의 육체적 경향성과 반하는 것 이기 때문에, 그것과는 다른 근거에서 유래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 서 그는 사단이란 리에서 발한 것이라고 주장했던 것이다. 이 점에서 이황의 사유 과정은 구체적 실존, 사단과 칠정으로 분류되는 현상적 마음, 그리고 사단과 칠정의 존재론적 근거로 진행된다. 만약 사변적 인 관심만을 가졌다면 이황은 기대승과의 논쟁에서 그렇게 자신의 사칠론에 대해 이론적인 변경을 가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황은 자신 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자신의 실존에 대한 정확한 반성과 인식 은 그로 하여금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틀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게끔 했던 것이다. 반면에 이이는 일반적인 관점에서 이황을 비 판하였다. This essay focus on comparative for philosophy of Li Hwang and Li yi. They are famous philsosoher in chosun dynasty. they are controversy in korean confuciansim. The main stram in korea is Zhu xi philosphy. They are same Zhu xi philosophy. The Philosophy of Li Hwang is existential, the Philosophy of Li yi is general. they have a interest on Sa-Qil lon and spontaneity of Li. Li Hwang think Sa-dan(moral emotion) is different from Qil-jeong(general emotion) for it's mind start. Therefor He insists Sa-dan is spontaneity of Li. This implies that Sa-dan have a existential situation in philosophy of Li Hwang. Li yi think Sa-dan(moral emotion) is not different from Qil-jeong(general emotion), it is different from it's criterion, social ritual. Therefor He say Sa-dan is not spontaneity of Li. This means that Sa-dan does not have a existential situation in philosophy of Li yi.

      • KCI등재후보

        이황의 田園詩文의 자유지향성에 대한 미학적 연구

        이재일(Lee Jae-il)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5 No.-

          Lee Hwang is a master of Confucianism, the reality-oriented academic system. Nevertheless, freedom orientation is detected in him, which seems contradictory at first sight. That is because freedom orientation essentially tends to pursue the constant transcendence of reality.<BR>  Lee Hwang"s freedom orientation appears to be detected omnidirectionally in his poetry and prose. But his pastoral poetry and prose are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the country he lived in retirement called Dosan is the place of freedom orientation.<BR>  Lee Hwang"s freedom orientation is considered to be deeply related to ego, inner world and the realization of life. Therefore, his freedom orientation can be said to belong to the categorization of aesthetics. According to Lee, Taek-hu, a distinguished Chinese scholar, aesthetics represents philosophy whose purpose is the mutual combination of rational insight and emotional transcendence, and life matters are considered to be placed at the heart of it.<BR>  For Lee Hwang, the country is the place of freedom. Freedom detected in his pastoral poetry and prose seems to be classified into longing for pastoral life and pleasures gained by pastoral life. And the pleasures can be subdivided into freedom of leisure and stroll, rapid progress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realization of change, the purification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purity of the country, and the pleasure of study and freedom.<BR>  Lee Hwang"s freedom orientation is basically characterized by the strong reflection of Taoism. That is because his aesthetic tendency has something common with Taoistic aura and Seongnihak he pursued originally absorbed much of Taoism. In addition, freedom orientation is a sort of human nature. Therefore, his freedom orientation does not contradict the fact that he pursued Seongnihak as his lifelong occupation.<BR>  Freedom orientation that belongs to aesthetics is vital clue to the deep understanding of Lee Hwang"s life. That is because, as Lee, Taek-hu asserted, the best or complete maturity of life lies in only aesthetic structure.   李滉은 현실지향의 학문체계인 儒家의 宗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황에게서는 자유지향성이 감지된다. 이는 일견 모순처럼 느껴진다. 왜냐하면 자유지향성은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현실로부터의 초탈을 희구하는 성향을 내포하기 때문이다.<BR>  이황에게 자유지향성은 그의 詩文에 全방위적으로 드러나는 것으로 보이지만, 특히 전원시문이 중요한 것은 그가 은거한 陶山이라는 전원이 자유지향의 場인 까닭이다.<BR>  이황의 자유지향성은 자아·내면·삶의 자각 등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황의 자유지향성은 美學의 범주에 속한다고 하겠다. 중국의 碩學 이택후에 의하면 미학은 이성적 통찰과 감성적 초월이 상호 교융하는 정감을 본체로 하는 철학으로서 그 頂點에는 ‘삶’이 자리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다.<BR>  이황에게 전원은 자유의 공간이며, 그의 전원시문에 나타나는 자유는 그 전원에의 기거를 갈구하는 것과 전원에 기거하면서 접하는 樂을 읊은 것으로 대별될 듯하다. 그리고 전원에 기거하면서 접하는 락은 다시 한가로움과 소요의 자유, 변화 證得을 통한 의식의 비약, 전원의 純粹를 통한 의식의 淨化, 학문의 즐거움과 자유로 세분될 수도 있을 것 같다.<BR>  이황의 자유지향성은 근원적으로 道家的 성격이 강하다고 하겠는데, 그것은 학문 이전에 이황의 審美的 성향이 도가적 아우라와 상통한다는 점, 그리고 학문으로 말한다 하더라도 그가 추구한 성리학이 애당초 상당 부분 道家를 흡수하여 발달했다는 점에 기인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위의 이유 外에 자유지향성은 인간의 본성이기도 할 것이므로, 이황의 자유지향성은 그가 성리학을 畢生의 業으로 삼았다는 사실과 결코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겠다.<BR>  미학 범주에 속하는 자유지향성은 이황의 內密한 삶의 결을 심도있게 이해하는 데 불가결한 단서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이택후의 주장대로 최고 혹은 최후의 인생 성숙은 오직 심미 구조 중에만 있겠기 때문이다.

