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울산지역 누정의 공간구성과 형태특성 분석

        이재현(Jae-Hyun Lee),이창업(Chang-Eob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1

        본 연구는 울산지역 누정(樓亭)의 특성을 현장ㆍ문헌조사 통해 고찰하였으며, 목적은 울산지역 누정의 규모ㆍ형태ㆍ입면ㆍ구조 등을 분석하여 형태특성을 규명하여 누정의 콘텐츠화에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울산은 1960년대 이후 공업화의 일변도를 걷다가 최근 생태와 문화에 관련하여 관심이 고조되고, 특히 영남의 3대루 중의 하나였던 태화루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는 언양읍성의 영화루 복원 등 누정에 대한 콘텐츠 개발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울산의 누정에 대한 조사가 미흡하여, 기초자료 확보 및 울산 누정의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이에 이번의 연구가 있었고, 그 조사결과 울산의 누정은 경주지역의 정면3칸ㆍ후면부진입형ㆍ강변입지형 누정과 유사함을 찾아내었다. 이는 울산이 고대로부터 경주문화권에 속해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누정이 인접지역간 콘텐츠 융합의 좋은 대상이라는 점을 찾아낸 것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Pavilion(樓亭) was a Building for rest and scene appreciation in chosun dynasty.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construction method and the structure of Pavilion. The detail objectives of the research was ; First, the location of Pavilion and the layout of facilities were analyzed and composition principle was found. Second, Pavilion were analyzed about dimension, form, constructive method, and structure. Pavilion location was selected on the consideration of natural condition such as configuration of the ground, climate, and scene state. The Length of Building remained until present was about 8~12m, the depth was about average 3~4m. The results of these study can give deep understand of physical structure and help to reconstruct future Pavilion.

      • KCI등재

        고려시대 충청지역 樓亭의 조성과 관료층의 동향

        이정호(Lee, Jung-ho) 호서사학회 2020 역사와 담론 Vol.0 No.94

        고려시대 충청지역에 조성된 樓亭은, 대체로 淸州·淸風·公州·天安 등 주요지역의 官衙, 客舍, 驛院 주변에 지방관 주도로 지역민을 동원하여 조성한 官立 누정들이었다. 이러한 누정들은 경관이 수려한 장소에 위치하여, 국왕, 지방관 혹은 타지로 이동 중에 있던 관료들이 머물며 풍광을 통해 휴식을 취하던 장소로 이용되었다. 혹은 농사 관련 제사를 거행하고, 한해의 중요한 행사를 거행하며, 지역 사정을 살펴보는 상징적 장소로 이용되는 등 지역사회의 운영과 관련해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하였다. 또한 고려후기에는 충청지역에 관료 혹은 그들의 후손들에 의해 民立 누정이 조성되는 사례가 증가하여 나타나기 시작했다. 고려후기 이래 정치변동과정에서 관직에서 물러난 관료가 가문의 別業 등 기반이 있던 本貫地나 妻家·外家 등에 거주처를 마련하고 누정을 조성한 경우를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여말선초시기에는 관료층이 충청지역으로 거주처를 이주한 이래, 그 후손들이 지역 내에 정착하는 과정과 관련하여 누정이 조성되고 있는 모습도 살펴볼 수 있어 주목된다. 이와 같은 경향은 여말선초시기 관료층이 충청지역으로 이주하여 거주처를 마련하고, 이후 후손들에 의해 점차 정착기반이 조성되어 나가는 사정을 반영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This paper studied Nu-jeong(樓亭) built in Chungcheong(忠淸) area during the Goryeo Dynast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local government established Nu-jeong(樓亭) in important places such as government offices and transportation centers in Chungcheong area. It was located in a scenic place and used as a place for officials to interact and relax. It was also used as an important place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to run local communities.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re were increased cases in which officials and their descendants built Nu-jeong(樓亭) in Chungcheong area. Some government officials who resigned from central office during the political upheaval of the late Goryeo Dynasty established a residence in Bon-gwan-ji(本貫地), Cheo-ga(妻家), and Wö-ga(外家), and established Nu-jeong(樓亭). Meanwhile,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some resigned government officials moved to Chungcheong area, and it is also noteworthy that Nu-jeong(樓亭) is being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process of their descendants settling in the region. This trend reflects the situation in which the some government officials moved to Chungcheong area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to establish a residence, and their settlement base was gradually established by their descendants.

