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히틀러의 유대인 정책과 고백교회의 투쟁

        김기련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69

        본 논문의 주제는 히틀러의 반유대인 정책과 그에 따른 유대인 대학살(holocaust)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와서 유대인들은 히틀러와 나치에 의해 약 600만 명이 희생되었다. 유대인에게 왜 이런 대재앙이 임하게 되었는가? 따라서 히틀러가 왜 유대인들을 혐오하고 학살해야 했으며 어떠한 방법으로 유대인들을 제거했는가를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히틀러와 나치는 정치-사회적인 이유 때문에 유대인을 독일 일체화의 저해요소로 낙인찍고 반유대주의(Antijudaismus) 정책을 펼쳐 대학살을 감행하였다. 또한 히틀러와 나치는 경제적인 이유로 유대인들을 제거하는 정책을 세웠다. 나치의 반유대인 학살정책의 또 다른 원인은 히틀러의 인종주의에 기인한다. 히틀러와 독일인들은 아리안인의 우수성을 신봉함으로써 이를 반유대주의 정책의 논거로 삼았다. 독일사회와 ‘독일 크리스천’ 들은 히틀러를 메시아적 지도자로 환호했지만 독일의 고백교회는 바르트 와 니묄러와 본회퍼를 중심으로 히틀러의 유대인 학살에 대해 신학적으로나 기독교 윤리적인 면에서 강력히 저항하였다.히틀러의 전쟁범죄와 유대인 대학살은 국제사회의 분노를 일으켰고 그로 인해 독일은 분단되고 그 후 독일의 통일에 크나 큰 장애를 가져왔다. 전후 독일 개신교는 히틀러와 나치의 만행에 동조한 그 당시 독일 제국교회의 죄를 철저히 회개하는 ‘슈투트가르트 고백’을 하였고 ‘탈나치’ 작업으로 교회를 정화시키고 독일사회로부터 신뢰를 회복하였다. 독일 정치가들은 지속적으로 유대인학살에 대한 죄악을 통감하고 국제사회에 용서를 구하였다. 유대인학살에 대한 독일인들의 올바른 역사인식이 독일통일의 장애를 제거하였다고 본다. This essay aims at exploring Hitler's Anti-Jewish policies and the consequential Holocaust. In modern times, about 6 millionpeople of the Jews were sacrificed by Hitler and the Nazis. Why did the major catastrophe strike on the Jews? The reason Hitler detested and massacred Jews and the way he removed them need to be analyzed. Hitler and the Nazis stigmatized Jewish people as an obstacle of German integration, adopted “Anti-Judaism”(Anti-Jewish) policies, and committed genocide. Also, Hitler and the Nazis formulated policy to remove Jewish people on economical grounds. Another cause of the Nazis' Anti-Jewish genocide policy stemmed from Hitler's racism. Hitler and the Germans, by believing in the superiority of the Aryans, used it as a base for Anti-Jewish policy. Though German society and German Christians welcomed Hitler as their messianic leader, the Confessing Church in Germany, with Karl Barth, Martin Niemöller, and Dietrich Bonhoeffer performing key roles, strongly resisted Jewish genocide theologically and ethically.Hitler's war crime and the Holocaust built up the wave of international resentment, and that divided Germany into East and West and afterward got in the way of the unification of Germany. The postwar German Protestants made the Stuttgart Confession that they repented thoroughly of the sins of the German Imperial Church at the time which realigned itself with the act of brutality of Hitler and the Nazis. They purified churches by the work of 'Denazification' and restored trust in German society. German politicians felt deeply the crime and vice of the Holocaust and sought the forgivenes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proper knowledge and consciousness of the Germans on history of their own country seemed to remove the obstacle of the unification of Germany.