      • 이황 철학의 리 이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

        김상현(Kim, Sang-Hyu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4 동서인문 Vol.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이황 철학의 리 이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이황의 철학을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좀 더 적절한 것인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황 철학의 정체성에 대한 규정은 매우 다양하다. 이이가 이황의 철학은 리의 능동성을 주장한 이론이기 때문에 주희의 리 무위설과 다른 이론이라고 주장한 이래, 이이의 후학들은 모두 이이의 견해를 이어 받아 이황을 리의 능동성을 주장한 사상가로 평가한다. 한편, 이이 및 이이 후학들의 이와 같은 평가가 있은 후에, 이황의 후학들은 스승 이황의 철학에 대한 이이의 평가가 적절하지 않은 것이라고 반론을 펼치면서, 이황이 주장한 ‘리발설’(理發說)을 비롯하여 ‘리생기설’(理生氣說), ‘리동설’(理動說), ‘리도설’(理到說) 등이야 말로 주희의 이론에 근거한 이론이라고 주장한다. 이황 철학에 대한 다양하고도 상반된 평가는 이이 이후 오늘날까지 약 400여 년 동안 지속되고 있다. 거대한 사상가가 펼친 이론에 대한 평가와 규정이 이처럼 다양한 것은 매우 자연스럽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황 철학에 대한 평가와 규정을 하나의 견해로 수렴하는 방법이 있고, 그러한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면 그러한 방법을 모색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필자는 본고에서 이와 같은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길을 모색하기 위해 필자는 먼저, 이황 철학에 대한 연구자들의 연구방법에 대해 의문을 가져보았다. 여기서 우리는 이황 철학의 연구자들이 이황의 철학을 평가하고 규정할 때 그들이 가졌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이 이래 수많은 학자들이 이황 철학의 정체성을 해명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이 바로 ‘리의 능동성 여부’를 기준으로 놓고 그 철학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고에서는 일반적으로 이황 철학의 정체성을 리의 능동성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 규명하려는 시도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리의 능동성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 전체적인 측면에서 이황의 리 이론을 분석하기보다는 이황의 리 이론을 주제에 따라 ‘심성론’, ‘우주론’, ‘인식론’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영역에서 리의 능동성과 관련된 표현(‘理發’, ‘理生氣’, ‘理動’, ‘理到’) 과 이론이 어떤 의미를 지고 있는지에 대해 재검토하고자 한다. 만약 이러한 작업이 제대로 진행된다면 이황 철학의 정체성이 보다 온전히 규명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함께 이황 철학이 갖고 있는 독창성 역시 밝혀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이황 문학에서 '疾病'의 의미