      • KCI등재

        朝鮮時代의 樓亭文化와 實景山水畵

        박은순(Park Eunsoon)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50·251

        조선시대의 예술을 말할 때 흔히 詩畵-致, 詩書畵 三絶을 거론한다. 생각과 사상, 학문과 예술, 그리고 실천이 일치되고 통합되는 것을 지향한 조선 선비들의 삶이 이러한 경향을 초래한 것이다. 이 글에서 정리한 누정산수화도 결국 조선시대 선비들이 가졌던 知行合-의 철학과 사상이 시각예술로서 표출된 산물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성리학적 사상을 삶 속에서 구현하는 것을 중시한 선비들은 天地人, 天人合-의 성리학적 이상을 자연을 관조하거나, 그 가운데서 노닐면서 실천하였다. 누정이 조선시대 내내 적극적으로 건축, 경영된 것은 바로 성리학적 철학과 사상을 표상하는 건축물이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조선시대에는 누정을 중심으로 樓亭文化, 樓亭文學, 樓亭山水畵라고 하는 독특한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 가운데 누정산수화란 필자가 처음 제기한 용어로서 조선시대 그림 중 누정과 그 주변의 경관을 재현한 실경산수화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누정산수화는 국학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온 누정문화와 누정문학의 개념이 시서화삼절, 文史哲의 종합을 중시한 이 시대의 경향에 따라 그림으로 전이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누정산수화가 누정의 사회정치적 기능과 상징성을 반영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았고, 이를 토대로 누정산수화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각 유형의 누정산수화는 누정의 정치사회적, 문화적 기능과 상징성이 변화하면서 차차로 형성되었다. 누정산수화에는 누정에서 보이는 경치를 표현하는 敍景的인 요소와 누정산수화가 그려지게된 계기를 시사하거나 누정산수화 제작의 동기 및 목적을 시사하는 敍事的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서경의 요소는 화면 속에 등장하는 경물 및 소재의 종류 등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고, 서사적인 요소는 그림 안에 표현된 여러 요소들을 통하여 시사되거나, 또는 그림에 쓰인 제목이나 畵題, 참석자들의 면면을 기록한 座目, 그림과 관련된 여러 기록 등을 토대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기초로 하여 필자는 누정산수화를 조선초기에 시작된, 관료들의 契會를 그런 누정산수화, 전국 각지의 승경처에 지어진 공적인 누정, 즉 公?를 그린 누정산수화, 개인의 소유지에 세워진 私亭을 그린 누정산수화로 나누어 보았고, 각 유형이 표상한 의미와 상징, 화풍의 특징을 구명하여 보았다. 누정산수화는 조선 초부터 말까지 꾸준히 그려진, 실경산수화의 한 분야로서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의 성격과 특징을 대변하고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Any study of Korean art of the Joseon period usually involves a discussion of such terms as sibwa ilcbi ("the correspondence between poetry and painting") and samjeol ("the three perfections"), or the three genres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These distinctive features of art reflect the lifestyle of Joseon's Confucian elite, who searched for a correspondence between and the integration of ideas, scholarship, the arts and practice. The Nujeong (lit. "lofty pavilion") landscapes discussed in this study were also a genre of painting that materialized through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jibaeng habit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herished by Joseon's Confucian literati. Neo-Confucian scholars were keenly interested in transforming Neo-Confucian teachings into reality, and spent their lives contemplating the means to realize the ideal states of cbeonjiin ("heaven, earth and humanity") and cbeonin habit ("unity of heaven and humanity"). Joseon's Neo-Confucian elite continued to be active in the building and running of pavilions (nujeong) because they realized that these architectural structures served as ideal representations of their philosophy. Their love of pavilions eventually led to the birth of the distinctive cultural phenomena now known as Nujeong Culture, Nujeong literature, and Nujeong landscapes. As a term recently introduced by the author of this study, Nujeong Landscapes refers to the silgyeong ("real") landscape paintings of Joseon, in which a pavilion and the scenic landscapes around it were depicted. The landscape paintings classified into this genre are a result of the widespread interest among modem academic circles in the integration of poetry and painting (sihwa),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siseobwa samjeol), and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munsacbeol) in the areas of Nujeong Culture and Nujeong Literature. In this essay. I conclude that the Nujeong landscapes were formed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the socio-political functions and symbolism of these "lofty pavilions" in Joseon society, and classify the remaining works into three categories The paintings in each category reflect the gradual changes which occurred over time in terms of the functions and symbolic nature of the pavilions. A typical nujeong landscape painting contains the element of seogyeong ("landscape depiction"). whereby the painter would capture a scenic view as seen from a pavilion, and the element of seosa ("event depiction"), which revealed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the painting. A viewer can perceive the first element through the painting techniques employed by the painter, and the second through the individual subject matters captured in the painting, along with the postscript written on the painting, which typically contained a title, prayer, and a li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occasion captured by the painting. After an extensive study of the elements in the remaining nujeong paintings, I classified them into three groups; gyeboe ("literary gathering"), gongcheong ("public building"), and sajeong ("private pavilion") nujeong paintings and then discussed the symbolic nature of the works in each category.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t genres developed in Korea, the Nujeong landscape paintings were produced from the early days of Joseon to the very last days of the dynasty, reflecting and defin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Silgyeong landscapes in Joseon.