      • KCI등재

        미시마 유키오 「내 친구 히틀러」(わが友ヒットラー)와 방패회

        홍윤표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3 No.-

        미시마 유키오의 「내 친구 히틀러」(わが友ヒットラー)는 『문학계』(文学界) 1968년 12월호에 발표된 3막 형식의 희곡이다. 「내 친구 히틀러」가 발표된 1968년에 미시마 유키오가 어떤 활동을 했는지 살펴보면, 같은 해 7월에 미시마는 『중앙공론』(中央公論)에 「문화방위론」(文化防衛論)을 발표했고, 10월 15일에는 ‘방패회’(楯の会)라고 하는 사병조직을 창설했다 미시마 유키오가 육상자위대 이치가야(市ヶ谷) 주둔지에서 자결한 것이 불과 2년 후인 1970년 11월 25일이므로, 「내 친구 히틀러」는 미시마 유키오의 극우사상이 한참 그 정도를 더 해 가고 있을 때 발표되었고, 미시마의 죽음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문화방위론」 발표와 ‘방패회’창설과 같은 시기에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내 친구 히틀러」는 미시마 유키오 말년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미시마 유키오는 히틀러와 당시의 독일 역사를 면밀히 숙지한 후 당시 일본의 상황을 빗대어 「내 친구 히틀러」를 집필했다. 패전, 전후 민주주의에 대한 불만, 공산주의로부터의 위협 등 1968년의 일본과 평행을 이루고 있는 「내 친구 히틀러」 속 1934년 독일의 상황은 미시마에게 큰 시사점을 주었다. 특히 히틀러와 나치를 지원하여 히틀러 내각이 집권하는 데 큰 기여를 한 룀과 돌격대는 미시마의 방패회 구상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을 거라 생각된다. Yukio Mishima’s <My Friend Hitler> is a three-act play published in the December 1968 issue of Bungakukai. Taking an overview of Mishima‘s activity in 1968 when the play was released, he published “Bunkaboeiron” in Chuokoron in July, and founded an organization of private army called ‘Tatenokai’ on October 15. Mishima committed suicide at the Ichigaya Camp of the Japanese Self-Defense Forces on November 25, 1970, just two years later. This confirms that <My Friend Hitler> was published when his extreme right-wing thinking was getting deeper, almost coinciding with the time when “Bunkaboeiron” was published and ‘Tatenokai’ was organized, which are considered deeply related to his death. In other words, <My Friend Hitler> is a text that gives us a glimpse of the thought of Yukio Mishima in his last years. After a close examination of Hitler and the historical situation of Germany at that time, Yukio Mishima wrote <My Friend Hitler>, comparing the German situation with the circumstances in Japan. The situation of Germany in 1934 as depicted in <My Friend Hitler>—defeat in the war, dissatisfaction with postwar democracy, and threat of communism—parallelled the situation of Japan in 1968 and had a great impact on Mishima’s thought. In particular, Ernst Roehm and Sturmabteilung who made great contributions to Hitler’s seizure of power by supporting Hitler and the Nazi Party, seem to have had some influence on Mishima’s Tatenokai plan.