        신연우 洌上古典硏究會 2003 열상고전연구 Vol.18 No.-

        한시에서 질병을 소재로 하는 것은 광범위하게 이용된 것이고 다분히 상투적인 면이 있다. 이황의 경우 특히 질병을 말한 시가 많기는 하지만, 이를 일반론적인 의미의 질병으로 이해하고 말 수는 없을 것 같다. 실제로 존재했던 질병에 사람들이 부여했던 은유적 기능을 포착할 필요가 있다. 이황이 말한 질병은 실제의 질병이었겠지만, 그것이 갖는 다른 기능, 다른 의미에 대한 천착이 이황의 문학 세계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실록에는 이황 당대의 사관들이 이황의 稱病을 구실로 인식하고 있음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이황이 현실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적극적으로 내놓은 일은 많다고 할 수 없으므로 진언한 말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이라기보다 세상에 도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이라기보다 세상에 도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할 수는 있을 것이다. '세상이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느끼는 이황이 병을 구실로 내세웠다. 도산십이곡「言志」의 두 번째 시조의 '病'은 그 앞 시조의 '泉石膏盲'에 이어져서 자연을 사랑하는 병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이제까지 여러 한시 작품에서 보았듯이 이황이 말하는 질병은 우선 자신의 몸의 병을 말하는 것이니 그 점은 여기서도 일관되게 나타나는 것이다. 병으로 인해 임금을 떠나 자연으로 돌아와 살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동시에 자연을 사랑하는 병으로 이해될 수 있으니 이는 이황이 말하는 병이 몸의 질병을 넘어선 의미를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것이 마음의 병이라면 앞 구절인 태평성대와 어울리지 않는다. 태평성대임에도 불구하고 앓는 병은 몸의 병이면서, 개인의 마음의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의미를 띤다고 여겨진다. 자연인 안동으로 돌아온 후의 이황의 활약으로 미루어볼 때 이황이 말하는 병은 중앙과 자연을 양분하는 경계선으로서의 병이다. 중앙과의 연결을 끊고 자연을 매개로 윤리적·학문적·정신적인 면에서 지방을 중심화하는 것이 이황의 노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황을 부르는 자연은 지속적으로 병과 더불어 표현된다. 그것은 자연이 갖는 규범적 본질의 이면에서 그 자연에 머물게 하는 守靜의 等價物, 문학적 표현물이다. 질병이 있기에 자연에 머물면서 자연의 규범과 이치를 자신의 것으로 정립할 수 있었는 바, 이 때 이 질병은 신체적이라기보다 문화적 은유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을 중앙 문화의 패턴을 인식하고 정립하게 하는 場을 '病'이라 일컬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병이라는 외형적으로는 조용하고 소극적인 場 내에서 향약운동 등 향촌의 질서 재편과 주리론적 성리학을 정립하여 사람이 도덕적 명분을 확고히 하는 길을 마련했던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병이라는 場이 마련되지 못했다면 이황의 모든 업적은 불가능했다는 것이다. 본고는, 그것은 자연이라는 오래되고 수용이 용이한 매개체를 통해 가능했고, 이황이 그 자연을 확보하는 개인적 계기의 장으로 질병이 이용되었다는 점을 살펴본 것이다. Generally speaking Chines poetry writers used 'illness and poverty' as a customary expression to show their literary talent which appear naturally in spite of their bad circumstance. But in LeeWhang's case it doesn't look like so. We can grab the metaphoric function of illness which was prought him real ache to his body. The Formal Diary of Chosun Dynasty shows us the fact that the history-writers regarded his illness as an excuse. In fact LeeWhang felt himself as a round peg in the sqare to the world and finally return to his hometown, the nature. His activity in Andong tell us that his illness was a line, so to speak, which devide center and local. Leaving the center, he tried to centralize local in the meaning of ethic, spirit and learning. In this course nature acted a go between. The nature which called LeeWhang was expressed in his poems with illness frequently. Illness and nature enabled him settle the idea of pattern and principles of Nature and society, so we can understand this illness as a metaphor rather than his body problem, I think.