      • KCI등재

        한국 누정(樓亭)에 대한 위키백과 편찬 방안 연구 - 누정 관련 한문학 유산의 편찬 방안을 중심으로

        박순 ( Park¸ Soon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科學 Vol.120 No.-

        전통 한옥 중에서도 누정(樓亭) 건축은 과거의 사대부들이 심신을 수양하거나 자연을 완상하고, 지인들과 교유하며 학문을 논하거나 풍류를 즐기던 장소였다. 이에 따라 누정과 관련된 시문(詩文)들이 많이 창작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우리가 볼 수 있는 한문학 유산으로 남아 있다. 또한, 이들 누정은 대체로 경관이 빼어난 곳에 위치해 있어 관광 명소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사극 드라마나 영화 등의 촬영지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누정 건축은 현대인들에게도 친숙한 존재인데, 누정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어서 관련 웹사이트를 검색해보면 건물의 연혁과 건축 정보 정도만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각 누정과 연관이 있는 한문학 유산을 볼 수 없음은 물론이고, 한문학 유산을 볼 수 있는 웹사이트로의 연결 링크도 찾아볼 수 없다. 누정 관련 한문학 유산은 전문 연구자뿐만이 아니라 전 국민이 함께 감상하고 배움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자산이라 할 수 있는데 현재의 웹 환경에서는 쉽게 마주하기 어려운 단절이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누정에 대한 다양한 지식 정보가 담겨 있고, 한문학 유산도 함께 볼 수 있는 웹사이트가 구축된다면 상당히 유용할 것이며,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편찬 방안을 모색해보려 한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플랫폼으로는 위키백과를 선정하였으며, 위키백과 내의 누정 문서 전반에 적용될 수 있는 체계적인 편찬 설계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위키백과 내의 누정 문서가 어떠한지를 우선적으로 검토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표본 자료로 선정한 강릉 호해정 관련 한문학 유산을 분석하였는데, 위키백과에서 링크를 걸어 둘만한 인명·지명·서명·개념어 등은 무엇이 있는지, 고사를 인용하여 해설이 필요한 부분은 어떤 것인지 등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위와 같은 분석 내용을 토대로 위키백과 편찬의 실제를 보였다. “강릉호해정” 문서를 예로 들었지만 모든 누정문서에 일괄적으로 적용 가능한 내용 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특히 누정에 관한 한문학 유산의 문서화에 주안점을 두었다. In traditional Korean houses, the pavilion was a place where the nobleman trained their mind and body, appreciated nature, communicated with acquaintances, discussed academic studies, and enjoyed art and culture. As a result, many literary works related to pavilions were created, and the pavilion remains a classical literary heritage that we can see today. In addition, since these pavilions are generally located in places with an excellent view, they not only function as tourist attractions, but are also widely used as filming locations for historical dramas and movies. Thus, pavilions are familiar to modern people as well, many of whom seek the history of pavilions and architectural information when searching related websites to learn more. However, they are not able to see the classical literary heritage associated with each pavilion, nor can they even find a link to a website where they can viewthe literary heritage. The classical literary heritage related to pavilions can be considered a valuable asset that professional researcher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can appreciate, but in the current web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find online. Therefore, it would be very useful if a website was built that contains diverse knowledge information about pavilions lingking them to the classical literary heritage. Thus, in this paper, I tried to compile such a resource.Wikipedia was selected as the platformto build the database, and a systematic compilation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the whole document in wikipedia was suggested. To this end, I first reviewed what Wikipedia is currently like. Next, I analyzed the literary heritage related to Gangneung Hohaejeong, which was selected for sample data, with a close examination of the names, place names, books, and conceptual words that were linked to Wikipedia, and considered which parts must be explained through quotations of classical text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I showed the reality of the Wikipedia compilation. Although the document “Gangneung Hohaejeong” was cited as an example, the composition of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collectively to all the documents on pavilions was specifically presented with an emphasis on documenting the legacy of the classical literary heritage on pavilions.