      • 히틀러의 종교 언어와 대중 현혹

        송희영(Song, Hi-Young) 한국카프카학회 2018 카프카연구 Vol.0 No.39

        독일 제3제국 시대의 히틀러는 스스로를 신이 보낸 예언자이자 독일을 구할 메시아라 자처한다. 기독교를 ‘투쟁의 종교’이자 예수를 유대인에 대항해 싸운 ‘혁명가’, 그리고 그 유대인에 의해 십자가에 못 박힌 ‘순교자’로 해석하면서 히틀러는 자신이 2000년 전 예수가 완성하지 못한 과제를 지상에서 완수할 사명을 부여받았다고 강조한다. 그 사명은 바로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은 유대인을 제거하고, 1차 대전의 패망과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고통 받는 독일 국민을 해방시키며, 빼앗긴 땅을 다시 찾아 투쟁하는 것, 즉 2차 대전을 일으키는 일이다. 히틀러는 그의 대중연설에서 종교언어와 표현들을 차용하고, 기도의 퍼포먼스를 감행함으로써 대중을 현혹시킨다. 제3제국시대의 수백만 군중은 히틀러에 열광하고, 연설장은 그야말로 열광과 도취의 도가니가 된다. 히틀러에 대한 독일 군중의 전폭적 지지와 맹목적 순종에는 히틀러의 종교언어와 대중현혹이 깊이 자리하고 있다. Im Zentrum dieser Arbeit steht die Analyse der Hitlers Religionssprache und Massenmanipulation. Der Schwerpunkt wird auf Hitlers Rede und Schriften gelegt. Im 11. 1918 endente der 1. Weltkrieg mit der Niederlage Deutschlands. Mit dieser Niederlag wurde der Versailler Vertrag gebildet, der Alleinige Kriegsschuld Deutschlands, Reparationszahlungen und Gebietsabtretungen(Nordschleswig an Dänemark, Westpreußen, Teile Schlesiens, Ostpreußens und Posen an Polen, und Elsass--Lothringen an Frankreich) beinhaltet. Durch diesen Vertrag mussten Reparationszahlungen in großer Höhe von Deutschland geleistet werden, sowie die Abtretung einiger Gebiete an die Siegermächte. Durch die Abtretung der Gebiete mit dem meisten Industrie kam es schließlich zur Hyperinflation. Die Armut in der Bevökerung wuchs rasant, und die soziale Atmosphär waren katastrophal. In dieser chaotischen Lage hatte Hitler ab Juli 1921 Parteivorsitzender der NSDAP, im Jahre 1934 regierte Hitler als “Führer und Reichskanzler”. Hitler hilet sich selbst als Gottes Prophet, der von Gott gesandt und gesegnet wurde, und sogar Messias, der Deutschland retten kann. Die religiöse Sprache und Rede von Hitler manipulierte die Deutschen. Die begeisterte Bevölkerung übersteigert auch ihn zu einer religiösen Figur mit den Zügen eines Heiligen oder eines Messias aus der christlichen Tradition.

      • KCI등재

        히틀러의 유럽통합 방안과 전쟁 포스터의 이미지 전략

        최용찬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2018 통합유럽연구 Vol.9 No.2

        유럽 통합의 역사에서 히틀러의 유럽통합 방안이 차지하는 역사적 위상을 둘러싼 학계의 논의는 아직까지도 현재진행형이다. 그러나 히틀러의 유럽통합 방안의 정체성의 문제를 나치 시대에 제작된 전쟁 포스터의 이미지 전략에 주안점을 두고 분석해 본 결과, 히틀러의 유럽통합 방안은 ‘전쟁을 통한 통합’이라는 정치 이데올로기의 극단적인 나치식 버전이라는 귀결점에 도달했다. 히틀러의 유럽통합 이데올로기는 특히 반유대주의, 승전주의, 반볼셰비즘 등 나치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와 교묘하게 뒤섞이면서 매우 공격적인 이미지 전략을 구사했다. 그렇기 때문에 히틀러의 유럽통합 방안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이 추구해온 ‘평화를 통한 통합’의 궁극적 실현이라는 유럽연합의 지상 목표와는 대조적인 부정적 유럽통합 방안이라는 점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이런 의미에서 히틀러 독일과 유럽연합의 유럽통합 방안은 전쟁과 평화의 거리만큼이나 개념 자체가 전혀 다른 통합 구상이기 때문에 상호 불연속적이라고 평가하는 입장에 대해서는 이의가 있을 수 없다.