      • KCI등재

        19세기 시인 이황중(李黃中) 연구

        한영규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5

        Lee Hwang-jung was highly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famous poets of the 19th century. But after modern times, they became completely forgotten. This paper reaffirmed the poetical reputation and poetic achievement of Lee Hwang-jung, and examined the features of his poems. The writers who highly value Lee Hwang-jung’s poem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layers. First, the writers who were active in the mid-19th century and the late 19th century,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were Kim Jeong-hui, Lee Si-won, Lee Sang-su, and Jeong Man-jo. They highly appreciated the extraordinary human aspect and unusual poetry of Lee Hwang-jung. Second, the Chinese writer, Bu Bo-sam, compiled a collection of “Chukgjojeongajib” in 1857, highlighting the poetic achievements of Lee Hwang-jung. Bu Bo-sam was also regarded as one of the leading poets of the Joseon Dynasty. Third, after Lee Hwang-jung’s death, Kim Taek-young made a precise selection of his poems in exile China and made him widely known to the world. Among these three levels of criticism, Kim Taek-young’s collection of poems was the most serious reevaluation of the poet Lee Hwang-jung. It is also considered to have a certain meaning in Korea’s classical literature. However, Lee Hwang-jung’s status as a poet was first forgotten in modern times. As we saw earlier, Lee’s poems were considered excellent enough to match the achievements of Tang’s poems. In other words, Lee’s poems correspond to a point of diversity shown by 19th-century literature, and should therefore be reevaluated anew. Also, the feeling of sorrow and the aesthetic of pain achieved by his poems is considered one of the values to be savored by the new name today. 이황중은 이규보의 후손이자 19세기의 시인으로서 그의 생존 당시 이름이 널리 알려졌으나, 근대 이후 한시의 종언과 더불어 완전히 잊혀진 존재가 되었다. 이 글은 잊혀진 문학사의 한 지점을 새롭게 주목한다는 의도에서, 19세기 시인이황중에 대한 과거의 비평 양상을 고찰해 보고, 아울러 그의 시가 지닌 특징을탐색하였다. 이황중의 시를 비중있게 평가한 문인들은 크게 세 층위로 분류된다. 첫째, 그와 직간접으로 교유한 동시대의 문인들로 19세기 중후반에 활동한 김정희ㆍ이시원ㆍ이상수ㆍ정만조 등이다. 이들은 이황중의 외골수의 인간 면모와 기이한시편을 높이 인정했다. 그와 동시에 이황중이 고집한 편향적인 시형식과 시적지향 및 창작 스타일에 비판적 견해를 드러내기도 했다. 둘째, 동시대 중국의문인 부보삼(符葆森)은 1857년 국조정아집(國朝正雅集)을 편찬하며, 이황중의 시적 성취를 특별히 부각시키고, 조선조를 대표하는 시인의 한 사람으로 평가하였다. 부보삼은 특히 이황중의 율시에서 보여준 비애의 서정과 정밀한 대우(對偶)를 높이 인정했다. 셋째, 이황중 사후, 후배시인 김택영과 이기(李琦)는시선집을 편찬을 통해 이황중을 높이 평가했다. 이기는 조야시선에서 이황중의 시를 대거 수록하여, 그의 시인적 위상을 높였다. 김택영은 1919년 망명지중국에서 이감산시선을 정선(精選)하여 출간하면서, 그의 시를 문학사적 지평에서 평가했다. 이 선집에서 김택영은 이황중 시의 ‘고고(高古)’하고 ‘침착(沉 著)’한 특성을 당시(唐詩)에 견줄 만하다고 평가하면서도, 지나친 ‘유고(幽苦)’함에는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세 층위의 비평 가운데 김택영의 시선집 편찬이야말로 시인 이황중에 대한 가장 본격적인 재평가로서, 문학사적 의미를 띤다고 평가된다. 이황중은 생존 당시 중국은 물론 사후인 1919년 무렵까지 여러 층위에서 명가 시인으로 평가받으며, 뚜렷한 위상을 지닌 시인이었다. 그러나 근대전환기를맞이하여 그는 다른 시인에 비하여 가장 먼저 잊혀졌다. 이황중이 추구한 선(仙)과 기(奇)의 시적 지향, 시창작 스타일에서의 유(幽)와 고(苦)의 추구 등은20세기 이후 한국학의 전개에 비추어, 소구력이 가장 낮은 부면이었다고 말할수 있다. 즉 이황중 시에 그동안 현재적 의의를 부여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부보삼의 비평과 김택영의 기획 출판에서 확인되듯, 이황중의 대표작은당시(唐詩)의 성취에 비견된다고 평가된다. 즉 이황중의 시는 19세기 문학이 보여준 다양성의 한 지점이라는 면에서 재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그의 시가 성취한 비애의 정서와 ‘고(苦)’의 미감은 오늘날 새롭게 호명하여 음미할 가치의 하나라고 평가된다.