      • KCI등재

        대구지역 누정제영시에 나타난 공간인식과 그 의미

        최은주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ujeong(樓亭) in the Daegu area and to examine how the people of the time perceived the space through works created in specific Nujeong(樓亭). The reason why Nujeong(樓亭) was chosen as the target among literary creative spaces is because Nujeong(樓亭) that many people come and go are usually built in places with excellent scenery, and in these cases, they are often accompanied by a geographical environment such as a river. Since the space in literary works is closely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humans, that is, the artist who created the work, it is revealed in various forms in the work. Therefore, it is a material that can vividly examine the perceptions and culture of the people of the day. Daegu has been the center of Gyeongsang-do since Gyeongsang Gamyeong was located in 1601. During this period, Daegu was not only able to function as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because it was the place where observers stayed, but it was also able to occupy a central position in that it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kdong River that penetrated Yeongnam to the north and south. In particular, the Nakdong River was said to be a large river in Yeongnam, and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ocal culture, such as the divis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Gyeongsang-do around this river. Therefore, looking at the pavilion formed around this river and the literary works created there is also an important meaning in understanding local culture. First, by looking at the Nujeong(樓亭) presented in the geography,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avilions in the Daegu area was grasped. Based on this, we tri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contemporary people through specific works targeting the Nujeong(樓亭) where jeyeong poetry(題詠詩) remain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Nujeong(樓亭) in the Daegu area were closely related to the name given by the owner and the place where the Nujeong(樓亭) were located while building the Nujeong(樓亭). In the case of a Nujeong(樓亭) built for a public purpose, the emotion created in the space called the Nujeong(樓亭) is often revealed similarly. Therefore, most of the romance sensibilities created through the enjoyment of nature are ca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lso a Nujeong(樓亭) where moral sensibility was created through the naming act containing the intention of the founder. Through this, the Nujeong(樓亭) in the Daegu area was recognized as a space where various characters visited and enjoyed beautiful arithmetic based on the circularity of the riverfront area, while strengthening the blood ties of the Hyangchon society and connecting academic and literary networks. 이 연구는 대구지역의 누정을 살펴보고, 특정한 누정 공간에서 창작된 작품들을 통해 당대인들이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던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문학생성공간 가운데 누정을 그 대상으로 삼은 것은 누정이 보통 경관이 빼어난 곳에 세워지며, 강이라는 지리적 환경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때 누정은 지리적 환경에 기반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오고가며, 문학작품 창작의 공간으로 기능하게 된다. 문학의 생성공간이자 문학작품 속 공간은 인간, 즉 작품을 창작한 작가의 체험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채 작품 속에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학작품들은 당대인의 인식과 문화를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대구는 1601년 경상감영이 자리한 이후 경상도의 중심으로 자리 잡은 지역이다. 이 시기 대구는 관찰사가 머무는 곳이었기 때문에 행정의 중심으로 기능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영남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낙동강의 중류에 위치하였다는 점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낙동강은 『世宗實錄地理志』에서도 영남의 대천으로 일컬어졌으며, 이 강을 중심으로 경상도의 좌우가 구분되는 등 지역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따라서 이 강을 중심으로 형성된 누정과 그곳에서 생성된 문학작품을 살펴보는 것은 지역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 먼저 지리지에 제시되어 있는 누정을 살펴 대구지역 누정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제영시가 남아 있는 누정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당대인의 인식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구지역의 누정들은 대체로 누정을 건립하면서 주인이 부여한 명칭을 비롯해 그 누정이 위치한 곳과 밀접한 관련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공적인 목적을 띠고 건립된 누정이 아닌 경우 누정이라는 공간에서 생성되는 감성을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연 속에서의 흥취를 통해 생성된 낭만감성이 주조를 이루는 것이 대부분이나, 건립자의 의도가 담긴 명명행위를 통해 도학감성이 생성된 누정도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구지역의 누정은 강안지역이 지닌 회통성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인물들이 방문하여 아름다운 산수를 즐기는 한편, 향촌사회의 혈연적 결속을 다지고 학문, 문학적 연계망을 이어가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 KCI등재