      • KCI등재

        정치연설에 나타난 종교적 속성에 관하여 -히틀러의 경우를 중심으로 특별법 도입기준을 중심으로 -

        김종영 한국독어학회 2007 독어학 Vol.16 No.-

        In dieser Arbeit wird der Versuch unternommen, den religiösen Charakter in der politischen Rede zu analysieren. Hier handelt es sich um die Hitlers Rede als die Predigt einer politischen Religion. Im Abschnitt zwei wird die allgemeine Charakteristik der politschen Religion in Europa. Unter der politischen Religion können wir eine Form von Pseudoreligion. In der Tat spiegelt sich der Prozeß der Säkularisierung der Religion und Sakralisierung der Politik im profanen Gebrauch ursprünglich religiöser Ausdrücke. In Deutschland wurden im ausgehenden 18. Jahrhundert pietisch-religiöse Wendungen ins Politische transponiert. wurden. Hitlers Rede läßt sich am besten als die Predigt einer politschen Religion deuten. Im Abschnitt drei wird die Hitlers Rede als politische Predigt einer Pseudoreligion analysiert. Im Drittten Reich war die Religion nicht mehr Sprache des Geistes und Aufgabe einer Elite, sondern die primitive Ideologie einer Massenbewegung. Hitler predigte sehr oft die Überlegenheit der arischen Rasse. Er stilisierte mit seinem arischen Christus die christliche zu einer arischern Religion. In der Hitlers Reden hatten der Glaube an die Herrennatur des arischen Menschen und die Theorie vom Leben als Kampf ums Dasein den Gott fast verdrängt. Um die Rhetorik von Hitler genauer zu verstehen, muß man vorher die pseudoreligiösen Kräfte der politischen Rede von Hitler erkennen. 히틀러는 언어를 부려 대중을 설득하고 선동하는 데 있어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이는 당시의 상황을 자기 쪽으로 유리하게 끌어들일 수 있는 그만의 독특한 정치적 후각과 탁월한 연설능력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국가사회주의의 선전에는 대중의 마음을 얻어낼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다 좋다고 하는 모토를 강조한다. 이러한 모토아래 히틀러는 다양한 대중선동전략을 구사해나가게 된다. 이 가운데 사이비 종교 설교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정치연설은 대중의 획일화된 사고를 유도해내는데 일조를 하게 된다. 히틀러 연설에서 나타나는 사이비 종교적인 요소와 그것이 발산하고 있는 상징적인 힘을 포괄하여 이해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그의 연설을 제대로 이해했다고 할 수 없다. 교회와 정치가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다는 신념 하에, 히틀러는 신과 역사의 위임을 받아 행동하고 있다고 확언하며, 대중을 최면으로 몰고 갔던 것이다. 대중의 종교체험에서 현존하는 것은 신이 아니라 민족공동체다. 민족공동체의 정신과 본질은 히틀러로 대표된다. 히틀러로부터 장엄한 정치 종교세례와 안수를 받은 대중은 나치의 믿음으로 충만 되어, 교주 히틀러의 복음말씀을 전파하고 실천하는 강력한 나치교 민족공동체의 광신도로 거듭났던 것이다.