      • KCI등재

        이황의 격물론에 대한 새로운 이해

        김상현(Kim, Sang-Hyun)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이황의 철학 가운데 격물론(格物論)의 주요 이론인 ‘리도설’(理到說)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이이가 성혼과 인심도심 및 사단칠정에 관한 논쟁을 펼치면서, 이황의 ‘리발설’을 리의 능동성을 주장한 이론이라고 비판한 이래 이황 철학에 대한 정체성 규명작업에는 리의 능동성 여부가 핵심 기준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이유에서 송시열을 비롯한 이이의 후학들은 이이의 이와 같은 관점을 물려받아 이황의 리 이론, 특히 ‘리도설’은 주희의 리 이론과 달리 리의 능동성을 주장한 ‘리활물설’(理活物說)이라고 폄하한다. 이에 맞서 이황의 후학들은 스승 이황의 리 개념은 주희의 리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정당한 관점이라고 변호하면서, 두 학파간의 논쟁은 400여 년에 걸쳐 지속된다. 이러한 관점은 현대에 와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한쪽에서는, 이황의 ‘리도설’은 리의 능동성을 주장한 이론이라는 이이 및 이이 후학들의 관점을 받아들여 이황의 이론을 주희의 이론과 다른 주장으로 평가하거나, 아니면 이러한 비판적 관점을 오히려 이황 철학의 독창성으로 치켜세우기도 한다. 다른 쪽에서는, 이황의 ‘리도설’은 표현상으로는 리의 능동성을 강하게 주장하는 이론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리의 능동성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희의 견해와 충돌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렇듯이 여전히 많은 학자들이 리의 능동성 여부에 주목하여 이황의 ‘리도설’을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역시 합의점에 이르지는 못한 상태이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 무엇이 문제이기에 이황 격물론의 중심이론인 ‘리도설’에 대한 정체성 규명 작업이 이토록 어려울까? 논자는 바로 리의 능동성 여부를 기준으로 이황의 철학을 규명하는 방식, 즉 ‘능동성 프레임’이 문제의 해결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리도설’이 과연 리의 능동성을 인정하는 이론인가, 하지 않는 이론인가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문제는 이황이 어떤 맥락과 의도에서, 그리고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도설’을 주장했는지를 해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가 해명되면 ‘리도설’이 리의 능동성을 주장한 이론인지 여부는 자연히 밝혀질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논의의 초점을 돌려 이황이 새롭게 받아들이고 있는 ‘리도설’이 인식론적 맥락에서 주희의 격물론과 어떻게 차별화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주희의 격물론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만약 ‘리도설’에 입각한 이황의 격물론에 이와 같은 요소가 있다는 것이 충분히 밝혀진다면 자연스럽게 ‘리도설’에 담긴 의미 역시 정확하게 밝혀질 것이며, 이와 함께 ‘리도설’을 이황 사상의 독창적 이론으로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has the purpose of examining a new interpretation of Yi, Hwang"s theory of investing things(格物), especially the theory of reaching of Li(理到). Many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evaluated Yi, Hwang"s theory of reaching of Li, based on a criterion of whether the Li is active or not. So on the one hand, many younger students of Yi, Yi underestimated Yi, Hwang"s theory of reaching of Li, because Yi, Hwang"s theory of reaching of Li is active unlike the Zhu Xi"s theory of investing things. On the other hand, many younger students of Yi, Hwang defended their master Yi, Hwang against a criticism that students of Yi, Yi gave him. Eventually the debate with students of Yi, Yi and students of Yi, Hwang has yet to be solved. So what"s the problem? In my opinion, the reason which the debate has yet to be solved is not that the theory is so difficult but that the criterion is irrelevant. So I"ll take an interest about Yi, Hwang"s purposes and intentions, contained the theory of reaching of Li, instead of a matter that Li is active or not. By the process of these works, I want to put a new perspective on the Yi, Hwang’s theory of reaching of Li. I would like to argue you of the following. Zhu Xi separates subject from object completely in his theory of investing things. Based upon this strict separation of subject from object, realists think that object exists independently of subject, while antirealists think that object exists dependently of subject. But such dualism should be overcome, because it is too violent. Yi, Hwang’s theory of reaching of Li can contribute to overcome it. Through he invests Li with movable rights, object actively participates in recognition process. Finally Yi, Hwang achieves mutual communication of subject and object, thereby overcoming separation of subject from object.