        광주・전남의 근대 누정 연구

        권수용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0 민족문화논총 Vol.45 No.-

        In Honam area, there remain many Nujeong which were cultural institutions of our ancestors. There remain 630 Nujeong or more in Gwangju and Chonnam province at the present time, and adding Nujeong disappeared till now, about 2500 Nujeong has been built in this area. Among those, the number of Nujeong built at the modern age is over a third part of total Nujeong numbers. The modern age, like this, was an important period for Honam Nujeong culture to be stable;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interest about it because of several reasons: that is, its history is not long and a person building Nujeong was not famous, etc.. Then, most of Nujeong that building date is not long has been disappeared to the back of history without being known its name. A Nujeong was a place for many people to associate each other with a poetry, for a conversation leading a society to be made, and also to cultivate younger students. The culture like this was not suddenly happened at the modern age but originated from Goryeo dynasty and developed in Choseon dynasty and has been continued to now as cultural spirit.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e of a modern Nujeong culture, like above, is also to investigate a character of Honam culture. We must, hence, prevent our excellent legacy of culture from being lost with a special concern before it disappears. However, a large number of a modern Nujeong and a collection of individual works remain fortunately up to now and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otally those. It become possible to make clear principal Nujeong writers and major Nujeong with understanding totally the present state of modern Nujeong. At the same time,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by studying a Nujeong poem how our ancestors had self-discipline and associated with neighbors and has been doing cultural activities in a natural space of a Nujeong. Many people built a Nujeong and most of a talented man took part in writing Nujeong poetry and prose in the modern age. But, the reason for them to act like this may be to pride themselves on 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raise a power of their families. This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in the meaning of a building intention, and must be said to be unique phenomena of culture in the modern age. 호남지역에는 우리 선조들의 문화공간이었던 누정이 많이 남아있다. 광주・전남지역에는 현재 630여 곳 이상이 남아있으며, 그동안 사라진 것까지 합쳐보면 2500여 곳에 이르는 누정이 세워졌다. 그중에서 근대기에 건립된 누정은 전체 누정수의 3분의 1이 넘는다. 이처럼 근대기는 호남 누정문화를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인데도 그동안 역사가 오래지 않았다거나 잘 알려진 인물이 지은 경우가 아니었다는 이유 등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그래서 건립연대도 오래지 않은 대부분의 누정들이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버렸다. 누정은 많은 사람들의 시적 교유 현장임과 동시에 그 사회를 이끄는 담론이 형성되었던 곳이기도 하고, 후학을 양성하는 강학공간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화는 근대기에 이르러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라 멀리 고려시대부터 생겨났으며 조선시대에 발전해서 지금까지도 이어져오고 있는 문화의 큰 맥이다. 이와 같은 근대기 누정문화의 현황을 파악하는 일은 근대 호남문화의 특징을 구명하는 일이기도 하다. 때문에 우리들은 자료가 사라지기전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서 훌륭한 문화유산이 더 이상 유실되는 것을 막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다행스럽게도 아직까지는 이 시기에 건립된 누정이나 개인 문집이 많이 남아있어서 전체적인 파악이 용이한 편이다. 근대기 누정의 전체 현황파악을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주요 누정작가들과 주요 누정들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누정을 중심으로 주로 어떤 활동들이 있었는가를 밝힐 수도 있다. 또한 누정시문을 통해서 우리 선조들이 누정이라는 자연 공간에서 어떻게 자신을 수양하고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문화 활동을 해왔는지를 살필 수 있다. 근대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누정 건립 활동을 하였고, 또 대다수의 인물들이 누정시문의 창작에 참여했다. 그런데 이러한 점은 누정의 건립 목적이 전대에 비해 자신의 인맥을 자랑하고 가문의 위세를 드높이고자한 의도도 내포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근대기에 나타나는 특이한 문화현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무등산권(無等山圈) 누정문학의 문화지도