      • KCI등재

        히틀러의 신격화와 종교박해- 히틀러의 우상화 <의지의 승리> 및 종교탄압과 기독교의 저항운동

        송희영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3 No.73

        Im Zentrum dieser Arbeit steht die Untersuchung von “dem Mythos Hitler ‘Erlöser des deutschen Volkes’ und der Entchristlichung”. Sechzig Jahre nach dem Ende des nationalsozialistischen Regimes im Deutschen Reich übte die internationale Presse Kritik an der Wahl des deutschen Kardinals Joseph Ratzinger zum Oberhaupt der Katholischen Kirche. Sie warf die Frage auf, wie das Verhältnis zwischen der Katholischen Kirche und dem Nationalsozialismus gewesen war. Der Vatikan musste im Jahr 1929 schnell erkennen, dass es kaum möglich sein würde, eine ähnliche Einflussnahme auf den deutschen Nationalsozialismus auszuüben, wie er dies auf den italienischen Faschismus tat. Hitler versuchte vor der Machtergreifung, eine kirchenfreundliche Haltung gegenüber der katholischen Kirche auszuüben. Erstaunlicherweise war Hilter auch Katholik. Sein Elternhaus war streng katholisch, genau wie seine Schulausbildung in der Kindheit. Er bewegte sich in einem christlich-katholischen Rahmen, was sich im Versuch äußerte, seine Bewegung als konsequente, praktische Weiterführung des christlichen Glaubens darzustellen. So war das wahre Christentum für ihn das Kampfchristentum und Jesus stellte dem zufolge einen “Kämpfer” dar. Außerdem sah er in Christus jemandem, der immer schon die Juden bekämpft hatte. “Der Nationalsozialismus ist nichts anders eine praktische Befolgung der Lehre Christi.”, so meinte er. Nach der Machtergreifung 1933 beschrieb sich Hitler selbst als Mann mit prophetischen Eigenschaften und sogar als ‘Erlöser des deutschen Volkes’. Die nach der Machtergreifung von 1933 bis 1938 jeweils im September in Nürnberg stattfindenden mehrtägigen Reichsparteitage bildeten den Höhepunkt des neu geschaffenen nationalsozialistischen Festjahres. Nach der Machtergreifung für den Führer im September 1934 fand der Reichsparteitag der NSDAP vom 04. bis zum 10. September 1934 statt. Der Film Triumph des Willens von Leni Riefenstahl zeigt in einer Länge von 114 Minuten die Ereignisse. In diesem Film wird Hitler mit religiösen Motiven und Symbolen dargestellt. Er wird sogar als eine Art Messias und Heilsbringer des deutschen Volkes gepriesen. Die nationalsozialistischen Maßnahmen zur Entkirchlichung und Entchristlichung der deutschen Gesellschaft waren vielfältig, jedoch begann der Widerstand gegen das nationalsozialistische Regime innerhalb der Kirche. Die repräsentativen Widerstände gingen von der Bekennenden Kirche und von Dietrich Bonhoeffer aus. 20세기 이래 지금까지도 독일인들에게 씻을 수 없는 오명과 깊은 트라우마는 모름지기 히틀러의 나치정권과 유대인 대학살일 것이다. 히틀러의 망령은 아직도 살아서 독일인들의 무의식 속에 깊은 죄의식으로 남아있다. 2005년 가톨릭의 제265대 교황으로 선출된 교황 베네딕토 16세 Benedict XVI는 독일 출신의 교황이다. 베네딕토 16세의 본명은 요셉 라칭거 Joseph Aloisius Ratzinger로 1927년 독일 마르크틀 Marktl에서 태어났으며 20세기 최고의 가톨릭 신학자로 꼽힌다. 그러나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선출에 대해 2006년 2월 16일 영국 신문 <더 선 THE SUN>은 “히틀러유겐트에서 교황 라치의 자리로 From Hitler Youth to... Papa Ratzi”(Matussek 2006)라는 타이틀 하에 베네딕토 16세가 유년시절 ‘히틀러유겐트’에 가담했음을 폭로하고 있다. 심지어 2005년 4월 21일 터키 신문 <사바 Sabah>는 베네딕토 16세를 “과거의 나치 ehmaliger Nazi”(Kulke 2005)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는 독일 과거사의 흔적이 오늘날까지도 종교를 포함한 사회 전반에 깊이 자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 KCI등재