      • KCI등재

        이황은 왜 ‘리자도’(理自到)를 말했는가? - 주희 격물론의 수용과 변용 -

        김상현(Kim Sang-Hyun) 영남퇴계학연구원 2018 퇴계학논집 Vol.- No.23

        1. 들어가며 2. ‘기격’(己格), ‘기도’(己到)의격물론 3. 새로운변용: ‘기격’(己格), ‘기도’(己到)에서 ‘리자도’(理自到)로 1) 새롭게수정된격물론 2) 주희와의 결별 4. 이황은왜 리자도를 말했을까? 5. 나오며 이황의 격물론에 대한 선행연구는 1970년대 이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논자가 보기에 이황이 만년에 왜 ‘리자도설’을 주장했는지에 관해 종합적으로 조명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격물론의 두 측면이라고 할 수 있는 인식론적 관점과 수양론적 관점에서 ‘리자도’라는 주장이 갖는 의의에 대해 조명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말이다. 논자는 이러한 이유에서 이황이 세상을 뜨기 불과 20여일 전에 자신의 초기 격물론을 수정한 후 전격적으로 ‘리자도’설을 주장하게 된 이유를 밝히고자 한다. ‘리도’라는 용어는 이황이 아니라 기대승이 먼저 사용한 것이다. 이황은 줄곧 기대승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다가 세상을 뜨기 전에 전격적으로 ‘리도’(理到)를 넘어선 ‘리자도’(理自到), 즉 ‘리능자도’(理能自到)설을 주장하게 된다. 이황은 무엇 때문에 망설였던 것일까? 그리고 무엇 때문에 ‘리도’를 넘어선 ‘리자도’를 주장했던 것일까? 논자는 이와 같은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이황의 초기 격물론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황의 초기 격물론은 주희의 격물을 그대로 계승한 것으로서, 이때까지는 인식주체인 마음과 인식대상인 리를 철저히 분리한 후 주체인 마음의 작용만 인정하고 대상인 리의 작용은 인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초기 격물론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후기의 ‘리자도’설에 입각한 격물론으로 수정되었는지, 그와 같은 수정이 왜 그렇게 늦게 이루어졌는지에 관해 고찰한다. 고심하던 이황은 주희의 “리에도 반드시 작용이 있다(理必有用).”는 말을 근거로 인식대상인 리에도 작용이 있다고 선언한다. 이와 같은 선언으로 이황은 격물과정에서 ‘도’와 ‘격’의 주체를 나[己]를 넘어서 리로 볼 수 있는 길을 마련한다. 그런데 이 주장은 ‘리무위설’에 입각한 주희의 격물론과 다르기 때문에 이황은 매우 망설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이황은 주희가 ‘리용’(理用)을 ‘기(氣)에 의한 리의 드러남[理顯]’으로 보았던 것과 다르게 ‘리의 자발적 작용’으로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이황이 무엇 때문에 세상을 뜨기 불과 20여일 전에 리의 자발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리자도(理自到)설’을 주장하게 되었는지에 관해 검토한다. 이황은 앞서 심성론에서는 리발(理發)을, 우주론에서는 리동(理動) 및 리생기(理生氣)를 주장했음에도 그것이 주희의 리무위설과 충돌한다고 보았기 때문에 리자도(理自到)를 선뜻 주장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주희의 리무위설에 따라서 격물론을 해석할 경우 인식론적 측면과 수양론적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자각하게 된다. 온전한 인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주체와 객체의 분리가 필요하지만, 그렇다고 양자를 철저히 분리해 버린다면 양자의 상호소통이 불가능해져 버리게 되고, 도덕적 수양을 위해서는 도덕성 그 자체인 리의 적극적인 작용이 필요한데, 리를 거의 죽은 물건[死物]으로 간주하게 되면 인간의 마음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된다고 보았던 것이다. 결국 이황은 격물론의 인식론적 측면에서는 인식주체인 마음과 인식대상인 리 사이에 ‘작용’[用]이라는 유사성을 확보함으로써 상호소통이 가능한 인식론을 수립하고자 했으며, 격물론의 수양론적 측면에서는 ‘마땅히 그렇기 때문에 그만둘 수 없는’[所當然而不容已] 도덕법칙으로서의 리가 지녀야 할 주재(主宰)성을 부각시켜서 도덕성의 최고 징표인 ‘리(理)가 사람들에게 도덕적 명령으로 다가올 수 있다’[理能自到]는 것을 주장하고자 했던 것이다.