        박명희 ( Myoung Hui Park )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6

        본 논고는 20세기 이전에 세워진 누정 가운데 현존하는 무등산권 누정 전체를 살폈다. 그 결과 광주광역시에 15동, 나주시에 22동, 장성군에 8동, 담양군에 14동, 화순군에 22동 등 총 81동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또한 문화적인 관점에서 시단을 형성한 누정을 특히, 강조하였다. 그 결과 광주광역시는 부용정, 삼괴정, 읍취정, 풍암정, 풍영정, 호가정, 환벽당 등에서, 나주시는 가오정, 남파정, 소요정, 영모정, 장춘정등에서 많은 문인들이 드나들어 시단을 형성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성군은 관수정과 요월정에서, 담양군은 독수정, 면앙정, 서하당, 소쇄원의 제월당과 광풍각, 송강정, 식영정 등에서, 그리고 마지막 화순군은 오현당, 망미정, 물염정, 임대정, 영벽정, 침수정, 송석정 등에서 주로 시단이 형성되어 시문이 지어졌음을 보았다. 본 논고는 이상의 내용을 정리한 것을 우선 만족하면서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호남의 전체 누정을 지도로 표시해볼 필요가 있다. 지도는 무엇보다도 입체적이면서 일목요연하게 한 눈에 전체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만일호남의 전체 누정을 도상에 표시해본다면, 지역별 편차 및 특징 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리라고 생각한다. 둘째, 누정에서 시단이 형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앞으로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호남 누정의 경우, 문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아쉽게도 일정 지역의 몇몇 누정에 치우쳐 있었다. 앞으로의 누정 연구는 이러한 쏠림 현상을 지양하면서 다양한 누정을 대상으로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호남의 전체 누정을 세기별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는 누정도 하나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인식에서 더욱 그러한데, 그러면서 출입한 문인들의 양상을 파악할 수도 있다. This study examined existing pavilions in Mt. Mudeung which had been built before the twentieth century.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are 15 ones in Gwangju city, 22 in Naju city, 8 in Jangsung county, 14 in Damyangcounty and 22 in Hwasun county. This study focused on the pavilions which had poetical circles in a cultural view and found that a great number of literary persons were active in literary activities and poetic circles were formulated in the following places: Buyong pavilion, Samgwe pavilion, Eupchi pavilion, Pungam pavilion, Pungyoung pavilion, Hoga pavilion, and Hwangbyeok pavilion in Gwangju; Gao pavilion, Nampa pavilion, Soyo pavilion, Yongmo pavilion, Youngmo pavilion, and Jangchun pavilion; Gwansu pavilion and Yowol pavilion inJangsung; Doksu pavilion, Myonang pavilion, Seoha pavilion, Jewoldang and Gwangpung pavilion in Soswaewon, Songgang pavilion and Sikyoung pavilion in Damyang; and Ohyun pavilion, Mangmi pavilion, Mulyeom pavilion, Imdae pavilion, Yongbyeok pavilion, Chimsu pavilion, and Songseok pavilion in Hwasun. This study examined some of main pavilions and presents future tasks to be done: First, entire pavilions in Honam area should be mapped. Maps organize the areas in easily accessible manner. If the entire pavilions of this area are marked on the map, regional differences and features can be specifically displayed. Second,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formation of poetic circles in pavilions. There were previous studies on literary activities in pavilions of Honam areas, but they focused on only a few pavilions. Further studies should expand the range of the subjects in various angles. Third, the entire pavilions in Honam area should be organized in chronological manner to identify various aspects of literary persons who were engaged in pavilion literature as pavilions have their own history.