        히틀러의 체육사상 ­ -「나의 투쟁」을 중심으로-

        임식,주동진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2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A. Hitler's thought on physical·public health, sports, and physical education. He is certainly the main culprit of World War Ⅱ. However, on the contrary, it can be said that this negative aspect will afford an excellent lesson to our own policies of public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His thought is based on Mein Kampt which he wrote in prison. This book has a lot of nonsentences and logical errors. It is necessary for historians and scholars in that field to find the errors and correct them for our future.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his Mein Kompt is 'racialistic nationalism'. Starting from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German race, he emphasizes the following policies step by step; innocence of blood(protection of the race), securing of base for living(construction of a nation), elimination of the Jews who destroy the base(war), and finally, construction of a nation by 'German race' who is principal agent of cultur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being(Third Reich). It is certain that his physical policies are forcible and have a lot of errors, However, it is necessary for us to highly regard physical development policies for student by way of systemic school physical eduction the policies of physical promotion in the nation. 이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의 주범인 히틀러의 체육사상을 밝히는 것이다. 이것은 전쟁을 일으킨 전범에게도 빛과 그림자는 있기 마련이며, 이러한 평가는 他山之石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적 의미에서 탐구하였다. 히틀러의 체육사상은 그가 옥중에서 지은 「나의 투쟁」에서 근거한다. 그의 저서는 상당히 많은 非文과 논리적 오류가 있다. 그러나 역사는 이러한 히틀러의 오류를 찾아내고 경계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인류의 평화와 安危를 위한 담보이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히틀러의 「나의 투쟁」에서 찾아본 가장 중요한 개념은 ‘인종주의적 국가관’이다. 그는 처음부터 게르만인종의 ‘보호’와 ‘개량’에 관한 내용으로 출발한다. 그 횡보는 첫째, 피의 순결(인종보호) 둘째, 그것을 위한 삶의 터전확보(국가건설), 셋째 이를 파괴하는 유태인의 제거(전쟁), 최종적으로 인류발전을 위한 문화주체자의 ‘게르만인종의 국가건설(제3제국)’이다. 히틀러의 체육정책이 강압적이고 그밖에 많은 오류를 가졌다고 할지라도, 학교체육을 통한 학생들의 신체발달정책과 국민의 체육진흥정책은 간과할 수 없는 무게가 있다.

      • KCI등재

        독일 고백교회의 저항에 대한 연구

        고재길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6 신학과 사회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istance of the Confessing Church that fought against the Nazi ideologies of Adolf Hitler, from the Christian ethical point of view. The conservative “German Christians” followed the orders of Hitler, based on the Theology of Order. However, the Confessing Church followed only Jesus Christ and struggled with the “German Christians”. This was the “Church Struggle” that distinguished the true church from the false church. The Confessing Church, through the Theological Declaration of Barmen, exposed the evil side of the church which was used as a political tool for the Nazi. The Confessing Church also offered Dietrich Bonhoeffer the position of the head of Finkenwalde Seminary, a place that trained new pastors. In 1946, the Confessing Church openly repented on not fighting back more courageously against Hitler at Stuttgart. The evaluation of the Confessing Church should be reviewed in an objective point of view. First of all, the struggle of the Confessing Church was far from the direct and political criticism. Second, the Barmen Declaration failed to address the Nazi racial policy. Third, the Confessing Church did not reject the allegiance to Hitler, rather it pledged the fidelity to him. But Bonhoeffer spoke out for the Jews and fought against Hitler. Jesus Christ is not only the Lord of the Church, but the Lord of this world. When the unjust authorities of the world go against God’s will, the church should criticize them; faithfully acting as the “Mandate of God”. 본 연구의 목적은 히틀러의 나치 이데올로기와 맞서 싸웠던 고백교회(Confessing Church)의 저항을 기독교윤리적 관점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독일 그리스도인들” (German Christians)은 보수적인 “질서의 신학”에 근거하여 히틀러의 명령을 따랐다. 그러나 고백교회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을 따랐고, “독일 그리스도인들”과 싸웠다. 이것은 하나님 앞에서 참된 교회와 거짓된 교회를 구별하는 싸움, “교회투쟁”이었다. 고백교회는 바르멘 신학선언(Barmer Theologische Erklrärung)을 통해 나치의 정치적 도구로 전락한 교회의 악한 모습을 폭로했다. 고백교회는 본회퍼를 견습목회자들을 교육하는 핑켄발데 신학원의 책임자로 임명했다. 고백교회는 1946년에 슈투트가르트에서 히틀러에 대항하여 더 용기 있게 싸우지 못했던 것을 참회했다. 고백교회에 대한 평가는 객관적인 관점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다. 먼저, 고백교회의 저항은 히틀러에 대한 정치적인 저항과는 거리가 있다. 둘째, 바르멘 신학선언은 나치의 인종주의 정책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셋째, 특히, 고백교회는 1938년에 히틀러의 충성맹세서약을 거부하지 않고 받아들였다. 그러나 본회퍼는 유태인을 위해 변호했고, 히틀러에 맞서 끝까지 싸웠다.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의 주님만이 아니라, 세상의 주님이시다. 세상의 불의한 권력이 하나님의 뜻을 거스릴때, 교회는 불의한 권력을 비판하고 견제하는 “하나님의 위임”의 역할을 잘 감당해야한다.