      • 이황학맥의 호남 전파와 유학사적 의의

        고영진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2

        이 글은 이황학맥의 호남 전파를 16세기 사림문화 융성기에 영남과 호남사림의 학문 교류라는 차원에서 살펴본 것이다. 호남사림은 조선 건국과 세조의 쿠데타, 연산군의 사화 등의 정치적 변동을 계기로 형성 되었는데 중종대 이후 본격적으로 흥기하였다. 당시 호남사림의 인맥은 크게 김굉필, 최부, 송흠, 박상, 이항, 김안국계열 등 여섯 계열로 나눌 수 있으며 명종대 서경덕과 이황·조식학파가 형성되면서 호남사림도 그 영향을 받거나 대응하면서 성장하였다 따라서 인맥에 학맥을 더하여 고려한다면 크게 서경덕계열과 송순계열로 나눌 수 있다. 이황과 호남의 학문적 교류는 이미 이황 이전부터 지방관 역임, 유배, 교제·서신 등 다양한 형태로 있어 왔으며 호남 유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인물은 김종직과 김굉필이었다. 김종직은 지방관으로 와서, 김굉필은 귀양 와서 호남사림과 관계를 맺으면서 학문적인 영향을 미쳐 적지 않은 문인들이 나오기도 하였다. 이 두 사람 외에 호남성리학의 형성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며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인물이 이황이었다. 그는 기대승, 송순, 유희춘 등과 학문적 교류와 논쟁을 하면서 자신의 이론을 확립해 나갔으며 이는 호남 사림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아울러 그는 송순의 면앙정시단에 참여하는 등 문학적 교류도 활발히 하였다. 이황이 호남사림들과 학문교류를 활발히 하는 동안 그 문하에 들어간 문인이 되는 경우도 나타났다. 이황의 문인으로는 보성의 박광전, 장흥의 문위세, 무장의 변성온·변성진, 해남의 윤강중·윤흠중·윤단중, 창평의 양자징, 순천의 김윤명, 화순의 조대중 등이 있다. 이들을 인맥으로 정리해보면 주로 김굉필계열과 최부계열, 특히 유희춘, 김인후와 연관이 많음을 알 수 있다. 결국 호남의 이황 문인들은 이황이 학문적으로 활발한 교류를 한 유희춘과 김인후를 매개로 하여 이황의 문인이 되었으며 뒤에 학파와 정파가 분기되면서 서경덕계열과 송순계열, 동인과 서인으로 분화되었다. 이들의 학문은 초기에는 이단에 엄격하고 주자에 충실한 모습을 띠어 이황의 학문적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후대로 가면 김인후와 관련한 문인들은 정치적으로 서인이 되면서 이황과의 학문적 관계가 점차 옅어져가고 유희춘과 관련한 문인들은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이황과의 학문적 유사성을 계속 유지하지 않았나 여겨진다. 어쨌든 16세기 호남의 성리학은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이론적으로도 당대 최고 수준이었는데 이는 이황을 비롯한 영남사림과의 학문적 교류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호남에서의 이황문인들은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에 걸쳐 호남의 성리학이 분화·발전해가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매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spread of Yi Hwang academic stream to Honam in view of study exchange between Youngnam and Honam area in the 16th century, when Sarim culture was in full flourish. Honam Sarim was formed with political fluctuations such as Chosun establishment, King Sejo's coup de′tat, and massacres of scholars by Yeonsangun, and was developed in earnest after King Jung-jong age. At that time, personal connection of Honam Sarim was classified into six parties of Kim Gwengpil, Choi Bo, Song Heum, Park Sang, Yi Hang, Kim Ahn-kook. While S대 Gyeong-duk, Yi Hwang, Cho Sik academic schools were formed in King Myeongjong age, Honam Sarim Was affected and grew up corresponding to them. Therefore, considering personal and academic connections, the part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parties; Seo Gyeong-duk party and Song Soon party in large. Academic exchange between Yi Hwang and Honam had already existed in various forms by consecutive entitlement of local officers, banishment, friendship and letter and representative persons who affected the formation of Honam Confucianism were Kim Jong-jik and Kim Gweng-pil. Kim, Jong-jik, who came as a local government officer, and Kim, Gweng-pil, who came for banishment, had a relationship with Honam Sarim and affected academy, producing not too few disciples. Besides these two men, it was Yi Hwang who affected formation of Honams metaphysics and had a close relation ship with each other. He established his own theory through discussion and academic exchange with Gi Dae-seng, Song Soon, Yoo Hee-chun, and so did Honam Sarim. In addition, he exchanged culture actively such as participating at Song Soon's Myeon-ang-jeong literary organization. While Yi Hwang was exchanging academy actively with Honam Sarim, some people became disciples under his studies. Yi's disciples were Park, Gwang-jeon from Bosung, Moon Wee-se from Jang-jeung, Byeon Sung-on and Byeon Sung-jin from Moo-jang, Yoon Gang-jung, Yoon Heum-jung, and Yoon, Dan-jung from Haenam, Yang Ja-jing from Chang-pyeong, Kim Yoon-myeong from Soon-cheon, and Jo Dae-jung from Hwa-soon. Classified by personal connection, they are mainly connected with Kim Gweng-pil party and Choi Bo party. Especially they had lots of connection with Yoo Hee-chun and Kim In-hoo. In conclusion, Yi's disciples in Honam became his disciples through the medium of Yoo Hee-chun and Kim In-hoo who had exchanged academy actively with Yi Hwang. They were divided again into Seo Gyeong-duk party and Song Soon party, and East men and West men as the academy party was divided into academy party and political party later. Initially, their academy was not so different from Yi Hwangs academic characteristic since it was strict to heresies and faithful to Juja. As it went to later ages, however, it's considered that disciples related to Kim In-hoo had lightened their academic relationship with Yi, Hwang as they became West men politically, but disciples related with Yoo Hee-chun kept academic similarity with Yi while they were acting as East men Anyway, it can be said that Honam metaphysics was developed in various manners and was the best in its theory at that age due to the academic exchange with Youngnam Sarim including Yi Hwang. Besides, Yi's disciples in Honam area played a mediation role when Honam metaphysics was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from the late 16th to early 17th century.