      • KCI등재

        광주(光州) 풍영정(風詠亭) 차운시(次韻詩) 고찰

        황민선 ( Min Sun Hwang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8

        風詠亭은 16세기 漆溪金彦据(1503~1584)가 지은 정자로 광주, 나주, 장성을 잇는 길목에 있는 위치상의 특징과 김언거의 교유 인물들이 갖는 명성 등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로서 오랫동안 기능하였다. 이런 수많은 사람들의 왕래는 누정의 특성상 자연스럽게 많은 차운시를 낳게 했고 이런 차운시는 이 시기에 지어진 여타의 누정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많은 분량으로 풍영정을 대표하는 특징이자 또 하나의 경관이 되었다. 누정은 그 공간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수많은 문학작품을 남기고, 문학작품은 시판의 형태로 누정에 걸려 또 다른 절경을 낳는다. 이런 누정 작품들은 누정에 대한 또 다른 문학적 공간이 되어 누정을 직접 향유하지 않아도 문학적 경치로서 또 다른 누정문학을 양산케 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즉 누정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또 하나의 실경이자 문학적 경치가 되는 누정문학은 누정공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학작품 특히 누정시에 나타난 누정 공간 특성을 본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누정연작제영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를 해왔다. 누정연작제영은 누정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빠질 수 없는 혹은 뛰어난 경관을 설정한다는 그 특성상 설정된 공간은 각각의 누정들을 특징지을 수 있는 대표공간이 되는 한편, 누정을 향유하는 향유자들의 누정 공간의식 그리고 더 나아가 그들이 지향하는 산수미학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정시에 있어서 누정연작제영 보다 압도적인 수를 차지하는 누정제영을 보지 않고는 집경에 치중하는 누정연작제영만을 가지고 누정공간을 이해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특히 풍영정은 180편이 넘는 동시기 다른 누정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수의 차운시를 보유하고 있다. 풍영정 공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서는 풍영정의 차운시에 대한 접근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런 차운시를 중심으로 풍영정의 공간 특징을 歸田, 시름, 회상과 같은 세 가지 키워드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Pungyoungjeong(風詠亭) built by Un Guh, Kim(金彦거, 1503~1584) in 16th century had performed a function of people`s attraction due to not only a good reputation of Un Guh, Kim(金彦거, 1503~1584) and his colleagues but a location of Pungyoungjeong(風詠亭) connecting Gwangju, Naju and Jangseong. A volume of rhyme-borrowing poems were naturally produced because of many people`s comings and goings to Pungyoungjeong(風詠亭). And in comparison to other pavilions of this time, especially in respect of their number, they became a peculiarity of Pungyoungjeong(風詠亭), a great landscape. A spatial character of a pavilion produced a large number of literary works that created unparalleled grandeur as they were placed on the top of a pavilion in a form of a wooden board. Such a kind of Nujung literatures brought a motive of the other Nujung literatures. They were inspiring people to create literary works even though they never enjoyed time in a pavilion. Therefore, Nujung literatures that provided an actual and a literary scene have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a place, a pavilion. The previous studies that researched spatial figures of pavilions through Nujung poems were generally based on Nujungyeonjakjeyoung(樓亭連作題 詠). Because it essentially has a nature of setting a great view for composing a place, a pavilion, the comprised space became a typical place where not only represented each of pavilions but expressed enjoyers` consciousness of a pavilion and scenic aesthetics. However, it is limited to grasp the place, a pavilion with Nujungyeonjakjeyoung(樓亭連 作題詠) focusing on collecting sceneries. Accordingly, we need to examine Nujungjeyoung(樓亭題詠) taking much portion of Nujung poems. Pungyoungjeong(風詠亭) has a vast majority of rhyme-borrowing poems, approximately over 180 in comparison to other pavilions in the same period. To understand the place of Pungyoungjeong(風詠亭) in depth, approaching to rhyme-borrowing poems of Pungyoungjeong(風詠亭) is indispensible. This manuscript, therefore, mainly discussing about rhyme-borrowing poems of Pungyoungjeong(風詠亭), analyzed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ngyoungjeong(風詠亭) with three keywords, vision, apprehension and longing for the past

      • KCI등재후보

        누정(樓亭)문화의 미의식에 관한 고찰

        민주식 ( Joo Sik M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1 동양예술 Vol.17 No.-

        우리는 사계절의 뚜렷한 변화 앞에서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찾고 싶은 유혹을 느낀다. 그래서 옛 선조들은 세속을 떠나 누정에 찾아가 머무르면서 산수를 즐겼다. 누정은 한국인의 자연관과 인생관을 잘 나타내주는 문화적 산물이다. 누정은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과 하나가 되는 공간적 의미를 지니면서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낸다. 누정의 벽면은 개방적이고 기둥으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안과 밖이 하나가 된다. 이러한 열린 공간 속에서 자연스레 우리는 열린 마음을 갖게 된다. 누정은 학문과 예술을 싹트게 하는 창조적인 산실이었다. 강학을 행하고 시상을 일깨우는 정신적 향유의 거점이었다. 누정은 아름다운 자연을 완상하며 시가를 읊고 한담을 나누는 풍류의 공간이었다. 또 관조와 사색을 유도하는 가운데 자유로운 정신이 발휘되는 인격수련의 장이기도 하였다. 누정은 지금 우리들에게도, 하늘과 구름을 쳐다보며 물과 바람의 흐름을 느끼고 달과 별을 쳐다보면서, 생생한 감성을 회복하고 진정한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는 소중한 장소이다. 이 글에서는 누정문화가 한국인 나아가 동양인의 미의식을 형성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해명한다. 먼저 누정의 개념과 기원을 고찰하고, 그 다양한 공간배치를 통한 유형을 검토하는 가운데, 나아가 관상, 강학, 소통, 휴식 등 인간의 현실적 삶 속에서 수행하는 기능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누정이 동양인에게 있어서 다름 아닌 풍류의 공간으로서 중요한 인간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Everyone feels the allurement to go to see beautiful sceneries. When we are tired and stuffy of ordinary life, we want to take a view of natural landscape. On this account, our predecessors took pleasure in visiting a scenic pavilion and appreciating the wonderful sceneries spread out around it. The scenic pavilion, named in nu(樓) or jeong(亭) constitutes a beautiful landscape accompanying the oneness with natural environment. The walls of scenic pavilion architecture are opened and simply composed of pillars. Thereupon, its inner space and outer space become one, and in this space we naturally become open-minded. The scenic pavilion was a kind of productive space to make and develop art and learning. It was a stronghold of spiritual enjoyment of practicing studies and making poems. It was a space for poongryu(風流) or elegant life which relishes beautiful nature and recites poems. It was also exercise hall to cultivate human personality through viewing the nature and contemplating its meaning. It was a site of centripetal force for literati scholars to manage and invigorate their aesthetic life. It is precious space for us to recover our sensibility and to recognize wisdom of human life, In this paper, we are trying to investigate how the scenic pavilion takes the role to build up Korean or Eastern aesthetic consciousness. For this purpose, we inspect its origin and meaning, analyze its types and arrangements, and think over its functions. Thus we examine closely various significant meaning, such as nature appreciation, relaxation, learning and friendship, and communication in the culture of scenic pavilion. In short, we explicate the humanistic meaning of scenic pavilion which make a space for elegant life.