      • KCI등재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살펴본 히틀러(Hitler)의 정치 이념에 따른 인간관(人間觀) 비판

        김기흥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iewpoint of humanity of Hitler and national socialists which was revealed in various political ideologies and social policies pursued by Germany's Third Reich and to criticize such viewpoint from Christian ethicality standpoint. At the time, dictatorship served the basis for Germany's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centering around the ideology of national communities, anti-Semitism, living space ideology, racism and social Darwinism. Some of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Hitler and his followers committed the war of aggression and genocide against other peoples and nations on the basis of the shallow-minded elitism formed by selfish group consciousness. However, the Biblical view of humanity pursues mutual respect, inclusive and open communities in a peaceful relationship, rather than exclusive, rejective, or hostile attitude for reason of ethnic or racial backgrounds. Second, Hitler and national socialists committed national crimes of massacring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and disabilities as 'worthless lives' based on economic value, as well as slaughtering a lot of Jews based on eugenic racism. However, the Christian viewpoint of humanity is based on dignity and noble value of human beings and basically supported by the twin pillars of the order of creation and salvation ministry in the infinite love and providence of God, not the conditional and relative concepts claimed by the Hitler's dictatorship or philosophers. Third, Hitler and national socialists massacred myriads of human beings, destroying the nobility of human life, and even committed suicides in seeking final resolutions of various problems such as conflicts, disputes, etc., as they considered the ‘death’ as extinction based on their belief in materialism or atheistic existentialism. However, the Bible attributes the death to the sin of human beings and declares that there is the strict judgment by God after death. In addition, the life in this world and the life after death are linked by interrelationships. Particularly, the act of taking away the life, whether it is one's own life or other person's life, is considered a serious challenge to the Creator who is the Master of life and is regarded as a serious sin because human beings were made in the image of God. Finally, the utilitarianism or secularism have been coming to the fore gradually these days in coming to grips with social issues associated with life ethics, such as euthanasia, artificial abortion, capital punishment, suicide, etc. Constant discussions and study would be very imperative, which aim to restore the distorted humanity and human dignity by criticizing the spirit of the times, where the life, existential value and meaning of human beings are judged increasingly from the prism of rationa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productivity, based on the Christian viewpoint of ethicality. 본 연구는 독일의 제3제국이 추구했던 다양한 정치이념과 사회정책들 속에서 나타난 히틀러와 민족사회주의자들의 인간관을 고찰하고, 이를 기독교 윤리적인 관점에서 비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당시 독재정권은 특히 민족공동체 사상을 비롯하여 반유대주의, 생활공간이념, 인종주의와 사회적 다윈주의 사상을 중심으로 독일의 국내ㆍ외 정책의 기조로 삼았던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몇 가지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히틀러와 그 추종자들은 이기적인 집단의식에 따라서 형성된 천박한 선민사상을 바탕으로 타민족 및 국가들에 대한 침략전쟁과 집단학살을 자행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그러나 성경적인 인간관은 근본적으로 민족이나 인종적인 이유로 배타적, 거부적 혹은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기보다는 화평한 관계 속에서 상호존중과 포용적이며 개방적인 공동체를 지향한다는 것이다. 둘째, 히틀러와 민족사회주의자들은 우생학적인 인종주의 관점에서 수많은 유대인들뿐만 아니라 동시에 경제학적인 가치를 바탕으로 수 십 만 명의 정신질환자 및 장애인들을 ‘살 가치가 없는 목숨’ 이라는 미명하에서 대량 살해하는 국가적인 범죄를 저질렀다. 그러나 기독교적 관점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고귀한 가치는 히틀러 독재정권이나 흔히 철학자들이 주장하는 조건적, 상대적인 개념이 아니라, 하나님의 무한하신 사랑과 섭리 속에서 이루어진 창조질서와 구원사역을 그 기본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다. 셋째, 히틀러와 민족사회주의자들은 유물론이나 혹은 무신론적 실존주의적 입장에서 ‘죽음’을 소멸로 보아 많은 고귀한 생명을 학살하고 스스로도 목숨을 끊음으로서 갈등과 분쟁 등 각종 문제의 최종적인 해결책으로 보았다. 그러나 성경은 죽음을 인간의 죄로 말미암은 것으로 보고 있으며, 죽음 후에는 반드시 하나님의 준엄한 심판이 있음을 선언하고 있다. 아울러 현실의 삶과 죽음 이후의 삶은 상호 관련성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자신의 목숨이든 타인의 생명을 함부로 빼앗는 행위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은 인간이기에 생명의 주인 되신 창조주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며 큰 죄악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점이다. 끝으로 오늘날 안락사, 인공임신중절, 사형, 자살 등 생명윤리와 관련된 사회적 이슈에서 점점 공리주의적 혹은 현세주의적 사상이 점차 대두되어 가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오늘날 인간의 생명이나 인간의 존재 가치 및 의미 등이 점점 더 합리적, 경제적, 생산적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판단되는 시대정신을 기독교 윤리적인 관점에서 비판함으로서 왜곡된 인간성 및 인간 존엄성을 회복하기 위한 끊임없는 연구와 논의는 매우 절박하다 할 것이다.