      • KCI등재

        梅花詩에 나타난 李滉의 意識指向

        李在鎰(Jae-Il Le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7 No.-

          이황은 매화를 소재로 한 75題 106首의 시를 남겼으며, 그 중 62제 91수를 選拔하여 「梅花詩帖」이라는 단행본 시집으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이황의 행위는 일관된 의미망 형성을 위한 의도적인 것으로 짐작되며, 따라서 결코 예사롭게 여길 바가 아니라고 하겠다. 매화는 분명 이황의 意識의 指向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일 터인데, 그 의식지향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일까?<BR>  그 해답의 모색에 있어서 우선 매화에 대한 이황의 特異한 態度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 태도는 한 마디로 酷愛라고 하겠다. 이황 스스로 자신이 매화를 혹애한다고 明言했거니와, 예컨대 매화의 寒傷에 대해 절절히 가슴 아파하며, 매화와 오랜 知己인 것처럼 서로의 胸襟을 贈答하는 등 그의 매화에 대한 行爲는 혹애라 아니할 수 없을 터이다.<BR>  이황의 그와 같은 매화에 대한 혹애의 이유는 매화가 자신과 同一視되었기 때문이고, 그 동일시의 媒介는 淸淨이라고 생각된다. 벼슬살이에서 무수히 엿보이는 이황의 고뇌의 바탕으로 여겨지는 그의 廉直性 내지 介潔性은 청정성에 다름 아니라 하겠으며, 由來上 매화는 청정의 表象이고 이황의 매화시들 역시 맑고 차가운 이미지 내지 배경, 仙界의 詩想, 隱士의 삶, 節槪 등으로 보아 그 모티브는 청정이라고 해야 할 터이다.<BR>  청정을 매개로 하는 이황의 매화 同一視는 贈答詩, 寒傷詩, 物我一體的交融의 詩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논의가 가능할 듯하다. 증답시는 말 그대로 이황과 매화 간에 주고받은 形式의 시인데, 그 形式은 이황의 매화 동일시의 극한적 內容을 담아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하겠다. 한상시는 이황이 매화가 추위로 인해 손상된 모습을 마치 자신의 손상인양 애달파하면서 지은 시들에 붙이는 이름인데, 이 역시 이황의 극한적인 매화 동일시가 만들어낸, 매화시의 특이한 內容的 양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황의 매화시는 주로 자아와 매화 간의 個我的 경계가 허물어진, 물아일체적 교융을 詩化한 것이라고 할 터이다.<BR>  결론적으로, 매화시에 나타난 이황의 의식지향은 內面的 淸淨이다. 내면적 청정은 人慾이 蕩滌된 상태이므로 天人合一의 境界이며, 精神의 絶對自由의 境地라고도 표현되는 意識의 自由이다. 따라서 매화시에 나타나는 이황의 의식지향이란 종국적으로는 自由에의 指向이라고 할 것이다.   Lee Hwang left 106 poems under 75 subjects on a theme of Ume blossom and among these, he selected 91 poems under 62 subjects to produce the independent volume of poetry titled 「Maehwasicheob」. It is expected that this Lee Hwang"s behavior was intended to form the consistent semantic network, Therefore, we should not overlook this point. Ume blossom might have been a barometer that can judge his aim for consciousness. If so, what is the aim for consciousness?<BR>  To explore the answer, we need to make sure of Lee Hwang"s unique attitude towards Ume blossom. The attitude might be called ‘tremendous love" in brief. Lee Hwang claimed himself that he possessed the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And for example, he expressed a deep pain on damage of Ume blossom due to a cold weather and he spoke his bosom as if he and Ume blossom were old friends. Nobody would deny that these behaviors originated from his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BR>  The reason for Lee Hwang"s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was because Ume blossom was identified with himself and the medium of this identification was considered to be cleanness. His integrity and pure character which were considered as the basis of Lee Hwang"s agony during his official life did not much differ from cleanness. According to history, Ume blossom was a representative of cleanness and in consideration of its pure/cold image or background, poetical imagination of God"s world, hermit"s life, fidelity, motive of Lee Hwang"s poems of Ume blossom may be cleanness.<BR>  Lee Hwang"s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by the medium of cleanness can be discussed in three aspects―poem of exchange talks, poem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and poem of union between material and ego. Poem of exchange talks means type of poetry in which Lee Hwang and Ume blossom exchanged the talks and the type is the most adequate to get an extreme content of Lee Hwang"s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Poems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means that Lee Hwang produced this sort of poems when he confessed a heartrending sorrow to see the damaged Ume blossom due to cold weather as if he had been damaged. This also could be unique contents trend on poems of Ume blossom that Lee Hwang"s extreme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produced. Poem of exchange talks and poem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were the representative types, Lee Hwang"s poems of Ume blossom mainly could be said that addressed the union between material and ego without individual barrier.<BR>  In conclusion, Lee Hwang"s aim for consciousness in his poems of Ume blossom is internal cleanness. Internal cleanness means the completely cleared off state of human greediness. Therefore this is a state of union between God and man and freedom of consciousness can be demonstrated as absolute freedom state of mentality. Therefore, Lee Hwang"s aim for consciousness in his poems of Ume blossom can ultimately mean the aim for free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