      • KCI등재후보

        樓亭의 機能에 따른 樓亭時調의 特性

        남동걸(Nam Dong-Geol) 한국시조학회 2004 時調學論叢 Vol.20 No.-

        누정은 대체로 승경의 요처에 자리하여 賞自然의 풍류를 극대화하고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곳이기에 조선조 士人들은 누정을 소유하는 것이 평생의 꿈이었다. 그러므로 누정과 관련된 문학작품은 여러 장르에 걸쳐 많을 수밖에 없다. 여기서는 누정시조를 누정의 기능과 관련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누정은 경관이 좋은 곳에 자리 잡고 있음으로 산수자연을 감상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사망이 트인 공간이기에 돌아다니면서 경관을 볼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누정시조에서의 산수자연은 여타의 산수유람 시조의 감상태도와는 차이가 있다. 즉 산수유람 시조는 장소를 이동하면서 산수자연을 감상하는 모습이 나타나는 반명 누정시조는 한자리에서 ‘눈돌리기[游目]’만으로 산수자연을 仰觀, 俯察, 遠望한다는 점이 다른 것이다. 둘째, 누정은 학문수양 및 강학의 공간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누정은 상대적으로 막히고 답답한 공간인 서원에 비해 교육효과가 높을 수 있다. 그러기에 이곳은 학문수양과 강학을 하는 둥 서원과 같은 역할을 했다. 더 나아가 산수자연을 감상하면서 그 속에서 자연의 이치를 깨닫기도 하고 호연지기를 기르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유형의 시조는 대부분 한시와 같이 전해지며 성현의 이름이나 고전의 문구가 작품 속에 등장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셋째, 누정은 계회 및 시회의 공간으로 기능한다. 누정 주인의 요청에 의해 시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이런 시적교류는 후에 시단 및 가단 형성의 중요한 동기가 된다. 넷째, 누정은 游娛的 酒宴의 기능을 한다. 단순한 유오적 주연의 공간이라 하더라도 개방적인 누정의 특성상 사대부로서의 일탈된 면모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누정이라도 폐쇄성이 있는 경우는 사대부들의 긴장이 이완된 형태의 작품이 나타나기도 한다. A pavilion is located in the place with beautiful scenery. which maximizes the poetical features of nature. So a scholar in the Chosun Dynasty had the dream of possessing it. This trends of the Chosun scholar resulted in producing lots of literary works related with the pavilion. In this thesis. I researched the characters of Pavilion Si - Jo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pavilion. First, the pavilion. which is surrounded by the beautiful scenery. is a good place to see the beauty of nature. It is needless to walk around to see the scenery thanks to its open structure. So the feeling in the pavilion Si- Jo is distinguished from other sightseeing Si- Jos: those show the way of seeing the scenery walking here and there. but this shows the way of seeing the scenery only just looking up, looking down. and looking in the distance. Second. the pavilion functions as an academic place. In this case. it can be said that it functions like a lecture hall. It is more effective to study in the pavilion than in the closed structure. a lecture hall. Furthermore. the scholar studying in the pavilion understand the principle of nature with seeing the beautiful mountain and river. and it can be a place for growing a vast-flowing spirit. This kind of poetry has been handed down with the Chinese poetry. and the character who operated the pavilion often appears in the work. Third. the pavilion functions as a space for a fraternity or poetry circles. The poetic exchange was conducted by host of pavilion. which is the key ingredient for organizing a poetry circles. Finally, the pavilion functions as an entertainment. Although it is a space for an entertainment, there is no deviation as a man of novel birth. If the pavilion has the feature of closeness, there are sometimes works which shows the deviation of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