      • KCI등재

        정치언어의 특성에 관한 고찰 : 히틀러의 언어사용을 중심으로

        김종영 한국독일어문학회 2003 독일어문학 Vol.22 No.-

        In dieser Arbeit wird der Versuch unternommen, den Charakter der politischen Sprache zu betrachten. In dieser Sprache gibt es verschiedene Funktionen, unter denen die persuasive- und manipulative Funktion sehr wichtig ist. Um die politischen Sprache richtig zu verstehen, muß man zuerst die beiden Begriffe, und zwar Persuasion und Manipulation verstehen. Im Abschnitt zwei und drei wird diese beide Begriffe beschrieben. Persuasion bedeutet Gebrauch verbaler Mittel zwecks Beeinflussung der Einstellung oder des Verhaltens anderer. Das lateinische Grundwort persuasio bezeichnet zwei verschiedene Kommunikationseffekte: uberreden und uberzeugen. Manipulation bedeutet einseitige, eigennutzige Ausbeutung durch Anwendung nur scheinbar fairer, in Wirklichkeit aber tauschender und verfuhrender Techniken der Hanlungsbeeinflussung. Im Abschnitt vier und funf wird die Eigenschaft der Rede Hiters. In dieser Arbeit wird er als Prototyp des politischen Redners erschienen. Er hat jeder Versammlung nur gesagt, was sie horen wollte, den wahren Sachverhalt nur auf hochst vordergrundige Weise. Er war gewiß nicht der opportunistische Schonredner der Menge, sondern Mundstuck abertausender Gefuhle der Uberwaltigung, der Angst, des Hasses, die er gleichzeichtig integrierte und in politische Dynamik verwandelt. Niemand formulierte glaubwurdiger, entschiedener und massenwirksamer das unertraglich wachsende Verlangen nach Ander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